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712B1 - 항복 강도가 500 메가파스칼 급인 시크 열간 압연 에이치빔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복 강도가 500 메가파스칼 급인 시크 열간 압연 에이치빔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712B1
KR102481712B1 KR1020217000064A KR20217000064A KR102481712B1 KR 102481712 B1 KR102481712 B1 KR 102481712B1 KR 1020217000064 A KR1020217000064 A KR 1020217000064A KR 20217000064 A KR20217000064 A KR 20217000064A KR 102481712 B1 KR102481712 B1 KR 10248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manufacturing
mpa
roll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8414A (ko
Inventor
페이린 자오
중쉐 왕
웨이다 궈
차오 리
원시 한
진린 팡
시우훼이 구어
촨동 자오
촨전 리
동 양
Original Assignee
샨동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샨동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샨동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8H- or I-s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복 강도가 500 MPa급인 시크 열간 압연 H빔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열간 압연 H빔의 화학 성분 구성은 중량 백분율에 따라, C: 0.10 % ~ 0.20 %, Si: 0.15 % ~ 0.30 %, Mn: 0.8 % ~ 1.30 %, Nb: 0.02 % ~ 0.05 %, V: 0.10 % ~ 0.16 %, Ni: 0.40 % ~ 1.0 %, P ≤ 0.015 %, S ≤ 0.01 %, Mo: 0.15 % ~ 0.35 %, Al: ≤ 0.05 %, O ≤ 0.004 %, 및 N: 0.01 % ~ 0.02 %이고, 여분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상기 H빔은 노멀라이징 압연에 적합한 중간 C 함량과 고 Ni의 배합, 및 고 V 복합 미세 합금 성분으로 설계하여, 안정적으로 제어된 500 MPa급 이상의 고강도 인성의 해양 공사용 열간 압연 H빔을 얻는다. H빔의 최종 구조는 주로 정제된 펄라이트 + pro-eutectoid ferrite이고, 소량의 베이나이트 구조를 포함하며, 구조 정제, 상 변화 강화, 및 침전 강화를 통해, 고강도 및 큰 두께 조건에서, H빔의 -40 ℃ 저온 충격 인성이 100 J보다 큰 우수한 효과를 구현한다.

Description

항복 강도가 500 메가파스칼 급인 시크 열간 압연 에이치빔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야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복 강도가 500 MPa급인 시크 열간 압연 H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18년 6월 19일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번호가 201810628873.5인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인용된다.
해양 지역의 석유 및 천연가스 탐사에 있어서 고급 해양 공학 장비를 필요로 한다. 해양 환경 장비는 혹독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고온 및 저온, 고압, 고습, 염화염 부식, 미생물 부식 및 해풍, 파도, 해류의 영향에 직면하는 것 외에 태풍, 부빙 및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에도 견뎌야 한다. 따라서, 해양 공학 장비를 제조하는 강은 반드시 비교적 높은 강도, 내저온 인성 및 내식성 등과 같은 비교적 높은 종합성능을 구비해야 한다.
H빔은 해양 석유 공학에 필요한 구조 재료로서, 현재 공개된 특허는 주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주로 미세 합금화는 노멀라이징 압연을 적용하고, 이 유형의 강의 성능은 안정적이고 용접성이 우수하지만, 강도가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다. 다른 하나는, 미세 합금 성분을 감량화하는 설계, 후기의 수냉 제어에 의해 일정한 베이나이트 구조를 얻는다. 이 유형의 빔 제품의 성의 안정성은 떨어지고, 다양 부위의 베이나이트 함량의 차이로 인해 강의 안정성이 비교적 차하게 된다. 따라서, 고강도 H빔의 제조는 두 가지의 공정의 조합이 필요하며, 제조된 강재는 강도가 높고, 안정성도 우수하다. 비교적 큰 두께의 H빔 제품을 생산하는 난이도가 더욱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역학 성능이 우수하고, 다양한 해역의 해양 석유 플랫폼 제조, 및 해상 운송선박 등 초고강도 인성 요구가 있는 지지 구조부재에 적합한 해양 공학용 항복 강도가 500 MPa급인 시크 열간 압연 H빔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항복 강도가 500 MPa급인 시크 열간 압연 H빔에 있어서, 이의 화학 성분 구성은 중량 백분율에 따라, C: 0.10 % ~ 0.20 %, Si: 0.15 % ~ 0.30 %, Mn: 0.8 % ~ 1.30 %, Nb: 0.02 % ~ 0.05 %, V: 0.10 % ~ 0.16 %, Ni: 0.40 % ~ 1.0 %, P ≤ 0.015 %, S ≤ 0.01 %, Mo: 0.15 % ~ 0.35 %, Al: ≤ 0.05 %, O ≤ 0.004 %, 및 N: 0.01 % ~ 0.02 %이고, 여분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바람직하게, Ni + Mo ≤ 1.0 %이다.
나아가, 다른 하나의 선택으로서, 본 발명의 항복 강도가 500 MPa급인 시크 열간 압연 H빔에 있어서, 이의 화학 성분 구성은 중량 백분율에 따라, C: 0.10 % ~ 0.20 %, Si: 0.15 % ~ 0.30 %, Mn: 0.8 % ~ 1.20 %, Nb: 0.02 % ~ 0.05 %, V: 0.10 % ~ 0.14 %, Ni: 0.40 % ~ 0.7 %, P ≤ 0.015 %, S ≤ 0.01 %, Mo: 0.20 % ~ 0.35 %, Al: ≤ 0.05 %, O ≤ 0.004 %, 및 N: 0.01 % ~ 0.02 %이고, Cr 및 Ti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Cr: ≤ 0.5 %, 및 Ti: ≤ 0.05 %이고, 상기 여분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나아가 바람직하게, Ni + Mo ≤ 1.0 %이고, Nb + V + Ti ≤ 0.18 %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성분을 이용하여 빔 빌렛 노멀라이징 압연을 적용하여, 제조된 H빔의 플랜지 두께는 20 ~ 40 mm에 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열간 압연 H빔에서, 각 화학 원소의 설계 원리는 하기와 같다.
탄소: 탄소는 500 MPa급 고강도 H빔의 얇은 시트상 펄라이트와 입상 베이나이트 구조의 형성 및 강도를 구현하는 핵심 원소이다. 적절한 양의 베이나이트 및 펄라이트 복합 구조를 확보해야 하므로, 두께가 비교적 큰 H빔의 강도를 향상시켜야 하므로, 탄소 함량이 너무 낮지 않은 0.10 % ~ 0.20 % 로 조절해야 한다.
실리콘: Si은 탈 산소 원소로서,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므로, Si 함량의 하한을 0.15 %이상으로 설정한다. 한편, 다량의 Si 함유 Fe2SiO4가 표면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Si 함량의 상한을 0.30 %이하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이다.
망간: Mn은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안정시키고, 강의 경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펄라이트의 변형을 지연시키면서 페라이트의 변형도 지연시키고, 베이나이트 영역을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강철이 공정 조건에 대한 민감성을 향상시킨다. 강도 및 균열 민감도를 확보하기 위해, Mn 함량은 바람직하게 0.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0.90 %이상으로 설정한다. Mn원소는 강철에서 비교적 높은 편석 경향이 있고, 과도한 첨가는 인성, 가소성 등과 같은 역학 성능 지표를 손상시킨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본 강철에서 Mn 함량은 0.8 % ~ 1.30 %로 제어한다.
인: P ≤ 0.015 %이고,
유황: S ≤ 0.01 %이며,
강철에서 불가피한 P, S원소로서, 응고 편석으로 인해 용접 균열이 발생되고 인성이 저하된다. 제조 공정에서 초래되는 개재물은 강철의 저온 인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의 함량을 최대한 감소시켜야 한다. 생산 실천 및 기기 능력을 결부하여, P함량은 바람직하게 0.015 %이하로 제한되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한은 0.012 % 이하이다. 또한, 유황은 MnS 개재물을 쉽게 형성하여, 균열의 시작점이 되어,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S 함량은 바람직하게 0.01 %이하로, 더욱 바람직하게 0.005 %이하로 제한한다. P, S의 하한 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기기 능력 및 원가 제어에 따라 다르고, 모두 0 %를 초과하면 된다.
알루미늄: Al은 강철의 제조 공정에서 강력한 탈산소 원소로 사용된다. 강철의 산소 함량을 가능한 낮게 보장하기 위해, 개재물 생성 확률을 줄이고, 탈산소 후 과도한 알루미늄은 강철 중의 질소 원소와 AlN 석출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강철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열처리의 가열 과정에서, 강철의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를 정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 함량은 0.05 %이하로 제어한다.
티타늄: 티타늄은 강력한 탄화물 형성 원소로서, 강철에 소량의 Ti를 첨가하여 강철의 N을 고정하는데 유리하며, 형성된 TiN은 강철 빌렛이 가열될 때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자가 과도하게 성장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원래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자를 정제하는 목적을 구현한다. 티타늄은 강철에서 각각 탄소 및 유황과 반응하여 TiC, TiS, Ti4C2S2 등과 같은 화합물을 생성하고, 이들은 개재물 및 2상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티타늄의 이러한 탄화물/질화물 석출물은 용접될 때 열이 영역 결정 입자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어, 완제품 강판의 용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0.05 %이하의 티타늄 첨가를 선택한다.
니오븀: Nb는 오스테나이트의 비재결정화 온도를 현저하게 향상시켜, 압연 제어와 배합하여 결정 입자를 정제하는 작용을 일으키게 한다. 강재의 강도를 개선하면, 강철의 인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저온 인성 효과가 현저하며, 극소량의 Nb는 매트릭스 구조의 결정 입자를 현저하게 정제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Nb 함량은 0.02 % ~ 0.045 %로 제어한다.
바나듐: V은 강에서 강력한 탄화물/질화물 형성 원소로서, 압연후기에 대량의 고 V 탄화물/질화물을 형성하여 침전 강화 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VN 합금을 첨가하면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동시에, VN은 매트릭스 구조의 핵 형성 질점으로서, 구조의 미세화에 유리하다. 강도 향상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이의 함량은 0.10 %이상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과도한 V는 입자가 커지는 제2상이 초래되고, 인성이 악화된다. V함량은 0.10 % ~ 0.16 %이다.
니켈: Ni은 강재의 강도 및 저온 인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원소이다. H빔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이의 구조의 균형성 요구는 더욱 두드러진다. Ni는 오스테나이트 영역을 확장하여 경화성 작용을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 펄라이트 시트를 정제하여 펄라이트를 정제하고, 미세 입자 강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 니켈의 첨가는 일정한 내식 역할을 하고, 강재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Ni 함량은 0.40 % ~ 1.0 % 범위 내로 제어한다.
몰리브덴: Mo는 강철에 고체 용해되어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강도 향상 역할을 한다. Mo 함량의 하한을 0.2 %이상으로 설정한다. 강철에 0.35 % 이상의 Mo가 함유되어도, Mo 탄화물(Mo2C)이 정량적으로 석출되고, Mo 고체 용해에 의해 경화성 향상 효과도 포화 상태에 달하므로, Mo 함량의 상한을 0.35 %이하로 설정한다. 원가 등 요소를 고려하여, Mo 함량의 하한은 바람직하게 0.3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0.30 %이하이다.
질소: V원소 사용에 배합하기 위해, VN 합금을 첨가하여 침전 강화 효과를 일으키고, 강도를 향상시키므로, N 함량을 증가시킨다. N 함량이 너무 높으면, 주조 빌렛의 품질 불량이 쉽게 발생하므로, 본 발명의 질소 함량은 0.01 % ~ 0.02 %로 요구한다.
산소: 강한 산화 원소와 큰 입자의 산화물 개재물이 형성되어, 강철의 인성 및 가소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질소 함량은 ≤ 0.004 %로 요구한다.
크롬: Cr은 강철의 강도와 경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크롬의 첨가는 강철에서 강철의 경화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Mo 원소와 함께 입상 베이나이트 구조의 형성에 유리하다. Cr 함량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으면 강철의 경화성, 파단성 지연에 불리하여 결함을 쉽게 일으킬 수 있다. 상기 강철에서 Cr은 0.5 %이하로 조절하고, 필요한 베이나이트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첨가한다.
본 발명의 Ni + Mo ≤ 1.0 %은, 강철의 경화성이 균일하고 매트릭스 구조 상태가 안정적으로 제어되며, Nb + V + Ti ≤ 0.18 %은, 강철의 2상 구조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고, 함량이 너무 높으면 N과 결합하여 과도의 질화물을 형성하고, 대량의 석출물은 강의 인성을 쉽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Nb + V + Ti ≤ 0.18 %을 이 유형의 강철의 상한으로 설정하는 것은 비교적 합리적이다.
상기 H빔의 항복 강도는 ≥500 MPa이고, 인장 강도는 ≥ 650 MPa이며, 연신율은 ≥ 20 %이고, -40 ℃ 충격 에너지는 ≥ 100 J이다.
본 발명은, 쇳물 전처리→전로 제련→래들 아르곤 스터링→LF 정제→빔 빌렛 주조→연속 주조 빌렛 서냉 핏에서 서냉하거나 열전달 및 열충전→형강선 압연→냉각 베드 집중 서냉의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항복 강도가 500 MPa급 H빔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한다.
여기서, 연속 주조 공정에서, 합금 양이 비교적 많은 상황을 고려하여, 서냉은 소킹 핏에서 진행하여 표면 결함을 생성하는 확률을 줄여야 한다. 또한, 연속 주조 빌렛은 열전달 및 열충전을 가열로에 장입하여, 큰 냉각 속도 및 과도한 냉각으로 인한 결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압연 공정에서, 가열로 소킹 온도는 1230 ~ 1270 ℃이고, 가열로에서 주조 빌렛의 체류 시간은 150 ~ 200 min이며, 마감 압연 시작 온도는 1120 ~ 1180 ℃이고, 마감스탠드 사이의 수냉은 모두 온 상태이며, 마감 압연 최종 온도는 750 ~ 820 ℃이고, 압연 최종 온도에 대한 제어를 보장하기 위해, 마감 압연의 마지막 2회 통과는 극도로 낮은 압축비를 적용하되, 바람직하게 압축비는 5 % ~ 10 %이며, 마감 압연을 거친 후 보온을 위해 단열 커버가 구비된 롤러 테이블에 진입되어, 온도의 균일 강하를 보장하고, 이어서 서냉을 위해 냉각 베드에 진입한다.
본 발명에서 빔 빌렛를 적용하여 압연 생산을 진행하여, 압축비가 비교적 작으므로, 구조 제어는 반드시 압연 최종 온도를 보장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압연 리듬을 저하시킴으로써, 압연 최종 온도가 상 변화 점 요구에 달한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구조 및 역학 성능을 얻고, 냉각 베드에 진입하여 서냉하여, 제2상의 후기 분산 및 석출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저탄소 미세 합금 공정 설계를 통해, 빔 홈형 압연과 결부하여, 해양 공학용 대형 및 중형 스펙의 고강도 인성 H빔 제품의 산업화 생산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지 않은 공정은 모두 기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장점은 하기와 같다.
1. 빔 빌렛 압연의 대형 스펙의 후벽 H빔의 특성을 결합하여, 노멀라이징 압연에 적합한 중간 C 함량과 고 Ni의 배합, 및 고 V 복합 미세 합금 성분으로 설계하여, 열간 압연 H빔 압연기에서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500 MPa급 이상의 고강도 인성의 해양 공사용 열간 압연 H빔을 얻는다.
2. H빔의 최종 구조는 주로 정제된 펄라이트 + pro-eutectoid ferrite이고, 소량의 베이나이트 구조를 포함하여, 더욱 쉽게 제어한다.
3. 구조 정제와 상 변화 강화, 및 침전 강화를 통해,고강도 및 큰 두께 조건에서 H빔의 -40 ℃ 저온 충격 인성이 100 J보다 큰 우수한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열간 압연 H빔의 OM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열간 압연 H빔의 SEM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열간 압연 H빔의 2상 TEM 이미지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연속 주조 빌렛은 하기 공법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설정된 화학 성분 범위(표 1)에 따라, 화학성분 C, Si, Mn, S, P 및 Fe를 원료로 하여, 전로 제련, 정제, 연속 주조, 주조 빌렛의 직접 가열 또는 소킹을 진행한다. 실시예 1-5의 제조 단계는 하기와 같다.
상기 강철은 쇳물 전처리→전로 제련→래들 아르곤 스터링→LF 정제→빔 빌렛 주조→형강선 압연→냉각 베드 서냉을 거친다. 여기서, 형강선 압연은 조압연 및 마감 압연 2가지 압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지 않은 공정은 모두 기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열간 압연 공정은 온도 제어를 주요로 하며, 원 기초에서 2개의 통과를 증가시키고, 압축비가 극도로 낮아, H빔의 압연 최종 온도를 더 잘 제어할 수 있다. 온도는 플랜지 외측에서 감지되고, 압연된 재료는 냉각 베드에서 서냉된다. 획득한 H빔의 최종 구조는 주로 정제된 펄라이트이고, 소량의 입상 베이나이트 구조를 포함한다. 실시예 1-5의 화학 성분 및 구체적인 공법은 하기 표 1을 참조하고, 구체적인 구조는 도면 1-3을 참조한다.
화학 성분(wt %, 잔여 철)
사항 C Si Mn P S Mo V Nb Ni Al N
실시예1 0.19 0.21 0.85 0.015 0.009 0.20 0.11 0.025 0.45 0.03 0.012
실시예2 0.14 0.19 1.10 0.013 0.007 0.33 0.12 0.030 0.5 0.025 0.016
실시예 3 0.12 0.30 1.21 0.014 0.005 0.19 0.15 0.033 0.8 0.04 0.011
실시예 4 0.16 0.20 0.95 0.012 0.006 0.25 0.13 0.031 0.75 0.025 0.013
실시예 5 0.11 0.25 1.29 0.013 0.005 0.26 0.15 0.029 0.68 0.036 0.012
실시예 1-3의 열간 압연 공법 조건은 표 2를 참조한다. 참조 기준은 BS EN ISO 377-1997 "역학적 성능 시험 샘플의 샘플링 위치 및 제조”이고, 항복 강도, 인장 강도, 연신율의 시험 방법은 기준 ISO6892-1-2009 "금속 재료 실온 인장 시험 방법”을 참조하며, 충격 에너지 시험 방법은 기준 ISO 148-1 "금속 재료 샤르피 펜듈럼 충격 시험”을 참조하고, 결과는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열간 압연 공법
사항 가열온도
(℃)
보온시간
(min)
압연 시작 온도 (℃) 압연 최종 온도 (℃) 플랜지 두께 t
mm
실시예 1 1240 120 1150 770 20
실시예 2 1250 145 1130 800 25
실시예 3 1255 150 1120 810 28
실시예 4 1260 160 1140 800 30
실시예 5 1250 160 1145 790 35
실시예 역학적 성능 시험 결과
사항 항복 강도
(MPa)
인장 강도
(MPa)
연신율
(%)
-40 ℃ 충격 에너지
(J)
실시예 1 540 680 21 100
실시예 2 550 690 23 120
실시예 3 580 710 25 110
실시예 4 520 665 24 120
실시예 5 510 660 26 150
표 3에서 볼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항복 강도는 500 MPa급을 유지하며, 이의 -40 ℃ 충격 에너지는 비교적 높다. 제조된 해양 공학 부품은 극도로 낮은 환경에서의 사용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고, 해양 석유 플랫폼, 해상 운송선박 등 비교적 높은 저온 인성 요구가 있는 지지 구조 부재의 제조에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록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한 수정 또는 균등한 대체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이는 또한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500 MPa의 항복 강도를 갖는 시크 열간 압연 H빔으로서,
    상기 H빔의 화학 성분 구성은 중량 백분율에 따라, C: 0.10 % ~ 0.20 %, Si: 0.15 % ~ 0.30 %, Mn: 0.8 % ~ 1.30 %, Nb: 0.02 % ~ 0.05 %, V: 0.10 % ~ 0.16 %, Ni: 0.40 % ~ 1.0 %, P ≤ 0.015 %, S ≤ 0.01 %, Mo: 0.15 % ~ 0.35 %, Al: ≤ 0.05 %, O ≤ 0.004 %, 및 N: 0.01 % ~ 0.02 %이고, 여분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며, Ni + Mo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크 열간 압연 H빔.
  2. 삭제
  3. 500 MPa의 항복 강도를 갖는 시크 열간 압연 H빔으로서,
    상기 H빔의 화학 성분 구성은 중량 백분율에 따라, C: 0.10 % ~ 0.20 %, Si: 0.15 % ~ 0.30 %, Mn: 0.8 % ~ 1.30 %, Nb: 0.02 % ~ 0.05 %, V: 0.10 % ~ 0.16 %, Ni: 0.40 % ~ 1.0 %, P ≤ 0.015 %, S ≤ 0.01 %, Mo: 0.15 % ~ 0.35 %, Al: ≤ 0.05 %, O ≤ 0.004 %, 및 N: 0.01 % ~ 0.02 %이고, Cr 및 Ti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Cr: ≤ 0.5 %, 및 Ti: ≤ 0.05 %이고, 여분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며,
    Ni + Mo ≤ 1.0 %이고, Nb + V + Ti ≤ 0.1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크 열간 압연 H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빔의 플랜지 두께가 20 ~ 4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복 강도가 500 MPa급인
    시크 열간 압연 H빔.
  6.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H빔의 제조 방법으로서,
    순차적으로 쇳물 전처리, 전로 제련, 래들 아르곤 스터링, LF 정제, 빔 빌렛 주조, 형강선 압연 및 냉각 베드 집중 서냉의 단계들을 포함하고,
    압연 공정에서, 가열로 소킹 온도는 1230 ~ 1270 ℃이며, 가열로에서 주조 빌렛의 체류 시간은 150 ~ 200 min이고; 마감 압연 시작 온도는 1120 ~ 1180 ℃이며, 마감 스탠드 사이의 수냉을 수행하여, 마감 압연 최종 온도는 750 ~ 8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마감 압연의 마지막 2회 통과는 5% 내지 10%의 압축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마감 압연을 거친 강재는 마감 압연기에서 배출된 후 보온을 위해 단열 커버가 구비된 롤러 테이블에 진입되고, 이어서 서냉을 위해 냉각 베드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의 제조 방법.
KR1020217000064A 2018-06-19 2018-12-14 항복 강도가 500 메가파스칼 급인 시크 열간 압연 에이치빔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1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28873.5A CN108893675B (zh) 2018-06-19 2018-06-19 一种屈服强度500MPa级厚规格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CN201810628873.5 2018-06-19
PCT/CN2018/121101 WO2019242253A1 (zh) 2018-06-19 2018-12-14 一种屈服强度500MPa级厚规格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414A KR20210018414A (ko) 2021-02-17
KR102481712B1 true KR102481712B1 (ko) 2022-12-27

Family

ID=6434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064A KR102481712B1 (ko) 2018-06-19 2018-12-14 항복 강도가 500 메가파스칼 급인 시크 열간 압연 에이치빔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95710B1 (ko)
JP (1) JP7150066B2 (ko)
KR (1) KR102481712B1 (ko)
CN (1) CN108893675B (ko)
WO (1) WO2019242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3675B (zh) * 2018-06-19 2020-02-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500MPa级厚规格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CN110438397A (zh) * 2019-08-12 2019-11-12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大断面含铝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CN110499468A (zh) * 2019-09-22 2019-11-26 江苏方圆型钢有限公司 一种高屈服强度热轧型钢及其生产工艺
CN110578090A (zh) * 2019-09-25 2019-12-17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500MPa级热轧H型钢及生产方法
CN110791711B (zh) * 2019-11-14 2023-11-21 舞阳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特厚vl e460级别调质型高强船板生产方法
CN110938778A (zh) * 2019-12-09 2020-03-3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异型坯轧制成型的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CN111187988B (zh) * 2020-02-28 2021-07-06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强韧性压力容器钢板及其生产方法
CN112410665B (zh) * 2020-11-10 2021-10-29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抑制晶粒长大的厚重热轧h型钢及其生产方法
CN112795755B (zh) * 2020-12-30 2022-06-07 日照钢铁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柔性生产低合金高强度热轧h型钢的方法
CN113094870B (zh) * 2021-03-08 2022-07-12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轧宽带钢生产工艺的设计方法
CN113249637A (zh) * 2021-05-17 2021-08-13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50-80mm厚度中板高强钢Q390D的制造方法
CN113462987A (zh) * 2021-07-19 2021-10-01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风电钢q355组织性能的工艺
CN113604735B (zh) * 2021-07-20 2022-07-12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420MPa级热轧耐低温H型钢及其制备方法
CN113604746B (zh) * 2021-08-12 2023-03-28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热轧h型钢及其生产方法
CN116334475A (zh) * 2021-12-22 2023-06-27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超深井井架用经济型550MPa热轧H型钢和生产方法
CN114574672B (zh) * 2022-03-30 2023-06-27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经济型铁路车轮热加工方法及铁路车轮
CN115652193B (zh) * 2022-09-28 2024-05-1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q500级重型热轧h型钢及其组织细化生产方法
CN115652192B (zh) * 2022-09-28 2024-05-1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q355级重型热轧h型钢及其组织细化生产方法
CN116657035A (zh) * 2023-05-11 2023-08-29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铁路货车用高强、耐低温yq500nqr1钢生产制备方法
CN117626116A (zh) * 2023-10-18 2024-03-0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船舶结构用厚规格高强韧耐低温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174A (ja) 1999-10-08 2001-04-17 Nkk Corp 耐歪時効脆化性に優れた高強度支保工用h形鋼
WO2014142060A1 (ja) * 2013-03-14 2014-09-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5997B2 (ja) 2013-12-16 2017-11-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097B2 (ja) * 1990-07-27 1995-07-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火性及び溶接部靭性の優れたh形鋼の製造方法
JP2579841B2 (ja) * 1991-03-08 1997-02-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延ままで耐火性及び靱性の優れた粒内フェライト系形鋼の製造方法
KR101205144B1 (ko) * 2010-06-28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건축구조용 h형강 및 그 제조방법
CN102337478B (zh) * 2010-07-15 2012-11-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强韧性、强塑性优良的100公斤级调质钢板及其制造方法
JP5574059B2 (ja) * 2011-12-15 2014-08-2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SG11201500113TA (en) 2012-11-26 2015-03-3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H-section steel and method for procuding the same
US20150361664A1 (en) * 2013-04-26 2015-12-1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section ste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132017B2 (ja) * 2013-05-14 2017-05-2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046902B (zh) * 2014-06-30 2016-09-28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低钼高钛590MPa级建筑用耐火钢板及其制造方法
CN105018861B (zh) * 2015-08-10 2017-07-14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正火轧制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CN106834944A (zh) * 2017-02-10 2017-06-13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海洋工程用耐低温高韧性热轧角钢及其制造方法
CN107747043B (zh) * 2017-11-13 2019-10-22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650MPa及以上级别耐候热轧H型钢及其制造方法
CN108893675B (zh) * 2018-06-19 2020-02-1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500MPa级厚规格热轧H型钢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174A (ja) 1999-10-08 2001-04-17 Nkk Corp 耐歪時効脆化性に優れた高強度支保工用h形鋼
WO2014142060A1 (ja) * 2013-03-14 2014-09-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5997B2 (ja) 2013-12-16 2017-11-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414A (ko) 2021-02-17
CN108893675A (zh) 2018-11-27
JP2021526587A (ja) 2021-10-07
EP3795710A1 (en) 2021-03-24
JP7150066B2 (ja) 2022-10-07
EP3795710B1 (en) 2022-06-08
WO2019242253A1 (zh) 2019-12-26
CN108893675B (zh) 2020-02-18
EP3795710A4 (en)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712B1 (ko) 항복 강도가 500 메가파스칼 급인 시크 열간 압연 에이치빔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9975B1 (ko)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78406B1 (ko) 극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제조방법
KR101585724B1 (ko) 중심부 저온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후물 라인파이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088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저탄소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981615B2 (ja) 非水冷型薄手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23203B1 (ko)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7180A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강관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4133175B2 (ja) 靭性に優れた非水冷型薄手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0943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강관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49426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132B1 (ko) 극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1701A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판
KR20200075964A (ko) 초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226B1 (ko)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75606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52303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라인 파이프용 고장력 강재의제조방법
KR101185222B1 (ko) 고강도 api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64883B1 (ko) 저온 인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고장력 라인 파이프용열연강판 제조방법
KR20160036991A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68514B1 (ko) 저항복비형 초고강도 건설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60090B1 (ko) 라인 파이프용 55㎏/㎟급 강판의 제조방법
KR101435319B1 (ko) 강판 제조 방법
KR101412376B1 (ko) 열간압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라인파이프용 강판
KR100833045B1 (ko) 파이프 조관 후 항복강도 저하가 적은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열연강판, 이를 이용하여 성형된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