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542B1 -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 Google Patents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542B1
KR102483542B1 KR1020220001772A KR20220001772A KR102483542B1 KR 102483542 B1 KR102483542 B1 KR 102483542B1 KR 1020220001772 A KR1020220001772 A KR 1020220001772A KR 20220001772 A KR20220001772 A KR 20220001772A KR 102483542 B1 KR102483542 B1 KR 10248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resistance
breathing
user
respiratory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충식
Original Assignee
최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식 filed Critical 최충식
Priority to KR102022000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542B1/ko
Priority to PCT/KR2022/021540 priority patent/WO20231325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5Measuring breath flow using means carried by the fluid stream, e.g. free floa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에 착용하는 마스크 형태로 구성되어 중, 장년증 및 노년층의 순응도를 높여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얼굴에 착용하는 마스크 형태로 운동, 일상생활 중에 사용 편의성과 순응도를 높이고, 사강(dead space) 방지 및 깨끗한 공기 섭취를 위해 코만 위치하는 밀폐공간을 구성하고, 밀폐공간에 관통되면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오염물질 흡입을 차단하는 공기저항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저항 코호흡을 통해 흡기와 호기에 따른 호흡근 훈련으로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그로인해 고혈압 및 심뇌혈관 질환, 폐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종례에는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최초의 시도이다.

Description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respiratory muscles trainer through resistance nasal breathing for improvemen that blood pressure, vascular function, pulmonary function}
본 발명은, 얼굴에 간편하게 착용하는 마스크 형태로 운동, 일상생활 중에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저항 코호흡을 통해 흡기와 호기에 따른 호흡근 훈련을 통해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이다.
노화는 주요 사망 원인인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위험의 대부분은 혈압(BP: blood pressure)의 증가에 기인한다.
혈관내피기능 장애도 심뇌혈관 질환 위험에 기여하는 주요 특징이다. 혈관내피(Endothelium)는 혈관조직을 총체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요한 조직으로 혈관내피의 기능 장애가 동반되면 혈관 이완능의 손상과 혈관내피의 부착력 증가로 죽상경화증을 비롯한 혈관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혈관 손상이 일어나게 된다.
노화는 폐질환 발병 위험도 증가시킨다. 폐기능은 노화, 오염물질 흡입, 신체적, 생리적인 변화, 호흡근육 약화로 저하되며 연령이 높을수록 폐질환에 쉽게 노출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은 호흡근육과 폐기능 약화가 주요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한편, 호흡근육 훈련은 남녀노소, 노인 및 환자에게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호흡근육 훈련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효과는 호흡근 기능과 혈관기능, 심폐기능의 향상이다.
호흡근 훈련기는 저항에 대항하여 반복적으로 흡입하여 호흡근을 훈련하기 위한 장치로 폐 수술 후 환자, 만성 폐쇄성 호흡질환 환자 등 호흡에 장애를 겪는 환자에게 치료 및 회복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심폐기능 향상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호흡근 훈련기는 실린더 안에 들어있는 공의 높낮이를 변화시키면서 훈련하는 방법이 있다. 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호흡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호흡 훈련기도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0660에는 "호흡 훈련기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호흡 훈련기들은 사용자가 훈련기에 구비된 마우스피스를 물고 입으로 훈련해야하므로, 코호흡을 통한 흡기 및 호기 호흡근 훈련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많은 연구들에서 노화에 따른 심뇌혈관 기능의 장애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 감소가 혈관내피기능 이상을 초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인체 내의 혈압조절, 혈관내피기능, 폐기능에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메커니즘이 확립되면서부터 세계적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Nasal nitric oxide in man. Thorax 1999;54:947-952]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비강 및 부비동 점막층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그림 1에서 처럼, 코를 통한 흡기동안 공기 흐름을 따라 폐로 진입하여 폐기능, 항균작용에 기여한다고 밝혔다.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1
그림1
비특허 문헌(Humming greatly increases nasal nitric oxid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are Medicine 2002;144-149)은 허밍을 하면 진동이 발생되고 진동이 부비동과 비강 사이의 환기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 결과 부비동의 산화질소 비율을 안정시보다 15배나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비특허 문헌(Nasal Respiration Entrains Human Limbic Oscillations and Modulates Cognitive Functio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December 7, 2016 36(49):12448 -12467)은 사람이 코호흡 할 때 공기가 들어오고 나감에 따라 음파 진동이 발생되고 특히 진동력은 흡기시 최고점을 찍고, 코호흡이 아닌 입호흡을 하면 진동은 사라진다. 이는 전적으로 흡기시 호흡 압력에 의존하여 진동한다고 밝혔다.
최근 비특허 문헌 (Time-Efficient Ins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Lowers Blood Pressure and Improves Endothelial Function, NO Bioavailability, and Oxidative Stress in Midlife/Older Adults With Above-Normal Blood Pressure.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1;10:e020980)은 "고저항 흡기 호흡근육"을 매일 5분씩만 단련하면 혈압이 낮아지고 혈관내피 기능이 향상되며,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본 발명은 호흡근 훈련이 폐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사실과, 코호흡으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감에 따라 음파진동이 발생되고 그로인해 비강 및 부비동 환기가 촉진되어 고농도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발생되며, 산화질소는 흡기시 공기 흐름에 따라 폐로 진입하고, 연속적으로 혈압, 혈관, 폐기능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과, 흡기 호흡근 훈련을 매일 5분씩만 훈련해도 혈압이 낮아지고 혈관내피 기능이 향상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에 근거를 두고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스크 형태로 구성되고, 사강(dead space) 방지 및 깨끗한 공기 섭취를 위해 코만 위치하는 밀폐공간을 구성하고, 밀폐공간에 관통되면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오염물질 흡입을 차단하는 공기저항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저항 코호흡을 통해 흡기와 호기에 따른 호흡근 훈련으로 혈압을 낮추고 혈관내피기능, 폐기능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굴피부에 밀착 접촉되는 좌우 밀착면과, 전면 중앙에 사용자의 코가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코돌출홈과, 입이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입돌출홈과, 아래턱이 인입 고정되는 턱받침부와, 좌우 상/하부 윤곽부 및 좌우 리빙 윤곽부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좌우 밀착부; 상기 좌우 밀착부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 귀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 귀걸이부; 상기 코돌출홈과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착용자 코만 위치 되도록 작은 사이즈의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코덮개부; 상기 코덥개부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밀폐공간과 관통되면서 코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저항조절부; 및 호흡근 훈련기가 사용자 얼굴 피부에서 들떠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머리에 고정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좌우 상/하부 밴드부재: 상기 입돌출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 입을 덮어 은폐하기 위해 추가로 입덮개부; 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흡근 훈련을 위해, 마스크 형식으로 얼굴에 착용하고 저항 코호흡을 통해 흡기와 호기에 따른 호흡근 훈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밀착부는, 의료용 실리콘과 같은 부드럽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조되고, 상이한 두께에 따라 기능을 달리하도록 하기 위해 상이한 2중 또는 다중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세척 후 바로 착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액체나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액체 불투과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밀착면은, 그 두께가 0.2mm 내지 2mm의 평균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피부에 밀착 접촉되어 틈새를 방지하기 위해 신축성(elasticity)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면 일측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상/하부 윤곽부 및 좌우 리빙 윤곽부는, 좌우 밀착면의 보존이나 훼손 방지 기능을 위해, 상기 좌우 밀착면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착용 자국을 방지하기 위해, 끝단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리빙 윤곽부는, 볼 피부 들뜸 방지를 위해 대략적인 향상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는,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부는 좌우 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 하부 윤곽부와 탈부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의 상부는, 상기 입덮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이상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 상부 밴드부재의 결합구가 탈부착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상/하부밴드부재는, 사용자 머리 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는, 좌우 귀걸이부 상부에 탈부착 및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부밴드부재는 좌우 귀걸이부 하부에 탈부착 및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바디는,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하기 위해, 덮개바디 상부는, 중앙지점은 높게 형성되고 좌우 양측은 중앙지점보다 낮게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되고, 덮개바디 하부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았을 때“△”으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축소되는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았을 때 "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3
" 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바디 상부는, 상기 밀봉쿠션과 사용자 콧대 부위와 선택적 밀봉접촉을 위해 코클립(noseclip)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쿠션, 밀폐쿠션, 인중쿠션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덮개바디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바디 보다 소정의 높이(h1)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두께(T1)가 덮개바디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쿠션, 밀폐쿠션, 인중쿠션은, 내측에 중공을 가지도록 밀폐공간 방향으로 만곡(curve)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쿠션, 인중쿠션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덮개바디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만곡(curve) 형성되고, 그 두께(T1)가 덮개바디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쿠션은, 사용자 콧대를 쒸워 덮을 수 있도록, 중앙지점은 높게 형성되고 좌우 양측은 중앙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4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중쿠션은, 사용자 인중을 쒸워 덮을 수 있도록, 중앙부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는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5
"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중쿠션 넓이(W1)는 2mm 내지 3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기저항조절부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저항조절부는, 상기 코덮개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밀폐공간과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필터케이스와, 외부공기를 필터링 하는 적층필터와, 항균작용을 위해 구비되는 항균동필터와, 상기 필터케이스로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상기 유동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저항홀이 관통 형성되며,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의 조절을 위해 회전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저항조절부는, 상기 코덮개부의 일측면에 구성되되 밀폐공간과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필터케이스와, 흡기와 호기에 따른 공기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적층필터와, 항균작용을 위해 구비되는 항균동필터와, 상기 필터케이스로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저항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호흡 압력 및 호흡저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층필터는, 1개 이상 10개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외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과, 흡기와 호기에 따른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층필터는, 외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사용자 호흡기를 보호하는 기능과 흡기와 호기에 따른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고효율 입자상 물질 포집(HEPA) 필터, 주름진 시트 필터, 나노-섬유 필터, 세라믹 타입 필터, 멤브레인 타입 필터와 다수의 포어(pore)를 포함하는 다공질 필터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덮개부는, 코덮개부, 입돌출홈, 좌우 밀착면 일측을 덮고 탈부착 구성되되, 코덮개부를 좌우 귀걸이부 방향으로 잡아 당겨 코 주위 영역과 코덥개부 간의 밀폐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압, 혈관내피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에 의하면, 저항 코호흡 및 호흡근력 훈련을 통해 혈압을 낮추고 혈관내피기능, 폐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로인해 고혈압, 심뇌혈관 질환 및 폐질환 발명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얼굴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 향상으로 중년 및 노년층의 순응도를 높이고,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항 코호흡 훈련이 중년 및 고령자를 대상으로 혈압을 낮추고 혈관기능, 폐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종례에는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최초의 시도이다.
본 발명은, 혈압을 낮추고 혈관기능, 폐기능을 유의하게 개선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유산소 운동 지침(중강도 유산소 운동 일주일 300시간 이상)을 꾸준히 준수하는 해야 얻는 효과와 비슷하다. 때문에 본 발명은 일상생활 중에 간단하게 얼굴에 착용하여 효율적으로 혈압과 혈관건강, 폐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나타 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 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좌우 밀착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좌우 상/하부 윤곽부, 좌우 리빙 윤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얼굴 부위 중에서 코영역과 본 발명에 따른 코덮개부의 착용 위치의 대응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B)는 도 8 A)에서 A-A'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C)는 도 8 A)에서 B-B'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중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B)는 도 9 A)에서 A-A'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C)는 도 9 A)에서 B-B'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D)는 도 9 A)에서 C-C'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 리 사시도이다
도 10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 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 리 사시도이다
도 11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11 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입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 전후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 전후의 혈관내피기능 평균치를 나 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 전후의 폐기능 평균치를 나타낸 그 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않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를 착용한 상태로 또는 비착용 상태로 상관없이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을 내측, 외부를 외측, 좌측 방향을 좌측, 우측 방향을 우측, 위쪽 방향을 상부, 중앙을 중부, 아래쪽 방향을 하부라 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대략",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고정" "결합" 또는 "접촉"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고정, 접촉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고정" "결합" 또는 "접촉"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는, 제조의 편리함과 대량생산을 고려하여 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형을 이용한 제조법의 장점은, 제조의 정확성 및 대량생산 등이 가능하고, 구조적으로 두께, 길이 등 디자인에 대하여 고도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연구를 지속하던 중,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이 혈압을 낮추고 혈관내피 기능, 폐기능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는 사실을 임상을 통해 밝혀냈으며, 얼굴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중년 및 노년층의 사용 편의성과 순응도를 높이고,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발명하게 되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각각의 구성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1] 좌우 밀착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는, 좌우 밀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사용자 얼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실리콘(silicone), 기능성 섬유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부작용이 없고 가급적이면 부드럽고 유연한 재료인 의료용 실리콘(silico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양눈과 이마, 머리를 제외한 얼굴 피부에 전체적으로 착용된다. 이러한 좌우 밀착부(120)는, 사용자의 평균 얼굴 크기 및 평균 얼굴 길이 등을 고려하게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피부와 접촉되는 내면과 외부공간에 노출되는 외면을 가진다. 또한 좌우 밀착면(124),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a, 121b), 좌우 리빙 윤곽부(121c), 코돌출홈(113), 입돌출홈(116), 입술받침부(119), 턱받침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중앙에 위치한 코돌출홈(113), 입돌출홈(116), 턱받침부(114)를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면대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과 우측이 정확하게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전면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정렬되도록 순서대로 코돌출홈(113)과 입돌출홈(116), 턱받침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돌출홈(113)을 통해 사용자 코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입돌출홈(116)을 통해 사용자 입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코돌출홈(113)과 입돌출홈(116)은, 호흡근 훈련기(10) 착용시, 상기 좌우 밀착부(120) 전면에 당기는 압력이 가해지므로 코는 코돌출홈(113)으로 돌출되고 입은 입돌출홈(116)으로 돌출되어 사용자 코와 입이 좌우 밀착부(12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상이한 2중 또는 다중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상이한 두께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이한 두께로 좌우 밀착부(120)를 구성하므로 그 두께에 따라 기능을 달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좌우 밀착면(124)과 이와 반대로 다소 두껍게 형성되는 코돌출홈(114)테두리, 입돌출홈(116) 테투리, 입술받침부(119),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a,122b), 좌우 리빙윤곽부(121c), 턱받침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렇게 하면, 착용감이 향상되고 두께에 따른 신축성이 다르게 되고, 쓸데없이 훼손되는 일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렇게 하면,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착용감이 향상되고, 신축력을 발휘하여 얼굴피부와 일체화(integration)되므로 좌우 밀착부(120)와 피부간에 틈새를 방지하고 밀폐공간(133d)으로의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어 밀봉력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액체 불투과성이고, 부드러운 촉감을 주며 사용자의 얼굴피부에 비자극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좌우 밀착면(124)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고분자 의료용 실리콘을 이용해 좌우 밀착면(124)를 제조하면 기체 투과성과 함께 액체 불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우 밀착면(124)은, 비교적 얇고, 양호하게 5mm 미만, 더욱 양호하게 0.2mm 내지 2mm의 평균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좌우 밀착면(124)이 양호한 두께로 형성되면, 기체 투과성과 함께 액체 불투과성을 가진다. 이는 피부에 대한 공기 투과성을 얻을 수 있어, 피부호흡을 쓸데없이 저해할 우려도 없어진다. 두께가 0.2mm 미만이면 너무 얇아 쉽게 훼손되고, 2mm보다 두꺼우면 공기 투과성, 신축성이 불량하게 된다. 이는 호흡근 훈련기(10) 착용감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며, 피부에 발진을 비롯한 자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우 밀착면(124)이 고분자 의료용 실리콘을 이용해 제조되므로, 액체나 물이 흡수되거나 스며들지 않는다. 때문에 표면에 물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가볍게 툭툭 털면 바로 제거될 수 있어, 세척 후 건조과정 없이 툭툭 털어 바로 착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좌우 밀착면(124)은, 신축성이 우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우 밀착면(124)은 양호하게 100%이상, 더욱 양호하게 100% 내지 800% 신축성(elasticity)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좌우 밀착면(124)이 형성되면, 좌우 밀착면(124)이 부드럽게 얼굴 피부에 밀착 접촉되므로 좌우 밀착면(124)과 피부간에 틈새를 방지하고 밀폐공간(133d)으로의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어 밀봉력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좌우 밀착면의 내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좌우 밀착면(124)은,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 적어도 일측에 요철면(124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요철면(124a)은 밀착면과 비밀착면(피부와 밀착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우 작은 크기의 밀착면과 비밀착면이 혼합되는 형태로서 원, 사각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 밀착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상이다. 도 5는 요철면(124a)이 다각형 형상을 갖은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그렇게 하면, 얼굴 피부에 달라붙는 현상이 감소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요철면(124a)간의 간격 및 두께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두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상부 윤곽부(121a)는 상기 일단은 코돌출홈(113)를 구성하고 타단은 좌우 귀걸이부(140)에 일체로 연결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좌우 상부 윤곽부(121a)는, 사용자의 눈을 덮지 않도록 브래지어의 와이어와 유사한 방식과 기능으로 눈 바로 아래피부에 밀폐식으로 위치한 다음, 좌우 관자놀이를 따라 피부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얼굴피부에 상부 윤곽부(121a)가 밀착 접촉되므로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어 외부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리빙 윤곽부(121c)는 일단은 좌우 상부 윤곽부(121a)를 구성하고 타단은 좌우 하부 윤곽부(121b)에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좌우 리빙 윤곽부(121c)는 대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좌우 리빙 윤곽부(121c)는 끌어당김 힘이 작용할 때, 사용자 좌우 볼(cheek)을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유지되므로 좌우 리빙 윤곽부(121c)와 볼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어 외부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하부 윤곽부(121b)는, 상기 일단은 턱받침부(114)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우 리빙 윤곽부(121c)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수록 점점 높게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좌우 하부 윤곽부(121b)는 끌어당김 힘이 작용할 때, 사용자 좌우 하악(submaxilla)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렇게 하면, 목피부에 하부 윤곽부(121b)가 밀착 접촉되므로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어 외부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하부 윤곽부(121b)는 후술하게 될 좌우 귀걸이부(140)의 하부(140b)가 탈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7)은 좌우 윤곽부(120)의 일부이다. 상기 결합홈(127)은 상기 결합홈(127)에 상응하도록 좌우 귀걸이부 하부(140b)가 탈부착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좌우 귀걸이부 하부(140b)가 상기 결합홈(127)에 결합되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가 상기 결합홈(12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우 귀걸이부 하부(140b)가 상기 결합홈(12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가 상기 결합홈(12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좌우 상/하 윤곽부(121a, 121b), 좌우 리빙 윤곽부(121c) 두께(T')는, 좌우 밀착면(124)의 보존이나 훼손 방지 기능을 하도록 좌우 밀착면(124) 두께(T)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좌우 상/하 윤곽부(121a, 121b), 좌우 리빙 윤곽부(121c)는, 호흡근 훈련기 착용자국을 방지하기 위해 끝단은 상부로 들어 올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 상/하 윤곽부(121a, 121b), 좌우 리빙 윤곽부(121c)가 구성됨으로서, 좌우 밀착면(124)은 피부와 밀착 접촉되고 좌우 상/하부 윤곽부(121a, 121b), 좌우 리빙 윤곽부(121c) 끝단은 사용자 피부(50)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착용자국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돌출홈(116) 하측에 입술받침부(119)가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입술받침부(119)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 훈련시에 아래 입술(lower lip)이 무의식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 입술을 자연스럽게 받쳐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턱받침부(114)는 사용자의 아래턱(the lower jaw)을 자연스럽게 받쳐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 아래턱이 인입되도록 요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턱받침부(114)가 구성됨으로서, 상기 턱받침부(114)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훈련 중에, 사용자 아래턱을 받쳐주어 아래턱이 무의식적으로 벌어지지는 것을 방지하는 “턱받침”역할을 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턱받침부(114)는 “위치 특징부”로써 호흡근 훈련기(10) 착용 기준으로 사용된다. 즉, 호흡근 훈련기(10) 착용시 사용자는 전(front)턱을 턱받침부(114)에 갖다 대고, 동시에 좌우 귀걸이부(140)를 사용자 귀에 적절하게 잡아당겨 고정시킨다. 그러면, 턱받침부(114)가 턱을 부드럽게 감싸게 되고 좌우 밀착부(120)는 얼굴피부에 밀착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호흡근 훈련기(10)의 올바른 착용을 위해, 호흡근 훈련기(10) 중심에 식별이 용이한 "위치 설정부"를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가 일관성 없이 호흡근 훈련기(10)를 사용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1.2] 좌우 귀걸이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는 좌우 귀걸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는, 호흡근 훈련기(10)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귀걸이부(140)의 길이가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 귀에 걸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는 상부(140a)와 하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귀걸이부(140)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는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실리콘(silicone)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액체 불투과성이며, 부드러우면서 유연하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랩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의 상부(140a)는 좌우 상부 윤곽부(121a)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140b)는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우 밀착부의 결합홈(127)에 의해 탈부착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는 사용자의 귀에 걸림 고정시켜서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의 길이를 인장 또는 수축하여 호흡근 훈련기(1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의 하부(140b)는 이음조절부재(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조절부재(140c)는 좌우 귀걸이부(140)의 하부(140b)를 상기 좌우 밀착부의 결합홈(127)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이음부재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의 하부(140b)가 상기 좌우 밀착부의 결합홈(127)을 통과 후 이음조절부재(140c)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가 상기 좌우 밀착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의 하부(140b)가 상기 이음조절부재(140c)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가 상기 좌우 밀착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조절부재(140c)는 버클, 슬립 등이 더 구비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좌우 귀걸이부(140)는, 착용자의 안면 크기에 관계없이 좌우 귀걸이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좌우 귀걸이부 하부(140b)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으로 공기의 밀봉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의 상부(140a)는 후술하게 될 입덮개부(300)가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결합홈(127)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7)은 좌우 귀걸이부(140)의 일부이다. 상기 결합홈(127)은 상기 결합홈(127)에 상응하도록 입덮개부(300)의 단부에 구비된 스트랩(303)이 탈부착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303)이 상기 결합홈(127)에 결합되면, 상기 스트랩(303)이 상기 결합홈(12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303)이 상기 결합홈(127)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스트랩(303)이 상기 결합홈(12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의 상부(140a)에는 좌우 상부밴드부재(150)의 결합구(151)가 상호 탈부착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공(141)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41)은 좌우 귀걸이부(140)의 일측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41)은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의 결합구(151)에 상응하도록 결합구(151)가 탈부착 및 회전 가능한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1.3] 좌우 상/하부 밴드부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근 훈련기(10)는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얼굴착용을 위해 사용자 머리에 고정되는 좌우 상/하부밴드부재(150,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좌우 상/하부밴드부재(150,160)는 호흡근 훈련 중에 호흡근 훈련기(10)가 사용자 얼굴 피부에서 들떠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는 좌우 귀걸이부(140) 상부(140a)에 탈부착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좌우 하부밴드부재(160)는 좌우 귀걸이부(140) 하부(140b)에 탈부착 및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상/하부 밴드부재(150,160)는, 실리콘(silicone), 합성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긴 스트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는 일측에 결합구(151)가 포함될 수 있고, 타측에 자유단(150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의 결합구(151)는 일측에서 좌우 귀걸이부(140)의 결합공(141)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장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151)는 좌우 귀걸이부(140)의 결합공(141)에 억지끼움 걸림 고정 및 회전되는 돌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구(151)가 상기 좌우 귀걸이부의 결합공(141)에 결합되면,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가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에 고정 및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151)가 상기 좌우 귀걸이부의 결합공(141)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가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자유단(150a)은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을 위해 벨크로 또는 버클 등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의 탈부착 및 회전 구성으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상부밴드부재(150)는 사용자 윗머리 혹은 정수리 부위에 자유롭게 회전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좌우 하부밴드부재(160)는 일측에 결합구(151), 절곡면(162), 연결홈(163)을 포함할 수 있고, 타측에 자유단(16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하부밴드부재(160)의 결합구(151)는 일측에서 연결홈(163)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장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63)은 결합구(151)에 상응하도록 결합구(151)가 탈부착 가능한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절곡면(162)은 상기 결합구(151)와 연결홈(163)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51)가 상기 연결홈(163)을 향하여 절곡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귀걸이부 하부(140b)가 절곡면(162)과 연결홈(163)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151)는 절곡면(162)을 따라 절곡되어 연결홈(163)에 억지끼움 결합되면, 좌우 하부밴드부재(160)가 좌우 귀걸이부 하부(140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구(151)가 연결홈(162)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좌우 하부밴드부재(160)가 상기 좌우 귀걸이부(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자유단(160a)은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또는 버클 등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좌우 하부밴드부재(160)의 탈부착 및 슬라이딩 이동 구성으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하부밴드부재(160)는 사용자 뒷머리 혹은 뒷목 부위에 자유롭게 이동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150)를 상기 좌우 귀걸이부 상부(140a)에 용이하게 탈부착 및 회전이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떠한 방식도 무관하다. 상기 좌우 하부밴드부재(160)를 상기 좌우 귀걸이부 하부(140b)에 용이하게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떠한 방식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좌우 자유단(150a)를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재면 어떠한 방법도 좋다.
[1.4] 코덮개부
제1 실시예
도 7은 얼굴 부위 중에서 코부위 영역과 본 발명에 따른 코덮개부의 착용 위치의 대응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B)는 도 8 A)에서 A-A'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C)는 도 8 A)에서 B-B'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D)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인중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통해, 호흡근육이 강화되고 강한 압력의 공기가 들어오고 나감에 따라 음파 진동이 발생되고 그로인해 비강 및 부비동 환기가 촉진되어 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발생된다. 산화질소(NO)는 흡기시 공기 흐름에 따라 폐로 진입하고, 연속적으로 폐기능, 혈압 및 혈관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모든 종래 기술의 예는,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제조되어 있다.
모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는, 좌우 밀착부(120)의 중앙에 형성된 코돌출홈(113)과 일체화 구성되는 코덮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덮개부(130)의 주된 목적은, 상기 코돌출홈(113)과 입돌출홈(116)을 통해 돌출되는 사용자 코와 입 사이를 실질적으로 구획하여 분리함으로써, 내부에 오직 사용자 코만 위치되는 코 사이즈의 작은 밀폐공간(133d)을 확보하고, 상기 밀폐공간(133d)과 관통되며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을 조절하는 공기저항조절부(500)를 구성하여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호기시 발생되는 날숨이 머무르는 수납용적 최소화로 사강(dead space) 방지, 날숨을 다시 흡입하는 문제점 방지, 코로 구강세균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덮개부(130)는, 덮개바디(131a), 인중쿠션(137), 밀폐쿠션(132), 코/입 분리벽체(133), 밀봉쿠션(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바디(131a), 인중쿠션(137), 밀폐쿠션(132), 코/입 분리벽체(133), 밀봉쿠션(131)은 일체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출 성형 및 프레스 성형 같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밀착부(120)는 실리콘(silicone), 기능성 섬유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부에 부작용이 없고 가급적이면 부드럽고 유연한 재료인 의료용 실리콘(silico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바디(131a)는 덮개바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두께(T)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형태를 취하며 형성될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바디(131a)는, 사용자 코만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바디(131a)는 사용자 코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바디(131a)는, 상부, 중부, 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코 주위 영역 즉, 상부(131b)는 "A" 영역, 중부(131c)는 "B" 영역, 하부(131d)는 "C" 영역을 대응하여 커버(cover)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바디(131a) 상부(131b)는, 콧대를 쒸워 덮을 수 있도록 중앙지점은 높게 형성되고 좌우 양측은 중앙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6
" 형상으로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덮개바디 하부(131d)는, 좌우 콧방울(the rounded sides of the nose)영역 "D" 에서 콧끝(the end of a nose)영역 "E" 으로 갈수록 그 폭이 축소되므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았을 때 "△" 으로 형성되고, 그 높이는 30mm 내지 60mm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좌우 콧방울(the rounded sides of the nose) 영역 "D" 에서 콧대(the bridge of the nose)영역 "F" 로 갈수록 그 폭이 축소되므로 덮개바디(131a)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축소되는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았을 때 "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7
" 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는 40mm 내지 9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바디(131a) 상부는 상기 밀봉쿠션(131)과 사용자 콧대 부위와 선택적 밀봉접촉을 위해 코클립(nose clip)(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코클립(136)은 사용자 콧대 부위와 밀봉쿠션(131)의 간격을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원하는 착용간격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도록 보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절한 상황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착용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바디(131a)는, 하부(131d) 소정의 위치에 결합홈(들)(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후술하게 될 공기저항조절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후술하게 될 공기저항조절부(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쿠션(131), 밀폐쿠션(132), 인중쿠션(137)은 상기 덮개바디(131a)가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에 밀착시 상기 덮개바디(131a)와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 피부 사이에 개입될 수 있다. 상기 밀봉쿠션(131), 밀폐쿠션(132), 인중쿠션(137)은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 피부 사이에 접촉 시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밀봉쿠션(131), 밀폐쿠션(132), 인중쿠션(137)은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덮개바디(131a)와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밀봉쿠션(131), 밀폐쿠션(132), 인중쿠션(137)은, 서로 상호 작용하거나, 서로 협동하면서,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A", "B", "C" 영역 즉, 밀봉쿠션(131)은 "A" 영역, 밀폐쿠션(132)은 "B" 영역, 인중쿠션(137)은 "C" 영역과 대응되게 각각 밀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쿠션(131)은 외력이 작용하면 사용자의 "A" 영역 즉, 콧대(the bridge of the nose)부위에 덮어 씌워서 효과적으로 밀봉 접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콧대 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밀봉쿠션(131)은 중앙부(131)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131b)는 낮게,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8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밀봉쿠션(131)이 사용자 콧대 부위를 따라 변형되면서 면접촉 밀봉시킬 수 있으므로 콧대 부위에서 침입하는 외기를 차단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8 A) 내지 D)를 참고하면, 상기 밀폐쿠션(132) 및 밀봉쿠션(131)은 사용자 코부위 영역 즉, "A", "B" 영역과 효과적인 밀봉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덮개바디(131a) 일측에서 밀폐공간(133d) 방향으로 만곡(curve)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쿠션(132) 및 인중쿠션, 밀봉쿠션(131)은 내측에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h1)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밀폐쿠션(132) 및 밀봉쿠션(131)은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 "A", "B" 에 대응되도록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해 그 두께(T1)가 덮개바디(131a)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중(philtrum)쿠션(137)은 외력이 작용하면 사용자의 "C " 영역 즉, 인중에 따라 변형되면서 효과적으로 밀봉 접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부학적으로 사용자 인중 중앙 부위가 돌출되므로, 도 8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중쿠션(137)은 중앙부(137)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137b)는 중앙부(137)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단면으로 보았을 때 "
Figure 112022001519431-pat00009
"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중쿠션(137)은 소정의 넓이(W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20mm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인중쿠션(137)이 사용자 인중 부위를 면접촉 밀봉시킬 수 있으므로 인중 부위에서 침입하는 구강세균 등이 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 인중 부위와 선접촉을 방지하여 착용 통증과 착용자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인중쿠션(137)은 내측에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h1)로 돌출되고 밀폐공간(133d) 방향으로 만곡(curve)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쿠션(132), 인중쿠션(137), 밀봉쿠션(131)의 그 두께(T1)가 덮개바디(131a)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h1)로 돌출 형성되고, 밀폐공간(133d)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면,상기 덮개바디(131a)보다 사용자 코부위 "A", "B", "C"영역에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밀폐쿠션(132), 인중쿠션(137), 밀봉쿠션(131)이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에 덮개바디(131a)가 더욱 밀착되면, 상기 밀폐쿠션(132), 인중쿠션(137), 밀봉쿠션(131)에 의해 사용자의 코부위 영역과 상기 덮개바디(131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이 사라지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국 방지, 착용감 향상 및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위한 공기의 기밀성을 확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입 분리벽체(133)는 호흡근 훈련기 착용시, 사용자 코와 입 사이에서 칸막이 기능으로 코와 입을 분리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상기 코/입 분리벽체(13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일측이 덮개바디(131a) 내부의 만곡된 내측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인중쿠션(137)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도 9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B)는 도 9 A)에서 A-A'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C)는 도 9 A)에서 B-B'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D)는 도 9 A)에서 C-C'를 따라 절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13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130)의 특정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130)의 일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13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130)의 설명에서 생략되는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덮개부(130)와 동일하며, 동일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덮개부(130)는, 덮개바디(131a), 인중쿠션(137), 코/입 분리벽체(133), 밀봉쿠션(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바디(131a), 인중쿠션(137), 코/입 분리벽체(133), 밀봉쿠션(131)은 일체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바디(131a)는, 사용자 코만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바디(131a)는 사용자 코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바디(131a)는, 코 주위 영역 즉, "A", "B", "C" 영역을 커버(cover)하도록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바디(131a)는 상기 밀봉쿠션(131)과 사용자 콧대 부위와 선택적 밀봉접촉을 위해 코클립(nose clip)(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코클립(136)은 사용자 콧대 부위와 밀봉쿠션(131)의 간격을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원하는 착용간격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도록 보장하게 된다.
도 7 도 9을 참고하면, 상기 밀봉쿠션(131), 인중쿠션(137)은, 서로 상호 작용하거나, 서로 협동하면서,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A", "C" 영역 즉, 밀봉쿠션(131)은 "A" 영역, 인중쿠션(137)은 "C”영역과 대응되게 각각 밀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쿠션(131)은 외력이 작용하면 사용자의 "A" 영역 즉, 콧대(the bridge of the nose)부위에 덮어 씌워서 효과적으로 밀봉 접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콧대 부위가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밀봉쿠션(131)은 중앙부(131)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131b)는 낮게,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
Figure 112022001519431-pat00010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밀봉쿠션(131)이 사용자 콧대 부위를 따라 변형되면서 면접촉 밀봉시킬 수 있으므로 콧대 부위에서 침입하는 외기를 차단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밀봉쿠션(131)은 그 끝단이 외측으로 만곡(curve)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밀봉쿠션(131)은 그 두께(T1)가 덮개바디(131a)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도9 D)를 참고하면, 상기 덮개바디(131a)는 상기 코클립(136) 일측에서 상기 밀봉쿠션(131) 일측에 이르기까지 두께(T2)가 두껍게 형성되는 강성부(131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쿠션(131)의 두께(T1)가 덮개바디(131a)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고, 그 끝단이 외측으로 만곡(curve) 형성되면, 상기 덮개바디(131a)보다 사용자 코대 부위 "A" 영역에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밀봉쿠션(131)이 사용자의 콧대 부위 영역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콧대 부위 영역에 덮개바디(131a)가 더욱 밀착되면, 상기 밀봉쿠션(131)에 의해 사용자의 코대 부위 영역과 상기 덮개바디(131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국 방지, 착용감 향상 및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위한 공기의 기밀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클립(136) 일측에서 상기 밀봉쿠션(131) 일측에 이르기까지 그 두께(T2)가 두껍게 형성되는 강성부(131c) 형성되므로써, 코클립(136), 강성부(131c) 및 밀봉쿠션(131)의 상호작용을 통해 콧대 부위 영역 틈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의 기밀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중(philtrum)쿠션(137)은 외력이 작용하면 사용자의 "C" 영역 즉, 인중에 따라 변형되면서 효과적으로 밀봉 접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부학적으로 사용자 인중 중앙 부위가 돌출되므로, 인중쿠션(137)은 중앙부(137)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137b)는 중앙부(137)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단면으로 보았을 때 "
Figure 112022001519431-pat00011
"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중쿠션(137)은 끝단이 하부 방향으로 만곡(curve)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중쿠션(137)은 소정의 넓이(W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30mm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인중쿠션(137)이 사용자 인중 부위를 면접촉 밀봉시킬 수 있고 선접촉을 방지하여 착용 통증과 착용자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5] 공기저항조절부
제1 실시예
도 10 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0 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는 저항 코호흡을 통해 흡기와 호기에 따른 호흡근 훈련이 가능하도록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공기저항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저항조절부(500)는, 상기 덮개바디(131a)의 결합홈(미도시)에 연결되어 코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저항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저항조절부(500)는 필터케이스(139a), 적층필터(400), 항균동필터(139b), 캡부(170), 그리고 회전저항부(180)를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저항조절부(500)는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저항조절부(500)가 사용자 좌우 콧구멍 바로 옆 일측면에 상호 대응 형성하도록 2개를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공기저항조절부(500) 배치 위치 및 수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저항 코호흡을 통한 흡기 호흡근 훈련시 외부 공기가 공기저항조절부(500)의 회전저항부(180), 항균동필터(139b)을 경유하고 적층필터(138)를 통해 필터링 되어 밀폐공간(133d)으로 유입될 수 있다. 더불어, 호기 호흡근 훈련시 호기 공기가 상기 밀폐공간(133d)에서 상기 적층필터(400)에 필터링 되고, 항균동필터(139b)와 회전저항부(180)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케이스(139a)는 상기 덮개바디(131a)의 결합공(미도시)에 결합되도록 일측 외주면에 결합홈(139m)이 형성되고 타측에 적층필터(400) 착탈을 위해 관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케이스(139a)는 덮개바디(131a) 결합공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적층필터(400)가 밀폐공간(133d)으로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부재(139f)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적층필터(40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필터(400)는 사용자가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시 외부 공기가 적층필터(400)를 통해 필터링 되어 밀폐공간(133d)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적층필터(40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케이스(139a)에 착탈구비 될 수 있다. 상기 적층필터(400)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층필터(400)는 사용자가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시 외부 공기가 적층필터(400)를 통해 필터링 되어 밀폐공간(133d)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층필터(400)는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공기와 같은 유동 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필터링하고 제거하기 위한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적층필터(400)는 고효율 입자상 물질 포집(HEPA) 필터, 주름진 시트 필터, 나노-섬유 필터, 세라믹 타입 필터, 멤브레인 타입 필터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적층필터(400)는 다수의 포어(pore)를 포함하는 다공질 기재일 수 있다. 여기서, 다공질 기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 고분자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필터(400)의 외면 프로파일은 원형, 사각형 등 형상의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의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필터(400)는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원형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필터(400)는 필터케이스(139a)에 구비되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층필터(400)는 1개 내지 10개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층필터(400)는 입자의 관성충돌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입자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항균동필터(139b)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 세균 등을 항균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박멸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거나, 상기 적층필터(400)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항균동필터(139b)는 다수개의 기공(139n)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공(139n)은 일면과 타면 사이를 관통하여 원활한 공기유통 또는 통기성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공(139n) 직경은 0.01mm 내지 4mm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0.01mm 내지 2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공(139n)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형상의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균동필터(139b)는 상기 적층필터(400) 앞쪽 및 적층필터(400) 뒤 중 적어도 한곳에 배치될 수 있고, 적층필터(400) 앞 및 뒤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항균동필터(139b)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기 적층필터(40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항균동필터(139b)는, 순도 99% 이상의 금속구리 또는 구리함량이 60%의 이상인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순도 99% 이상인 금속 구리 또는 구리함량이 60% 이상인 구리화합물의 경우 구리 자체가 지닌 천연 항균성으로 인해 교차오염 등의 위험이 있는 전염성 감염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리의 천연 항균성을 강조하기 위해 항균동(Antimicrobial Copper)이라고 일컫는다. 이와 같은 항균동은 박테리아의 99.9% 이상을 2시간 이내에 박멸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상기 캡부(170)는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유동홀(17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부(17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170)의 직경은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직경을 초과하되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캡부(170)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면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17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이 상기 캡부(17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홀(171)은 상기 캡부(17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밀폐공간(133d), 상기 필터케이스(139a)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동홀(171)은 상기 캡부(170)의 타측 반경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부(170)는, 외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눈금(172)이 형성되며, 이 눈금(172)은 숫자, 알파벳, 로마숫자 등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부(170)는 외주면에 눈금(172)이 형성되기 때문에 눈금(172)을 통해 공기 유동량 및 공기 저항을 가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저항부(180)는 상기 캡부(170)의 타측, 즉 상기 캡부(170)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상기 유동홀(17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저항홀(18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저항부(18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캡부(170)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저항부(180)의 직경은 상기 캡부(170)의 직경을 초과하되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저항부(180)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캡부(17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저항부(18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캡부(170)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캡부(170)의 외측단이 상기 회전저항부(18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홀(181)은 상기 회전저항부(18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밀폐공간(133d), 상기 필터케이스(139a) 및 상기 유동홀(171)과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항홀(181)은 상기 유동홀(17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저항부(180)는 호흡근 훈련시 공기 유동량의 조절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부재(18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저항부(180)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갭부의 눈금(172)을 육안으로 가늠하면서, 상기 회전저항부(180)를 회전시켜 유동홀(171)과 상기 저항홀(181) 간의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저저항 또는 고저항 호흡 압력 및 호흡저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공기를 필터링 가능하고, 공기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저항조절부(500)를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로 호흡근 훈련을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호흡 압력 및 호흡저항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과 순응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회전저항부(180)가 상기 캡부(170)를 커버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 외측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캡부(170) 및 상기 회전저항부(180) 사이에 결합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11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1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의 특정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의 일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의 설명에서 생략되는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와 동일하며, 동일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에서 변형된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저항조절부(500)의 특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호흡근 훈련기(10)는 저항 코호흡을 통해 흡기와 호기에 따른 호흡근 훈련이 가능하도록 적층필터(400) 개수를 조절하여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공기저항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저항조절부(500)는 상기 덮개바디(131a)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코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저항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적층필터(400)가 적층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저항조절부(500)는 필터케이스(139a), 적층필터(400), 항균동필터(139b), 캡부(170)를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필터케이스(139a)는 상기 덮개바디(131a)의 결합공(미도시)에 결합되도록 일측 외주면을 따라 결합홈(139m)이 형성되고 타측에 적층필터(400) 착탈을 위해 관통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케이스(139a)는 덮개바디(131a) 결합공(미도시)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적층필터(400) 이탈 방지를 위한 지지부재(139f)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부(170)는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유동홀(17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부(17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170)의 직경은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직경을 초과하되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캡부(170)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면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17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필터케이스(139a)의 외측단이 상기 캡부(17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홀(171)은 상기 필터케이스(139a), 상기 밀폐공간(133d)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항균동필터(139b)는, 다수개의 기공(139n)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공(139n)은 일면과 타면 사이를 관통하여 원활한 공기유통 또는 통기성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층필터(400)는 사용자가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시 외부 공기가 적층필터(400)를 통해 필터링 되어 밀폐공간(133d)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필터(400)는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공기와 같은 유동 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필터링하고 제거하기 위한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적층필터(400)는 다수의 포어(pore)를 포함하는 다공질 기재일 수 있다. 다공질 기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 고분자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필터(400)는 필터케이스(139a)에 구비되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층필터(400)는 1개 이상 10개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저항 호흡근 훈련시 사용자는,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필터를 2~3개 적층 구비하여 코호흡을 하면, 공기(air)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캡부 유동홀(171)에서 적층필터(400)으로 진입하면서 압력이 증가되어 유속이 완만하게 감소하게 되므로 저저항 코호흡을 토한 호흡근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필터(400)를 5~10개 적층 구비하여 코호흡을 하면, 공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캡부 유동홀(171)에서 적층필터(400)으로 진입하면서 압력이 더욱 증가되어 유속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고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자의 관성충돌(Inertial Impaction)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입자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부공기를 필터링 가능하고, 공기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저항조절부(500)를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로 호흡근 훈련을 할 수 있으며 호흡 압력 및 호흡저항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과 순응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기저항조절부(500) 형상이 원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항균작용에 의해 상기 적층필터(400)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박멸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항균동필터(139b)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적층필터(400)는, 그 자체가 항균작용을 하는 항균필터 일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층필터(400)는 기본적으로 다공질 기제와 항균동 입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공질 기제에 항균동 입자를 함침시켜 항균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항균동 입자는 나노 단위로 제조되어 함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1.6] 입덮개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호흡근 훈련기(10)는 입덮개부(3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덮개부(300)는 좌우 밀착부(120) 및 입돌출홈(119), 코덮개부(130) 일측에 탈부착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덮개부(300)는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실리콘(silicone)으로 제조된다, 입덮개부(300)가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액체 불투과성으로 인해 액체의 침투가 불가하며 바이러스, 세균 또한 침투하지 못하여 항균성(Anti-virus)을 제공한다. 그리고 형상 유지력에 의해 형상이 무너지거나 사용자의 입과 접촉되지 않고 외적인 힘으로부터 쉽게 형상이 무너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덮개부(300)가 의료용 실리콘으로 만들어짐으로써 세척 후 건조 과정 필요 없이 호흡근 훈련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이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덮개부(300)는 상부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면대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과 우측이 정확하게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입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덮개부(300)는 상기 좌우 밀착부(120) 중앙에 형성된 상기 입돌출홈(116)을 통해 돌출되는 사용자 입을 은폐하고, 코 주위 영역과 코덥개부(130)간의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입덮개부(300)가 상기 좌우 밀착부(120) 및 코덮개부(130) 일측에 고정되면, 그 내부에 사용자 입이 수납되는 입전용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전용공간(310)에는 사용자 입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입전용공간(310)에 사용자 입이 수납되면, 외부공간과 격리되므로 사용자 입을 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덮개부(300)가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착용자의 입을 가림으로써 미적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덮개부(300)는 상기 좌우 밀착부(120) 및 코덮개부(130) 일측에 밀착 접촉하여 사용자 입을 보호하기 위한 바디(301)와 상기 공기저항조절부(5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코덮개부(130)를 잡아당기는 결합홀(302)과 상기 좌우 밀착부의 결합홈(127)과 탈부착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30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덮개부(300)는 코덮개부(130)를 좌우 귀걸이부(140) 방향으로 잡아 당겨 코 주위 영역과 코덥개부(130)간의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덮개부(300)은 이음조절부제(30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303)이 상기 좌우 밀착부(120)의 결합홈(127)을 관통하여 상기 이음조절부제(303c)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입덮개부(300)가 상기 좌우 밀착부(120)에 단단히 고정되고, 호흡근 훈련기(10) 착용 시 상기 코덮개부(130)를 좌우 귀걸이부(140) 방향으로 잡아당기므로 코 주위 영역과 코덮개부(130)간의 밀폐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음조절부제(303c)가 스트랩(303)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코 주위 영역과 코덮개부(130)간의 밀폐력은 약해지며, 상기 입덮개부(300)가 상기 좌우 밀착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입은 외부공간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홈(127)과 스트랩(303), 이음조절부제(303c)를 통하여 상기 입덮개부(300)를 좌우 밀착부(120)에 탈부착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는, 다음과 같이 착용하고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사용자는 필터케이스에 적층필터 삽입 및 공기저항조절부(500)를 조절하여, 흡기와 호기에 따른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을 조절하는 단계: 양손으로 좌우 귀걸이부(140)를 각각 파지한 다음 좌우 귀걸이부(140)를 사용자 귀에 착용하는 단계; 추가적으로 호흡근 훈련기(10)를 안면에 더욱 밀착시키기 위해 좌우 상/하부 밴드부재(150, 160)를 사용자 머리에 고정시키는 단계: 사용자는 코를 통한 흡기 또는 호기 호흡을 반복적으로 하여 호흡근 훈련을 하는 단계로 착용 및 호흡근 훈련을 할 수 있다.
도 13 A), B)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 전후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 전후의 혈관내피기능 평균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 전후의 폐기능 평균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예1: 혈압개선 효과>
상술한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이용하여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성인 남녀 6명을 대상으로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착용하고 수면을 하고, 잠자기 전 하루 50번(10번씩 5번) 총 8주간 고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하게 한 후, 훈련 전후의 혈압 변화를 확인하고 그 평균값을 표 1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혈압 측정은 안정된 상태에서 전자식 자동혈압계(Omron HEM-7122, Japen)를 이용하여 상완에서 2번 측정하고 낮은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예2: 혈관내피기능 개선 효과>
상술한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이용하여 혈관내피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성인 남녀 6명을 대상으로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착용하고 수면을 하고, 잠자기 전 하루 50번(10번씩 5번) 총 8주간 고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하게 한 후, 훈련 전후의 혈관내피기능 변화를 확인하고 그 평균값을 표 1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혈관내피기능 측정은, 시험자가 침대에 누워 5분간 안정을 취하도록 한 후 pulse wave doppler(Clear Vue 550, 미국)로 혈관내피기능을 측정하였다. 오른팔 주관절의 2∼3cm 상부에서 4∼12MHz의 탐촉자를 이용해 상완동맥 혈관 내막층(intima layer)의 가장 선명한 부분을 기준으로 혈관직경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부위의 B-mode 기준점에서 60°각도로 동맥의 혈류속도를 측정하였고, 혈관직경과 혈류속도를 이용하여 평균속도 시간(time average mean velocity: TAMV)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혈류량을 산출하였다[혈류량(㎖/min) = TAMV ×R2 ×60; R: 혈관 반경]. 안정시에 측정한 수치를 안정시 혈관직경(rest vessel diameter)과 안정시 혈류량(rest blood volume)으로 기록하였다.
FMD%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우측 상완에 위치한 커프의 압력을 200 ㎜Hg로 빠르게 가압해서 5분간 혈류를 폐색(occlusion)시켰고, 폐색을 해제한 직후부터 2분간 우측 상완 동맥의 혈관직경과 혈류속도를 측정하여 최대혈관직경(peak vessel diameter)과 최대혈류량(peak blood volume)으로 기록하였다. 안정시 혈관직경과 최대혈관직경을 다음의 공식에 대입하여 FMD%를 산출하였다.
[FMD% = (최대혈관직경 - 안정시 혈관직경) / 안정시 혈관직경 ×100].
저항 코호흡 호흡근 훈련군
사 전 사 후
남 / 여(men / women) 3/3 3/3
나이(Age) 67±3 67±3
혈압(Bood Fressure, SBP / DBP mmHg) 135±3 / 76±8 126±2 / 74±4*
혈관내피기능(flow-mediated dilation: FMD %) 7.85±77 10.88±3.5*
M±*P<0.05:유의한 효과
상기 표 1 및 도 13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착용하고 호흡훈련을 한 결과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혈관내피기능이 유의하게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3: 폐기능 개선 효과>
상술한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이용하여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 10명을 대상으로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착용하고 수면을 하고, 잠자기 전 하루 50번(10번씩 5번) 총 8주간 고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하게 한 후, 훈련 전후의 폐기능 변화를 확인하고 그 평균값을 표 2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 폐기능 측정은 폐기능 측정기 (Quark, Spiro Srl., Australia)를 이용하였다. 마우스피스를 입술로 물고 편하게 숨을 쉬다가 최대로 숨을 들이마신 후 한꺼번에 내쉬는 방법으로 측정한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하여 3번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노력성 폐활량(FVC), 1초 노력성 호기량(FEV1)측정 하였다.
저항 코호흡 호흡근 훈련군
사 전 사 후
남(men) 10 10
나이(Age) 20.55±0.91 20.55±0.91
노력성 폐활량(FVC) 4.19±0.11 4.34±0.10*
1초 노력성 호기량(FEV1) 4.01±0.09 4.14±0.10*
M±*P<0.05:유의한 개선
상기 표 2 및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를 착용하고 호흡훈련을 한 결과 폐기능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의료기기 기술 분야 또는 의료 보조기기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113 코돌출홈 114 턱받침부
116 입돌출홈 120 좌우 밀착부
121a,121b 좌우 상/하부 윤곽부 121c 좌우 리빙 윤곽부
124 좌우 밀착면 130 코덮개부
136 코클립 137 인중쿠션
140 좌우 귀걸이부 140a 좌우 귀걸이부 상부
150,160 좌우 상/하부 밴드부재 170 캡부
300 입덮개부 400 적층필터
500 공기저항조절부

Claims (35)

  1. 얼굴피부에 밀착 접촉되는 좌우 밀착면과, 전면 중앙에 사용자의 코가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코돌출홈과, 입이 돌출되도록 개구되는 입돌출홈과, 아래턱이 인입 고정되는 턱받침부와, 좌우 상/하부 윤곽부 및 좌우 리빙 윤곽부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좌우 밀착부;
    상기 좌우 밀착부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자 귀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 귀걸이부;
    상기 코돌출홈과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작은 사이즈의 밀폐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 코만 위치되도록 덮개바디, 밀봉쿠션, 인중쿠션, 코와 입을 분리하는 코/입 분리벽체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쿠션과 사용자 콧대 부위와 선택적 밀봉접촉을 위해 코클립(noseclip)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덮개부;
    상기 코덮개부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밀폐공간과 관통되면서 코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저항조절부;
    호흡근 훈련기가 사용자 얼굴 피부에서 들떠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머리에 고정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좌우 상/하부 밴드부재: 및
    상기 입돌출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자 입을 덮어 은폐하기 위해 추가로 입덮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공기저항조절부는, 상기 코덮개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밀폐공간과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필터케이스와, 외부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과 흡기와 호기에 따른 공기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적층필터와, 항균작용을 위해 구비되는 항균동필터와, 상기 필터케이스로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상기 유동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저항홀이 관통 형성되며, 공기 압력 및 유동량의 조절을 위해 회전저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 제 1항에 있어서,
    마스크 형식으로 얼굴에 착용하고, 저항 코호흡을 통해 흡기와 호기에 따른 호흡근 훈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밀착부는, 의료용 실리콘과 같은 부드럽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조되고, 신축성(elasticity)을 갖도록 형성되며, 코돌출홈, 입돌출홈, 턱받침부를 중심으로 상부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좌우 면대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밀착부는, 상이한 두께에 따라 기능을 달리하도록 하기 위해 상이한 2중 또는 다중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세척 후 바로 착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액체나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액체 불투과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상/하부 윤곽부 및 좌우 리빙 윤곽부는, 좌우 밀착면의 보존이나 훼손 방지 기능을 위해, 좌우 밀착면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착용자국 방지를 위해 끝단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밀착면은, 그 두께가 0.2mm 내지 2mm의 평균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신축성(elasticity)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면 일측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리빙윤곽부는, 볼 피부 들뜸 방지를 위해 대략적인 향상이“∠”,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침부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훈련 중에 사용자 아래턱을 받쳐주어 아래턱이 무의식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턱받침”역할 및 호흡근 훈련기 착용 기준이 되는 “위치 특징부”역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귀걸이부는, 유연하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랩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 귀걸이부 하부는, 좌우 밀착부에 탈부착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귀걸이부의 상부는, 상기 입덮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적어도 하나이상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 상부 밴드부재의 결합구가 탈부착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상/하부밴드부재는, 사용자 머리 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 상부밴드부재는 좌우 귀걸이부 상부에 탈부착 및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부밴드부재는 좌우 귀걸이부 하부에 탈부착 및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2.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하부밴드부재는, 좌우 귀걸이부에 탈부착 연결되고,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덮개부는, 의료용 실리콘과 같은 부드럽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조되고, 덮개바디, 밀봉쿠션, 밀폐쿠션, 코/입 분리벽체, 인중쿠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4. 삭제
  15.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디는,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하기 위해, 덮개바디 상부는, 중앙지점은 높게 형성되고 좌우 양측은 중앙지점보다 낮게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Figure 112022119954412-pat00012
    " 형상으로 형성되고, 덮개바디 하부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았을 때“△”으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축소되는 형상 즉, 단면으로 보았을 때“
    Figure 112022119954412-pat00013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6. 삭제
  17.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디 상부는, 콧대 부위의 공기 기밀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8.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쿠션, 밀폐쿠션, 인중쿠션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덮개바디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두께(T1)가 덮개바디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19.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쿠션, 밀폐쿠션, 인중쿠션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덮개바디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바디 보다 소정의 높이(h1)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중공을 가지도록 밀폐공간 방향으로 만곡(curve)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0.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쿠션은, 사용자 콧대를 쒸워 덮을 수 있도록, 중앙지점은 높게 형성되고 좌우 양측은 중앙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Figure 112022001519431-pat00014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중쿠션은, 사용자 인중을 쒸워 덮을 수 있도록, 중앙부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는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Figure 112022001519431-pat00015
    "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중쿠션 넓이(W1)는 2mm 내지 2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쿠션, 인중쿠션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덮개바디와 사용자의 코 부위 영역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만곡(curve) 형성되고, 그 두께(T1)가 덮개바디 두께(T)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쿠션은, 사용자 콧대를 쒸워 덮을 수 있도록, 중앙지점은 높게 형성되고 좌우 양측은 중앙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Figure 112022119954412-pat00016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중쿠션은, 사용자 인중을 쒸워 덮을 수 있도록, 중앙부는 높고 좌우 가장자리는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Figure 112022119954412-pat00017
    "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중쿠션 넓이(W1)는 2mm 내지 3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3.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입 분리벽체는, 칸막이 기능으로 코와 입을 분리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이 덮개바디 내부의 만곡된 내측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인중쿠션과 일체로 연장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조절부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을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5. 삭제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조절부는, 상기 코덮개부의 일측면에 구성되되 밀폐공간과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필터케이스와, 흡기와 호기에 따른 공기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적층필터와, 항균작용을 위해 구비되는 항균동필터와, 상기 필터케이스로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항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호흡 압력 및 호흡저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29. 제 1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동필터는, 일면과 타면 사이를 관통하여 원활한 공기유통 또는 통기성을 위해 기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공 직경은 0.01mm 내지 4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30. 삭제
  31. 제 1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터는, 적층필터 자체가 항균작용을 하는 항균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32. 제 1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터는, 고효율 입자상 물질 포집(HEPA) 필터, 주름진 시트 필터, 나노-섬유 필터, 세라믹 타입 필터, 멤브레인 타입 필터, 다수의 포어(pore)를 포함하는 다공질 필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덮개부는, 코덮개부, 입돌출홈, 좌우 밀착면 일측을 덮고 탈부착 구성되되, 코덮개부를 좌우 귀걸이부 방향으로 잡아 당겨 코 주위 영역과 코덥개부 간의 밀폐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덮개부는, 액체 불투과성이고, 상부에서 하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면대칭이며, 사용자 입을 보호하기 위한 바디와 상기 공기저항조절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코덮개부를 잡아당기는 결합홀과 상기 좌우 밀착부의 결합홈과 탈부착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10).
  35. 삭제
KR1020220001772A 2022-01-05 2022-01-05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KR10248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772A KR102483542B1 (ko) 2022-01-05 2022-01-05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PCT/KR2022/021540 WO2023132557A1 (ko) 2022-01-05 2022-12-28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772A KR102483542B1 (ko) 2022-01-05 2022-01-05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542B1 true KR102483542B1 (ko) 2023-01-02

Family

ID=8492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772A KR102483542B1 (ko) 2022-01-05 2022-01-05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3542B1 (ko)
WO (1) WO202313255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413B1 (ko) * 2014-05-21 2016-09-05 최충식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마스크
US20180280758A1 (en) * 2017-03-28 2018-10-04 Bo Tao Infinitely adjustable training mask with an air filter and a drinking device
KR102240338B1 (ko) * 2020-10-15 2021-04-14 황연화 끈길이 조절 마스크
KR20210123561A (ko) * 2020-04-03 2021-10-14 최충식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3718A1 (en) * 2014-02-18 2015-08-27 John Batty A mas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413B1 (ko) * 2014-05-21 2016-09-05 최충식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마스크
US20180280758A1 (en) * 2017-03-28 2018-10-04 Bo Tao Infinitely adjustable training mask with an air filter and a drinking device
KR20210123561A (ko) * 2020-04-03 2021-10-14 최충식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240338B1 (ko) * 2020-10-15 2021-04-14 황연화 끈길이 조절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557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9080B2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
US6375667B1 (en) Nasal dilator
EP3178525A1 (en) Smart mask for health care service
US20110218451A1 (en) Nas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3753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reathing assistance
EP2380634A2 (en) Device for preventing mouth from opening during sleep
US10391273B2 (en) Sleep apnea device to positively block exhaling and method of use
CN114466671A (zh) 具有多个曲率的织物密封形成结构
AU2023254970A1 (en) Methods for using a face strip for treating breathing conditions
CA3076215A1 (en) Neck collar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WO2016122716A1 (en) Improved sleep apnea device to positively block exhaling and method of use
KR102483542B1 (ko) 혈압, 혈관기능, 폐기능 개선용 저항 코호흡을 통한 호흡근 훈련기
KR102487694B1 (ko)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ES2422529B1 (es) Dispositivo fortalecimiento musculatura respiratoria
CN208659674U (zh) 颈托式止鼾器
KR102284420B1 (ko) 코골이 및 비염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마스크
CN212282480U (zh) 一种适合经鼻腔手术术后使用的氧气面罩
KR20110006260U (ko) 마우스 기구
CN215916085U (zh) 患者接口
CN209019694U (zh) 一种防压疮麻醉面罩
JP2004337563A (ja) 吸・呼気・分別マスク
JP2019081984A (ja) 口腔・口周り保湿具
US20230211110A1 (en) Standalone patient heat and moisture exchanger
CN206699468U (zh) 新型口罩
JP3104193U (ja) 吸・呼気・分別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