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175B1 -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175B1
KR102482175B1 KR1020170078764A KR20170078764A KR102482175B1 KR 102482175 B1 KR102482175 B1 KR 102482175B1 KR 1020170078764 A KR1020170078764 A KR 1020170078764A KR 20170078764 A KR20170078764 A KR 20170078764A KR 102482175 B1 KR102482175 B1 KR 10248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pressure
seating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485A (ko
Inventor
황승현
김동언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175B1/ko
Priority to PCT/KR2018/006807 priority patent/WO2018236095A1/ko
Priority to US16/624,351 priority patent/US11506558B2/en
Priority to CN201880041855.5A priority patent/CN110785643B/zh
Publication of KR2018013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6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5/00Measuring a proportion of the volume flow
    • G01F5/005Measuring a proportion of the volume flow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2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 G01N15/0826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and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permeation rate or pressure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는, 피검사체가 부착되고, 하면 및 상기 하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하면과 상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 및 상기 안착부에 부착된 피검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에 누름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ventil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피검사체의 통기 특성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진보된 성능을 구현하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외부로부터 전자 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 물에 취약한 내부 전자 부품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어, 방수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방수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내부 전자 부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소재의 하우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방수를 위해 전자 장치의 외부와 내부 전자 부품의 통기를 완전히 차단할 경우 전자 장치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 간 평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자 장치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 외관 중 일부 영역에 전자 장치의 외부와 내부 간 통기를 위한 에어 벤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전자 장치의 외부와 내부 간의 통기를 위한 에어 벤트에 이용되는 소재는 적정 수준의 통기 특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방수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에어 벤트에 이용되는 소재는, 물 분자는 투과되지 않지만 공기 분자는 투과될 수 있는 정도의 통기 특성이 요구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에어 벤트는 1㎠ 이하의 면적에 불과하지만, 일반적으로 통기 특성이 검사되는 원단 소재는 수백 ㎠의 면적으로 검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원단 단위에서는 통기 특성을 만족하더라도 실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작은 면적에서도 통기 특성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실제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 벤트 소재의 면적 차이에 의한 통기량 특성 오차를 유발하지 않고 통기 성능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는, 피검사체가 부착되고, 하면 및 상기 하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하면과 상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 및 상기 안착부에 부착된 피검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에 누름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장치는 실제 전자 장치에 이용되는 면적에서의 피검사체의 통기 특성을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되는 에어 벤트 소재와 실제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 벤트 소재의 면적 차이에 의한 통기량 특성 오차를 유발하지 않고 통기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에어 벤트(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하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하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상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A-A'면을 기준으로 바라볼 때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B-B'면을 기준으로 바라볼 때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3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상면도이다.
도 3e는, 3d의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C-C' 면을 따라 절개하여 바라볼 때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 하면에 피검사체를 부착하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에서 압착부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 하면에 피검사체를 부착하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에서 압착부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 상면에 피검사체를 부착하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에서 압착부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 상면에 피검사체를 부착하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에서 압착부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방법에 관한 흐름도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에어 벤트(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방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방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방수 성능을 갖는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 외면의 미세한 틈새는 방수 테이프 등 방수 소재를 이용해 밀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외부와 내부 전자 부품 간의 통기가 완전히 차단될 경우 전자 장치(10)의 내부와 외부 간 압력 차이에 의하여 전자 장치(10)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가 외부 압력이 낮은 지역(예: 산)에 위치하거나, 내부 부품의 발열로 인해 내부 공기가 팽창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를 쥐거나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전자 장치(10)의 내부 압력 증가로 부품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전자 장치(10)의 외부와 내부 간 압력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통기를 위한 공간(100)(이하 “에어 벤트”라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벤트(100)는 전자 장치(10)의 후면의 카메라(11a)와 LED 모듈(11b) 사이의 일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벤트(100)를 통해 전자 장치(10)의 내부 공기는 전자 장치(10)의 외부로 유출되고, 전자 장치(10) 외부로부터의 공기는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에어 벤트(100)의 위치는 일 예에 해당할 뿐, 에어 벤트(100)는 전자 장치(10) 외면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2a의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하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d는 상기 도 2c의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를 하측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전자 장치(10)의 에어 벤트(100)에 사용되는 소재의 통기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 압착부(210), 안착부(220), 실링부(230), 및 측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에어 벤트(100)에 사용되는 소재의 통기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상기 에어 벤트(100)에 사용되는 소재가 물을 통과시키지 않되 공기는 통과시킬 수 있는 적정 통기량 특성을 갖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대상인 에어 벤트(100)에 사용되는 소재(이하 “피검사체(100)”)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안착부(220)의 일면에 부착되어 검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210), 안착부(220), 및 측정부(240)가 순서대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 홀(222)은 안착부(2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사체(100)는 상기 관통 홀(222)에 대응하여 안착부(220)의 일면에 부착되어 검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사체(100)는,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2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압착부(210)와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사체(1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20)의 일면에 부착되어 측정부(240) 일면과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230)는 안착부(220)와 측정부(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240)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측정부(240)로부터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링부(230)는 관통 홀(222) 이외의 영역으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부(220)와 측정부(24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230)는 탄성력에 의해 안착부(220)와 측정부(2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링부(23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230)는 오링(O-ring) 또는 개스킷(gasket)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240)는 실링부(23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안착부(220)와 측정부(240)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안착부(220)를 향하는 면에 실링 홈(예: 오링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부(210)는 안착부(220)와 적어도 일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부(210)는 안착부(220)가 측정부(240)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 방향에서 안착부(220)를 누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부(210)는 도 2b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2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부(21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2)의 일측에 개방된 영역(2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부(21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2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 영역(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에서 압착부(210)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상면도이며,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의 A-A' 및 B-B' 방향에서 바라볼 때의 측면 절개도이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돌출부(212)는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을 통과하는 유체가 돌출부(212)의 일측면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상기 관통 홀(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C자 형상(또는 ㄷ자 형상, V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12)는 상기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을 따라 통과하는 유체가 관통 홀(222) 외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에 출구 역할을 하는 개방된 영역(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상면도이고, 도 3e는 도 3d의 C-C' 방향에서의 측면 절개도이다.
도 3d, 및 도 3e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12)는 관통 홀(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동그라미 또는 네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부(210)는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에 대응하여 상기 압착부(2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별도의 홀 영역(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210)의 홀 영역(214)은 상기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을 따라 통과한 유체가 압착부(210) 상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12)는 안착부(220)를 상기 안착부(220)가 측정부(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되, 안착부(220)의 상면에 피검사체(100)가 부착되어 검사되는 경우에도 상기 피검사체(100)와 돌출부(212)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부(210)는 돌출부(212)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 안착부(220)의 형태를 추종하는 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부(210)는 상기 홈부(미도시)에 의해 안착부(220)를 측정부(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상기 압착부(210)는 검사 시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을 따라 통과한 유체가 빠져 나갈 수 있는 별도의 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240)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내부에 유체(예: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240)는 안착부(220)의 일면에 부착되는 피검사체(1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240)에서 측정하는 피검사체(1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정보는, 상기 피검사체(100)를 통과하기 전 피검사체(1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이거나, 상기 피검사체(100)를 통과하고 난 후 피검사체(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일 수 있다. 측정부(240)는 피검사체(1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사체(100)의 통기 특성이 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 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에서 유체의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안착부(220)의 하면, 즉 안착부(220)가 측정부(240)와 마주하는 안착부(220)의 일면에 피검사체(100)를 부착하여 통기 특성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사체(100)는 안착부(220)가 측정부(240)와 마주하는 안착부(22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검사체(100)는 접착 부재(예: 양면 테이프)(105)를 이용하여 안착부(220) 일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105)는 예를 들면, 상기 피검사체(100)가 전자 장치(10)에 에어 벤트로서 부착될 때 사용되는 소재와 동일한 종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피검사체(100)를 안착부(220)의 하면에 부착하여 피검사체(100)의 통기 특성을 검사하는 경우, 측정부(2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외부 대기압보다 높은 특정 압력으로 압축한 유체일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의 내부 압력이 외부 대기 압력보다 높은 경우를 상정하여 피검사체(100)의 통기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안착부(220)의 상면, 즉 안착부(220)가 압착부(210)와 마주하는 안착부(220)의 일면에 피검사체(100)를 부착하여 통기 특성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사체(100)는 안착부(220)가 압착부(210)와 마주하는 안착부(22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검사체(100)는 접착 부재(105)를 이용하여 안착부(220) 상면에 상기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체(100)를 안착부(220)의 상면에 부착하여 피검사체(100)의 통기 특성을 검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의 외부 압력이 내부 압력보다 높은 경우의 전자 장치(10)의 통기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압착부(210)는 안착부(220)와 측정부(240)가 밀착되도록 안착부(220)의 일면을 효과적으로 누르기 위한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210)의 돌출부(212)는 동그라미 또는 네모 형상과 같이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착부(210)는 유체의 출구 역할을 하기 위하여 압착부(2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 영역(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측정부(24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측정부(240)의 홀 영역(유체 공급 유로)(244)을 지나 피검사체(100)를 통과하고,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 및 상기 압착부(210)의 홀 영역(유체 배출 유로)(2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측정부(24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측정부(240)의 홀 영역(유체 공급 유로)(244)과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을 지나, 피검사체(100)를 통과하고, 압착부(210)의 홀 영역(유체 배출 유로)(2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210)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 영역을 포함하는 대신 압착부(210)의 돌출부(212) 일측면으로 유체의 출구 역할을 하는 개방된 영역(214)을 포함하도록, C자 형상(또는 ㄷ자 형상, V자 형상 등)의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측정부(24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측정부(240)의 홀 영역(유체 공급 유로)(244)을 지나 피검사체(100)를 통과하고,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 및 상기 압착부(210)의 돌출부(212)의 측면 개방 영역(유체 배출 유로)(2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측정부(24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측정부(240)의 홀 영역(유체 공급 유로)(244) 및 안착부(220)의 관통 홀(222)을 지나, 피검사체(100)를 통과하고, 압착부(210)의 돌출부(212)의 측면 개방 영역(유체 배출 유로)(2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240)는 유체 공급부(compressor)(610), 압력 조절부(regulator)(620), 적어도 하나의 개폐기(630, 631), 압력 측정부(640), 유량 측정부(641), 및 제어부(controller)(6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측정부(240)의 유체 공급부(610)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 내부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체 공급부(610)는 소정의 압력 크기로 압축된 유체를 측정부(240)의 유체 공급 유로를 따라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유체가 피검사체(65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조절부(620)는, 상기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조절부(620)는 유체 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압력 측정부(640)는 피검사체(65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 측정부(640)는 압력 조절부(620)와 피검사체(650)가 부착되는 안착부(220)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피검사체(650)를 통과하기 전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량 측정부(641)는 피검사체(65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량 정보는 단위 시간 동안 이동하는 유체의 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 측정부(641)는 피검사체(6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 및 상기 피검사체(65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량 측정부(6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조절부(620)와 피검사체(650)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피검사체(650)를 통과하기 전 유체의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유량 측정부(6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체(650)를 통과하고 난 후 유체가 흐르는 일 영역에 배치되어 피검사체(650)를 통과한 유체의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기(630, 6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기(630, 631)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로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240)는 압력 조절부(620)와 압력 측정부(640)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기(630) 및 압력 측정부(640)와 피검사체(650)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기(6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기(630, 631)는 제어부(632)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기(630, 631)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상기 개폐기(630, 631)를 적절히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을 요구되는 압력으로 조절하거나, 압력에 의한 검사 측정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32)는 상기 유체 공급부(610), 압력 조절부(620), 개폐기(630, 631), 압력 측정부(640), 및 유량 측정부(641)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32)는 우선 피검사체(650)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공하기 위해, 제2개폐기(631)를 폐쇄하고, 제1개폐기(630)를 개방한 후, 압력 측정부(640)와 압력 조절부(620)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설정된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값은 검사 시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 외부의 공기압 측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632)는 피검사체(650)의 통기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2개폐기(631)를 개방하고, 압력 측정부(640) 및 유량 측정부(641)를 이용하여 피검사체(6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부(230)와 압착부(210)에 의해 유체는 피검사체(650)를 통과하는 경로로만 흐르기 때문에, 측정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 정보는 피검사체(650)의 통기 특성에만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32)는 상기 압력 측정부(640) 및 유량 측정부(641)에 의해 측정된 압력 및 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사체(100)의 통기 특성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32)는 측정된 유량 정보를 설정된 유량 정보 값과 비교하여 통기 특성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32)는 측정된 유체의 압력, 유량, 및 통기 특성 불량 여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방법에 관한 흐름도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안착부(220)에 부착되어 검사되는 피검사체(100)의 통기 특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압력 측정부(640)와 피검사체(100)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기(631)을 폐쇄할 수 있다.
동작 802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유체 공급부(610)와 연결된 압력 조절부(620)와 상기 압력 측정부(640)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기(630)를 개방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압력 측정부(640)를 이용하여 제1개폐기(630)와 제2개폐기(640)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에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상기 측정한 유체의 압력 값을 설정된 압력 값 또는 검사 환경에서의 외부 공기압 측정 값과 비교하여 적정 압력 값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04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제1개폐기(630)와 제2개폐기(631)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에서의 유체의 압력이 상기 설정된 압력 값 또는 외부 공기압 측정 값이 되도록, 압력 조절부(620)를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조절부(620)는 측정한 유체 압력 값이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소정의 압력 크기로 압축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610)로부터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제2개폐기(631)를 개방하여 피검사체(650)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유체는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의 실링부(230) 및 압착부(210)에 의해, 외부로의 누설 없이, 피검사체(650)를 통과하는 경로로만 흐를 수 있다.
동작 806에서, 유량 측정부(641)는 상기 피검사체(65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량 측정부(641)는 제2개폐기(631)와 피검사체(650)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에 배치되어, 피검사체(650)를 통과하기 전 유체의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유량 측정부(641)는 피검사체(650)를 통과한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배출 경로 상에 배치되어, 피검사체(650)를 통과한 유체의 유량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 정보는 단위 시간 동안 이동하는 유체의 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 정보는 특정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량 정보는 압력 측정부(640)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압력 변화 값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8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특성 검사 장치(200)는 측정한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피검사체(650)의 통기 특성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한 피검사체(650)의 유량 정보가 설정된 유량 정보와 비교하여 오차 범위 이상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피검사체(650)의 통기 특성을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는, 피검사체가 부착되고, 하면 및 상기 하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 및 상기 안착부에 부착된 피검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에 누름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 이외의 영역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부와 측정부를 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에 대응하여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는 유체는, 상기 관통 홀 및 상기 C자 형상의 돌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 상기 측정부는 유량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측정부는,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 및 상기 피검사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 상기 측정부는 압력 조절부 및 압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검사 장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는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부는, 소정의 압력 크기로 압축된 유체를 상기 검사 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공급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기는, 상기 압력 조절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기; 및 상기 압력 측정부와 상기 피검사체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는, 상기 측정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개폐기를 폐쇄하고, 상기 제1개폐기를 개방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를 통해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을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2개폐기를 개방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유량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체의 압력 및 유량에 기반하여, 상기 피검사체의 통기 특성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체의 압력, 유량, 및 통기 특성 불량 여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검사체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안착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실링부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실링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 검사 방법은, 압력 측정부와 상기 피검사체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기를 폐쇄하고, 압력 조절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기를 개방하는 동작; 상기 압력 측정부를 통해 상기 유체 이동 경로에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작; 상기 압력 조절부를 통해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을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동작; 상기 제2개폐기를 개방하고, 유량 측정부 및 상기 압력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불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량 측정부는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한 유체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한 유체의 압력 및 유량 값을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피검사체의 통기 특성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한 유체의 압력, 유량, 및 통기 특성 불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안착부에 부착된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에 누름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압착부에 포함된 유체 배출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부” 또는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 또는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 (예: 프로세서 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30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 (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검사 장치에 있어서,
    피검사체가 부착되고, 하면 및 상기 하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 및 상기 안착부에 부착된 피검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에 누름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상기 검사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압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 사이의 개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압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 사이의 상기 돌출부로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검사 장치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상기 유체 배출 유로이고,
    상기 측정부의 유체 공급 유로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 및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상기 돌출부의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검사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 이외의 영역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부와 측정부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에 대응하여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는 유체는, 상기 관통 홀 및 상기 C자 형상의 돌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의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검사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유량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측정부는,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 및
    상기 피검사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압력 조절부 및 압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검사 장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는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소정의 압력 크기로 압축된 유체를 상기 검사 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공급된 유체의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압력 조절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기; 및
    상기 압력 측정부와 상기 피검사체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기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유량 측정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개폐기를 폐쇄하고,
    상기 제1개폐기를 개방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를 통해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을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2개폐기를 개방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유량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검사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체의 압력 및 유량에 기반하여, 상기 피검사체의 통기 특성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체의 압력, 유량, 및 통기 특성 불량 여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체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체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안착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실링부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실링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피검사체에 대한 통기 성능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는,
    상기 피검사체가 부착되고, 하면 및 상기 하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면을 포함하는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 및 상기 안착부에 부착된 상기 피검사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에 누름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상기 검사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압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 사이의 개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압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면 사이의 상기 돌출부로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검사 장치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상기 유체 배출 유로이고,
    상기 측정부의 유체 공급 유로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안착부의 관통 홀 및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하여 상기 돌출부의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검사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고,
    상기 측정부는 유량 측정부, 상기 검사 장치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소정의 압력 크기로 압축된 유체를 상기 검사 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압력 측정부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기, 및 상기 압력 측정부 및 상기 피검사체 사이의 유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개폐기를 폐쇄하고, 상기 제1개폐기를 개방하는 제1동작;
    상기 압력 측정부를 통해 상기 유체 이동 경로에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동작;
    상기 압력 조절부를 통해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압력을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제3동작;
    상기 제2개폐기를 개방하고, 상기 유량 측정부 및 상기 압력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하는 제4동작; 및
    상기 피검사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통기 성능에 대한 불량 여부를 결정하는 제5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부는 상기 피검사체를 통과한 유체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동작은,
    상기 측정한 유체의 압력 및 유량 값을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통기 성능에 대한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동작 후 상기 측정한 유체의 압력, 유량, 및 상기 통기 성능에 대한 불량 여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6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삭제
KR1020170078764A 2017-06-21 2017-06-21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48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64A KR102482175B1 (ko) 2017-06-21 2017-06-21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PCT/KR2018/006807 WO2018236095A1 (ko) 2017-06-21 2018-06-15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US16/624,351 US11506558B2 (en) 2017-06-21 2018-06-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ventilation
CN201880041855.5A CN110785643B (zh) 2017-06-21 2018-06-15 用于检查通风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64A KR102482175B1 (ko) 2017-06-21 2017-06-21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85A KR20180138485A (ko) 2018-12-31
KR102482175B1 true KR102482175B1 (ko) 2022-12-29

Family

ID=6473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64A KR102482175B1 (ko) 2017-06-21 2017-06-21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06558B2 (ko)
KR (1) KR102482175B1 (ko)
CN (1) CN110785643B (ko)
WO (1) WO20182360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8859A (ja) * 2005-11-22 2006-06-01 Nitto Denko Corp 通気材の通気度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657A (ja) * 1997-10-21 1999-04-30 Cosmo Keiki:Kk ドリフト補正値算出装置及びこの算出装置を具備した洩れ検査装置
JP2000088736A (ja) 1998-09-17 2000-03-31 Tokyo Gas Co Ltd 微小通気空間の閉塞度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TWM318123U (en) 2007-01-05 2007-09-01 Smart Ant Telecom Co Ltd Gastightness examination apparatus
JP4941275B2 (ja) 2007-12-20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防水試験装置、防水試験方法および防水試験プログラム
TW200940119A (en) * 2008-01-25 2009-10-01 Smiths Medical Asd Inc Gas vent valve assembly
DE102009041253A1 (de) * 2009-09-11 2011-03-24 Krones Ag Blasventil
TWI424158B (zh) 2010-11-02 2014-01-21 Askey Computer Corp 氣壓測試裝置
TW201411109A (zh) 2012-09-14 2014-03-16 Askey Computer Corp 防水測試系統及其方法
KR101457075B1 (ko) * 2014-05-21 2014-10-31 한국고무 주식회사 방수성능 검사장치
US9862859B2 (en) 2014-09-12 2018-01-09 W. L. Gore & Associates, Inc. Porous air permeable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es with improved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KR20160052217A (ko) 2014-11-04 2016-05-12 (주)동희 누설검사장치
JP7008986B2 (ja) * 2016-12-27 2022-01-25 パッケージ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アンド インスペクション、エルエルシイ 動的真空減衰リーク検出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8859A (ja) * 2005-11-22 2006-06-01 Nitto Denko Corp 通気材の通気度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85643A (zh) 2020-02-11
US11506558B2 (en) 2022-11-22
WO2018236095A1 (ko) 2018-12-27
US20210148777A1 (en) 2021-05-20
CN110785643B (zh) 2022-04-22
KR20180138485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75733A (en) Automatic testable breather valve
US7699070B2 (en) Shutoff valve apparatus and mass flow control device with built-in valve
US80744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leaks
KR101995333B1 (ko) 수밀 도어 리크 테스트 장치
JP2017090155A (ja) 弁座漏れ検査装置と検査方法
KR102482175B1 (ko) 통기 검사 장치 및 방법
EP3076054B1 (en) Valve device
CN106226005B (zh) 燃气表阀盖、阀座密封性检测装置
KR101504596B1 (ko) 누설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테스트 방법
BR112018013260A2 (pt) tira de teste analítico de base eletroquímica com conexões de detecção de tensão de eletrodo e medidor de teste portátil para uso com a mesma
KR950704638A (ko) 액체 재순환 제어장치의 성능을 모니터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circulation control system performance)
KR101564770B1 (ko) 전자기기용 방수 테스트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측정 유닛
KR102034451B1 (ko) 고압 부품의 내구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DK201570808A1 (en) Leak detector
KR101564769B1 (ko) 전자기기용 방수 테스트 장치
JP6606347B2 (ja) 空気圧式作動弁の空気圧計測システム及び空気圧計測方法
KR20160003412A (ko) 전자부품용 방수 테스트 장치
CN209181204U (zh) 空调器的环境检测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114664A (zh) 一种适用于中高压压差密封检测的气驱组合阀
JP6889891B1 (ja) 漏れ検知機能付き弁および漏れ検知装置
RU25384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микроструктур
KR20220118831A (ko) 센서 튜브, 습도센서 조립체 및 습도센서 시스템
KR102385656B1 (ko) 공기질 측정장치
US20040255689A1 (en) Flow rate test apparatus and method
EP33443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xcessive fluid flow in a cassette designed to receive a fluid s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