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476B1 -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476B1
KR102479476B1 KR1020220097689A KR20220097689A KR102479476B1 KR 102479476 B1 KR102479476 B1 KR 102479476B1 KR 1020220097689 A KR1020220097689 A KR 1020220097689A KR 20220097689 A KR20220097689 A KR 20220097689A KR 102479476 B1 KR102479476 B1 KR 10247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power generation
resistant
generation system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이완형
오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9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진기능과 열차단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제 1부재(상부내진부재)와 제 2부재(하부내진부재)를 구성하여 내진에 대한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였고, 제 3부재(연결부재)를 구성하여 열교 차단과 단열기능을 상승시켰으며, 제 1부재와 제 2부재의 형상을 한정하여 내화성을 상승시킨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Roof-integra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earthquake-resistant member }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지붕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진기능과 열차단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설비는 햇빛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방법으로,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 발전 모듈을 이용한다.
화석연료의 환경문제와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기술개발은 확대되고 있고, 재생가능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전지 및 태양광 설비에 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태양전지는 오랜 시간 태양광에 노출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 적이다.
하지만,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경우 건물의 외형에 따라 설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태양광 발전 모듈은 지상이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건축물과 일체화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 시스템 형태로 설치된다.
최근 이상기후 현상으로 폭염, 혹한, 폭풍, 폭설, 지진 등 자연재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지붕재의 성능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단열재 적용, 열교차단, Passive 자재 적용을 통해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폭풍, 폭설, 지진 등에 의한 건물 외피의 탈락, 파손 등 건축물의 안전 및 성능저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열교차단 성능 저하로 인한 폭염, 혹한시 단열성능이 떨어져 건축물에너지 사용량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태양광모듈은 고전압을 구현하기 위해, 보다많은 태양전지 패널을 직렬배치하여 운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모듈 크기 또한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이때, 태양전지패널이 대면적화됨에 따라 풍압이나, 설하중, 자중 등 사용환경으로 인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태양전지패널의 일부면이 처지게 되면, 물이나 먼지 등이 쌓이게 되고 태양전지패널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는 내진기능이 없고, 단열재 두께별 열교를 차단하는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연결부재의 상, 하부 구조(Z형)가 달라서 좌굴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성능이 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10-1681208호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및 그 시공방법'과, 등록번호 10-2277989호의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등록번호 10-2292567호의 '열교차단 장치를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제 1부재(상부내진부재)와 제 2부재(하부내진부재)를 구성하여 내하중에 대한 성능이 상승되고, 파괴강도가 상승하여 내진에 대한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제 3부재(연결부재)를 구성하여 열교 차단과 단열기능을 상승시켰고, 제 1부재와 제 2부재의 형상을 한정하여 내화성을 상승시킨 내진기능과 열차단이 가능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광모듈부,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하부에 구성되며 태양광모듈부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내진부재, 상기 각각의 내진부재 사이에 구성되며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 상기 내진부재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도리프레임과 결합되는 베이스패널로 구성된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진부재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부와,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되는 제2부로 이루어지며 'T'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을 받침하는 제 3부와,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되는 제 4부로 이루어지며 'ㅗ'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되며 제 1부재와 제 2부재를 상호 연결되는 제 3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에 따르면, 내진에 대한 성능을 극대화시켰고, 열교차단과 단열기능을 상승시켰으며, 내화성능도 상승시켰고, 안정적인 구조로 인해 내구성이 상승시켰으며, 제품에 대한 강도도 상승시키는 등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광발전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인 내진부재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내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내진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내진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지지프레임과 걸이바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걸이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도 9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인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10)은,
측면에 구성되는 체결바와 패킹으로 구성되는 고정바(21)로 고정되며 태양광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태양광모듈부(20),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에 구성되되 축방향으로 걸이바(31)가 구성되고 태양광모듈부(2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하부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내진부재(100), 상기 각각의 내진부재(100) 사이에 구성되되 전선덕트(41)와 결로방지시트(43)가 구성되고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40), 상기 내진부재(100)의 하부에 구성되되 하부보강바(51)가 구성되고 하부에 중도리프레임(60)과 결합되는 베이스패널(50)로 구성된 태양광발전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내진부재(10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을 지지하는 제1부(11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2부(113)로 이루어지며 'T'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50)을 받침하는 제 3부(12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 4부(123)로 이루어지며 'ㅗ'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4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며 제 1부재(110)와 제 2부재(120)를 상호 연결되는 제 3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광모듈부(20),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에 구성되며 태양광모듈부(2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하부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내진부재(100), 상기 각각의 내진부재(100) 사이에 구성되며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40), 상기 내진부재(100)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도리프레임(60)과 결합되는 베이스패널(50)로 구성된 태양광발전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내진부재(10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을 지지하는 제1부(11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2부(113)로 이루어지며 'T'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5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50)을 받침하는 제 3부(12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 4부(123)로 이루어지며 'ㅗ'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6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며 제 1부재(110)와 제 2부재(120)를 상호 연결되는 제 3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10)에는 태양광모듈부(20), 지지프레임(30), 내진부재(100), 단열재(40), 베이스패널(50)이 구성된다.
태양광모듈부(20)는 태양광을 흡수하고, 지지프레임(30)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에 구성되며 태양광모듈부(2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며, 내진부재(100)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하부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고, 단열재(40)는 상기 각각의 내진부재(100) 사이에 구성되며 열을 차단하며, 베이스패널(50)은 상기 내진부재(100)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도리프레임(60)과 결합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더불어, 태양광모듈부(20)에는 체결바와 패킹으로 구성되는 고정바(21)가 구성되고,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에 구성되되 축방향으로 걸이바(31)가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내진부재(100) 사이에 구성되되 전선덕트(41)와 결로방지시트(43)가 구성되고, 상기 내진부재(100)의 하부에 구성되되 하부보강바(51)가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내진부재(100)에 대한 구조 및 구성요소를 변경하여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내진부재(100)에는 제 1부재(110), 제 2부재(120), 제 3부재(130)가 구성된다.
제 1부재(110)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을 지지하는 제1부(11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2부(113)로 이루어지며 'T'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7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부(111)는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부(111)는 제 2부(113)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며, 내진부재(100)에 대한 내구성을 상승시켰고, 양측으로 형성시켜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 1부(111)를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라운드형으로 형성함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내진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2부재(120)는 상기 베이스패널(50)을 받침하는 제 3부(12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 4부(123)로 이루어지며 'ㅗ'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8
'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부(121)는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부(121)는 제 4부(123)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며, 내진부재(100)에 대한 내구성을 상승시켰고, 양측으로 형성시켜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 3부(121)를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라운드형으로 형성함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내진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 1부재(110)와 제 2부재(120)는 'T'자를 형성하거나 또는 'ㅗ'자를 형성하거나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09
' 또는 '
Figure 112022081977785-pat00010
' 형상으로 형성 시 강판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이때, 강판의 반을 접힘하여 일측은 막힘되고 타 측은 개방되도록 한 후, 개방된 측의 일정 길이 부분에서 양측으로 꺾임하여 제 1부재(110) 또는 제 2부재(120)를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양측으로 꺾임된 부분은 제 1, 3부(111, 121)가 되고, 막힘된 부분은 제 2, 4부(113, 123)가 된다.
상기 제 1, 3부(111, 121)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완충부재가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스프링, 스펀지, 합성수지재 등 완충의 목적과 효과를 가지는 구성이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3부(111, 121)는 양측으로 연장되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라운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3부(111, 121)가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라운드로 형성 시 끝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꺾임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 1, 2부(111, 113)가 '
Figure 112022123662479-pat00026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3, 4부(121, 123)가 '
Figure 112022123662479-pat00027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 3부(111, 121)의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거나 하향 경사지거나, 또는 일정라운드로 인해 발생되는 틈새부분을 통해 상, 하부분의 진동을 흡수하여 내진성능을 극대화하였고, 단열재의 이격을 방지하였으며, 화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 내지 5를 참고로 설명하면,
제 3부재(130)는 상기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며 제 1부재(110)와 제 2부재(12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제 3부재(130)는 일 측이 제 2부(113) 또는 제 4부(123)의 양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 측이 제 2부(113) 또는 제 4부(123)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부재(130)는 일 측이 제 2부(113) 또는 제 4부(123)의 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 측이 제 2부(113) 또는 제 4부(123)의 양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3부재(130)는 제 2부(113)에 양면이 끼움 결합되고, 제 4부(123)는 일면이 결합되며, 상기 제 2부(113)와 제 4부(123)는 제 3부재(130)의 사용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으로 한정하지 않겠다.
본 발명에서는 제 3부재(130)와 제 2, 4부(113, 123)에 대한 연결을 볼트(피스)로 하였으나,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다른 구성요소로 적용할 수도 있음으로 상기 볼트에 대해 한정하지 않겠다.
상기 제 3부재(130)는 개별 구성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다수개가 상호 결합되게 구성되되 제 3부재(130) 각각의 일면이 상호 결합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3부재(130)를 다수개 구성 시 끼움 결합되는 부분(양면)을 상호 연결할 수 있음으로 상기한 제 3부재(130) 각각의 일면이 상호 결합되는 기술에 한정하지 않겠다.
도 5 내지 7을 참고로 설명하면,
본 발명인 내진부재(100)는 단열재(40)의 높이에 따라 간격조절부(135)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3부재(130)를 다수개 구성하여 상호 결합 시 각각의 제 3부재(13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간격조절부(135)의 일 측과 타 측은 각각 일면만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각각의 면(136, 137)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부재(130)와 간격조절부(135)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열차단플레이트(200)가 구성되어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제 1부재(110)의 제 2부(113)에 제 3부재(130)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 3부재(130)의 일측(일면)은 간격조절부(135)의 일면과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부(135)의 타측면은 또다른 제 3부재(130)의 일측(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3부재(130)의 타측이 제 2부재(120)의 제 4부(123)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제 3부재(130)를 다수개 구성하여 상호 결합 시 연결되는 일면과 일면 사이에는 열차단플레이트(20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차단플레이트(200)는 각각 연결되는 제 3부재(130) 또는 제 3부재(130)와 간격조절부(135)의 일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성하여 내구성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열차단율을 상승시켰다.
상기 제 3부재(130)의 끝부는 제 1부재(110) 및 제 2부재(120)와 연결 시 제 1부(111) 및 제 3부(121)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3부재(130)의 끝부는 제 1, 3부(111, 12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함으로 인해 제품에 대한 지지력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제 3부재(13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반의 유리섬유로 보강된 난연복합소재로 열전도도는 0.3 내지 3 W/mK, 인장강도 130 내지 300 MPa, 난연성 V0 등급의 소재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8 내지 11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프레임(30)에는 태양광모듈부(20)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측면가이드부와, 하부를 안착하는 안착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가이드부는 다수개 구성되는 태양광모듈부(20)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가이드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태양광모듈부(20)를 가이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하부 양측으로 태양광모듈부(20)의 끝부 저면을 받침하는 받침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는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가 안착되며, 상기 받침부와 동일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측면가이드부와 안착대 사이에는 빗물 등이 흐를 수 있도록 배수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0)과 걸이바(31)는 직결 체결되는 구조로 태양전지패널이 4면에 안착되고, 태양전지패널의 4면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수분(빗물 등)을 원할히 배수할 수 있는 그리드 배수 시스템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바(31)는 태양광모듈부(20)의 하측을 걸림하는 걸림부(31a)와,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31b)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이바(31)는 중앙 돌출부 하부에서 일측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며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31a)와, 타측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31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는 태양광모듈부(20)의 하측부분을 걸림부에 걸림하여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유동을 방지하고, 지지부는 태양광모듈부(20)의 하측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바(21)의 체결바에는 태양광모듈부(20)의 일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패킹에는 상기 체결바의 가이드부가 인입되도록 인입홈과, 상기 유입방지부와 대응되는 보조방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바(21)는 다수개 구성되는 태양광모듈부(20)와 태양광모듈부(20) 사이의 틈새에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태양광모듈부(20)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도록 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질의 보조방지부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와 태양광모듈부(20)의 외측 일부분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미세한 틈새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진에 대한 성능을 극대화시켰고, 열교차단과 단열기능을 상승시켰으며, 내화성능도 상승시켰고, 안정적인 구조로 인해 내구성이 상승시켰으며, 제품에 대한 강도도 상승시켰다.
10 : 태양광발전시스템 20 : 태양광모듈부 21 : 고정바
30 : 지지프레임 31 : 걸이바
40 : 단열재 41 : 전선덕트 43 : 결로방지시트
50 : 베이스패널 51 : 하부보강바 60 : 중도리프레임
100 : 내진부재
110 : 제 1부재 111 : 제 1부 113 : 제 2부
120 : 제 2부재 121 : 제 3부 123 : 제 4부
130 : 제 3부재 (131 : 제 5부 133 : 제 6부)
135 : 간격조절부
200 : 열차단플레이트

Claims (12)

  1. 측면에 구성되는 체결바와 패킹으로 구성되는 고정바(21)로 고정되며 태양광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태양광모듈부(20);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에 구성되되 축방향으로 걸이바(31)가 구성되고 태양광모듈부(2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30)을 지지하는 제1부(11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2부(113)로 이루어진 제 1부재(110)가 구성되고, 베이스패널(50)을 받침하는 제 3부(121)와,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는 제 4부(123)로 이루어진 제 2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단열재(40)와 단열재(40) 사이에 위치되며 제 1부재(110)와 제 2부재(120)를 상호 연결되는 제 3부재(130)로 구성되는 내진부재(100);
    상기 각각의 내진부재(100) 사이에 구성되되 전선덕트(41)와 결로방지시트(43)가 구성되고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40);
    상기 내진부재(100)의 하부에 구성되되 하부보강바(51)가 구성되고 하부에 중도리프레임(60)과 결합되는 베이스패널(50)로 구성되되,
    상기 제 1부(111)는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 2부(111, 113)가 'Y'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부(121)는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3, 4부(121, 123)가 'ㅅ'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부재(130)는 유리섬유로 보강된 난연복합소재로 열전도도는 0.3 내지 3 W/mK, 인장강도 130 내지 300 MPa로 이루어진 태양광발전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제 1, 3부(111, 121)의 끝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꺾임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 1, 2부(111, 113)가 '
    Figure 112022123662479-pat00028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3, 4부(121, 123)가 '
    Figure 112022123662479-pat00029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부재(130)는 일측이 제 2부(113) 또는 제 4부(123)의 양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이 제 2부(113) 또는 제 4부(123)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3부재(130)의 끝부는 제 1, 2부재(110, 120)와 연결 시 제 1부(111) 및 제 3부(121)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부재(130)는 개별 구성되어 연결되거나 또는 다수개가 상호 결합되게 구성되되 제 3부재(130) 각각의 일면이 상호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에는 태양광모듈부(20)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측면가이드부와, 하부를 안착하는 안착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바(31)는 태양광모듈부(20)의 하측을 걸림하는 걸림부(31a)와,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31b)로 구성되되,
    상기 걸이바(31)는 중앙 돌출부 하부에서 일측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며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31a)와, 타측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3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부재(130)를 다수개 구성하여 상호 결합 시 연결되는 일면과 일면 사이에는 열차단플레이트(20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부재(130)를 다수개 구성하여 상호 결합 시 각각의 제 3부재(130)를 상호 연결하는 간격조절부(135)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부재(130)와 간격조절부(135)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열차단플레이트(20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097689A 2022-08-05 2022-08-05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247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689A KR102479476B1 (ko) 2022-08-05 2022-08-05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689A KR102479476B1 (ko) 2022-08-05 2022-08-05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476B1 true KR102479476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689A KR102479476B1 (ko) 2022-08-05 2022-08-05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4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4890A (ja) * 2012-01-13 2013-07-25 Taisei Corp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127279B1 (ko) * 2020-03-11 2020-07-07 (주)에이비엠 열교차단용 포스트를 구비한 지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3938B1 (ko)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건기 이중의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금속패널 지붕
KR102292567B1 (ko) * 2021-04-21 2021-08-25 주식회사 건기 열교차단 장치를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4890A (ja) * 2012-01-13 2013-07-25 Taisei Corp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127279B1 (ko) * 2020-03-11 2020-07-07 (주)에이비엠 열교차단용 포스트를 구비한 지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3938B1 (ko)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건기 이중의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금속패널 지붕
KR102292567B1 (ko) * 2021-04-21 2021-08-25 주식회사 건기 열교차단 장치를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567B1 (ko) 열교차단 장치를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640627B1 (ko) 최소 관통 옥상 지지 시스템을 갖춘 광발전 어레이
KR102277989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20110290305A1 (en) Cabled matrix for cantilevered photovoltaic solar panel arrays, apparatus and deployment systems
KR101136068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모듈 설치구조
US20110197418A1 (en) String Solar Panel Mounting System
KR102508973B1 (ko)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79476B1 (ko) 내진부재가 구비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216002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트 시스템
KR102322379B1 (ko) 경량화된 태양광 모듈 지붕 설치용 설치 구조물
KR101942283B1 (ko) 지붕 무타공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체
KR20130130276A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누수방지를 위한 체결구
CN106849840A (zh) 抗风太阳能屋顶
JPH03200376A (ja) 屋根設置型太陽電池及びその設置方法
KR102433542B1 (ko) 다중 방수 구조를 겸비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CN206389314U (zh) 用于混凝土弧形屋面的光伏组件支架
Bessey Structural Design of Flexible ETFE Atrium Enclosures Using a Cable-Spring Support System
CN113809983A (zh) 专用于安装光伏板的屋面系统
KR102607673B1 (ko) 케이블가이드를 구비한 결빙방지 지붕 일체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2608836B1 (ko) 히팅케이블에 의해 결빙을 방지한 태양광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 지붕구조체
CN214506955U (zh) 一种新型的光伏发电支架
US11652439B2 (en) System for mounting tiles
KR102585355B1 (ko) 회전조립 및 내진구조를 구비한 지붕 패널 시스템과 그 시공 방법
KR102502689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204419B1 (ko) 건축물용 태양 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