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838B1 -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838B1
KR102478838B1 KR1020210175894A KR20210175894A KR102478838B1 KR 102478838 B1 KR102478838 B1 KR 102478838B1 KR 1020210175894 A KR1020210175894 A KR 1020210175894A KR 20210175894 A KR20210175894 A KR 20210175894A KR 102478838 B1 KR102478838 B1 KR 10247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ontrol unit
unit
air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호
박진욱
김휘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H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7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for sensing other physical parameters, e.g. electrical or 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H04N5/23258
    • H04N5/23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이나 지하주차장, 지하차도와 같은 반밀폐공간에서 수소차의 화재, 누출, 폭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수소감지기가 구비된 이동체를 원격 조종을 통해 투입하여 수소 농도를 계측함으로써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의 투입 전에 반밀폐공간 내부 환경에 대한 수소 위험을 감지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이동체의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바퀴을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주행구동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감지기;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소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구동부와 공기흡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주행구동부의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원격조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Movable Hydrogen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수소 가스를 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 가스 누출이 예상되는 공간으로 수소감지기가 구비된 이동체를 원격 조종을 통해 투입하여 수소 농도를 계측할 수 있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유해 배출가스 및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 재생에너지가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수소를 이용한 내연기관이나,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이하, 수소차)는 화석연료에 비해 유해 배출가스 발생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를 통해 국내 수소산업의 가능성과 현황 분석 및 2040년까지의 구체적인 활성화 계획을 제시하였다. 로드맵에서는 2040년까지 수소차(620만대), 충전소(1,200개소), 버스(4만대) 보급을 목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년 수소차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산지가 70%이고, 도심지 인구 집중화가 가속됨으로 발생되는 교통체증 완화를 위해 국내의 터널 및 지하도로 개발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두 가지 현재 실정을 고려했을 때, 수소차가 터널이나 지하주차장, 지하차도와 같은 반밀폐공간에서 화재, 누출, 폭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한 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반밀폐공간 특성상 수소 누출로 인해 내부 수소 농도가 상승하여 폭발조건이 형성되었을 경우, 화재진압이나 사고 수습을 위한 소방인력을 투입하면 소방인력에 대한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수소 산업은 도입 초기로, 수소를 감지할 수 있는 수소감지기 및 센서 등 개발되고 있지만, 수소차 보급 확대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반밀폐공간내 수소차량 사고에 대비하여 소방대나 구조대의 투입전 수소 위험을 점검하여 투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소방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드론을 이용한 위험 가스 감지 기술 개발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도입 단계이며, 터널이나 지하주차장과 같은 반밀폐공간 형태의 시설물에서 드론과 같은 비행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53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302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이나 지하주차장, 지하차도와 같은 반밀폐공간에서 수소차의 화재, 누출, 폭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수소감지기가 구비된 이동체를 원격 조종을 통해 투입하여 수소 농도를 계측함으로써 반밀폐공간 내부 환경에 대한 수소 위험을 감지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이동체의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바퀴을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주행구동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감지기;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소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구동부와 공기흡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주행구동부의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원격조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는,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수소감지기를 경유하여 흡입펌프와 연통되며 상단이 외부로 연통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을 포함하는 포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배관은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파이프로 이루어져 흡입배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화재 발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주행구동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주행대차와, 상기 주행대차에 연결되어 주행대차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공기흡입부 및 수소감지기가 설치되는 탐지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구동모터 및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주행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연결되어 주행대차를 따라 이동하는 탐지대차; 상기 탐지대차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펌프와, 수소감지기를 경유하여 흡입펌프와 연통되며 상단이 외부로 연통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을 포함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탐지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의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감지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카메라; 상기 주행대차 또는 탐지대차에 설치되며, 상기 수소감지기와 영상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 신호와 영상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구동부와 공기흡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주행구동부의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원격조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배관은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파이프로 이루어져 흡입배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지하주차장, 지하차도와 같은 반밀폐공간, 또는 수소를 이용하는 장치의 화재나 폭발, 누출이 발생한 임의의 장소로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을 원격 제어를 통해 투입하고, 수소감지기를 이용하여 수소 농도를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의 투입을 관리하는 책임자가 사고 현장에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을 투입하기 전에 수소 농도 측정 데이터를 확인하여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의 투입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의 요부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이동체(10)와, 이동체(10)에 설치되는 주행구동부(20), 공기흡입부, 수소감지기(40), 영상카메라(50), 열화상카메라(60), 배터리(75)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제어부(8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주행구동부(20)를 원격으로 조정하는 원격조정부(80)와, 제어부(80)로부터 수소농도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수신부(90)를 더 포함한다.
이동체(10)는 수소감지기(40)를 터널이나 지하주차장, 지하차도와 같은 반밀폐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13)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체(10)는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주행구동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대차(11)와, 상기 주행대차(11)에 연결되어 주행대차(11)를 따라 이동하는 탐지대차(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체(10)를 주행대차(11)와 탐지대차(12)로 분리하여 구성하면, 주행대차(11)를 원격 조정이 가능한 공지의 이동로봇이나 자동주행 차량 등을 적용하여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해지고, 주행대차(11)가 고장나거나 사고 현장에서 사양의 변화가 필요할 경우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주행대차(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구동부(20)는 제어부(8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는 구동모터(21)와, 바퀴(13)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조향장치(22)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1)는 직접 또는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기구를 통해서 바퀴(13)의 축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주행대차(11)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주행구동부(20)의 구성은 전기차 또는 물류용 무인운반차(Automated Guided Vehicle, AGV) 등에 적용되는 주행장치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공기흡입부는 수소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수소감지기(40)로 공급하도록 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 공기흡입부는, 제어부(8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펌프(31)와, 상기 수소감지기(40)를 경유하여 흡입펌프(31)와 연통되며 상단이 외부로 연통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배관(32)을 포함한다.
수소 가스는 공기보다 가벼워서 위로 부유하기 때문에 반밀폐공간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해야 수소 가스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흡입배관(32)을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파이프로 구성하여, 흡입배관(3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펌프(31)는 공지의 진공펌프나 에어컴프레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소감지기(40)는 상기 공기흡입부의 흡입배관(3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소 농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도록 된 것으로, 수소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공지의 수소 센서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라믹 수소 센서(접촉연소식, 열선식 및, 열전식 등), 반도체 소자식 수소 센서(MISFET, MOS), SAW식, 광학식 수소 센서 및 전기화학식(potentiometric/amperometric) 수소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수소감지기(40)는 측정한 수소 농도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80)로 전송한다.
영상카메라(5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함으로써 주행대차(11)가 다른 물체에 부딪히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반밀폐공간 내부 환경과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영상카메라(50)는 자이로센서가 탑재된 짐벌 시스템 상에 장착되어 원격 운전에 의해 주행대차(11) 및 탐지대차(12)가 이동할 때 화면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영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화상카메라(60)는 화재 발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80)는 열화상카메라(60)를 이용하여 검출한 화재 발생 위치로 주행대차(11) 및 탐지대차(12)를 이동하여 정확한 수소 농도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60) 또한 영상카메라(50)와 마찬가지로 자이로센서가 탑재된 짐벌 시스템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조종부(80)는 외부에서 주행대차(11)를 구동하는 주행구동부(20)의 작동을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하여 주행대차(11)가 원하는 위치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의 리모트컨트롤러 또는 사용자의 이동형 무선통신 단말기('스마트폰'이라고도 함)의 앱(App.)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수신부(90)는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부(80)로부터 수소 농도 측정 데이터와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외부의 관제센터에서 반밀폐공간의 내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컴퓨터,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80)로부터 전송된 수소 농도 측정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를 가시적인 수치나 그래프, 영상 등으로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
제어부(80)는 주행구동부(20)의 구동모터(2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모터(21)의 작동을 제어하고, 주행구동부(20)의 조향장치(22)의 작동을 제어하여 바퀴(13)의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수소감지기(40), 영상카메라(50), 열화상카메라(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소감지기(40)로부터 수소 농도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카메라(50) 및 열화상카메라(6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80)는 상기 원격조종부(80) 및 데이터수신부(90)와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터널, 지하주차장, 지하차도와 같은 반밀폐공간에서 수소차의 화재, 누출, 폭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흡입배관(32)의 높이를 반밀폐공간의 높이에 맞춰 조정한 다음, 원격조정부(80)(예를 들어 리모트컨트롤러)로 제어부(80)에 주행구동부(20)의 구동모터(21) 및 조향장치(22)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80)는 원격조정부(80)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구동부(20)의 구동모터(21) 및 조향장치(22)의 작동을 제어하여 주행대차(11)를 이동시켜 반밀폐공간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어부(80)는 영상카메라(50)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데이터수신부(90)로 전송하고, 데이터수신부(90)는 수신한 영상 신호를 이미지화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외부에서 반밀폐공간의 내부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원격조정부(80)를 조정하는 사람은 상기 데이터수신부(9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된 영상을 보고 주행대차(11)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주행대차(11) 및 탐지대차(12)가 반밀폐공간 내부로 이동하면, 원격조정부(80)를 통해 제어부(80)에 흡입펌프(3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흡입펌프(31)가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흡입펌프(31)가 작동하면 흡입배관(32)의 상단 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배관(3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수소감지기(40)를 통과하게 되고, 수소감지기(40)에 의해 공기 중의 수소 농도가 측정된다.
수소감지기(40)에 의해 측정된 수소 농도 데이터는 제어부(80)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데이터수신부(90)로 전송되어, 데이터수신부(9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수소 농도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의 투입을 관리하는 책임자가 상기 데이터수신부(90)를 통해 출력되는 수소 농도 측정 데이터를 보고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의 투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감지기(40)에 의해 감지되는 수소 농도가 4~75%일 경우 수소 폭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수소 폭발 가능성이 없는 수소 농도 범위에서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의 투입을 결정함으로써 소방인력 또는 구조인력의 2차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대차(11)와 탐지대차(12)를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사고 현장으로 이동하여 수소 농도 감지 작업을 수행할 때, 열화상카메라(60)를 이용하여 회득한 열화상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대차(11)와 탐지대차(12)를 화재 또는 폭발 위치로 접근시켜 정확한 수소 농도 측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의 작동례에서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을 반밀폐공간으로 투입하여 수소 농도를 측정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수소 농도 측정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장소에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을 투입하여 수소 농도를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을 반밀폐공간으로 투입하고, 흡입펌프(31)를 작동시켜 흡입배관(3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수소 농도를 측정할 때, 화재로 인한 다량의 분진이 함께 흡입되면 정확한 수소 농도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흡입배관(32)의 상단 입구측에 흡입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00)로는 헤파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00)에 너무 많은 분진이 퇴적될 경우에는 공기가 잘 흡입되지 않아 정확한 수소 농도 측정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필터부재(100)의 일측에 흡입펌프(31)의 배기구에 배관(112)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펌프(31)에서 배출된 후 배관(11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부재(100)의 전방면으로 분사하여 필터부재(100)에 퇴적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클리닝노즐(111)을 설치하고, 상기 배관(112)과 흡입펌프(31)의 배기구 사이에 제어부(80)(도 2 참조)의 제어신호를 받아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113)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13)는 제어부(80)에 의해 주기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어, 흡입펌프(31)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관(112)을 통해 필터클리닝노즐(111)로 안내하여 필터부재(100)의 전방면을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밸브(113)가 개방되면 흡입펌프(31)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던 공기가 배관(112)을 통해 유동하여 필터클리닝노즐(111)을 통해 필터부재(100)의 전방면으로 분사되어 필터부재(100)의 전방면에 퇴적되어 있던 분진을 제거하여 필터부재(100)를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하고, 필터부재(100)의 수명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배관(112)은 내열성의 호스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클리닝노즐(111)과 배관(112) 및 솔레노이드밸브(113)의 구성은 별도의 공기 분사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흡입펌프(31)의 배출 공기를 사용하여 필터부재(100)의 전방면을 청소하여 정확한 수소 농도 측정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함과 더불어,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콤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이동체 11 : 주행대차
12 : 탐지대차 20 : 주행구동부
21 : 구동모터 22 : 조향장치
31 : 흡입펌프 32 : 흡입배관
40 : 수소감지기 50 : 영상카메라
60 : 열화상카메라 70 : 제어부
75 : 배터리 80 : 원격조정부
90 : 데이터수신부 100 : 필터부재
111 : 필터클리닝노즐 112 : 배관
113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11)

  1.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이동체의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바퀴을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주행구동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감지기;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소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구동부와 공기흡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주행구동부의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원격조종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수소감지기를 경유하여 흡입펌프와 연통되며 상단이 외부로 연통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배관과, 상기 흡입배관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에 상기 흡입펌프의 배기구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펌프에서 배출된 후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부재로 분사하여 필터부재에 퇴적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클리닝노즐과, 상기 배관과 흡입펌프의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은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파이프로 이루어져 흡입배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주행구동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주행대차와, 상기 주행대차에 연결되어 주행대차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공기흡입부 및 수소감지기가 설치되는 탐지대차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8. 구동모터 및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주행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연결되어 주행대차를 따라 이동하는 탐지대차;
    상기 탐지대차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펌프와, 수소감지기를 경유하여 흡입펌프와 연통되며 상단이 외부로 연통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배관을 포함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탐지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부의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감지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카메라;
    상기 주행대차 또는 탐지대차에 설치되며, 상기 수소감지기와 영상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 신호와 영상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구동부와 공기흡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주행구동부의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원격조종부;
    상기 흡입배관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에 상기 흡입펌프의 배기구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펌프에서 배출된 후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부재로 분사하여 필터부재에 퇴적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클리닝노즐; 및,
    상기 배관과 흡입펌프의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은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파이프로 이루어져 흡입배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KR1020210175894A 2021-12-09 2021-12-09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KR102478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894A KR102478838B1 (ko) 2021-12-09 2021-12-09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894A KR102478838B1 (ko) 2021-12-09 2021-12-09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838B1 true KR102478838B1 (ko) 2022-12-20

Family

ID=8453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894A KR102478838B1 (ko) 2021-12-09 2021-12-09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8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96A (ko) * 1998-06-26 2000-01-25 니시오카 요시아키 암모니아분석계
JP2002307337A (ja) * 2001-04-18 2002-10-23 Toyo High Mech Kk 遠隔操作ロボット装置
KR20090006544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누설검출장치
KR100885305B1 (ko) 2006-12-27 2009-02-24 주식회사 유진로봇 복합 가스 및 방사선 원격 측정이 가능한 이동 로봇 시스템
CN107875549A (zh) * 2017-11-07 2018-04-06 山东阿图机器人科技有限公司 防爆消防侦察灭火机器人及工作方法
KR102073028B1 (ko) 2018-10-01 2020-02-04 대한민국 무인 화학물질 탐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96A (ko) * 1998-06-26 2000-01-25 니시오카 요시아키 암모니아분석계
JP2002307337A (ja) * 2001-04-18 2002-10-23 Toyo High Mech Kk 遠隔操作ロボット装置
KR100885305B1 (ko) 2006-12-27 2009-02-24 주식회사 유진로봇 복합 가스 및 방사선 원격 측정이 가능한 이동 로봇 시스템
KR20090006544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누설검출장치
CN107875549A (zh) * 2017-11-07 2018-04-06 山东阿图机器人科技有限公司 防爆消防侦察灭火机器人及工作方法
KR102073028B1 (ko) 2018-10-01 2020-02-04 대한민국 무인 화학물질 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0676B (zh) 隧道巡检机器人及隧道巡检系统
CN210233046U (zh) 一种轨道式地下综合管廊巡检机器人及系统
CN108468568A (zh) 一种隧道检测机器人及其巡检方法
WO2017088555A1 (zh) 一种基于轨道机器人的智慧管网系统
CN106003064A (zh) 一种复杂环境多传感器智能探测机器人
CN102426218A (zh) 一种自动探测有害气体的活动装置及其检测方法
CN107300923A (zh) 一种轨道检测机器人
CN103823465A (zh) 一种无线自动巡检报警车
CN111672045A (zh) 一种消防机器人、消防系统和消防控制方法
CN212251952U (zh) 一种燃气管网无人巡检车
CN107521572A (zh) 自主式生命探测机器人
CN209634595U (zh) 一种新型的具有自主避障功能的矿井侦测机器人
CN204856208U (zh) 一种远程遥控探测车
CN112581645A (zh) 一种电缆隧道协同巡检方法及系统
KR101771366B1 (ko) 공기 오염 측정을 위한 교통 정보 단말
CN110081317B (zh) 泄漏源定位装置和系统
CN108871457A (zh) 一种管道检测系统
CN110356200A (zh) 车辆净化装置、车辆净化方法及存储介质
CN201909771U (zh) 一种自动探测有害气体的活动装置
CN107816975A (zh) 悬挂式空铁轨道梁桥自动检测系统
KR102478838B1 (ko) 이동형 원격 수소 탐지 시스템
CN109131016A (zh) 一种多功能建筑结构检测车
CN114536300A (zh) 一种用于室内的轨道式电力巡检机器人和灭火方法
CN110118710A (zh) 一种煤仓安全监测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70108497A (ko) 하수관로 운영관리를 위한 하수관로 내 환경모니터링용 자주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