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003B1 -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 Google Patents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003B1
KR102482003B1 KR1020210125927A KR20210125927A KR102482003B1 KR 102482003 B1 KR102482003 B1 KR 102482003B1 KR 1020210125927 A KR1020210125927 A KR 1020210125927A KR 20210125927 A KR20210125927 A KR 20210125927A KR 102482003 B1 KR102482003 B1 KR 102482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windmill
bridge
wind power
p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영익
Original Assignee
고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익 filed Critical 고영익
Priority to KR102021012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0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43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using infrastructure primarily used for other purposes, e.g. masts for overhead railway powe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lready existing for a prior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on a t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Presented is a wind power generator which performs wind power generation through rotation by a wind. Th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ridge pylon extending vertically in a status installed on a seabed of a river or a sea and providing bearing capacity, and forming a bridge together with a bridge deck while supporting the bridge deck; a windmill installed on the bridge pylon, and providing a rotary force while rotating by the wind; a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of the windmill and generating an electric power based on the rotary force of the windmill; and a windmill fixation unit provided on the bridge pylon to rotatably fix the windmill while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windmill.

Description

교량형 풍력발전장치{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Bridge type wind power generator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교를 이루는 교량주탑을 기반으로 풍력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losed herein relate to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wind power based on a bridge pylon constituting a suspension bridge.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이란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기술이다.In general, wind power generation is a technology of converting a rotor into mechanical energy by us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kinetic energy of air flow and obtaining electricity with this mechanical energy.

이러한 풍력 발전은 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단가가 다른 발전방식에 비하여 저렴하므로 점점 확대 설치되고 있다.Wind power generation uses pollution-free and unlimited winds scattered everywhere, so there is littl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the land can be used efficiently. It is relatively inexpensive, so it is being installed more and more.

통상적인 풍력발전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10-15623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propeller)형 풍차를 사용하는 것으로, 오늘날 풍력발전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A typical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uses a propeller-type windmill a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2384, which is the mainstream of today's wind power generation.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기는 바람이 많이 부는 산간 지역에 주로 설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상 지역에 설치되고 있다.Thes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s are mainly installed in windy mountainous areas, and recently installed in offshore areas.

그러나, 상기와 같은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산간이나 해상에 풍력발전설비의 설치공간을 새로 마련해야 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install the wind power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itial installation costs are high because a new installation space for th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must be provided in the mountains or on the sea.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been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하천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교량의 주탑에 풍력발전설비를 설치함으로써 풍력발전시설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aimed at presenting a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reducing costs for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y install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n the main tower of a bridge installed on a river or sea.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풍차를 교량주탑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풍차의 방향전환이나 풍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im to present a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ndmill 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indmill while firmly fixing the windmill to the bridge pyl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풍차의 하강 시 풍차를 교량주탑의 벽체에 배치시킴으로써 풍차를 좀 더 안정적인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aimed at presenting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capable of disposing the windmill in a more stable position by arranging the windmill on the wall of the bridge pylon when the windmill descend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에 의한 회전을 통해 풍력발전을 수행하는 풍력발전장치에 있어서, 하천이나 해상의 해저면에 설치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고, 교량상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상판과 함께 교량을 이루는 교량주탑; 상기 교량주탑에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풍차; 상기 풍차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풍차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전력을 발전하는 풍력발전모듈; 및 상기 교량주탑에 마련되어 상기 풍차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풍차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풍차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in the wind power generator that performs wind power generation through rotation by wind, installed on the seabed of a river or sea a bridge pyl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ovide support and forming a bridge together with the bridge deck while supporting the bridge deck; a windmill installed on the bridge pylon to provide rotational force while rotating by wind; a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of the windmill to generate electric power based on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and a windmill fixing part provided on the bridge pylon to rotatably fix the windmill while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windmill.

또한, 상기 풍차고정부는, 상기 교량주탑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풍차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풍차포스트; 및 상기 교량주탑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풍차포스트의 일부분을 수용하면서 상기 풍차포스트를 고정하는 포스트설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mill fixing part may include a windmill post extending vertically in a stat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ylon to rotatably support the windmill; and a post installation groov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ylon and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windmill post and fixing the windmill post.

또한, 상기 풍차포스트는, 상기 포스트설치홈에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메인포스트; 및 상기 메인포스트와 분리 구성되어 상기 메인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풍차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는 서브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mill post may include a main post fixed to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and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and a sub-post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post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to provide an installation portion of the windmill.

또한, 상기 서브포스트는, 상기 메인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피벗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풍차의 방향전환을 허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post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main post as a central axis, allowing the windmill to change direction.

또한, 상기 서브포스트는, 상기 메인포스트와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면서 결합되어 상기 메인포스트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메인포스트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풍차의 승강을 허용하며, 상기 풍차포스트는, 상기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post is combined with the main post while forming a telescopic structure to allow the windmill to ascend and descend while being drawn into the main post or drawn from the main post, and the windmill post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subpost. An elevat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메인포스트의 내부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브포스트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포스트의 승강경로를 제공하며, 수동이나 자동으로 회전하는 포스트스크류; 및 상기 포스트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포스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스트스큐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서브포스트에 고정되어 상기 포스트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는 포스트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member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ub-post in a state of being idling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st to provide an elevating path for the sub-post, and manually or automatically rotate the post screw; and a post slider screwed to the post screw,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screw by rotation of the post screw, and fixed to the sub post to elevate the sub pos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st screw. can include

또한, 상기 풍차고정부는, 상기 포스트설치홈을 이루는 벽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설치홈의 일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풍차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풍차의 하강을 허용하면서 상기 풍차를 상기 교량주탑의 벽체에 배치시키는 주탑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mill fixing part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 wall constituting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forms an opening in a portion of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and extend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mill post to allow the windmill to descend while allowing the windmill to descend. A pylon slot for arranging a windmill on a wall of the bridge pylon may be further included.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하천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현수교량의 주탑에 풍차 및 풍력발전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by installing the windmill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on the pylon of the suspension bridge installed in the river or the sea.

또한, 풍차고정부를 구성하는 풍차포스트가 교량주탑에 마련된 포스트설치홈에 하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풍차포스트에 설치되는 풍차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dmill post constituting the windmill fixing part is fix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provided on the bridge pylon, the windmill installed on the windmill post can be firmly installed.

또한, 풍차포스트가 메인포스트와 서브포스트로 분할되면서 서브포스트의 피벗회전이 허용됨에 따라 서브포스트에 설치된 풍차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므로 풍차를 바람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활한 풍력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dmill post is divided into a main post and a sub-post, and the pivot rotation of the sub-post is allowed, the direction of the windmill installed on the sub-post can be changed, so that smooth wind power generation can be promoted by rotating the windmill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또한, 풍차포스트를 구성하는 승강부재를 통해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서브포스트와 함께 승강하는 풍차의 높이를 바람에 대응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b-post can be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lifting member constituting the windmill post, the height of the windmill that go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b-post can be adjust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nd.

또한, 풍차를 하강시킬 경우, 교량주탑에 형성된 주탑슬롯을 통해 풍차가 하강하면서 교량주탑의 벽체에 배치되므로 풍차를 바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풍차를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ndmill is lowered, the windmill is placed on the wall of the bridge pylon while descending through the pylon slot formed in the pylon of the bridge, so the windmill can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influence of wind is relatively small. It can protect from strong wind.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able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o which the disclosed embodiments belong. will be understandabl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풍차고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풍차포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차포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주탑슬롯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ndmill fixing part of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mill post of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mill po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tower slot of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An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tervening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풍차고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풍차포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차포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의 주탑슬롯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ndmill fixing part of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mill post of a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mill po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ylon slot of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10)는 하천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교량에 풍력발전기를 접목함으로써 풍력발전설비의 초기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치이다.The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of a wind turbine generator by grafting a wind turbine to a bridge installed on a river or sea.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주탑(100), 풍차(200), 풍력발전모듈(300) 및 풍차고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ridge pylon 100, a windmill 200, a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and a windmill fixing part 400 as shown in FIG. can be configured.

상기 교량주탑(100)은 교량상판(2)이 설치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교량상판(1)들과 함께 하나의 교량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며, 후술되는 풍차(200) 및 풍력발전모듈(300)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The bridge pylon 100 is a component forming one bridge together with the bridge decks 1 while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for the bridge deck 2 to be installed, and a windmill 200 and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described later. )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n installation part for

이러한 교량주탑(100)은 하천이나 해상의 해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케이블을 매개로 교량상판(2)을 지지할 수 있다.The bridge pylon 100 may extend vertically while being fixed to the seabed of a river or sea to provide a bearing force, and support the bridge deck 2 via a plurality of support cables.

즉, 교량주탑(100)은 현수교를 구성하는 주탑의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at is, all configurations of the main tower constituting the suspension bridge may be applied to the bridge tower 100.

또한, 교량주탑(100)은 도면에서 단수로 도시되었으나, 복수를 이루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bridge pylon 100 is shown in a singular number in the drawing, it may be constru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forming a plurality.

상기 풍차(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주탑(100)에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후술되는 풍력발전모듈(300)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As shown in FIG. 1, the windmill 200 is a component that is installed on the bridge pylon 100 and rotates by wind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풍차(200)는 후술되는 풍차고정부(400)의 구성을 통해 교량주탑(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windmill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ylon 100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mill fixing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rotated by wind.

여기서, 풍차(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만족할 수 있다.Here, the windmill 200 may be configured in a propeller type as shown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satisfied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provide rotational force while rotating by wind.

또한, 풍차(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구성되어 교량주탑(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를 이루면서 교량주탑(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windmills 200 may be configured singularly and installed on the bridge pylon 100.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windmills 2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ylon 100.

상기 풍력발전모듈(300)은 풍차(200)에 의한 회전력을 통해 전력 발전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power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200 .

이러한 풍력발전모듈(300)은 교량주탑(10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인접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풍차(200)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풍차(21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전력을 발전할 수 있다.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may be installed inside or adjacent to the bridge pylon 100, a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windmill 200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210 rotated by the wind. power can be generated.

이러한 풍력발전모듈(300)은 발전된 전력을 미도시된 송전케이블을 통해 전력의 이송목적지로 즉시 전송할 수 있으며, 미도시된 축전지에 충전한 후 송전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may immediately transmit the generated power to a power transfer destination through an unshown power transmission cable, or may transmit the power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cable after charging a storage battery (not shown).

상기 풍차고정부(400)는 교량주탑(100)에 풍차(2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풍차(200)를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windmill fixing part 400 is a component that fixes the windmill 200 to be rotatable by wind while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windmill 200 to the bridge pylon 100 .

이러한 풍차고정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차포스트(410) 및 포스트설치홈(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windmill fixing part 400 may include a windmill post 410 and a post installation groove 420 .

상기 풍차포스트(410)는 풍차(200)의 설치부위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교량주탑(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풍차(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windmill post 41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an installation portion of the windmill 200, and can rotatably support the windmill 200 by extending vertically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ylon 100.

이러한 풍차포스트(4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주형태로 형성되어 교량주탑(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트러스 구조를 이루면서 소정의 높이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windmill post 4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s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talled on the bridge pylon 100, or may be manufactured to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forming a truss structure.

또한, 풍차포스트(410)는 풍차(200)에 의해 회전하는 미도시된 출력축이 구비되어 풍차(200)의 회전력을 전술한 풍력발전모듈(30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mill post 410 is provided with an output shaft (not shown) that rotates by the windmill 200, so that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aforementioned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상기 포스트설치홈(420)은 교량주탑(100)의 상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풍차포스트(410)의 일부분을 수용하면서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post installation groove 4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ylon 100 and is a component that accommodates and fixes a portion of the windmill post 410.

즉, 포스트설치홈(420)은 풍차포스트(410)의 일부분을 매립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풍력발전모듈(300)에 연결되는 미도시된 연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420 may fix a portion of the windmill post 410 in an embedded state, and a connection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may be installed.

한편, 풍차포스트(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분할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windmill post 410 may be composed of one member as shown in FIG. 2, o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as shown in FIG. 3.

구체적으로, 풍차포스트(410)는 복수로 분할 구성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포스트(411) 및 서브포스트(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windmill post 4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it may include a main post 411 and a sub post 412 as shown in FIG. 3 .

상기 메인포스트(411)는 포스트설치홈(420)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main post 411 may provide support while being fix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420 .

상기 서브포스트(412)는 메인포스트(411)와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메인포스트(411)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풍차(200)의 설치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The sub-post 412 may be configure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post 411 and provide an installation site for the windmill 200 while be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411 .

이러한 서브포스트(4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를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풍차(200)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These sub-posts 412 may be composed of a singular number as shown, but, on the contrary, they may form a plurality and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windmill 200 at a predetermined height.

한편, 서브포스트(4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포스트(411)와의 결합부위에 베어링(413)이 개재됨으로써 메인포스트(411)를 중심축으로 피벗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bearing 413 is interposed between the sub-post 412 and the main post 411, so that the sub-post 412 can be pivotally rotated around the main post 411 as a central axis.

즉, 서브포스트(412)는 피벗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풍차(200)의 방향전환을 허용할 수 있다.That is, the sub-post 412 can allow the direction change of the windmill 200 by being coupled to enable pivot rotation.

이에 따라, 풍차(200)는 서브포스트(412)의 회전을 통해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e windmill 200 is changed through rotation of the sub-post 412,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 blows may be changed.

여기서, 서브포스트(412)는 미도시된 방향전환핸들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 피벗회전하면서 풍차(20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구동모터의 구동을 통해 피벗회전할 수도 있다.Here, the sub-post 412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change handle (not show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indmill 200 can be changed while pivoting manually by a user. In contrast, the direction of the windmill 200 is pivotally rotated by driving a driving motor (not shown). may be

또한, 서브포스트(412)는 피벗회전을 방지된 상태로 록킹할 수 있는 미도시된 록킹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피벗회전이 선택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post 412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not shown) capable of locking the pivot rotation in a prevented state, so that the pivot rotation can be selectively allowed.

록킹부재는 메인포스트(411)를 관통하여 서브포스트(412)에 걸리면서 서브포스트(412)의 피벗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main post 411 and be caught on the sub-post 412 to restrict the pivot rotation of the sub-post 412 .

한편, 서브포스트(4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포스트(41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풍차(200)의 승강을 허용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sub post 412 is coupled to the main post 411 so as to allow the windmill 200 to move up and down.

구체적으로, 서브포스트(412)는 메인포스트(411)와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면서 결합될 수 있으며, 메인포스트(411)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하강하거나 메인포스트(411)에서 인출되면서 승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bpost 412 may be combined with the main post 411 while forming a telescopic structure, and may descend while being drawn into the main post 411 or may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drawn out of the main post 411 .

이에 따라, 풍차(200)는 서브포스트(412)와 함께 승강하면서 바람에 대응하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ndmill 200 can be adjust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nd while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bpost 412 .

여기서, 풍차포스트(410)는 서브포스트(412)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재(4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indmill post 410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member 415 for elevating the sub post 412 .

구체적으로, 승강부재(4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스크류(415a) 및 포스트슬라이더(41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vating member 415 may include a post screw 415a and a post slider 415b as shown in FIG. 4 .

상기 포스트스크류(415a)는 서브포스트(412)의 승강경로를 제공하면서 회전을 통해 서브포스트(412)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post screw 415a is a component that lifts the sub-post 412 through rotation while providing a lifting path for the sub-post 412 .

이러한 포스트스크류(415a)는 서프포스트(412)의 승강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메인포스트(411)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포스트슬라이더(415b)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post screw 415a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ifting distance of the surf post 412 and can be idlingly coupled to the main post 411, and a thread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form a post slider ( 415b) can be screwed together.

또한, 포스트스크류(415a)는 미도시된 핸들이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하거나 미도시된 구동모터의 구동을 통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st screw 415a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not shown) and rotated manually by a user or automatically by driving a driving motor (not shown).

상기 포스트슬라이더(415b)는 포스트스크류(415a)의 회전에 의해 포스트스크류(41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브포스트(412)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post slider 415b is a component that lifts the sub post 412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screw 415a by the rotation of the post screw 415a.

이러한 포스트슬라이더(415b)는 서브포스트(412)에 고정된 상태로 포스트스크류(415a)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포스트스크류(415a)의 회전방향에 따라 포스트스크류(41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서브포스트(412)를 승강시킬 수 있다.The post slider 415b may be screwed to the post screw 415a while being fixed to the sub post 412, and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screw 415a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ost screw 415a. The sub post 412 can be moved up and down while doing so.

이에 따라, 풍차(200)는 포스트스크류(415a)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면서 바람에 대응하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ndmill 200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post screw 415a and adjust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nd.

한편, 풍차고정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탑슬롯(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ndmill fixing part 400 may further include a main tower slot 450 as shown in FIG. 5 .

상기 주탑슬롯(450)은 서브포스트(412)의 하강 시 풍차(200)를 교량주탑(100)의 벽체의 전방으로 배치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main tower slot 450 is a component for disposing the windmill 200 forward of the wall of the bridge tower 100 when the sub-post 412 is lowered.

구체적으로, 주탑슬롯(450)은 포스트설치홈(420)을 이루는 벽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포스트설치홈(420)의 일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풍차포스트(410)를 구성하는 메인포스트(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tower slot 4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the wall forming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420 to form an opening in a part of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420, and the main post constituting the windmill post 410 It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411).

이러한 주탑슬롯(450)은 서브포스트(412)의 하강 시 풍차(200)가 교량주탑(100)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풍차(200)를 교량주탑(100)의 전방에 배치시킬 수 있다.The pylon slot 450 allows the windmill 200 to move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pylon 100 when the subpost 412 is lowered, so that the windmill 200 can be placed in front of the bridge pylon 100. .

이에 따라, 풍차(200)는 교량주탑(100)의 벽체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벽체에 의해 바람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windmill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all of the bridge pylon 100, it can be relatively less affected by the wind by the wall, and can be protected from strong winds such as typhoons, for example.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10)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풍차(200)는 교량주탑(100)의 포스트홈(420)에 설치된 풍차포스트(410)에 설치된 상태로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풍력발전모듈(300)로 전달함으로써 전력을 발전한다.The windmill 200 generates electric power by transferring rotational force to 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while rotating by the wind in a state installed on the windmill post 410 installed in the post groove 420 of the bridge pylon 100.

한편, 풍차(200)는 풍차포스트(410)를 구성하는 서브포스트(412)가 피벗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서브포스트(412)의 회전을 통해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windmill 200, when the subpost 412 constituting the windmill post 410 is configured to be pivotally rotatable, the windmill 200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where the wind blow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ubpost 412. there is.

또한, 풍차(200)는 서브포스트(412)가 승강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포스트스크류(415b)의 회전을 통해 직선이동하는 포스트슬라이더(415b)에 의해 서브포스트(412)와 함께 승강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하강 시 주탑슬롯(450)을 따라 하강하면서 주탑본체(100)의 벽체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b-post 41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windmill 200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b-post 412 by the post slider 415b that moves linearly through the rotation of the post screw 415b. It can be adjusted, and can be disposed in front of the wall of the main tower body 100 while descending along the main tower slot 450 during descent.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풍력발전장치(10)에 의하면, 하천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현수교량의 교량주탑(100)에 풍차(200) 및 풍력발전모듈(300)을 설치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풍차고정부(400)를 구성하는 풍차포스트(410)가 교량주탑(100)에 마련된 포스트설치홈(420)에 하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풍차(20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ndmill 200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300 are installed on the bridge pylon 100 of a suspension bridge installed on a river or sea. By doing this,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and since the windmill post 410 constituting the windmill fixing part 400 is fixed with the lower end accommodated in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420 provided in the bridge pylon 100, The windmill 200 can be firmly installe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

10 : 다리형 풍력발전장치
100 : 교량주탑
200 : 풍차
300 : 풍력발전모듈
400 : 풍차고정부
410 : 풍차포스트
411 : 메인포스트
412 : 서브포스트
413 : 베어링
415 : 승강부재
415a : 포스트스크류
415b : 포스트슬라이더
420 : 포스트설치홈
450 : 주탑슬롯
10: bridge type wind power generator
100: bridge pylon
200: windmill
300: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400: windmill fixing part
410: windmill post
411: main post
412: sub post
413: Bearing
415: lifting member
415a: post screw
415b: Post Slider
420: post installation groove
450: main tower slot

Claims (7)

바람에 의한 회전을 통해 풍력발전을 수행하는 풍력발전장치에 있어서,
하천이나 해상의 해저면에 설치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고, 교량상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상판과 함께 교량을 이루되, 상부의 일부분에 벽체가 형성되는 교량주탑;
상기 교량주탑에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풍차;
상기 풍차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풍차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전력을 발전하는 풍력발전모듈; 및
상기 교량주탑의 벽체에 마련되어 상기 풍차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풍차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풍차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풍차고정부는,
상기 교량주탑의 벽체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풍차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풍차포스트;
상기 교량주탑의 벽체에 마련되어 상기 풍차포스트의 일부분을 수용하면서 상기 풍차포스트를 고정하는 포스트설치홈; 및
상기 교량주탑의 벽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설치홈의 일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풍차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풍차의 하강을 허용하면서 상기 풍차를 상기 교량주탑의 벽체에 배치시키는 주탑슬롯을 포함하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
In the wind power generator for performing wind power generation through rotation by wind,
A bridge pylon which is installed on the seabed of a river or sea, extends vertically to provide bearing capacity, forms a bridge together with the bridge deck while supporting the bridge deck, and has a wall formed on a part of the upper part;
a windmill installed on the bridge pylon to provide rotational force while rotating by wind;
a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of the windmill to generate electric power based on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and
A windmill fixing part provided on a wall of the bridge pylon to rotatably fix the windmill while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windmill,
The windmill fixing unit,
a windmill pos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of the bridge pylon and extending vertically to rotatably support the windmill;
a post installation groove provided on the wall of the bridge pylon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windmill post and to fix the windmill post; an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wall of the bridge pylon to form an opening in a part of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mill post to allow the windmill to descend while disposing the windmill on the wall of the bridge pylon. A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including a pylon slot for mak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차포스트는,
상기 포스트설치홈에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메인포스트; 및
상기 메인포스트와 분리 구성되어 상기 메인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풍차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는 서브포스트를 포함하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mill post,
A main post that provides support while being fixed to the post installation groove; and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comprising a sub-post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ain post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post to provide an installation portion of the windmil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포스트는,
상기 메인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피벗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풍차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ubpost,
A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post as a central axis and allows the windmill to change dir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포스트는,
상기 메인포스트와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면서 결합되어 상기 메인포스트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메인포스트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풍차의 승강을 허용하며,
상기 풍차포스트는,
상기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ubpost,
It is combined with the main post to form a telescopic structure and allows the windmill to ascend and descend while being drawn into or withdrawn from the main post,
The windmill post,
Bridge-type wind turbine generator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ember for lifting the sub-pos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메인포스트의 내부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브포스트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포스트의 승강경로를 제공하며, 수동이나 자동으로 회전하는 포스트스크류; 및
상기 포스트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포스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스트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서브포스트에 고정되어 상기 포스트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서브포스트를 승강시키는 포스트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교량형 풍력발전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elevating member,
a post screw that extends toward the sub-post in a state of being idling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post, provides a lift path for the sub-post, and rotates manually or automatically; and
A post slider screwed to the post screw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screw by rotation of the post screw and fixed to the sub post to elevate the sub pos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st screw Bridge-type wind power generator.
삭제delete
KR1020210125927A 2021-09-23 2021-09-23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KR102482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27A KR102482003B1 (en) 2021-09-23 2021-09-23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27A KR102482003B1 (en) 2021-09-23 2021-09-23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003B1 true KR102482003B1 (en) 2022-12-28

Family

ID=8453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27A KR102482003B1 (en) 2021-09-23 2021-09-23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00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35A (en) * 2001-12-19 2003-06-25 학교법인 인하학원 Bridge current power generating system
WO2007097640A2 (en) * 2006-02-27 2007-08-30 Odd Jahr A method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a wind power structure, and a wind turbine assembly
KR20090051388A (en) * 2007-11-19 2009-05-22 삼성물산 주식회사 A marine bridge
KR100928569B1 (en) * 2009-07-30 2009-11-24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generating offshore wind power combined with tidal current power and wave force generation by utilizing a breakwater
JP2011169239A (en) *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KR102275521B1 (en) * 2020-02-25 2021-07-09 주식회사 지앤씨에너지 Wind collecting type duct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35A (en) * 2001-12-19 2003-06-25 학교법인 인하학원 Bridge current power generating system
WO2007097640A2 (en) * 2006-02-27 2007-08-30 Odd Jahr A method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a wind power structure, and a wind turbine assembly
KR20090051388A (en) * 2007-11-19 2009-05-22 삼성물산 주식회사 A marine bridge
KR100928569B1 (en) * 2009-07-30 2009-11-24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generating offshore wind power combined with tidal current power and wave force generation by utilizing a breakwater
JP2011169239A (en) *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KR102275521B1 (en) * 2020-02-25 2021-07-09 주식회사 지앤씨에너지 Wind collecting type duct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8815B (en) System and method for being produced electricl energy from the flowing current of fluid
US6692230B2 (en) Balanced, high output, rapid rotation wind turbine (Weathervane multi-rotor windmill)
CN101943127B (en) Wind collecting vertical type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WO2011081401A2 (en) Wind turbine
US20150159628A1 (en) Offshore contra rotor wind turbine system
WO2010033403A2 (en) Airborne stabilized wind turbines system
EP2080899A1 (en) An offshore wind turbine with a rotor integrated with a floating and rotating foundation
GB2425153A (en) Wind turbine(s) mounted on a lattice tower
KR102482003B1 (en)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bridge type
JP3766845B2 (en) Wind power generator
WO2017186244A1 (en) A method for erecting a multirotor wind turbine with elevated hub height
KR20120129430A (en) Aerogenerator equipped with Inclinable Convex Rotating Airfoil
KR20130140312A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295260B1 (en) Aerogenerator that establish aileron
JP6887933B2 (en) Wind power generator
KR102481119B1 (en)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power-transmission tower type
JP2022502600A (en) Efficient wind energy transducer with no gearbox or multi-pole generator
KR102509560B1 (en) Rotor device for wind power generation and wind power generator with the same
CN218934614U (en) Rotary wind power tower
TWI722445B (e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JP5284329B2 (en) Vertical axis wind kinetic energy generator with combined rotary mechanism of drag blade and upright lift blade
KR20130062828A (en) Unwinding improving apparatus for wind power generator
TWI554680B (en) A wind turbine with blew sheet guided arm
KR20130139098A (en)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wind turbines with using the weight center type
WO2015101073A1 (en) Wind turbine having long arm driven by wind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