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665B1 -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665B1
KR102481665B1 KR1020220084838A KR20220084838A KR102481665B1 KR 102481665 B1 KR102481665 B1 KR 102481665B1 KR 1020220084838 A KR1020220084838 A KR 1020220084838A KR 20220084838 A KR20220084838 A KR 20220084838A KR 102481665 B1 KR102481665 B1 KR 10248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solator
seismic isolator
positioning pin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달
은정웅
김선진
김명선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16F15/085Use of both rubber and metal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2Springs leaf-like, e.g. of thin, planar-like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수배전반의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간단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 전달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분산을 통해 외부 충격이나 지진으로부터 수배전반을 보호하면서 수배전반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용접방식이 아닌 가변 프레임 조립방식의 베이스프레임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ISOLATION DEVICE FOR DISTRIBUTION BOARD AND NON WELDING TYPE ASSEMBLY BASEFRAME WITH ISOLATION DEVICE}
본 발명은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수배전반의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간단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장치, 수배전반 등과 같은 전원 설비들은 전력이 요구되는 공장, 빌딩, 병원, APT 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의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하고 제어 및 감시하는 설비로서, 건축물의 내ㆍ외부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기초 바닥 위에 설치된다.
보통 빌딩이나 공장 등의 자가 전기설비, 태양광 발전설비 등에서는 수요전력량이 많기 때문에 110V 또는 220V의 저압의 일반용 전기설비와 같이 전력회사로부터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받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변전소의 배전선으로부터 3,300V 또는 6,600V의 고압을 수전하고, 이를 다시 수배전반을 이용하여 상용전압으로 변압한 후에 사용한다.
이러한 전원 설비들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지진 발생 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고 진동되는 진동에 의한 악영향을 받게 되면 그 고유 기능을 상실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설비의 내부에는 고압 개폐기, 계기용 변류기, 고압차단기, 변압기, 저압배전용차단기 등의 전력기기와 전력계통 보호 및 감시를 위한 계전기 및 계기 등의 전기 부품 등이 실장 되어 있고, 이러한 전력기기 외에도 전력 계통에 따라 전력기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부스바와 전력기기의 계측 및 감시를 위한 배선이 배치되어 있으며, 전원 설비 본체는 바닥에 설치됨과 더불어 바닥에는 전력기기 상호 간의 감시 배선 및 부하설비 배선을 위한 홀 등이 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설비가 구조물 바닥에 설치되는 이유로 지각 변동에 의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등이 발생하면, 전원 설비 내부의 전력기기 및 이러한 전력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배선 그리고 보호계전기 등의 전기부품이 손상 또는 파손되기 쉬우며, 이렇게 발생한 장애에 의해 전력공급의 중단 및 화재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전원 설비들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는 이유로 굳이 지진이나 진동에 대한 설계를 적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전원 설비에 방진 패드 등이 있는 내진 설계를 적용하고는 있으나, 이렇게 방진 패드 등을 자체 진동이 있는 전원 설비에 적용할 경우 전원 설비가 진동을 일으키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 설비의 진동에 따라 같이 진동하면서 진동을 흡수하는 구조라서 전원 설비 자체 진동으로 전원 설비와 연결된 연결부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슨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등 전원 설비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한편, 수배전반의 설치 시 수배전반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은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맞닿게 한 다음 맞닿은 부위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베이스프레임을 용접으로 제작하는 경우 용접한 부위를 다시 그라인딩 작업을 해야 하고, 또 용접부위가 변형될 우려가 있어 숙련된 용접기술이 요구되는 등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성이 낮아 생산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접에 의해 일체식으로 제작된 수배전반의 경우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운반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 현장에서의 설치 시에도 이동에 제약이 있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4813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0091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6092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361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 전달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분산을 통해 외부 충격이나 지진으로부터 수배전반을 보호하면서 수배전반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용접방식이 아닌 가변 프레임 조립방식의 베이스프레임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수배전반의 저면부 4곳을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상판과 프레임 하판, 그리고 프레임 상판과 프레임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4개의 코너모듈과, 상기 각 코너모듈에 있는 각파이프 하우징에 슬라이드 구조로 양단부가 끼워져 지지되면서 각각의 코너모듈을 이어주는 적어도 4개의 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코너모듈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과 면진장치 하판,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과 면진장치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 사이에서 중심스프링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수배전반의 크기에 따라 양편의 코너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상판과 프레임 하판, 그리고 프레임 상판과 프레임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중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너모듈은 프레임 상판과 프레임 하판 사이에서 각파이프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각파이프 사이즈에 맞게 폭조절이 가능한 한쌍의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코너모듈은 홀을 가지면서 프레임 상판과 프레임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프레임 간을 전기적 또는 기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열반용 블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너모듈은 프레임 하판에 일체식으로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의 수평을 잡는 용도로 사용되는 원형수평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면진장치의 완충모듈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완충모듈은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강구형 위치결정핀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와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강구형 위치결정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면진장치 상판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강구형 위치결정핀의 반구 형태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완충모듈은 서로의 구면을 위아래에서 맞댄 상태로 면진장치 상판의 저면측과 면진장치 하판의 상면측에 각각 지지되는 상부 반구형탄성체 및 하부 반구형탄성체와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둘레와 접하는 동시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탄성체와 함께 연동되면서 면진장치 상판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의 상면에 양단 지지되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외주면을 감싸는 물결 모양의 벤딩부를 가지는 띠 모양의 판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의 판스프링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높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낮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수배전반 면진장치는 수배전반의 저면부 4곳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과 면진장치 하판,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과 면진장치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 사이에서 중심스프링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진장치의 완충모듈은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강구형 위치결정핀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와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강구형 위치결정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면진장치 상판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강구형 위치결정핀의 반구 형태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면진장치의 완충모듈은 서로의 구면을 위아래에서 맞댄 상태로 면진장치 상판의 저면측과 면진장치 하판의 상면측에 각각 지지되는 상부 반구형탄성체 및 하부 반구형탄성체와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둘레와 접하는 동시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탄성체와 함께 연동되면서 면진장치 상판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의 상면에 양단 지지되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외주면을 감싸는 물결 모양의 벤딩부를 가지는 띠 모양의 판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높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판스프링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낮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예로서, 상기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수배전반의 저면부를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사각틀 구조의 베이스틀과, 상기 베이스틀의 모서리 부분 측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ㄷ"자형 단면의 각파이프 홀더와, 서로 연접되는 베이스틀에 있는 각파이프 홀더에 슬라이드 구조로 양단부가 끼워져 지지됨과 더불어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면서 각각의 베이스틀을 이어주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베이스틀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과 면진장치 하판,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과 면진장치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 사이에서 중심스프링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면진장치의 완충모듈은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강구형 위치결정핀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와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강구형 위치결정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면진장치 상판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강구형 위치결정핀의 반구 형태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수배전반에 전달되는 진동 및 지진을 흡수 및 최소화하여 외부 충격이나 지진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수배전반을 유지할 수 있다.
2) 단일 면진장치 적용보다 비용접 조립형의 일체형 베이스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수배전반)에 대한 하중으로 인해 상부 구조물 하단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부 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분산함으로써, 내진 및 진동 발생 시 상부 구조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내진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4) 기존 용접식 베이스프레임의 경우 거대한 부피로 인해 구조물의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하고 이동반경 및 설치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는데,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플레이트의 경우 구조물 부피가 분리되어 조립방식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간소화되며, 이동반경 및 설치에 따른 공간제약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고 수배전반의 크기에 제약이 없으며 시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공정에 시간단축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동일한 모듈로 모듈화되어 부피가 작아서 이동에 제약이 없다.
5) 수배전반의 경우 여러 대가 열반되어 조립되는데,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열반용 블럭을 통해 인근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열반이 가능하여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이 극대화된다.
6) 베이스프레임 하단부에 다양한 면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
7) 모듈화로 인해 하나의 형태로 사면 모두 대칭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다.
8) 상부 구조물의 길이에 따라 중심모듈을 배치 및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에 대한 하중 분산으로 지진, 진동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9) 상부 구조물 적용에 따라 각 파이프 사이즈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10) 조립식 구조이기 때문에 현장 문제 발생 시 수정 및 대처가 매우 용이하다.
11)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의 반구형태를 서로 맞닿은 형태로 배치하여 스프링 변위 억제 및 스프링 복원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2) 반구형태 사면에 판스프링 배치로 다양한 진동에 대해 복원력을 향상시키며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의 반구형태를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13) 중심스프링 사용으로 다양한 조립 하중을 적용할 수 있고, 중심에 스프링이 위치함으로 변위량 범위를 증가시키고 X-Y-Z측의 진동 및 지진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코너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중심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열반용 블럭 및 원형수평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면진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면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코너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중심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수배전반의 저면부 적어도 4곳 이상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과,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면진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5)은 수배전반을 받쳐주는 적어도 4개의 코너모듈(13)과 각 코너모듈(13)을 연결시켜주는 적어도 4개의 각파이프(14)의 조합형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코너모듈(13)은 사각판 형태 또는 한쪽 모서리가 잘려나간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은 위아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의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모듈(13)의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는 "ㄷ"자 형태의 각파이프 하우징(12)이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각파이프 하우징(12)의 내측으로는 각파이프(14)의 단부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파이프 하우징(12)은 1개의 코너모듈(13)에 서로 90°각도로 배치되는 2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각파이프 하우징(12)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진입하는 각파이프(14)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코너모듈(13)의 경우 따로 방향을 맞출 필요없이 하나의 형태로 4곳의 모서리 부분 모두 대칭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각파이프(14)는 코너모듈(13) 간을 이어주는 사각형의 파이프로서, 양쪽의 코너모듈(13)에 있는 각파이프 하우징(12) 내에 슬라이드 구조로 끼워지면서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각파이프(14)에 의해 양쪽의 코너모듈(13)은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각의 배치구조를 이루는 4개의 코너모듈(13) 사이에 4개의 각파이프(14)가 각각 사각틀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15)이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양쪽의 코너모듈(13) 사이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각파이프(14)의 단부는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압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면,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각파이프(14)의 단부는 프레임 상판(10)의 저면과 각파이프 하우징(12)의 바닥면 사이에 눌려지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파이프 하우징(12)의 양쪽 벽체의 높이는 각파이프(1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코너모듈(13)은 다양한 사이즈로 되어 있는 각파이프(14)를 수용할 수 있는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각파이프 하우징(12)의 좌우 폭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는 각파이프(14)를 사용하는 경우, 각파이프 하우징(12)의 내측에 2개의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를 배치하고, 이렇게 배치한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 간의 좌우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폭이 작은 각파이프(14)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은 "ㄴ'자형의 절곡판 형태로서, 이러한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은 한쌍으로 이루어져 각파이프 하우징(12)의 내측 양편에 각각 설치된다.
즉,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의 수직판 부재는 각파이프 하우징(12)의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수평판 부재는 프레임 상판(10)의 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때의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의 수평판 부재는 프레임 상판(10)의 저면에 직접 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파이프 높이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매개로 프레임 상판(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의 수평판 부재에는 프레임 상하판(10,11) 사이에 체결되는 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장공형태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배전반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예컨대, 수배전반에 따라 각파이프 사이즈를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각파이프 하우징(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각파이프(14)를 사용하는 경우(예컨대, 이때의 각파이프는 폭 대비 높이가 높은 각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양쪽의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을 좌우로 움직여가면서 이들 간의 폭을 적절히 조절하여 각파이프(14)의 폭에 맞춘 상태에서 양쪽의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 내에 각파이프(14)를 슬라이드식으로 끼운 후,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그리고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의 수평판 부재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각파이프(14)의 단부가 고정되므로서, 양편의 코너모듈(13)을 폭이 작은 각파이프(14)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수배전반의 크기(예컨대, 좌우 길이)에 맞춰 적절히 선택적으로 사용되면서 수배전반을 받쳐주는 수단으로 중심모듈(21)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모듈(21)은 수배전반의 크기에 따라 양편의 코너모듈(13) 사이에 설치되면서 수배전반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중심모듈(21)은 코너모듈(13)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그리고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 하우징(12)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중심모듈(21)의 각파이프 하우징(12)에는 각파이프(14)의 단부가 아닌 길이 중간 부분이 끼워져 결합된다.
즉, 양편의 코너모듈(13) 사이에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각파이프(14)의 길이 중간 부분은 중심모듈(21)에 있는 각파이프 하우징(12)을 그대로 관통하면서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중심모듈(21)의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면,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각파이프(14)의 길이 중간 부분은 프레임 상판(10)의 저면과 각파이프 하우징(12)의 바닥면 사이에 눌려지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모듈(21)은 상부 구조물, 즉 수배전반의 하중 균형에 맞춰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열반용 블럭 및 원형수평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코너모듈(13)에 구비되는 열반용 블럭(24)과 원형수평계(25)의 설치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열반용 블럭(24)은 속이 비어 있는 사각형의 블럭 형태로서, 코너모듈(13)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면서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열반용 블럭(24)의 2면의 벽체, 즉 90°각도를 이루는 2곳의 벽체는 코너모듈(13)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는 형태가 되고, 이때의 벽체에는 홀(23)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여러 대의 수배전반과 이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5)을 열반시켜 배치할 때, 열반용 블럭(24)에 있는 홀(23)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프레임(15) 사이, 즉 서로 이웃하는 수배전반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프레임(15) 간을 소정의 구조물(미도시) 등을 기구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비용접식 베이스프레임(15)에서도 인근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5)과 열반이 가능하여 상부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형수평계(25)는 코너모듈(13)의 프레임 하판(11)에 일체식으로 내장 매립 설치되며, 이러한 원형수평계(25)는 수배전반이나 베이스프레임(15)의 설치 시에 수평을 잡는 용도 이외에도 설치 상태에서의 수평과 진동 및 지진 후의 수평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면진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진장치는 베이스프레임(15)의 저면부, 예를 들면 각 코너모듈(13)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면진장치는 위아래로 배치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가운데에 배치되는 중심스프링(18), 양옆에 배치되는 각각의 완충모듈(19)을 포함한다.
상기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은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수평자세로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체결되는 중심볼트(35), 즉 중심스프링(18)의 내측에서 스프링 축선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 체결되는 중심볼트(3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심볼트(35)가 관통 체결되는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부와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부에는 가이드부시(36)가 일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면진장치 상판(16)은 가이드부시(36)의 안내를 받으면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면진장치 상판(16)은 베이스프레임(15)의 저면측에 체결구조로 결합되고, 면진장치 하판(17)은 바닥의 기초부에 체결구조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5)은 면진장치를 매개로 하여 바닥의 기초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심스프링(18)은 중심볼트(35)의 둘레에 배치됨과 더불어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은 위아래로 움직이는 면진장치 상판(16), 즉 진동 등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이는 수배전반 및 베이스프레임(15)을 포함하는 면진장치 상판(16) 전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 충격 등이 수배전반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면진장치 중심부에 중심스프링(18)을 배치함에 따라 변위량 범위를 증가시키고 X,Y,Z축의 진동 및 지진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X축은 좌우 방향, Y축 전후 방향, Z축은 상하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상기 완충모듈(19)은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완충모듈(19)은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완충모듈(19)은 반구형 접촉면을 통해 X-Y-Z축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강구형 위치결정핀(26),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27),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을 포함한다.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강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반구 형태의 단부 주변으로 날개 부분을 가지는 핀 형태로서, 이러한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위치결정핀 홀더(27)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반구 형태의 단부는 위치결정핀 홀더(27)에 있는 홀을 통해 홀더 밖으로 돌출 위치되며, 이때의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홀 주변에 걸려지는 날개 부분을 이용하여 위치결정핀 홀더(27) 밖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27)는 바닥 부분에 홀을 가지는 원통형의 하우징 형태로서, 강구형 위치결정핀(26)과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을 수용하면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체결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둘레에 배치됨과 더불어 위치결정핀 홀더(27)의 내부에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날개 부분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에 의한 탄력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변위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강구형 위치결정핀(26), 위치결정핀 홀더(27) 및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완충모듈(19)은 한쌍으로 이루어져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위아래의 완충모듈(19)에 속하는 위아래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반구 형태 단부는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모듈(19)은 강재의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사용하여 기존 우레탄 고무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설치환경 조건 제약과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완충모듈(19)에서는 강재 사용 시 변위량이 고정되는 문제를 내장형의 코일 스프링, 즉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반구형 강재(강구형 위치결정핀)의 내장된 코일 스프링(위치결정핀 스프링)의 조립장과 최대 변위량을 설정하여 코일 스프링의 최대 변위량을 제한함으로써 면진장치의 변위 설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반구형의 접촉면을 갖는 2개의 강재로 인하여 지진 하중 시 X,Y,Z축 방향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a)과 아래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b)의 하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단부를 바닥에 단단히 고정시키고 지진 하중을 아래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b)에서 1차 해소함과 동시에 위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a)에서 변위만을 갖게 함으로써, 즉 반구형태로 설계하여 전방향의 변위를 갖게 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위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a)의 탄성계수는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고, 아래쪽 위치결정핀 스프링(28b)의 탄성계수는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함으로써, 아래쪽 위치결정핀 스프링(28b) 및 위치결정핀(26)은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 움직임을 통해 어느 정도 진동, 지진을 흡수하도록 하고, 위쪽 위치결정핀 스프링(28a) 및 위치결정핀(26)은 전후 및 좌우 등 원형으로 부드럽게 돌아가는 동시에 상하로도 움직이게 하여 전반적으로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서 면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진장치는 베이스프레임(15)의 저면부, 예를 들면 각 코너모듈(13)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면진장치는 위아래로 배치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가운데에 배치되는 중심스프링(18), 양옆에 배치되는 각각의 완충모듈(19)을 포함한다.
상기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은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수평자세로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체결되는 중심볼트(35), 즉 중심스프링(18)의 내측에서 스프링 축선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 체결되는 중심볼트(3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심볼트(35)가 관통 체결되는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부와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부에는 가이드부시(36)가 일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면진장치 상판(16)은 가이드부시(36)의 안내를 받으면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면진장치 상판(16)은 베이스프레임(15)의 저면측에 체결구조로 결합되고, 면진장치 하판(17)은 바닥의 기초부에 체결구조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5)은 면진장치를 매개로 하여 바닥의 기초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심스프링(18)은 중심볼트(35)의 둘레에 배치됨과 더불어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은 위아래로 움직이는 면진장치 상판(16), 즉 진동 등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이는 수배전반 및 베이스프레임(15)을 포함하는 면진장치 상판(16) 전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 충격 등이 수배전반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면진장치 중심부에 중심스프링(18)을 배치함에 따라 변위량 범위를 증가시키고 X,Y,Z축의 진동 및 지진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모듈(19)은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완충모듈(19)은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완충모듈(19)은 반구형 접촉면을 통해 X-Y-Z축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을 잡아주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31)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반구형탄성체(29)와 하부 반구형탄성체(30)는 서로의 구면을 위아래에서 맞댄 상태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측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측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반구형탄성체(29)는 X,Y,Z축 등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특성을 보이게 되고, 하부 반구형탄성체(30)는 유동없이 고정된 상태에서 위쪽의 상부 반구형탄성체(29)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반구형탄성체(29)와 하부 반구형탄성체(30)는 면진장치 상하판(16,17)측과 별도의 체결구조없이 단순 밀착되면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즉 면진장치 상하판(16,17)측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볼팅 구조에 의해 체결되어 좌우변위가 거의 없고 파손의 우려가 높은 기존의 고무볼 등과 같은 탄성체에 비해 다양한 변위 특성을 보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은 쇼어 경도 A90 또는 A95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스프링(41)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물결 모양의 벤딩부(32)를 가지는 띠 모양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판스프링(41)은 수직 자세를 취하면서 상부 반구형탄성체(29) 및 하부 반구형탄성체(30)의 둘레와 접하는 동시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데, 이때의 판스프링(41)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양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4개로 이루어져,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와 함께, 특히 상부 반구형탄성체(29)와 함께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41)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반구 형태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으로 되어 있는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를 적용하여 진동 및 지진 발생 시 중심스프링(18)의 변위를 억제하고 중심스프링(18)의 복원력을 향상시켜서, 예를 들면 중심스프링(18)의 큰 힘을 보조하며 중심스프링(18)의 힘 분산을 통해 전방향 변위를 최소화시켜서, 수배전반의 진동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또 좌우측에 위치하면서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를 감싸고 있는 4면의 판스프링(31)은 가이드 역할과 동시에 X,Y,Z 변위차 발생 시 정상상태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3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31)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높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4면의 판스프링(31)이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X,Y축 움직임을 억제하여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Z축 방향만의 변형만 허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X축과 Y축이 판스프링(31)으로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어서 지진, 진동 발생 시 위에서 바라볼 경우 주로 원형의 형태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Z축 변위량의 한계로 중앙의 중심스프링(18)의 변위량을 한정시킬 수 있으며, 판스프링(31)의 자체 탄성으로 중심스프링(18)과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누어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31)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낮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고,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Z축 변위량의 한계로 중앙의 중심스프링(18)의 변위량을 한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판스프링(31) 자체의 탄성으로 중앙의 중심스프링(18)과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누어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중앙의 중심스프링(18)과 양옆의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조합은 움직임의 제한성(총 변위량의 제약이 심한 곳)을 두어야 하는 곳과 어느 정도의 자유도가 용납되는 두가지 설치조건 및 상황에서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열반(배전반 설치 시)했을 때의 개별 동작에서 발생하는 X,Y,Z축의 흔들림이 Z축으로 한정지을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은 수배전반의 저면부를 받쳐주는 베이스틀(33)과, 상기 베이스틀(33)의 저면부를 지지하면서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면진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틀(33)은 수배전반의 저면부를 받쳐주는 사각틀 구조의 베이스틀(33)을 포함하며, 이러한 베이스틀(33)은 사각의 파이프 부재와 보강 부재 등을 이용하여 사각의 틀 형태로 짜맞춘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33)의 모서리 부분 측면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ㄷ"자형 단면의 각파이프 홀더(34)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각파이프 홀더(34)는 "ㄷ"자형 단면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이 바깥쪽을 향하게 한 상태로 베이스틀(33)의 모서리 부분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각파이프 홀더(34)에는 사각의 각파이프(14)가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파이프(14)는 베이스틀(33)의 각 변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베이스틀(33)에 있는 각파이프 홀더(34)에 슬라이드 구조로 끼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각파이프 홀더(34)와 각파이프(14)에 볼트가 체결되므로서, 사각틀 구조로 되어 있는 베이스틀(33)의 4변이 각각의 각파이프(14)에 의해 보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배전반의 크기에 따라 베이스틀(33)이 여러 개의 조합 형태를 이루며 수배전반을 받쳐주는 경우, 서로 연접되면서 이웃하는 베이스틀(33)은 하나의 각파이프(14)에 의해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베이스틀(33)은 하나의 일체형을 이루며 수배전반을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 적용되는 면진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두가지 예의 면진장치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한가지 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면진장치는 위아래로 배치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가운데에 배치되는 중심스프링(18), 양옆에 배치되는 각각의 완충모듈(19)을 포함한다.
상기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은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수평자세로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체결되는 중심볼트(35), 즉 중심스프링(18)의 내측에서 스프링 축선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 체결되는 중심볼트(35)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심볼트(35)가 관통 체결되는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부와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부에는 가이드부시(36)가 일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면진장치 상판(16)은 가이드부시(36)의 안내를 받으면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면진장치 상판(16)은 베이스프레임(15)의 저면측에 체결구조로 결합되고, 면진장치 하판(17)은 바닥의 기초부에 체결구조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5)은 면진장치를 매개로 하여 바닥의 기초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심스프링(18)은 중심볼트(35)의 둘레에 배치됨과 더불어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은 위아래로 움직이는 면진장치 상판(16), 즉 진동 등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이는 수배전반 및 베이스프레임(15)을 포함하는 면진장치 상판(16) 전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 충격 등이 수배전반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면진장치 중심부에 중심스프링(18)을 배치함에 따라 변위량 범위를 증가시키고 X,Y,Z축의 진동 및 지진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모듈(19)은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완충모듈(19)은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완충모듈(19)은 반구형 접촉면을 통해 X-Y-Z축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강구형 위치결정핀(26),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27),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을 포함한다.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강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반구 형태의 단부 주변으로 날개 부분을 가지는 핀 형태로서, 이러한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위치결정핀 홀더(27)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반구 형태의 단부는 위치결정핀 홀더(27)에 있는 홀을 통해 홀더 밖으로 돌출 위치되며, 이때의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홀 주변에 걸려지는 날개 부분을 이용하여 위치결정핀 홀더(27) 밖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27)는 바닥 부분에 홀을 가지는 원통형의 하우징 형태로서, 강구형 위치결정핀(26)과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을 수용하면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체결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둘레에 배치됨과 더불어 위치결정핀 홀더(27)의 내부에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날개 부분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은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에 의한 탄력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변위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강구형 위치결정핀(26), 위치결정핀 홀더(27) 및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완충모듈(19)은 한쌍으로 이루어져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위아래의 완충모듈(19)에 속하는 위아래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반구 형태 단부는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모듈(19)은 강재의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사용하여 기존 우레탄 고무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설치환경 조건 제약과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완충모듈(19)에서는 강재 사용 시 변위량이 고정되는 문제를 내장형의 코일 스프링, 즉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반구형 강재(강구형 위치결정핀)의 내장된 코일 스프링(위치결정핀 스프링)의 조립장과 최대 변위량을 설정하여 코일 스프링의 최대 변위량을 제한함으로써 면진장치의 변위 설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반구형의 접촉면을 갖는 2개의 강재로 인하여 지진 하중 시 X,Y,Z축 방향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a)과 아래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b)의 하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단부를 바닥에 단단히 고정시키고 지진 하중을 아래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b)에서 1차 해소함과 동시에 위쪽에서의 변위만을 갖게 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아래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b)의 스프링탄성계수를 크게 설계하여 1차적으로 지진 하중을 해소하고, 위쪽의 위치결정핀 스프링(28a)은 아래쪽 위치결정핀 스프링(28b)보다 스프링탄성계수를 작게 설계하여 상대적으로 윗쪽에서 움직임만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용접 조립형의 베이스프레임과 판스프링, 반구형 탄성체, 반구형 강재 등으로 구성되는 면진장치를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하는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 전달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분산을 통해 외부 충격이나 지진으로부터 수배전반을 보호하면서 수배전반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용접방식이 아닌 가변 프레임 조립방식의 베이스프레임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특히 상하 및 좌우, 3축의 방향에 대해 수배전반의 하중 분산을 통해 다방향의 지진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점식보다 효과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열반 및 배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0 : 프레임 상판 11 : 프레임 하판
12 : 각파이프 하우징 13 : 코너모듈
14 : 각파이프 15 : 베이스프레임
16 : 면진장치 상판 17 : 면진장치 하판
18 : 중심스프링 19 : 완충모듈
20 : 면진장치 21 : 중심모듈
22 :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 23 : 홀
24 : 열반용 블럭 25 : 원형수평계
26 : 강구형 위치결정핀 27 : 위치결정핀 홀더
28 : 위치결정핀 스프링 29 : 상부 반구형탄성체
30 : 하부 반구형탄성체 31 : 판스프링
32 : 벤딩부 33 : 베이스틀
34 : 각파이프 홀더 35 : 중심볼트
36 : 가이드부시

Claims (20)

  1. 수배전반의 저면부 4곳을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그리고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4개의 코너모듈(13)과, 상기 각 코너모듈(13)에 있는 각파이프 하우징(12)에 슬라이드 구조로 양단부가 끼워져 지지되면서 각각의 코너모듈(13)을 이어주는 적어도 4개의 각파이프(14)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15);
    상기 베이스프레임(15)의 코너모듈(13)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19)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20);
    를 포함하며,
    상기 면진장치(20)의 완충모듈(19)은 서로의 구면을 위아래에서 맞댄 상태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측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측에 각각 지지되는 상부 반구형탄성체(29) 및 하부 반구형탄성체(30)와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둘레와 접하는 동시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탄성체와 함께 연동되면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양단 지지되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배전반의 크기에 따라 양편의 코너모듈(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그리고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중심모듈(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모듈(13)은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서 각파이프 하우징(12)의 내측에 설치되어 각파이프 사이즈에 맞게 폭조절이 가능한 한쌍의 각파이프조절용 브라켓(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모듈(13)은 홀(23)을 가지면서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프레임(15) 간을 전기적 또는 기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열반용 블럭(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모듈(13)은 프레임 하판(11)에 일체식으로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5)의 수평을 잡는 용도로 사용되는 원형수평계(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6. 수배전반의 저면부 4곳을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그리고 프레임 상판(10)과 프레임 하판(11) 사이에 설치되는 각파이프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4개의 코너모듈(13)과, 상기 각 코너모듈(13)에 있는 각파이프 하우징(12)에 슬라이드 구조로 양단부가 끼워져 지지되면서 각각의 코너모듈(13)을 이어주는 적어도 4개의 각파이프(14)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15);
    상기 베이스프레임(15)의 코너모듈(13)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19)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20);
    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면진장치(20)의 완충모듈(19)은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강구형 위치결정핀(26)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27)와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27)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으로 구성되고,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반구 형태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1)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외주면을 감싸는 물결 모양의 벤딩부(32)를 가지는 띠 모양의 판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3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1)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높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1)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낮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12. 수배전반의 저면부 4곳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15)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19)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20);
    를 포함하며,
    상기 면진장치(20)의 완충모듈(19)은 서로의 구면을 위아래에서 맞댄 상태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측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측에 각각 지지되는 상부 반구형탄성체(29) 및 하부 반구형탄성체(30)와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둘레와 접하는 동시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탄성체와 함께 연동되면서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양단 지지되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13. 수배전반의 저면부 4곳을 받쳐주는 베이스프레임(15)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19)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20)를 포함하며,
    상기 면진장치(20)의 완충모듈(19)은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강구형 위치결정핀(26)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27)와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27)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으로 구성되고,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반구 형태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1)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외주면을 감싸는 물결 모양의 벤딩부(32)를 가지는 띠 모양의 판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3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1)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높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1)의 금속 재질은 상하부 반구형탄성체(29,30)의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재질보다 낮은 강도 및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
  19. 수배전반의 저면부를 받쳐주는 수단으로서, 사각틀 구조의 베이스틀(33)과, 상기 베이스틀(33)의 모서리 부분 측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ㄷ"자형 단면의 각파이프 홀더(34)와, 서로 연접되는 베이스틀(33)에 있는 각파이프 홀더(34)에 슬라이드 구조로 양단부가 끼워져 지지됨과 더불어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면서 각각의 베이스틀(33)을 이어주는 각파이프(14)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프레임(15);
    상기 베이스프레임(15)의 베이스틀(33)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볼트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그리고 면진장치 상판(16)과 면진장치 하판(17) 사이에 설치되는 중심스프링(18)과, 상기 면진장치 상하판(16,17) 사이에서 중심스프링(18)의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X-Y-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통해 지진 또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19)로 이루어지는 면진장치(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면진장치(20)의 완충모듈(19)은 반구 형태의 단부를 가지는 강구형 위치결정핀(26)과 상기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잡아주는 위치결정핀 홀더(27)와 상기 위치결정핀 홀더(27)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위치결정핀 스프링(28a,28b)으로 구성되고, 면진장치 상판(16)의 저면과 면진장치 하판(17)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강구형 위치결정핀(26)의 반구 형태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면진장치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KR1020220084838A 2022-07-11 2022-07-11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KR10248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38A KR102481665B1 (ko) 2022-07-11 2022-07-11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38A KR102481665B1 (ko) 2022-07-11 2022-07-11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665B1 true KR102481665B1 (ko) 2022-12-27

Family

ID=8456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838A KR102481665B1 (ko) 2022-07-11 2022-07-11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6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15B1 (ko) 2015-11-27 2016-03-08 (주)파워엔텍 2차원 면진장치
KR101625155B1 (ko) * 2015-11-11 2016-05-27 (주)파워엔텍 방진장치를 갖춘 면진시스템
KR101648136B1 (ko) 2016-03-02 2016-08-12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임의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내진형 배전반
KR101705585B1 (ko) * 2016-11-11 2017-02-13 주식회사 신한중전기 상시 진동방진구와 감쇠 스톱퍼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836164B1 (ko) 2017-11-22 2018-04-19 (주)파워엔텍 수직 진동 저감 성능을 갖춘 3차원 면진장치
KR101860922B1 (ko) 2017-11-13 2018-05-28 태일전기(주)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959200B1 (ko) * 2018-06-07 2019-03-19 (주)세풍전기 배전반용 내진모듈
KR102321758B1 (ko) * 2021-02-24 2021-11-04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진동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155B1 (ko) * 2015-11-11 2016-05-27 (주)파워엔텍 방진장치를 갖춘 면진시스템
KR101600915B1 (ko) 2015-11-27 2016-03-08 (주)파워엔텍 2차원 면진장치
KR101648136B1 (ko) 2016-03-02 2016-08-12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임의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내진형 배전반
KR101705585B1 (ko) * 2016-11-11 2017-02-13 주식회사 신한중전기 상시 진동방진구와 감쇠 스톱퍼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860922B1 (ko) 2017-11-13 2018-05-28 태일전기(주)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836164B1 (ko) 2017-11-22 2018-04-19 (주)파워엔텍 수직 진동 저감 성능을 갖춘 3차원 면진장치
KR101959200B1 (ko) * 2018-06-07 2019-03-19 (주)세풍전기 배전반용 내진모듈
KR102321758B1 (ko) * 2021-02-24 2021-11-04 이에스솔라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진동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418B1 (ko)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구비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446890B1 (ko)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2070608B1 (ko)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321758B1 (ko) 수배전반의 진동흡수장치
KR101135986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64501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835567B1 (ko) 전원 설비의 내진장치
KR101870779B1 (ko) 방진 및 내진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68111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200059055A (ko) 진동감쇠장치 및 이를 채용한 분전반 설치 구조체
KR20140030878A (ko) 내진보강장치
KR102437821B1 (ko) 태양광발전장치 지지대용 면진장치
KR101991284B1 (ko) 댐핑장치
CN110770464B (zh) 联接设备、支撑结构和方法
KR101625155B1 (ko) 방진장치를 갖춘 면진시스템
KR102005763B1 (ko)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166000B1 (ko) 전방향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반
KR102427497B1 (ko)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825716B1 (ko) 내진 서포트
KR102183834B1 (ko) 내진용 자기에어스프링 유닛이 내장된 수배전반
KR101774433B1 (ko) 태양광발전장치와 에너지저장장치의 내진구조
KR10234396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제어반
KR102481665B1 (ko) 수배전반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비용접 조립형 베이스프레임
KR20200087656A (ko) 댐핑장치
KR101879153B1 (ko) 내진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