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958B1 -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 Google Patents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958B1
KR102482958B1 KR1020200143694A KR20200143694A KR102482958B1 KR 102482958 B1 KR102482958 B1 KR 102482958B1 KR 1020200143694 A KR1020200143694 A KR 1020200143694A KR 20200143694 A KR20200143694 A KR 20200143694A KR 102482958 B1 KR102482958 B1 KR 10248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line
kacc
deposited und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195A (ko
Inventor
손황배
김율호
김수정
홍수영
남정환
서종택
김기덕
이종남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4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54Leguminosae or Fabaceae, e.g. soybean, alfalfa or peanu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 적응성이 우수하여 수량성이 증진된 신규한 콩 계통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콩 계통은 기존 품종인 대풍과 비교 시 제색이 개선되고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적응성이 우수하게 개선되었는바,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Soybean variety with excellent adaptability to highland and semi-highland regions}
본 발명은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 적응성이 우수하여 수량성이 증진된 신규한 콩 계통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관령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고랭지 농업은 감자, 배추, 무 등을 중심으로 주요 단기재배 작물들이 연작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토양환경이 악회돠고 병해충이 다발하며, 결과적으로 수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다시 농약과 비료를 과다 투입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또한, 고랭지 채소 재배지역은 대부분이 수계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어 유실된 토사와 질소, 인산 등 각종 영양물질이 하천에 유입되어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의 해결을 위해 기존 작물의 수익성을 보장하면서 환경부담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작물의 개발이 고랭지 농업 연구의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콩은 전 세계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이며,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매일 먹는 된장, 간장 등 전통음식의 원료이다. 콩은 비료를 적게 주어도 잘 자라는 친환경 작물로서 다른 작물과 심기차례 (작부체계)에 알맞은 매우 중요한 작물이다. 또한, 유용성분의 효과가 부각되어 건강 기능성에 민감한 소비자의 웰빙식품으로써 콩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콩 씨알 (종실)은 인간에게 필요한 3대 영양소 중 가장 중요한 단백질의 함량이 40%나 되고, 탄수화물이 30%, 지방의 함량이 20% 함유되어 있다. 전분은 거의 없는 반면에 단백질 함유량이 많아, 지상에 존재하는 어느 작물보다 그 영양성이 뛰어난 작물이다. 콩에는 대부분의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 B군 (티아민 (thiamine), 리보플라빈 (riboflavin), 니코틴산 (nicotinic acid))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한편, 콩나물과 풋콩에서는 비타민 C의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며, 무기성분으로는 칼슘, 인, 철, 칼륨 등이 쇠고기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콩은 옛부터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불리웠다.
이러한 콩은 두과작물로써 토양미생물과의 공생관계를 통하여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연작으로 인해 악화된 고랭지의 지력을 향상시키는데 최적의 작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콩은 환경친화적이며 식품학적 가치가 뛰어나고 고랭지농업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크지만, 국내의 콩 품종 육성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험이 주로 평난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고랭지에서의 적응성이 뛰어난 콩 품종에 대한 연구개발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Korean J. Crop Sci., 2008, 53(1): 102-10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재배안정성, 수량성 및 기능성이 우수하나, 평난지에서와 비교해 고랭지 및 준고랭지 재배 시 등숙률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는 ‘대풍’콩을 개량한,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적응성이 개선된 새로운 육종소재를 얻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대풍콩을 이용해 이의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적응성이 향상되고, 제색이 개선된 육종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수량성이 대풍콩에 비해 증수된 10개 계통을 확립하였는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계통 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통 식물에 따른 종자 및 상기 종자의 자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통 식물의 육종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하기의 수탁번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계통 식물을 제공한다.
수탁번호 KACC 98088P로 기탁된 HD-F13-117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89P로 기탁된 HD-F13-121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0P로 기탁된 HD-F13-132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1P로 기탁된 HD-F13-160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2P로 기탁된 HD-F13-194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3P로 기탁된 HD-F13-202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4P로 기탁된 HD-F13-211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5P로 기탁된 HD-F13-215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7P로 기탁된 HD-F13-236 계통 식물; 및
수탁번호 KACC 98096P로 기탁된 HD-F13-264 계통 식물.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계통 식물은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20% 이상 증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계통 식물은 중생종 또는 중만생종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계통 식물은 백립 중이 20 내지 32g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HD-F13-236을 제외한 계통 식물은 제색이 황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계통 식물은 평균 경장이 60 내지 120cm이고, 평균 협수는 55 내지 100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통 식물에 따른 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통 식물에 따른 종자의 자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계통 식물의 육종방법을 제공한다.
(a) 황금콩을 교배모본으로 하고 대풍콩을 교배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하여 얻어진 교잡종 계통을 F9 세대까지 육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육성된 계통 식물을 고랭지, 준고랭지 및 평난지에서 전개하여 재배한 후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계통을 선발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여교배를 통한 육종이 6-7세대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은 중간모본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개체를 선발할 수 있어 신품종 육성기간을 2~3 세대 단축할 수 있고, 작물 개량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하여 육종의 규모와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콩 계통은 기존 품종인 대풍과 비교 시 제색이 개선되고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적응성이 우수하게 개선되었는바,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대풍콩을 이용해 이의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적응성이 향상되고, 제색이 개선된 육종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수량성이 대풍콩에 비해 증수된 10개 계통을 확립하였는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하기의 수탁번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계통 식물을 제공한다.
수탁번호 KACC 98088P로 기탁된 HD-F13-117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89P로 기탁된 HD-F13-121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0P로 기탁된 HD-F13-132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1P로 기탁된 HD-F13-160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2P로 기탁된 HD-F13-194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3P로 기탁된 HD-F13-202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4P로 기탁된 HD-F13-211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5P로 기탁된 HD-F13-215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7P로 기탁된 HD-F13-236 계통 식물; 및
수탁번호 KACC 98096P로 기탁된 HD-F13-264 계통 식물.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통 식물에 따른 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통 식물에 따른 종자의 자손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육종방법을 통해 상기 10개 계통을 확보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금’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대풍’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얻어진 620 계통을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F9 세대까지 진전시켰다. 이후 고랭지 (대관령), 준고랭지 (진부), 평난지 (강릉)의 포장에서 주요한 농업형질을 4년 (2016~2019)간 평가하여 제색, 수량성이 우수한 10개 계통을 선발하였다 (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10 계통의 농업적 형질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품종인 대풍과 함께 고유특헝 및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선발된 10 계통의 고유특성 중 대풍콩에 비해 일뷰 계통에서 꽃색, 모용색에 차이가 있었고, HD-F13-236 계통을 제외한 나머지 9 계통에서 제색이 황색 (담황색)으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개화기 및 성숙기는 대풍콩과 유사한 반면, 경장은 63cm~113cm로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개체당 협수는 60~96개로 대풍보다 모두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1 및 2-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존 품종인 대풍콩과 함께 준고랭지인 진부 지역에서 재배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0 계통은 대풍콩에 비해 수량성이 20% 내지 67%까지 증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참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를 통해 얻어진 10계통 각각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여 2020년 09월 25일자로 수탁번호를 부여받았으며, 수탁번호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계통 식물은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랭지”란, 표고를 기준으로 해발 600m 이상인 지역을 말하며, “준고랭지”란 해발 400~600m인 지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계통 식물은 중생종 또는 중만생종이고, 백립중은 20 내지 32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9 내지 30.8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HD-F13-236을 제외한 9 계통 식물은 제색이 황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색 (Hilum color)” 이란 배꼽색이라고도 하며, 콩의 외관 품질 및 가공 적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콩의 형질 중 하나로, 콩 종자의 눈 부위의 색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제색이 황색인 것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담황색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계통 식물은 평균 경장이 60 내지 120cm이고, 평균 협수는 55 내지 100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경장이 63 내지 113cm이고 평균 협수는 60 내지 96개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계통 식물의 육종방법을 제공한다.
(a) 황금콩을 교배모본으로 하고 대풍콩을 교배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하여 얻어진 교잡종 계통을 F9 세대까지 육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육성된 계통 식물을 고랭지, 준고랭지 및 평난지에서 전개하여 재배한 후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계통을 선발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교배모본”은 육종에 있어서 우수한 후대를 육성하기 위하여 교배재료로 쓰이는 양친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광교/Clark 63//백목장엽의 교배로 육성된 황금콩 품종을 이용하였고, “교배부본”은 도입하고자 하는 형질을 갖는 교배재료로 쓰이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백운콩/신팔달콩2호의 교배로 육성된 대풍콩 품종을 이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육성
‘대풍’ 콩은 기능성 성분, 제배안정성 및 수량성이 높아 활용가치가 높은 품종이나,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 재배할 경우 평난지에 비해 등숙률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한다. 또한, 대풍콩은 갈색의 제색을 띄고 있어 유통업자와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풍의 우수한 특성은 잘 유지하면서 제색과 고랭지 및 준고랭지에서의 적응성이 개선된 육종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풍콩의 제색 개량을 위해 ‘황금’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대풍’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얻어진 620 계통을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F9 세대까지 진전시켰다. 이후 고랭지 (대관령), 준고랭지 (진부), 평난지 (강릉)의 포장에서 4년 (2016~2019) 동안 주요한 농업형질을 평가하여 제색 및 수량성이 우수한 10개 계통을 선발하였다. 상기 선발된 10개 계통의 주요 농업형질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참고로, 수량성은 2016~2018년 3년 동안의 수량 평균을 각 지역별 대풍의 수량에 대비해 비율로 제시하였고, 100립 중 역시 2016~2018년 3년 동안의 100립 중 평균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육일수는 동일하게 3년 동안의 진부지역에서 평가한 생육일수의 평균 값을 나타낸 것이다.
계통명 제색 수량성(대풍대비 비율) 100립 중(g) 생육일수
대관령 진부 강릉 대관령 진부 강릉
대풍 갈색 1.00 1.00 1.00 20.94 23.24 23.64 147일
대원 황색 0.84 0.99 0.99 23.63 27.68 28.13 148일
HD-F13-117 황색 1.14 1.00 1.23 24.99 24.47 25.31 137일
HD-F13-121 황색 0.64 0.73 0.93 21.24 24.23 24.66 135일
HD-F13-132 황색 0.87 1.25 1.31 19.76 22.42 22.71 159일
HD-F13-160 황색 0.89 1.10 1.19 26.14 29.30 32.38 144일
HD-F13-194 황색 1.54 1.32 1.06 23.16 24.55 23.22 134일
HD-F13-202 황색 1.09 1.17 1.31 18.18 20.92 21.65 135일
HD-F13-211 황색 1.30 0.95 1.26 24.25 26.89 26.86 143일
HD-F13-215 황색 1.27 1.17 1.00 26.85 30.79 27.73 135일
HD-F13-236 갈색 1.85 1.11 1.12 25.02 28.90 28.82 141일
HD-F13-264 황색 1.09 1.17 1.31 23.58 30.00 29.31 156일
실시예 2. 기존 품종과 육성 계통의 농업적 형질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얻어진 10개 육성 계통의 농업적 형질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품종인 대풍콩과 함께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육성 계통과 기존 품종의 차이점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으며, 보다 구체적인 특성별 비교분석 결과는 하기와 같다.
품종명 육성과정 꽃색 배꼽색 착협고(cm) 개체 당 수량(g) 100립 중(g)
기존품종
(대풍콩)
백운콩/
신팔달콩2호
백색 담갈 18 25.2 23.3
HD-F13-117 황금/대풍 백색 담황 10 37.6 24.5
HD-F13-121 황금/대풍 자색 담황 17 30.3 24.2
HD-F13-132 황금/대풍 자색 담황 22 37.1 22.4
HD-F13-160 황금/대풍 자색 담황 12 38.9 29.3
HD-F13-194 황금/대풍 자색 담황 11 38.9 24.6
HD-F13-202 황금/대풍 백색 담황 11 36.6 20.9
HD-F13-211 황금/대풍 자색 담황 10 40.3 26.9
HD-F13-215 황금/대풍 백색 담황 12 30.5 30.8
HD-F13-236 황금/대풍 백색 담갈 11 42.2 28.9
HD-F13-264 황금/대풍 백색 담황 9 36.7 30.0
2-1. 고유특성 비교
육성 계통과 기존 품종 간의 고유특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발된 10계통의 고유특성은 유한신육형이며 잎형은 난형이며 종실의 모양은 타원형이다. 꽃색은 백색 (117, 202, 215, 236, 264), 자색 (121, 132, 160, 194, 211)을 띄고 있으며 제색 (배꼽색)의 경우 HD-F13-236을 제외한 나머지 9 계통은 담황으로 담갈색인 대풍콩과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품종명 신육형 꽃색 잎형 모용색 종피색 종실모양 제색 탈립성
대풍콩 유한 백색 난형 회색 황색 구형 담갈
HD-F13-117 유한 백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황
HD-F13-121 유한 자색 난형 회백 황색 구형 담황
HD-F13-132 유한 자색 난형 회백 황색 구형 담황
HD-F13-160 유한 자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황
HD-F13-194 유한 자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황
HD-F13-202 유한 백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황
HD-F13-211 유한 자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황
HD-F13-215 유한 백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황
HD-F13-236 유한 백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갈
HD-F13-264 유한 백색 난형 갈색 황색 구형 담황
2-2. 일반적 특성 비교
육성 계통과 기존 품종 간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2019년 6월 13일에 파종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에서 수행된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 선발된 10계통의 개화기와 성숙기는 대비품종인 대풍콩과 같이 중생종~중만생종이고, 경장은 63cm (HD-F13-215) ~ 113cm (HD-F13-132)로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체당 협수는 60 (HD-F13-215) ~ 96 (HD-F13-132)개로 10계통 모두 대풍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화기(월일) 성숙기(월일) 경장(cm) 도복 주경절수 협수(개) 착협고(cm)
대풍콩 7.30. 10.19. 68 14 51 18
HD-F13-117 7.26. 10.11. 78 14 74 10
HD-F13-121 7.29. 10.18. 89 16 72 17
HD-F13-132 8.10. 10.21. 113 18 96 22
HD-F13-160 7.27. 10.18. 92 16 62 12
HD-F13-194 7.29. 10.16. 65 14 85 11
HD-F13-202 7.30. 10.18. 90 16 86 11
HD-F13-211 7.31. 10.18. 81 13 75 10
HD-F13-215 7.27. 10.11. 63 12 60 12
HD-F13-236 7.30. 10.19. 77 13 86 11
HD-F13-264 7.30. 10.21. 79 12 66 9
2-3. 수량성 비교
마지막으로, 육성 계통 및 기존 품종 간의 수량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본 발명에서 선발된 10계통의 수량성은 2019년 진부에서 비닐멀칭 재배 시 대풍콩에 비하여 20% (HD-F13-121) ~ 67% (HD-F13-236) 증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립 중은 20.9g (HD-F13-202) ~ 30.8g (HD-F13-215)으로 중립종에서 대립종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체 당 수량(g) 지수(%) 100립 중(g) 지수(%)
대풍콩 25.2 100 23.3 100
HD-F13-117 37.6 149 24.5 105
HD-F13-121 30.3 120 24.2 104
HD-F13-132 37.1 147 22.4 96
HD-F13-160 38.9 154 29.3 126
HD-F13-194 38.9 154 24.6 106
HD-F13-202 36.6 145 20.9 90
HD-F13-211 40.3 160 26.9 115
HD-F13-215 30.5 121 30.8 132
HD-F13-236 42.2 167 28.9 124
HD-F13-264 36.7 146 30.0 129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88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89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0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1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2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3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4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5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7P 20200925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8096P 20200925

Claims (9)

  1.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하기의 수탁번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콩(Glycine max) 계통 식물로서,
    상기 콩(Glycine max) 계통 식물은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것인, 식물:
    수탁번호 KACC 98088P로 기탁된 HD-F13-117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0P로 기탁된 HD-F13-132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1P로 기탁된 HD-F13-160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2P로 기탁된 HD-F13-194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3P로 기탁된 HD-F13-202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4P로 기탁된 HD-F13-211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5P로 기탁된 HD-F13-215 계통 식물;
    수탁번호 KACC 98097P로 기탁된 HD-F13-236 계통 식물; 및
    수탁번호 KACC 98096P로 기탁된 HD-F13-264 계통 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식물은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20% 이상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식물은 중생종 또는 중만생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식물은 백립 중이 20 내지 3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F13-236을 제외한 계통 식물은 제색이 황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식물은 평균 경장이 60 내지 120cm이고, 평균 협수는 55 내지 1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콩(Glycine max) 계통 식물에 따른 종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콩(Glycine max) 계통 식물에 따른 종자의 자손.
  9.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콩(Glycine max) 계통 식물의 육종방법:
    (a) 황금콩을 교배모본으로 하고 대풍콩을 교배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하여 얻어진 교잡종 계통을 F9 세대까지 육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육성된 콩(Glycine max) 계통 식물을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전개하여 재배한 후 고랭지 또는 준고랭지에서 수량성이 증진된 계통을 선발하는 단계.
KR1020200143694A 2020-10-30 2020-10-30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KR10248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94A KR102482958B1 (ko) 2020-10-30 2020-10-30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94A KR102482958B1 (ko) 2020-10-30 2020-10-30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95A KR20220058195A (ko) 2022-05-09
KR102482958B1 true KR102482958B1 (ko) 2022-12-30

Family

ID=8158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694A KR102482958B1 (ko) 2020-10-30 2020-10-30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9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536A (ko) * 2009-02-10 2010-08-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체당 종실수가 많은 초다수성 콩 신품종 식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유전체정보기반 콩 품종육성 및 가공제품 개발" 완결과제 최종보고서 (2015.02.)*
농촌진흥청, 고랭지 적응 콩 40품종 선발...대풍콩 추천, 보도자료 <https://www.rda.go.kr/board/board.do?mode=view&prgId=day_farmprmninfoEntry&dataNo=100000735462> (2017.06.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95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955B1 (ko) 팝콘 향의 향미를 갖는 신품종 벼 십리향
CN110089423B (zh) 一种黄叶红米水稻的选育方法
CN103229656A (zh) 一种玉米-大豆间套作的种植方法
CN105198649A (zh) 一种月季营养土及其制备方法
KR101432471B1 (ko)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Bozoglu et al. Determination of the yield performance and harvesting periods of fifteen pea (Pisum sativum L.) cultivars sown in autumn and spring
CN112470916A (zh) 一种春性绿色小麦育种方法
CN104221675B (zh) 鲜糯玉米套种春大白菜复种秋四季豆一年两季三熟高效栽培方法
Paththinige et al. Effect of plant spacing on yield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CN104255445A (zh) 一种春播生态型菜用大豆新品种的选育方法
CN108812300A (zh) 用于遗传育种的玉米群体的人工合成方法
KR102482958B1 (ko) 고랭지 및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Muniu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local cowpea accessions and their response to organic and inorganic nitrogen fertilizers in coastal Kenya
CN107360865A (zh) 一种无刺花椒引种嫁接方法
CN106900546A (zh) 一种保持春播生态型大豆品种种性稳定的种子繁育方法
KR20060093233A (ko) 흑산도비비추 신품종 홍도
CN109601369B (zh) 优质多抗烟草新品系选育的轮回选择群体创建和选择方法
Mosenda et al. Assessment of agronomic traits of selected spider plant (Cleome gynandra L.) accessions
Kamolovna et al. Some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varieties
KR102525955B1 (ko)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으며 준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콩 계통
KR101844122B1 (ko) 신종식물 쌈그라 및 그 육종방법
CN114831017B (zh) 一种家庭阳台盆栽用水稻的选育方法
KR102618294B1 (ko)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이 증가된 자포니카 벼 신품종 &#39;세복&#39; 및 이의 육종 방법
CN107787834A (zh) 一种食用和观赏两用的豌豆选育方法
KR102201400B1 (ko)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고 불마름병 내병성이며 다수성인 콩 신품종 및 이의 육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