KR102484377B1 -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377B1
KR102484377B1 KR1020220002414A KR20220002414A KR102484377B1 KR 102484377 B1 KR102484377 B1 KR 102484377B1 KR 1020220002414 A KR1020220002414 A KR 1020220002414A KR 20220002414 A KR20220002414 A KR 20220002414A KR 102484377 B1 KR102484377 B1 KR 10248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bo
protrusion
hose
stringer
sna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언중
주경로
Original Assignee
이언중
주경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언중, 주경로 filed Critical 이언중
Priority to KR102022000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for hoses with one end terminating in a radial flange or co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업용 호스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 말단이 상기 호스 말단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호스 말단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제1심보; 상기 제1심보의 타 말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심보; 및 상기 제1심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측면이 상기 제2심보의 일 말단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스냅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심보는 상기 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심보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냅링에 의해 상기 제2심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SWIVEL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INDUSTRIAL HOSES}
본 발명은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호스는 각종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적용된다. 예를 들어, 각종 유체는 화학공장에서 탱크로리 등으로 운반된 후, 저장탱크에 저장 공급될 수 있다.
산업용 호스는 탱크로리의 밸브 또는 배관에 일 단이 연결되고 저장탱크에 타 단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양 말단부가 고정된 상태의 산업용 호스는, 연결되는 과정뿐만 아니라 사용 중에도 비틀림이나 꼬임 등이 발생하여 유체의 과도한 압력이 양 말단부에 부여됨으로써 산업용 호스가 연결장치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보에 산업용 호스를 끼우고 그 외주면에 스웨징 캡을 삽입한 후 압착함으로써 심보-산업용 호스-스웨징 캡을 물리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할 때, 산업용 호스의 양 말단부가 플랜지 또는 심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는 있지만 산업용 호스의 사용 중에 비틀림이나 꼬임 등의 발생으로 특정 위치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산업용 호스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한 연결장치를 적용하는 시도들이 있었으나, 과도한 부속품들이 필요하여 유압에 대한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거나, 유체가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산업용 호스를 플랜지 등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높은 내구성을 갖고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부속품들이 과도하게 필요하지 않는 결합 구조를 갖는 연결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용 호스를 플랜지 등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높은 내구성을 갖고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부속품들이 과도하게 필요하지 않는 결합 구조를 갖는 스위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업용 호스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 말단이 상기 호스 말단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호스 말단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제1심보; 상기 제1심보의 타 말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심보; 및 상기 제1심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측면이 상기 제2심보의 일 말단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스냅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심보는 상기 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심보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냅링에 의해 상기 제2심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심보는 외주면에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에서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제2심보의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심보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스냅링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스냅링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냅링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심보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 및 상기 스냅링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갖고,
상기 스냅링은 2 이상의 절편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절편이 상기 제1심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측면이 상기 제2심보의 일 말단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되되, 상기 스냅링은 상기 산업용 호스 연결장치 외부로 노출된 구조가 적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스냅링과 상기 제2심보의 체결을 해제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호스가 연결된 상기 제1심보와 상기 제2심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체된 호스에 상기 스냅링, 상기 제2심보, 및 상기 플랜지를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2심보는, 상기 제2심보의 상기 일 말단보다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내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심보 내측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이 상기 제2심보 내측 걸림턱에 맞닿도록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이 상기 제2심보 내측 걸림턱에 맞닿을 때 상기 제1심보의 내측면과 상기 제2심보의 내측면은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평평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로리나 저장탱크와 같은 피연결체로부터 회전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써 산업용 호스의 사용 중에 비틀림이나 꼬임 등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산업용 호스나 연결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산업용 호스를 제1심보와 연결하는 경우에도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속품들이 과도하게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결합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작 단가를 낮추고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용 호스를 교체할 때 플랜지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제1심보만 교체하는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속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배관 라인에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벤딩된 형태의 제1심보가 적용된 본 발명의 스위블 연결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현장의 배관 배치 방향에 제한받지 않고 유체 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벤딩된 형태의 제1심보 말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스위블 연결장치를 적용하여 설치 방향을 정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제1심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제2심보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4(b)는 우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플랜지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5(b)는 좌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스냅링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6(b)는 우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좌' 또는 '우'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좌' 또는 '우'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호스'는 우레탄 소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호스와 금속 재질의 비가요성 배관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길이방향'은 플랜지에 결합된 제2심보가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일 말단'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에서 제1심보 또는 호스가 배치된 방향을 지칭하고, '타 말단'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에서 플랜지 또는 제2심보가 배치된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제1심보의 타 말단이 제2심보의 일 말단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표시된 a-a선은 a-a선을 기준으로 일 면은 외형을 나타낸 것이고 타 면은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이하, '스위블 연결장치'라 한다)는, 제1심보(100), 제2심보(200), 플랜지(300), 및 스냅링(400)을 포함한다.
제1심보(100)는, 일 말단이 호스(800) 말단의 내측에 삽입되어 호스(800) 말단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제1심보 유로(110)가 형성된다.
제2심보(200)는, 제1심보(100)의 타 말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랜지(300)에 고정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제2심보 제1유로(210)와 제2심보 제2유로(220)가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300)는 탱크로리나 저장탱크와 같은 피연결체에 고정될 수 있다.
스냅링(400)은, 제1심보(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측면이 제2심보(200)의 일 말단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제1심보(100)는 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제2심보(2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스냅링(400)에 의해 제2심보(2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스위블 연결장치는 탱크로리나 저장탱크와 같은 피연결체로부터 회전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써 산업용 호스의 사용 중에 비틀림이나 꼬임 등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산업용 호스나 스위블 연결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제1심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심보(100)는, 외주면에 마련된 제1돌출부(130), 제2돌출부(140), 제3돌출부(150), 제4돌출부(160), 돌출턱(170), 및 마찰부여부(120)를 포함한다.
제1돌출부(130)는 제1심보(100)의 외주면에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돌출부(140), 제3돌출부(150) 및 제4돌출부(160)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심보(200)에 체결되는 스냅링(400)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하고 유체의 누수를 막는 씰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돌출부(140)는 제1돌출부(130)에서 제1심보(100)의 타 말단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돌출부(130) 및 제2돌출부(140) 사이에서 스냅링(4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스냅링 수용홈(180)이 형성된다.
제3돌출부(150)는 제2돌출부(140)에서 제1심보(100)의 타 말단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4돌출부(160)는 제3돌출부(150)에서 제1심보(100)의 타 말단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돌출부(140)와 제3돌출부(150) 사이 및 제3돌출부(150)와 제4돌출부(160) 사이에 심보 오링 수용홈(19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심보(100)가 제2심보(200)와 결합될 때, 제1돌출부(130)는 제2심보(2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2돌출부(150)는 제2심보(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냅링 수용홈(180)에 스냅링(400)이 체결되어 복잡한 부속품이 없어도 제1심보(100)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되 제1심보(100)가 제2심보(200) 및 스냅링(400)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부속품들이 과도하게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결합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작 단가를 낮추고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심보(100)는, 제2심보(200)와 결합될 때 제3돌출부(150) 및 제4돌출부(160)가 제2심보(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심보 오링(600)이 심보 오링 수용홈(190)에 삽입된 상태로 제1심보(100)가 제2심보(200)에 결합되어, 심보 오링(600)이 제1심보(100)의 외측면과 제2심보(200)의 내측면을 동시에 압착함으로써, 제1심보(100)가 제2심보(20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내부에 흐르는 고압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4돌출부(160)까지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5돌출부, 제6돌출부, (…), 제n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n은 자연수), 그에 따라 형성되는 심보 오링 수용홈과 이에 결합되는 심보 오링도 3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심보(100)는 제1돌출부(130)의 전방에서 제1심보(100)의 일 말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마찰부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부여부(120)는 요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부여부(120)는, 상기 요철의 볼록부가 호스(800)의 내측면을 압착하여 호스(800)가 제1심보(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심보(100)는, 제1돌출부(130) 상면에서 돌출되어 제1심보(130)에서 가장 큰 직경을 형성하는 돌출턱(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800)의 상기 말단이 돌출턱(170)에 의해 압착되어 제1심보(1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스위블 연결장치는 유체가 호스(800)와 제1심보(100)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제2심보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4(b)는 우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심보(200)의 내측에는 제2심보(200)의 일 말단보다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내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심보 내측 걸림턱(2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심보(200) 내측은 제2심보(200)의 일 말단에서 제2심보 내측 걸림턱(230) 이전의 영역까지 형성된 제2심보 제1유로(210) 및 제2심보 제1유로(210)에서 제2심보(200)의 타 말단까지 형성된 제2심보 제2유로(2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심보 제1유로(210)의 직경이 제2심보 제2유로(220)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1심보(100)의 타 말단이 제2심보 내측 걸림턱(230)에 맞닿도록 제1심보(100)가 제2심보(20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심보(100)의 타 말단이 제2심보(200)의 일 말단으로 삽입되다가 제1심보(100)의 타 말단이 제2심보 내측 걸림턱(230)에 맞닿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되면, 스냅링(400)이 스냅링 수용홈(180)에 안착되고, 볼트(800)가 스냅링(400)을 관통한 후 제2심보(200)의 일 말단에 형성된 제2심보 림(240)의 볼트 수용홈(250)에 체결됨으로써, 스위블 연결장치는 제1심보(100)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되 제1심보(100)가 제2심보(200) 및 스냅링(400)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블 연결장치는, 제1심보(100) 외측과 제2심보(200) 내측을 제2심보 제2유로(220)가 형성된 영역에 위치하는 심보 오링(600)이 압착함으로써 유체가 제1심보(100)와 제2심보(200)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플랜지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5(b)는 좌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랜지(300)는 내측에 플랜지 유로(310)가 형성되며, 제2심보(200)의 타 말단이 플랜지(300)의 일 말단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심보(200)는 플랜지(300)에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심보(200)는 플랜지(30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300)는, 플랜지(300)에 형성된 플랜지 체결구(32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 등에 의해 탱크로리나 저장탱크와 같은 피연결체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300)는, 상기 피연결체와 맞닿는 부분에 플랜지 제1돌출부(330) 및 플랜지 제2돌출부(340)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플랜지 오링 수용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 오링 수용홈(350)에 수용된 플랜지 오링(500)이 플랜지(300)와 상기 피연결체를 압착하여 유체가 플랜지(300)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스냅링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6(b)는 우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스냅링(400)은 제1심보(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2 이상의 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상기 절편이 제1심보(1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측면이 제2심보(200)의 일 말단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스냅링(410)에 형성된 제1스냅링 볼트 통과구(411)와 제2스냅링(420)에 형성된 제2스냅링 볼트 통과구(421)를 볼트(700)가 통과한 후 전술한 제2심보 림(240)의 볼트 수용홈(2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800)의 교체가 필요할 때 스냅링(400)과 제2심보(200)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호스(800)의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된 호스(800)에 종전의 스냅링(400), 제2심보(200), 및 플랜지(300)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제1심보(100)만 교체하는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속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와 도 7(b)를 들어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도 1 내지 도 6을 들어 전술한 바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스위블 연결장치에서, 제1심보(100a)는 제2심보(20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후 절곡(bending)되어 다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 지점을 기준으로 제1심보(100a)의 일 말단부에 전술한 돌출턱 및 마찰부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심보(100a)의 타 말단부에 전술한 제3돌출부, 제4돌출부, (…), 제n돌출부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전술한 심보 오링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a)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스위블 연결장치는, 절곡된 형태의 제1심보(100a)를 사용함으로써, 현장에서 배관 라인에 상기 스위블 연결장치를 설치할 때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현장의 배관 배치 방향에 제한받지 않고 유체 이송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스위블 연결장치에서, 제1심보(100b)는 절곡된 형태를 갖되 일 말단에 호스가 결합되는 구조가 아닌 플랜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전술한 마찰부여부와 제1돌출부, 돌출턱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b)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스위블 연결장치는, 절곡된 형태의 제1심보(100b)의 일 말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배관과 배관사이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360도 회전이 가능한 상기 스위블 연결장치를 적용하여 설치 방향을 정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00, 100a, 100b : 제1심보
110 : 제1심보 유로
120 : 마찰부여부
130 : 제1돌출부
140 : 제2돌출부
150 : 제3돌출부
160 : 제4돌출부
170 : 돌출턱
180 : 스냅링 수용홈
190 : 심보 오링 수용홈
200 : 제2심보
210 : 제2심보 제1유로
220 : 제2심보 제2유로
230 : 제2심보 내측 걸림턱
240 : 제2심보 림
250 : 볼트 수용홈
300 : 플랜지
310 : 플랜지 유로
320 : 플랜지 체결구
330 : 플랜지 제1돌출부
340 : 플랜지 제2돌출부
350 : 플랜지 오링 수용홈
400 : 스냅링
410 : 제1스냅링
411 : 제1스냅링 볼트 통과구
420 : 제2스냅링
421 : 제2스냅링 볼트 통과구
500 : 플랜지 오링
600 : 심보 오링
700 : 볼트
800 : 호스

Claims (10)

  1. 산업용 호스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 말단이 상기 호스 말단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호스 말단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제1심보;
    상기 제1심보의 타 말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랜지에 고정되는 제2심보; 및
    상기 제1심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측면이 상기 제2심보의 일 말단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스냅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심보는 상기 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심보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냅링에 의해 상기 제2심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심보는, 외주면에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에서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제2심보의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심보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스냅링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스냅링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냅링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심보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 및 상기 스냅링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갖고,
    상기 스냅링은 2 이상의 절편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절편이 상기 제1심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측면이 상기 제2심보의 일 말단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되되, 상기 스냅링은 상기 산업용 호스 연결장치 외부로 노출된 구조가 적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스냅링과 상기 제2심보의 체결을 해제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호스가 연결된 상기 제1심보와 상기 제2심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체된 호스에 상기 스냅링, 상기 제2심보, 및 상기 플랜지를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2심보는, 상기 제2심보의 상기 일 말단보다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내측면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심보 내측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이 상기 제2심보 내측 걸림턱에 맞닿도록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이 상기 제2심보 내측 걸림턱에 맞닿을 때 상기 제1심보의 내측면과 상기 제2심보의 내측면은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평평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심보는,
    상기 제2돌출부에서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3돌출부; 및
    상기 제3돌출부에서 상기 제1심보의 상기 타 말단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4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돌출부 및 상기 제4돌출부가 상기 제2심보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에 결합되며,
    상기 제2돌출부와 상기 제3돌출부 사이 및 상기 제3돌출부와 상기 제4돌출부 사이에 심보 오링 수용홈이 형성되고, 심보 오링이 상기 심보 오링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심보가 상기 제2심보에 결합되어, 유체가 상기 제1심보와 상기 제2심보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 구조를 갖는,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심보는 상기 제1돌출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심보의 상기 일 말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마찰부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여부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되 상기 요철의 볼록부가 상기 호스의 내측면을 압착하여 상기 호스가 상기 제1심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심보는, 상기 제1돌출부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심보에서 가장 큰 직경을 형성하는 돌출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의 상기 말단이 상기 돌출턱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제1심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유체가 상기 호스와 상기 제1심보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 구조를 갖는,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9.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보는 상기 제2심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후 벤딩되어 다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10. 삭제
KR1020220002414A 2022-01-07 2022-01-07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KR10248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14A KR102484377B1 (ko) 2022-01-07 2022-01-07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14A KR102484377B1 (ko) 2022-01-07 2022-01-07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377B1 true KR102484377B1 (ko) 2023-01-03

Family

ID=8492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414A KR102484377B1 (ko) 2022-01-07 2022-01-07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3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2718U (ko) * 1973-11-30 1975-07-16
JPS5328520U (ko) * 1976-08-17 1978-03-11
JPH07305586A (ja) * 1994-05-12 1995-11-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スイベルジョイント
JPH09229259A (ja) * 1996-02-21 1997-09-05 Bridgestone Corp ホース用継手
US20020125720A1 (en) * 2001-03-12 2002-09-12 Laurence Nixon Swiveling hose coupling
KR20170066804A (ko) * 2015-12-07 2017-06-15 표준 호스 연결용 니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2718U (ko) * 1973-11-30 1975-07-16
JPS5328520U (ko) * 1976-08-17 1978-03-11
JPH07305586A (ja) * 1994-05-12 1995-11-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スイベルジョイント
JPH09229259A (ja) * 1996-02-21 1997-09-05 Bridgestone Corp ホース用継手
US20020125720A1 (en) * 2001-03-12 2002-09-12 Laurence Nixon Swiveling hose coupling
KR20170066804A (ko) * 2015-12-07 2017-06-15 표준 호스 연결용 니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4739B2 (en) Fracturing system with flexible conduit
CN101426592B (zh) 圆柱形构件维护设备
US6264244B1 (en) End connector for composite coiled tubing
DE102004041928B4 (de) Schwimmende Dichtung und Aufnahmeunterwasserhydraulikkupplungsglied
EA009319B1 (ru) Соединитель труб
US20160097486A1 (en) Check valve
CN109804133A (zh) 压裂出油管系统
CN101233351A (zh) 具有缩径接头部的阀和缩径用接头、以及采用该阀及缩径用接头的配管系统
DE102009021696B4 (de) Hydraulisches Kupplungsglied mit bidirektionaler druckgespeister Kopfstückdichtung
EP3037708A1 (en) Joint for high-pressure pipes and joint structure
KR102484377B1 (ko) 산업용 호스 연결용 스위블 연결장치
DE10001100A1 (de) Kupplungsgehäuse und Schnellkupplung für Schläuche oder Rohrleitungen in Kraftfahrzeugen in Verbundbauweise
US8910979B1 (en) Pipe repair coupling
US9222609B1 (en) Seal for use in subsea connections and subsea connections employing such a seal
US11885207B2 (en) Fracturing fluid delivery systems with sacrificial liners or sleeves
US5383694A (en) Load segment assembly with wire rope
US11261979B2 (en) Check valve pivot pin retainer seal
US6675825B1 (en) Lubricated plug valve
US20170107770A1 (en) Interface
NZ507919A (en) back wash valve, having saddle type ports attached to valve housing
US11415258B2 (en) Pipeline plug
US20190154183A1 (en) Pipe Enclosure
US11761563B2 (en) Reinforced hose end connector having a smooth surface inboard end length
DE2260357A1 (de) Biegsames rohr
US7549678B2 (en) Systems for actuating a pip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