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849B1 - 원격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849B1
KR102482849B1 KR1020210085945A KR20210085945A KR102482849B1 KR 102482849 B1 KR102482849 B1 KR 102482849B1 KR 1020210085945 A KR1020210085945 A KR 1020210085945A KR 20210085945 A KR20210085945 A KR 20210085945A KR 102482849 B1 KR102482849 B1 KR 10248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energy
household
information
energ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석
강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21008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층에 하나씩 설치되며, 어느 한 층의 각 세대로부터 전달되는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제1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여 층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 하나의 동마다 설치되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 단지내의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스위칭허브(220); 상기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위칭허브(2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고 동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생성하는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 및 상기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위칭허브(2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세대단말기(420)로부터 세대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홈네트워크 서버(260)를 포함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검침 시스템{Remote Meter Reading System}
본 개시는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탄소배출 절감에 힘쓰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2020년 이후부터 공공건축물은 ZEB(zero energy building, 제로 에너지 건축물) 인증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시행되었다. 이에, 원격검침 기능은 건물 축조에 있어 필수 구성요소가 되었다. 이로 인해, ZEB 인증을 만족하기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세대별로 복수의 검침기(43a, 43b, 43c, 43d, 43e)로부터 검침된 값이 세대 중계기(42)에게 전달된다. 이때, 복수의 검침기(43a, 43b, 43c, 43d, 43e) 및 세대 중계기(42)는, PLC 통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세대 중계기(42)는 각 세대에 배치된다. 예컨대, 2001호 및 2002호의 중계기(42)는 각각 2001호 및 2002호 세대 내부 또는 각 세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 세대별 중계기(42)들은, LonTal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및 연결된다.
또한, 세대 중계기(42)에게 전달된 세대 검침값은, 동별 중계기(30)에게 전달된다. 동별 중계기(30)는, 예컨대, 101동, 102동, 103동, 104동의 지하실에 배치될 수 있다. 동별 중계기(30)들은, LonTal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및 연결된다.
동별 중계기(30)들로부터 수집된 세대별 에너지 정보는, 원격검침 서버(21)에게 전달된다. 원격검침 서버(21)는 단지내 방재실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버이다. 동별 중계기(30) 및 원격검침 서버(21)는 LonTal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및 연결된다.
즉, 정리하면, 각 세대별로 수집되는 세대별 에너지 정보는, 복수의 검침기(43a, 43b, 43c, 43d, 43e)로부터 원격검침 서버(21)까지 LonTal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달된다.
한편, 각 세대의 내부에는, 세대단말기(41)가 배치된다. 세대단말기(41)로부터 센싱 및 수집되는 세대특성은 동별 스위칭 허브(40)에게 전달된다. 이때, 각 세대단말기(41), 동별 스위칭허브(40) 및 단지 스위칭허브(22)는 홈네트워크 통신망, 예컨대,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및 연결된다.
요컨대, 홈네트워크망 및 원격검침용 전용 원격통신망이 따로 구비되어 있어야 했다. 즉, 원격검침을 위한 별도의 중계기 및 배관 배선이 필요했다. 따라서, 아파트 축조 시, 원격검침용 전용 원격통신망과 홈네트워크망을 각각 설치함에 따라, 시간과 비용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에 따른 세대 중계기(42) 및 동별 중계기(30)는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고 단순히 이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데이터 유실 시 원격검침 서버(21)가 개별 중계기(30, 42)에게 데이터 재요청이 불가하며, 데이터 유실 시 복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대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과금의 위험이 있는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 세대별 거주 인원, 거주시간, 세대환경, 활동상태 등이 상이한데, 이를 모두 고려하여 에너지 사용 추이를 모니터링 하는 기술 등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현대에 들어 독거노인 및 1인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세대들은 보호자가 부재하거나 상시 모니터링이 불가한 경우가 많다. 한편,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검침 관련해서는,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검침값을 확인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예컨대, 검침기가 고장난 경우, 검침기가 자가검진 기능이 있지 않는 한 단기간에 이를 알기 어렵다. 대부분, 독거노인 세대 또는 1인 가정 세대가 수 개월 동안 가스 검침값이 0인 경우 비로소 이를 의아하게 생각한 가스 공급사 또는 관리사의 별도 조사에 의해 확인되게 된다.
이에, 본 개시는 ZEB 인증을 만족하면서도, 홈네트워크망 및 원격검침용 전용 원격통신망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원격검침이 가능한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메모리를 포함함으로써, 시계열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고, 데이터 유실로부터 자유로운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각 세대별 거주 인원, 거주시간, 활동상태, 세대환경, 활동상태 등을 모두 고려하여 에너지 사용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독거노인 또는 1인 가정 등 보호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나, 이러한 환경이 미비한 세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층에 하나씩 설치되며, 어느 한 층의 각 세대로부터 전달되는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제1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여 층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 하나의 동마다 설치되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 단지내의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스위칭허브(220); 상기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위칭허브(2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고 동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생성하는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 및 상기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위칭허브(2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세대단말기(420)로부터 세대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홈네트워크 서버(260)를 포함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n층에 구비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이 n-1층에 구비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게 층별 에너지정보를 전달하는 - 여기서 n은 각 동의 층수로서 2 이상의 정수 -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내장 메모리 및 RTC(real time clock)를 포함함으로써 층별 에너지 정보들이 시계열 데이터로서 각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제1 통신망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이더넷을 이용하여 tcp/i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세대단말기(420)로부터 수신한 세대관련 정보는, 단지 지역 특성, 동 특성, 세대 특성, 재실자 특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상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는, 상기 세대관련 정보를 입력값으로서 이용하고, 그리고, 상기 세대별 에너지정보,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 상기 동별 에너지정보 및 상기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출력값으로서 이용하여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구축하는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를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는, 상기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기설정된 사용량 경계구간에 상기 실시간 에너지 정보가 도달하기 전에 세대단말기(420)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는, 상기 동별 에너지정보 및 상기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관리사 단말기(500)에게 에너지 절감 알림 또는 기저장된 누진구간 회피 설비운용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는, 상기 동별 에너지정보 및 상기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관리사 단말기(500)에게 에너지 절감 알림 또는 기저장된 누진구간 회피 설비운용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검침용 전용 원격통신망 및 홈네트워크망을 동일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ZEB 인증을 만족하면서도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에 의하면,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에 메모리 및 RTC가 내장되어 있어, 데이터 유실 시 단지별 에너지 관리서버로부터 데이터 재요청이 가능한바, 데이터 유실 시 복구가 용이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에 의하면, 세대별 거주 인원, 거주시간, 세대환경, 세대원의 활동상태 등을 고려한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에 의하면, 장기 출타 세대, 독거노인 세대 또는 1인 가정 세대의 에너지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세대의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러드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각 세대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각 세대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이상세대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세대"는 생활을 같이하는 1인 또는 다수의 사람이 공통 거주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주거, 상업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에 거주하는 다수의 세대 각각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업 시설에서 개별적으로 입주한 사무실 단위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 세대 거주자 및 해당 단지의 관리사를 포함한다. 관리사는 경비업체, 청소부, 커뮤니티 시설 직원 등 단지내 근무인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 "단말기"는 정보 처리가 가능한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세대 단말기"는 각 세대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월패드(wall pad)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도시되는 아파트의 동호수 및 에너지 사용량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적으로 선택된 값에 불과하며, 이는 건물 종류 및 사용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각각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원격검침 시스템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100)은, 검침기(440a, 440b, 440c, 440d, 440e),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 서브 스위칭허브(340), 메인 스위칭허브(220),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 및 홈네트워크 서버(2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검침기(440a, 440b, 440c, 440d, 440e)는, 세대(400) 외에 위치하는 수도 검침기(430a) 및 전력 검침기(430b)를 포함한다. 또한, 개별난방 세대의 경우 가스 검침기(430c)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역난방 또는 중앙난방 세대의 경우 온수 검침기(430d) 및 난방 검침기(430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검침기(430c)로 표현되었으나,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 세대는 다른 검침 가능한 에너지원을 검침하는 검침기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각 검침기(440a, 440b, 440c, 440d, 440e)는, 제1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제1 통신망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의미하며,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의 형태로 전송한다.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각 층에 하나씩 설치되며, 설치된 층에 형성되어 있는 각 세대로부터 전달되는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제1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2에서는 20층의 2001호에 비치되는 각 검침기를 연결하는 전력선이 20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 형성되는 제1 포트(321)에 연결된다.
본 개시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2002호 역시 2001호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검침기(440a, 440b, 440c, 440d, 440e)가 구비되고, 각 검침기(440a, 440b, 440c, 440d, 440e)가 하나의 전력선에 연결된다. 이때, 2002호의 전력선은 제2 포트(322)를 통해 20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최대 6개의 세대가 연결될 수 있다.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건물에 형성되는 각 층마다 구비된다. 예컨대, 본 개시에서는 20층짜리 건물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는데, 이러한 경우, 1층부터 20층까지 각 층마다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이 비치될 것이다. 이때, 각 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제2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 통신망은, 이더넷(ethernet)으로 구성된다.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취합된 검침값을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로 전환한다. tcp/ip는 종래의 LonTalk 프로토콜보다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같은 시간동안 다량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원격검침 시스템(100)은 tcp/ip를 사용하기에, 시스템 구동에 있어 이벤트 방식 또는 인터럽트(interrupt)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폴링(polling) 방식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대비, 효율적인 데이터 모니터링 및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의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연산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산기(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각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취합 및 합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 내부에는 메모리 및 RTC(real time clock)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는 시계열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물 내부 통신망 이상이 발생한 뒤 정상 복귀되면, 서버로부터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게 데이터 재요청 송신될 때,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서버에게 저장된 에너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유실의 우려가 낮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대별 시계열 데이터를 관리 가능한바, 세대별 에너지 관리 및 분석에 있어 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세대별 에너지사용 추이를 관찰하는 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 의한 20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19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과 연결되며, 20층의 에너지정보에 해당하는 제1 층별 에너지정보를 19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게 전달한다. 또한, 19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18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미도시)과 연결되며, 19층의 에너지정보에 해당하는 제2 층별 에너지정보를 18층의 층별 에너지모듈에게 전달한다. 같은 방식으로, 1층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까지 하나의 동에 설치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들은 하나의 통신선으로 직렬 연결되고, 상기한 하나의 통신선은, 서브 스위칭허브(340)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20층 내지 1층의 각 층별 에너지정보는 취합되어 서브 스위칭허브(34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서브 스위칭허브(340)는 홈네트워크(home network)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 설치되는 장치에 해당한다. 즉, 본 개시에 의한 원격검침 시스템(100)은 원격검침을 위한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지 아니하여도, 기존의 홈네트워크 통신망을 사용함으로써, 원격검침이 가능한바, 건물 축조 시에 비용 및 시간이 절감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서브 스위칭허브(340)는, 바람직하게는 각 동 별로 설치되며, 각 동별 서브 스위칭허브(340)들은 하나의 메인 스위칭허브(220)에 연결된다. 본 개시에서는 101동 내지 104동의 서브 스위칭허브(340)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각 동별로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복도식 아파트의 경우 층별 세대가 6세대 이상일 수 있으므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이 한 층에 복수개가 구비될 것이며, 한 층에 구비되는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의 수만큼, 서브 스위칭허브(340)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서브 스위칭허브(340)는, 건물 지하 1층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건물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방재실 등에 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메인 스위칭허브(220)는, 단지내에 형성되는 방재실(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서브 스위칭허브(340)와 연결된다. 메인 스위칭허브(220)는 서브 스위칭허브(340)와 마찬가지로 홈네트워크 통신망을 구축하면서 기 설치되는 장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존의 장비를 이용하여 원격검침이 수행될 수 있다.
서브 스위칭허브(340) 및 메인 스위칭허브(220)는 제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통신한다. 메인 스위칭허브(220)는 서브 스위칭허브(340)로부터 동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한다. 이로 인해, 101동 내지 104동의 동별 에너지정보가 취합되어 메인 스위칭허브(220)에게 전달될 수 있다.
메인 스위칭허브(220)는,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 및 홈네트워크 서버(260)에 각각 연결되어 양자와 통신할 수 있다.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원격검침용 서버이며, 방재실(200)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에너지 사용량 적산값 및 순시값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층별 에너지정보에 포함되는 세대별 에너지정보, 동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지내 에너지정보로 취합할 수 있다.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가 에너지 사용량의 순시값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각종 에너지의 이상패턴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큰 전기용량을 필요로 하는 가전, 예컨대, 에어컨이 가동될 때, 전력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전을 사용하기에 앞서, 당월 에너지 사용량을 파악하고, 에너지 사용량 기준값 대비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 경우라면 에어컨의 가동을 자제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각종 에너지정보에다가 홈네트워크 서버(260)로부터 전송되는 세대관련 정보를 더 이용하여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에는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가 구비되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의 구성 및 기능과 관련하여 도 3에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홈네트워크 서버(260)는, 세대관리용 서버이며, 방재실(200)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홈네트워크 서버(260)는 세대단말기(42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취합 및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홈네트워크 서버(260)는, 세대단말기(42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260)는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와 메인 스위칭허브(220)를 통해 통신 가능하다. 따라서,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에 의해 수신 및 취합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는, 메인 스위칭허브(220) 및 홈네트워크 서버(260)를 통해 세대단말기(42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세대단말기(420)는 전달받은 에너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 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각종 에너지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세대 정보 입력 시 해당 세대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기준값을 예측하기 위해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량 기준값을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 시운전 에너지 데이터 입력부(243), 운전 에너지 데이터 입력부(243), 단지 지역 특성 입력부(244), 동 특성 입력부(245), 세대 특성 입력부(246), 재실자 특성 입력부(247), 세대별 에너지 사용량 기준값 연산부(248), 동별 에너지 사용량 기준값 연산부(249)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을 위해 세대 정보와 실제 검침값이 입력된다. 실제 검침값은 시운전 에너지 데이터 입력부(243) 및 운전 에너지 데이터 입력부(243)에서 각각 입력되는 시운전 에너지 데이터 및 운전 에너지 데이터에 포함된 것이다.
시운전 에너지 데이터 입력부(243)는 시운전시 확인 가능한 에너지 데이터를 AI 모델 구축을 위한 정보로서 입력한다. 여기에서, "시운전"은, 건물이 완공된 이후 입주하기 이전 주로 시공사에서 해당 건물을 점검하기 위하여 시험 삼아 운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운전"은 주로 각종 세대 설비의 성능 점검을 위한 가동(예컨대, 조명을 키고, 수전을 틀고, 공조기기를 작동시키는 행동)을 의미한다. 신축된 건물에서 입주 이전에 건물 내 유해 가스나 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내 온도를 높이는 베이크아웃(bake out)은 이러한 시운전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예컨대, 시운전시 베이크아웃을 위해 보일러를 계속 가동하게 되는데 이 때에 검침기(440a, 440b, 440c, 440d, 440e)는 계속 작동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확인되는 검침값이 시운전 에너지 데이터에 포함되고, 이러한 데이터는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을 위한 학습 정보로 활용된다.
운전 에너지 데이터 입력부(243)는 운전 에너지 데이터를 확인하여 AI 모델 구축을 위한 정보로서 입력한다. 실제 입주자가 입주한 후 생활하면서 검침기(440a, 440b, 440c, 440d, 440e)의 검침값이 확인되는데, 이러한 정보가 운전 에너지 데이터에 포함되고, 이러한 데이터가 마찬가지로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을 위한 학습 정보로 활용된다.
한편,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을 위한 세대 정보는, 단지 지역 특성 입력부(244), 동 특성 입력부(245), 세대 특성 입력부(246)를 통해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재실자 특성 입력부(247)를 통해 재실자 특성이 더 학습될 수 있다.
"단지 지역 특성"은, 단지의 지역적 특성으로 정의한다. 단지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의 기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 정보는, 평균 기온, 평균 강우량/강설량, 평균 풍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도권, 강원도와 같이 상대적으로 추운 지방의 건물과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운 지방의 건물은 동일한 자재로 시공되고 동일한 패턴으로 입주자가 생활하더라도 에너지 소비량이 다르게 되며, 동일한 지역이더라도 강우량이 많은 지역의 건물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이 다르기에, 해당 정보가 사용된다.
"동 특성"은, 단지 내 동의 특성으로 정의한다. 동 특성은 배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남향, 동향, 서향, 남동향, 남서향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또는 북쪽(N)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배향에 따라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이 다르기에 학습 정보로 활용된다.
"세대 특성"은 개별 세대의 건축적 특성으로 정의한다. 세대 특성은 보다 다양할 수 있어서, 동 내 세대의 위치(최상층, 최하층, 측벽층, 중앙층 등), 일조량, 평면적, 베이(bay)의 수, 사용된 단열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 역시 해당 세대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이다.
이러한 세대 정보를 활용하고, 해당 세대의 실제 검침값이 학습 정보로서 학습된다. 실제 검침값은 시운전 에너지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검침값과 운전 에너지 데이터에서 확인된 검침값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울 A단지 101동 2001호(개별난방)의 경우, 세대 정보로서 A 단지의 위치 및 기상 정보와 같은 단지 지역 특성, 101동의 배향(동향)과 같은 동 특성, 101호가 최하층이며 측벽을 이루지는 않으며 100m2 면적이며 3베이 구조이며 단열재K가 구비되었다는 세대 특성이 입력되고, 서울 A단지 101동 2001호의 시운전시 검침된 수도, 전력, 가스 검침값과 입주자가 실제 입주한 후 확인되는 수도, 전력, 가스 검침값이 입력되어 학습 정보로서 활용된다.
시공사는 수 개의 단지에서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각 단지마다 수십 개의 동이 있고, 각 동에는 수 십 개의 세대가 있어서, 세대별 시운전 에너지 데이터 및 운전 에너지 데이터를 다수 확보할 수 있는바, 이를 이용하여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세대 정보로서 재실자 특성이 더 포함되어 학습될 수 있다. 재실자 특성은, 가구원수, 각 가구원의 직업, 각 가구원의 성별 및 각 가구원의 나이를 포함한다. 즉,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이용하여 에너지 분석 AI 모델의 정확도를 보다 상승시킬 수 잇다.
가구원의 수, 각 가구원의 직업, 각 가구원의 성별 및 각 가구원의 나이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영향을 주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은 각 세대가 사용하는 에너지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가구원의 수가 많으면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한다. 가구원의 직업이 야간 근무가 주된 특징이라면(각 직업의 특징은 별도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음) 야간 에너지 사용량이 많을 것이다. 가구원 중 어린이가 있다면 동절기 실내 온도를 보다 높게 설정하고 하절기 실내 온도를 보다 낮게 설정할 것이므로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에너지 분석 AI 모델이 구축되면, 세대별 에너지 사용량 기준값 연산부(248)를 통해, 실제 검침값을 예측하고자 하는 세대의 정보가 입력되어 에너지 사용량 기준값이 연산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사용되는 AI는 어떠한 기술이어도 무방하다. 기계학습, 딥러닝, CNN, RNN, ANN, 퍼지 이론 방식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알림 제공 프로세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각 세대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각 세대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전달 프로세스는 제2 통신망을 이용한다.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해당 층에 형성된 각 세대의 세대별 에너지 정보를 수신 및 취합함으로써, 층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한다.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로부터 서브 스위칭허브(340)에게 복수의 층별 에너지정보가 전달된다. 이때, 서브 스위칭허브(340)는 각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 및 취합하여 동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로부터 메인 스위칭허브(220)에게 복수의 동별 에너지정보가 전달된다. 이때, 메인 스위칭허브(220)는 각 동별 에너지정보를 수신 및 취합하여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260)는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에게 세대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홈네트워크 서버(260) 및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인 스위칭허브(22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세대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단지 지역 특성, 동 특성, 세대 특성, 재실자 특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수신한 에너지정보 및 세대관련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구축한다. 이때, 세대관련 정보는 입력값으로 이용되고, 에너지정보는 출력값으로 이용된다.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에너지 검침값을 순시값으로 수신한다. 즉,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세대별, 동별 및 단지내의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현재 가정용 전기요금을 책정함에 있어, 누진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정 단계마다 누진되고 있다. 이에,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각 세대의 에너지를 모니터링하고, 구축된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량 경계구간 도달 전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에너지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제공하고 에너지요금 관리가 가능케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라 함을 세대원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세대 내 에너지 사용량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어느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사용자에게 "현재 전력사용패턴 유지 시 2일 후 누진3단계 범위에 접어듭니다" 등의 팝업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메시지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알림은 세대단말기(42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너지 절감요소 및 누진구간 회피 설비운용안을 제안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라 함은 관리사를 의미한다. 단지내 공용설비의 에너지관리는 관리사들이 담당하고 있어,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로부터 제공되는 제안에 의해, 단지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누진구간 중 다음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누진대응을 위해 지하주차장 급배기팬 가동율을 50% 절감할 것을 권장합니다" 등의 팝업 메시지를 관리사 단말기(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관리사는, 공동설비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단지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이상세대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이상세대로부터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의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에 따른 방법 중,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가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구축하고, 실시간 에너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까지는 도 4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바, 이에 관해서는 도 4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특정 세대는, 세대단말기(420)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260)에게 일정기간 동안의 에너지 모니터링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서, 특정 세대는, 장기간 보호자가 출타하는 세대, 1인가정 세대, 독거노인 세대, 환자 거주세대 등이 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260)는, 에너지 모니터링 요청을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에게 전달한다. 요청을 수신한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일정기간 동안 요청세대의 사용패턴을 감시하게 된다.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가 요청세대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시하는 도중, 에너지 사용패턴 대비 이상 패턴(abnormal pattern)이 감지되면, 관리사 단말기(500)에 경보를 전달한다. 요청세대의 시간별, 일별 에너지 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할 때에, 전기, 수도, 난방 에너지 사용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재실 중으로 판단되나 1일 중 에너지 사용량이 확인되지 않으니 확인바랍니다"라는 팝업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장기 출타로 인해 재실 중인 세대원이 없는 세대에서 에너지 사용이 감지될 경우, "장기 출타 세대 101동 2002호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검출되고 있습니다"와 같은 팝업 메시지가 관리사 단말기(5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메시지를 수신한 관리사는, 해당 세대를 방문 및 점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청세대의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특정 세대의 요청이 없더라도 기본적인 모니터링 및 이상패턴 감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101동 2001호 수도사용량이 평소와 다른 패턴이므로 확인 바랍니다"라는 팝업 메시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평상시 에너지 사용패턴 그래프 또는 정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관리사는, 경보가 제공되면, 함께 제공되는 평상시 에너지 사용 데이터 및 이상패턴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당 세대 점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원격검침 시스템
200: 방재실
220: 메인 스위칭허브
240: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
260: 홈네트워크 서버
320: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
340: 서브 스위칭허브
420: 세대단말기
440: 검침기
500: 관리사 단말기

Claims (8)

  1. 하나의 층에 하나씩 설치되며, 어느 한 층의 각 세대로부터 전달되는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제1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여 층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
    하나의 동마다 설치되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
    단지내의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스위칭허브(34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스위칭허브(220);
    상기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위칭허브(2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고 동별 에너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생성하는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 및
    상기 방재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스위칭허브(220)로부터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세대단말기(420)로부터 세대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홈네트워크 서버(260)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세대단말기(420)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세대단말기(420)가 설치된 하나의 동에 설치되는 상기 서브 스위칭허브(340)를 통해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60)와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내장 메모리 및 RTC(real time clock)를 포함함으로써, 층별 에너지 정보들이 시계열 데이터로서 각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 저장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한 뒤 정상복구 시, 상기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저장된 에너지정보를 상기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 또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60)에 제공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은,
    n층에 구비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이 n-1층에 구비된 층별 에너지관리 모듈(320)에게 층별 에너지정보를 전달하는, -여기서 n은 각 동의 층수로서 2 이상의 정수 -
    원격검침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이더넷을 이용하여 tcp/i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420)로부터 수신한 세대관련 정보는, 단지 지역 특성, 동 특성, 세대 특성, 재실자 특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지별 에너지관리 서버(240)는, 상기 세대관련 정보를 입력값으로서 이용하고, 그리고, 상기 세대별 에너지정보, 상기 층별 에너지정보, 상기 동별 에너지정보 및 상기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출력값으로서 이용하여 에너지 분석 AI 모델을 구축하는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를 포함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는, 상기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기설정된 사용량 경계구간에 실시간 에너지 정보가 도달하기 전에 세대단말기(420)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는, 상기 동별 에너지정보 및 상기 단지내 에너지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관리사 단말기(500)에게 에너지 절감 알림 또는 기저장된 누진구간 회피 설비운용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원격검침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석 AI 모델 구축부(241)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세대의 에너지 모니터링 요청이 있는 경우,
    세대별 에너지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상기 특정 세대의 에너지 사용량의 이상 패턴을 감지하는 경우, 관리사 단말기(500)에게 이상세대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0210085945A 2021-06-30 2021-06-30 원격검침 시스템 KR102482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45A KR102482849B1 (ko) 2021-06-30 2021-06-30 원격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45A KR102482849B1 (ko) 2021-06-30 2021-06-30 원격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849B1 true KR102482849B1 (ko) 2022-12-29

Family

ID=8453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45A KR102482849B1 (ko) 2021-06-30 2021-06-30 원격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8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617A (ko) * 2004-03-16 2005-09-22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원격 검침 장치 및 상기 원격 검침 장치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10043262A (ko) * 2009-10-21 2011-04-27 한국전력공사 검침 데이터 집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KR20150095995A (ko) * 2014-02-13 2015-08-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상황인식 기반의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빌딩 에너지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617A (ko) * 2004-03-16 2005-09-22 대림아이앤에스주식회사 원격 검침 장치 및 상기 원격 검침 장치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10043262A (ko) * 2009-10-21 2011-04-27 한국전력공사 검침 데이터 집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KR20150095995A (ko) * 2014-02-13 2015-08-2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상황인식 기반의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빌딩 에너지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3429B1 (en) Determining status of building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s sensor data
US8335593B2 (en) Power-using device monitor
US7502698B2 (en)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US8645495B2 (en)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Bhatt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wired building automation systems
KR100960503B1 (ko) 에너지 수요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전자식 미터 및 이를이용한 수요관리 방법
RU108611U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ации средств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US20110040785A1 (en)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manage performance of appliances
US20110113360A1 (en)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terface
US2011015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b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US201101254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CN103346938A (zh) 一种基于云计算服务的智能家居系统
CN210323870U (zh) 一种楼宇能耗管理系统
KR20130049254A (ko) 쓰리디 모델링 기반의 지능형 빌딩통합 자동제어 및 에너지 목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31659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safety risk and optimizing energy use
KR20130091573A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최적 에너지 관리 및 에너지 설비 제어 연동 시스템
KR102148616B1 (ko)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Sayed et al.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BEMS)
CN112213953A (zh) 建筑设备智能管控方法、平台、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2260416A1 (ko) 주거지 전기설비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71212B1 (ko) Ai 및 홈네트워크 기반 원격검침 방법
Ahmad et al. Design of IoT embedded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2482849B1 (ko) 원격검침 시스템
Sundaramoorthi CLOUD-BASED MQTT PROTOCOL FOR POWER MONITORING AND SOCKET CONTROL SYSTEM
KR101248221B1 (ko) 데몬 프로세스를 이용한 통합 중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