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638B1 -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638B1
KR102483638B1 KR1020220082215A KR20220082215A KR102483638B1 KR 102483638 B1 KR102483638 B1 KR 102483638B1 KR 1020220082215 A KR1020220082215 A KR 1020220082215A KR 20220082215 A KR20220082215 A KR 20220082215A KR 102483638 B1 KR102483638 B1 KR 102483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mage
projector
facility
water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재
남윤석
Original Assignee
남윤재
남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재, 남윤석 filed Critical 남윤재
Priority to KR102022008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8Fluid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복수의 프로젝터를 형성하되, 각각의 프로젝터에 조도센서를 형성하여 수경시설에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각 프로젝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경 시설의 다양한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다양하고 수려한 연출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MEDIA FACADE INTERACTIVE SYSTEM FOR LANDSCAPED FACILITIES}
본 발명은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복수의 프로젝터를 형성하되, 각각의 프로젝터에 조도센서를 형성하여 수경시설에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각 프로젝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경 시설의 다양한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다양하고 수려한 연출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수경 시설은 하부의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모터를 이용하여 끌어올려 노즐을 통해 분출시켜 장식적인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도시의 디자인화를 추구하는 시점에서 수경 시설은 단지 물만을 분출하는데에서 벗어나 분출되는 물의 세기, 방향 또는 형태를 음악에 따라 변화시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음악을 표현하는 하나의 예술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또한, 수경 시설의 인근이나 바닥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설치하여 분출되는 물을 비춰줌으로써 디자인적인 효과를 부각시키고 조명 또한 음악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경 시설은 물이 나오거나 나오지 않는 것과 같이 단순한 동작을 함으로 인해 관람객들이 쉽게 식상하게 되는 문제점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연출을 위해 수경 시설에 미디어 파사드 장치를 추가하여 물의 연출에 영상의 연출을 가미한 복합적인 연출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미디어 파사드란 건축물 외벽을 가리키는 '파사드(Facade)'와 '미디어(Media)'의 복합 단어로, 건물의 외벽 등에 다양한 콘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이르며, 도시의 건축물을 시각적인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물로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샤이니지(Digital Signage)의 한 형태이며, 조명영상정보기술을 결합한 21세기 건축의 새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파사드를 수경 시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물의 연출의 수행 여부에 따라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의 적절한 제어가 필요하나, 종래의 미디어 파사드 기술은 각각의 영상 투사 장치를 물의 연출 수행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수동으로 제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5593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복수의 프로젝터를 형성하되, 각각의 프로젝터에 조도센서를 형성하여 수경시설에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각 프로젝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경 시설의 다양한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다양하고 수려한 연출이 가능한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전면에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조작레버가 형성되며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판넬; 물을 분사하여 다양한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수경시설; 및 상기 수경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수경시설의 물 연출 작동 여부에 따라 분사되는 물 또는 상기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에는, 상기 수경시설에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조도센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에 형성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수경시설에 의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상기 수경 시설에 의한 물의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연무에 영상이 표시되면서 주변이 밝아지면 상기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경시설에 의한 물의 연출이 중단되어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된 영상이 표시되지 못함에 따라 주변이 어두워지게 되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분사되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프로젝터; 및 상기 수경시설에 의한 물의 연출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로젝터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로젝터는, 상기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경시설의 외측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수경시설의 중앙부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전면에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조작레버가 형성되며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판넬;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영상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및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에 각각 형성되어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의 영상 투사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에 복수의 프로젝터를 형성하되, 각각의 프로젝터에 조도센서를 형성하여 수경시설에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각 프로젝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경 시설의 다양한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다양하고 수려한 연출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수경시설에 의해 물이 분사되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제1프로젝터가 작동하여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여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고, 물의 연출이 종료되면 제1프로젝터는 영상 투사를 중지하고 제2프로젝터가 수경시설의 바닥 중심 부분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되, 각각의 프로젝터에 조도센서를 형성하여 이러한 연출을 위한 각 프로젝터의 동작을 자동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경시설에 의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면 수경 시설에 의한 물의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연무에 영상이 표시되면서 주변이 밝아지게 되고 이를 조도센서에서 감지하면 제어부에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수경시설에 의한 물의 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물의 분사 및 이에 따른 연무 발생이 중단되기 때문에 제1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된 영상이 표시되지 못해 주변이 어두워지게 되고 이를 조도센서에서 감지하면 제어부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되면 조도센서에서 주변이 어두어진 것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을 감지하여 제1프로젝터에 의한 영상의 투사를 중단시키고 제2프로젝터에 의해 수경시설의 바닥 중심부분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하여 수경시설의 바닥 중심부분에 영상이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로젝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프로젝터가 제어부에 의해 회동하여 수경시설의 중심부분이 아닌 물이 분사되지 않는 수경시설의 외측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조도센서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제2프로젝터가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함으로써 물연출이 진행중인 경우에도 제어부에서 제2프로젝터를 회동시켜 영상의 투사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물 분사에 따라 발생하는 연무에 투사되는 영상과 바닥에 투사되는 영상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를 1개만 형성하되 프로젝터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경시설에 의해 물이 분사되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프로젝터가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여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고, 조도센서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프로젝터가 제어부에 의해 회동하여 수경시설의 바닥 부분으로 영상을 투사하여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프로젝터만으로도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프로젝터를 반응형 인터렉티브 프로젝터로 형성하고 제2프로젝터 또는 수경시설의 일 지점에 근접센서를 형성함으로써 수경시설의 바닥 부분에 연못 등의 인터렉티브 영상을 연출하여 관람객이 접근할 경우 인터렉티브 영상의 물이나 물고기 등 영상에 포함된 구성들(물건, 생명체 등)이 반응하여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공원, 전시관, 수영장과 같은 수경시설의 벽 및 바닥, 폭포의 돌벽, 길거리 등 영상이 투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장소에는 어디든 적용이 가능하며, 설치된 장소의 바닥 및 벽에 다양한 인터렉이브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평평한 벽체가 아닌 돌출웨이브 형태의 벽체의 경우에도 해당 벽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영상의 제작을 통해 인터렉티브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사각형 형태의 벽체가 형성된 공간에 벽체의 4개의 벽면에 각각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영상을 투사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에 포함된 개별 구성 중 수경시설 관련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물의 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 연출이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2프로젝터의 회동 제어를 통한 영상 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1개의 회동 가능한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제어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설비구성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수경 시설 이외의 다양한 장소에 적용하기 위한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벽면 및 바닥에 인터렉티브 영상을 연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에 포함된 개별 구성 중 수경시설 관련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물의 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 연출이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2프로젝터의 회동 제어를 통한 영상 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1개의 회동 가능한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제어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수경시설(200), 영상 연출을 수행하는 프로젝터(110, 120, 130) 및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10)을 포함한다.
제어판넬(10)은 수경시설(200)의 각 구성과 프로젝터(110, 120, 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며, 전면에 터치스크린(11)을 형성함으로써 버튼을 없애 제어판넬(10)의 전면 디자인이 깔끔해짐과 동시에 터치스크린(11)을 통해 제어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제어 상황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제어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어판넬(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 물 및 영상 연출 편집부(13), 저장부(14), USB 접속부(15) 및 인터넷 접속부(1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USB 접속부(15)는 물 및 영상 연출용 프로그램, 물 및 영상 연출 데이터 등을 저장한 메모리스틱을 접속시켜 해당 프로그램, 데이터를 실행하거나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접속부(16)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물 및 영상 연출용 프로그램, 물 및 영상 연출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4)는 인터넷 접속부(16) 또는 USB 접속부(15)를 통해 제공된 물 및 영상 연출용 프로그램, 물 및 영상 연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물 및 영상 연출 편집부(13)는 제어판넬(10)의 터치스크린(11)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 및 영상 연출 패턴을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모듈로서, 물 및 영상 연출 프로그램을 인터넷 접속부(16) 또는 USB 접속부(15)에 접속된 메모리스틱으로부터 제공받아 실행하거나 자체 내장되어 있는 물 및 영상 연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터치스크린(11)을 이용하여 새로운 물 및 영상 연출 데이터를 제작하거나 저장부(14)에 기 저장된 물 및 영상 연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는 물 연출 및 영상 연출을 수행하기 위해 수경시설(200)의 각 구성과 프로젝터(110, 120, 1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수경시설(200) 및 프로젝터(110, 120, 130)에서 물 및 영상 연출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수경시설(200)은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 노즐과 펌프, 배관, 수조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다양한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시설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바닥분수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경시설(200)은 360도 방향으로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360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공작분수(210), 180도 범위로 회동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스윙노즐(230) 및 여름에 그늘 쉼터 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야자수(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10, 120, 130)는 수경시설(200)에 설치되어 수경시설(200)의 물 연출 작동 여부에 따라 분사되는 물 또는 수경시설(200)의 바닥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면에서는 프로젝터(110, 120, 130)가 수경시설(200)의 인공야자수(22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경시설(200)의 바닥 또는 분사되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기 적절한 위치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110, 120, 130)는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와 같이 수경시설(200)의 물 연출 시 물에 직접 분사되어 영상을 연출하기 위한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터와 도 5 및 도 6과 같이 물 연출 중단 시 수경시설(200)의 바닥에 연못 등의 인터렉티브 영상을 연출하는 반응형 인터렉티브 프로젝터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반응형 인터렉티브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경우 프로젝터 본체 또는 수경시설(200)의 일 지점에 근접센서(미도시)를 형성하여 관람객이 접근할 경우 인터렉티브 영상의 물이나 물고기 등 영상에 포함된 구성들(물건, 생명체 등)이 반응하여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110, 120, 130)에는 조도센서(111, 121, 131)가 형성되며, 조도센서(111, 121, 131)는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수경시설(200)에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경시설(200)에 의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프로젝터(110, 120, 130)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면 수경 시설(200)에 의한 물의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연무에 영상이 표시되면서 주변이 밝아지게 되고 이를 조도센서(111, 121, 131)에서 감지하면 제어부(12)에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수경시설(200)에 의한 물의 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물의 분사가 중단되기 때문에 프로젝터(110, 120, 130)에 의해 투사된 영상이 표시되지 못해 주변이 어두워지게 되고 이를 조도센서(111, 121, 131)에서 감지하면 제어부(12)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조도센서(111, 121, 131)는 복수의 프로젝터(110, 120, 130) 모두에 형성되거나, 복수의 프로젝터(110, 120, 130)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물 및 영상 연출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 등의 수경 시설(200)에 복수의 프로젝터(110, 120, 130)를 형성하되, 각각의 프로젝터(110, 120, 130)에 조도센서(111, 121, 131)를 형성하여 수경시설(200)에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각 프로젝터(110, 120, 13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경 시설(200)의 다양한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다양하고 수려한 연출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수경시설(200)에 의해 물이 분사되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제1프로젝터(110)가 작동하여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여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고, 물의 연출이 종료되면 제1프로젝터(110)는 영상 투사를 중지하고 제2프로젝터(120)가 수경시설(200)의 바닥 중심 부분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되, 각각의 프로젝터(110, 120)에 조도센서(111, 121)를 형성하여 이러한 연출을 위한 각 프로젝터(110, 120)의 동작을 자동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수경시설(200)에 의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제1프로젝터(110)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면 수경시설(200)에 의한 물의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연무에 영상이 표시되면서 주변이 밝아지게 되고 이를 조도센서(111, 121)에서 감지하면 제어부(12)에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도 5와 같이 수경시설(200)에 의한 물의 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물의 분사 및 이에 따른 연무 발생이 중단되기 때문에 제1프로젝터(110)에 의해 투사된 영상이 표시되지 못해 주변이 어두워지게 되고 이를 조도센서(111, 121)에서 감지하면 제어부(12)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와 같이 수경시설(200)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제1프로젝터(110)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되면 조도센서(111, 121)에서 주변이 어두어진 것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12)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을 감지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프로젝터(110)에 의한 영상의 투사를 중단시키고 제2프로젝터(120)에 의해 수경시설(200)의 바닥 중심부분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하여 수경시설(200)의 바닥 중심부분에 영상이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프로젝터(120)를 반응형 인터렉티브 프로젝터로 형성하고 제2프로젝터(120) 또는 수경시설(200)의 일 지점에 근접센서(미도시)를 형성하여 수경시설(200)의 바닥 부분에 연못 등의 인터렉티브 영상을 연출하여 관람객이 접근할 경우 인터렉티브 영상의 물이나 물고기 등 영상에 포함된 구성들(물건, 생명체 등)이 반응하여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로젝터(120)를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도 7(a)와 같이 수경시설(200)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제1프로젝터(110)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프로젝터(120)가 제어부(12)에 의해 회동하여 수경시설(200)의 중심부분이 아닌 물이 분사되지 않는 수경시설(200)의 외측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조도센서(111, 121)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도 7(b)와 같이 제1프로젝터(110)에 의한 영상의 투사가 중단되고 제2프로젝터(120)가 수경시설(200)의 중앙부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함으로써 물연출이 진행중인 경우에도 제어부(12)에서 제2프로젝터(120)를 회동시켜 영상의 투사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물 분사에 따라 발생하는 연무에 투사되는 영상과 바닥에 투사되는 영상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130)를 1개만 형성하되 프로젝터(130)가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도 8(a)와 같이 수경시설(200)에 의해 물이 분사되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프로젝터(130)가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여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고, 조도센서(131)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도 8(b)와 같이 프로젝터(130)가 제어부(12)에 의해 회동하여 수경시설(200)의 바닥 부분으로 영상을 투사하여 수경시설(200)의 바닥에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프로젝터(130)만으로도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조도센서(111, 121, 131)가 형성된 프로젝터(110, 120, 130)는 수경시설(200) 이외의 장소, 예를 들어 공원, 전시관, 수영장과 같은 수경시설의 벽 및 바닥, 폭포의 돌벽, 길거리 등 영상이 투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장소 등에 설치되어 조도센서(111, 121, 131)에 의해 감지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의 투사 영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설비구성을 도시한 계통도이고,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수경 시설 이외의 다양한 장소에 적용하기 위한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벽면 및 바닥에 인터렉티브 영상을 연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10)의 내부에 PC(21), 제어모니터(17)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젝터(140)가 설치되는 현장에는 프로젝터(140)와 함께 관객에게 영상과 더불어 소리의 연출을 수행하기 위한 스피커(150)와, 관객이 영상을 터치할 때 이를 감지하여 관객의 터치에 따라 영상이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센서(170)와, 관객에게 영상 연출에 맞춰 열기를 제공함으로써 실감나는 연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18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설치 현장에 카메라(18), 디지털 녹화기(19), 현장모니터(20) 등이 구비되어 설치 현장의 연출 과정을 실시간으로 녹화하여 원격지에 설치된 제어판넬(1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제어판넬(10)의 제어모니터(17)를 통해 현장의 연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그에 맞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인공야자수(200), 사각기둥 형태의 설치대(221), 가로등 형태의 설치대(222), 관문 형태의 설치대(223)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공원, 전시관, 수영장과 같은 수경시설의 벽 및 바닥, 폭포의 돌벽, 길거리 등 영상이 투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장소에는 어디든 적용이 가능하며,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설치된 장소의 바닥 및 벽에 다양한 인터렉이브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며, 특히 도 18과 같이 평평한 벽체가 아닌 돌출웨이브 형태의 벽체의 경우에도 해당 벽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영상의 제작을 통해 인터렉티브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도 16과 같이 사각형 형태의 벽체(224)가 형성된 공간에 벽체(224)의 4개의 벽면에 각각 프로젝터(140)를 설치하여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영상을 투사하도록 하여 도 19와 같이 입체적인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되면 조도센서에서 주변이 어두어진 것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을 감지하여 제1프로젝터에 의한 영상의 투사를 중단시키고 제2프로젝터에 의해 수경시설의 바닥 중심부분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하여 수경시설의 바닥 중심부분에 영상이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로젝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프로젝터가 제어부에 의해 회동하여 수경시설의 중심부분이 아닌 물이 분사되지 않는 수경시설의 외측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하고, 조도센서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제2프로젝터가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함으로써 물연출이 진행중인 경우에도 제어부에서 제2프로젝터를 회동시켜 영상의 투사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물 분사에 따라 발생하는 연무에 투사되는 영상과 바닥에 투사되는 영상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를 1개만 형성하되 프로젝터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경시설에 의해 물이 분사되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프로젝터가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여 물의 연출에 영상이 가미된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고, 조도센서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프로젝터가 제어부에 의해 회동하여 수경시설의 바닥 부분으로 영상을 투사하여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프로젝터만으로도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영상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은 공원, 전시관, 수영장과 같은 수경시설의 벽 및 바닥, 폭포의 돌벽, 길거리 등 영상이 투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장소에는 어디든 적용이 가능하며, 설치된 장소의 바닥 및 벽에 다양한 인터렉이브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평평한 벽체가 아닌 돌출웨이브 형태의 벽체의 경우에도 해당 벽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영상의 제작을 통해 인터렉티브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사각형 형태의 벽체가 형성된 공간에 벽체의 4개의 벽면에 각각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마주보는 벽면에 각각 영상을 투사하도록 하여 입체적인 영상의 연출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제어판넬
11 : 터치스크린
12 : 제어부
13 : 물 및 영상 연출편집부
14 : 저장부
15 : USB 접속부
16 : 인터넷 접속부
17 : 제어모니터
18 : 카메라
19 : 디지털 녹화기
20 : 현장모니터
21 : PC
110, 120, 130, 140 : 프로젝터
111, 121, 131 : 조도센서
150 : 스피커
160 : 분전함
170 : 레이저센서
180 : 히터
200 : 수경시설
210 : 공작분수
220 : 인공야자수
221, 222, 223 : 설치대
224 : 사각벽면
230 : 스윙노즐

Claims (7)

  1. 물을 분사하여 다양한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수경시설;
    상기 수경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수경시설의 물 연출 작동 여부에 따라 분사되는 물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프로젝터;
    상기 수경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수경시설의 물 연출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수경시설의 바닥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 연출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프로젝터;
    상기 제1프로젝터 또는 상기 제2프로젝터에 형성되어 상기 수경시설에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전면에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조작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수경시설, 상기 제1프로젝터 및 상기 제2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판넬;를 포함하며,
    상기 수경시설에 의한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상기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어 상기 수경 시설에 의한 물의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연무에 영상이 표시되면서 주변이 밝아지는 것을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경시설에 의한 물의 연출이 중단되어 상기 제1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된 영상이 표시되지 못함에 따라 주변이 어두워지게 된 것을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프로젝터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경시설에 의해 물의 연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로젝터에 의해 물에 영상이 투사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프로젝터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수경시설의 외측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물의 분사에 의해 발생하는 연무에 투사되는 영상과 상기 수경시설의 외측 바닥면에 투사되는 영상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물의 연출이 중단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프로젝터에 의한 영상의 투사가 중단되고 상기 제2프로젝터가 회동하여 상기 수경시설의 중앙부 바닥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시설은 바닥분수, 물놀이장, 유수풀, 부유분수, 초미립자 쿨포그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시설에는,
    소리의 연출을 수행하기 위한 스피커;
    관객의 영상 터치를 감지하여 관객의 터치에 따라 영상이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센서; 및
    관객에게 영상 연출에 맞춰 열기를 제공하는 히터;가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에는,
    물 및 영상 연출용 프로그램, 물 및 영상 연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물 및 영상 연출 패턴을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물 및 영상 연출 편집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시설은,
    360도 방향으로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360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공작분수;
    180도 범위로 회동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물의 연출을 수행하는 스윙노즐; 및
    여름에 그늘 쉼터 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야자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젝터 또는 상기 제2프로젝터에 근접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
  7. 삭제
KR1020220082215A 2022-07-05 2022-07-05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KR102483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215A KR102483638B1 (ko) 2022-07-05 2022-07-05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215A KR102483638B1 (ko) 2022-07-05 2022-07-05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638B1 true KR102483638B1 (ko) 2022-12-30

Family

ID=8453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215A KR102483638B1 (ko) 2022-07-05 2022-07-05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553B1 (ko) * 2023-07-12 2024-05-21 한은희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연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514A (ko) * 2009-04-07 2010-10-15 (주)한기술 분수 제어 장치 및 분수 제어 방법
KR101556481B1 (ko) * 2014-09-24 2015-10-01 이호석 워터스크린 3차원 영상 맵핑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141180B1 (ko) * 2019-11-14 2020-08-04 남윤재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514A (ko) * 2009-04-07 2010-10-15 (주)한기술 분수 제어 장치 및 분수 제어 방법
KR101556481B1 (ko) * 2014-09-24 2015-10-01 이호석 워터스크린 3차원 영상 맵핑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141180B1 (ko) * 2019-11-14 2020-08-04 남윤재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553B1 (ko) * 2023-07-12 2024-05-21 한은희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5257B2 (en) Communication stage and imaging systems
US10764544B2 (en) Robotically controlled entertainment elements
CN105508950A (zh) 一种智能灯
WO2009003011A1 (en) Digital image projection system
CN102663171A (zh) 一种支持虚拟家居产品搭配互动式显示的方法及装置
CN113053225B (zh) 一种电控多模块城市沙盘
JP2009070832A (ja) ライト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915132A (en) Modular still photography studio
US20230154395A1 (en) Communication stage and virtual production systems
KR102483638B1 (ko)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시스템
US20240036353A1 (en) Aerial imaging using retroreflection
KR102667553B1 (ko) 수경 시설용 미디어 파사드, 인터렉티브 연출 시스템
KR20230050151A (ko) 레이저광을 이용한 오로라 효과 디스플레이 장치
CN205229653U (zh) 一种水幕成像的装置
US11677916B2 (en) System and method of altering the appearance of liquid and solid physical objects or forms
JP2022521292A (ja) 電子インクを使用した構造的特徴上のアニメ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797995B (zh) 環保氣動式視覺藝術裝置
Head Exploring the issues of digital outdoor architectural projections
CN205746442U (zh) 一种智能灯
US20230154290A1 (en) Communication stage and presentation systems
US11284048B2 (en) Robotically controlled display
CN210136704U (zh) 一种虚拟实景窗系统
CN117378908A (zh) 一种实地声光祭祀演示系统
Pastor Augmenting reality: On the shared history of perceptual illusion and video projection mapping
Park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yongju VR theat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