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84B1 - Pouch packing machine - Google Patents

Pouch pac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84B1
KR102481984B1 KR1020220075927A KR20220075927A KR102481984B1 KR 102481984 B1 KR102481984 B1 KR 102481984B1 KR 1020220075927 A KR1020220075927 A KR 1020220075927A KR 20220075927 A KR20220075927 A KR 20220075927A KR 102481984 B1 KR102481984 B1 KR 10248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unit
contents
disposed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차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22007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uch packaging machine capable of easily inserting contents into a pouch without escaping of the contents to the other side. The pouch packaging machine may comprise: a loading unit for loading a plurality of pouches; a transfer unit for individually transporting the pouches in the loading unit; a sealing unit for opening an opening of the pouch, inserting contents into the pouch, and sealing the pouch; and a receiving unit through which the pouch sealed by the sealing unit is discharged, wherein the sealing unit includes a second suction part in which a pair of suction plat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dsorb one side of the pouch and a third suction part which is arranged to face the second suction part and adsorbs the other side of the pouch by a suction plate arranged correspondingly to the upper suction plate of the second suction part, to open the opening.

Description

파우치 포장기{POUCH PACKING MACHINE}Pouch Packing Machine {POUCH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내용물이 인입된 후 밀봉될 수 있는 파우치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packaging machine that can be automatically sealed after contents are drawn in.

파우치(pouch)는 비닐 등으로 만든 포장용의 작은 주머니 및 가방으로, 내부에 화장품, 진단 키트, 음식물 및 생활용품 등 다양한 내용물이 포함될 수 있다. 파우치 포장기는 파우치의 내부에 위와 같은 내용물이 인입된 후 파우치를 밀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세하게는, 파우치 포장기는 파우치의 개방부를 개방시켜 내부에 내용물이 인입된 후, 파우치의 개방부를 밀봉하고, 밀봉된 파우치를 적재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되어 자동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A pouch is a small pouch or bag for packaging made of vinyl or the like, and various contents such as cosmetics, diagnostic kits, food, and daily necessities may be included therein. A pouch packaging machine refers to a device that seals a pouch after the above contents are introduced into the pouch. In detail, the pouch packaging machine automates a series of processes of opening the opening of the pouch, introducing contents therein, sealing the opening of the pouch, and loading the sealed pouch, thereby automatically packaging the pouch.

이와 같은 자동화된 포장기에 대한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639호(2009년 6월 5일자 등록)에 게재된 바와 같이 진단키트 검사 및 절단 포장장치가 있다. 본 선행 기술에서는 내용물인 진단스틱을 포장하는 수단으로 상부 취합통에 구비된 배출홀의 전방에 뚜껑이 개방된 용기를 눕힌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상부 취합통에 채워진 진단키트를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Prior art for such an automated packaging machine includes a diagnostic kit inspection and cutting packaging devic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2639 (registered on June 5, 2009). In this prior art, as a means of packaging the contents of the diagnostic stick, a container with an open lid is placed in a lying state in front of a discharge hole provided in the upper collection container, and then the diagnostic kit filled in the upper collection container is configured to flow into the container has been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의 포장장치의 경우, 탄성력을 가진 진단스틱이 투입 과정에서 측면으로 튕겨 나가거나 불규칙하게 수용된 형태가 되므로 포장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포장장치에 사용되는 포장 용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포장 용기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고정하는 구성은 존재하지 않아, 파우치 형상의 포장 용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ackaging device of the above ty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ckaging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elastic diagnostic stick is bounced to the side or irregularly accommodated during the input process. In addition, the packaging container used in the above packaging devic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opening and fixing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so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pouch-shaped packaging container.

즉, 포장 과정에서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고, 파우치 형상의 포장 용기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어 포장 효율이 향상된 파우치 포장기가 요구되고 있다.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pouch packaging machine with improved packaging efficiency, since the contents do not escape during the packaging process and the contents can be accommodated by opening an opening of the pouch-shaped packaging container.

등록특허 제10-0902639호(2009.06.05.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0902639 (registered on June 5, 20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적으로 내용물이 인입된 후 밀봉될 수 있고, 내용물이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파우치 포장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pouch packaging machine that can be automatically sealed after the contents are drawn in, and the contents do not escape to the other sid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 개의 파우치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서 상기 파우치를 낱개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파우치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내용물을 삽입 후 밀봉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서 밀봉된 상기 파우치가 배출되는 수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의 일측 면을 흡착하는 제2흡착부; 및 상기 제2흡착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2흡착부의 상측 흡착판과 대응되게 배치된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의 타측 면을 흡착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3흡착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ading unit for loading a plurality of pouches; a transfer unit for individually transporting the pouches in the loading unit; and opening an opening of the pouch to insert the contents into the pouch and then sealing the pouch. sealing part; and a receiv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ouch sealed in the sealing portion is discharged, wherein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suction portion in which a pair of suction plat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dsorb one side of the pouch; and a third suction unit for opening the opening by suctioning the other surface of the pouch with a suction plate disposed facing the second suction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ction plate of the second su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 포장기는 자동적으로 파우치의 내부에 내용물을 인입시킨 후 밀봉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기는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하여, 수동으로 진행하는 것에 비해 빠르고 정확하게 파우치를 포장할 수 있다. The pouch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automatically draw the contents into the pouch, seal it,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pouch packag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the above series of processes, and can pack pouches quickly and accurately compared to manual procedur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 포장기는 내용물이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파우치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기는 내용물이 파우치로 용이하게 인입되게 하기 위해, 제2,3흡착부에 의해 세 점에서 파우치를 흡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3흡착부는 파우치 상단의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것에 더해 파우치의 하단을 흡착하여, 내용물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 경로를 형성하고, 파우치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uch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drawn into the pouch without escaping to the other side. The pouch packag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sorb the pouch at three points by the second and third adsorption units in order to allow contents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pouch. That is, the second and third adsorption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n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pouch and adsorb the lower end of the pouch to form an inlet path so that contents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support the pouch.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echnical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파우치 포장기의 배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파우치 포장기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적재부 및 이송부의 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적재부의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이송부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실링부의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1a에 도시된 실링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적재부에 적재된 파우치 중 낱개를 제1흡착부에서 흡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흡착된 낱개 파우치를 낱개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낱개정렬부에 의해 정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낱개안착부가 실링부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낱개 파우치를 제2흡착부가 흡착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b는 낱개 파우치를 제2흡착부가 흡착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a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낱개 파우치를 제3흡착부가 흡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제2흡착부 및 제3흡착부가 개구부를 개방하며, 가이드부가 상승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내용물 삽입부에 내용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개구부를 통해 파우치의 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되고, 제2흡착부 및 제3흡착부의 흡착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가이드부가 1차 하강되고, 파우치의 개구부가 실링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가이드부가 2차 하강 및 회전되어 실링된 파우치가 수취부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rear view of the pouch packaging machine shown in Figure 1a.
Figure 1c is a side view of the pouch packaging machine shown in Figure 1a.
Figure 2a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ading unit and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ure 1a.
Figure 2b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ure 2a.
Figure 2c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ure 2a.
Figure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ling portion shown in Figure 1a.
Figure 3b is a side view of the sealing portion shown in Figure 1a.
4 illustrates a process of adsorbing individual pouches loaded in the loading unit in the first adsorption unit.
FIG.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individual pouches adsorbed in FIG. 4 are seated on the individual seating units and then aligned by the individual aligning units.
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individual seating parts are slid into the sealing part.
FIG. 7A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adsorption unit adsorbs an individual pouch and rotates it in a vertical direction.
7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dsorbing an individual pouch by the second adsorption unit and rotating it in a vertical direction.
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third adsorption unit adsorbs the individual pouche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8B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adsorption unit and the third adsorption unit open openings and the guide unit is raised.
Figure 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seated in the contents insertion unit.
9B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s are inserted into the pouch through the opening and the adsorption of the second adsorption unit and the third adsorption unit is released.
10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guide part is first lowered and the opening of the pouch is sealed.
FIG. 11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guide unit is lowered and rotated secondarily so that the sealed pouch is discharg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or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파우치 포장기의 배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파우치 포장기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적재부 및 이송부의 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적재부의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이송부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실링부의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1a에 도시된 실링부의 측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rear view of the pouch packaging machine shown in Figure 1a. Figure 1c is a side view of the pouch packaging machine shown in Figure 1a. Figure 2a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ading unit and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ure 1a. Figure 2b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ure 2a. Figure 2c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ure 2a. Figure 3a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ling portion shown in Figure 1a. Figure 3b is a side view of the sealing portion shown in Figure 1a.

도 1a 내지 3b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우치 포장기(100)는 파우치(P) 형상의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삽입하고 자동으로 밀봉시킬 수 있다. 파우치 포장기(100)는 파우치(P)를 흡착하여 개구부(P1)를 개방하고, 내용물을 인입한 후 실링하여 배출되는 일련의 파우치(P) 포장 과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a to 3b,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sert the contents into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ouch (P) shape and automatically seal it.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can automate a series of pouch P packaging processes in which the pouch P is adsorbed to open the opening P1, the contents are drawn in, and then sealed and discharged.

구체적으로, 파우치 포장기(100)는 다수 개의 파우치(P)가 적재되는 적재부(110), 적재부(110)에서 파우치(P)가 이송되는 이송부(120), 파우치(P)에 내용물이 인입되고 실링되는 실링부(130), 실링된 파우치(P)가 배출되는 수취부(140) 및 작동 속도 및 실링 온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우치 포장기(100)는 자동으로 내용물을 포장하여 포장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Specifically,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includes a loading unit 110 in which a plurality of pouches P are loaded, a transfer unit 120 in which pouches P are transported in the loading unit 110, and contents into the pouch P. It may include a sealing unit 130 that is sealed and sealed, a receiving unit 140 through which the sealed pouch P is discharged, and a control unit 150 that controls operating speed and sealing temperature. Such a pouch packaging machine 100 has an effect of improving packaging efficiency by automatically packaging contents.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적재부(110)에는 다수 개의 파우치(P)가 적재될 수 있다. 적재부(110)에 적재된 파우치(P)는 낱개로 이송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적재부(11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파우치(P)가 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ouches P may be loaded on the loading unit 110 . The pouches P loaded in the loading unit 110 may be individual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120 . The loading part 11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pouches P can be sequentially supplied in a downward direction.

구체적으로, 적재부(110)는 다수 개의 파우치(P)가 적재되는 투입부(111), 투입부(111)에 적재된 파우치(P)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12) 및 투입부(111)의 하단에 배치되어 파우치(P)를 지지하는 고정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재부(110)는 다수 개의 파우치(P)가 적재되고, 이송부(120)로 파우치(P)를 낱개로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oading unit 110 includes an input unit 111 in which a plurality of pouches P are loaded, a pressing unit 112 that presses the pouches P loaded in the input unit 111 downward, and an input unit ( 111)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113 disposed at the lower end to support the pouch P. That is, the loading unit 110 may be arranged to load a plurality of pouches P and easily provide the pouches P individually to the transfer unit 120 .

투입부(111)는 다수 개의 파우치(P)가 안착될 수 있는 거치대로 형성되고, 파우치(P)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111)는 이송부(120)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파우치(P)가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모여 안착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1 is formed as a cradle on which a plurality of pouches P can be seated, and may have the same width as or a similar width to that of the pouches P. The input unit 111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20, so that the pouches P may be seated together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부(111)는 하측에 경사지게 하측 판넬(111a)이 배치되고, 하측 판넬(111a)의 양 측면에 하측 판넬(111a)과 수직되게 파우치(P)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높은 길이의 벽면 판넬(111b)이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투입부(111)는 넓은 면적의 하측 판넬(111a)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벽면 판넬(111b)이 배치되어, 다수 개의 파우치(P) 더미를 동시에 투입부(111)에 적재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input unit 111, the lower panel 111a is disposed obliquely on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panel 111a is perpendicular to the lower panel 111a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nel 111a, and the length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length of the pouch P. A length of wall panel 111b may be disposed. If necessary, in the input unit 111, a plurality of wall panels 111b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lower panel 111a having a large area, so that a plurality of piles of pouches P can be loaded into the input unit 111 at the same time. can

또한, 벽면 판넬(111b)의 하방은 개방 형성되어, 파우치(P)가 배출되는 개방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111a)는 투입부(111)의 하방에 개방 형성되되, 파우치(P)와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wall panel 111b is open and may include an opening 111a through which the pouch P is discharged. The opening part 111a is formed open below the input part 111, and may be formed open in the same area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pouch P.

한편, 가압부(112)는 투입부(111)의 하측 판넬(111a)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부(112)는 투입부(111)에 적재된 파우치(P)를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압부(112)는 하측 판넬(111a)과 레일로 연결되어, 하측 판넬(111a)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파우치(P)를 하측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sing unit 112 is disposed on the lower panel 111a of the input unit 111 and can be mov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he pressing unit 112 may be disposed to press the pouch P loaded in the input unit 111 downward. In detail, the pressing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lower panel 111a by a rail and slid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panel 111a to continuously press the pouch P downward.

고정돌기(113)는 투입부(111)의 하측 개방부(111c)에 돌출 배치되어, 파우치(P)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돌기(113)는 개방부(111c)의 양 측면에 돌출 배치되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네 부분의 가장자리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113)는 파우치(P)와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으로 형성된 개방부(111c)를 통해 파우치(P)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이송부(120)에서 파우치(P)를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돌기(113)는 파우치(P)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파우치(P)가 인출되지 않게 지지하면서도 이송부(120)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113 protrudes from the lower open portion 111c of the input unit 111 to fix the pouch P so that it does not escape. Preferably, the fixing protrusions 113 are disposed protrudingly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c,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may be disposed protrudingly at the edges of the four parts.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arranged to support the pouch P so that it does not fall out through the opening 111c having the same or similar area as the pouch P, and to easily transfer the pouch P from the transfer unit 120. It can be. More specifically, since the fixing protrusion 113 partially supports the pouch P instead of wholly supporting it, the pouch P can be easily withdrawn by the transfer unit 120 while supporting it so that it is not withdrawn. .

한편, 이송부(120)는 적재부(110)에 적재된 파우치(P)를 낱개로 흡착하여, 실링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120)는 흡착된 파우치(P)를 개구부(P1)가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실링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fer unit 120 may individually adsorb the pouches P loaded on the loading unit 110 and transfer them to the sealing unit 130 . The transfer unit 120 may transfer the adsorbed pouches P to the sealing unit 130 by aligning them in a certain direction so that the opening P1 is disposed upward.

구체적으로, 이송부(120)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제1회전판(121), 제1회전판(121)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1회전판(121)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부(122), 파우치(P)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제1흡착부(123), 파우치(P)가 낱개로 안착되는 낱개안착부(124) 및 낱개안착부(124)에 안착된 파우치(P)를 일측으로 정렬시키는 낱개정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송부(120)는 파우치(P)를 낱개로 흡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킨 후 실링부(130)로 이송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nsfer unit 120 includes a first rotary plate 121 that rotates in place, a first motor unit 122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rotary plate 121 to rotate the first rotary plate 121, and a pouch P A first adsorption unit 123 that adsorbs and transports ), an individual seating unit 124 in which the pouches P are individually seated, and an individual alignment for aligning the pouches P seated on the individual seating units 124 to one side may include section 125 . That is, the transfer unit 120 may be disposed to adsorb the pouches P individually, align them in a certain direction, and transfer them to the sealing unit 130 .

제1회전판(121)은 투입부(111)의 하단에 연결되되, 투입부(111) 양 끝단에 배치된 벽면 판넬(111b)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판(121)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회전판(121)은 제1모터부(122) 및 제1흡착부(123)와 연결되어, 투입부(111)의 개방부(111c)에서 낱개안착부(124)까지 회전되며 낱개의 파우치(P)를 흡착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The first rotary plate 12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put unit 111 and may be connected to wall panels 111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put unit 111. The first rotating plate 121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place. Preferably, the first rotating plate 121 is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unit 122 and the first suction unit 123, and rotates from the opening 111c of the input unit 111 to the individual seating unit 124, The individual pouches P may be adsorbed and transported.

제1모터부(122)는 제1회전판(121)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1회전판(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모터부(122)는 실린더가 사용되어, 제1회전판(121)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first motor unit 12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21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plate 121 . Preferably, a cylinder is used as the first motor unit 122 to rotate the first rotary plate 121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제1흡착부(123)는 제1회전판(121)과 연결되어, 제1회전판(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1흡착부(123)는 투입부(111)에 적재된 파우치(P)를 흡착하고, 낱개안착부(124)의 상단에서 흡착을 해제하여 파우치(P)를 낱개안착부(124)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흡착부(123)는 파우치(P)의 상측 면 및 하측 면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uction part 123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121 and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21 . The first adsorption unit 123 adsorbs the pouch P loaded in the input unit 111, releases the adsorption at the top of the individual seating unit 124, and places the pouch P on the individual seating unit 124 can make it Preferably, a pair of first adsorption units 123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adsorb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uch P.

낱개안착부(124)는 투입부(111)에서 이송된 파우치(P)가 안착된 후, 실링부(13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낱개안착부(124)는 파우치(P)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의 벽면이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낱개안착부(124)의 벽면은 양 측면과 하측면에 배치되고, 상측면에는 낱개정렬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낱개안착부(124)의 벽면은 양 측면과 상측면에 배치되고, 하측면에는 낱개정렬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낱개안착부(124)는 벽면이 이루는 내부에 낱개의 파우치(P)가 안착되고, 낱개정렬부(125)에 의해 일측 가장자리로 정렬될 수 있다. After the pouch P transported from the input unit 111 is seated in the individual seating portion 124 , it may be slid into the sealing portion 130 . Preferably, the individual mounting portion 124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ll surface having the same or similar width as the width of the pouch P. More specifically, the wall surfaces of the individual seating parts 124 may b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individual alignment parts 125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lternatively, the wall surfaces of the individual seating parts 124 may b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individual alignment parts 12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That is, in the individual seating portion 124, the individual pouches P may be seated inside the wall surface and aligned to one edge by the individual aligning portion 125.

낱개정렬부(125)는 낱개안착부(124)의 상측 또는 하측 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낱개정렬부(125)는 돌기 형상으로 배치되어, 파우치(P)를 밀어 낱개안착부(124)의 일측 가장자리로 정렬시킬 수 있다. 즉, 낱개정렬부(125)는 파우치(P)를 일정한 위치로 정렬시킨 상태로 실링부(130)로 이송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individual alignment unit 125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individual mounting unit 124 and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dividual alignment parts 125 are disposed in a protruding shape, and may align the pouch P with one edge of the individual seating parts 124 by pushing the pouch P. That is, the individually aligning unit 125 may be disposed to transfer the pouches P to the sealing unit 13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한편, 실링부(130)는 이송부(120)의 다음 단에 배치되어, 파우치(P)의 내부에 내용물(C)을 삽입 후 밀봉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링부(130)는 파우치(P)의 개구부(P1)를 개방하여 내용물(C)을 삽입 후 밀봉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unit 130 is disposed at the next end of the transfer unit 120 to seal the contents (C) after inserting them into the pouch (P). More specifically, the sealing unit 130 may open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insert the content C, seal it,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실링부(130)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제2회전판(131), 제2회전판(131)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2회전판(131)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부(132), 파우치(P)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제2흡착부(133), 제2흡착부(133)의 맞은편에서 파우치(P)를 흡착하여 개방하는 제3흡착부(134), 파우치(P)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부(135), 내용물(C)이 안착되어 파우치(P)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내용물 삽입부(136), 내용물(C)의 안착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부(137), 파우치(P)의 개구부(P1)를 실링하는 실링장치(138) 및 내용물 삽입부(136)를 수동으로 개폐 조작할 수 있는 수동버튼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aling unit 130 includes a second rotation plate 131 that rotates in place, a second motor unit 132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131 to rotate the second rotation plate 131, and a pouch (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3 that adsorbs and transports P), the third adsorption unit 134 that adsorbs and opens the pouch P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3, and the lower end of the pouch P A guide unit 135 arranged and moved up and down, a contents insertion unit 136 in which the contents C are seated and inserted into the pouch P, and a sensor unit 137 recognizing whether the contents C are seated , It may include a sealing device 138 for sealing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and a manual button unit 139 capable of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즉, 실링부(130)는 적재부(110)에서 낱개로 이송된 파우치(P)에 내용물(C)을 인입시킨 후, 파우치(P)를 밀봉하여 배출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sealing unit 130 may be disposed to seal and discharge the pouches P after introducing the contents C into the pouches P individually transferred from the loading unit 110 .

제2회전판(131)은 이송부(120)의 다음 단에 배치되되, 낱개안착부(124)와 소정 정도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회전판(131)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회전판(131)은 제2모터부(132) 및 제2흡착부(133)와 연결되어, 낱개안착부(124)에 배치된 파우치(P)를 흡착한 후 회전되어, 파우치(P)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The second rotating plate 131 is disposed at the next end of the conveying unit 120,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dividual seating unit 124. The second rotating plate 131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place. Preferably, the second rotation plate 1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unit 132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3, adsorbs the pouch P disposed on the individual seating unit 124, and then rotates, (P) can be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모터부(132)는 제2회전판(131)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2회전판(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모터부(132)는 제1모터부(12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작동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motor unit 13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131 to rotate the second rotation plate 131 . Preferably, the second motor unit 132 may operate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first motor unit 12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제2흡착부(133)는 제2회전판(131)과 연결되어, 제2회전판(1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흡착부(133)는 낱개안착부(124)에 안착된 낱개의 파우치(P)를 흡착한 상태로, 제2회전판(131)이 회전되어 파우치(P)를 개구부(P1)가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흡착부(133)는 파우치(P)의 상측 면 및 하측 면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흡착부(133)는 한 쌍의 흡착판이 파우치(P)의 일측 면을 상하 방향으로 흡착하여, 상측 흡착판은 개구부(P1)를 개방하는 데에 사용되고, 하측 흡착판은 파우치(P)의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suction part 133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plate 131 and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131 . The second suction unit 133 adsorbs the individual pouches P seated on the individual seating units 124,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131 is rotated so that the pouch P is moved upward with the opening P1 It can be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placed. Preferably, a pair of second adsorption units 133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adsorb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uch P. More specifically, in the second suction unit 133, a pair of suction plates adsorb one side of the pouch 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suction plate is used to open the opening P1, and the lower suction plate is used to open the pouch P1. It can be used to easily secure the inner space of (P).

제3흡착부(134)는 제2흡착부(133)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흡착부(133)의 개구부(P1)와 가까운 부분에 배치된 흡착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흡착판이 배치될 수 있다. 제3흡착부(134)는 파우치(P)를 사이에 두고 제2흡착부(133)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파우치(P)의 개구부(P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2흡착부(133)와 제2흡착부(133)의 상단 흡착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3흡착부(134)에 의해 파우치(P)의 개구부(P1)가 개방되고, 파우치(P)의 내부 공간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The third suction part 134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uction part 133, and the suction plat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late disposed close to the opening P1 of the second suction part 133. there is. The third suction part 134 may be disposed facing the second suction part 133 with the pouch P interposed therebetween to open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of the pouch P is formed by the second suction part 133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rd suction part 134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ction plate of the second suction part 133. (P1) is opened, and the inner space of the pouch (P) can be easily secured.

가이드부(135)는 제2,3흡착부(133, 134)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파우치(P)의 하단에 배치되어, 파우치(P)가 안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135)는 대략 'V'자 형상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파우치(P)가 'V'형상의 홈에 안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135)는 제2,3흡착부(133, 134)의 흡착이 해제된 후, 내용물(C)이 인입된 파우치(P)가 안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13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이드부(135)에 안착된 파우치(P)를 특정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135)는 1차 하강되어 파우치(P)를 실링장치(138)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후에 수취부(140)와 대응되는 위치로 2차 하강 및 회전되어 파우치(P)를 수취부(1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guide part 135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ouch P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econd and third suction parts 133 and 134, so that the pouch P can be seated thereon. The guide part 135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V'-shaped plate-like member, so that the pouch P can be seated in the 'V'-shaped groove. More specifically, in the guide part 135, after the adsorption of the second and third adsorption parts 133 and 134 is released, the pouch P into which the content C is introduced may be seated. The guide unit 135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ransport the pouch P seated on the guide unit 135 to a specific 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guide part 135 is first lowered to move the pouch P to the position where the sealing device 138 is disposed, and then is secondarily lowered and rota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art 140.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uch (P) to the receiver (140).

내용물 삽입부(136)는 내용물(C)이 안착되는 공간으로 배치되고, 하방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 삽입부(136)는 제2회전판(131)의 다음 단에 배치되고, 가이드부(135)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내용물 삽입부(136)는 내용물(C)이 인입된 상태에서 하방이 개방되어 파우치(P)의 개구부(P1)로 내용물(C)을 배출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용물 삽입부(136)는 낱개로 이송 및 밀봉되는 파우치(P)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고, 파우치(P)의 개구부(P1)와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물 삽입부(136)는 센서인식홀(136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insertion portion 136 is disposed as a space in which the content (C) is seated,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may be disposed on the next stag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131 and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guide unit 135 . The content insertion unit 136 may be disposed so that the content C is inserted into the pouch P and the content C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That is, the content insertion unit 136 may be dispos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individually transported and sealed pouches P, and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Specifically, the content insertion unit 136 may include a sensor recognition hole 136a.

센서인식홀(136a)은 내용물 삽입부(136)에 센서부(137)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용물 삽입부(136)의 일측 면에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인식홀(136a)은 내용물(C)이 배치되는 면에 센서부(137)가 배치되어 내용물(C)의 인입 여부를 센서부(137)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내용물 삽입부(136)에 다수 개의 내용물(C)이 배치되는 경우, 내용물 삽입부(136)의 다수 개의 면에 센서인식홀(136a) 및 센서부(137)가 배치되어 다수 개의 내용물(C)을 인식할 수 있다,The sensor recognition hole 136a may be open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so that the sensor unit 137 can be disposed in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 That is, the sensor recognition hole 136a may be arranged so that the sensor unit 137 is dispos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contents C is placed so that the sensor unit 137 can recognize whether the contents C are drawn in. . More specifically,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C) are disposed in on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sensor recognition holes 136a and sensor units 137 are dispos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and can recognize a plurality of contents (C),

한편, 센서부(137)는 내용물 삽입부(136)에 내용물(C)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센서부(137)는 다수 개의 내용물(C)이 하나의 내용물 삽입부(136)에 배치되는 경우, 내용물 삽입부(136)의 일측 면 및 타측 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의 내용물(C)을 인식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센서부(137)에서 내용물(C)이 배치된 것을 인식하게 되면,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방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파우치(P)의 내부로 내용물(C)이 인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137 may be disposed to detect that the contents C are seated in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 In detail,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C) are disposed in on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the sensor unit 137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respectively, so that each contents ( C) can be recognized. More specifically, when all sensor units 137 recognize that the content C is place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ent insertion portion 136 is automatically opened and the content C enters the pouch P. It can be.

실링장치(138)는 한 쌍이 마주보게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실링장치(138)는 카트리지 히터에 의한 열 압착 방식으로 파우치(P)의 개구부(P1)를 밀봉시킬 수 있다. 실링장치(138)는 파우치(P)의 개구부(P1)를 사이에 두고 압착되어, 개구부(P1)를 밀봉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실링장치(138)는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슬라이드 이동되고, 작동되는 경우에는 내측 방향으로 맞닿도록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A pair of the sealing device 138 is formed facing each other and can be slidably moved. The sealing device 138 may seal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by thermal compression using a cartridge heater. The sealing device 138 may be compressed with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sealing the opening P1. In detail, the sealing device 138 may be slid and moved outwardly when not actuated, and may be slid and moved to abut inward when actuated.

더욱 상세하게는, 실링장치(138)는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단에 배치되어, 밀봉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실링장치(138)의 사이로 가이드부(13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실링장치(138)는 가이드부(135)에 의해 파우치(P)가 하측으로 1차 하강된 후 맞닿도록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구부(P1)를 밀봉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aling device 138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ents insertion part 136, and when it is not sealed, it slides outward so that the guide part 135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sealing devices 138. can be moved Thereafter, the sealing device 138 may slide the pouch P downward by the guide part 135 and then slide to come into contact therewith to seal the opening P1.

수동버튼부(139)는 내용물 삽입부(136)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방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즉, 수동버튼부(139)는 센서부(137)에 의해 자동으로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방이 개폐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방을 개폐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The manual button unit 139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That is, the manual button unit 139 may be disposed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is not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sensor unit 137. .

한편, 수취부(140)는 적재부(110), 이송부(120) 및 실링부(130)가 배치된 받침대(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수취부(140)는 실링부(130)에서 밀봉된 파우치(P)가 배출되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취부(140)는 받침대(10)의 후편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1경사부(141) 및 받침대(10)의 양 측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2경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취부(140)는 밀봉 완료된 파우치(P)가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ceiver 14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10 on which the loading unit 110, the transfer unit 120, and the sealing unit 130 are disposed. The receiving part 140 may be formed as a path through which the pouch P sealed in the sealing part 130 is discharged. Specifically, the receiver 14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141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pedestal 10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142 inclined toward both sides of the pedestal 10. . That is, the receiver 140 may be disposed to guide the sealed pouch P to be discharged to a certain positio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other side.

제1경사부(141)는 판형 부재로 받침대(10)의 하단에 배치되되, 받침대(10)의 후편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경사부(141)는 실링부(130)의 하단이 가장 높고 받침대(10)의 후편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밀봉된 후 배출된 파우치(P)는 제1경사부(141)를 따라 제2경사부(142)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The first inclined portion 141 is a plate-like membe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10 and may b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pedestal 10 . In detail, the first inclined portion 141 may be inclin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130 is the highest and lower toward the rear side of the pedestal 10 . That is, the pouch P discharged after being sealed may slide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2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141 .

제2경사부(142)는 판형 부재로 제1경사부(141)의 상단에 배치되되, 받침대(10)의 양 측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경사부(142)는 중심부가 가장 높고 받침대(10)의 양 측면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제2경사부(142)는 'ㅅ'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경사부(142)는 제1경사부(141)와 연결되지 않은 반대편의 끝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파우치(P)가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경사부(141)를 통해 슬라이드 된 파우치(P)는 제2경사부(14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일정한 위치로 배출될 수 있다.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2 is a plate-like member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41 and may be inclined toward both sides of the pedestal 10 . In detail,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highest and becomes lower toward both side surfaces of the pedestal 10 . Roughl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2 may be formed in a 'ㅅ' shape. More specifically,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2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141 is bent upward to guide the pouch P so that it does not escape to the other side. That is, the pouch P slid through the first inclined portion 141 is slid along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2 and can be discharged to a certain position.

한편, 제어부(150)는 적재부(110), 이송부(120) 및 실링부(130)와 연결되어, 파우치 포장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50)는 작업의 진행 상태, 작업 속도 및 시간 등을 표시하고, 작업 속도, 실링 온도 및 작동 상태 등을 조작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실링장치(138)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151), 밀봉된 파우치(P)의 개수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52) 및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는 작동버튼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loading unit 110, the transfer unit 120, and the sealing unit 13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and display an operating state. In detail, the control unit 150 may be disposed to display the progress state of work, work speed and time, and manipulate work speed, sealing temperature, and operating stat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unit 151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ealing device 138, a screen display unit 152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sealed pouches P, and an operation capable of manipulating the operating state. A button unit 153 may be included.

온도조절부(151)는 실링장치(138)에서 파우치(P)의 실링이 진행되는 온도를 표시 및 조절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51 may display and control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sealing of the pouch P is performed in the sealing device 138 .

화면표시부(152)는 작업의 진행 상태, 작업의 속도 및 현재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화면표시부(152)는 밀봉되어 배출된 파우치(P)의 개수 및 시간당 배출 가능한 밀봉 파우치(P)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The screen display unit 152 may display the progress state of the job, the speed of the job, and the current time. If necessary, the screen display unit 152 may display the number of sealed and discharged pouches P and the number of sealed pouches P that can be discharged per hour.

작동버튼부(153)는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작동버튼부(153)는 파우치 포장기(100)의 작동 시작, 작동 정지, 설정 초기화 및 비상 정지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ng button unit 153 can manipulate the operating state. In detail, the operation button unit 153 may include buttons for starting operation, stopping operation, initializing settings, and emergency stop of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

도 4 내지 11은 도 1a에 도시된 파우치 포장기의 작동상태도이다. 4 to 11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pouch packaging machine shown in FIG. 1A.

도 4 내지 11을 참조해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도 4는 적재부(110)에 적재된 파우치(P) 중 낱개를 제1흡착부(123)에서 흡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 first, FIG. 4 shows a process of adsorbing one of the pouches P loaded on the loading unit 110 in the first adsorption unit 123 .

적재부(110)에는 다수 개의 파우치(P)가 개구부(P1)가 상측을 향하게 하여 적재되고, 적재된 파우치(P)는 가압부(112)에 의해 하측으로 정렬되어 개방부(111c)를 향해 적재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111c)가 배치된 방향으로 제1회전판(121)이 회전되고, 제1회전판(121)과 연결된 제1흡착부(123)가 개방부(111c)를 통해 파우치(P)를 낱개로 흡착한다. A plurality of pouches P are loaded in the loading part 110 with the opening part P1 facing upward, and the loaded pouches P are aligned downward by the pressing part 112 toward the opening part 111c. can be loaded. At this time, the first rotary plate 12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111c is disposed, and the first suction part 123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plate 121 holds the pouch P through the opening 111c. adsorbed individually.

도 5는 도 4에서 흡착된 낱개 파우치(P)를 낱개안착부(124)에 안착시킨 후 낱개정렬부(125)에 의해 정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individual pouches P adsorbed in FIG. 4 are seated on the individual seating units 124 and then aligned by the individual aligning units 125 .

제1흡착부(123)가 파우치(P)를 낱개로 흡착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되어, 낱개안착부(124)와 대응되는 위치로 제1흡착부(123)를 회전시킨다. 이후, 제1흡착부(123)에서 흡착을 해제하여 파우치(P)를 낱개안착부(124)에 안착시킨다. 이후, 낱개정렬부(125)가 파우치(P)를 슬라이드시켜 일측 가장자리로 정렬시킨다. The first suction part 123 is rotated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individually adsorbing the pouches P, thereby rotating the first suction part 123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ly seated part 124 . Thereafter, the suction is released from the first adsorption unit 123 to seat the pouch P on the individual seating unit 124 . Thereafter, the individually aligning unit 125 slides the pouch P to align it to one edge.

도 6은 낱개안착부(124)가 실링부(130)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 6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individual seating parts 124 are slid into the sealing part 130.

낱개정렬부(125)는 정렬된 파우치(P)가 안착된 상태로 실링부(13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낱개정렬부(125)는 제2회전판(131)의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individually aligned unit 125 may be slid toward the sealing unit 130 in a state where the aligned pouches P are seated. In detail, the individually aligning unit 125 may be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tary plate 131 .

도 7a는 낱개 파우치(P)를 제2흡착부(133)가 흡착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b는 낱개 파우치(P)를 제2흡착부(133)가 흡착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7A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3 adsorbs the individual pouches P and rotates them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7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3 adsorbs the individual pouches P and rotates them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회전판(131)은 제2흡착부(133)가 낱개정렬부(125)와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후, 제2흡착부(133)가 낱개정렬부(125) 상에 배치된 파우치(P)를 흡착한 상태로, 제2회전판(131)이 내용물 삽입부(136)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파우치(P)는 개구부(P1)가 상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rotary plate 131 may be rotated so that the second suction part 133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ly aligned part 125 . Thereafter, the second rotation plate 13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3 adsorbs the pouch P disposed on the individually arranging unit 125. can That is, the pouch P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that the opening P1 is disposed upward.

도 8a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낱개 파우치(P)를 제3흡착부(134)가 흡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제2흡착부(133) 및 제3흡착부(134)가 개구부(P1)를 개방하며, 가이드부(135)가 상승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third adsorption unit 134 adsorbs the individual pouches P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8B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suction part 133 and the third suction part 134 open the opening P1 and the guide part 135 rises.

제2회전판(131)에 의해 일측 면이 흡착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파우치(P)는 타측 면이 제3흡착부(134)에 의해 흡착될 수 있다. 이후, 제2,3흡착부(133, 134)가 외측 방향으로 소정 정도 이동되어, 개구부(P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부(135)가 상승되어, 파우치(P)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ouch P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one side adsorbed by the second rotation plate 131 may be adsorbed on the other side by the third adsorption unit 134 . Thereafter, the second and third suction parts 133 and 134 may be moved outwar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open the opening P1. At the same time, the guide part 135 is raised and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ouch P.

도 9a는 내용물 삽입부(136)에 내용물(C)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개구부(P1)를 통해 파우치(P)의 내부에 내용물(C)이 삽입되고, 제2흡착부(133) 및 제3흡착부(134)의 흡착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C) are seated in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FIG. 9B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C is inserted into the pouch P through the opening P1 and the adsorption of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3 and the third adsorption unit 134 is released.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측에는 개구부(P1)가 상측으로 배치된 파우치(P)가 배치된 상태에서, 내용물 삽입부(136)에 내용물(C)을 안착시킨다. 이후,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방이 개방되어, 내용물 삽입부(136)에 안착된 내용물(C)이 파우치(P)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방은 센서부(137)에서 내용물(C)이 인식되면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수동버튼부(139)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후, 제2,3흡착부(133, 134)의 흡착을 해제하여, 내용물(C)이 인입된 파우치(P)를 가이드부(135)에 안착시킬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pouch P having the opening P1 disposed upward is disposed below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the contents C is seated in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Thereafter,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is opened, and the contents (C) seated in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may be introduced into the pouch (P). 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contents insertion unit 136 may be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sensor unit 137 recognizes the contents C, or may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manual button unit 139. Thereafter, the suction of the second and third suction parts 133 and 134 is released, so that the pouch P into which the content C is inserted can be seated on the guide part 135 .

도 10은 가이드부(135)가 1차 하강되고, 파우치(P)의 개구부(P1)가 실링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0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guide unit 135 is first lowered and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is sealed.

내용물(C)이 인입된 파우치(P)가 가이드부(135)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35)가 1차로 하강되어, 개구부(P1)가 벌어진 실링장치(13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실링장치(138)가 개구부(P1)를 사이에 두고 맞닿으며 파우치(P)의 개구부(P1)를 밀봉시킬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pouch P into which the content C is inserted is seated on the guide portion 135, the guide portion 135 is first lowered, and the opening portion P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devices 138 that are wide open. there is. Thereafter, the sealing device 138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pening P1 interposed therebetween to seal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도 11은 가이드부(135)가 2차 하강 및 회전되어 실링된 파우치(P)가 수취부(14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11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guide unit 135 is lowered and rotated to discharge the sealed pouch P through the receiving unit 140 .

밀봉된 파우치(P)가 안착된 가이드부(135)는 2차로 하강된 후 수취부(140) 방향으로 회전되어, 밀봉된 파우치(P)를 수취부(14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수취부(140)로 이송된 파우치(P)는 수취부(14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일정한 위치로 파우치(P)가 안착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135 on which the sealed pouch P is seated is secondarily lowered and then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art 140 to transfer the sealed pouch P to the receiving part 140 . The pouch P transferred to the receiver 140 is sli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ceiver 140 so that the pouch P can be seated at a certain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 포장기(100)는 자동적으로 파우치(P)의 내부에 내용물(C)을 인입시킨 후 밀봉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기(100)는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하여, 수동으로 진행하는 것에 비해 빠르고 정확하게 파우치(P)를 포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C) are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pouch (P) and then seal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ouch pack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the series of processes, and can quickly and accurately pack the pouches P compared to manual process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우치 포장기(100)는 내용물이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파우치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기(100)는 내용물(C)이 파우치(P)로 용이하게 인입되게 하기 위해, 제2,3흡착부(133, 134)에 의해 세 점에서 파우치(P)를 흡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3흡착부(133, 134)는 파우치(P) 상단의 개구부(P1)를 개방시키는 것에 더해 파우치(P)의 하단을 흡착하여, 내용물(C)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 경로를 형성하고, 파우치(P)를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in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drawn into the pouch without escaping to the other side. The pouch packag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sorb the pouch P at three points by the second and third adsorption units 133 and 134 so that the contents C can be easily drawn into the pouch P. there is. That is, the second and third adsorption parts 133 and 134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 the opening P1 at the upper end of the pouch P and adsorb the lower end of the pouch P, so that the content C is easily drawn in. An inlet path may be formed and the pouch P may be suppor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by the abov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파우치 포장기 110: 적재부
111: 투입부 112: 가압부
113: 고정돌기 120: 이송부
121: 제1회전판 122: 제1모터부
123: 제1흡착부 124: 낱개안착부
125: 낱개정렬부 130: 실링부
131: 제2회전판 132: 제2모터부
133: 제2흡착부 134: 제3흡착부
135: 가이드부 136: 내용물 삽입부
137: 센서부 138: 실링장치
139: 수동버튼부 140: 수취부
141: 제1경사부 142: 제2경사부
150: 제어부 151: 온도조절부
152: 화면표시부 153: 작동버튼부
100: pouch packaging machine 110: loading unit
111: input unit 112: pressurization unit
113: fixing protrusion 120: transfer unit
121: first rotary plate 122: first motor unit
123: first adsorption part 124: individual attachment part
125: individual alignment unit 130: sealing unit
131: second rotary plate 132: second motor unit
133: second adsorption unit 134: third adsorption unit
135: guide part 136: contents insertion part
137: sensor unit 138: sealing device
139: manual button unit 140: receiving unit
141: first inclined portion 142: second inclined portion
150: control unit 151: temperature control unit
152: screen display unit 153: operation button unit

Claims (6)

다수 개의 파우치(P)가 적재되는 적재부(110);
상기 적재부(110)에서 상기 파우치(P)를 낱개로 이송하는 이송부(120);
상기 파우치(P)의 개구부(P1)를 개방하여 상기 파우치(P)의 내부에 내용물(C)을 삽입 후 밀봉시키는 실링부(130); 및
상기 실링부(130)에서 밀봉된 상기 파우치(P)가 배출되는 수취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P)의 일측 면을 흡착하는 제2흡착부(133);
상기 제2흡착부(133)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2흡착부(133)의 상측 흡착판과 대응되게 배치된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P)의 타측 면을 흡착하여 상기 개구부(P1)를 개방하는 제3흡착부(134);
상기 내용물(C)이 안착되는 공간으로 배치되되, 하방이 개폐되어 상기 내용물(C)을 배출시키고, 센서부(137)가 배치되도록 개방 형성되는 센서인식홀(136a);을 포함하는 내용물 삽입부(136); 및
상기 내용물(C)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내용물 삽입부(136)의 하방을 개폐하도록 지시하는 센서부(137);를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기.
A loading unit 110 in which a plurality of pouches P are loaded;
a transfer unit 120 that transfers the pouches P individually in the loading unit 110;
Sealing unit 130 for sealing after opening the opening (P1) of the pouch (P) to insert the contents (C) into the interior of the pouch (P); and
And a receiving part 140 through which the pouch P sealed in the sealing part 130 is discharged,
The sealing part 130,
a second suction unit 133 for adsorbing one side of the pouch P by a pair of suction plat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ction plate disposed facing the second suction part 133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ction plate of the second suction part 133 absorbs the other surface of the pouch P to open the opening P1. a third adsorption unit 134;
A sensor recognition hole (136a) disposed in a space where the contents (C) is seated, the lower part being opened and closed to discharge the contents (C), and the sensor recognition hole (136a) formed open so that the sensor unit 137 is disposed; contents insertion unit including a (136); and
A pouch packing machine comprising a sensor unit 137 for detecting whether the contents C are seated and instructing to open and close the lower part of the contents insertion part 13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130)는,
상기 파우치(P)가 안착되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파우치(P)를 특정 위치로 이송시키고, 회전되어 상기 파우치(P)를 상기 수취부(140)로 배출시키는 가이드부(135);를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ling part 130,
A guide part 135 in which the pouch P is seated, moves in an up-and-down direction to transport the pouch P to a specific position, and rotates to discharge the pouch P to the receiving part 140; Including, pouch packing machin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파우치(P)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의 벽면이 배치된 낱개안착부(124); 및
상기 낱개안착부(124)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돌기가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P)를 상기 낱개안착부(124)의 일측 가장자리로 정렬시키는 낱개정렬부(125);를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unit 120,
Individual seating parts 124 having a wall surface having a width equal to or similar to that of the pouch P; and
An individual alignment unit 125 for aligning the pouch P with one edge of the individual seating portion 124 by having a protrusion moving up and down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individual seating portion 124; , a pouch packing mach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10)는,
다수 개의 상기 파우치(P)가 안착되고, 상기 이송부(120)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판형 부재가 배치된 투입부(111);
상기 투입부(11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파우치(P)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12); 및
상기 투입부(111)의 하측 개방부(111c)에 돌출 배치되어, 상기 파우치(P)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돌기(113);를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ading part 110,
an input unit 111 in which the plurality of pouches P are seated and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obliquely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20;
a pressing unit 112 that moves the input unit 111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resses the pouch P downward; and
A pouch packing machine including a fixing protrusion 113 protruding from the lower open portion 111c of the inlet 111 and fixing the pouch P so that it does not esc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업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고, 실링장치(138)의 실링 온도 및 작동 여부를 조절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ntrol unit 150 that displays the progress of the operation and controls the sealing temperature and operation of the sealing device 138; further comprising a pouch packaging machine.
KR1020220075927A 2022-06-22 2022-06-22 Pouch packing machine KR102481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27A KR102481984B1 (en) 2022-06-22 2022-06-22 Pouch pac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27A KR102481984B1 (en) 2022-06-22 2022-06-22 Pouch pack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984B1 true KR102481984B1 (en) 2022-12-27

Family

ID=8456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927A KR102481984B1 (en) 2022-06-22 2022-06-22 Pouch pack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890A (en) * 2004-02-03 2005-08-08 전성훈 Apparatus for packing pouch
JP2008050043A (en) * 2006-08-25 2008-03-06 Sumitomo Rubber Ind Ltd Glove packaging method, and glove packaging apparatus
KR100902639B1 (en) 2007-10-05 2009-06-15 (주)서우케이엔제이 Diagnosis kit inspection, cut and packing apparatus
KR20160064661A (en) * 2014-11-28 2016-06-08 정성주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Zipperb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890A (en) * 2004-02-03 2005-08-08 전성훈 Apparatus for packing pouch
JP2008050043A (en) * 2006-08-25 2008-03-06 Sumitomo Rubber Ind Ltd Glove packaging method, and glove packaging apparatus
KR100902639B1 (en) 2007-10-05 2009-06-15 (주)서우케이엔제이 Diagnosis kit inspection, cut and packing apparatus
KR20160064661A (en) * 2014-11-28 2016-06-08 정성주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Zipper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591B1 (en) Packaging systems for diagnostic kits
CN106252699A (en) The automatic stacking device of fuel cell pack
KR101860791B1 (en) Stacking apparatus for sealing lid of wet tissue packing pack
KR100798753B1 (en) packing apparatus
KR102481984B1 (en) Pouch packing machine
JP4411038B2 (en) Automatic powder filling equipment
JPH07306207A (en) Specimen takeout device of automatic analysis device
JP7185474B2 (en) packing machine
JP3604519B2 (en) How to open the packaging bag
KR101782976B1 (en) Packaging device for diagnostic kit
KR20140112318A (en) packing apparatus
CN109335125B (en) Automatic bagging machine
JPH039897A (en) Automatic sealing machine
JP2620209B2 (en) Equipment for automatic packaging of goods
KR100434992B1 (en)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sensor strip can
JP4100787B2 (en) Dispensing drug dispensing device
CN108528827B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moving plastic bag and opening plastic bag
KR20220003263A (en) Individual airtight device with replacement cartridge
JP3655368B2 (en) Large bag filling device
CN211056157U (en) Electronic component pan feeding holding device
CN218893049U (en) Assembly packaging production line of detection test paper box
CN220147721U (en) Material conveying type bagging and sealing device
JPH08151019A (en) Bag opening device
JP2000167024A (en) Medicine dispenser
CN116670036A (en) Food input device and food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