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711B1 -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711B1
KR102478711B1 KR1020207028822A KR20207028822A KR102478711B1 KR 102478711 B1 KR102478711 B1 KR 102478711B1 KR 1020207028822 A KR1020207028822 A KR 1020207028822A KR 20207028822 A KR20207028822 A KR 20207028822A KR 102478711 B1 KR102478711 B1 KR 10247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afe
frequency
safe charging
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721A (ko
Inventor
청웨이 리
케 아이
통지에 리
지안종 조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 내의 모듈 컴포넌트 상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충전 방법은,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작동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로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고, 민감 주파수는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음)와,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단계(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와,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단계(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이 출원은 충전 기술 분야에 관련되고, 특히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근간에,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terminal device)가 점점 더 널리 사용된다. 추가로, 현재의 단말 디바이스는 모두 사용을 위해 주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재충전가능(rechargeable)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는 사람들의 삶을 대단히 편하게 한다.
그러나, 기존의 충전 방식에서, 유선 충전 방식이든 또는 무선 충전 방식이든 상관없이, 생성된 충전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 내의 모듈 컴포넌트(module component)(모듈 컴포넌트는 단말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모듈의 컴포넌트 또는 일부일 수 있음),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터치 모듈(터치 패널(Touch Panel, TP)), 카메라 모듈, 지문 모듈 및 유사한 것에 커플링될(coupled)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유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예를 들어, 유선 충전기)에 의해 생성된 충전 신호는 전도(conduction) 방식으로 모듈 컴포넌트에 커플링된다.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예를 들어,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충전 신호는 모듈 컴포넌트에 공간적으로 커플링된다.
그러므로, 충전 신호의 주파수가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또는 고조파(harmonic))와 일치하는 (또는 이에 가까운) 경우에, 모듈 컴포넌트가 동작할 때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P의 터치 민감도가 감소되거나, 카메라 모듈 상에 컬러 줄무늬 또는 물결무늬가 나타나거나, 지문 모듈의 잠금해제 성공률이 감소된다. 이것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끼친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 내의 모듈 컴포넌트 상에 생성되는 간섭(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해,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라, 이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sensitive module component)의 작동 상태(working status)를 획득하는 것(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sensitive frequency)로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을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고, 민감 주파수는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음);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enabled state)인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것(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것(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함).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는 판정된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한다.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다시 말해,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야기되는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민감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는 것; 및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저장된 제1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하는 것(제1 맵핑 관계는 민감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 안전 충전 전압과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2개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는 타입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없는 타입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는 타입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인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획득된 민감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고, 이후 제1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민감 주파수는 동작 주파수이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는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사전저장된 제2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하는 것(제2 맵핑 관계는 민감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 안전 충전 주파수와 안전 충전 전압과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제2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직접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물론, 충전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민감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전류를 획득할 수 있다.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획득된 민감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전압을 안전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전류를 안전 충전 전류로 변환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들의 중간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판정하는 것;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압들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을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는 것; 또는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류들 중의 최소 충전 전류를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는 것.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 충전 디바이스는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안전 충전 주파수들의 중간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판정하고,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안전 충전 전압들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을 안전 충전 전압으로 판정하고,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안전 충전 전류들 중의 최소 충전 전류를 안전 충전 전류로서 판정한다.
제2 측면에 따라, 이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작동 상태를 획득하는 것;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작동 상태를 충전 모듈에 발신하는 것(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로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을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고, 민감 주파수는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음);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충전 모듈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것(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충전 모듈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하는 것(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함).
가능한 설계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 방법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하는 것(동작 주파수는 민감 주파수임);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획득된 동작 주파수를 충전 모듈에 발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충전 모듈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것은: 충전 모듈에 의해, 획득된 동작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는 것; 및 충전 모듈에 의해, 사전저장된 제1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하는 것(제1 맵핑 관계는 민감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 안전 충전 전압과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충전 모듈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사전저장된 제2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충전 모듈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하는 것(제2 맵핑 관계는 민감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 안전 충전 주파수와 안전 충전 전압과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가능한 설계에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들의 중간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판정하는 것;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압들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을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는 것; 또는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류들 중의 최소 충전 전류를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는 것.
가능한 설계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작동 상태를 충전 모듈에 발신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작동 상태를 충전 모듈에 직접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작동 상태를 노드 파일(node file) 내에 기입하는 것(충전 모듈은 노드 파일로부터 작동 상태를 획득함).
제3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충전 디바이스는 제1 측면에서의 방법에서 충전 디바이스의 거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가 대응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충전 디바이스의 구조는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충전 디바이스가 제1 측면에서의 방법에서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메모리는 필요한 명령어 및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측면에서의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거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가 대응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는 충전 모듈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충전 모듈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제2 측면에서의 방법에서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서의 기능과,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거나,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서의 방법과,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호출되고 실행되는 경우에, 컴퓨터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서의 방법과,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충전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는 것, 예를 들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서의 방법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을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충전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충전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기능을 칩 시스템이 구현할 수 있도록, 칩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는 칩 시스템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하거나, 칩 및 다른 별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 내지 제7 측면 및 제2 측면 내지 제7 측면의 구현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구현에서의 방법의 유익한 효과의 설명을 참조하시오.
도 1은 선행 기술에서 고정 주파수(fixed-frequency) 무선 충전 솔루션(solution)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선행 기술에서 주파수 스위핑(frequency sweeping) 무선 충전 솔루션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카메라 모듈인 경우 카메라 모듈의 반간섭(anti-interference)의 파형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민감 모듈 컴포넌트, 충전 모듈 및 무선 충전 디바이스 간의 통신의 개략도이고,
도 7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8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충전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9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더 나은 이해를 갖도록, 이 출원의 실시예의 몇몇 용어가 기술된다.
(1)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연결 기능을 가진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하고,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RAN과 교환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무선 단말 디바이스,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 콘솔(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 디바이스(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또는 유사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로 지칭됨),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를 가진 컴퓨터, 휴대가능한, 포켓 크기로 된, 핸드헬드인, 컴퓨터 내장형(computer built-in) 또는 차량내(in-vehicle) 모바일 장치, 지능형 착용가능 디바이스(intelligent wearable device),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코드 전화 세트(cordless telephone set),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시계(smartwatch), 스마트 헬멧(smart helmet),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약된 디바이스, 예를 들어, 비교적 낮은 전력 소모를 가진 디바이스, 제한된 저장 능력을 가진 디바이스, 또는 제한된 컴퓨팅 능력을 가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바코드(barcode),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센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또는 레이저 스캐너(laser scanner)와 같은 정보 감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2) 무선 충전 표준: 현재, 주류 무선 충전 표준은 전력 사안 연합(Power Matters Alliance, PMA)에 의해 발표된 PMA 표준, 무선 전력 컨소시엄(Wireless Power Consortium, WPC)에 의해 발표된 Qi 표준 및 무선 전력 연합(Alliance for Wireless Power, A4wP)에 의해 발표된 A4WP 표준을 포함한다. 예로서 Qi 표준을 사용하면, Qi 표준에 기반한 무선 충전의 동작 주파수는 110 킬로헤르츠(kilohertz)(KHz) 내지 205 kHz이다. 각각의 벤더는 각 벤더의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주파수 대역 110 kHz 내지 205 kHz 로부터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무선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한다.
(3) 추가로, 이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객체를 기술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기술하며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3개의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오직 A가 존재함, A 및 B 양자 모두가 존재함, 그리고 오직 B가 존재함. 추가로, 만일 특별한 설명이 없다면, 이 명세서에서의 기호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객체 간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단어는 구분 및 설명을 위해 사용될 뿐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의 표시 또는 암시 또는 순서의 표시 또는 암시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 출원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이 출원을 더 기술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충전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력이 조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디바이스 상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충전 전력을 요구한다.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중심 위치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에, 비교적 작은 충전 전력이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중심 위치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비교적 큰 충전 전력만이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추가로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충전 국면에서 상이한 충전 전력을 요구한다.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배터리 레벨이 비교적 낮은 경우, 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이 10%에 머물러 있는 경우에, 비교적 큰 충전 전력만이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배터리 레벨이 비교적 높은 경우, 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이 90%에 머물러 있는 경우에, 비교적 작은 충전 전력이 단말 디바이스의 충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다음은 현재의 주요 무선 충전 솔루션 및 각각의 무선 충전 솔루션에서 충전 전력을 조정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1. 고정 주파수에 기반한 무선 충전 솔루션
이 무선 충전 솔루션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는 고정 주파수일 수 있다. 도 1은 고정 주파수 무선 충전 솔루션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의 개략도이다. 무선 충전 솔루션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가 고정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 내의 충전 모듈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력을 조정하는데,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조정한다.
2. 주파수 스위핑에 기반한 무선 충전 솔루션
이 무선 충전 솔루션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는 고정되지 않는바, 다시 말해,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F1가 충전 동안에 처음 10분간 충전을 위해 사용되고,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F2가 충전 동안에 다음 40분간 충전을 위해 사용되고,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F3가 충전 동안에 마지막 10분간 충전을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주파수 스위핑 무선 충전 솔루션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의 개략도이다. 무선 충전 솔루션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모듈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솔루션 1 및 무선 충전 솔루션 2 양자 모두 장점과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솔루션 1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는 안정적으로 남아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 내의 모듈 컴포넌트에 대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포머가 추가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제조 원가 및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크기가 증가된다. 무선 충전 솔루션 2에서, 어떤 트랜스포머도 사용되지 않아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제조 원가 및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크기가 감소된다. 그러나,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동작 주파수가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 내의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 또는 주파수 체배(frequency multiplication)가 주파수 대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와 일치하거나 이에 근접하는 경우에, 모듈 컴포넌트는 쉽게 간섭 받는다.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은 유선 충전 시나리오 또는 무선 충전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선 충전 시나리오에 적용된다.
도 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시스템 아키텍처 도해이다. 도 3에, 단말 디바이스(30) 및 충전 디바이스(31)가 포함된다.
충전 디바이스(31)는 유선 충전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무선 충전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3에서, 단말 디바이스(30) 및 충전 디바이스(31)는 점선을 통해서 연결되는데, 단말 디바이스(30) 및 충전 디바이스가 무선 방식으로 연결됨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단말 디바이스(30) 및 충전 디바이스(31)는 대안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선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는데, 단말 디바이스(30) 및 충전 디바이스가 유선 방식으로 연결됨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충전 디바이스(31)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인 것이 예로서 사용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30)가 이미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영역 내에 있고 신원(identity) 식별이 성공함을 판정하는 경우에만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한다. 여기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 내에 구성된 센서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30)가 무선 충전 영역 내에 위치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30)가 무선 충전 영역 내에 놓인 것인지를 검출하는 데에 적외선 센서가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30)가 무선 충전 영역 내에 놓인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초음파 송신기 및 수신단 간의 거리가 비교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신원 식별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30)가 이미 무선 충전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30)에, 식별 번호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발신한다. 명령어를 수신하고 파싱한(parsing) 후에, 단말 디바이스(30)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피드백(feedback) 명령어를 발신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피드백 명령어를 수신하고 파싱한다. 만일 피드백 명령어 내에 실린 식별 번호가 무선 충전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식별 번호와 동일한 경우, 그것은 단말 디바이스(30)의 신원이 인가됨을 나타낸다.
단말 디바이스(3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및 충전 모듈(301)을 포함한다. 물론, 단말 디바이스(30)는 다른 컴포넌트 또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가 하나하나 주어지지는 않는다. 충전 모듈(301)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를 능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모듈(301)로부터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관련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할 수 있다. 예에서, 수동적인 획득 동안에, 충전 모듈(301)은 무선 방식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명령어를 발신하는데, 명령어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관련 정보를 전한다. 능동적인 획득 동안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 모듈(301)에, 관련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발신한다. 충전 모듈(301)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간에 전기적 연결이 있을 수 있거나 어떤 전기적 연결도 있지 않을 수 있다. 충전 모듈(301)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간에 어떤 전기적 연결도 있지 않은 경우에, 관련 정보는 노드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충전 모듈(301)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간에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되며, 여기에서는 상세사항이 기술되지 않는다. 충전 모듈(301) 및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장거리(Long Range, Lora) 무선 기술,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진폭 편이 키잉(Amplitude Shift Keying, ASK), 주파수 편이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FSK),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다음은 이 명세서에서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구현을 참조하여 상세히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기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이 도 3에 도시된 적용 시나리오에 적용되는 예가 사용된다. 적용 시나리오에 포함된 충전 디바이스(31)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인 예가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충전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30)에 적용된다. 단말 디바이스(3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및 충전 모듈(301)을 포함한다. 방법의 프로세스는 주로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S401: 충전 모듈(301)은 민감 컴포넌트(300)의 작업 상태를 획득한다.
충전 모듈(301)이 민감 컴포넌트(300)의 작업 상태를 획득한다는 것은 충전 모듈(301)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의해 발신된 작업 상태를 수신한다는 것일 수 있거나, 충전 모듈(301)이 단말 디바이스(30)의 프로세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신된 작업 상태를 수신한다는 것일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충전 모듈(301)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의해 발신된 작업 상태를 수신한다는 것이 예로서 사용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에서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다. 민감 주파수는 무선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다. Qi 표준이 여기에서 예로서 사용된다. 무선 충전 주파수 대역은 110 kHz 내지 205 kHz에서의 주파수 대역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1
일 수 있다. 민감 주파수는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2
내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일 수 있거나,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3
내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LCD, TP, 카메라 모듈, 지문 모듈, NFC, 오디오 모듈, 무선 주파수 모듈,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카메라 모듈인 예를 사용하여, 잡음 간섭이 카메라 모듈로 하여금 비정상적이게 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기술한다. 도 5는 카메라 모듈의 반간섭의 파형도이다. 수평축은 주파수 (KHz)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전압(밀리볼트(millivolt)(mV))를 나타내는데, 이는 잡음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잡음 레벨이 200 mV인 경우에, V=200 mV인 직선과 파형도의 교차점은 파형도의 파곡에 있고, 교차점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4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5
이다. 이는 잡음 레벨이 200 mV인 경우에 카메라 모듈이 주파수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6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7
에서 비정상적이게 되고, 잡음 레벨이 200 mV인 경우에 카메라 모듈은 다른 주파수에서 비정상적이게 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잡음 레벨이 300 mV인 경우에, V=300 mV인 직선과 파형도의 교차점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8
,
Figure 112020105997175-pct00009
,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0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1
이다. 이는 잡음 레벨이 300 mV인 경우에 카메라 모듈이 주파수 대역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2
-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3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4
-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5
에서 비정상적이게 되고, 잡음 레벨이 300 mV인 경우에 카메라 모듈은 다른 주파수에서 비정상적이게 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는 인에이블된 상태 및 디스에이블된 상태(disabled state)를 포함한다. 인에이블된 상태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실행 상태(running state)에 있음을 의미하고, 디스에이블된 상태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비실행 상태(non-running state)에 있음을 의미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인에이블 순간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 중일 수 있거나,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기 전일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작동 상태를 충전 모듈(301)에 다음의 두 방식으로 발신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각기 기술된다.
방식 1: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를 충전 모듈(301)에 직접 발신한다.
방식 1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및 충전 모듈(301) 간에 전기적 연결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상의 집적 회로간(Inter-Integrated Circuit, I2C) 버스 인터페이스가 I2C 버스를 통해서 충전 모듈(301) 상의 I2C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이 방식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I2C 버스를 통해서 충전 모듈(301)에 작동 상태를 발신한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I2C 버스를 통해서 충전 모듈(301)에 표시 명령어를 발신한다. 표시 명령어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I2C 버스를 통해서 충전 모듈(301)에 표시 명령어 0010를 발신하는데, 표시 명령어 001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I2C 버스를 통해서 충전 모듈(301)에 표시 명령어 1101를 발신하는데, 표시 명령어 1101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충전 모듈(301)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를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경우에, 충전 모듈(301)은, I2C 버스를 통해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발신한다. 명령어를 수신한 후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I2C 버스를 통해서 충전 모듈(301)에 작동 상태를 발신한다.
방식 2: 충전 모듈(301)은 노드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민감 컴포넌트(300)의 작업 상태를 획득한다.
방식 2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및 충전 모듈(301) 간에 전기적 연결이 있을 수 있거나 어떤 전기적 연결도 있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충전 모듈(301)은 노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노드 파일은 충전 모듈(301)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저장 공간은 충전 모듈(301) 내의 저장 공간일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30)의 메모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충전 모듈(301)에 의해 적용되는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저장 공간은 복수의 저장 부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각각의 저장 부공간은 하나의 저장 주소에 대응한다. 각각의 저장 주소는 하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대응하고, 정보를 기입하기 위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의해 사용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수효는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있는 경우에, 인에이블된 상태에 하나 이상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있을 수 있다. 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민감 모듈 컴포넌트 B, ...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N을 포함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는 노드 파일 내에 작동 상태를 기입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A는, 대응하는 저장 부공간 내에 저장 주소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 A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는 0x01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A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는 0xFE를 기입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B는, 대응하는 저장 부공간 내에 저장 주소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 B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는 0x02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는 0xFD를 기입한다.
충전 모듈(301)에 있어서, 충전 모듈(301)은 특정 주기로 노드 파일 내의 내용을 판독하여, 새로운 정보가 노드 파일 내에 기입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는데, 노드 파일 내에 저장된 내용을 파싱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충전 모듈(301)은 0x01을 파싱하여 A를 획득하고, 0xFE를 파싱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 A의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임을 획득한다. 충전 모듈(301)은 0x02을 파싱하여 B를 획득하고, 0xFD를 파싱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임을 획득한다. 파싱을 완료한 후에, 충전 모듈(301)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파싱을 통해서 획득된 정보를 발신할 수 있거나, 저장 공간 내에 파싱을 통해서 획득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에서, 파싱을 통해서 획득된 A의 인에이블된 상태는 높은 비트(bit) 내에 저장되고, 파싱을 통해서 획득된 B의 인에이블된 상태는 높은 비트를 뒤따르는 비트 내에 저장된다. 인에이블된 상태는 1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고, 디스에이블된 상태는 0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충전 모듈(301)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의해 발신된 작동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충전 모듈(301)에 작동 상태를 발신하거나 특정 주기로 노드 파일 내에 작동 상태를 기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충전 모듈(301)에 작동 상태를 발신하거나 노드 파일 내에 작동 상태를 기입한다. 예를 들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조정되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충전 모듈(301)에, 디스에이블된 상태인 현재의 작동 상태를 발신한다. 대안적으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가 디스에이블된 상태로부터 인에이블된 상태로 조정되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충전 모듈(301)에, 인에이블된 상태인 현재의 작동 상태를 발신한다.
S402: 충전 모듈(301)은 민감 컴포넌트(300)의 작업 상태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충전 모듈(301)로부터 작업 상태를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 모듈(301)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동 상태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발신한다. 명령어를 수신한 후에, 충전 모듈(301)은 무선 방식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작업 상태를 발신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충전 모듈(301)은 무선 방식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작업 상태를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01)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경우에만 무선 방식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작업 상태를 발신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 모듈(301)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작업 상태를 발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단계(S401) 및 단계(S402)의 전술된 설명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업 상태가 방식 1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및 충전 모듈(301) 간에 전송되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충전 모듈(301) 및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통신 프로세스에 대해, 도 6a를 참조하시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업 상태가 방식 2로 노드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및 충전 모듈(301) 간에 전송되는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 충전 모듈(301) 및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통신 프로세스에 대해, 도 6b를 참조하시오.
S403: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작업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데,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안전 충전 주파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 주파수이다. 안전 충전 전압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 충전 전압이다. 안전 충전 전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 충전 전류이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인에이블된 후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관련 기능이 구현될 수 있고, 어떤 이상도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TP이다. TP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TP는 터치 감도가 감소하는 이상 상태(abnormal state)에 봉착하지 않는다. 만일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LCD이면, LCD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컬러 줄무늬 또는 물결무늬와 같은 이상 상태가 LCD 상에 나타나지 않는다. 만일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지문 모듈 컴포넌트이면, 지문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지문 모듈 컴포넌트는 지문 인식 감도가 감소하는 이상 상태에 봉착하지 않는다. 만일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NFC이면, NFC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통신 중단이라는 이상 상태가 NFC에 발생하지 않는다. 만일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카메라 모듈이면, 카메라 모듈이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컬러 줄무늬 또는 물결무늬와 같은 이상 상태가 카메라의 미리보기 모드(preview mode) 또는 촬영된 사진에 발생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30)로부터 획득될 수 있거나,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다음은 개별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1.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30)로부터 획득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2개의 타입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로 분류될 수 있다: 획득될 수 있는 동작 주파수 및 획득될 수 없는 동작 주파수. 획득될 수 있는 동작 주파수는 민감 컴포넌트(300)가 민감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획득될 수 없는 동작 주파수는 민감 컴포넌트(300)가 민감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다음은 2개 타입에서의 충전 모듈(301)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하는 프로세스를 개별적으로 기술한다.
(1)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동작 주파수가 획득될 수 있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예를 들어, TP, 지문 모듈, LCD, 오디오 모듈, NFC 및 무선 주파수 모듈이다.
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즉, 민감 주파수)를 지득하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를 방식 1 또는 방식 2로 충전 모듈(301)에 발신한다. 충전 모듈(301)은 동작 주파수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충전 모듈(301)이 동작 주파수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충전 모듈(301)이 무선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동작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한다는 것일 수 있다. 전술된 예가 계속해서 사용된다. 무선 충전 주파수 대역은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6
이고, 동작 주파수는 단일 주파수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7
kHz라고 가정된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8
로부터 동작 주파수
Figure 112020105997175-pct00019
가 아닌 다른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한다. 예를 들어, 판정된 안전 충전 주파수는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0
,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1
, 또는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2
-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3
일 수 있거나, 주파수 대역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4
내에서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5
이 아닌 단일 주파수일 수 있다. 예에서, 만일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6
,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7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8
인 경우, 판정된 안전 충전 주파수는 [120,130), (130,150], [120,130)-(130,150], 131 kHz, 133 kHz 또는 135 kHz일 수 있다.
이후 충전 모듈(301)은 사전저장된 제1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즉,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획득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이 표는 각각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31)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저장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TP 5 V
LCD 1.5 A
... ...
NFC 9 V 및 2 A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실제의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상이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대해 상이한 안전 충전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충전 전압이 TP에 대해 사전설정되고, 안전 충전 전류가 LCD에 대해 사전설정되고, 안전 충전 전압 및 안전 충전 전류가 NFC에 대해 사전설정된다. 여기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는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01)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대안적으로,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획득할 수 있다.
(2)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동작 주파수가 획득될 수 없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다.
예에서, 충전 모듈(301)은 사전저장된 제2 대응관계, 즉,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이 표는 각각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충전 디바이스(31)의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저장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카메라 모듈 130 kHz, 9 V 및 2 A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카메라 모듈은 비교적 많은 양의 민감 주파수를 갖고 또한 상대적으로 잡음에 민감하다. 그러므로,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 안전 충전 전류 모두가 보통 설정될 필요가 있거나, 안전 충전 주파수 및 안전 충전 전압 양자 모두가 설정될 필요가 있거나, 안전 충전 주파수 및 안전 충전 전류 양자 모두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 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는 표의 형태로 또는 파일의 형태로 충전 모듈(301)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충전 모듈(301)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대응하는 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후, 충전 모듈(301)은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민감 주파수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안전 충전 주파수/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는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01)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대응관계가 표 1에 또한 사전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대응관계가 표 2에 또한 사전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대응관계가 표 2에 사전저장된 예에서, 사전저장 전에, 충전 모듈(301)은 우선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A.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가 판정된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의 중간 주파수일 수 있다. 여기에서의 중간 주파수는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의 중간 값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중간 값에 대응하는 동작 주파수에서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여전히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간섭을 야기하나, 간섭은 수용가능한 범위 내이다. 전술된 예가 계속해서 사용된다. 무선 충전 주파수 대역은
Figure 112020105997175-pct00029
이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이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A의 안전 충전 주파수가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0
이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안전 충전 주파수가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1
인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안전 충전 주파수는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2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3
의 중간 주파수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4
일 수 있다. 예에서,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5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6
인 경우에,
Figure 112020105997175-pct00037
이다. 이 경우에,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안전 충전 주파수는 138 kHz이다.
B.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류가 판정된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류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류 중의 최소 충전 전류일 수 있다. 전술된 예가 계속해서 사용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이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A의 안전 충전 전류가 2 A이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안전 충전 전류가 3 A인 경우에, 2 A 및 3 A 중의 최소 충전 전류가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안전 충전 전류로서 사용된다.
C.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압이 판정된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압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압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일 수 있다. 전술된 예가 계속해서 사용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이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A의 안전 충전 전압이 10 V이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안전 충전 전류가 9 V인 경우에, 10 V 및 9 V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이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사용된다.
D.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 및 안전 충전 전압이 판정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해, A 및 C에서의 판정 프로세스를 참조하시오. 여기에서 상세사항이 기술되지 않는다.
E.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 및 안전 충전 전류가 판정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해, A 및 B에서의 판정 프로세스를 참조하시오. 여기에서 상세사항이 기술되지 않는다.
F.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전압 및 안전 충전 전류가 판정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해, B 및 C에서의 판정 프로세스를 참조하시오. 여기에서 상세사항이 기술되지 않는다.
G.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이 판정된다. 이 프로세스에 대해, A, B 및 C에서의 판정 프로세스를 참조하시오. 상세사항이 기술되지 않는다.
충전 모듈(301)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한 후에, 충전 모듈(301)은 민감 컴포넌트의 획득된 안전 충전 주파수, 획득된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획득된 안전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파라미터는 하나하나 발신될 수 있거나, 복수의 파라미터가 함께 발신될 수 있다. 이것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있는 경우에, 충전 모듈(301)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식별 정보를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능동적 또는 수동적 방식으로 획득할 필요가 또한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숫자와 문자의 조합, 또는 숫자, 문자 및 부호의 조합일 수 있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 A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 B는 여전히 예로서 사용되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 A의 식별 정보는 1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고, 민감 모듈 컴포넌트 B의 식별 정보는 2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 모듈(301)이 식별 정보를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능동적 또는 수동적 방식으로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충전 모듈(301)이 작동 상태를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능동적 또는 수동적 방식으로 획득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대응관계가 표 1에 사전저장되지 않고,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대응관계가 표 2에 사전저장되지 않은 경우에, 충전 모듈(301)은 대안적으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각자의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찾으러 표 1 및 표 2를 검색하고, 각자의 안전 충전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고, 결국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2.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방식은 다음의 두 방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구현은 충전 모듈(301)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제2 방식에서, 충전 모듈(301)은 충전 모듈(301)에 의해 사전설정되거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획득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파라미터 정보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하고,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한다. 세부사항이 아래에 기술된다.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상이한 타입으로 된 경우에, 또한 충전 모듈(301)이 파라미터 정보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하는 상이한 프로세스가 있다. 다음은 프로세스를 개별적으로 기술한다.
(1)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동작 주파수가 획득될 수 있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예를 들어, TP, 지문 모듈, LCD, 오디오 모듈, NFC 및 무선 주파수 모듈이다.
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를 지득하고, 민감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를 충전 모듈(301)에 발신한다. 이후, 충전 모듈(301)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획득한다. 충전 모듈(301)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는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01)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예에서, 충전 모듈(301)은 대안적으로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를 획득할 수 있다. 충전 모듈(301)은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단말 디바이스(30)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는 충전 전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단말 디바이스(30)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는 충전 전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는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01)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2)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는 동작 주파수가 획득될 수 없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다.
예에서, 충전 모듈(301)은,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대응하는 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충전 모듈(301)은 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는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01)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예에서,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 및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 간의 사전저장된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는 대안적으로 충전 모듈(301)에 의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로부터 획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응하여, 충전 모듈(301)이 충전 파라미터의 상이한 요구사항을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하는 경우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상이한 프로세스가 있다. 다음은 프로세스를 개별적으로 기술한다.
경우 1: 충전 모듈(301)은 민감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및/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민감 주파수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의 판정 프로세스는 충전 모듈(301)이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동작 주파수에 기반하여 안전 충전 주파수를 판정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만일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또한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세스는 충전 모듈(301)이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무선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민감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경우 2: 충전 모듈(301)은 안전 충전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력이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을 안전 충전 전압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은 5 V이고,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5 V를 9 V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5 V를 9 V로 변환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선행 기술에서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이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압으로 변환되는 변환 프로세스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력이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를 안전 충전 전류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2의 요구되는 충전 전류는 0.2 A이고,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0.2 A를 2 A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0.2 A를 2 A로 변환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선행 기술에서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가 무선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전류로 변환되는 변환 프로세스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세스는 충전 모듈(301)이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300)의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물론,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충전 모듈(300)은 대안적으로 민감 주파수,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압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30)의 충전 전류를 무선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경우 1 및 경우 2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한 후에, 무선 충전 디바이스는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30)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에서 제공된 충전 방법은 또한 유선 충전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출원의 전술된 방법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장치를 기술한다.
도 7은 충전 디바이스(7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충전 디바이스(700)는 획득 유닛(701), 판정 유닛(702) 및 충전 유닛(703)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유닛(701)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401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거나,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술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정 유닛(702) 및 충전 유닛(703)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403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거나,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술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적 모듈의 기능 서술에서 인용될 수 있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도 8은 충전 디바이스(8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충전 디바이스(800)는 프로세서(801), 통신 인터페이스(802) 및 메모리(8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02) 및 메모리(803)는 프로세서(801)에 커플링된다. 프로세서(801)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일 수 있거나,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거나, 기저대역 칩(baseband chip),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을 수 있다.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메모리(magnetic disk memory),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801)를 설계하고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전술된 충전 방법에 대응하는 코드가 칩 내에 고착될 수 있어서, 칩은, 실행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충전 방법에서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01)를 어떻게 설계하고 프로그래밍할 것인지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도 9는 단말 디바이스(9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단말 디바이스(30)는 충전 모듈(901)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90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듈(901)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902)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4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거나,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술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또한 제공한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기록된 충전 디바이스(800) 및 단말 디바이스(900)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단계가 수행된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또한 제공한다.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호출되고 실행되는 경우에, 컴퓨터는 도 4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칩 시스템을 또한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충전 디바이스(31) 및 단말 디바이스(30)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충전 디바이스(31) 및 단말 디바이스(30)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충전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기능을 칩 시스템이 구현할 수 있도록, 칩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는 칩 시스템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하거나, 칩 및 다른 별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이 출원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출원은 하드웨어뿐인 실시예, 소프트웨어뿐인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가진 실시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출원은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사용가능 저장 매체 상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출원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각각의 프로세스(process) 및/또는 각각의 블록(block),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의 조합을 구현하는 데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머신(machine)을 생성하기 위해 일반 목적 컴퓨터, 전용 컴퓨터(dedicated computer),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ded processor),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가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는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가공품을 생성한다. 명령 장치는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 기능을 구현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상으로 로딩될(loaded) 수 있어서, 일련의 동작 및 단계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는바, 이로써 컴퓨터 구현된 처리(computer-implemented processing)를 생성한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당업자는 이 출원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수정 및 변형을 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 출원은 이들 수정 및 변형을, 그것들이 이하의 청구항 및 이의 균등한 기술에 의해 정의되는 보호의 범위에 속한다면 망라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충전 방법으로서,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sensitive module component)의 작동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sensitive frequency)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고, 상기 민감 주파수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음 - 와,
    상기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enabled state)인 경우에,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와,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단계 -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상기 민감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상기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상기 안전 충전 전류를 사전저장된 제1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저장된 제2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들의 중간 주파수를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압들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을 상기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류들 중의 최소 충전 전류를 상기 안전 충전 전류로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충전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충전 모듈과 민감 모듈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작동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작동 상태를 노드 파일 내에 기입하는 단계 -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고, 상기 민감 주파수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음 - 와,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상기 노드 파일로부터 상기 작동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와,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하는 단계 -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함 -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상기 동작 주파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동작 주파수는 상기 민감 주파수임 - 와,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획득된 동작 주파수를 상기 충전 모듈에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상기 획득된 동작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상기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상기 안전 충전 전류를 사전저장된 제1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모듈에 의해, 사전저장된 제2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들의 중간 주파수를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압들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을 상기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류들 중의 최소 충전 전류를 상기 안전 충전 전류로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충전 디바이스로서,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작동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고, 상기 민감 주파수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음 - 와,
    상기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고,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무선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획득된 상기 민감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상기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고,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상기 안전 충전 전류를 사전저장된 제1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판정 -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
    충전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사전저장된 제2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 -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
    충전 디바이스.
  12.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들의 중간 주파수를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판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압들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을 상기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류들 중의 최소 충전 전류를 상기 안전 충전 전류로서 판정하도록 구성된,
    충전 디바이스.
  13. 단말 디바이스로서,
    충전 모듈 및 민감 모듈 컴포넌트를 포함하되,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작동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작동 상태를 노드 파일 내에 기입하며,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상기 작동 상태를 상기 충전 모듈에 발신 -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충전 디바이스가 민감 주파수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간섭 받는 모듈 컴포넌트이고, 상기 민감 주파수는 상기 충전 디바이스의 충전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 있음 - 하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노드 파일로부터 상기 작동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작동 상태가 인에이블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충전 모듈은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 -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류 및 안전 충전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하고,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상기 충전 디바이스에 발신 - 상기 충전 디바이스가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함 - 하는,
    단말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동작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는 또한,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의 상기 동작 주파수를 획득 - 상기 동작 주파수는 상기 민감 주파수임 - 하고,
    상기 획득된 동작 주파수를 상기 충전 모듈에 발신하고,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된 동작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상기 충전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선택하고,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상기 안전 충전 전류를 사전저장된 제1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판정 -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충전 파라미터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전저장된 제2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 안전 충전 전압 또는 안전 충전 전류를 판정 -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 상기 안전 충전 전압 및 상기 안전 충전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민감 모듈 컴포넌트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충전 모듈은 또한,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주파수들의 중간 주파수를 상기 안전 충전 주파수로서 판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압들 중의 최소 충전 전압을 상기 안전 충전 전압으로서 판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민감 모듈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안전 충전 전류들 중의 최소 충전 전류를 상기 안전 충전 전류로서 판정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17.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컴퓨터는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컴퓨터 저장 매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28822A 2018-03-26 2018-03-26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78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0554 WO2019183774A1 (zh) 2018-03-26 2018-03-26 一种充电方法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721A KR20200125721A (ko) 2020-11-04
KR102478711B1 true KR102478711B1 (ko) 2022-12-16

Family

ID=6806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822A KR102478711B1 (ko) 2018-03-26 2018-03-26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89342B2 (ko)
EP (1) EP3751695A4 (ko)
KR (1) KR102478711B1 (ko)
CN (2) CN115149624A (ko)
WO (1) WO201918377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3865A1 (en) 2012-10-16 2014-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during wireless charging
CN105098937A (zh) 2014-05-23 2015-11-25 阿迪达斯股份公司 运动球感应充电方法和系统
KR101608571B1 (ko) 2011-04-01 2016-04-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조정가능한 파라미터들을 갖는 터치스크린 제어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6973B2 (en) 2006-01-30 2009-1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audio device having reduced sensitivity to RF interference and related methods
US8624546B2 (en) 2008-12-12 2014-01-07 Hanrim Postech Co., Ltd.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jig for fabricating core for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EP2302756A1 (en) 2009-09-24 2011-03-30 ConvenientPower HK Limited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KR20130021099A (ko) * 2011-08-22 2013-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감소 방법 및 장치
US20130076305A1 (en) 2011-09-26 2013-03-28 Oregon Scientific Global Distribution Limited Wireless charger system with radio controlled clock
EP2838176B1 (en) * 2012-06-07 2017-06-07 Lg Chem, Ltd. Method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US9455596B2 (en) * 2012-10-16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charging and amplitude modulation reception
CN104158235B (zh) 2013-05-15 2017-07-2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电池充电控制方法、设备及系统
CN106208397A (zh) 2015-04-30 2016-12-07 介面光电股份有限公司 薄膜线圈元件及其适用的可挠式无线充电装置与系统
KR20170011507A (ko)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6130193B (zh) * 2016-09-05 2018-08-07 青岛鲁渝能源科技有限公司 无线电能传输系统和无线电能传输控制方法
CN106549455A (zh) 2016-12-19 2017-03-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及装置
CN107728847B (zh) 2017-10-31 2020-06-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干扰处理方法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571B1 (ko) 2011-04-01 2016-04-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조정가능한 파라미터들을 갖는 터치스크린 제어기
US20140103865A1 (en) 2012-10-16 2014-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during wireless charging
CN105098937A (zh) 2014-05-23 2015-11-25 阿迪达斯股份公司 运动球感应充电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1695A4 (en) 2021-01-27
WO2019183774A1 (zh) 2019-10-03
EP3751695A1 (en) 2020-12-16
US11489342B2 (en) 2022-11-01
CN111480277B (zh) 2022-06-14
KR20200125721A (ko) 2020-11-04
CN115149624A (zh) 2022-10-04
CN111480277A (zh) 2020-07-31
US20210006080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82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EP3873004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lassic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dual-mode bluetooth devices, and dual-mode bluetooth device
KR102114404B1 (ko)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94301B1 (ko) 전자 장치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CN109074443B (zh) 一种解锁方法及装置
KR20120102446A (ko) 모바일 단말, 모바일 단말의 무선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의 무선충전 시스템
US9800996B2 (en)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CN106655381B (zh) 无线充电方法及装置
CN103068070A (zh) 一种协议版本的协商方法、移动终端、基站和通信系统
CN104797003B (zh) 一种切换智能终端用户的方法及装置
CN103249115B (zh) 策略配置方法及装置
KR20150065410A (ko) 전자 장치의 억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98381A (ko)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101989A (zh) 一种选择安全单元的方法及移动终端
CN111812408B (zh) 基于振荡电路的品质因子检测电路、检测方法及电子设备
US11050282B2 (e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2015154511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78711B1 (ko)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016226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정보교환 제어 방법
CN104735660A (zh) 一种wifi接入认证方法及系统与终端
CN107343238A (zh) 多点连接控制方法及外接设备
CN111093173B (zh) 一种限制启动stk应用的方法和装置
KR101662177B1 (ko)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에서의 상황 메시지 자동 전송 방법
CN116345727B (zh) 异物检测方法及相关装置
CN111984107B (zh) 一种终端设备供电异常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