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371B1 -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 - Google Patents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371B1
KR102484371B1 KR1020220105930A KR20220105930A KR102484371B1 KR 102484371 B1 KR102484371 B1 KR 102484371B1 KR 1020220105930 A KR1020220105930 A KR 1020220105930A KR 20220105930 A KR20220105930 A KR 20220105930A KR 102484371 B1 KR102484371 B1 KR 10248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co
friendly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감생활
최명배
베스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감생활, 최명배, 베스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감생활
Priority to KR102022010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오일이 효과적으로 침투된 목재를 포함하여 방습, 방충 등의 물성이 현저히 향상된, 성형 보드를 적용한 가정용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Household sink with effect of suppressing occurrence of moisture, mold, and flies by applying eco-friendly hybrid oil to the processing surface of the molding board}
본 발명은 가정용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오일이 효과적으로 침투된 목재를 포함하여 방습, 방충 등의 물성이 현저히 향상된, 성형 보드를 적용한 가정용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가구, 가구 부품, 건축 자재, 건축 부자재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 재료는 목재이다. 목재는 가볍고, 가공하기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종래부터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가구재나 건축재로서, 예를 들어,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등의 목재 보드(성형 보드)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된다.
목재 보드의 제조 시, 합판을 제조 생산하는 과정에서 접착제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공정이며, 이 과정에서 열경화성수지인 멜라민, 요소수지 등이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멜라민, 요소 수지 등에는 생산과정에서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필수적으로 첨가되므로, 접착제 내부에 존재하는 미반응 포름알데히드가 서서히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는 기본적인 특성상, 습기와 화기에 취약하며 곰팡이나 벌레가 생기기 쉬운 단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기온, 습도, 강수량의 영향으로 목재를 주 재료로 제조된 성형보드의 변형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주방 가구, 싱크볼, 렌지 부위 등은 물을 사용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나 습기에 따른 목재의 손상 및 변형에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7850호
본 발명은, 친환경 오일이 효과적으로 침투된 목재를 포함하여 방습, 방충 등의 물성이 현저히 향상된, 성형 보드를 적용한 가정용 싱크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목재 원료 및, 방습과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을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목재 원료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과, 열경화성 접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 공정을 거쳐 목재보드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목재보드의 표면에 친환경 오일을 침투시키는 침투 공법을 통하여, 친환경 오일이 침투된 성형보드를 제조하는, 제3 단계; 상기 친환경 오일이 침투된 성형보드를 싱크대 제작용 판넬 형태로 재단한 다음, 절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성형보드의 절단면의 표면에 상기 친환경 오일을 도포하는 제5 단계; 및, 절단된 성형 보드를 인체에 무해한 본드 또는 공업용 철부재로 접착하고 조립하여 싱크대 제작용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가정용 싱크대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습 및 흡습 효과와,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목재 원료와 함께 배합하여 성형함으로써, 목재 자체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가공된 목재 보드의 표면에 추가적으로 친환경 오일을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침투 공법을 통하여 기능성에 대한 시너지를 높인 성형 보드를 적용한 가정용 싱크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오일은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맞게 오일의 물성이 조금씩 달라지는 특징을 가짐으로써, 가공 공정 시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오일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성형보드의 가공 시에 절단면에도 친환경 오일을 도포함으로써, 기능성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접착력은 높게 유지될 수 있어서 기존 기술 대비 우수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보드는, 오일을 목재에 침투시키고 나서, 도장을 한다거나, 코팅을 함에 있어서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고 목재 전체적으로 오일이 침투된 상태에서는,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의 소멸 효과가 있으며 뒤틀림/균열/변색 방지 효과도 있고, 방수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보드는, 기존의 기술 대비 원가 절감의 효과를 발휘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오일 침투 목재 제조 공법은, 방충 효능으로 아예 벌레의 여러 생육단계를 방해하는 방충, 즉, 알을 낳거나, 애벌레가 들어오거나, 성충이 들어오는 등의 모든 단계를 방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보드 제조방법은, 목재 원료 및, 방습과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을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목재 원료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과, 열경화성 접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 공정을 거쳐 목재보드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목재보드의 표면에 친환경 오일을 침투시키는 침투 공법을 통하여, 친환경 오일이 침투된 성형보드를 제조하는, 제3 단계; 상기 친환경 오일이 침투된 성형보드를 싱크대 제작용 판넬 형태로 재단한 다음, 절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성형보드의 절단면의 표면에 상기 친환경 오일을 도포하는 제5 단계; 및, 절단된 성형 보드를 인체에 무해한 본드 또는 공업용 철부재로 접착하고 조립하여 싱크대 제작용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제1 단계>
제1 단계는, S10 내지 S40 의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S10 단계는 목재 원료를 마련하는 공정일 수 있다.
먼저, 소나무, 향나무, 편백나무 및 전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원목을 얻어 자연 건조를 수행한 다음에, 통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거칠고 투박한 겉껍질을 벗겨내고,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외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다중 절삭날을 사용하여 가로, 세로, 두께가 각각 5mm, 5mm, 0.5mm 로 커팅한 제1 소목편 및, 가로, 세로, 두께가 각각 3mm, 3mm, 0.3mm 로 커팅한 제2 소목편을 각각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목편 및 제2 소목편으로 각각 크기를 다르게 준비하여 이를 함께 사용하면 목재보드의 공극률을 더욱 높이고,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목을 외관 가공하고, 소목편들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목재 칩, 목재 분쇄물 등을 혼합 가공하여 천연 목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목섬유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연 목섬유는 100% 천연 전나무 목섬유일 수 있다.
상기 목섬유를 목재 원료로서 상기 소목편들과 함께 사용하면, 목재 보드의 공극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를 낮추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셀룰로오스 목섬유도 함께 사용하여 내구성 및 강도 등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벼짚, 밀짚 및 왕겨를 각각 분쇄하여 평균 입경이 0.1 내지 1mm인 분말 형태로 제조한 후 혼합한 혼합 분말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분말은, 상기 소목편들과 목섬유와 함께 사용하게 되면, 목재 보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깊숙한 부분까지 상기 혼합 분말이 미세하게 침투되어 공극률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면서, 추후 접착제와 상기 목재 원료들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소목편 및 제2 소목편을 1: 0.8의 중량비로 배합한 소목편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100% 천연 전나무 목섬유를 30 중량부, 상기 혼합 분말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목재 원료를 마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방수 내지 방습 효과를 나타내는 방습용 무기 분말, 흡습 및 항균 기능을 갖는 세라믹 분말 및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천연 분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20 단계는, 방습용 무기 분말을 준비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방습용 무기 분말은, 나노 실리카 표면에 나노 금속 산화물이 코팅된 구조로 소수성을 띄어 방수 내지 방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실리카는 SCMS(Solid core/mesoporous shell)구조이고, 평균 입도가 50 내지 250n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금속산화물은 산화 티타늄(titanium oxide) 산화 주석(tin oxide), 산화 텅스텐(tunsten oxide), 안티몬 주석 산화물(Antimony-doped Tin Oxide : ATO), 인듐 주석 산화물(ndium tin oxide : ITO), 산화 아연 알 루미늄(aluminium zinc oxide : AZO), 세슘 텅스텐 산화물(cesium tungsten oxide : CTO)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나노 금속산화물은 산화 주석(tin oxide) : 안티몬 주석 산화물(Antimony-doped Tin Oxide : ATO) : 인듐 주석 산화물(ndium tin oxide : ITO)을 1 : 0.8 : 0.6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습성 무기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나노 금속산화물 30 중량부와 이염화메탄 (dichloromethane)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55℃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겔 형태의 나노 금속 산화물을 제조하고, TESPT(bis-(3-triethoxysilpropyl)tetrasulfide)를 10 중량부를 넣고 25 ℃에서 혼합한 다음, 반응기를 75
Figure 112022088564166-pat00001
로 승온하여 상기 나노 실리카 100 중량부를 넣고 2.5 시간 동안 교반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30 단계는, 방습, 흡습 및 항균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세라믹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습용 무기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오나이트, 사문암 및 게르마늄 각각의 분말을 1 : 1 : 0.5 의 중량비로 혼합한 세라믹 분말을 10 중량부로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S40 단계는,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천연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습용 무기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율피, 수국차, 계피, 상황, 리기다 및 쑥의 각각의 분말을 1 : 1 : 1.2 : 1.2 : 1 : 1.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천연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150 중량부, 일례로, 100 중량부로 물을 더 포함하여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 예를 들어, 바인더, 점증제 등을 제한없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재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10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방습, 흡습 및 항균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목재 원료와의 상용성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목재의 기본 물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목재 원료는, 원적외선 방사 효과 및 탈취 효과를 위하여, 규조토, 숯 가루 및 황토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3 내지 10 중량부, 일례로, 6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은, 물 100 중량부 대비 한지 종이 0.2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하여 불린 후, 여기에 참나무 숯가루 10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믹서기로 혼합 분쇄하는 단계(S11); 물 100 중량부 대비 규조토 20 내지 30 중량부 및 황토분말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믹서기로 교반하여 반죽하는 단계(S12); 상기 S11 단계에서 혼합 분쇄된 물, 한지 종이 및 숯가루 혼합물과 상기 S12 단계의 반죽된 혼합물을 1 : 4의 비율로 혼합한 후, 믹서기로 20 내지 30분간 혼합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S13); 및 상기 S13 단계에서 제조된 페이스트를 실온에서 자연 건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의 콜로이드 실버(colloidal siv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버는 약 650 여종의 세균으로부터 99.99%의 강력한 살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버는, 순도 99% 이상의 은(Ag)를 0.005 내지 0.015㎛ 의 초미립자로 전기분해하여 물에 녹인 것으로, 이온화된 안전한 상태의 은 용액일 수 있다.
<제2 단계>
제2 단계는, S50 내지 S80 의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S50 단계는, 목재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어진 목재 원료를 23 내지 25℃ 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에, 상기 제1 소목편 및 제2 소목편을 1: 0.8의 중량비로 배합한 소목편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100% 천연 전나무 목섬유를 30 중량부 및 상기 혼합 분말 15 중량부를 혼합한 목재 원료 혼합물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의 방법은 통상의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상기 S60 단계는, 상기 목재 원료 혼합물에 접착제를 혼합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접착제, 친환경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는 요소계, 멜라민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친환경 접착제는, 에틸렌초산비닐(EVA) 수지 에멀젼, 수성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목재 원료 혼합물 대비, 10 중량부로 페놀 수지 계열의 열경화성 접착제 및, 5 중량부로 에틸렌초산비닐(EVA) 수지 에멀젼과 수성 폴리우레탄이 1 : 1.5~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친환경 접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70 단계는, 상기 목재 원료 혼합물과 접착제를 혼합한 다음에 숙성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숙성은 소목편들, 목섬유 및 혼합분말들의 사이사이에 빈틈없이 접착제가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하면서 접착제가 공기와 접촉되어 어느 정도로 경화(열경화가 아님)되어 이후 압축성형 단계에서 접착제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가 혼합된 목재 원료 혼합물을 20 내지 23℃ 에서, 15 내지 20 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이때, 숙성 시간이 15 시간 미만이면 소목편들 사이사이에 접착제가 충분히 스며들지 않아 경도가 불량해지고, 20 시간이 초과되면 접착제가 공기 중에 장기간 노출되면서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지나치게 경화되거나 변색이 진행되어 접착력이나 제품의 외관을 크게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상기 S80 단계는, 숙성된 혼합물을 핫프레스에 넣어 150 내지 160 ℃ 에서 10 kg/cm2 으로 압축 성형시켜 목재 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압축 성형의 구체적인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들을 제한없이 따를 수 있다. 상기 목재 보드의 형상, 두께, 크기 등의 물성은, 목재 보드가 적용되는 최종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목재 보드는,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는, 친환경 오일 침투 공법으로서, 상기 목재 보드에 대하여, 샌딩 공정(S100), 열풍 가열 공정(S200),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S300), 하도 공정(S400), 친환경 접착제 코팅 공정(S500), 상도 공정(S600), 상면 코팅 공정(S700), 인쇄 공정(S700a), UV 조사 공정(S800)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샌딩 공정(S1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접착물인 상기 목재 보드의 오일 피착면인 각 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뒤, 먼지, 기름때, 페인트, 얼룩, 오염,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오일 침투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포, 샌딩 기계 등으로 스크래치를 생성하는 면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열풍 가열 공정(S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열풍 가열을 통해 오일을 침투시킬 면의 물기를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샌딩처리된 목재에 대해서 열풍가열실에 투입하여 열풍가열실의 온도가 180 내지 250℃ 가 되는 조건에서 45 내지 75분 동안 열풍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S3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친환경 오일을 목재에 침투시키기 위해 도장 도구로 롤러형 또는 붓형 도포 장치를 이용하거나, 샌딩 공정 (S100)과 열풍 가열 공정(S200) 사이에 음각, 양각, 투각 등 도장면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된 경우 스프레이 분사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친환경 오일은 실리콘 오일, 아로마틱기유, 파라핀기유를 1 : 1 : 0.5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되, 방충오일로 시트러스 오일을 혼합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환경 오일의 시공 횟수는 목재 본연의 색깔과 나뭇결을 돋보이게 하고 발수, 방수, 방충 등의 효율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3회 이상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 가능 면적으로 10L 당 45 내지 50m2에 대해서 3회가 가능하며, 목재의 조직 깊숙이 친환경 오일이 스며들게 하기 위해서는 롤러형 또는 붓형 도포 장치의 경우 보다 빠르고 깊숙하게 스며들게 하기 위해서는 롤러형 도포 장치의 외부면을 부드러운 융이나 천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붓형 도포 장치의 재질을 융이나 천으로 형성하여 외부에 오일을 묻혀 도장면에 여러번 반복하여 문질러 주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시 지촉 건조시간은 약 3시간 정도이며, 완전 건조시간은 24시간이나 목재의 종류, 작업 장소의 기후 및 환경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재침투 공정은 시간은 최소 3시간 이후이며, 완 전한 흡수를 위해서는 24 시간 이후 재침투 공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이상의 온도에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친환경 오일은 발수, 방부, 방충 역할을 하는 천연 식물성 원료를 기반으로 하는 무독성 목재 보호제로 유독성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방출 시험 결과, 포름알데히드 : 측정 기준치 이하(0.005mg 미만), T-VOC 방출량 : 0.1mg/㎡, h 미만일 뿐만 아니라, 중금속 불검출(셀레늄, 바륨, 주석, 수은, 납, 비소, 크롬, 카드뮴 등 8대 중금속), T-VOC 미방출이며, 무독성, 무취성으로 비휘발성 99.2%인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친환경 오일로 인해 목재는 돋보이는 본연의 색과 무늬를 구현하며, 뒤틀림 현상 억제(코팅막 비형성으로 목재의 수분조절 능력 원활), 발수기능 탁월(목재 조직 내 오일 함유), 99.99%의 항균 활성 작용 구현(방충 기능 구현 오일 함유), 일정 기간 이후 재도장 시 침투성 탁월일 뿐만 아니라, 무독, 무취성으로 시공자 및 사용자 건강 보호 및 인테리어 활용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에 의해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의 소멸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하도 공정(S4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이 수행된 목재의 외부 표면에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가교성 모노머를 혼합하여 제조된 하도 도료 조성물을 하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료 조성물은 다가알코올과 다염기산을 35 내 지 45 : 45 내지 55 중량부로 반응시켜 중간체를 제조한 후 제조된 중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민을 2 내지 3 중량부를 반응시켜 아민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아민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펜타에리트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 6 내지 7 중량부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 트 10 내지 13 중량부와 중합하여 변성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이를 혼합함으로써 가공성과 표면 강도가 우수하고 내후성 및 내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탄성력과 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래핀 섬유 2 내지 3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nano-fiber) 4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하도 도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친환경 접착제와의 부분적 혼합으로 인해 오일이 침투된 목재에 대해서 기계적 강도가 증가된 채로 도포된 상태에서 친환경 접착제를 경화시켜 견고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친환경 오일과 하도 도료 조성물 간의 도장 성능 저하 방지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도 도료 조성물이 완전 경화하기 전에 후술하는 친환경 접착제 코팅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친환경 접착제 코팅 공정(S5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친환경 접착제로 여러 가지 식물성 추출물과 식물성 오일을 기반으로 하는 "무독성 친환경 우레탄 수지 계열 경화제"로 주제 40중량%, 경화제 60중량%를 계량 후 3분 정도 아주 천천히 잘 저어 혼합하며, 피착면이 평면일 때는 작은 붓으로, 틈새를 접착하고자 할 때는 1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피착면에 골고루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2액형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 진액 23 내지 24 중량부, 하이브리드 수지 혼합물 13 내지 15 중량부, 희석제 7 내지 8 중량부, 증점제 4 내지 6 중량부, 가소제 7 내지 9 중량부, 그래핀 12 내지 15 중량부, 난연제 5 내지 7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형성되며, 형성된 주제에 대해서 경화제를 4 : 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친환경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식물 진액은 옻진액, 송진액, 다시마 진액, 고무나무 진액, 두릅나루 진액, 닥풀(황촉규, Hibiscus manihot) 진액, 벤자민 진액, 마늘 진액, 인진쑥 진액, 매실 진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특히, 옻의 주성분은 폴리페놀 유도체인 우루시올이며 처음에는 무색투명하거나 공기에 접촉하면 산화요소의 작용으로 검게 변하면서 도막을 이루는 물질로 화학식 C21H34O2이며 점성이 있는 무색액체이고 끓는점은 210 내지 222℃ (0.4 내지 0.6mm Hg)이다 공기 중에서는 검게 변하며 진득하게 되어 응고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식물 진액의 함량이 23 중량부 미만이면, 식물 진액에서 제공하는 점착 기능 효과가 미미하며, 식물 진액의 함량이 24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진액에 비해 나머지 조성물 특히 하이브리드 수지 혼합물의 혼합물 함량이 낮아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수지 혼합물으로 CNT 나노 기반 소재, PLA(Poly Lactic Acid) 수지, 셀룰로오스 나노화이바,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중량비 7 내지 8 : 18 내지 24 : 11 내지 15 : 5 내지 7의 함량으로 교반하여 점도를 갖는 겔(gel) 형으로 제조된 뒤, 겔 형태의 조성물에 충진제를 교반하여 형성한 것으로, 손상부인 샌딩된 처리면에 대해서 신속하고 견고하게 실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CNT 나노 기반 소재는 손상부 외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머, CNT 나노 복합제 원료와 열전도성 접착제를 24 내지 27 : 9 내지 12의 중량비로 첨가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CNT 나노 복합제 원료는 기계적 특성, 전도도 특성, 전기 전도도, 열 방산, 고강도, 경량화, 내마모성, 전자파 제거 등의 특성을 가지며, CNT 나노 복합재 원료는 CNT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외에 PCM 캡슐 파우더, 유기금속 폴리머(Polymer),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중량비가 CNT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 내지 13 중량부, 8 내지 9 중량부, 10 내지 12 중량부에 해당하는 조성물을 이용해 복합 플라스틱 레진을 형성한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보강재의 충진시 부착력 향상 뿐만 아니라, 목재가 사용된 벽부면 또는 바닥면의 잠열에 대한 PCM 캡슐 파우더에 의한 열확산과 열전달, 그리고 CNT 나노 복합재의 열 방산 효과를 통해 외부로의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에 있어서 상술한 하도 도료 조성물 및 상도 도료 조성물과의 불완전 경화 시의 만나는 영역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하도층과 상도층과의 견고한 체결 유지 구조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열전도성 접착제는 그래핀 섬유를 추가 함유한 접착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접착제로, 열전도성 접착제로서 전도성 필러로써 나노 크기의 미세한 그래핀 섬유를 소량(전체 중량의 5 중량% 이내) 함유하여, 기존의 열전도성 접착제가 나타내지 못한 현저히 높은 열전도성을 나타내며 동시에 우수한 접착성 및 방열특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접착제를 제공함으로써, 목재 형성면의 양면간의 열안정화를 통해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갖는 친환경 접착제는 동일한 목재의 피착면적을 기준으로 기존의 접착제 사용 분량의 약 절반만 사용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40 내지 60 ℃ 정도로 가열 과정이 추가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착면이 목재인 경우 얇은 막이 형성되도록 1차 도포 후 가스토치 등으로 열 건조 시킨 후 2차 도포에 해당하는 상도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접착제는 약간의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도 우수한 접착 강도를 가지므로 습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직전에 사용할 분량 만큼의 주제와 경화제만을 혼합하며 혼합한 접착제는 전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접착제는 식물(나무, 풀 등 10종 이상)의 잎, 줄기 등에서 진액을 추출하여 만든 식물 성 무독성의 친환경, 신발명 소재로 접착 강도를 획기적으로 강화한 신개념의 접착제로서 물 속에서도 접착력이 유지되는 고성능, 다기능 접착제로, 강력한 접착력 : 40Kgf/㎠, 우수한 고형성 : 완전 건조 시 99% 이상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접착제는 친환경성, 즉 무독성, 무취성에 해당하는 ①포름알데히드 불검출 : T-VOC(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0.1mg/㎡, h 미만(한국 화학융합시험연구원 시험 완료), ②중금속 불검출, 냄새 없음(한국 화학융합시험연구원 시험 완료), ③고시기준 : 포름알데히드 0.12mg/㎡, 톨루엔 0.08mg/㎡,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4mg/㎡ 이하(한국 기술표준원 2010년 7월 이후 적용 고시 기준)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접착제는 ④우수한 내구성 : 내수성, 내알카리성, 비화학성, 내굴곡성, 내마모성, ⑤탁월한 접착 강도 : 스테인레스 0.59N/㎟, 목재 1.93N/㎟, PVC 0.50N/㎟의 특징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도 공정(S6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칼라 상도 도료를 친환경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도포하되,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1,500 내지 2,500 (cps/25℃)인 폴리에스터 주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 조성물 사용하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르닐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폴리에스터 주제 수지는, 이소프탈릭산 14 내지 17 중량부, 아디프산 23 내지 24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24 내지 25 중량부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VOC 함량이 낮은 친환경 도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면 코팅 공정(S7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도층이 형성된 목재의 상부면 위에 난연성 방수층 형성을 위한 코팅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 연성 방수층은 상도층이 형성된 목재의 상부면에 상술한 친환경 접착제와 액상의 탄성 도막재를 추가로 도포하여 불연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상도층의 국부 손상 외에, 하도층, 친환경 접착층, 상도층 간의 다층 구조의 기밀성, 그리고 목재의 불규칙한 면이 있는 경우 균일한 높이를 맞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도막재는 수용성 우레탄 도막재로 구성함으로써, 목재에 사용되는 상도 조성물의 접착력을 이용해 그 상부에 분사한 후, 굳기 전에 수용성 우레탄 도막재를 3회 이상으로 도포하고 열풍으로 건조시켜 롤링하는 롤 코팅을 수행하면서 편평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 도막재를 구성하는 수용성 우레탄 도막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를 2 내지 3 중량부, 자외선차단제 2 내지 3 중량부, 자외선 경화형 도료 4 내지 6 중량부를 첨가를 혼합하여 도포하는데, 본 발명에 서 사용되는 난연제는 몰리브덴산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코팅층은 외부의 열 및 자외선으로 인해 목재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물 및 습기에 의해 목재로의 흡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쇄 공정(S700a)]에 살펴보면, [UV 조사 공정(S800)] 전에 상부 코팅층 위에 인쇄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면 코팅 공정(S700)]에 의해 생성된 코팅층인 난연성 방수층 위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그 뒤에 UV 조사 공정을 통해 인쇄층으로 인해 난연성 방수층의 생성에 방해가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인쇄 공정에서의 인쇄 문양은 다양하며, 목재의 나뭇결 모양 등 여러 가지일 수 있으며, 인쇄 도료는 친환경 UV 인쇄 도료일 수 있다.
다음으로, [UV 조사 공정(S8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면 코팅 공정(S700)에서 경화형 도료가 포함된 탄성도막재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아크릴계수지로 형성되며, UV 조사 공정(S800)에서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가 균일하지 않게 뭉치는 형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S700)와 단계(S800) 사이에서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분사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며, 에어분사 과정 이후, UV 조사장치를 통해 UV 광원을 목재로 조사하고 경화시켜 친환경 오일 침투 목재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원하는 정도의 도장 정도와, 코팅 정도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을 목재에 침투시키고 나서, 도장을 한다거나, 코팅을 함에 있어서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고 목재 전체적으로 오일이 침투된 상태에서는, 뒤틀림/균열/변색 방지 효과도 있고, 방수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즉, 방충 효능으로 아예 벌레의 여러 생육단계를 방해하는 방충, 즉, 알을 낳거나, 애벌레가 들어오거나, 성충 이 들어오는 등의 모든 단계를 방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단계>
다음으로, 상기 친환경 오일이 침투된 성형보드를 주방 가구 제작용 외부 프레임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재단하고 절단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주방 가구는 예를 들어, 싱크대, 그릇장, 주방 수납장 또는 식탁 등일 수 있으며, 일례로, 가정용 싱크대일 수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이라 함은, 상기 주방 가구, 즉, 가정용 싱크대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판넬로서, 예컨대, 상면, 정면, 좌,우측을 이루는 평면판, 사이드를 이루는 기둥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재단 및 절단에 사용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5 단계>
절단된 성형보드의 절단면의 표면에 상기 친환경 오일을 도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목재 보드를 제조한 후 각 외부면에 친환경 오일을 침투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목재 보드를 싱크대의 외부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하여 재단 및 절단을 수행하고 난 후, 상기 절단면의 표면에도 상기 친환경 오일을 도포하는 공정을 한번 더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친환경 오일에 의한 방습, 항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오일의 성분과 도포 방법은 앞서 서술된 제3 단계의 친환경 오일 및 도포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제6 단계>
그 다음에, 절단된 성형 보드를 인체에 무해한 본드 또는 공업용 철부재로 접착하고 조립하여 싱크대 제작용 외부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재단된 외부 프레임에 내부재, 예를 들어, 질석, 천연석고 및 황토의 혼합물을 적층하여 접합 및 접목하여 싱크대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싱크대의 상판을 이루는 성형보드 판상에는, 항균 플라스틱판을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 항균 플라스틱판은 폴리염화비닐(PVC), 금속수산화물계 입자, 카본블랙,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 은-아연 제올라이트, 충전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배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티올기 함유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후, 싱크대의 외관에 친환경 도료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마감처리할 수 있다.
싱크대 제작방법에 대하여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목재 원료 및, 방습과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을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목재 원료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과, 열경화성 접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 공정을 거쳐 목재보드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목재보드의 표면에 친환경 오일을 침투시키는 침투 공법을 통하여, 친환경 오일이 침투된 성형보드를 제조하는, 제3 단계; 상기 친환경 오일이 침투된 성형보드를 싱크대 제작용 판넬 형태로 재단한 다음, 절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성형보드의 절단면의 표면에 상기 친환경 오일을 도포하는 제5 단계; 및, 절단된 성형 보드를 인체에 무해한 본드 또는 공업용 철부재로 접착하고 조립하여 싱크대 제작용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목재 보드에 대하여, 샌딩 공정(S100), 열풍 가열 공정(S200),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S300), 하도 공정(S400), 친환경 접착제 코팅 공정(S500), 상도 공정(S600), 상면 코팅 공정(S700), 인쇄 공정(S700a), UV 조사 공정(S800)을 포함하고,
    [샌딩 공정(S100)]은, 접착물인 목재 보드의 오일 피착면인 각 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뒤, 먼지, 기름때, 페인트, 얼룩, 오염, 이물질를 제거하고 오일 침투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포, 샌딩 기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스크래치를 생성하는 면처리 작업을 수행하며,
    [열풍 가열 공정(S200)]은, 열풍 가열을 통해 오일을 침투시킬 면의 물기를 제거하되, 샌딩 처리된 목재에 대해서 열풍 가열실에 투입하여 열풍 가열실의 온도가 180 내지 250℃가 되는 조건에서 45 내지 75분 동안 하는 열풍 가열하며,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S300)]은, 친환경 오일을 목재 보드에 침투시키기 위해 도장 도구로 롤러형 또는 붓형 도포 장치를 이용하거나, 샌딩 공정(S100)과 열풍 가열 공정(S200) 사이에 음각, 양각, 투각을 포함하는 도장 면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된 경우 스프레이 분사 장치를 이용하되, 친환경 오일은 실리콘 오일, 아로마틱기유, 파라핀기유를 1 : 1 : 0.5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되, 방충 오일로 시트러스 오일을 혼합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며,
    친환경 오일의 시공 횟수는 목재 본연의 색깔과 나뭇결을 돋보이게 하고 발수, 방수, 방충의 효율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10L 당 45 내지 50㎡에 대해서 3회를 수행하며, 롤러형 또는 붓형 도포 장치의 경우 보다 빠르고 깊숙하게 스며들게 하기 위해서는 롤러형 도포 장치의 외부면을 부드러운 융이나 천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붓형 도포 장치의 재질을 융이나 천으로 형성하여 외부에 오일을 묻혀 도장 면에 반복하여 문질러 주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며,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 시 지촉 건조시간은 3시간이며, 완전 건조시간은 24시간이며, 재침투 공정은 시간 24 시 간 이후 재침투 공정을 하며, 10℃이상의 온도에서 작업하며,
    [하도 공정(S400)]은, 친환경 오일 침투 공정이 수행된 목재 보드의 외부 표면에 변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가교성 모노머를 혼합하여 제조된 하도 도료 조성물을 하도 도포하며, 도료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을 35 내지 45 : 45 내지 55 중량부로 반응시켜 중간체를 제조한 후 제조된 중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아민을 2 내지 3 중량부를 반응시켜 아민 변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아민 변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펜타에리트리톨폴리아크릴레이트 6 내지 7 중량부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0 내지 13 중량부와 중합하여 변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탄성력과 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래핀 섬유 2 내지 3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나노화이바 4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친환경 오일과 하도 도료 조성물 간의 도장 성능 저하 방지를 위해 하도 도료 조성물이 완전 경화하기 전에 친환경 접착제 코팅 공정을 수행하며,
    [친환경 접착제 코팅 공정(S500)]은, 친환경 접착제로 여러 가지 식물성 추출물과 식물성 오일을 기반으로 하는 "무독성 친환경 우레탄수지 계열 경 화제"로 주제 40중량%, 경화제 60중량%를 계량 후 3분 저어 혼합하며, 피착면이 평면일 때는 작은 붓으로, 틈새를 접착하고자 할 때는 1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피착면에 골고루 도포하며, 친환경 접착제로 2액형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은 주재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 진액 23 내지 24 중량부, 하이브리드 수지 혼합물 13 내지 15 중량부, 희석제 7 내지 8 중량부, 증점제 4 내지 6 중량부, 가소제 7 내지 9 중량부, 그래핀 12 내지 15 중량부, 난연제 5 내지 7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형성되며, 형성된 주제에 대해서 경화제를 4 : 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친환경 접착제층을 형성하며, 식물 진액은 옻진액, 송진액, 다시마 진액, 고무나무 진액, 두릅나루 진액, 닥풀(황촉규, Hibiscus manihot) 진액, 벤자민 진액, 마늘 진액, 인진쑥 진액, 매실 진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하이브리드 수지 혼합물은, CNT 나노 기반 소재, PLA(Poly Lactic Acid) 수지, 셀룰로오스 나노화이바,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중량비 7 내지 8 : 18 내지 24 : 11 내지 15 : 5 내지 7의 함량으로 교반하여 점도를 갖는 겔 (gel) 형으로 제조된 뒤, 겔 형태의 조성물에 충진제를 교반하여 형성한 것을 사용하며, CNT 나노 기반 소재는 손상부 외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머, CNT 나노 복합제 원료와 열전도성 접착제를 24 내지 27 : 9 내지 12의 중량비로 첨가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CNT 나노 복합제 원료는, CNT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외에 PCM 캡슐 파우더, 유기금속 폴리머(Polymer),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중량비가 CNT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 내지 13 중량부, 8 내지 9 중량부, 10 내지 12 중량부에 해당하는 조성물을 이용해 복합플라스틱 레진을 형성한 상태로 제공된 것을 사용하며, 열전도성 접착제는 그래핀 섬유를 추가 함유한 접착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접착제로, 열전도성 접착제로서 전도성 필러로써 나노 크기의 미세한 그래핀 섬유를 전체 중량의 5 중량% 이내로 함유한 것을 사용하며, 친환경 접착제의 건조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40 내지 60 ℃정도로 가열 과정이 추가로 수행되며, 피착면이 목재인 경우 얇은 막이 형성되도록 1차 도포 후 가스토치로 열 건조시킨 후 2차 도포에 해당하는 상도 공정을 수행하며,
    [상도 공정(S600)]은, 칼라 상도 도료를 친환경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도포하되,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1,500 내지 2,500 (cps/25℃)인 폴리에스터 주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상도 도료 조성물 사용하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르닐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폴리에스터 주제 수지는, 이소프탈릭산 14 내지 17 중량부, 아디프산 23 내지 24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24 내지 25 중량부에 의 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며,
    [상면 코팅 공정(S700)]은, 상도층이 형성된 목재의 상부면 위에 난연성 방수층 형성을 위한 코팅 공정을 수행하되, 사용되는 난연성 방수층은 상도층이 형성된 목재의 상부면에 상술한 친환경 접착제와 액상의 탄성도막재를 추가로 도포하여 불연 방수층을 형성시키며, 탄성도막재는 수용성 우레탄 도막재로 구성함으로써, 목재에 사용되는 상도 조성물의 접착력을 이용해 상도 조성물 상부에 분사한 후, 굳기 전에 수용성 우레탄 도막재를 3회 이상으로 도포하고 열풍으로 건조시켜 롤링하는 롤 코팅을 수행하면서 편평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탄성도막재를 구성하는 수용성 우레탄 도막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를 2 내지 3 중량부, 자외선차단제 2 내지 3 중량부, 자외선 경화형 도료 4 내지 6 중량부를 첨가를 혼합하여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난연제는 몰리브덴산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싱크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목재 원료는, 원적외선 방사 효과 및 탈취 효과를 위하여, 규조토, 숯 가루 및 황토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싱크대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가정용 싱크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정용 싱크대.
KR1020220105930A 2022-08-24 2022-08-24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 KR10248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30A KR102484371B1 (ko) 2022-08-24 2022-08-24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30A KR102484371B1 (ko) 2022-08-24 2022-08-24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371B1 true KR102484371B1 (ko) 2023-01-04

Family

ID=8492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930A KR102484371B1 (ko) 2022-08-24 2022-08-24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3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50B1 (ko) 2014-08-29 2014-12-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물질이 저감된 목재 보드류 제조방법
KR102274572B1 (ko) * 2021-03-11 2021-07-12 주식회사 비알케이 주방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50B1 (ko) 2014-08-29 2014-12-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물질이 저감된 목재 보드류 제조방법
KR102274572B1 (ko) * 2021-03-11 2021-07-12 주식회사 비알케이 주방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572B1 (ko) 주방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0930B1 (ko) 가구용 기능성 목재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06344B1 (ko) 친환경 목재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84374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을 함유하며,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성형보드
ES2926390T3 (es) Composición de resina de impregnación, recubrimiento de resina, laminados y productos de impregnación que la contienen, así como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ón
KR102075349B1 (ko) 친환경 섬유판의 제조방법
KR102484371B1 (ko) 성형보드 가공면에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 도포시스템을 적용하여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가정용 싱크대
KR102484373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을 함유하며,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성형보드를 적용한 가정용 싱크대
KR102484372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오일을 함유하며, 습기, 곰팡이 발생 억제 효과를 갖는 성형보드를 적용한 수납가구
KR100417536B1 (ko) 기능성 화장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화장판
KR102243069B1 (ko) 친환경 오일 침투 목재 제조 공법
KR102295575B1 (ko) 목재 침투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목재 제조 방법
KR101792581B1 (ko) 친환경 목재 보드 제조방법
KR102332545B1 (ko) 항균 코팅층을 가진 가구용 목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3114573B4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ntimikrobiell wirksamen Möbel- und/oder Innenausbauteils
KR102423141B1 (ko) 불연 및 항균성 친환경 건축마감용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 시공방법
KR102305804B1 (ko) 가구용 저압 라미네이트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5583B1 (ko) 목재 침투용 친환경 오일 조성물 및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목재 제조 방법
KR20210086868A (ko) 친환경 가구 패널
KR101287249B1 (ko)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내장재
KR102517604B1 (ko) 항균 uv 경화형 도료 조성물, 이를 적용한 항균 플로어링 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KR101641724B1 (ko) 규조토 함유 건축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1791435B1 (ko) 친환경 도배재료 제조방법 및 친환경 도배방법
KR100762503B1 (ko) 항균 및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온돌 마루판 및 그제조방법
KR102278320B1 (ko) 항바이러스, 항균, 항곰팡이, 및 탈취 기능성 고압 멜라민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