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326B1 -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326B1
KR102480326B1 KR1020210181478A KR20210181478A KR102480326B1 KR 102480326 B1 KR102480326 B1 KR 102480326B1 KR 1020210181478 A KR1020210181478 A KR 1020210181478A KR 20210181478 A KR20210181478 A KR 20210181478A KR 102480326 B1 KR102480326 B1 KR 10248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llage
wireless
broadcasting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덕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나텍
Priority to KR102021018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 및 분석된 센서 데이터를 메시구조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과 무선 방송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음영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과 상호 무선 통신 중계 기능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 시키는 무선 방송 수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Village wireless broadcasting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fun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 및 분석된 센서 데이터를 메시구조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과 무선 방송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음영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과 상호 무선 통신 중계 기능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 시키는 무선 방송 수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지역에 적은 수의 주민이 거주하는 농.어촌이나 산악마을 등은 각종 정보의 전달이 도심지에 비해 매우 취약한 특성이 있으며, 이에 기상예보를 비롯한 재해경보나 각종 행정방송 등의 다양한 정보 를 효율적으로 각 가정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수단이 구비된다.
이에, 해당 마을의 마을회관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는 앰프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방송장비가 구비되어, 마을 주민에게 해당 방송장비를 매개로 음성 안내방송을 행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마을회관 등에 설치되는 방송장비는 마을 이장이나 지자체 담당자 등의 관리자가 직접 해당 방송장비의 설치장소 측에 위치하거나 전화망 등을 매개로 해당 방송장비에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 안내방송을 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안내방송은 상기 스피커를 통한 음성신호의 전달거리에 한계가 있게 되므로, 스피커의 가청거리 밖에 위치하는 가정에서는 해당 안내방송의 청취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방송장비에 무전기로 이루어진 무선송출장치를 추가로 구성함과 아울러, 각 가정에는 상기 무선송출장치와 연계되는 무전기가 포함된 무선수신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안내방송의 정확한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한편 종래에 마을 중계 방송은 방송장치에 구비되는 확성기를 통해 방송하거나 거주지역별로 유선으로 연결하여 방송하고 있었다.
상기 마을 중계 방송 중 확성기의 경우는 원거리에 거주하고 있는 마을주민에게 마을 중계 방송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고 마을 중계 방송 중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는 거주지가 신설되거나 증축되는 경우에 유선라인을 새롭게 증축함으로 비 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은 확성기로 마을 중계 방송 하는 문제점, 유선으로 방송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을 이용한 마을 중계 방송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을 중계 방송은 무선으로 함에 있어서, 숲, 지형적 특성과 같은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난청영역 전송시 중계기를 이용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전송하면 현 전파법에 저촉됨에 따라 중계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은 농어촌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화재, 산불, 산사태, 수해 등의 촌각을 다투는 재난이 사실상 재난 재해의 거의 전부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농어촌은 도심지에 비해 그 인구가 적어 재난 상황을 사람이 인지할 확률이 낮고, 산이나 특정 건축물에 막힌 마을에는 재난 상황의 전파가 느린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재난 상황의 송출 커버리지를 넓히고, 재난 재해의 신속한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670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633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 설치된 방송 단말의 방송 결과를 유무선 센서를 통해 분석하는 기능과 음성 센서 및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 기능으로 구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있어서, 마을 중계 방송을 무선으로 각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전송하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상기 메시구조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특정 마을에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제공받는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노드와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완전 메시형(Fully connected mesh topology) 링크 구조의 메시 통신망;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노드와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노드 들이 상기 메시 통신망을 통해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음영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과 상호 무선 통신 중계 기능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 시킨다.
상기 메시 통신망은 어떠한 노드도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하나 이상의 링크를 갖고 있는 메시 구조를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속도를 갖는 노드를 미리 템플릿에 저장 사용한다.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사이의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정보를 중계하고,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작동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대체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연속하여 전송한다.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소음으로 청취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은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해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노드와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완전 메시형(Fully connected mesh topology) 링크 구조의 메시 통신망을 형성하는 단계;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를 통해 마을 중계 방송을 무선으로 각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메시구조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특정 마을에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및 복수개의 타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메시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메시 통신망은 어떠한 노드도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하나 이상의 링크를 갖고 있는 메시 구조를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사이의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정보를 중계하는 단계;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작동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대체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플레이하고, 재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다시 플레이하며, 긴급 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최 우선 순위로 긴급하게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장애물에 의하여 마을 중계 방송 수신이 어려운 지역이라 하더라도 인근 마을의 무선 장비를 활용하여 난청지역 없이 전체적으로 원하는 마을 중계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시에 공동마을 중계 방송을 전송시 장애물이 있더라도 인근 마을로부터 해당 공동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여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마을 중계 방송을 쉽게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무선 마을방송 송출장치에 의하여 송출된 마을방송신호를 간접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원하는 마을 중계 방송을 청취하도록 1차적으로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사용하여 송출한 후 장애물로 인한 송출 불가인 경우 2차적으로 인접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이용하고 3차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하여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마을 중계 방송을 쉽게 청취할 수 있다.
왜냐하면 1, 2차 적인 재난 정보(문자) 송출의 경우 강제성을 갖추어 재난 방송 등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지만, 3차적인 개인 휴대 단말기 송출은 수신의 강제성이 없거나 단순 문자 메시지 형식이라 최후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쉬 구조의 단점인 많은 케이블과 I / O 포트가 필요하며, 설치 및 구성이 어렵고, 필요한 비용은 다른 네트워크보다 높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속도를 갖는 노드를 미리 템플릿에 저장 사용하여 에너지 소모 축소와 내구성을 증가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세부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가전을 커넥트하여 관리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대쉬 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대쉬 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중계 기능과 센서 데이터 수집 기능이 통합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집 및 분석된 센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과 무선 방송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음영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과 상호 무선 통신 중계 기능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 시키는 무선 방송 수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는 마을 중계 방송을 무선으로 각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방송수신기에 전송하는 데 있어, 특정 마을에 전송되어야 할 마을 중계 방송을 방송수신기가 수신하여야 하지만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고 상기 특정 마을에 속하는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로부터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마을에서 A마을의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는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가 있다고 가정하면,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로부터 A마을의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만 예를 들어 숲과 산의 지형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하여 A마을의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난청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 타 마을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는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난청영역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상기 타 마을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가 마을 중계 방송을 미리 수신하고 수신된 마을 중계 방송을 상기 A 마을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 전송함에 따라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장애물이 있는 가정까지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전송하는 작용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숲과 산의 지형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또는 T3로 부터 직접 업로드 받을 수 없는 T4 단말기의 경우 T5 또는 T6로 부터 마을 무선 방송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T6로 T4에서의 다운로드 속도가 492.61 Mbps이고, T6에서 T4로의 업로드속도 66.22Mbps이면서 T4로의 전송성공율(%)이 99.98%인 경우가 있다.
또한 T5로 T4에서의 다운로드속도가 500.23 Mbps 이고, T5에서 T4로의 업로드속도가 67.11Mbps이며, 전송성공율(%)이 99.99%인 경우가 있다.
상술한 두가지 경우를 비교해 보면 숲과 산의 지형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또는 T3로 부터 직접 업로드 받을 수 없는 T4 단말기의 경우 전송성공율이 타 기기 대비 우수한 T5로 부터 마을 무선 방송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만일 T4가 T5로 부터로만 다운로드 받았을 경우에 가장 높은 전송 성공율과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했다면, T3에서 T4로의 정보 전송은 항상 T5를 경유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 이를 템플릿화할 수 있다.
만일 환경의 변화나 마을 형태의 이동 또는 변화에 따른 전송 성공율의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템플릿을 수정한 신규 템플릿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기능이 있는 마을 양방향 유무선 방송시스템은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과 외부 네트워크망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와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통신부 등을 포함한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는 청음센서부(151), 디지털 입력 신호부(152), 통신부(153), 음성 변환부(154), 동작검출부(155) 환경감지부(156)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마을 주민 거주지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 통신을 수행하여 연결 정보를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15)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한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로부터 전달된 송출된 문장을 스피커를 통해 마을 주민이 일정 공간 내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 변환하거나 세대 내 음성을 검출하는 음성 변환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신 피드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수시 피드백 장치, 수신 피드백 장치로부터 방송된 음성 정보를 피드백 받아 정확한 음성으로 방송되었는지 음성으로 확인하는 수신 확인 모듈의 확인 신호 생성부는 댁내 방송이 실시되는 순간 활성화되고, 전송되는 방송 음성 정보와 구분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확인 신호를 생성 하고, 이를 통신부 중 하나를 통해 수신 피드백 장치에 전송한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의 댁내 방송은 안테나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변조된 신호를 변조된 반송파로부터 정보 내용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 회로를 통하여 음성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을 음성필터를 이용하여 명료도를 보정하며, 보정된 음성신호를 증폭기를 거쳐 스피커로 출력한다.
녹음 출력부는 주민이 추후에 녹음된 내용을 확인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의 방송의 녹음 저장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변조된 반송파로부터 정보 내용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 회로를 통하여 음성신호로 변환되면 변환된 음성을 음성필터를 이용하여 명료도를 보정하게 되고 보정된 음성포함 오디오 신호를 코덱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렇게 생성된 PCM 코드를 음원 파일형태(WAVE)로 메모리카드의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이름으로 순차적으로 기록 저장할 수 있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의 녹음 확인은 녹음방송청취 버튼을 선택 시 제어부는 녹음 파일 유무를 확인하고, 메모리(SD) 카드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파일(음원데이터)을 열어 코덱(DAC)을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증폭기를 통하여 스피커로 출력된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 시계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는 경우, 녹음방송청취 버튼을 선택시 시계 표시 부에 방송녹음시간 정보를 표출하여 직관적으로 방송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의 녹음 방송을 스케줄 기능을 통해 지정 시간 동안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녹음 방송은 앞서 무선 방송 송출 장치 의 무선 방송 정보 신호 중에서 음성 정보를 제외한 정보만을 무선 수신 출력 장치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최소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방송 번호와 방송 시간 정보만이 제공될 수 있다.
마을 전체의 수신단말기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인 "전체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전체방송 지역명과, 마을 전체의 수신 단말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그 나누어진 복수의 그룹 중에서 적어도 일 그룹만이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인 "그룹방송"을 선택할 수 있는 그룹방송 지역명과, 마을에 있는 전체 수신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말기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인 "개별방송"을 선택할 수 있는 개별방송 지역명을 저장하는 방송 정보 중계 지역명 저장부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정보 중계 지역명 저장부(템플릿)는 재난 상황 또는 기상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며, 평상시에는 전체 방송으로 고정되어 작동된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서 가스 센서(131), 진동 센서(132), 카메라(133), 청음 센서(134)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130)는 움직임 센서를 구비하여 방송이 출력될 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민이 방송을 청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센서부(130)를 통해 방송 시점에 사람이 있을 경우 이를 자동 인지하여 알림을 선택적 으로 표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알림 효과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알림 운영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을 양방향 유무선 방송시스템을 통해 계량기, 난방, 조명, 온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문열림감지, 가스, 에어컨, 냉장고, 헬스밴드, 출입, 전기차 충전을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PLC 모듈, 근거리무선모듈, 블루투스모듈, WIFI 모듈, 지그비모듈, 로라(LoRa)모듈, IR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활동량 감지 센서는 마을 주민의 동작 감시지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송신한다.
이 때 마을 주민 거주지에 부착된 활동량 감지 센서는, 인체의 움직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동작 버튼, 동작 감지시 감지 확인을 알리는 LED가 구비된다.
이 외에도 난방, 조명, 온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문열림감지, 가스, 에어컨, 냉장고 등의 동작 감지시 마을 주민의 스마트 단말 또는 관청 또는 소방 센터 또는 관리 센터(50) 등에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활동량 감지 센서로는 초음파 센서, 능동형 적외선 센서, 광센서 등이 있으며, 당업자에 따라 변경 실시 될 수 있다. 또한 활동량 감지 센서는 거주 공간마다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광조사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멀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광검출부 및 측정된 반사신호세기를 이용하여 반사도(Reflectance)를 산출하고, 산출된 반사도를 이용하여 광흡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광흡수도를 이용하여 활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감지 센서는 MQTT 통신망을 통해 감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정의 IoT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실시간 위험 분석을 위하여 정보를 전송하며, 통합정보를 시계열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시계열추세 분석에 따른 이상치 예측, 기계 학습 알고리즘 분석에 따른 위험 예측을 위한 예측 정보를 저장하며, 수집되는 실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고장 유무 및 다양한 검지 정보를 통합하여 복합적 원인에 따른 위험 수준을 지수화하여 위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침실, 주방, 거실, 욕실 등에 초음파 센서, 능동형 적외선 센서, 광센서 중 한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활동량 감지 센서(101)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주기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정상 동작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주기를 변경한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는, 주위 화재를 이온화식으로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동작 버튼이 구비되고 또한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LED, 경고 부저가 구비된다.
화재 감지 센서(102)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화재 감지시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송신한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102)는 화재 미 감지시 90분 단위로 정상 동작 확인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송신한다.
외출 감지 센서(103)는 마을 주민의 외출/귀가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위한 센서로서,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 외에도 외출 버튼 장치는 센서정보처리모듈(104)에 연결되어, 마을 주민의 외출/귀가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위한 버튼 장치로서,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 부착되는 외출 버튼 장치는, 외출/복귀 버튼이 최초로 눌러지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게이트웨이(30)로 외출 상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외출/복귀 버튼이 다시 눌러지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외출 해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외출 버튼 장치는 버튼 미동작시 활동량 감지 센서를 통한 일정 시간 단위로 정상 동작 확인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게이트웨이로부터 정상 활동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게이트웨이는, 세대 센서 및 외출 버튼 장치와 외부의 관청 또는 소방 센터 또는 관리 센터(50) 사이의 관문으로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원격 통신을 통해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등으로 경보 정보를 자동 전송한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102) 등의 알림 조건으로는 램프 점등, 램프 깜박임, 알림음 송출, 주기적 알림음 송출, 지속적 알림음 송출, 문자 안내 및 음성 안내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스피커부는 무선 방송 수신 장치의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된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다.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서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로부터 전달된 송출된 문장을 스피커를 통해 마을 주민이 일정 공간 내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 변환(TTS 합성; TTS 합성부(125))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120)에 인접하는 음성 입력부(청음센서부; 13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내용을 입력받는 것으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외부로부터 접속된 사용자의 경우 음성 입력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컨트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경보 또는 알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관리 센터(50)에 전송되는 정보로는 마을 주택의 전반적인 정보(Home), 마을 주택의 가정 구성원 정보(Household), 및 가전기기 정보(Individual Appliance)를 포함하며, 마을 주택 정보는 주택 위치(Home location), 주택 크기(Home size), 주택 소유 여부 (Home ownership), 주택에 구비된 가전 기기 종류(Installed home applianc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가정 구성원 정보는 구성원 수(Number of residents), 가족 구성 형태(Family Composition), 생활 패턴(Commuting time slot), 구성원 각각의 직업 및 나이(Occupations of residents, Age distribution of resident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가전 기기 정보는 기기 타입(Device type), 제조사(Manufacturer), 제조 일자(Date of production), 기능(Operation), 사용 횟수 및 기간(Number of use of a device per week, Duration of use of a device at a tim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대쉬 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집 및 분석된 센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과 무선 방송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운로드 속도(A1)가 200.23Mbps이면서 수신성공율(%; A2)이 99.98%인 경우가 있다.
이 때 다운로드속도와 전송성공율(%)이 최고인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로 부터 우회 신호를 받기 위해 도 6의 템플릿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2 경우를 비교해 보면 숲과 산의 지형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또는 T3로 부터 직접 업로드 받을 수 없는 T4 단말기의 경우 전송성공율이 타 기기 대비 우수한 T5로 부터 마을 무선 방송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만일 T5로 부터 마을 무선 방송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데 있어 수신 성공률이 평균에 미치지 못하거나 에러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대쉬 보드를 켜고 A1, A2 다이얼 메뉴를 회전시켜 중앙에 표시되는 다운로드 속도와 수신 성공률이 최고인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를 선택할 수 있는 데, A6 메뉴를 조절하여 속도나 성공률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자동선택부(203)를 통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A1, A2 다이얼 메뉴는 템플릿 저장부(201)와 연결되어 특정 템플릿을 상기 A6 메뉴에 우선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A1, A2 다이얼 메뉴를 회전시켜 중앙에 표시되는 다운로드 속도와 수신 성공률이 최고인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를 선택할 때 우회 경로 선택부(202)가 다운로드 속도와 수신 성공률을 A1, A2 다이얼 메뉴 중앙부에 현시하여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음영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과 상호 무선 통신 중계 기능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대 내에 설치된 무선 방송 수신 설비의 방송 유무를 아날로그 신호로 검출하는 청음센서부와, 방송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수신하는 디지털 입력 신호부와 또 이를 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는 시리얼 통신부와 세대 내 음성을 검출하는 음성 변환부와 세대 내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검출부와 세대 내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감지부와 세대 내 유선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와 세대 내 무선 통신을 위한 제2통신부와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3통신부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4통신부와 정전 시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부를 제공한다.
무선 방송 수신 설비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하며, 스피커부의 전원 또는 수신확인 상태를 확인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센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 망과 무선으로 연결시켜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로 전달하는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 상기 무선 방송 수신 설비에서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로부터 송출된 문장을 스피커를 통해 마을 주민이 일정 공간 내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 변환하거나 상기 송출된 문장을 저장하여 일정 시간 내에 반복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음성 변환부(1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출시간과 일몰시간 대비 평상시 사용하던 전력을 시간별로 최대한 절약한 전력 절약률과 일자별 절약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추가되는 GUI제공부는, 이동된 가상 공간에서 미리 설계된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가상 전자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 페이스를 제공한다.
미리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의 가상 공간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고자 하는 가상 전자 제품을 GUI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가상 전자 제품은 가상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 된다.
여기서, 활성화되는 것은 사용자가 선택된 가상 전자 제품을 드래그하여 가상 공간 안에 배치할 수 있도록 가상 공간의 중앙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가상전자 제품처리부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활성화된 가상 전자 제품을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활성화된 가상 전자 제품에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있고, 신체 접촉 지점이 이동되면 그 대응되는 위치로 활성화된 가상 전자 제품을 이동시키며, 신체 접촉 지점이 릴리즈되는 위치에 가상 전자 제품을 배치시키는 것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된 가상 전자 제품이 배치된 가상 공간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별도의 명령 없이 자동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는 최적 온도 예측을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과거 일정기간(예를 들어, 7일)동안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및 재실 감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학습을 통해 각 가정의 최적 예측 평균 온열감 학습 모델을 생성하여 에어컨이나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CCTV 센싱 정보(A4; CCTV 모듈)를 수신하여, 외부 네트워크 망과 무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센싱 정보로 부터 화재, 가스, 또는 침입 동작에 관한 일정 신호를 감지 시, 관리 센터로 화재 발생 감지 정보, 가스 누수 감지 정보, 정상 동작 중임을 알리고 음성으로 전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마을 주민이 일정 공간 내에서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저장(A5; 메모리 모듈)하여 시간별로 해당 방송을 다시 들을 수 있게 한다.
이 외에도 각 온도(B2; 온도 모듈), 습도(B3; 습도 모듈), 날씨(B4; 날씨 수신 모듈) 정보를 통해 활동량 감지 센서로 인체의 움직임 동작을 감지(B6; 날짜별 활동량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동작 버튼(B1)을 누르도록 유도하여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을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음성의 크기가 일정값 보다 적을 경우 마을 관련 관청 서버에서 제어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볼륨을 강제로 조절하할 수 있는 데, 이 때 음성변조부(B5)가 특정 사람의 음성으로 변환하여 마을 방송 안내를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마을 중계 방송을 무선으로 각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전송하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상기 메시구조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특정 마을에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제공받는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노드와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 사이에 형성되는 완전 메시형(Fully connected mesh topology) 링크 구조의 메시 통신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는 복수개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들과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및 복수개의 타 마을 무선 방송으로 연결되는 메시 통신망은 어떠한 노드도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하나 이상의 링크를 갖고 있는 메시 구조를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속도를 갖는 노드를 미리 템플릿에 저장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사이의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정보를 중계하고,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작동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대체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연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플레이하고, 재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다시 플레이하며, 긴급 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긴급하게 플레이한다.
이는 측정 지점에서의 소리는 생활 소음, 누수음, 대형 트럭이 지나가거나 공사장 장비의 소음 등이 섞여있는데, 이 중 방송 음성과 주파수 범위가 다른 소음은 분류 모듈에서 노이즈로서 제외되고,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소음으로 청취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음 판별 대상 주파수를 입력 변수로 설정하고, 입력 변수마다 가중치를 적용하여 가중평균값을 계산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는 계산 모듈이 구비되며, 계산 모듈은, 입력 변수인 판별 대상 주파수에 추출 모듈로부터 추출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가중평균값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소음 또는 반송 내용을 청취하는 청음센서에서 상기 증폭부를 거쳐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진폭 레벨이 설정된 문턱치보다 낮은 구간을 잡음 신호 구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문턱치 보다 높은 구간을 소음 신호 구간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변환부는 TTS 합성부로 TTS 합성을 하는 데 있어, 특정 음성 기부자로부터 수신된 발화 음성에 대해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음성 AI(Aritificial Intelligence) 장치로부터 상발화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가상화자의 발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AI 장치를 통해 음성합성(TTS: Text to Speech)하여 송신하고, 발화 음성 정보와 관련된 발화 이력의 로그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 내에 설치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의 방송 유무를 검출하는 청음센서부; 상기 청음센서부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수신하는 디지털 입력 신호부; 상기 방송 결과를 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는 시리얼 통신부; 세대 내 음성을 검출하는 음성 변환부와 세대 내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검출부; 세대 내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감지부; 등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음성 변환부가 세대 내 음성을 검출하는 단계와 동작검출부가 세대 내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환경감지부가 세대 내 가스 센서, 진동 센서, 카메라 및 청음 센서를 통해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센서로는 광케이블 센서가 이용되고, 청음 센서로서는 사운드 감지 센서를 이용하되, 상기 카메라를 통해 침입자를 감지하고, 진동 센서와 청음 센서로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50 :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관청 또는 소방 센터 또는 관리 센터
101 : 활동량 감지 센서
102 : 화재 감지 센서
103 : 외출 감지 센서

Claims (8)

  1.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있어서,
    마을 중계 방송을 무선으로 각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전송하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하기 메시구조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각 마을에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제공받는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노드와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 사이에 형성되는 메시형 링크 구조의 메시 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는, 세대 내에 설치된 무선 방송 수신 설비의 방송 유무를 아날로그 신호로 검출하는 청음센서부와, 방송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수신하는 디지털 입력 신호부와 또 이를 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는 시리얼 통신부와 세대 내 음성을 검출하는 음성 변환부와 세대 내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검출부와 세대 내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감지부와 세대 내 유선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와 세대 내 무선 통신을 위한 제2통신부와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3통신부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4통신부와 정전 시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부를 제공하고,
    숲과 산의 지형과 같은 장애물로 인하여 한 마을이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난청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 타 마을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가 마을 중계 방송을 미리 수신하고 수신된 마을 중계 방송을 상기 한 마을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 전송함에 따라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장애물이 있는 가정까지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전송하며,
    만일 환경의 변화나 마을 형태의 이동 또는 변화에 따른 전송 성공율의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타 마을을 경유지로 저장한 템플릿으로 수정한 신규 템플릿을 이용하거나,
    우회 경로 선택부(202)가 다운로드 속도와 수신 성공률을 현시하여 선택에 도움을 주거나,
    상기 다운로드 속도와 수신 성공률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자동선택부(203)를 통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하여,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노드와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 노드 들이 상기 메시 통신망을 통해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음영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기기 들과 상호 무선 통신 중계 기능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 시키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 통신망은 어떠한 노드도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하나 이상의 링크를 갖고 있는 메시 구조를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속도를 갖는 노드를 미리 템플릿에 저장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사이의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정보를 중계하고,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작동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대체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소음으로 청취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5. 장애물로 인하여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무선 음영 지역에 위치한 무선 방송 수신 기기들의 통신 단절을 보완하기 위해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 노드와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 사이에 형성되는 메시형 링크 구조의 메시 통신망을 형성하는 단계;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50)를 통해 마을 중계 방송을 무선으로 각 마을에 속하는 각 가정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가 메시구조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각 마을에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는, 세대 내에 설치된 무선 방송 수신 설비의 방송 유무를 아날로그 신호로 검출하는 청음센서부와, 방송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수신하는 디지털 입력 신호부와 또 이를 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는 시리얼 통신부와 세대 내 음성을 검출하는 음성 변환부와 세대 내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검출부와 세대 내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감지부와 세대 내 유선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와 세대 내 무선 통신을 위한 제2통신부와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3통신부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4통신부와 정전 시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부를 제공하고,
    숲과 산의 지형과 같은 장애물로 인하여 한 마을이 마을 중계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난청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 타 마을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가 마을 중계 방송을 미리 수신하고 수신된 마을 중계 방송을 상기 한 마을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100)에 전송함에 따라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장애물이 있는 가정까지 해당 마을 중계 방송을 전송하며,
    만일 환경의 변화나 마을 형태의 이동 또는 변화에 따른 전송 성공율의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타 마을을 경유지로 저장한 템플릿으로 수정한 신규 템플릿을 이용하거나,
    우회 경로 선택부(202)가 다운로드 속도와 수신 성공률을 현시하여 선택에 도움을 주거나,
    상기 다운로드 속도와 수신 성공률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자동선택부(203)를 통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는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 및 복수개의 타 마을 무선 방송 장치에 메시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메시 통신망은 어떠한 노드도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하나 이상의 링크를 갖고 있는 메시 구조를 이용해 상호 전송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을 회관 방송 주장치와 상기 마을 무선 방송 장치 사이의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정보를 중계하는 단계;
    하나의 마을 무선 방송 장치가 작동 불가하면, 다른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대체하여 상기 무선 정보 방송 내용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플레이하고, 재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다시 플레이하며, 긴급 방송 제어 신호를 받아 마을 무선 방송을 최 우선 순위로 긴급하게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를 이용한 방송 방법.
KR1020210181478A 2021-12-17 2021-12-17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48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78A KR102480326B1 (ko) 2021-12-17 2021-12-17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478A KR102480326B1 (ko) 2021-12-17 2021-12-17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326B1 true KR102480326B1 (ko) 2022-12-23

Family

ID=8453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478A KR102480326B1 (ko) 2021-12-17 2021-12-17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3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229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나우콤 고화질 미디어 방송을 위한 피투피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101563361B1 (ko) 2015-04-08 2015-10-26 (주)유진테크시스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66700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알파이앤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102068340B1 (ko) * 2019-08-26 2020-01-20 김종엽 커버리지가 증가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210090840A (ko) * 2020-01-13 2021-07-21 이지파인 주식회사 스마트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229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나우콤 고화질 미디어 방송을 위한 피투피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101563361B1 (ko) 2015-04-08 2015-10-26 (주)유진테크시스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66700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알파이앤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102068340B1 (ko) * 2019-08-26 2020-01-20 김종엽 커버리지가 증가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210090840A (ko) * 2020-01-13 2021-07-21 이지파인 주식회사 스마트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9101B2 (en) Remote location monitoring
US10591641B2 (en) Remote location monitoring
US10539713B2 (en) Location monitoring via a gateway
US11363107B2 (en) Location monitoring via a gateway
US9140583B2 (en) Remote location monitoring
CN105474282B (zh) 具有增强的音频及通信能力的烟雾检测器
US7522063B2 (en) Combination thermostat and warning device with remote sensor monitoring
US201700551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profile enabled smart building control
US8687630B2 (en) Emergency alerting device
US11589204B2 (en) Smart speakerphone emergency monitoring
KR20210090840A (ko) 스마트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2480326B1 (ko) 무선 통신 중계 기능을 구비한 마을 무선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516158B1 (ko) 안내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64535B1 (ko) 세대 방송 및 음성 분석 기능이 있는 IoT Home Gateway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Mielke et al. A home automation based environmental sound alert for people experiencing hearing loss
CN113631030A (zh) 用于提供声音掩蔽环境的系统和方法
US20230267815A1 (en) Ear bud integration with property monitoring
JP2008217176A (ja) 警報システム、警報送信装置および警報出力装置
JP2008217127A (ja) 警報システム、警報受信装置および警報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