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050B1 -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 Google Patents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050B1
KR102480050B1 KR1020210036611A KR20210036611A KR102480050B1 KR 102480050 B1 KR102480050 B1 KR 102480050B1 KR 1020210036611 A KR1020210036611 A KR 1020210036611A KR 20210036611 A KR20210036611 A KR 20210036611A KR 102480050 B1 KR102480050 B1 KR 10248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iling
bent
panel unit
fr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0050B9 (en
KR20220131667A (en
Inventor
신중남
Original Assignee
신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남 filed Critical 신중남
Priority to KR102021003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05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050B1/en
Publication of KR10248005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050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은, 다수의 골조장치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형성하는 사이공간을 폐쇄하여 천장을 마감하기 위한 천장 마감장치로서, 하부를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골조장치가 삽입되는 결합유닛, 상기 사이공간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골조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결합유닛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공간을 폐쇄하는 패널유닛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결합유닛 및 상기 패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유닛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패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을 제공한다.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iling finishing device for closing a ceiling by closing a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fram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an opening opening toward the bottom is formed. , a coupling unit into which the frame devic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 panel unit disposed on the interspace, and coupled with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at the bottom of the frame device to close the interspace, and one end and the other Provides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oupling unit and the panel unit so that ends ar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and the panel unit, respectively, to prevent the panel unit from falling off.

Description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장치와 천장 마감장치를 빠르게 작업하면서도 결합의 미숙으로 인한 패널유닛의 탈락을 방지하며, 골조장치와 패널유닛을 상하부에서 압착하여 고정력이 향상된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panel units from falling off due to inexperienced coupling while rapidly working the frame device and ceiling finishing device, and to move the frame device and the panel unit from the top and bottom It relates to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with improved fixing force by compression.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건물의 벽체나 천장은 다수의 전선이 지나가거나 직접적으로 내부가 노출되면서 발생되는 미관상의 불편함이나, 시멘트를 사용한 냄새의 발생 등의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각각에 벽체의 미려함을 유지하면서도 외부로 냄새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마감 시공을 진행하고 있다.In constructing a building, the wall or ceiling of the building is designed to be aesthetically pleasing to prevent problems such as aesthetic discomfort caused by passing multiple wires or directly exposing the interior, or odors using cement. We are proceeding with the finishing construction so that the smell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the smell.

특히, 천장에 대한 마감 시공을 진행함에 있어서 벽체보다도 천장의 직접적인 노출을 방지하도록 패널을 활용하여 마감처리를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패널과 골조의 연결이 볼트와 너트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시공 당시에는 강력한 고정력을 확보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 볼트와 너트로 인한 홀의 구멍이 마모되어 넓어지면서 흔들리거나 심한 경우는 패널이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을 수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finishing the ceiling, despite using the panel to prevent direct exposure of the ceiling rather than the wall,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nel and the frame is done through bolts and nuts, so it is directly possibl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may seem to secure a strong fixing force, but over time, the hole in the hole caused by the bolt and nut wears out and widens, causing a risk of shaking or, in severe cases,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panel falls.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간단한 조립으로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안들이 고안되고 있으나, 골조의 고정과 골조와 패널의 연결구조가 시공 당시에는 간편할 수 있어도 시간이 지날수록 고정력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을 수 있었다.To overcome this, various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ceiling with simple assembly are being devised, b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fixing the frame and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panel may be simpl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ut the fixing force may decrease as time passes. could be

그렇기 때문에 골조와 패널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도 패널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결합간의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Therefore, various methods are being devi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panel or prevent abrasion between the joints while strengthe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rame and the panel, and a means to overcome this is need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골조장치와 천장 마감장치를 빠르게 작업하면서도 결합의 미숙으로 인한 패널유닛의 탈락을 방지하며, 골조장치와 패널유닛을 상하부에서 압착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prevents the panel unit from falling off due to inexperienced coupling while working quickly on the frame device and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nd presses the frame device and the panel unit from the top and bottom. The goal is to improve the fixing force by doing so.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은, 다수의 골조장치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형성하는 사이공간을 폐쇄하여 천장을 마감하기 위한 천장 마감장치로서, 하부를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골조장치가 삽입되는 결합유닛, 상기 사이공간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골조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결합유닛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공간을 폐쇄하는 패널유닛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결합유닛 및 상기 패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유닛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패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eiling finishing device for closing a ceiling by closing a space formed by a plurality of fram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an opening opening toward the bottom. Is formed, a coupling unit into which the frame devic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 panel unit disposed on the interspace and coupled with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at the bottom of the frame device to close the interspace, and one end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oupling unit and the panel unit so that the first portion and the other end ar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and the panel unit, respectively, to prevent the panel unit from falling off.

여기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골조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upl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grip the side in the state where the framework device is inserted.

아울러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골조장치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골조장치 상부에 위치되는 위치부, 상기 위치부의 양단에서 상기 골조장치의 측면을 파지하도록 상기 천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 및 상기 연결유닛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와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positioning unit positioned above the framework unit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ramework unit, a gripping unit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iling to grip the side surfaces of the framework unit at both ends of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ap portion that is bent toward the top at one end of the gripping portion so that one end of the unit is inserted to form a gap with the gripping portion.

또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위치부와 상기 골조장치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골조장치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위치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fting unit for elevating the positioning unit between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work device so that the connection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work device.

아울러 상기 승강부는, 일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위치부와 상기 골조장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파지부와 맞닿아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제한부재와 상기 파지부가 맞닿도록 상기 위치부와 상기 골조장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승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part is bent outward at one en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ositioning part and the frame device, and a limiting member for contacting with the gripping part and limiting the inserted distance, and so that the limiting member and the gripping par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that is bent outwardly in a state located between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framework device to prevent the elevation unit from being separated.

한편, 상기 파지부는, 상기 골조장치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피스가 삽입되는 고정피스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iece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fixing piece is inserted to prevent movement on the frame device.

이 때,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틈새에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패널유닛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위치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골조장치와 맞닿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gap,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panel unit, and the positioning unit is raised by the lifting unit and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frame device.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파지부를 감싸도록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패널유닛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패널유닛을 고정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gap, a support part bent downward to surround the gripping part in the insertion part and supported by the gripping part, and one end of the support part bent toward the ceiling. and a bent portion for fixing the panel unit by coming into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panel unit.

한편, 상기 패널유닛은, 내측면이 상기 절곡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부의 일부가 상기 절곡부가 절곡되는 부분에 삽입되도록 상기 천장의 위치와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pane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panel unit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ceil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a portion where the bent portion is bent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do.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패널유닛과 맞닿도록 상기 천장이 위치와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패널유닛이 상기 절곡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necting unit is fixed in position in a state where one end is seated on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iling so that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panel unit, and the panel unit is fixed by the bent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art to do.

이 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패널유닛의 둘레부를 압착하여 상기 패널유닛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패널유닛의 둘레부와 대응되게 절곡되는 압착부재 및 상기 압착부재에서 상기 천장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패널유닛과 맞닿고, 상기 패널유닛이 상기 절곡부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xing part is a seating member seated on the suppo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ating member, and bent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unit to fix the panel unit by com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unit. and a holding member that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ceiling at the pressing member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nel unit and restrict movement of the panel unit on the bent portion.

아울러 상기 패널유닛은, 둘레부의 일부가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기 위해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천장을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 및 상기 절곡부가 절곡되는 부분에 삽입되도록 상기 천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strict movement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by the holding member, the opening portion opening toward the ceiling to insert the holding member and the bending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iling are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sp portion bent towards.

한편, 앞서 상술한 상기 천장 마감장치를 활용한 천장모듈은 상부를 향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다수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장치, 상기 사이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골조장치와 결합되는 천장 마감장치 및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천장과 상기 골조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천장 마감장치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걸이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iling module using the above-described ceiling finishing device, an internal space that is opened toward the top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raming devic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r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close the interspace. It includes a ceiling finishing device coupled to the framing device and a hanging devic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connecting the ceiling and the framing device to fix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to the ceiling.

여기서 상기 걸이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회전되며 상기 골조장치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ang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in the inner space and fixes the framing devi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ing device.

아울러 상기 걸이장치는, 일단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장치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를 지지하는 걸쇠지지유닛, 상기 걸쇠지지유닛의 상부에 밀착되며, 일단부가 상기 골조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쇠지지유닛의 일단부와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 및 상기 걸쇠지지유닛 및 상기 위치고정유닛을 상기 천장에 연결하여 상기 골조장치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ok devi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asp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frame device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device as one end rotates, and the top of the clasp support unit, and one end por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frame device and the clasp support unit. A position fixing unit for fixing the frame devi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upport unit, and a connection fixing unit for fixing the frame device to the ceiling by connecting the clasp support unit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to the ceiling. to b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은 골조장치와 천장 마감장치를 빠르게 작업하면서도 결합의 미숙으로 인한 패널유닛의 탈락을 방지하며, 골조장치와 패널유닛을 상하부에서 압착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events the panel unit from falling off due to inexperienced coupling while working quickly on the frame device and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nd presses the frame device and the panel unit from the top and bottom.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ixing for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위치고정유닛과 연결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위치고정유닛과 걸쇠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걸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걸이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골조장치와 걸이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골조장치와 걸이장치가 결합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골조장치와 걸이장치가 결합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결합유닛과 골조장치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결합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연결유닛과 결합유닛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이탈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도 13까지의 과정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패널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패널유닛이 고정되기 위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패널유닛이 고정부에 의해 압착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ation fixing unit and a connection fixing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fixing unit and a clasp support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ging devi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hanging devi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for coupling the frame device and the hanging device of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a frame device and a hanging devi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a frame device and a hanging devi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unit of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nd the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upling unit of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ion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parture prevention member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ed state through the process up to FIG. 13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nel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for fixing a panel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a panel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ed by a fixing unit; and
18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은 다수의 골조장치(40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형성하는 사이공간이 형성되며, 하부를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골조장치(400)가 삽입되는 고정유닛(100), 상기 골조장치(400)의 하부에서 상기 결합유닛(100)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골조장치(400)가 형성하는 상기 사이공간을 폐쇄하는 패널유닛(200)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결합유닛(100) 및 상기 패널유닛(200)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유닛(20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유닛(100)과 상기 패널유닛(200)을 연결하는 연결유닛(300)을 포함하는 천장 마감장치와 상부를 향해 개구된 내부공간(420)이 형성되고 다수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장치(400),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천장과 상기 골조장치(400)를 연결하여 상기 천장 마감장치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걸이장치(500)로 구성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1,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rame devices 400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n opening toward the bottom An opening is formed, and the fixing unit 100 into which the framing device 40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nd is coupled with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100 at the bottom of the framing device 400 to form the framing device 400. The panel unit 200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anel unit 200 closing the interspace formed by ) ar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00 and the panel unit 200, respectively, to prevent the panel unit 200 from falling off. A ceiling finishing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unit 300 connecting the coupling unit 100 and the panel unit 200 and an internal space 420 opening toward the top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mutually It may consist of a frame device 400 forming a spaced apart space, and a hanging device 50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connecting the ceiling and the frame device 400 to fix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to the ceiling. there is.

앞서 상술한 구성에 대해 시공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In order to sequentially describ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sequence, it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8.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위치고정유닛과 연결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위치고정유닛과 걸쇠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걸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걸이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골조장치와 걸이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골조장치와 걸이장치가 결합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골조장치와 걸이장치가 결합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결합유닛과 골조장치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결합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연결유닛과 결합유닛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이탈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도 13까지의 과정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패널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패널유닛이 고정되기 위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패널유닛이 고정부에 의해 압착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fixing unit and a connection fixing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osition fixing unit and a clasp support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losing device, and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hanging device for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view from the side of a hanging devi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for combining the hanging device and the framework device of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module frame device and the hanging devic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a frame device and a hanging devi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Figur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unit of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ame device, Figure 10 is a ceiling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unit of the module, Figur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upling unit of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Figure 12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fting par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eparture prevention member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to explain a coupled state through the process up to FIG. 13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o describe the panel unit of the ceiling module includ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a panel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nd FIG. 17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a drawing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panel unit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is compressed by a fixing unit shows an overall appearance of a ceiling module includ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a view from the side.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 순서에 맞게 설명하기 위해 먼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걸이장치(500)는 일단부가 상기 골조장치(400)의 상기 내부공간(420)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장치(400)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를 지지하는 걸쇠지지유닛(520), 상기 걸쇠지지유닛의 상부에 밀착되며, 일단부가 상기 골조장치(4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의 일단부와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400)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540) 및 상기 걸쇠지지유닛 및 상기 위치고정유닛을 상기 천장에 연결하여 상기 골조장치(400)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유닛(560)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configuration is described first in order to explain the construction sequence, the hanging device 500 rotates in the inner space 420 of the framework device 400 at one end of the framework device 400. A clasp support unit 52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to support the framing device, adheres to the top of the clasp support unit, and has one end of the shackle support unit 520 with the framing device 400 interposed therebetween. A position fixing unit 540 for fixing the frame device 400 in contact with and a connection fixing unit for fixing the frame device 400 to the ceiling by connecting the clasp support unit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to the ceiling ( 560).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정유닛(560)은 상기 천장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천장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ceiling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iling.

한편,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은 상기 천장과 대응되는 평면을 가지는 제1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의 둘레의 일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may have a first surface having a plane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surface.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의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연결고정유닛(560)이 삽입되는 제1 걸이홈(H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정유닛(560)이 상기 제1 걸이홈(H1)에 삽입될 수 있다.Here, a first hooking groove H1 into which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so that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oking groove H1. can be inserted into

또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골조장치(4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쇠지지유닛(520)과 맞닿는 가압부(542) 및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에 형성되는 고리부(526)에 삽입되며 끼워서 고정되는 끼임부(544)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portion 542 in contact with the clasp support unit 520 with the frame device 400 therebetween and the ring portion 526 formed in the clasp support unit 520, A fitting portion 544 that is fitted and fixed may be formed.

앞선 과정을 통해 상기 연결고정유닛(560)과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이 결합되면,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의 하부에서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이 결합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re coupled through the previous process, as shown in FIG. can be placed.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고정유닛(560)과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이 결합되며,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은 상기 위치고정유닛(54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과 대응되면 제3 면 및 제4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면에는 상기 연결고정유닛(560)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걸이홈(H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re coupled, the clasp support unit 520 is coupled, and the clasp support unit 520 is coupled to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Whe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 third surface and a fourth surface are formed, and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ok groove (H2) on the third surface. ) may be formed.

이를 통해 상기 연결고정유닛(560)에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이 우선적으로 삽입되고, 이후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의 하부에서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이 삽입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may be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and then the clasp support unit 520 may be inse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이 때,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은 상기 제4 면에 상기 골조장치(4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부(542)와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천장을 향해 돌출되는 맞닿음부(524), 상기 맞닿음부(524)와 상기 제4 면 사이에서 상기 골조유닛(400)의 측면걸쇠부(440)가 삽입되는 틈새가 형성되는 골조삽입부(524), 상기 끼임부(544)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4 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고리부(526) 및 위치고정유닛(540) 및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의 상기 제4 면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고정유닛(540)과 맞닿는 면의 반대방향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부(528)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asp support unit 520 has a contact portion 524 protruding toward the ceiling so as to face the pressing portion 542 on the fourth surface with the framework device 400 interposed therebetween, Between the abutting portion 524 and the fourth surface, a frame insertion portion 524 in which a gap is formed into which the side clasp portion 440 of the frame unit 400 is inserted, and the fitting portion 544 is inserted The hook part 526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ourth surface to be fixed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to prevent the fourth surface of the clasp support unit 520 from being bent. A reinforcing portion 528 formed to be depress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tacting surface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3 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걸이홈(H2)을 통해 상기 천장, 상기 위치고정유닛(540),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526)에 상기 끼움부(544)가 삽입되어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Here, the ceiling,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nd the clasp support unit 52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through the second hook groove H2 formed on the third surface, and the ring part 526 ), the fitting part 544 is insert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임부(544)가 상기 고리부(526)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고정유닛(540)과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542)와 상기 맞닿음부(524)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542)는 상기 맞닿음부(524)와 맞닿기 위해 상기 제2 면에서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맞닿음부(524)는 상기 제4 면의 양측면에서 상기 가압부(542)와 대응되도록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재차 돌출되도록 상기 맞닿음부(524)가 형성되어 상기 골조걸쇠부(440)이 위치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part 544 is inserted into the ring part 526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nd the clasp support unit 520 are coupled, the pressing part ( 542) and the contact portion 524 ar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pressing portion 54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rface to both sides in order to contact the contact portion 524, , The contact portion 524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fourth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portion 542, and the contact portion 52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gain toward the ceiling from the protrud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gap in which the frame clasp 440 can be positioned.

즉, 이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도 5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정유닛(560)이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걸이홈(H1)과 상기 제3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걸이홈(H2)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유닛(540)과 상기 걸쇠지지유닛(520)이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5 ,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has the first hook groove H1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hook groove H2 formed on the third surface. ),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nd the clasp support unit 520 may be provided in a coupled state in a state of penetrating.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526)에 상기 끼임부(544)가 삽입되어 끼워 고정되며, 상기 보강부(528)가 상기 걸이지지유닛(520) 및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tting part 544 is inserted into the hook part 526 and fixed, and the reinforcing part 528 can prevent the hanging support unit 520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from being bent. There is.

아울러 상기 걸이장치(500)와 상기 골조장치(400)를 결합하기 위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지지유닛(520)와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을 소정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골조장치(400)의 상기 내부공간(420)으로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을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6 to 8 in order to combine the hanging device 500 and the frame device 400, first, as shown in FIG. 6, the hanging support unit 520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re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420 of the frame device 400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 때, 상기 걸이지지유닛(520)은 상기 연결고정유닛(560)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위치고정유닛(540)과 이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522)와 상기 맞닿음부(524)가 서로 이격되면서 틈새를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ger support unit 520 is moved up and down on the connection fixing unit 56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nd accordingly, the pressing part 522 and the contact part 524 )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wider gap.

이 때, 상기 골조장치(400)에는 상기 걸이장치(5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천장을 향해 개방되는 상기 내부공간(420)이 형성되며, 상기 골조장치(400)의 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420)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압부(522)와 상기 맞닿음부(524)가 형성하는 틈새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측면걸쇠부(440) 및 상기 골조장치(40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에서 상기 내부공간(420)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골조장치(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돌출부(460)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ame device 400 is formed with the inner space 420 that opens toward the ceiling so that the hanging device 500 is inserted, and the inner space 4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rame device 400. In order to prevent the side clasp portion 440 and the frame device 400 from being bent and inserted into the gap formed by the pressing portion 522 and the contact portion 524 and fixed,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It protrudes toward the space 420 and may be composed of a protrusion 460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ing device 400.

아울러 상기 골조장치(400)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420)에 상기 걸이지지유닛(520)이 삽입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er support unit 52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420 formed in the frame device 400 and positioned as shown in FIG. 7 .

또한, 상기 내부공간(420)에 상기 걸이지지유닛(5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지지유닛(520)과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이 회전되면서 상기 걸이지지유닛(520)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부(522)가 상기 측면걸쇠부(4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골조유닛(400)이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hanger support unit 520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r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ger support unit 5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420, the hanger support unit 520 is formed on the hanger support unit 520. The pressing part 522 can be inserted into the side latch part 440, and thus the frame unit 400 can be fixed to the ceiling.

아울러 상기 걸이지지유닛(520)이 회전되면서 상기 위치고정유닛(540)도 함께 회전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유닛(540)을 하강시키거나 상기 걸이지지유닛(520)을 상승시켜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526)에 상기 끼임부(544)가 삽입되며, 상기 측면걸쇠부(440)는 상기 가압부(522)와 상기 맞닿음부(5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hanger support unit 520 rotates,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lso rotates, and as shown in FIG. 8,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is lowered or the hanger support unit 520 is raised. and fixing it, and accordingly, the fitting part 544 is inserted into the ring part 526, and the side clasp part 44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art 522 and the abutting part 524 there is.

즉, 상기 가압부(522)와 상기 맞닿음부(524)는 상기 측면걸쇠부(4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닿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sing portion 522 and the abutting portion 524 ca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side clasp portion 440 interposed therebetween.

이와 같이 상기 걸이장치(500)가 상기 골조장치(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개가 결합되면, 상기 골조장치는 상기 걸이장치(500)에 의해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측면걸쇠부(440)가 상기 가압부(522) 및 상기 맞닿음부(524)에 의해 상부 및 하부에서 가압되면서 위치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hanging device 500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ing device 400 and a plurality of them are combined, the framing device can be fixed to the ceiling by the hanging device 500, , While the side latch portion 440 is pressed from the top and bottom by the pressing portion 522 and the contact portion 524, the position can be effectively fixed.

이에 따라 상기 골조장치(400)가 외부에 의한 충격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위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there may be an effect that the frame device 400 can be fixed so that the position is not deformed more effectively even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이와 같이 상기 골조장치(400)에 상기 걸이장치(500)가 서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면, 상기 걸이장치(500) 사이에 상기 결합유닛(100)이 상기 골조장치(400)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hanging device 500 in the frame device 40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upling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device 400 between the hanging device 500. .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유닛(100)은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골조장치(400)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측면걸쇠부(440)와 맞닿는 위치부(120), 상기 위치부(120)에서 하부를 향해 상기 골조장치(400)를 파지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파지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coupling unit 100 has an opening that is open toward the bottom, and the frame device 4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opening, and the side clasp 440 and It may be composed of a contact positioning part 120 and a gripping part 140 extending from the positioning part 120 toward the bottom in a form to hold the frame device 400.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장치(500) 사이에 상기 골조장치(400)의 상부에서 상기 결합유닛(100)이 결합되고, 상기 위치부(120)에 의해 상기 결합유닛(100)의 위치가 상기 골조장치(400) 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파지부(140)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기 골조장치(4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unit 100 is coupled at the top of the frame device 400 between the hanging devices 500, and the location of the coupling unit 100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ing unit 120. It is fixed onto the framing device 400, and can be effectively fixed on the framing device 400 by the gripping part 140.

이 ??, 상기 결합유닛(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부(120)가 상기 골조장치(4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걸쇠부(440)와 맞닿도록 구비되고, 상기 골조장치(400)를 감싸도록 상기 파지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140)의 일단부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140)와 틈새(162)를 형성하는 틈새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oupling unit 100 is provid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clasp portion 440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ing portion 120 is positioned above the frame device 400, and The gripping part 14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rame device 400, and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140 is bent toward the ceiling to form a gap 162 with the gripping part 140. It may be composed of a gap portion (160).

여기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부(120)는 상기 측면걸쇠부(440)와 맞닿아 상기 파지부(14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파지부(140)는 상기 골조장치(400)의 측면을 감싸 상기 결합유닛(100)이 상기 골조장치(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파지부(140)에는 별도의 고정피스가 삽입되어 상기 골조장치(400)와 상기 파지부(1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피스 홈(14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파지부(14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강성보강부재(144)가 상기 파지부(140)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ing part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clasp part 440 to fix the position of the gripping part 140, and the gripping part 140 is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device 400. to prevent the coupling unit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device 400, and a separate fix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gripping part 140 to separate the frame device 400 and the gripping part 140. A fixing piece groove 142 may be formed so that the gripping part 140 can be coupled, and the rigidity reinforcing member 144 protrudes along the gripping part 140 to prevent the gripping part 140 from being bent by an external impact. may have been formed.

즉, 상기 강성보강부재(144)는 상기 파지부(140)의 일면에서 상기 골조장치(40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igidity reinforcing member 144 can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gripping part 140 towar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work device 400 is located.

아울러 상기 강성보강부재(144)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상기 파지부(140)에서 상기 골조장치(400)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따.In addition, the rigidity reinforcing member 144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device 400 is located in the holding part 140 in various forms as needed.

한편, 상기 틈새부(160)는 상기 파지부(140)의 일단부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파지부(140)와 이격된 틈새(162)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틈새(162)에 상기 연결유닛(3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gap part 160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ceiling at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140, a gap 162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part 140 is formed, and thus the gap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30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162.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틈새(162)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패널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on unit 300 may have one end inserted into the gap 16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anel unit 200. there is.

구체적으로 상기 틈새(162)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을 고정시키는 삽입부(320), 상기 틈새부(16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틈새부(160)와 상기 골조장치(400)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340) 및 상기 연결유닛(300)에 타단부에서 상기 패널유닛(200)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340)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360)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ertion part 320 inserted into the gap 162 and fixing the connection unit 300, and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gap part 160, the gap part 160 and the frame device 400 It consists of a support part 340 fixed by and a bent part 360 bent toward the ceiling from the support part 340 so that the panel unit 200 can be hooked and fix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300. It can be.

여기서 상기 삽입부(32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틈새(162)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틈새부(16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틈새부(160)와 맞닿고, 상기 틈새부(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gap 162 as described abo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support part 340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gap part 160.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gap part 160 and be supported by the gap part 160 .

아울러 상기 절곡부(360)는 상기 지지부(340)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되어 상기 패널유닛(200)이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360 may be bent at least once from the support portion 340 toward the ceiling so that the panel unit 200 can be hung.

또한, 상기 패널유닛(200)에는 상기 절곡부(360)에 의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유닛(20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걸쇠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anel unit 200 may be formed with a clasp portion 220 that i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panel unit 200 so that it can be hooked and fixed by the bent portion 36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o explain in more detail.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위치부(120)가 상기 천장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부(340)가 상기 골조장치(400)의 하부와 맞닿기 위해 상기 위치부(120)를 상기 천장을 향해 승강시키도록 상기 결합유닛(100)에는 상기 승강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fter performing this process, as the positioning part 120 is moved toward the ceiling, the positioning part 120 is moved up and down toward the ceiling so that the support part 3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rame device 400. The coupl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the lifting part 180 so as to do so.

이 때, 상기 승강부(180)는 상기 지지부(340)가 상기 골조장치(400)의 하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위치부(120)와 상기 골조장치(400)가 이격된 공간 상에 삽입되어 서로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재(182),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승강부(18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84) 및 상기 제한부재(182)와 상기 이탈방지부재(184) 사이에서 상기 위치부(120)가 상기 골조장치(40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서로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86)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part 180 is inserted into a space where the positioning part 120 and the framing device 400 are spaced apar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34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raming device 400, and mutually A limiting member 182, which is provided to space the , and limits the insertion distance, is bent outward in the inserted state to prevent the elevation part 180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limiting member 184 Between the 182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84, the positioning part 120 may be composed of a spacer member 18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spaced state from the framework device 400.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180)는 상기 위치부(12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골조장치(400)와 상기 위치부(120)가 이격된 공간상으로 삽입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위치부(120)와 상기 골조장치(400)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이격부재(186)를 통해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the elevation unit 180 is inserted into a space in which the frame device 400 and the location unit 120 are spaced apart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unit 120 is elevated, and mutually The spaced state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spacer member 186 located between the positioning unit 120 and the framework device 400 so that the spaced state is maintained.

이 때,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골조장치(400)의 하부와 맞닿아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340 can be fix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rame device 400.

아울러 상기 이격부재(186)가 상기 위치부(120)와 상기 골조장치(400)가 이격된 공간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격부재(186)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한부재(182)에 의해 상기 파지부(140)와 맞닿아 이동이 제한되며,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이탈방지부재(184)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격부재(186)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r 186 is formed so as to be bent outward from one end of the spacer 186 to prevent the positioning part 120 and the frame device 40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member 18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ipping part 140 to restrict movement, and in the inserted state, as shown in FIG. 13,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84 formed at the other end is bent outward to separate the spacer. The position of member 186 may be fixed.

이 때, 상기 이탈방지부재(184)는 이격된 상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절곡되기 위해 상하"?향으?* 직경이 좁아지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84 may be formed with a narrowing s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be bent more effectively in a spaced stat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걸이장치(500), 상기 골조장치(400), 상기 결합유닛(100), 상기 연결유닛(300) 및 상기 패널유닛(200)이 결합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when the hanging device 500, the frame device 400, the coupling unit 100, the connection unit 300, and the panel unit 200 are coupled, the state shown in FIG. 14 can be

이 때, 상기 패널유닛(2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을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240)와 상기 절곡부(360)에 걸려 상기 패널유닛(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쇠부(220), 상기 개방부(240) 및 상기 걸쇠부(220)와 인접한 상기 패널유닛(200)의 측면 둘레에서 상기 패널유닛(200)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5 , the panel unit 200 is hooked to the opening part 240 opening toward the ceiling and the bent part 360 to fix the position of the panel unit 200. 220, the opening portion 240, and the clasp portion 220 and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panel unit 200 around the periphery to the inside of the panel unit 200 may be composed of a side portion 260 is bent.

여기서 상기 걸쇠부(220)는 상기 절곡부(36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상기 패널유닛(2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재차 상기 천장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절곡부(360)와 상기 지지부(340)가 형성하는 부분에 효과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be fixed by the bent part 360, the clasp part 220 may be bent again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iling is located, in a state of being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panel unit 200. Accordingly, the bent portion 360 and the support portion 340 can be effectively positioned in the formed portion.

한편, 상기 개방부(240)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opening 2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이 때, 상기 측면부(260)는 상기 걸쇠부(220)와 다르게 상기 패널유닛(200)을 향해서 한번만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portion 260 may be bent toward the panel unit 200 only once, unlike the clasp portion 220 .

한편, 상기 연결유닛(3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유닛(200)이 상기 연결유닛(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유닛(200)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유닛(300)에 안착되어 상기 패널유닛(200)의 개방부(240)에 삽입되는 고정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6 , the connection unit 300 prevents the panel unit 200 from being moved while the panel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300. A fixing part 380 seated on the 300 and inserted into the opening 240 of the panel unit 200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고정부(380)는 상기 지지부(340)에 안착되는 안착부재(382), 상기 안착부재(382)에서 상기 지지부(340)를 따라 상기 천장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쇠부(220)와 맞닿아 상기 걸쇠부(220)를 압착하는 압착부(384) 및 상기 압착부(384)에서 상기 천장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방부(240)에 삽입되며 상기 걸쇠부(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재(386)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part 380 is a seating member 382 seated on the support part 340, extending from the seating member 382 along the support part 3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iling is located, and the latch A crimping part 384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rt 220 and compresses the clasp part 220, and the crimping part 384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iling is located and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240. It may be composed of a holding member 386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clasp 220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부(380)가 상기 지지부(340)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별도의 고정피스가 삽입되는 피스삽입 홈(388)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피스삽입 홈(388)에 별도의 부재를 삽입함을 통해서 상기 지지부(340)를 관통하여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more detail,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fix the fixing part 380 to the support part 340, a piece insertion groove 388 into which a separate fixing piece is inserted may be formed, and the piece insertion groove 388 By inserting a separate member into the support portion 340, it can be effectively coupled.

한편, 상기 패널유닛(200)은 상기 연결유닛(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8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패널유닛(200)을 상기 고정부(38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압착부(384)와 상기 절곡부(360)에 의해 가압되며 확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while the panel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300, the panel unit 200 is mov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fixing part 380 is located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part 380. When pressed by the compression part 384 and the bending part 360, it can be firmly fixed.

또한, 상기 패널유닛(200)이 상기 고정부(380)를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걸쇠부(220)가 상기 걸림부재(386)와 맞닿아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압착부(38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면서도 상기 걸림부재(386)에 의해 과도한 이동, 즉,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the panel unit 200 moves toward the fixing part 380, the clasp part 2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lasp member 386 so that its movement can be restricted. While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by the holding member 386, ie, leaving the position.

아울러 상기 압착부(384)는 상기 절곡부(360)와 상기 걸쇠부(220)를 사이에 두고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부(384)가 상기 걸쇠부(220)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걸쇠부(22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천장 방향으로 상승되거나 들려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널유닛(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imping part 384 presses the clasp part 220 in a state where the crimping part 384 is positioned with the bent part 360 and the clasp part 22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lasp part ( 220) may be effective in fixing the position of the panel unit 200 to prevent it from being raised or lifted toward the ceiling by an external force.

이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자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만 상기 걸쇠부(220)가 가압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개방부(240) 상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To express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7 , only one side of the clasp 220 may be pressed, and the other side may be positioned on the opening 240 .

한편, 상기 걸림부재(386)가 상기 개방부(240)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패널유닛(200)을 상기 연결유닛(300)에 결합되기 때문에 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380)를 가장 마지막에 상기 개방부(240) 상에 위치되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조절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함을 통해 상기 패널유닛(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panel unit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300 so that the hooking member 386 is located on the opening 240, the position can be determined more effectively, and the position can be determined more effectively, and the position can be determined if necessary. The panel unit 200 can be fixed by various uses, such as adjusting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op part 380 so that it is placed on the opening part 240 at the end.

이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도 18과 같은 형태와 같이 될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side, it may have the form shown in FIG. 18 .

즉, 상기 지지부(340)와 상기 안착부(382)는 동일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340)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압착부(384)가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384)와 상기 절곡부(360)는 상기 패널유닛(200)의 상기 걸쇠부(220)를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part 340 and the seating part 382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the compression part 384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40, and the compression part 384 and the bent portion 3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lasp portion 220 of the panel unit 200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골조장치(400)의 하부와 상기 틈새부(16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패널유닛(200)이 탈락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40 may be pressurized and fixed by the lower part of the frame device 400 and the gap part 160, and thus, safety accidents occurring when the panel unit 200 is detached can be prevented. may have an effect.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e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H1: 제1 걸이홈
H2: 제2 걸이홈
100: 결합유닛
120: 위치부
140: 파지부
142: 고정피스 홈
144: 강성보강부재
160: 틈새부
162: 틈새
180: 승강부
182: 제한부재
184: 이탈방지부재
186: 이격부재
200: 패널유닛
220: 걸쇠부
240: 개방부
260: 측면부
300: 연결유닛
320: 삽입부
340: 지지부
360: 절곡부
380: 고정부
382: 안착부재
384: 압착부재
386: 걸림부재
388: 피스삽입 홈
400: 골조장치
420: 내부공간
440: 측면걸쇠부
460: 돌출부
500: 걸이장치
520: 걸쇠지지유닛
522: 맞닿음부
524: 골조삽입부
526: 고리부
528: 보강부
540: 위치고정유닛
542: 가압부
544: 끼임부
560: 연결고정유닛
H1: first hanging groove
H2: second hanging groove
100: coupling unit
120: location unit
140: gripping unit
142: fixing piece groove
144: rigid reinforcing member
160: gap
162: gap
180: lifting part
182: limiting member
184: departure prevention member
186: separation member
200: panel unit
220: clasp
240: opening
260: side part
300: connection unit
320: insertion part
340: support
360: bend
380: fixing part
382: seating member
384: compression member
386: engaging member
388: piece insertion groove
400: framework device
420: inner space
440: side clasp
460: protrusion
500: hanging device
520: latch support unit
522: contact portion
524: frame insertion unit
526: ring part
528: reinforcement part
540: position fixing unit
542: pressing part
544: jammed part
560: connection fixing unit

Claims (15)

다수의 골조장치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형성하는 사이공간을 폐쇄하여 천장을 마감하기 위한 천장 마감장치로서,
하부를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골조장치가 삽입되는 결합유닛;
상기 사이공간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골조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결합유닛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공간을 폐쇄하는 패널유닛; 및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결합유닛 및 상기 패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유닛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패널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골조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골조장치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골조장치 상부에 위치되는 위치부, 상기 위치부의 양단에서 상기 골조장치의 측면을 파지하도록 상기 천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 및 상기 연결유닛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와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틈새에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패널유닛이 결합되며, 상기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파지부를 감싸도록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천장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패널유닛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패널유닛을 고정시키는 절곡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패널유닛과 맞닿도록 상기 천장이 위치와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패널유닛이 상기 절곡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장치.
As a ceiling finishing device for closing the ceiling by closing the spac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raming device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coupling unit having an opening opening toward the bottom and into which the frame devic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 panel unit disposed on the interspace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device to close the interspace;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oupling unit and the panel unit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and the panel unit, respectively, to prevent the panel unit from falling off;
The coupling unit is
A positioning portion formed to hold the side surface of the framing device in an inserted state and positioned above the framing devic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raming device, and opposite to the ceiling so as to grip the side surface of the framing device at both ends of the locating portion A gripping part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a gap part bent upward from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is inserted to form a gap with the gripping part,
The connection unit is
One end inserted into the gap,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anel unit,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gap, a support part bent downward to surround the gripping part in the insertion part and supported by the gripping part; One end of the support part is bent toward the ceiling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unit to fix the panel unit. And a fixing part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osition and fixing the position while the panel unit is fixed by the bent part.
ceiling finis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위치부와 상기 골조장치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골조장치의 하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위치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fting portion for elevating the positioning unit so that the connection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ing device between the locating uni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ing device,
ceiling finis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일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위치부와 상기 골조장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파지부와 맞닿아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제한부재와 상기 파지부가 맞닿도록 상기 위치부와 상기 골조장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승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lift part,
a limiting member that is bent outward from one en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framing device and limits the insertion distan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ripping uni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that is bent outward in a state located between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framing device so that the limiting member and the gripping uni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elevating unit from being separated.
ceiling finis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골조장치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피스가 삽입되는 고정피스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iece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fixing piece is inserted to prevent movement on the frame device,
ceiling finis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위치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골조장치와 맞닿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ing portion is raised by the elevating portion and fixed in contact with the frame device,
ceiling finis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내측면이 상기 절곡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부의 일부가 상기 절곡부가 절곡되는 부분에 삽입되도록 상기 천장의 위치와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inner surface from coming out of contact with the bent part,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part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osition of the ceiling so that the bent part is inserted into the bent part.
ceiling finis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패널유닛의 둘레부를 압착하여 상기 패널유닛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패널유닛의 둘레부와 대응되게 절곡되는 압착부재; 및
상기 압착부재에서 상기 천장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패널유닛과 맞닿고, 상기 패널유닛이 상기 절곡부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a seating member seated on the support;
a compression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ating member and bent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unit to fix the panel unit by com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unit;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mber includes a holding member that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ceiling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nel unit and to limit movement of the panel unit on the bent portion.
ceiling finis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둘레부의 일부가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기 위해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천장을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 및
상기 절곡부가 절곡되는 부분에 삽입되도록 상기 천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panel unit,
an opening portion opened toward the ceiling so that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member so that the movement is limited by the locking membe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sp portion bent toward the ceiling and the opposite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of the bent portion,
ceiling finisher.
상부를 향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다수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장치;
상기 사이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골조장치와 결합되는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천장 마감장치; 및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천장과 상기 골조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천장 마감장치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걸이장치를 포함하는,
천장모듈.
A frame device having an internal space opened toward the top, and a plurality of framing devices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o form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eiling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to 7, 9, 11 and 12 coupled to the frame device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m; and
A hanging devic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connecting the ceiling and the frame device to fix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to the ceiling,
ceil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회전되며 상기 골조장치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모듈.
According to claim 13,
The han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in the inner space and fixes the framing devi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ing device.
ceiling modu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장치는,
일단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골조장치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를 지지하는 걸쇠지지유닛;
상기 걸쇠지지유닛의 상부에 밀착되며, 일단부가 상기 골조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쇠지지유닛의 일단부와 맞닿아 상기 골조장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 및
상기 걸쇠지지유닛 및 상기 위치고정유닛을 상기 천장에 연결하여 상기 골조장치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연결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모듈.
According to claim 14,
The hanging device,
A clasp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framing device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ing device while one end is rotated;
a position fixing uni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clasp support unit and fixes the frame device by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lasp support unit with the frame devic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fixing unit for fixing the frame device to the ceiling by connecting the clasp support unit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to the ceiling.
ceiling module.
KR1020210036611A 2021-03-22 2021-03-22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KR102480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11A KR102480050B1 (en) 2021-03-22 2021-03-22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11A KR102480050B1 (en) 2021-03-22 2021-03-22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67A KR20220131667A (en) 2022-09-29
KR102480050B1 true KR102480050B1 (en) 2022-12-22
KR102480050B9 KR102480050B9 (en) 2023-07-13

Family

ID=8346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611A KR102480050B1 (en) 2021-03-22 2021-03-22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0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090B1 (en) * 2008-11-10 2011-09-16 송권용 The ceiling and wall panel
KR101569481B1 (en) * 2014-09-19 2015-11-27 (주)대한에스엔디 Ceiling panel fixing system
KR200484228Y1 (en) * 2015-06-08 2017-08-14 (주)주영산업 Unit of race w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205A (en)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한성케이 Ceiling finish apparatus having vibration isolation function and ceiling finish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090B1 (en) * 2008-11-10 2011-09-16 송권용 The ceiling and wall panel
KR101569481B1 (en) * 2014-09-19 2015-11-27 (주)대한에스엔디 Ceiling panel fixing system
KR200484228Y1 (en) * 2015-06-08 2017-08-14 (주)주영산업 Unit of race 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050B9 (en) 2023-07-13
KR20220131667A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06Y1 (en) Fasten apparatus of angker bolt for prevent fall of gang form
KR101323638B1 (en) Brick wall type masonry
KR101650145B1 (en)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KR20190113468A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with locker
KR102480050B1 (en)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KR102310529B1 (en) Ceiling panel system with enhanced seismic function
KR20090003854U (en) Structure of celing
KR20120006314A (en) Coupling structure of t-bar and ceiling panel
KR20220149811A (en) Ceiling module including ceiling finishing device
KR100944474B1 (en) The fixing frame for a roof
US20020104287A1 (en) Concrete building module with module lifting means and method
KR20210003036A (en) Standing Tube Fixture
JP2007120108A (en) Lifting and falling prevention device and earthquake resisting reinforcement existing pole making use thereof
KR20170032555A (en) Cable tray
KR102061877B1 (en) Safety parapet construct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KR101654163B1 (en) Connecting tool for salvage
KR101254502B1 (en) Semi-auto shackle
KR102073604B1 (en) Tool For Grating Fastener
KR102060885B1 (en) Assembly type handrail
KR102513471B1 (en) Wire fixing mechanism provided in apartment houses
KR200402360Y1 (en) Hanger
KR200483649Y1 (en) Supporting device for the extended vertical member
KR102667805B1 (en) An apparatus for fixing a rope for hanging the dusterof building
KR20200100306A (en)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fall of gang form
KR100746652B1 (en) The ceiling panel fixing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