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398B1 -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398B1
KR102483398B1 KR1020220060308A KR20220060308A KR102483398B1 KR 102483398 B1 KR102483398 B1 KR 102483398B1 KR 1020220060308 A KR1020220060308 A KR 1020220060308A KR 20220060308 A KR20220060308 A KR 20220060308A KR 102483398 B1 KR102483398 B1 KR 10248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ompany
match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가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06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며,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는, 복수의 단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로부터 관심부분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시 입력받은 제1 사용자가 속한 제1 기업의 기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가입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제2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1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기업정보에 대응하는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간에 매칭이 가능하도록 쌍방향 매칭 절차를 진행하는 매칭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엑시트 진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기업에 대한 실사 수행을 통해 작성된 실사 확인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 엑시트 진행 관련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엑시트 진행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본 정보는 사용자가 속한 기업의 기업명인 상호명, 이름,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및 관심부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부분 정보는 매칭 서비스, 컨설팅 서비스, 인수합병 서비스 및 엑시트 서비스를 포함한 복수의 이용 가능 서비스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항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Description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ENTERPRISE EXIT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INTERACTIVE MATCHING SERVICE}
본원은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Exit)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중소기업은 그동안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기술개발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왔다. 특히 중소제조기업들은 지속적인 R&D를 통해 경쟁사보다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경쟁력 확보의 최우선 과제라고 여겼으며, 정부도 이러한 경영전략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따라서 중소기업 실태조사와 같은 대규모 기업체 조사들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비용을 기업의 중요한 경영지표로 조사하여 왔으며 정부의 기술 정책들은 타 분야에 비해 양과 질 측면에서 월등히 많은 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국내 중소제조기업의 경영난 중 상당부분이 마케팅 역량의 부족, 그 중 유통전략의 부재에서 기인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아무리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소비자에게 자사의 제품을 알리지 못한다면 생산제품을 그대로 재고로 떠안고 부도 위기에 직면하게 되고, 제품에 대한 시장 수요가 창출되었으나 합리적 전달체계를 찾지 못한다면 역시 생산과 납품을 포기하게 된다.
종래에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등의 제조사들은 자신들이 제조한 제품의 판매하기 위해 자신들의 물건을 판매해 줄 유통채널/유통사를 스스로 찾고 또 입점을 시켜야 했다. 이때, 제품 판매가 가능한 유통채널로는 오픈 마켓, 소셜마켓(소셜커머스), SNS 플랫폼 등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높은 판매수수료로 인해 제조사들로 하여금 제품 입점에 대한 큰 부담감을 안겨주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종래 높은 판매수수료로 인한 제품 입점의 부담을 줄이면서, 제조사와 유통사 간에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이 회사를 키워 온전한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하고, 자금력 있는 대기업이나 다른 기업에 지분을 판매하는 경우 그 지분 매각으로 보상을 받거나, 대규모 자금의 유입을 통해 더 많은 투자 진행 및 회사의 더 큰 성장을 기대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기업 엑시트(Exit)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엑시트는 투자 후 출구전략을 의미하는데 투자자의 입장에서 자금을 회수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벤처기업의 엑시트 전략으로는 매각, 주식시장에 상장, 인수합병(M&A, Merger&Acquision), 기업청산 등이 있을 수 있다.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서의 엑시트는 기업 가치를 다방면으로 인정받아 엑시트를 할수록 생태계도 풍족해지고 또 다른 창업을 모색하거나 또 다른 창의적인 기업이 태어나고 성장하게 하는 발판을 제공해 생태계를 선순환시키는 구식을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즉, 엑시트(혹은 기업 엑시트)는 스타트업(Startup)에 투자하여 해당 기업 지분을 보유한 투자자(Investor)의 이익을 실현하도록 회수하는 과정으로 생태계 선순환 구축에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스타트업의 경우 `19년 M&A를 통한 엑시트는 0.5%에 불과하고 IPO를 통한 회수는 36.7%로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엑시트는 창업자나 투자자의 이익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활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엑시트를 희망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가이드의 지원이 필요하나, 종래에는 이러한 기술이 마땅치 않은 현실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216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엑시트를 희망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가이드를 지원할 수 있는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높은 판매수수료로 인한 제품 입점의 부담을 줄이면서 제조사와 유통사 간에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제조사와 유통사를 하나의 온라인 플랫폼안에서 상호매칭(Matching)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해 줄 수 있는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는, 복수의 단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로부터 관심부분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시 입력받은 제1 사용자가 속한 제1 기업의 기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가입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제2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1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기업정보에 대응하는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간에 매칭이 가능하도록 쌍방향 매칭 절차를 진행하는 매칭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엑시트 진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기업에 대한 실사 수행을 통해 작성된 실사 확인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 엑시트 진행 관련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엑시트 진행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본 정보는 사용자가 속한 기업의 기업명인 상호명, 이름,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및 관심부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부분 정보는 매칭 서비스, 컨설팅 서비스, 인수합병 서비스 및 엑시트 서비스를 포함한 복수의 이용 가능 서비스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항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제2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1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기업정보를 업로드한 제2 단말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으로서 매칭 승인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되면, 매칭완료 인식 후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거래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기업 각각은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제조사 또는 제품을 유통하는 유통사이고, 상기 매칭 제어부는, 제조사와 유통사 간의 매칭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업정보 각각은, 기업 기본정보 및 기업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기업 검색 메뉴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로서 복수 기업에 대한 기업 기본정보를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출시키고, 상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기업의 기업 기본정보를 포함한 상기 매칭 요청 알림을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상기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주문정보의 확인 및 상대방측 담당자 연락처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상기 매칭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제공받은 상기 매칭 요청 알림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에 대한 열람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한 후, 상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매칭 승인 응답 또는 매칭 거절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업 상세정보는 미리 설정된 이용금액의 결제를 결제 완료한 사용자에 한하여 열람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유료 열람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업의 기업정보는, 상기 제1 기업이 제조사인 경우, 회사 기본정보와 회사제품정보를 기업 기본정보로서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업이 유통사인 경우, 회사 기본정보를 기본 기업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엑시트를 희망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가이드를 지원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높은 판매수수료로 인한 제품 입점의 부담을 줄이면서 제조사와 유통사 간에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원은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조사와 유통사를 하나의 온라인 플랫폼안에서 상호매칭(Matching)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해 줄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의 매칭 제어부가 제1 단말의 화면의 일영역에 제공하는 관심 항목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b, c 등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열거된 구성요소들(즉,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0)를 포함하는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본 시스템(1)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은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0, 본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20a) 각각이 소지한 복수의 단말(20)(21,22,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혹은 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앱, 플랫폼 등)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는 제조사에 속한 사용자, 유통사에 속한 사용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말(20) 각각은 제조사에 속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 또는 유통사에 속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본원에서 제조사와 유통사는 각각 역할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용어를 달리 표현한 것일 뿐, 모두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일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말(21)이 제조사인 제1 기업(21b)에 속한 제1 사용자(21a)가 소지한 단말이고, 제2 단말(22)이 유통사인 제2 기업(22b)에 속한 제2 사용자(22a)가 소지한 단말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복수의 단말(20)(21,22, …) 중 어느 한 단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단말(20)(21,22, …)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제1 사용자(21a)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사용자(20a)(21a, 22a, …)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제조사에 속한 사용자임을 고려해, 제1 사용자(21a) 자체를 제조사라 지칭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제1 단말(21)은 제조사 단말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원에서는 일예로 제2 사용자(22a)가 유통사에 속한 사용자임을 고려해, 제2 사용자(22a) 자체를 유통사라 지칭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제2 단말(22)은 유통사 단말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원에서 복수의 사용자(20a) 각각은 제조사 또는 유통사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즉, 제조사, 유통사 등)의 단말(20a) 각각과 네트워크(5)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5)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복수의 단말(20) 각각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본 장치(10)는 단말(즉, 복수의 단말(20) 각각)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을 통해 사용자들(제조사나 유통사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단말(20) 각각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본 장치(10)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서버,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본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의 단말(20) 각각의 동작(일예로 화면 표시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앱은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앱(어플)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본 앱의 제공을 통해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웹 페이지(홈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20a)이 소지한 복수의 단말(20)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 본 시스템)은 본 장치(10)로서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장치(10)는 수신부(11), 회원가입 관리부(12), 매칭 제어부(13) 및 데이터베이스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여 설명하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 본 시스템)은 본 장치(10')로서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와 대비하여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두 장치(10, 10') 간에 차이가 있을 뿐, 두 장치(10, 10')는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 장치(1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 10')는 본원에서 기업 서비스 제공 장치 등으로 통칭되어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장치(10, 10')는 매커멕스 서비스(MaCoMaEx service)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매커멕스 서비스는 Matching(매칭 서비스), Consulting(컨설팅 서비스), M&A(인수합병 서비스), Exit(엑시트 서비스)의 약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장치(10, 10')는 매커멕스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제조사와 유통사를 하나의 온라인 플랫폼안에서 상호매칭(Matching)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해주고, 컨설팅(Consulting)과 엠엔에이(Mergers&Acquisition)를 통하여 기업을 성장시킨 후, 엑시트(Exit)할 수 있도록 써포트 해주는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0)를 통해 제공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매커멕스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2(즉, 도 2a 내지 도 2f)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매커멕스 서비스의 개념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즉, 도 3a 내지 도 3p)은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매칭 서비스(즉, 쌍방향 매칭 서비스, 쌍방향 매칭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즉, 도 4a 내지 도 4d)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컨설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엑시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장치(1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기재)된 사항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한 설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수신부(11), 회원가입 관리부(12), 매칭 제어부(13) 및 데이터베이스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20) 중 제1 사용자(21a)의 제1 단말(21)로부터 관심부분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본 정보는 도 3a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기본 정보는 본 장치(10)를 통해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사용자(즉, 제1 사용자(21a))의 기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기본 정보는 사용자(21a)가 속한 기업(21b)의 기업명인 상호명, 이름(성함),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및 관심부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부분 정보는 매칭 서비스, 컨설팅 서비스, 인수합병 서비스 및 엑시트 서비스를 포함한 복수의 이용 가능 서비스 항목 중 사용자(21a)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항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관심부분 정보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매칭 서비스, 컨설팅 서비스, 인수합병 서비스 및 엑시트 서비스) 중 사용자(21a)가 관심있어 하는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수신부(11)에서 수신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제공한 제1 사용자(21a)를 대상으로, 제1 사용자(21a)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시 입력받은(업로드된) 제1 사용자(21a)가 속한 제1 기업(21b)의 기업정보(즉, 자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a)가 제1 단말(21)을 통해 입력한 자사정보인 제1 기업(21b)의 기업정보는 제1 기업정보(21c)로서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4)에는 복수의 사용자(20a) 각각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앱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시 입력한 기업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14)에는 복수의 단말(20) 각각으로부터 업로드된 기업정보로서, 복수 기업(20b)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20c)가 저장될 수 있다.
복수 기업(20) 각각은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제조사 또는 제품을 유통하는 유통사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해, 복수의 단말(20) 각각은 제조사 또는 유통사일 수 있다. 본원에서 일예로 복수의 단말(20)과 복수 기업(20b)은 1:1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제1 단말(21)은 제조사인 제1 기업(21b)에 속한 제1 사용자(21a)가 소지한 단말이고, 제2 단말(22)은 유통사인 제2 기업(22b)이 속한 제2 사용자(22a)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베이스부(14)는 일예로 제조사 DB(미도시) 및 유통사 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일예로 회원가입을 하는 제1 사용자(21a)가 제조사인 경우 제1 기업정보(21c)를 제조사 DB에 저장하고, 제1 사용자(21a)가 유통사인 경우 제1 기업정보(21c)를 유통사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회원가입 관리부(12)는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제조사 관련 기업정보들을 제조사 DB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유통사 관련 기업정보들을 유통사 DB(미도시)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업정보 각각은 기업 기본정보 및 기업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업 기본정보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 누구나 무료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무료 열람 정보이고, 기업 상세정보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에서 특히나 기업 상세정보의 열람을 위해 기 설정된 이용금액(미리 설정된 이용금액)의 결제를 결제 완료한 사용자에 한하여 열람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유료 열람 정보일 수 있다. 즉, 기업 기본정보는 무료 열람 가능 정보, 기업 상세정보는 유료 열람 가능 정보라 지칭될 수 있다.
즉, 매칭 제어부(13)는 복수의 기업정보(20c)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사용자(21a)는 복수의 기업정보(20c)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a)는 복수의 기업정보(20c) 각각의 기업 기본정보를 무료로 열람하여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제1 사용자(21a)는 일예로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적어도 하나의 기업정보의 기업 상세정보를 보고자 할 경우, 본 장치(1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이용금액을 결제함(유료로 결제함)으로써, 보고자 하는 기업정보의 기업 상세정보를 열람하여 확인 가능할 수 있다.
회원가입 관리부(12)가 저장하는 제1 기업(21b)의 기업정보(21c)는, 일예로 제1 기업이 제조사인 경우, 회사 기본정보와 회사제품정보를 기업 기본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반면, 회원가입 관리부(12)가 저장하는 제1 기업(21b)의 기업정보(21c)는, 일예로 제1 기업이 유통사인 경우, 회사 기본정보를 기본 기업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3e, 3f, 3g 등을 참조하면,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제조사인 제1 사용자(21a)에 대한 회원가입 진행시, 제1 사용자(21a)로부터 기업정보로서(즉, 매칭 수행 전 입력받는 정보로서) 회사 기본정보, 회사제품정보 및 담당자 정보를 입력받아 제조사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회사 기본정보 및 회사제품정보는 무료 열람이 가능한 기업 기본정보이고, 담당자 정보는 유료 열람이 가능한 기업 상세정보일 수 있다.
제조사인 제1 사용자(21a)의 회원가입시 입력받는 정보 중 회사 기본정보에는 회사명, 법인 사업자번호, 법인 설립일, 업종, 회사소재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회사제품정보는 일예로 도 3g에 도시된 정보와 같을 수 있으며, 일예로 제품명칭, 완제품/부품 선택, 산업재산권 보유현황, 출시여부, 출시예정일, 제품소개자료 업로드 정보(일예로, 간략한 설명, 사진, 동영상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담당자 정보는 대표이사와 담당자(제품 관리 담당자) 각각에 대한 이름, 핸드폰번호 및 이메일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담당자 정보 중 담당자(제품 관리 담당자) 관련 정보에는 직위, 회사대표번호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일예로, 담당자 정보 중 대표이사 관련 정보는 타 사용자에게 노출이 안될 수 있다(즉, 미노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반면, 담당자 정보 중 담당자 관련 정보는 타 사용자가 유료 결제를 한 경우에 한하여 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21a)를 기준으로 타 사용자라 함은, 제1 사용자(21a)와의 매칭이 이루어진 상대방측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사용자(21a)가 제2 사용자(22a)에게 직접 매칭 요청을 한 경우, 제2 사용자(22a)를 타 사용자라 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a)가 제2 사용자(22a)로부터 매칭 요청을 받은 경우일 때에도, 제2 사용자(22a)를 타 사용자라 할 수 있다.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제1 기업정보(21c)가 업로드되면 이를 제조사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제조사 DB(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제조사 관련 기업정보를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기업 검색 메뉴 중 제조사 기업 검색 메뉴 버튼을 클릭한 경우, 일예로 도 3l의 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제조사 관련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품 이미지와 기본정보를 본 장치(10)의 홈페이지 상에 섬네일로 리스트업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e, 3f, 3k 등을 참조하면,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유통사인 제2 사용자(22a)에 대한 회원가입 진행시, 제2 사용자(22a)로부터 기업정보로서(즉, 매칭 수행 전 입력받는 정보로서) 회사 기본정보 및 담당자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사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유통사 관련 회사 기본정보 및 담당자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제조사와 관련하여 설명된 회사 기본정보 및 담당자 정보에 대한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제2 기업정보(22c)가 업로드되면 이를 유통사 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유통사 DB(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유통사 관련 기업정보를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기업 검색 메뉴 중 유통사 기업 검색 메뉴 버튼을 클릭한 경우, 일예로 도 3l의 우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유통사 관련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회사로고파일 이미지와 기본정보를 본 장치(10)의 홈페이지 상에 섬네일로 리스트업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20b)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20c)를 기업 검색 메뉴를 통해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출(노출)시킬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제2 기업정보(22c)와 관련하여 제1 단말(21)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2 기업정보(22c)에 대응하는 제2 단말(22)과 제1 단말(21) 간에 매칭이 가능하도록 쌍방향 매칭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칭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를 제1 단말(21)로 제공하고,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제2 기업정보(22c)와 관련하여 제1 단말(21)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2 기업정보(22c)를 업로드한 제2 단말(22)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하고, 제2 단말(22)로부터 상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으로서 매칭 승인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되면, 매칭완료 인식 후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거래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제조사와 유통사 간의 매칭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칭 제어부(13)는 '제조사와 유통사 간의 매칭' 뿐만 아니라, '제조사와 제조사 간의 매칭' 및 '유통사와 유통사 간의 매칭'도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업정보(20c) 각각은 무료 열람 가능 정보인 기업 기본정보 및 유료 열람 가능 정보인 기업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에서 기업 검색 메뉴에 대한 제1 사용자(21a)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20b)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를 제1 단말(21)로 제공할 때,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로서 복수 기업(20b)에 대한 기업 기본정보를(즉, 복수의 기업정보 내 기업 기본정보만을)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출시킬 수(제공할 수) 있다. 이후, 매칭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a)가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제2 기업정보(22c)를 직접 선택하여 매칭을 요청함에 따라, 제1 단말(21)로부터 제2 기업정보(22c)와 관련해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1 기업의 기업 기본정보(즉, 제1 기업정보(21c) 내 기업 기본정보)를 포함한 매칭 요청 알림을 제2 단말(2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매칭 제어부(13)로부터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받은 제2 단말(22)은, 제공받은 매칭 요청 알림(즉, 제1 기업정보(21c) 내 기업 기본정보가 포함된 매칭 요청 알림)을 기반으로, 제1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즉, 제1 기업정보(21c) 내 기업 상세정보)에 대한 열람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한 후, 제공받은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매칭 승인 응답 또는 매칭 거절 응답으로 결정하여 응답 결과를 본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매칭 제어부(13)는 제2 단말(22)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한 이후 제2 단말(22)로부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응답 결과)으로서 매칭 승인 응답이 수신되면,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된 이후,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주문정보의 확인 및 상대방측 담당자 연락처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매칭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처럼, 매칭완료가 인식되면, 매칭 제어부(13)는 매칭완료 인식 후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거래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두 단말 간에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채팅이 가능하도록 채팅방을 생성해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이 제2 단말(22)로 매칭 요청을 했을 때, 제1 기업의 기업 기본정보를 포함한 매칭 요청 알림을 제2 단말(22)로 제공하고, 이에 제2 단말(22)은 제공받은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매칭 승인 응답 또는 매칭 거절 응답으로 결정하여 응답 결과를 본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보다 신속한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특히, 제2 단말(22)에서 보다 빨리 응답 결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사용자(22a)의 단말인 제2 단말(22)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의 경과시마다 제2 단말(22)로 재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재촉 알림은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알림을 의미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10 분)의 경과시마다 재촉 알림의 제공시, 제공되는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재촉 알림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 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 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 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 4 알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매칭 제어부(13)는 13시 30분에 매칭 요청 알림을 전송한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이 경과된 13시 40분 제2 단말(22)부터 확인 응답(즉, 응답 결과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13 시 40 분에 제2 단말(22)로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 1 알림 유형(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촉 알림을 제 1 알림 유형으로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이 경과한 13 시 50 분 내에, 역시나 제2 단말(22)로부터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매칭 제어부(13)는 13시 50 분에 재차 재촉 알림을 제 2 알림 유형(메시지 제공과 더불어 제2 사용자(22a)의 단말인 제2 단말(22)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 2 알림 유형으로 재촉 알림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2 단말(22)에서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매칭 제어부(13)는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 3 알림 유형(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형태의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매칭 제어부(13)는 매칭 요청 알림의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한하여, 제2 단말(22)로부터 응답 결과의 제공(확인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 마다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재촉 알림의 제공시 알림 유형을 달리하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매칭 제어부(13)는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제2 단말(22)로부터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일예로 제2 사용자(22a)가 미응답인 것으로 인지하고 제1 사용자(21a)가 다른 기업을 재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제1 단말(21)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2 단말(22)로부터 응답이 제공될때까지 대기하도록 하는 대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매칭 제어부(13)는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 분)의 경과시마다 알림 유형을 변경시켜가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확인(응답 결과의 제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2 단말(22)로 제공하고, 나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기한(일예로 1시간)까지도 여전히 제2 사용자(22a)가 매칭 요청 알림을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사용자(21a)가 다른 기업을 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매칭 제어부(13)는 재촉 알림을 재전송할 때마다, 보다 인식의 강도가 높은 알림의 유형으로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바꾸어가며 재전송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재촉 알림의 제공을 통해,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로 하여금, 자신이 함께 작업하고자 하는 기업(즉, 매칭을 희망하는 기업)에 대한 응답 결과의 수신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두 기업 간에 신속한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촉 알림의 제공을 통해, 본 장치(10)는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받은 사용자(즉, 제2 사용자(22a))로 하여금 자신에게 매칭 요청 알림이 왔음에 대한 인지가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22)은 제공받은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매칭 승인 응답 또는 매칭 거절 응답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자신에게 매칭 요청을 한 해당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즉, 제1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를 확인한 후 결정하거나, 혹은 확인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22)은 자신에게 매칭 요청을 한 해당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즉, 제1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기업 상세정보의 열람을 위해 기 설정된 지불 금액(즉, 미리 설정된 이용금액)을 유료로 결제함으로써 열람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22)이 유료로 확인하고자 하는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는 제1 기업(21b)의 기업 상세정보로서, 이는 제조사의 기업 상세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조사의 기업 상세정보에는 일예로 도 3p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조사 측의 '담당자 정보를 포함한 제조사의 주문정보', '제조사의 요약재무제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제2 단말(22)이 유료로 확인하고자 하는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가 유통사의 기업 상세정보일 경우, 유통사의 기업 상세정보에는 일예로 도 3n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통사 측의 '유통사의 요약재무제표정보', '유통사의 유통경력사항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유통사의 유통경력사항 정보는 일예로 유통사가 업로드한 회사소개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일예로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제조사인 제1 사용자(21a)가 회원가입을 하려는 경우, 제1 기업정보(21c) 내 기업 상세정보(유료 열람 가능 정보로서 제조사의 주문정보, 제조사의 재무정보(요약재무제표정보), 담당자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유통사인 제2 사용자(22a)가 회원가입을 하려는 경우, 제2 기업정보(22c) 내 기업 상세정보로서 유통사의 재무정보(요약재무제표정보), 회사소개서(특히, 유통경력 위주의 회사정보로서, 유통사의 유통경력사항 정보를 포함한 회사소개서), 담당자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조사 혹은 유통사의 재무정보(요약재무제표정보)에는 신용등급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호, 연도별 매출액, 자본금, 부채비율, 현금흐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21a)는 일예로 복수 기업(20b)의 회사소개서(일예로 유통경력사항 정보)를 확인하여, 복수 기업(20b) 중 자신이 속한 제1 기업(21b)의 업종(일예로, 건설장비, 기계,금속, 전기전자, 섬유 등 중 적어도 하나)과 관련있는 유통경력을 가진 기업에 대하여 매칭 요청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사용자(21a)는 제1 단말(21)을 통해 본 장치(10)에 대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일예로 기업 검색 메뉴를 통해 복수 기업(20b) 중 자신이 매칭하고자 하는 특정 기업(유통사 혹은 제조사)(일예로 제2 기업)을 검색한 후 원하는 특정 기업(일예로 제2 기업)에 대하여 직접 매칭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a)는 특정 기업인 일예로 제2 기업(22b)의 제2 기업정보(22c) 중 기업 기본정보를 보고 직접 매칭 요청을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2 기업(22b)의 기업 상세정보를 보고자할 경우 유료로 결제하여 열람해 확인한 후 직접 매칭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술한 설명에서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타 사용자로서 일예로 제2 사용자(22a)에 대하여 매칭 요청(직접 매칭 요청)을 한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사용자(21a)는 직접 매칭 요청을 통해 제2 사용자(22a)와 매칭완료가 될 수도 있고, 혹은 제2 사용자(22a)로부터 매칭 요청을 받음으로써 제2 사용자(22a)와 매칭완료가 될 수도 있다.
즉, 제1 사용자(21a)는 본 장치(10)에 회원가입한 후 타 사용자로부터 자신에게 매칭 요청이 이루어질 때까지 대기(매칭 대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21a)가 매칭 대기 상태일 때 일예로 제2 사용자(22a)가 제1 사용자(21a)에게 매칭 요청을 한 경우,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하고, 이때 제1 사용자(21a)가 매칭 승인 응답을 한 경우 제1 사용자(21a)와 제2 사용자(22a)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될 수 있다.
본 장치(10)의 매칭 제어부(13)에 의해 제공되는 매칭 서비스(즉, 쌍방향 매칭 서비스)는, 일예로 도 3c 내지 도 3f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흐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매칭 제어부(13)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조사측 제1 단말(21)과 유통사측 제2 단말(22) 간에 매칭(쌍방향 매칭) 과정은, 일예로 도 3c 내지 도 3f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흐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매칭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단말(21)에서 제2 단말(22)로의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1 기업(21b)의 기업 기본정보(즉, 제1 기업정보(21c) 내 기업 기본정보)를 포함한 매칭 요청 알림을 제2 단말(2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22)로 제공되는 제1 기업(21b)의 기업 기본정보에는 일예로 도 3h 및 도 3i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칭 제어부(13)에 의해 기 생성된 제1 기업(21b)의 리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업(21b)의 리포트 정보는 제1 기업(21b)의 제품 및 회사정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만약, 제2 단말(22)에서 제1 단말(210로의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매칭 제어부(13)는 제2 기업(22b)의 기업 기본정보를 포함한 매칭 요청 알림을 제1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21)로 제공되는 제2 기업(22b)의 기업 기본정보에는 일예로 도 3j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칭 제어부913)에 의해 기 생성된 제2 기업(22b)의 리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업(22b)의 리포트 정보는 제2 기업(22b)의 회사정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3m 및 도 3n은 일예로 제조사측 제1 단말(21)이 유통사측 제2 단말(22)로부터 매칭 요청을 받았을 경우의 흐름 예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매칭 제어부(13)는 제2 단말(22)이 제1 단말(21)로 매칭 요청을 하면, 제1 단말(21)의 화면에 제2 기업의 기업 기본정보(일예로, 회사명, 업종, 회사소재지, 회사 설립년월일, 주요유통품목, 유통경력)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본 제1 사용자(21a)는 매칭 요청에 대한 응답을 '예(매칭 승인 응답)' 또는 '아니오(매칭 거절 응답)'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응답을 결정함에 있어서, 제1 사용자(21a)는 도 3n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일예로 요약재무제표정보, 유통경력사항정보 등)를 유료로 결제하여 열람해 본 후 응답을 예 또는 아니오로 결정하거나, 혹은 제2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를 보지 않고 응답을 결정할 수도 있다.
만약, 제1 사용자(21a)가 '예(매칭 승인 응답)'로 응답하면,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매칭 제어부(13)는 도 3m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입력한 주문정보(이는 예 응답 후 입력된 주문정보 혹은 회원가입시 미리 입력해둔 주문정보일 수 있음)와 담당자 정보를 제2 단말(2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22)은 제1 사용자(21a)가 제공한 주문정보와 담당자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유료 결제를 한 후 열람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22)이 주문정보와 담당자 정보를 유료로 결제해 확인한 후 주문정보에 대해 승인 응답(혹은 확인 응답)을 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매칭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3o 및 도 3p는 일예로 유통사측 제2 단말(22)이 제조사측 제1 단말(21)로부터 매칭 요청을 받았을 경우의 흐름 예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이 제2 단말(22)로 매칭 요청을 하면, 제2 단말(22)의 화면에 제1 기업의 기업 기본정보(일예로, 회사명, 업종, 회사소재지, 회사 설립년월일, 주요유통품목, 유통경력)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본 제2 사용자(22a)는 매칭 요청에 대한 응답을 '예(매칭 승인 응답)' 또는 '아니오(매칭 거절 응답)'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응답을 결정함에 있어서, 제2 사용자(22a)는 도 3p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일예로 요약재무제표정보, 담당자 정보가 포함된 주문정보 등)를 유료로 결제하여 열람해 본 후 응답을 예 또는 아니오로 결정하거나, 혹은 제1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를 보지 않고 응답을 결정할 수도 있다.
만약, 제2 사용자(22a)가 '예(매칭 승인 응답)'로 응답하면,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매칭 제어부(13)는 도 3o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제2 사용자(22a)가 입력한 제2 기업(22b)의 회사소개서(특히, 유통사의 유통경력사항 정보가 포함된 회사소개서로서, 이는 예 응답 후 입력된 정보이거나 혹은 회원가입시 미리 입력된 정보일 수 있음)와 담당자 정보를 제1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조사측 제1 단말(21)은 제2 사용자(22a)가 제공한 회사소개서와 담당자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유료 결제를 한 후 열람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21)이 회사소개서와 담당자 정보를 유료로 결제해 확인한 후 승인 응답(혹은 확인 응답)을 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매칭 제어부(13)는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매칭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서로 간에 매칭완료된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을 매칭 기업의 단말로 인식하고, 서로 간 거래가 가능하도록 상술한 채팅방 등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매칭완료된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은 서로 간에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매칭완료가 이루어지면, 제조사인 제1 기업(21b)은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확인 완료된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공급 요청 제품(즉, 주문제품)을 주문수량에 맞추어 공급요청일까지 제조(생산)하여 제2 기업(22b)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 내 제어부(미도시)는 매칭 기업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나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를 수행하는 제1 기업(21b)에 대한 제조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장치(10)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본 장치(10) 내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를 수행하는 제1 기업(21b)가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공급 요청 제품(즉, 주문제품)을 주문수량에 맞추어 공급요청일까지 제조(생산) 가능한지에 대한 제조완료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매칭완료되어 주문정보에 대한 제조(생산)를 수행하게 되는 제1 단말(21)이 주문정보 내 공급요청일까지 지시받은 작업(즉, 주문수량 만큼의 공급 요청 제품의 제조 작업)의 완료가 가능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일예로 공급 요청 제품의 주문정보 내 공급요청일(일예로 2022년 06월 18일 15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한(일예로 4일)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즉, 2022년 6월 14일 15시)을 가능성 판단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가능성 판단 시점이 도래하였을 때(즉, 2022년 6월 14일 15시가 되었을 때) 공급 요청 제품에 대한 작업이력(작업 활동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공급 요청 제품의 제조를 위한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중에서 가능성 판단 시점에 남아있는 남은 공정작업 단계(즉, 제조중 상태이거나 제조대기 상태에 있는 공정작업 단계)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 요청 제품이 안마의자인 경우, 예시적으로 공급 요청 제품의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에는 부분 조립 부품을 생산하는 제1 단계, 생산된 부분 조립 부품을 결합시켜 조립하는 제2 단계, 조립된 안마의자에 전자적 요소(제어요소)를 결합시키는 제3 단계, 안마의자의 작동에 대한 결함 여부를 테스트하는 제4 단계, 및 외관 이상 여부를 테스트하는 제5 단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의 공정작업은 공급 요청 제품의 제조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일예로 복수의 공정작업 단계 중 제1 단계는 제조완료 상태, 제2 단계는 제조진행중 상태, 제3 단계 내지 제5 단계는 제조대기 중 상태인 경우, 남은 공정작업 단계는 제2 단계 내지 제5 단계로 인식될 수 있다.
본 장치(10) 내 작업이력 DB(미도시)에는 복수 기업(20b) 내 각 제조사마다, 각 제조사에서 제조(생산)하는 제품의 작업이력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즉, 작업이력 DB(미도시)에는 각 제조사마다 제조(생산)하는 제품 각각 마다, 각 제품의 제조 공정작업에 대한 작업이력(작업 활동 이력)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력 정보에는 복수의 공정 단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정 단계에 대한 진행상태 정보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상태 변경된 공정 단계와 관련하여 상태 변경 입력 시간, 진행상태 정보(각 공정 단계의 작업시작, 작업완료 등), 작업수량, 공정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작업이력 DB(미도시)에 저장된 제품별 작업이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각 제조사마다 제조하는 제품별로(제조하는 제품들의 종류 각각마다) 각 제품 내 공정 단계 각각의 평균 공정 처리 시간(특히, 1개의 제품 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작업이력 DB(미도시) 내에 제1 기업(21b)에서 생산하는 제1 제품에 대한 과거의 작업이력 정보로서 과거 1년 동안에 저장된 30개의 작업이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자. 제어부(미도시)는 이들 30개의 작업이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제1 제품의 복수의 공정 단계마다(일예로, 제1 제품이 안마의자인 경우, 상술한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 각각마다)의 1개의 제품 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각 제조사별 제조하는 제품들 각각의 작업이력 정보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공급 요청 제품과 동일한 동일 제품에 대하여 기 산출된 평균 공정 처리 시간(즉, 동일 제품에 대하여 기 산출된 복수의 공정 단계마다의 개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 및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주문수량 수를 고려하여,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예상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산출된 예상 공정 처리 시간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가능성 판단 시점(일예로 22년 6월 14일 15시)으로부터 공급요청일(즉, 2022년 06월 18일 15시)까지 기간(4일)에 대응하는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일예로 하루 근무시간을 8시간으로 가정하였을 때, 8시간X 4=36시간)과 산출된 합계 시간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공급 요청 제품에 대한 공급요청일까지의 제조완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제조완료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일예로 제조완료 가능 혹은 제조완료 불가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과 합계 시간을 비교한 결과, 합계 시간이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보다 큰 경우(일예로, 합계 시간이 40시간이고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이 36시간임에 따라, 합계 시간이 4시간 더 많은 경우), 제조완료 가능성을 제조완료 불가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합계 시간에서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을 뺀 차이 시간(즉, 4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차이 시간을 고려한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는 예시적으로 '현시각 기준으로 공급 요청 제품을 공급요청일까지 제조완료하려면, 4시간의 추가 근무가 필요합니다. 이를 고려해 제조 작업을 진행하기를 바랍니다'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만약,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과 합계 시간을 비교한 결과, 합계 시간이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일예로, 합계 시간이 36시간 이하인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제조완료 가능성을 제조완료 가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서는, 제어부(미도시)가 공급 요청 제품의 주문정보 내 공급요청일(일예로 2022년 06월 18일 15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한(일예로 4일)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즉, 2022년 6월 14일 15시)을 가능성 판단 시점으로 인식해, 해당 가능성 판단 시점에서만 제조완료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어부(미도시)는 공급요청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한(일예로 4일)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즉, 가능성 판단 시점)부터 공급요청일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일예로 3시간) 제조완료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를 생성해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공급 요청 제품에 대한 현재의 작업이력 정보(혹은 공급 요청 제품의 현재의 제품 제조 현황 정보)와 과거의 작업이력 정보를 토대로 기 산출된 해당 제품 내 복수의 공정 단계마다의 개당 평균 공정 처리 시간을 고려해, 현재 남아있는 남은 공정작업 단계 전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예상 공정 처리 시간(합계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합계 시간과 공급요청일까지의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을 고려하여 제조완료 가능성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공급 요청 제품을 제조(생산)하여 제공하는 제조사인 제1 기업(21b) 내지 제1 사용자(21a)가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제품의 제조와 공급을(즉, 공급 요청 제품의 제조)를 공급요청일의 기한을 넘기지 않고 공급요청일 그 이전에 원활하게 제조완료를 할 수 있도록 도움 줄 수 있다.
한편, 매칭완료된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서로 간에 대면 만남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예로 제1 단말(21)이 제2 단말(22)과의 대면 만남이 필요한 경우, 제1 사용자(21a)는 제1 단말(21)을 통해 제2 사용자(22a)와의 대면 만남을 수행하고자 하는 만남 날짜에 대한 대면 만남 약속 정보를 기록하여 본 장치(10)에 등록해 둘 수 있다. 제1 사용자(21a)가 등록한 대면 만남 약속 정보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 내 약속 관리 DB(미도시)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a)가 등록한 대면 만남 약속 정보에는 대면 만남 날짜 정보, 대면 만남 대상자인 제2 사용자(22a)의 휴대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대면 만남 날짜 정보는 대면 만남이 이루어지는 날짜(년, 월, 일) 정보, 및 시간 정보(몇시 몇분)가 포함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a)가 등록한 대면 만남 약속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날짜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면 만남 약속 정보 내 제2 사용자(22a)의 휴대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하여, 대면 만남 약속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대면 만남 팝업 정보를 제1 단말(21) 및 제2 단말(22)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 날짜는 대면 만남 약속 정보에 대응하는 대면 만남 날짜 정보로부터 24시간 전에 해당하는 날짜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오늘로부터 일주일 후인 2022년 5월 30일, 오전 11시에 제2 사용자(22a)와 A회사(제1 사용자가 다니는 회사, 기업)에서 대면 만남이 약속되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1 사용자(21a)는 제1 단말(21)을 통해 [2022년 5월 30일, 오전 11시, 제2 사용자(22a)와 A회사에서 대면 만남 예정, 제2 사용자(22a)의 휴대전화번호:000-000-0000]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본 장치(10)에 대면 만남 약속 정보로서 등록해 둘 수 있다.
이때, 매칭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a)가 기 등록한 대면 만남 약속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날짜(즉, 2022년 5월 29일, 오전 11시)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면 만남 약속 정보 내 제2 사용자(22a)의 휴대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하여, 대면 만남 약속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대면 만남 팝업 정보를 제1 단말(21) 및 제2 단말(22)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대면 만남 팝업 정보는 "내일 오전 11시, A 회사에서 제1 사용자(21a) 님과 제2 사용자(22a) 님의 대면 만남이 예정되어 있음"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제1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단말 내에 제2 사용자와의 만남 약속을 까먹지 않기 위해 만남 약속을 기록해 두면, 만남 약속이 기록된 단말(즉, 제1 사용자의 단말)에만 만남 약속에 대한 알림 팝업이 제공됨에 따라, 만남 약속을 자신의 단말에 기록해둔 해당 사용자(즉, 제1 사용자)만이 만남 약속을 잊지 않고 기억할 수 있다. 만약, 제2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별도로 만남 약속을 기록해 두지 않았다면,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와의 만남 약속을 까먹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의 실제 만남에 있어서, 약속된 시간에 만나지 못하거나 약속을 미루는 등 만남 약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가 대면 만남 약속 정보 내에 대면 만남 대상자인 제2 사용자(22a)의 휴대전화번호를 함께 기록하여 본 장치(10)에 미리 등록해두면, 해당 대면 만남 약속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날짜에 도달하였을 때, 대면 만남 약속 정보에 대한 대면 만남 팝업 정보를 제1 사용자(21a) 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22a)에게 함께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와 제2 사용자(22a)가 서로 간에 함께 하기로 한 대면 만남 약속 정보에 대한 공지(알림)인 대면 만남 팝업 정보의 제공이, 대면 만남 약속 정보를 자신의 단말에 등록/저장한 제1 사용자(21a) 뿐만 아니라, 해당 대면 만남 약속 정보와 관련된 만남 대상자인 제2 사용자(22a) 모두에게 함께(동시에) 알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10)는 제2 사용자(22a)가 제1 사용자(21a)와의 대면 만남 약속을 별도로 기록하거나 메모해 두지 않아 까먹었다 할지라도, 제1 사용자(21a)가 자신의 단말에 미리 등록해둔 대면 만남 약속 정보로 하여금 제2 사용자(22a) 역시 대면 만남 팝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자신(제1 사용자(21a))뿐만 아니라 대면 만남 약속을 함께 하기로 한 상대방(즉, 제2 사용자(22a))이 해당 대면 만남 약속 정보를 망각하지 않도록 상기되도록 하여, 서로 간에 원활한 대면 만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21a)가 제2 사용자(22a)와 제3 사용자를 함께 같은 날에 대면 만남을 하기로 약속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21a)는 대면 만남 약속 정보 내에 제2 사용자(22a)의 휴대전화번호와 제3 사용자의 휴대전화번호를 함께 입력하여 대면 만남 약속 정보를 등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칭 제어부(13)는 대면 만남 팝업 정보를 제1 단말(21), 제2 단말(22) 및 제3 사용자가 소지한 제3 단말(미도시) 모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매칭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된 복수의 기업정보(20c)의 리스트를 기업 검색 메뉴를 통해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출(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제1 사용자(21a)는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출된 복수 기업(20b)의 복수의 기업정보(20c)의 리스트 중 매칭을 희망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업(매칭 희망 기업)의 기업정보(일예로 제2 기업의 제2 기업정보(22c))를 선택하여 매칭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a)는 리스트 내 복수의 기업정보(20c)를 서로 비교해 보면서, 복수 기업(20b) 중 자신이 마음에 들어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업을 매칭 희망 기업으로서 선택해 매칭 요청을 할 수 있는데, 이때 매칭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a)가 복수 기업(20b) 중 매칭 희망 기업을 선택함에 있어서, 매칭 희망 기업의 선택 내지 다수 기업들 간의 정보 비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관심 항목 표시부(50)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매칭 제어부(13)가 제1 단말(21)의 화면의 일영역에 제공하는 관심 항목 표시부(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매칭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a)가 기업 검색 메뉴를 클릭한 것으로 감지되면,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된 복수의 기업정보(20c)(21c, 22c, 23c, …)의 리스트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출(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사용자(21a)는 리스트를 통해 기업정보들(21c, 22c, 23c, …)을 비교해 보고, 그 중 제1 사용자(21a)가 가장 마음에 들어 하는 기업정보(즉, 매칭을 희망하는 기업의 기업정보)를 선택하여 매칭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a)가 리스트 내에 포함된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기업의 기업정보를 선택해 매칭 요청을 함에 있어서, 여러 관심 후보 정보들(즉, 관심있어 하는 여러 기업들의 기업정보들) 사이에서 어느 기업정보를 선택해 매칭 요청을 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21a)는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 중 일예로 가장 마음에 드는 기업정보로서 제2 기업정보(22c)를 선택함에 있어서,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 중 일부 기업정보(일예로 제2 기업정보와 제5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유통사인 제5 기업의 제5 기업정보)가 마음에 드는 경우, 마음에 드는 일부 기업정보를 관심 기업정보로서 관심 항목 표시부(50)에 임시로 저장해 두고, 관심 항목 표시부(50)에 임시로 저장해둔 일부 기업정보(즉, 관심 기업정보)와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들을 함께 비교해 보면서, 최종 마음에 드는 기업정보(일예로 제2 기업정보)를 최종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예로 제1 사용자(21a)는 리스트 내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을 확인해 보면서, 일예로 제2 기업정보(22c)를 관심 기업정보로 임시 저장해 두고 싶은 경우, 제2 기업정보(22c)를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동안 누를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매칭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a)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른 제2 기업정보(22c)를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비어있는 복수개의 슬롯(51, 52, …) 중 제1 슬롯(51)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21a)는 리스트를 확인해 보면서 리스트 내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 중 제5 기업정보(미도시)를 관심 기업정보로 임시 저장해 두고 싶은 경우, 제5 기업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를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매칭 제어부(13)는 제2 슬롯(52)에 제5 기업정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관심 항목 표시부(50)는 기본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본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a)가 자신이 관심 기업정보로 임시 저장해 둔 기업정보들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제1 사용자(21a)는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확장부(50a)를 클릭할 수 있다. 이때, 확장부(50a)에 대한 제1 사용자(21a)의 클릭에 응답하여, 매칭 제어부(13)는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가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인해, 제1 사용자(21a)는 자신이 관심 기업정보로 임시 저장해둔 기업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에는 제1 슬롯(51)에 제2 기업정보(22c)가, 제2 슬롯(52)에 제5 기업정보가 표시(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각 슬롯을 통해서는 일예로 임시 저장되어 있는 관심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관심 기업정보의 대표 이미지가(일예로 제1 슬롯(51)에는 제2 기업정보(22c)의 대표 이미지가, 제2 슬롯(52)에는 제5 기업정보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노출)될 수 있다.
이때, 매칭 제어부(13)는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가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표시된 상태일 때, 제2 기업정보(22c)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는 제1 슬롯(5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초) 이내의 제1 사용자(21a)의 선택 입력(클릭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 슬롯(51)에 대응되는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 제공 화면이 제1 단말(21)의 화면 전체에 표시되도록 제1 단말(21)을 제어(즉,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넘어가도록 제1 단말(21)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매칭 제어부(13)는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표시된 상태일 때, 제2 기업정보(22c)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는 제1 슬롯(5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누름 시간(일예로 3초) 이상으로 제1 사용자(21a)의 누름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일예로 3초 동안 눌렀다가 뗀 경우), 이를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 제공 화면이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즉,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넘어가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제1 단말(21)의 화면의 일영역 상에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가 오버랩 형태로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제1 슬롯(51)에 대응되는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 제공 화면을 현재 제1 단말(21)의 화면의 일영역 상에 팝업 형태로 오버랩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21)의 현재 화면 상에 오버랩 되어 표시되는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 제공 화면의 크기(즉, 오버랩 영역의 크기, 혹은 팝업 영역의 크기)는, 제1 단말(21)의 전체 화면 중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오버랩 표시 영역의 일영역에는 오버랩되어 표시된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 제공 화면이 화면 상에 미노출 되도록 하기 위한(즉, 제1 단말(21)의 화면 상에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꺼짐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꺼짐 버튼에 대한 제1 사용자(21a)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제1 단말(21)의 화면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어 있던 제2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 제공 화면이 제1 단말(21)의 화면 상에서 없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슬롯(51)에 대응되는 제1 기업정보(22c)의 기업 기본정보 제공 화면을 제1 단말(21)의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오버랩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제1 사용자(21a)는 다수의 관심 기업정보를 서로 비교함에 있어서, 특정 관심 기업정보의 기업 기본정보를 별도로 제공하는 페이지로 넘어갔다가 다시 이전페이지로 돌아왔다가 하는 등 왔다갔다 할 필요 없이(즉, 번거로움의 필요 없이), 효율적으로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a)는 관심 항목 표시부가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된 상태에서, 다른 기업정보들(즉, 리스트 내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를 기본 상태로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사용자(21a)는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확장부(50a)를 클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에서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바뀔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가 리스트 내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 중 어느 한 기업정보를 선택해 매칭 요청을 함에 있어서, 어느 기업에게 매칭 요청을 할 것인지를 최종 결정하는 데에 고민되는 후보 기업정보들을 관심 있는 관심 기업정보로서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슬롯들에 임시로 저장해 두고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매칭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a)가 슬롯들에 임시 저장해둔 관심 기업정보들의 정보와 리스트의 정보가 제1 단말(21)의 한 화면 상에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관심 항목 표시부의 제공을 통해,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가 복수의 기업정보(21c, 22c, 23c, …)들 중 특정 기업정보를 선택하여 매칭 요청을 함에 있어서, 다수의 기업정보들 간의 비교(특히, 임시 저장해둔 복수의 관심 기업정보들 간의 비교, 내지 임시 저장해둔 관심 기업정보와 리스트 내 기업정보들 간의 비교)를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바, 제1 사용자(21a)에게 매칭 희망 기업의 선택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관심 항목 표시부의 제공을 통해, 제1 사용자(21a)가 특정 기업의 기업정보를 보고 매칭 요청을 할 때, 다수 기업의 기업정보 간의 비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매칭 제어부(13)를 통해 제공되는 매칭 서비스를 통해, 각 제조사와 유통사가 상대방측 기업의 기업정보를 사전에 열람하여 거래를 원할 경우 매칭 승인(매칭 승인 응답)을 하고, 이를 통해 쌍방(두 기업) 간의 매칭 승인이 완료되면 두 기업 간에 거래가 시작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두 기업(혹은 두 단말) 간의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된 경우에 한하여 두 기업 간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업들 간의 무작위 거래가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매칭 제어부(13)에 의한 매칭 서비스 제공을 통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장치(10)는 무작위 거래가 아닌 상호 매칭회사의 선택 후 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 가격이 안정되도록 할 수 있고, 기존거래처 외에 전국의 각 거래처를 다변화할 수 잇다. 또한, 본 장치(10)는 오픈마켓, 소셜마켓, SNS 플랫폼 등의 높은 판매수수료를 절감시켜 판매를 원하는 제조사나 유통을 원하는 유통사로 하여금 제품 입점에 대한 부담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당사자(제조사와 유통사) 간의 직접 거래를 가능하도록 해 수익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미도시)는 제1 사용자(21a)가 제1 단말(21)을 통해 감시 이미지 제공 요청을 한 경우, 그에 응답하여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제품(주문제품)에 대한 제조 공정작업의 진행이 이루어지는 제1 단말(21)의 제1 기업(21b)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a)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일부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1 기업(21b) 내 주문제품의 제조 공정작업 공간(이하 작업장이라 지칭될 수 있음)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업(21b) 내 작업장에는 작업장 내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개의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작업장 내 설치된 복수개의 이미지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작업장 내 복수개의 이미지센서 중 제1 이미지센서의 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이미지센서가 존재하되, 제1 이미지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 제2 이미지센서로부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수신을 위해 제2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함은, 예시적으로 제1 이미지센서가 고장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제1 이미지를 본 장치(10)가 획득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이미지센서를 통해 이미지 획득이 어려운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2 이미지센서의 각도(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하여 제2 이미지센서로부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2 이미지센서의 각도를 제어하기 이전의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에 겹침 영역의 크기를 기준(즉, 제2 이미지센서의 각도를 제어하기 이전의 겹침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간에 겹침 영역의 크기가 더 커지는 방향으로 제2 이미지센서의 각도(이미지 획득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변경 제어)가 이루어진 이후에 제2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2 이미지) 내 겹침 영역의 크기, 즉 제1 이미지와의 겹침 영역의 크기는, 제2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변경 제어)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제2 이미지 내 겹침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이미지 획득 각도의 제어(변경 제어)가 이루어진 제2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각도 변경 이미지(특히, 각도 변경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로서 수신하여 제1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요청한 제1 이미지센서의 제1 이미지를 제1 단말(21)로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서도, 해당 이미지(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촬영하는 이미지센서(즉, 제2 이미지센서)의 각도를 제어(특히, 겹침 영역의 각도가 더 넓어지는 방향으로 제2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각도가 변경되도록 제어된 이미지센서(즉, 제2 이미지센서)로 하여금 제1 이미지에 대한 대체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21a)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일예로 제1 이미지센서의 제1 이미지를 제1 사용자(21a)에게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제1 이미지센서와 이웃하도록 배치된 제2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하여 해당 제1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대체 이미지)를 제1 사용자(21a)에게 대신 제공할 수 있는바, 제1 사용자(21a)에 대한 이미지 제공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복수의 이미지센서 내에 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의 조합 경우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 제어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를 선택하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복수개의 이미지센서 내에 제1 이미지와 적어도 일부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가 복수개인 경우,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수신을 위해,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 중 제어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센서 내에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가 존재하되, 이러한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가 복수개 존재(일예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센서,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3 이미지센서 및 제4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4 이미지센서를 포함해 복수개 존재)한다고 하자. 이처럼,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일예로 복수의 이미지센서 내에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제2 이미지센서 내지 제4 이미지센서)가 존재하는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제2 이미지센서 내지 제4 이미지센서)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2 이미지센서와 제3 이미지센서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이미지센서를 통해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2 이미지)와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3 이미지센서를 통해 각도 변경 이미지(각도 변경 제3 이미지)가 획득(수신)하여 이들을 연결(결합)시킴으로써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가 획득(생성)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다른 일예로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2 이미지센서, 제3 이미지센서 및 제4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제어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이미지센서 내지 제4 이미지센서 각각을 통해 각도 변경 이미지(즉, 각도 변경 제2 이미지, 각도 변경 제3 이미지, 각도 변경 제4 이미지)를 획득(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2 이미지센서 내지 제4 이미지센서 각각의 각도 변경 이미지 내에서 제1 이미지와 겹치는 겹침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를 제1 부분 이미지 내지 제3 부분 이미지로서 추출하고, 추출된 제1 부분 이미지 내지 제3 부분 이미지를 연결(결합)시키는 편집을 수행함으로써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획득(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일예에서와 같이 2개의 이미지센서(즉, 제2 이미지센서와 제3 이미지센서)의 각도 제어를 통한 대체 이미지의 획득 예는 제1 경우의 예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예에서와 같이 3개의 이미지센서(즉, 제2 이미지센서 내지 제4 이미지센서)의 각도 제어를 통한 대체 이미지의 획득 예는 제2 경우의 예라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센서 내에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제2 이미지센서 내지 제4 이미지센서)가 존재하는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1 경우의 예와 같이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 중 선택적으로 제2 이미지센서와 제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대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일예로 제2 경우의 예와 같이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 중 선택적으로 제2 이미지센서 내지 제4 이미지센서 모두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대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의 일예에 따르면, 본 장치(10)에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의 조합 경우의 수가 2개(제1 경우의 예와 제2 경우의 예를 포함하는 2가지 경우)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의 조합 경우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제1 경우 및 제2 경우를 포함해 복수개인 경우),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제어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겹침 촬영 이미지센서)를 선택하여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제1 경우의 예에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가 2개인 반면, 제2 경우의 예에서는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가 3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경우가 제2 경우보다 대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가 더 적으므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2가지의 경우 중 제1 경우의 예와 같이, 일예로 제어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센서로서 제2 이미지센서와 제3 이미지센서를 선택하고, 제2 이미지센서와 제3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획득 각도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a)가 요청한 제1 이미지센서의 제1 이미지를 제1 사용자(21a)에게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대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 제어되는 이미지센서(겹침 촬영 이미지센서)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제1 이미지와 유사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이미지(대체 이미지)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최소한의 수로 제어되는 겹침 촬영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각도 변경 이미지를 토대로 대체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대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이미지 편집 시간을 줄일 수 있고(보다 빠른 대체 이미지의 생성이 가능하고), 적은 이미지의 수를 이용한 이미지 간 결합을 통해 제1 사용자(21a)에게 제공되는 이미지(제1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제공을 통해 제1 사용자(21a)가 작업장의 내부 상황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제1 사용자(21a)에게 제1 기업(21b) 내 제품 제조가 이루어지는 작업장의 관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제1 단말(21)의 제1 기업(21b) 내 작업장을 3차원으로 모델링한 모델링된 작업장 상에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공정 기기의 위치를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공정 기기라 함은 작업장 내에 마련되어 주문제품의 제조 공정작업의 진행시 이용되는 각종 공정 기기(설비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공정 기기에는 절단기, 코팅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는 복수의 공정 기기 뿐만 아니라 작업장 내에 설치된 각종 기기(일예로, 복수의 이미지센서, 복수개의 환경복합센서, 복수개의 IOT 제어센서 등)의 위치를 모델링된 작업장 상에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제1 단말(2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공정 기기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각종 기기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모델링된 작업장에(모델링된 작업장의 데이터 상에) 작업장 내에 마련된 복수의 공정 기기의 위치를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출시킬 때, 복수의 공정 기기 중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대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공정 기기 중 본 장치(10)가 기기로 데이터 요청을 하였으나 해당 요청에 대하여 응답을 수행하지 않는 기기를 이상 공정 기기(즉, 고장이 나거나 하여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상 공정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대비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이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보다 크기를 크게 하여 표시하거나, 색을 더 진하게 하여 표시하거나, 보다 인식(각인)이 잘되도록 깜빡이는 효과를 넣어 표시하는 등 차이를 두어 표시를 달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는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공정 기기의 위치를 제1 기업(21b) 내 주문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을 3차원으로 모델링한 모델링된 작업장 상에 마크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특히나 복수의 공정 기기 중 이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을 정상 공정 기기의 마크 아이콘 대비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로 하여금, 작업장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공정 기기 중 문제가 있는 기기(고장이 난 기기 등)의 존재 여부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문제가 있는 기기의 위치를 보다 직관적으로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공정 기기 중 감지된(식별된) 이상 공정 기기가 기 설정된 교체 조건을 충족하여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된 이상 공정 기기가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의 교체의 추천을 위한 교체 이상 공정 기기 추천 정보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교체 조건은 미리 설정된 기간(예시적으로, 1달)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일예로, 5번) 만큼 이상 공정 기기로 감지(식별)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예로 복수의 공정 기기 중 제1 공정 기기가 1달 내에 5번 이상 문제가 있는 이상 공정 기기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제1 공정 기기를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교체 이상 공정 기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교체 이상 공정 기기 추천 정보는,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와 동일한 기기인 동일 기기 추천 정보 및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와 유사 성능을 가진 다른 기기인 유사 기기 추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가 제1 공정 기기(일예로 코팅 설비 기기)인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제1 공정 기기(코팅 설비 기기)와 관련하여 교체 이상 공정 기기 추천 정보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교체 이상 공정 기기 추천 정보에는 제1 공정 기기와 동일한 코팅 설비 기기의 추천 정보(동일 기기 추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제1 공정 기기인 코팅 설비 기기와는 다른 유형의 코딩 설비 기기(일예로, 제조사/모양/구조 등이 다른 코팅 설비 기기)이되 제1 공정 기기인 코팅 설비 기기와 유사 성능을 가지는 유사 코팅 설비 기기의 추천 정보(유사 기기 추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교체 이상 공정 기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유사 기기 추천 정보로는,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인 제1 공정 기기(코팅 설비 기기) 대비 일예로 후기(평가)가 더 좋거나, 가격이 더 낮거나, 품질이 더 좋은 기기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기기 제어 관리부(미도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공정 기기 중 특정 기기에 대하여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즉,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교체 대상 이상 공정 기기와 동일한 동종의 기기 뿐만 아니라 그와는 종류가 다르나 성능이 좋은 가성비 좋은 기기를 함께 추천 정보(교체 이상 공정 기기 추천 정보)로서 제1 사용자(21a)에게 제공(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로 하여금, 주문제품의 생산 공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 내에서 운용되는 복수의 공정 기기들 중 교체가 필요한 공정 기기의 존재 여부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공정 기기에 대한 교체의 과정이 보다 용이해지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가 본 장치(10)를 통하여 작업장 내 각종 공정 기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와 연동되는 작업장 내 복수의 공정 기기들(각종 기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로 하여금 작업장 내 복수의 공정 기기의 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작업장을 관리하는 제1 사용자(21a)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a)로 하여금 작업장 내 주문제품의 생산시 이용되는 각종 복수의 공정 기기에 대한 상태 파악 및 작업장의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고, 제1 사용자(21a)에게 관리 편의성,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 가능한 매커멕스 서비스 중 매칭 서비스 외 다른 서비스들(즉, 컨설팅 서비스, 인수합병 서비스 및 엑시트 서비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본 장치(10')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10’)를 포함하는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10', 본 장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장치(10')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의 구성에 엑시트 진행 관리부(15)가 더 포함되었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본 장치(10)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 장치(1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수신부(11), 회원가입 관리부(12), 매칭 제어부(13), 데이터베이스부(14) 및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20) 중 제1 사용자(21a)의 제1 단말(21)로부터 관심부분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회원가입 관리부(12)는 수신부(11)에서 수신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제공한 제1 사용자(21a)를 대상으로, 제1 사용자(21a)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시 입력받은(업로드된) 제1 사용자(21a)가 속한 제1 기업(21b)의 기업정보(즉, 자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부(14)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20c) 중 제2 기업정보(22c)와 관련하여 제1 단말(21)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2 기업정보(22c)에 대응하는 제2 단말(22)과 제1 단말(21) 간에 매칭이 가능하도록 쌍방향 매칭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제1 단말(21)로부터 엑시트 진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1 단말(21)에 대응하는 제1 기업(21b)에 대한 실사 수행을 통해 작성된 실사 확인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 엑시트 진행 관련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1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엑시트(기업 엑시트)의 진행을 희망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엑시트의 진행을 가이드하고 도울 수 있다.
특정 기업(일예로 제1 기업(21b))의 엑시트를 계획하는 경우, 단순히 해당 기업(회사)이 얼마에 인수되는지 금액만 정하여 끝나는 것이 아니라 법률적으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일예로 제1 기업(21b)이 기업 엑시트를 진행하겠다는 의사 결정을 한 경우, 기업엑시트의 진행 이전에, 실사를 통해 해당 제1 기업(21b)을 실질적으로 조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실사 과정에서는 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기업이 분식회계를 하는지, 영업은 잘 되고 있는지, 기업의 구성원들이 믿을만한지 등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실사 과정에는 일예로 법률실사, 재무실사, 영업실사 등 복수 종류의 실사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재무실사를 통해서는 회계법인과 함께 기업의 실질적인 자금 상황이나 재무제표가 정확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영업실사를 통해서는 영업전문가와 함께 기업의 실제 주요 거래처나 현 영업상황 및 향후 영업 전망은 어떠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법률실사를 통해서는 법무법인, 변호사 등과 함께 기존에 해당 기업에 걸려 있는 계약관계나 소송관계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술한 실사 확인 결과 데이터에는 법률실사 수행 관련 데이터, 재무실사 수행 관련 데이터 및 영업실사 수행 관련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실사 확인 결과 데이터가 획득되면, 이후 제1 단말(21)로 기업 엑시트 진행 관련 가이드 정보(이하 가이드 정보라 함)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정보에는 주식양수도계약(SPA) 체결 진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실사 과정을 거쳐 엑시트 진행 요청을 한 제1 단말(21)에 대한 진행 결정이 확정되면, 이후 주식을 양도, 양수하는 주식양수도계약(SPA, Stock Purchase Agreement)의 체결을 진행할 수 있다.
SPA를 체결함에 있어서, 제1 기업(21b)의 제1 사용자(21a)는 자신의 회사를 얼마에, 어떠한 조건으로, 어느 정도 매각하는지에 따라 의결권 비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고민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업(21b)이 매각하고자 하는 목적과 인수자의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맞추어 제1 기업(21b)이 매각할 수 있는 주식의 수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매각할 시에도 계약금, 중도금, 더 나아가 잔금까지 어떤 방식으로 지불받을 것인지, 현금으로 받을지, CB로 발행할지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이에,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가이드 정보로서, 이러한 사항들(SPA 체결 진행 관련 고려사항들)을 고려한 SPA 체결 진행 관련 가이드 정보를 제1 단말(2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언제 매각하는지 그 시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기도 하므로, 이를 고려해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실사 과정을 거쳐 엑시트 진행 요청을 한 제1 단말(21)에 대한 진행 결정이 확정되면, 해당 제1 기업(21b)에 20~25%의 세율이 적용되는지 혹은 일반 양도소득세율이 적용되는지를 정확히 확인한 후 SPA 체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21)에 대한 엑시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일예로 인수자(구매하는 사람)가 기업 실사 과정에서 제1 기업(21b)의 회사 관련 자료를 요청할 수 있는데, 이때 영업 비밀이나 회사 내부의 재무상황 등 민감한 부분까지 전달되버리면, 나중에 제1 기업(21b)이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제1 기업(21b)의 엑시트 진행시, 비밀유지계약은 물론, 계약서나 자료 요청이 이루어졌을 때 민감 자료(일예로 영업비밀 등)의 제공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공개 가능한 자료에 대해서만 자료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제1 단말(21)로부터 엑시트 진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1 단말(21)에 대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엑시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엑시트 진행 요청을 한 제1 단말(21)이 일예로 스타트업 기업(회사)인 경우, 엑시트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i) 스토리 정의 과정, ii) 펀딩 제어 과정, iii) 기업공개(IPO) 준비 과정 및 iv) IPO 공개여부 결정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 정의 과정은 창업자의 능력과 의지가 자본이 충분한지보다 더 중요하므로, 해당 기업(즉, 제1 회사(21b))이 어떤 스토리를 이루어가는 회사인지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다. 펀딩 제어 과정은 창업자의 스토리가 매력적일 경우 러브콜이 시작될 수 있으며, 이에 앤젤부터 시리즈d까지 순차적 투표가 진행될 수 있다. 기업공개 준비 과정에서는 CFO 선정, 투자은행 선정, Pre-IPO round, 유가증권신고서 준비(S-1), 증권거래위원회와 상장을 위한 절차 논의 개시, 승인회의, 로드쇼, 상장 등이 진행될 수 있다. IPO 공개여부 결정 과정에서는 기업공개 여부의 결정, 대기업으로 매각되는 결정, 및 다른 중소기업 상장사와 합병하는 결정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장치(10')는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를 통해 제1 단말(21)에 대하여 가이드 정보의 제공 및 엑시트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엑시트를 희망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가이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복수의 단말(20) 각각에 대하여 매커멕스 서비스(MaCoMaEx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장치(10')는 매칭 제어부(13)를 통해 매커멕스 서비스 중 Matching(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를 통해 매커멕스 서비스 중 Exit(엑시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컨설팅 관리부(미도시) 및 인수합병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컨설팅 관리부(미도시)를 통해 매커멕스 서비스 중 Consulting(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인수합병 관리부(미도시)를 통해 매커멕스 서비스 중 M&A(인수합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매칭 제어부(13)는 매칭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제조사와 유통사를 온라인상에서 매칭시킨 후 상호 간에 직거래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조사는 자사기본정보 및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정보와 주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유통사는 자사기본정보 및 유통 경력사항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컨설팅 관리부(미도시)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즉, 제조사와 유통사)에게 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와 재무건전성확보를 위한 컨설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설팅 관리부(미도시)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단말에게, 실리콘밸리식 특허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설팅 관리부(미도시)는 실리콘밸리식 특허 컨설팅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회사 매출에 도움이 되는 특허기술을 전문가가 직접 발굴하여 제품 출시 이전에 출원 및 등록을 완료하고, 확보된 기술을 토대로 외부의 시리즈 투자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컨설팅 관리부(미도시)는 매칭 제어부(13)에서 매칭된 매칭 기업의 단말을 대상으로, 특허보유현황과 재무 상태를 체크하여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 간에 매칭완료가 이루어진 경우, 서로 간에 매칭완료가 된 제1 단말(21)과 제2 단말(22)이 매칭 기업의 단말(단말들)이라 지칭될 수 있다.
컨설팅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들은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완료된 시점에 특허 출원에 대한 버젯을 확보하며, 기술 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변리사와 함께 권리보호를 시작한다. 즉, 기술개발 과정에서 특허 전문가가 회사의 기술의 재산권으로 보호할 준비를 한다. 이에, 컨설팅 관리부(미도시)는 매칭 기업의 단말을 대상으로, 기술 개발이 완료되고 제품 출시 직전까지 출원 및 등록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움주고, 특허가 확보된 기술력을 토대로 시리즈투자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는 컨디션을 가질 수 있도록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설팅 관리부(미도시)는 복수의 단말(20) 각각에게,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서비스들을 컨설팅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인수합병 관리부(미도시)는 제조사와 유통사, 또는 제조사와 제조사, 또는 유통사와 유통사 간의 전략적 인수합병을 통하여 기업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나아가 기업 경쟁력 강화 및 국내 중견기업 내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도록,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인수합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수합병 관리부(미도시)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인수/합병을 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는 사업다각화, 회사 인수/합병을 통해 한걸음 도약할 수 있고,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매커멕스 회원사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엑시트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기업출구전략으로서 기업이 주식매각을 통하여 시세차익을 실현시키거나 혹은 기업공개( IPO)를 통하여 상장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엑시트 진행 관리부(15)는 엑시트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시세차익을 바탕으로 다시 제2 창업을 모색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엑시트 진행 관리부(15)에 의한 엑시트 서비스의 제공에 의하면, 투자자는 자금회수를 할 수 있고, 경영자는 주식 매각을 통해 시세차익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제2 창업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매커멕스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의 전략적 엑시트의 노하우를 제공하고, 변호사, 변리사, 회계사, 법무사 등으로 구성된 최고의 전문가와 함께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회사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복수의 단말(20) 각각에게 매커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 일예로 도 2f에 도시된 무료 서비스들(즉, 재무강의, 지적재산권 강의 기술 교류회, 골프/와인스쿨 등의 서비스)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은 본 장치(10, 10')의 제공을 통해, 매커멕스 서비스를 본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20a)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 10')는 매커멕스 서비스를 통해, 제조사와 유통사를 하나의 온라인 플랫폼안에서 상호매칭(Matching)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해주고, 컨설팅(Consulting)과 엠엔에이(Mergers&Acquisition)를 통하여 기업을 성장시킨 후, 엑시트(Exit)할 수 있도록 써포트 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수신부는, 복수의 단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로부터 관심부분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회원가입 관리부는, 사용자 기본 정보를 제공한 제1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시 입력받은 제1 사용자가 속한 제1 기업의 기업정보(자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매칭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를 제1 단말로 제공하고,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제2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1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2 기업정보를 업로드한 제2 단말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하고, 제2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으로서 매칭 승인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되면, 매칭완료 인식 후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거래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21에서 수신부는, 복수의 단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로부터 관심부분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22에서 회원가입 관리부는, 사용자 기본 정보를 제공한 제1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시 입력받은 제1 사용자가 속한 제1 기업의 기업정보(자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23에서 매칭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제2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1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2 기업정보에 대응하는 제2 단말과 제1 단말 간에 매칭이 가능하도록 쌍방향 매칭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24에서 엑시트 진행 관리부는, 제1 단말로부터 엑시트 진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기업에 대한 실사 수행을 통해 작성된 실사 확인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 엑시트 진행 관련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1 내지 S2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방법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방법 각각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기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네트워크
10: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11: 수신부
12: 회원가입 관리부
13: 매칭 제어부
14: 데이터베이스부
15: 엑시트 진행 관리부
20: 복수의 단말

Claims (4)

  1.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로서,
    복수의 단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로부터 관심부분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시 입력받은 제1 사용자가 속한 제1 기업의 기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가입 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제2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1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기업정보에 대응하는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 간에 매칭이 가능하도록 쌍방향 매칭 절차를 진행하는 매칭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엑시트 진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제1 기업에 대한 실사 수행을 통해 작성된 실사 확인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 엑시트 진행 관련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엑시트 진행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본 정보는 사용자가 속한 기업의 기업명인 상호명, 이름,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및 관심부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부분 정보는 매칭 서비스, 컨설팅 서비스, 인수합병 서비스 및 엑시트 서비스를 포함한 복수의 이용 가능 서비스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항목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복수 기업에 대한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업정보 중 제2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제1 단말로부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기업정보를 업로드한 제2 단말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으로서 매칭 승인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되면, 매칭완료 인식 후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거래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기업 각각은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제조사 또는 제품을 유통하는 유통사이고,
    상기 매칭 제어부는,
    제조사와 유통사 간의 매칭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되, 제조사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단말과 유통사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 간에 신속한 매칭을 위해 상기 제2 단말로 매칭 요청 알림을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 내에 한하여, 제2 단말로부터 응답 결과의 제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의 경과시마다 제2 단말로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재촉 알림의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최대 응답 시간 내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응답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다른 기업을 재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메시지를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 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 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 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 4 알림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 기업 내 각 제조사마다 제조하는 제품 각각 마다, 각 제품의 제조 공정작업에 대한 작업이력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작업이력 DB; 및 상기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내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매칭완료가 이루어지면, 제조사인 제1 기업에서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확인 완료된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공급 요청 제품을 주문수량에 맞추어 공급요청일까지 제조하여 제2 기업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를 수행하는 상기 제1 단말에 대응하는 지1 기업이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공급 요청 제품을 주문수량에 맞추어 공급요청일까지 제조 가능한지에 대한 제조완료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작업이력 DB에 저장된 제품별 작업이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각 제조사마다 제조하는 제품별로 각 제품 내 공정 단계 각각의 평균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하고,
    각 제조사별 제조하는 제품들 각각의 작업이력 정보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공급 요청 제품과 동일한 동일 제품에 대하여 기 산출된 평균 공정 처리 시간 및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주문수량 수를 고려하여,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예상 공정 처리 시간을 산출하고, 이후, 남은 공정작업 단계별 산출된 예상 공정 처리 시간의 합계 시간을 산출하고,
    가능성 판단 시점으로부터 공급요청일까지 기간에 대응하는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과 산출된 합계 시간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공급 요청 제품에 대한 공급요청일까지의 제조완료 가능성을 판단하고, 제조완료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조완료 가능 혹은 제조완료 불가능으로 판단하며,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과 합계 시간을 비교한 결과, 합계 시간이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보다 큰 경우, 제조완료 가능성을 제조완료 불가능인 것으로 판단하되, 합계 시간에서 남은 제조요청 마감 시간을 뺀 차이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차이 시간을 고려한 추가 근무 권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가능성 판단 시점은, 공급 요청 제품의 주문정보 내 공급 요청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한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인 것인,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업정보 각각은, 기업 기본정보 및 기업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기업 검색 메뉴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기업정보로서 복수 기업에 대한 기업 기본정보를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출시키고,
    상기 매칭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기업의 기업 기본정보를 포함한 상기 매칭 요청 알림을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상기 쌍방의 매칭 승인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주문정보의 확인 및 상대방측 담당자 연락처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에 상기 매칭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제공받은 상기 매칭 요청 알림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업의 기업 상세정보에 대한 열람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한 후, 상기 매칭 요청 알림에 대한 응답을 매칭 승인 응답 또는 매칭 거절 응답으로 제공하는 것인,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KR1020220060308A 2022-05-17 2022-05-17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8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08A KR102483398B1 (ko) 2022-05-17 2022-05-17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08A KR102483398B1 (ko) 2022-05-17 2022-05-17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398B1 true KR102483398B1 (ko) 2022-12-30

Family

ID=8453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308A KR102483398B1 (ko) 2022-05-17 2022-05-17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3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193A (ko) * 2016-03-16 2017-09-27 이창헌 엠엔에이 중개서버를 이용한 엠엔에이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193A (ko) * 2016-03-16 2017-09-27 이창헌 엠엔에이 중개서버를 이용한 엠엔에이 거래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엑솔라 "게임 개발사도 ‘엑시트 전략’이 필요하다"", [online], 2021년 5월 11일, [2022년 08월 27일 검색], 인터넷:<https://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0492>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8019B2 (en) Collaboration tool
Narasimhan et al. Absorptive capacity in high-technology markets: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haves
US8849685B2 (en) System for real-time on-demand provisioning, fulfilling, and delivering full service professional services
Weill et al. IT infrastructure for strategic agility
US118300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workflow management system
US20030097296A1 (en) Service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US82047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buyers and sellers
US20140188585A1 (en) Organizational Tools and or a Collabor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Therein
EP2543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US20140164081A1 (en) Organizational tools and or a collabor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therein
US20140164080A1 (en) Organizational tools and or a collabor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therein
KR102483398B1 (ko) 쌍방향 매칭 서비스 기반의 기업 엑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74639B1 (ko) 쌍방향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mmott et al. Magic Quadrant for Insight Engines
US119609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audio production and architecture to optimize unused capacity
Jelassi et al. Internal Analysis: e-Business Competencies as Source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Giurgiu et al. Sof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real estate activities
US202003023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rchitecture for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Giurgiu et al. Sof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real estate activities [articol]
Hawking Implementing ERP Systems Globally: A Case Study
SAHINBEYOGLU et al. Cloud platforms for the management of the supply chain processes: an empirical analysis
Morais Web3 Ticket
WO2023164523A2 (en) Smart intelligent lien dispute mediation system
Raljov Improving customer information sharing within sales team: Case Atea AS; B2B sales team
KR20230127068A (ko) Vip고객을 타겟으로 하는 상업용 부동산 전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