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274B1 - 배터리 셀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274B1
KR102481274B1 KR1020200184505A KR20200184505A KR102481274B1 KR 102481274 B1 KR102481274 B1 KR 102481274B1 KR 1020200184505 A KR1020200184505 A KR 1020200184505A KR 20200184505 A KR20200184505 A KR 20200184505A KR 102481274 B1 KR102481274 B1 KR 10248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attery
battery cell
battery cells
conducting part
cond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617A (ko
Inventor
사광욱
소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8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617A/ko
Priority to KR1020220135032A priority patent/KR102585942B1/ko
Priority to KR1020220166882A priority patent/KR102517863B1/ko
Priority to KR1020220166884A priority patent/KR102517865B1/ko
Priority to KR1020220166883A priority patent/KR102517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9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arrangement of batteries or cells for different uses, e.g. for changing the number of batteries or for switching between series and parallel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셀 모듈은 일정 패턴을 가지며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회로부가 매설되어 형성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통전부와, 상기 제1통전부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통전부로 형성되는 선택적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전부는 인접하는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인접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범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모듈{Battery cell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 셀 모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보조 전력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가솔린 차량이나 디젤 차량이 갖는 대기 오염 등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기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주된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등에는 복수 개의 배터리셀을 배치시킨 후 이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전압을 제공하는 고출력 대용량 배터리가 사용된다.
도 1은 도 1은 종래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배터리는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셀(1)을 일정하게배치한 후, 금속으로 형성된 플레이트(3)를 통해 각 원통형 배터리셀(1)이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이때 각 원통형 배터리셀(1)과 플레이트(3)는 원통형 배터리 셀(1)의 일 측과 플레이트(3)에 각각 접촉되는 와이어 리드(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는 와이어리드(4)를 별물로 형성하여 원통형 배터리 셀(1)과 플레이트(3)에 각각 연결하여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터리 셀(1)의 연결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설계를 필요로 하여 개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솔더링에 의해 연결되는 통전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연결 방식을 실현하는 동시에 별도의 부품 없이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현저히 향상된 작업성 및 범용성을 갖는 배터리 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셀 모듈은 일정 패턴을 가지며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회로부가 매설되어 형성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통전부와, 상기 제1통전부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통전부로 형성되는 선택적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전부는 인접하는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인접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부는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양 전극과 연결된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한 쌍의 상기 통전부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설치되고,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인 안착되도록 상기 패턴에 맞춰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전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회로부가 노출된 노출영역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와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각 상기 연결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 측에서 커넥터와 연결되어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압을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제1통전부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말단부가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만곡부가 격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만곡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만곡부는 상기 연결영역의 일 측에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솔더링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노출영역과 전기적으로 연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전부는 상기 안착홀에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이 안착되었을 때,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만곡부가 일정 간격을 이격되도록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접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일 측에 부착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배터리 셀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고, 설계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 개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인접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제2통전부를 솔더링하는 경우 회로기판의 내부 회로부와도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배터리 셀과 회로부를 연결하는 공수를 제외함으로써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회로기판의 일 측으로 보강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안착홀이 주변으로 회로기판이 처짐을 방지하여 원통형 배터리 셀과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1은 종래 원통형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배터리 셀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통전부의 사사도.
도 5는 도 4의 통전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솔더링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회로기판에 회로부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배터리 셀이 적층된 방향은 적층방향으로, 단자가 연장된 방향은 연장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배터리 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통전부의 사사도이고, 도 5는 도 4의 통전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솔더링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셀 모듈(10)은 일정 패턴을 가지며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전압을 측정하는 회로부(211)가 매설되어 형성되는 회로기판(200) 및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통전부(310)와, 상기 제1통전부(310)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통전부(320)로 형성되는 선택적 통전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전부(320)는 인접하는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320)와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인접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홀(220)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410)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200)의 일 측에 부착되는 보강플레이트(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셀 모듈(10)은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전압을 제공한다. 이때 원통형 배터리 셀(100)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배치되어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배터리에는 다수의 배터리 셀 모듈(10)이 설치되어 고출력을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다수의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원통형 배터리 셀(100)은 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은 서로 다른 전기적 극성을 가지며, 고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 개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 측으로 통전부(300)가 설치되고, 미리 설계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회로기판(200)에는 안착홀(220)이 형성되며, 보강플레이트(400)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된다.
회로기판(200)은 내부에 회로부(211)가 매설되고, 원통형 배터리 셀(100)이 안착되는 안착홀(220)이 형성되어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제2통전부(320)의 위치에 대응하여 회로부(211)가 노출된 노출영역(210)이 형성되어 원통형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은 양 전극과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부(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회로기판(200)은 한 쌍의 통전부(300)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2통전부(320), 제1통전부(310) 및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관통하는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211)는 복수의 회로로 형성되고, 회로부(211)가 노출된 노출영역(210)이 솔더링 부분(S)을 통해 원통형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통전부(320)에 연결된 원통형 배터리 셀(100) 사이의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외부 장치에 전달한다.
이때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상태를 전달받은 외부 장치는 각 회로에 연결된 원통형 배터리 셀(100) 사이에 과전압, 과전류, 과발열 등의 현상을 검출하여 이에 따른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회로부(2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출영역(210)에서 커넥터가 연결되는 부분 회로기판(200)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회로부(211)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내부에 체결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전압 등의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BMS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와 연결되는 회로기판(200)의 일 측으로 각 회로부(211)와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연결홀을 통해 회로부(211)는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홀에 연결되는 커넥터 내부 단자에 의해 쉽게 외부 장치와 연결된다.
노출영역(210)은 제2통전부(3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내부 회로부(211)가 노출된 영역으로 솔더링 부분(S)을 통해 서로 다른 제2통전부(320)와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노출영역(210)과 연결되는 회로를 통해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통전부(300)가 솔더링 부분(S)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통전부(30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회로기판(200)의 특정 노출영역(210) 또한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노출영역(210)에서 연장되는 회로를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회로기판(200)의 일 측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등의 연결에 의해 회로와 함께 폐회로를 형성하여 각 제2통전부(320)에서 과전압, 과전류, 과발열 등의 현상을 검출한다.
따라서 노출영역(210)은 각 제2통전부(320)의 위치에 형성되고, 노출영역(2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2통전부(320)가 솔더링이 되지 않는 경우 임의로 제2통전부(320)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스 공정을 통해 가압되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통전부(300)는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양 전극과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통전부(310)와, 제1통전부(310)에서 연장되어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통전부(320)로 형성된다.
이때 서로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 연결된 서로 다른 제2통전부(320)의 선택적인 연결에 의해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필요한 고전압을 제공한다.
제1통전부(310)는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제1통전부(310)의 중심에는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일 측이 안착되는 가이드홈(311)이 형성되어 안착홀(220)에 각 원통형 배터리 셀(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 형성된 서로 다른 제2통전부(320)가 임의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통전부(310)는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일 측과 연결되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며 형성되고, 가이드홈(311)에 배치되는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전극과 레이저 용접, 저항 용접, 초음파 융착 등의 공정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통전부(320)는 제1통전부(310)에서 연장되어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서 연장된 제2통전부(32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도록 하여 솔더링 부분(S)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제2통전부(320)는 제1통전부(310)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되, 말단부가 서로 다른 형상은 가지는 수용부(321)와 만곡부(322)가 격번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통전부(320)는 수용부(321)와, 수용부(32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만곡부(322)로 형성되고, 하나의 제1통전부(310)에 형성된 수용부(321)와 만곡부(3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서 연장되는 수용부(321) 또는 만곡부(322)가 대향 배치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서 연장된 수용부(321)는 인접하는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서 연장된 만곡부(322)와 대향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서 연장된 만곡부(322)는 인접하는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서 연장된 수용부(321)와 대향 배치되어 서로 다른 제2통전부(32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수용부(321)와 만곡부(322)는 제1통전부(310)에 형성된 가이드홈(311)에 의해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측으로는 회로기판(200)의 내부 회로부(211)가 노출된 노출영역(210)이 형성된다.
일 예의 통전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통전부(320)가 제1통전부(310)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수용부(321)와 만곡부(322)가 하나씩 연장되고, 이때 수용부(32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만곡부(322)는 원형의 수용부(3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호의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일 예의 제2통전부(320)는 솔더링 부분(S)에 의해 연결되는 면적을 최대화하여 서로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이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이와 같은 형상은 본 발명의 제2통전부(320)의 일 예에 해당하며,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의 통전부(1300)를 도시한 도면으로, 수용부(1321)와 만곡부(1322)는 형상은 일 예의 통전부(300)와 동일하나 제1통전부(1310)에서 서로 수직이되는 사방으로 제2통전부(1320)가 연장되고, 이때 수용부(1321)와 만곡부(1322)는 서로 격번하여 형성되어 일 예의 통전부(300)와 함께 사용되어 보다 다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전기적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통전부(1320)의 저면 즉, 원통형 배터리 셀(100)과 접촉되는 면에는 솔더링 전 임의로 통전부(1300)와 원통형 배터리 셀(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입부(132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솔더링 시 요입부(1323)에에 의해 제2(1320)와 솔더링 부분(S)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리 하면, 통전부(300,1300)는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양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인접하는 다른 원통형 배터리 셀(100)과는 제2통전부(320,1320)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회로를 구성하며, 한 쌍의 통전부(300,1300)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는 회로기판(200)이 형성되어 노출영역(210)을 통해 내부 회로와 서로 다른 제2통전부(320,1320)가 솔더링 부분(S)을 통해 함께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셀 모듈(10)의 통전부(300,1300)는 제1통전부(310,1310)와, 제1통전부(310,1310)에서 그 수와 형상이 다양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는 제2통전부(320,1320)를 구비하여 다양한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배치 패턴 및 배터리 셀 모듈(10)을 구성하는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제2통전부(320,132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므로써, 솔더링 부분(S)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최적화된 전압의 크기를 갖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다.
또한 노출영역(210)이 솔더링 부분(S)을 통해 서로 다른 제2통전부(320,1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함께 연결되어 회로기판(200)과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연결하는 별도의 구조 및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필요 부품 수를 감소시켜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개선된 제품 생산성을 제공한다.
보강플레이트(400)는 회로기판(200)의 일 측에 형성되고, 안착홀(220)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410)이 형성되어 넓게 형성되는 회로기판(200)을 물리적 강성을 보강하여, 안착홀(220)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기판(200)의 처짐을 방지하고,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일 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노출영역(210)이 제2통전부(320)의 일 측에서 미리 설계된 정도 이격되도록 하여 임의로 제2통전부(320)아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솔더링 시 노출부와 제2통전부(32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이상의 제품 신뢰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셀 모듈(10)은 통전부(300,1300)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 셀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동시에 제2통전부(320,1320) 연결 시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상태를 측정하는 회로가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공정 및 필요 부품 수를 간소화하고, 이에 따라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제2통전부(320,1320)의 선택적 솔더링 부분(S)을 통해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연결하는 다양한 회로를 구성하여 설계 변경 없이 최적화된 전압을 제공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품 개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배터리 셀 모듈
100 원통형 배터리 셀
200 회로기판 210 노출영역
211 회로부 220 안착홀
300,1300 통전부 310,1310 제1통전부
311,1311 가이드홈 320,1320 제2통전부
321,1321 수용부 322,1322 만곡부
1323 요입부
400 보강플레이트 410 관통홀
S 솔더링 부분

Claims (7)

  1. 일정 패턴을 가지며 배치되는 복수의 원통형 배터리 셀;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회로부가 매설되어 형성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통전부와, 상기 제1통전부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통전부로 형성되는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전부는
    인접하는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서로 다른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는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양 전극과 연결된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한 쌍의 상기 통전부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설치되고,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인 안착되도록 상기 패턴에 맞춰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전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회로부가 노출된 노출영역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와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각 상기 노출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일 측에서 커넥터와 연결되어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압을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제1통전부를 중심으로 연장 형성되되, 말단부가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만곡부가 격번으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만곡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제2통전부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만곡부는
    상기 노출영역의 일 측에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솔더링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노출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전부는
    상기 안착홀에 각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이 안착되었을 때,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만곡부가 일정 간격을 이격되도록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접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일 측에 부착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KR1020200184505A 2020-12-28 2020-12-28 배터리 셀 모듈 KR10248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05A KR102481274B1 (ko) 2020-12-28 2020-12-28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35032A KR102585942B1 (ko) 2020-12-28 2022-10-19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2A KR102517863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4A KR102517865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3A KR102517864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05A KR102481274B1 (ko) 2020-12-28 2020-12-28 배터리 셀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32A Division KR102585942B1 (ko) 2020-12-28 2022-10-19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2A Division KR102517863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4A Division KR102517865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3A Division KR102517864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617A KR20220093617A (ko) 2022-07-05
KR102481274B1 true KR102481274B1 (ko) 2022-12-26

Family

ID=8240224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505A KR102481274B1 (ko) 2020-12-28 2020-12-28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35032A KR102585942B1 (ko) 2020-12-28 2022-10-19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4A KR102517865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3A KR102517864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2A KR102517863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32A KR102585942B1 (ko) 2020-12-28 2022-10-19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4A KR102517865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3A KR102517864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KR1020220166882A KR102517863B1 (ko) 2020-12-28 2022-12-02 배터리 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4812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20001A1 (en) 2016-01-26 2019-01-1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US20200127249A1 (en) 2017-12-26 2020-04-23 Lg Chem, Ltd. Cylindrical battery cell assembly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safet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71B1 (ko) * 2006-08-07 2009-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 케이스
KR101870251B1 (ko) * 2016-07-15 2018-06-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터리 패킹모듈 및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20001A1 (en) 2016-01-26 2019-01-1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US20200127249A1 (en) 2017-12-26 2020-04-23 Lg Chem, Ltd. Cylindrical battery cell assembly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safet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235A (ko) 2022-12-14
KR20220165237A (ko) 2022-12-14
KR20220093617A (ko) 2022-07-05
KR20220143806A (ko) 2022-10-25
KR102517863B1 (ko) 2023-04-04
KR102585942B1 (ko) 2023-10-06
KR102517865B1 (ko) 2023-04-04
KR20220165236A (ko) 2022-12-14
KR102517864B1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5694B1 (en) Battery module
US20140248516A1 (en) Power supply device
CN107919446B (zh) 电池模块
US20140248518A1 (en) Power supply device
KR101426612B1 (ko) 전지팩의 전지탭 연결장치
WO2019219085A1 (zh) 电池模组和具有其的用于车辆的电池包
EP4254645A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wire bonding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busbar plate and icb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N114256544A (zh)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101441423B1 (ko) 일체형 전지 연결 장치가 구비되는 고전압 배터리
KR20130068971A (ko) 배터리 모듈 제조장치
JP2015053145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2481274B1 (ko) 배터리 셀 모듈
US10069120B2 (en) Battery module
KR101547400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직렬센싱보드
KR101547401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병렬센싱보드
KR102619103B1 (ko) 회로기판유닛을 구비한 배터리 및 그 회로기판유닛의 제조 방법
KR20200048207A (ko)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US20230155197A1 (en) Battery module
KR20150025309A (ko) 전압 센싱용 접속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114365335B (zh) 电池模块
US12051868B2 (en) Connector, battery management unit and battery pack
JP5875108B2 (ja) 連結キャップ
KR100950035B1 (ko) 전지 셀과 접속부재의 연결을 위한 부재 및 이를 사용한전지모듈의 제조방법
KR20220094854A (ko) 배터리 팩
CN114497901A (zh) 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