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763B1 -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763B1
KR102477763B1 KR1020220051441A KR20220051441A KR102477763B1 KR 102477763 B1 KR102477763 B1 KR 102477763B1 KR 1020220051441 A KR1020220051441 A KR 1020220051441A KR 20220051441 A KR20220051441 A KR 20220051441A KR 102477763 B1 KR102477763 B1 KR 102477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user
dominant
questions
tend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하트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하트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하트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5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7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testing a comprehensive type of a mother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via a network. The system for testing a comprehensive type of a mother comprises: a user management unit which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 question provision unit which stores a question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questions in an ego domain, a plurality of questions in a personal relationship domain, a plurality of questions in a parenting domain, and a plurality of questions in a work domain and transmits the question set to the user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user information; an answer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n answer set including answers to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 set, respectively, from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and adds the numerical values up for each domain of the question set; a type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the user's dominant tendency for each domain based on the summed numerical value for each domain by the answer processing unit and generates a user type by combining the determined dominant tendencies; and a result management unit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of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ominant tendencies, respectively, searches for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ype generated by the type determination unit, combines the searched type information to generate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an provide a user with a solution having directionality suitable for the user's lifestyle.

Description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Mother comprehensive type test system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본 발명은 유형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일과 삶을 기반으로 한 라이프스타일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분석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솔루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ype examin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alyze a user's lifestyle based on work and life from various aspects and to provide a solu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lifestyle to the user. It's about the system.

한국 사회는 주 5일 근무제, 성공에 대한 인식 변화 등과 같은 사회적/문화적 변화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 WLB)(이하에서는 '워라벨'이라고 한다)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 워라벨은 일의 영역과 일 이외의 영역(예를 들어, 가족, 여가, 개인의 성장 및 자기 개발 등)에서 시간, 심리적 에너지 및 신체적 에너지를 적절하게 분배하여 삶을 스스로 통제하고, 이를 통해 삶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상태를 의미한다.Korean society has begun to discuss work and life balance (WLB)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 label') in accordance with social and cultural changes such as the 5-day work week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success. Here, the war label is to control life by yourself by properly distributing time, psychological energy, and physical energy in the field of work and other areas (eg, family, leisure, personal growth and self-development, etc.) means a state of satisfaction with life.

또한, 여성들은 과거에 비하여 활발하게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어, 직장여성의 비율은 증가되었고, 맞벌이 가구도 증가되었다. 여기서, 자녀양육, 가사업무 등과 같은 삶의 역할과, 업무수행 등과 같은 일의 역할 사이에서 여성들은 역할 갈등 상황에 항시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는 낮은 실정이다. In addition, women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compared to the past, so the proportion of working women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double-income households has also increased. Here, women are always exposed to role conflict situations between life roles such as raising children and housework and work roles such as job performance. As a resul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low.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현실 속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삶과 일에 대한 태도나 성향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자신에게 맞는 솔루션도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여성의 삶과 일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고 성향에 따른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above reality, women are not aware of their attitudes or tendencies toward their lives and work, and do not know the solutions that suit them. For this reason,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analyzing women's propensity for life and work and providing appropriate solutions according to the propensit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자아, 대인관계, 육아 및 일의 영역으로 진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agnose the user's lifestyle in the areas of 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ildcare, and work so that the user can objectively recognize his/her lifestyle. It is to provide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that allows.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방향성을 갖는 솔루션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균형잡힌 삶을 영위하고 향상된 행복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ution with a direction suitable for the user's lifestyle so that the user can lead a balanced life and enjoy improved happiness It is to provide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부; 복수 개의 자아 영역의 문항들, 복수 개의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 복수 개의 육아 영역의 문항들 및 복수 개의 일 영역의 문항들을 포함하는 질문 세트를 저장하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에 질문 세트를 전송하는 문항 제공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질문 세트의 문항들의 각각에 대한 답안들을 포함한 답안 세트를 전송받고, 답안에 따른 수치를 산출하여 문항 세트의 영역별로 합산하는 답안 처리부; 답안 처리부에서 영역별로 합산된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영역별로 사용자의 우세 성향을 판정하고, 판정된 우세 성향을 조합하여 사용자 유형을 생성하는 유형 결정부; 및 복수 개의 우세 성향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며, 유형 결정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유형 정보를 조합하여 결과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결과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comprising: a user management unit receiv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 question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ego domain questions, a plurality of interpersonal domain questions, a plurality of parenting domain questions, and a plurality of one domain questions is stored, but the question se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user information. Ques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an answer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n answer set including answers to each of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 set from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and sums them up for each area of the question set; a typ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user's dominant tendency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summed values for each region in the answer processing unit, and generates a user type by combining the determined dominant tendency; and a plurality of typ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ominant tendencies, wherein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ype generated by the type determination unit is searched for, and the resul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searched typ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sult management unit.

또한, 자아 영역의 문항들은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을 포함하고,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은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을 포함하며, 육아 영역의 문항들은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육아 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육아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을 포함하고, 일 영역의 문항들은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ms in the self domain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disposition,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self-esteem,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ego energy, and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values, and item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a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 relational propensity-related auxiliary variable items, and other empathy-related auxiliary variable items, and child-rearing domain items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centrality,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child-relationships, and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preference, and items in one domain may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initiative attitud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adventurous attitude, and variable items related to creative attitude.

또한, 문항들의 각각에는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이 포함되되, 유형 결정부는,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외향형 및 내향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발산형 및 보유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외적자원형 및 내적자원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현실형 및 이상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며,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형 및 개인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관계지향형 및 논리지향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공감형 및 객관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헌신형 및 균형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육아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육아효능형 및 자아효능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관계형 및 관리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및 육아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부모역할 중심형 및 자아성장 중심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일 영역의 문항들은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주도형 및 반응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모험형 및 안정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진보형 및 보수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items includes a pair of corresponding tendenc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ut the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one of the extroverted and introverted corresponding tendencies is dominan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propensity. ,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elf-esteem,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divergent type and retention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elf-energy Based on ,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external resource type and the internal resource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values,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realistic type and the ideal type is dominan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one of the social and individual type response tendenci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the answer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relational propensity One of the relationship-oriented and logic-oriented response tendenci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the corresponding numerical values, and one of the empathetic and objective-type responding tendencies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empathy for others. wa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centrality,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devoted type and the balanced type wa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the second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parenting efficacy type and the self-efficacy type,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parenting efficacy type and the self-efficacy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child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type and the management type are determined.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one of the parental role-oriented and self-growth-oriented response tendenci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preference, The questions in one area are divided into leading and semi-leading attitudes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leading attitude.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response type wa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adventurous attitude,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adventurous type and the stable type wa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the variable related to the creative attitude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one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responses can be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또한, 문항들은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 중 하나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갖거나,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 중 다른 하나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가지며, 답안 처리부는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하고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하며,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하고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하며, 유형 결정부는 합산된 수치가 양수일 때 하나의 대응 성향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합산된 수치가 음수일 때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estions have item contents according to one of a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r have item contents according to the other one of a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answer processing unit corresponds to one corresponding propensity. An affirmative answer is calculated as a positive number for the ques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content, a negative answer is calculated as a negative number for the question of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response tendency, and a positive number is calculated for the item of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the other response tendency. The positive answer is calculated as a negative number, and the negative answer is calculated as a positive number for the question of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the other response tendency. When the calculated value is a negative number, the other corresponding propensity can be determined as the dominant propensity.

또한, 유형 결정부는 내향형 및 외향형 중 하나, 사회형 및 개인형 중 하나, 헌신형 및 균형형 중 하나 및 주도형 및 반응형 중 하나를 조합하여 사용자 유형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 determiner may create a user type by combining one of introvert and extrovert, one of social and individual, one of commitment and balanced, and one of initiative and responsive.

또한, 각각의 유형 정보는 각각의 대응 성향에 대한 내용 및 솔루션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type of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s and solutions for each corresponding propensity.

또한,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은, 사용자 유형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또는 동영상 형태의 교육 정보를 저장하되,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교육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육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교육 정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stores education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audio or video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types, and further includes an educational information unit that searches educa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trieved educational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an include

또한,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은, 사용자 근처에 위치되고 사용자를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도록 이동되고, 감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교육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정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사용자는 사용자의 등쪽 허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식별자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의 발 뒤꿈치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식별자를 인쇄한 한 쌍의 감지체들을 소지하며, 정보 장치가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된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 및 감지체들의 식별자들을 동시에 감지할 때, 정보 장치는 감지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교육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고, 정보 장치는, 각각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가이드홀들이 형성된 곡면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반원형 밴드 형상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몸체들, 및 베이스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 몸체들을 힌지 연결하는 복수 개의 베이스 힌지들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측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베이스부의 양측단 부분에 위치되고,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한 쌍의 음향 출력부; 음향 출력부와 베이스부의 중앙 부분 사이의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한 쌍의 영상 출력부; 베이스부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음향 출력부와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감지부를 포함한 제어부; 및 제어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지면 상에 위치되고, 제어부에 결합되고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제어부의 감지부가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된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 및 감지체들의 식별자들을 동시에 감지할 때, 제어부는 감지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교육 정보를 전송받아 음향 출력부 및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감지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위치 정보에 대응하도록 실시간으로 이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is located near the user and moves from a state of sensing the user to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ser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edu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detected user.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device that does, wherein the user possesses a user terminal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back and capable of outputting an identifier, and a pair of sensor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heel and printed with the identifier; When the information device simultaneously detects an identifier of a user terminal carried by a user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and identifiers of sensing objects, the information device receives and outputs educa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dentifier; The informa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bodies each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d rectangular plate having guide hole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edges thereof and positioned to form a semicircular band shape; and a plurality of base bodie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bodies to hinge-connect the base bodies. a base portion including two base hinges; a pair of sound output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ase unit, capable of outputting sound; A pair of image output unit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between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uni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apable of outputting images; A control unit including a sens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base unit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video output unit, and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a moving unit located below the control unit and located on the ground,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moved by the control unit, and a sensing unit of the control unit located by a user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Identifier and sensing object of a user terminal When the identifiers of the detected identifiers are simultaneously detecte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edu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dentifier and outputs i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location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dentifier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ve the moving unit in real time to correspon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이동부의 양측에는 각각 베이스부의 하부 양측단 부분에 연결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 부재들이 설치되고, 베이스부에는 베이스부의 상부 양측단 부분을 연결하는 와이어 형태의 베이스 라인이 설치되며, 베이스부의 베이스 몸체들이 연결 부재들에 의해 펼쳐져 반원형 밴드 형상으로 형성될 때, 베이스 라인은 팽팽한 상태로 일정한 장력을 갖고, 사용자가 베이스 라인에 접촉될 때, 베이스 라인의 장력은 변경되고, 제어부는 베이스 라인의 장력의 변경을 감지하고 접촉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부를 사용자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고, 접촉 신호에 따른 음향을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moving part,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part of the base part and made of a rod shape having a certain length are installed, and a wire-shaped bas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to the base part. When the line is installed, and the base bodies of the base part are spread out by the connecting members to form a semicircular band shape, the base line has a constant tension in a taut state, and when the user contacts the baseline, the tension of the baseline changes The control unit may detect a change in the tension of the baseline and generate a touch signal, separate the moving unit from the user by a set distance, and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삭제delet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자아, 대인관계, 육아 및 일의 영역으로 진단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1) The user's lifestyle is diagnosed in the areas of eg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arenting, and work, so that the user can objectively recognize his/her lifestyle.

(2) 사용자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방향성을 갖는 솔루션을 제공받고, 균형잡힌 삶을 영위하고 향상된 행복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2) Enables users to receive solutions that are oriented to their lifestyle, lead a balanced life, and enjoy improved happiness.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could be.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결과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에 연결되는 정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에 연결되는 정보 장치와 사용자의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herei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diagram showing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mplementation flow chart of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result information outpu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evice connected to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n information device and a user connected to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1st, 2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Unless otherwise describ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onents expressed as '~ part' may be two or more components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fferentiat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its own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may be different from other components. Of course,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a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u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의 실시 흐름도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관리부(101), 문항 제공부(102), 답안 처리부(103), 유형 결정부(104), 결과 관리부(105) 및 교육 정보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을 통해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자아, 대인 관계, 육아 및 일의 영역으로 분석하여 방향성을 갖는 솔루션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여성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 본 실시예의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은 자아성향, 대인관계 유형, 육아 방식, 업무 유형을 객관적으로 진단하여, 여성의 자아탐색, 진로탐색, 양육 코칭 등을 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network 1, and the user management unit 101, It may include a question providing unit 102, an answer processing unit 103, a type determination unit 104, a result management unit 105, and an education information unit 106. Here, the user means a person who wants to receive a directional solution by analyzing his or her lifestyle in the areas of ego,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ildcare, and work through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and it is preferable to be a woman. can In particular, if the user is a woman,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of this embodiment objectively diagnoses self-dispos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parenting method, and work type, and provides self-search, career search, parenting coaching, etc. can present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에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The user may access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using the user terminal 10 and exchange signals with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displays a web page through a web browser operat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logs in on the web page to access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or the user terminal 10 ), an application accessible to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may be installed and driven.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1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or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1 . The terminal device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a 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pads and tablet PCs may be included.

여기서, 네트워크(1)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1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a long Term Evolution (Term Evolution) network,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Network),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관리부(10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S101).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사용자의 패스워드,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생년월일, 사용자의 직업,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는 여성인 것이 바람직하기에, 사용자 관리부(101)는 사용자의 성별에 대한 진위를 판정하여, 여성인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manager 101 may receive and stor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S101).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s ID, a user's password, a user's name, a user's gender, a user's date of birth, a user's occupation, a user's address, and a user's contact information. Since the user in this embodiment is preferably a woman, the user management unit 101 may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user's gender and store only the user information of the female user.

문항 제공부(102)는 질문 세트를 저장하고, 사용자 관리부(101)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에 질문 세트를 전송할 수 있다(S102). 여기서, 질문 세트는 복수 개의 문항들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자아 영역의 문항들, 복수 개의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 복수 개의 육아 영역의 문항들 및 복수 개의 일(work) 영역의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question provider 102 may store the question set and transmit the question set to the user terminal 10 that has transmitted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manager 101 (S102). Here, the question set consists of a plurality of item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tems in the self domain, a plurality of question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omain, a plurality of items in the child care domain, and a plurality of items in the work domain. can

또한, 자아 영역의 문항들은 사용자 자신의 성격, 자존감, 태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으로서,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estions in the self domain are questions that can confirm the user's own personality, self-esteem, attitude, etc., and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ropensity,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elf-esteem,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ego energy, and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values. may include

예를 들어,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나는 외향적이며 활동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나는 많은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나면 쉽게 지치고 피로를 느낀다.", "나는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나는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성향에 대하여 외향형인지 내향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나는 내 삶에서 평온함과 균형감을 느낀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대체로 좋은 느낌이 있다.", "나는 내 삶에서 이룬 것이 별로 없다고 느낀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자존감 및 회복탄력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인 발산형인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인 보유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나는 어려운 상황을 겪을 때 내재하는 힘 보다 외적인 것(사람, 자원 등)을 의지한다.", "나는 삶의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것은 환경과 상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묵상(기도), 산책, 명상 등은 내 삶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에너지를 외적인 것을 통해 얻는 외적 자원형인지 내적인 것을 통해 얻는 내적 자원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내 삶은 중요한 의미와 목표보다는 하루하루 살아가는 현실적인 것들에 초점이 있다.", "나는 지금 당장 실현할 수 없더라도 이상적인 꿈과 목표를 가지고 있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가치관에 대하여 현실형인지 이상형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ropensity are “I am often told that I am an outgoing and active person”, “I get tired and fatigued easily after spending time with many people”, “I am very comfortable with other people.” I am a person who likes to talk with people", "I find it rather difficult to have a conversation with someone I am meeting for the first time."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inclination is an extrovert or an introvert. In addition, self-esteem-related auxiliary variable items were “I feel calm and balanced in my life,” “I feel generally good about myself,” and “I feel that I have not achieved much in my life.”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self-esteem and resilience are of a relatively high state of divergence or a relatively low state of retention. In addition,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ego energy are “I rely on external things (people, resources, etc.) rather than my own power when I am going through difficult situations”, “I find that the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olving the uncertainty of life. I think I do.", "Meditation (prayer), walks, meditation, etc. are important parts of my life."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external resource type obtained through an external or an internal resource type obtained through an internal energy. In addition, values-related auxiliary variable items were "I focus on realistic things in my daily life rather than important meanings and goals in my life" and "I have ideal dreams and goals even if I cannot realize them right now." etc., and can be used to confirm whether the value of the user is realistic or ideal.

또한,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은 사용자의 대인 관계의 상태 및 태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으로서,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 및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estion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omain are questions that can confirm the state and attitude of the us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ay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relationship propensity, and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empathy for others. .

예를 들어,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나는 갈등과 마찰이 생기는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해 내 의견을 잘 이야기하지 않는 편이다.", "나는 옳고 그른 것을 명확히 하고 바른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회에 있어 사용자가 집단주의 성향을 갖는 사회형인지 개인주의 성향을 갖는 개인형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나는 타인의 입장과 처지를 잘 이해해 주는 사람이다.", "나는 모든 사람들게 굳이 친절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타인을 이해하고자 하는 관계 지향형인지 자기 주장을 내세우고자 하는 논리 지향형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나는 나의 동료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함께 공감하고 아픔을 느낀다.", "나는 동료의 개인적인 관심사와 필요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타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공감하는 공감형인지 상대적으로 낮게 공감하는 객관형(합리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are “I tend not to express my opinion well so as not to create conflicts and conflicts”, “I think it is important to clarify what is right and wrong and do the right thing. do." etc., and can be used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a social type with collectivistic tendencies or an individual type with individualistic tendencies in society. In addition,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relationship propensity were "I am a person who understands the position and situation of others well" and "I don't think it is necessary to be kind to everyone."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relationship-oriented type who wants to understand others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or a logic-oriented type who wants to assert themselves. In addition,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empathy for others were "I sympathize with and feel pain when my colleagues are in difficult situations" and "I do not care much about the personal interests and needs of my colleagues."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relatively high sympathy for others or an objective (reasonable) type with a relatively low empathy.

또한, 육아 영역의 문항들은 사용자의 육아의 성향, 태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들로서,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육아 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육아 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estions in the parenting domain are questions that can confirm the user's propensity and attitude toward childrearing, such as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centrality,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childrearing efficacy,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childrearing, and childrearing preference. Relevant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나는 자녀가 내가 원하지 않는 행동을 때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자녀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만큼 내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육아에 대하여 자녀를 우선시하는 헌신형인지 사용자 자신을 우선시하는 균형형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육아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나는 자녀가 정해진 일과를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자주 점검한다.", "나는 자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육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감을 갖는 육아 효능형인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감을 갖는 자아 효능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나는 자녀와 친구처럼 지내는 편안한 부모가 되는 것에 높은 중요도를 둔다.", "나는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마냥 행복하고 즐겁다.", "나는 자녀가 다른 아이들에 비해 뒤쳐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녀와 관계를 우선시하는 관계형인지 자녀의 학습을 우선시하는 관리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육아 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나는 부모의 도움과 지원이 자녀를 망칠 수 있다는 생각에 조심하는 편이다.", "나는 부모가 되는 것이 인생에서 반드시 경험해봐야 하는 일이라 생각한다.", "나의 흥미는 부모 역할이 아닌 다른 분야에 있다고 느낄 때가 많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육아에 대하여 부모로서 역할을 중요시하는 부모역할 중심형인지 자아 성장을 중요시하는 자아성장 중심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centeredness were “I think it is natural for my children to do things I do not want at times” and “It is important for me to keep my life in balance as much as I spend a lot of time with my children.” I think it does."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dedicated type that prioritizes children for childcare or a balanced type that prioritizes the user himself. In addition,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were "I frequently check my child to ensure that he/she performs the prescribed routine smoothly" and "It is difficult for me to know what my child is thinking." and the like,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child-rearing efficacy type having a rel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childcare or a self-efficacy type having a relatively low level of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child relationship are “I place a high importance on being a comfortable parent who is like a friend to my child”, “I am happy and enjoy the time I spend with my child”, “I am happy that my child is with other children.” I think it's important not to fall behind."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relationship type that prioritizes a relationship with a child or a management type that prioritizes learning of a child. 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preference are "I tend to be cautious about the thought that parental help and support can ruin my child", "I think becoming a parent is something you must experience in life", "I often feel that my interests lie in other fields than parenting." etc., and can be used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a parent role-centered type that values the role as a parent in childcare or an ego-growth-centered type that values self-growth.

일 영역의 문항들은 사용자의 일에 대한 성향, 태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으로서,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Items in the work domain are items that can confirm the user's disposition and attitude toward work, and may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initiative attitud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adventurous attitude, and variable items related to creative attitude.

예를 들어,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나는 나의 제안이 거절당해도 설득될 수 있도록 계속 끝까지 노력하는 편이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력과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모험적인 상황에서 도전하는 것을 즐기는 편이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일에 대하여 보스처럼 행동하는 주도형인지 멤버처럼 행동하는 반응형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나는 모험적인 상황에서 도전하는 것을 즐기는 편이다.", "나는 어떤 분야든 새로운 것을 배우고 도전하는 것을 즐긴다.", "나는 완전히 새로운 분야보다는 내 일이나 관심 영역과 관련된 분야를 학습하는 게 좋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일에서 모험을 추구하는 모험형인지 안정을 추구하는 안정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은 "나는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기보다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나는 현재 처한 상황에 집중하며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아 일에서 새로운 방식을 선호하는 진보형인지 기존 방식을 선호하는 보수형인지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initiative attitude are “I tend to keep trying until the end to be persuaded even if my proposal is rejected”, “I tend to exercise influence and leadership over others”, and “I tend to exert influence and leadership on others”. I enjoy taking on challenges in adventurous situations.”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proactive type acting like a boss or a reactive type acting like a member. In addition,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adventurous attitude were “I enjoy taking on challenges in adventurous situations”, “I enjoy learning new things and taking on challenges in any field”, and “I prefer my work or area of interest rather than a completely new field.” It is good to study related fields."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adventurous type seeking adventure or a stable type seeking stability in the user's work. In addition, the variable items related to creative attitude are "I often think that finding new ways is better than sticking to the old ways", "I tend to focus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be realistically feasible." ." etc., and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s a progressive type who prefers a new method or a conservative type who prefers an existing method.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질문 세트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질문 세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문항들을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and output a question set, and the user may check a plurality of questions included in the question se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출력된 문항들의 각각에 대한 답안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답안은 "매우 아니다", "아니다" "그저 그렇다(보통이다)", "그렇다", 및 "매우 그렇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문항에 대응하도록 답안을 선택함으로써, 답안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질문 세트의 문항들의 각각에 대하여 입력받은 답안들을 포함한 답안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nswer to each of the output questions may be input to the user terminal 10 . Here, the answers may include "not very much", "no", "moderately so (usually)", "yes", and "very much so". When a user selects an answer to correspond to a question, the answer may be input to the user terminal 10 . The user terminal 10 may generate an answer set including input answers for each of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 set.

답안 처리부(103)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답안 세트를 전송받을 수 있고, 답안에 따른 수치를 산출하여 산출된 수치를 문항 세트에 대한 영역별로 합산할 수 있다(S103). 예를 들어, 자아 영역의 문항들의 각각에 대한 답안들의 수치가 산출되고 합산되며,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의 각각에 대한 답안들의 수치가 산출되고 합산되며, 육아 영역의 문항들의 각각에 대한 답안들의 수치가 산출되고 합산되며, 일 영역의 문항들의 각각에 대한 답안들의 수치가 산출되고 합산될 수 있다.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receive an answer set from the user terminal 10, calculat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answers, and sum the calculated numerical values for each area of the question set (S103). For example, the numerical values of the answers to each of the questions in the self domain are calculated and summed, the numerical values of the answers to each of the questions in the interpersonal domain are calculated and summed, and the numerical values of the answers to each of the questions in the parenting domain are calculated. may be calculated and summed, and numerical values of answers for each of the questions in one domain may be calculated and summed.

한편, 하나의 문항에는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아 영역의 문항들에서,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각각 외향형 및 내향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고,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각각 발산형 및 보유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으며,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각각 외적자원형 및 내적자원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고,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각각 현실형 및 이상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에서,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사회형 및 개인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고,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각각 관계지향형 및 논리지향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으며,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각각 공감형 및 객관형으로 대응 성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육아 영역의 문항들에서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각각 헌신형 및 균형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고, 육아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각각 육아효능형 및 자아효능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으며,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각각 관계형 및 관리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고, 육아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각각 부모역할 중심형 및 자아성장 중심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영역의 문항들에서,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각각 주도형 및 반응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고,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은 모험형 및 안정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으며,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은 진보형 및 보수형을 대응 성향으로 가질 수 있다.Meanwhile, one question may include a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items of the ego domain,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ropensity may have extroverted and introverted types as corresponding propensities, and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self-esteem may have divergent and retained types as corresponding propensities, respectively. Energy-related auxiliary variable items may each have an external resource type and an internal resource type as a corresponding propensity, and value-related auxiliary variable items may have a realistic type and an ideal type, respectively, as a corresponding propensity. In addition,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omain,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may have social and personal types as response tendencies, and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relationship tendencies may have relationship-oriented and logic-oriented types, respectively, as response tendencies. ,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empathy for others may have a response tendency of empathy type and objective type, respectively. In addition, among the items in the childcare domain,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centrality can each have commitment type and balanced type as response tendencies, and parenting efficacy-related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have childcare efficacy type and self-efficacy type as response propensity, respectively.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children's relationship can each have relationship type and management type as response propensity, and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preference can have parent role-centered type and self-growth-centered type respectively as response propensity. In addition, among the items in one domain,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initiative attitudes may have initiative type and responsive type as response tendencies, and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adventurous attitudes may have risk type and stable type as response tendencies, and creative attitudes Related variable items may hav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ypes as response tendencies.

상기와 같이, 하나의 문항은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을 가질 수 있기에, 한 쌍의 대응 성향들 중 하나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가질 수 있고, 한 쌍의 대응 성향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은 "나는 외향적이며 활동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와 같이 외향형에 따른 문항을 포함할 수 있고, "나는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와 같이 내향형에 따른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e item may have a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may have item contents according to one of the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and may have item contents according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Items can have content. For exampl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ropensity may include items related to extroversion, such as "I am often told that I am an outgoing and active person", and "I find it rather difficult to talk to people I meet for the first time." You can include items according to the introverted type, such as "I feel it."

또한,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에 대하여 답안은 긍정(예를 들어, 그렇다, 매우 그렇다) 또는 부정(예를 들어, 아니다, 매우 아니다)일 수 있다. 여기서, 답안 처리부(103)는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할 수 있고, 답안 처리부(103)는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에 대하여 답안은 긍정(예를 들어, 그렇다, 매우 그렇다) 또는 부정(예를 들어, 아니다, 매우 아니다)일 수 있다. 여기서, 답안 처리부(103)는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할 수 있고, 답안 처리부(103)는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swer to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response tendency may be positive (eg, yes, very much) or negative (eg, no, very not). Here,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 positive answer for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corresponding tendency as a positive number, and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 negative answer for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corresponding tendency as a negative number. can be calculated with On the other hand, the answer to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the other response tendency may be positive (eg, yes, very much) or negative (eg, no, very not). Here,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 positive answer as a negative number for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the other corresponding tendency, and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 negative answer for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the other corresponding tendency. can be calculated as a positive number.

예를 들어,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에서, 외향형에 따른 문항인 "나는 외향적이며 활동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에 대하여, 답안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1 또는 2로 산출할 수 있는 반면에, 답안이 '아니다' 또는 '매우 아니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1 또는 -2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에서, 내향형에 따른 문항인 "나는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에 대하여, 답안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1 또는 -2로 산출할 수 있는 반면에, 답안이 '아니다' 또는 '매우 아니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1 또는 2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외향형에 대응되는 답안은 양수로 산출될 수 있고, 내향형에 대응되는 답안은 음수로 산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 related to propensity, when the answer is 'yes' or 'very much so' to the question "I often hear that I am an extroverted and active person", the question according to the extroversion type While the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the number according to the answer as 1 or 2, when the answer is 'no' or 'not very much',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sets the number according to the answer to -1 or -2. can be calculated with On the other hand, in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 related to propensity, when the answer is 'yes' or 'very much so' to the question according to the introversion type, "I find it somewhat difficult to talk to someone I am meeting for the first time,"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While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 may be calculated as -1 or -2, when the answer is 'no' or 'not very much',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 as 1 or 2 . That is,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extroverted type may be calculated as a positive number, and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introverted type may be calculated as a negative number.

한편, 답안 처리부(103)는 "그저 그렇다(보통이다)"의 답안에 대해서는 0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출된 답안의 수치가 영역별로 합산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0 for the answer of "so-so (normal)". The numerical values of the answers calculated as above are summed up for each area.

유형 결정부(104)는 답안 처리부(103)에서 산출되어 영역별로 합산된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영역별로 우세 성향을 판정하고, 판정된 우세 성향을 조합하여 사용자 유형을 생성할 수 있다(S104). 여기서, 유형 결정부(104)는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들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a dominant tendency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calculated by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and summed up for each region, and may create a user type by combining the determined dominant tendencies (S104). Here,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one of a pair of mutually corresponding propensities as a dominant propensity.

예를 들어, 자아 영역에서, 유형 결정부(104)는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외향형 및 내향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발산형 및 보유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여 외적자원형 및 내적자원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현실형 및 이상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대인 관계 영역에서, 유형 결정부(104)는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사회형 및 개인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관계지향형 및 논리지향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며,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공감형 및 객관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헌신형 및 균형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육아 영역에서, 유형 결정부(104)는 육아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육아효능형 및 자아효능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관계형 및 관리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며, 육아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부모역할 중심형 및 자아성장 중심형 중 어느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영역에서, 유형 결정부(104)는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주도형 및 반응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모험형 및 안정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며,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에 대하여 진보형 및 보수형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elf domain,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one of the extroverted type and the introverted type as the dominant dis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the propensity, and one of the divergent type and the retained type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self-esteem.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one of the external resource type and the internal resource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for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ego energy, and one of the realistic type and the ideal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for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values. can judge In addition,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omain,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one of the social type and the personal type as a dominant tendency for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and the relation-oriented type and logic type for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tendency. One of the orientation typ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one of the empathy and objective typ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for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empathy for others, and one of the commitment type and balanced type is determined for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center. can be determined as a dominant tendency. In addition, in the child-rearing domain,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one of the child-rearing efficacy type and the self-efficacy type as the dominant tendency for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nd the relational and management type for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child relationship. One of the two typ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for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preference, either one of the parental role-centered type and the self-growth-centered type can be determined as the dominant type. In addition, in one area,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one of the initiative type and the responsive type as a dominant tendency for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the initiative attitude, and one of the risk type and the stable type for th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the adventurous attitud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one of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ypes can be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for the variable items related to creative attitude.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변수 문항에서 한 쌍의 대응 성향들이 상호 간에 대응될 때, 답안 처리부(103)는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갖는 문항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할 수 있고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갖는 문항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갖는 문항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갖는 문항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답안 처리부(103)에서 처리되어 합산된 수치는 양수, 0 또는 음수일 수 있다. 여기서, 합산된 수치가 양수일 때 유형 결정부(104)는 하나의 대응 성향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고, 합산된 수치가 음수일 때 유형 결정부(104)는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when a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same variable item,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n affirmative answer as a positive number for an item having an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corresponding propensity. A negative answer can be calculated as a negative number for a question having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response tendency, and a positive answer can be calculated as a negative number for a question having item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corresponding tendency. A negative answer can be calculated as a positive number for a question having an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response tendency. The numerical value processed and summed by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as described above may be a positive number, 0, or a negative number. Here, when the summed value is a positive number,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one corresponding tendency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when the summed value is a negative number,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the other corresponding tendency as the dominant tendency. can be judged by

예를 들어,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에서, 대응 성향은 외향성 및 내향성일수 있다. 외향형에 따른 문항인 "나는 외향적이며 활동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에 대한 답안이 '그렇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1로 산출할 수 있다. 내향형에 따른 문항인 "나는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에 대한 답안이 "아니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1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답안 처리부(103)는 성향 관련 대표 변수에 대한 답안의 수치를 합산하여 양수인 2를 산출할 수 있고, 유형 결정부(104)는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에 대하여 외향형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 related to propensity, the corresponding propensity may be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When the answer to "I am often told that I am an extroverted and active person", which is an extroverted type question, is 'yes',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 as 1. When the answer to “I find it rather difficult to have a conversation with someone I meet for the first time”, which is an introverted question, is “no”,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 as 1. Here,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the positive number 2 by summing the values of the answers for the representative variables related to the propensity, and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may determine the extroverted type as the dominant disposition for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 related to the propensity. there is.

한편, 외향형에 따른 문항인 "나는 외향적이며 활동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에 대한 답안이 '매우 아니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2로 산출할 수 있다. 내향형에 따른 문항인 "나는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에 대한 답안이 "그렇다"일 때 답안 처리부(103)는 답안에 따른 수치를 -1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답안 처리부(103)는 성향 관련 대표 변수에 대한 답안의 수치를 합산하여 음수인 -3를 산출할 수 있고, 유형 결정부(104)는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에 대하여 내향형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swer to "I am often told that I am an extroverted and active person", which is an extroversion type question, is 'not very much',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calculates the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 as -2. can do. When the answer to “I find it somewhat difficult to talk to someone I am meeting for the first time”, which is an introverted question, is “yes,”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a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 as -1. Here, the answer processing unit 103 may calculate -3, which is a negative number, by summing the values of the answers for the representative variables related to the propensity, and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that the introverted type is the dominant disposition for th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 related to the propensity. can do.

유형 결정부(104)는 사용자 유형을 생성할 때, 영역별 대표 변수 문항에 따른 우세 성향을 조합하여 사용자 유형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유형은 외향형 및 내향형 중 하나, 개인형 및 사회형 중 하나, 헌신형 및 균형형 중 하나 및 주도형 및 반응형 중 하나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유형은 외향개인헌신주도형(EODP), 외향사회헌신주도형(ESDP), 내향개인헌신주도형(IODP), 내향사회헌신주도형(ISDP)형, 외향개인균형주도형(EOBP), 외향사회규형주도형(ESBP), 내향개인균형주도형(IOBP), 내향사회균형주도형(ISBP), 외향개인헌신반응형(EODR), 외향사회헌신반응형(ESDR), 내향개인헌신반응형(IODR), 내향사회헌신반응형(ISDR), 외향개인균형반응형(EOBR), 외향사회균형반응형(ESBR), 내향개인균형반응형(IOBR) 및 내향사회균형반응형(ISB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형 결정부(104)는 16개의 사용자 유형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도 있다.When creating a user type, the type determiner 104 may create a user type by combining dominant tendencies according to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for each area. That is, the user type can be created by combining one of extrovert and introvert type, one of individual type and social type, one of commitment type and balanced type, and one of initiative type and responsive type. For example, user types include Extroverted Personal Commitment-led (EODP), Extraverted Social Commitment-led (ESDP), Introverted Personal Commitment-led (IODP), Introverted Social Commitment-led (ISDP), Extraverted Personal Balanced (EOBP), and Extroverted Social Commitment-led. Rule-driven (ESBP), introverted personal balance-driven (IOBP), introverted socially balanced-driven (ISBP), extroverted personal commitment responsive (EODR), extroverted social commitment responsive (ESDR), introverted personal commitment responsive (IODR), introverted It may include Social Commitment Responsive (ISDR), Extraverted Personal Balanced Responsive (EOBR), Extraverted Social Balanced Responsive (ESBR), Introverted Personal Balanced Responsive (IOBR), and Introverted Social Balanced Responsive (ISBR). Due to this, the type determining unit 104 may generate any one of 16 user types.

결과 관리부(105)는 복수 개의 대응 성향들의 각각에 대한 유형 정보를 포함하고, 유형 결정부(104)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 정보를 검색하고 조합하여 결과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S105). 특히, 결과 관리부(105)는 유형 결정부(104)에서 판정된 우세 성향에 대응되는 유형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유형 정보를 조합하여 결과 정보(도 3 내지 도 8 참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형 정보는 대응 성향에 대한 내용 및 솔루션(예를 들어, 성향에 따른 개발 및 개선 방안, 행동 방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결과 정보는 사용자 유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The result management unit 105 includes typ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searches for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ype generated from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combines them, and generates result information to generate the user terminal 10 ) can be transmitted (S105). In particular, the result management unit 105 may generate result information (see FIGS. 3 to 8 ) by searching for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ominant tendency determined by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04 and combining the searched type information. Here, the type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s and solutions for corresponding tendencies (eg, development and improvement plans according to the propensity, action plans, etc.), and result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user types.

한편, 사용자 단말기(10)에 결과 정보가 전송되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결과 정보를 통해 자신의 자아, 대인 관계, 육아 및 일에 있어서 성향에 대한 내용(도 3 내지 도 7 참조) 및 솔루션(도 8 참조)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결과 정보를 통해 자아, 대인관계, 육아 및 일의 영역으로 나뉘어 진단된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지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진로탐색, 양육 코칭 등과 같은 방향성 있는 솔루션을 제공받아 향상된 행복감을 누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through the result in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renting, and inclination in work. (see FIGS. 3 to 7) and solutions (see FIG. 8). In particular, the user can objectively recognize his or her own lifestyle diagnosed through 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arenting, and work through resul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enjoy improved happiness by being provided with directional solutions such as career exploration and parenting coaching according to the perceived lifestyle.

교육 정보부(106)는 사용자 유형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교육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교육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육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교육 정보는 음성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유형에 따른 결과 정보를 포함하거나, 결과 정보에 관련된 교육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The education information unit 106 may store a plurality of pieces of edu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r type, search for edu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earched edu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 Here, the educational information is in the form of audio or video, and may include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type or educational material related to the result information.

사용자는 교육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사용자 유형에 맞는 내용을 새롭게 습득하여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can receive and store educational information, check i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learn new content suitable for his or her user type to receive continuous education.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정보 장치(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정보 장치(200)와 사용자의 배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ormation device 200 connected to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device 200 connected to 100 and the user.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100)은 정보 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device 200 .

정보 장치(200)는 사용자 근처에 위치되어 사용자를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며, 위치 정보 및 교육 정보를 정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도록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와 설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거리는 사용자와 정보 장치(200)의 접촉 없이 사용자가 정보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교육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와 정보 장치(200)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교육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evice 200 may be moved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user from a state of being located near the user and sensing the user to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 Here, the user terminal 10 is made in the form of a smart phone, carried by a user, and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nd educa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device 200 .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evice 200 can be moved to correspon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user while maintaining a set distance from the user. Here, the set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device 200 at which the user can accurately check education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information device 200 without contact between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device 200 . Also, the information device 200 may output educa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또한, 정보 장치(200)는 베이스부(201), 음향 출력부(202), 영상 출력부(203), 제어부(204) 및 이동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base unit 201, an audio output unit 202, an image output unit 203, a control unit 204, and a moving unit 205.

베이스부(201)는 반원형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용자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201)의 내측면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201)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공간은 사용자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20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band shape and may be located near the user.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01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user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The predetermined space formed by the base portion 201 may have a size in which a user can be positioned, and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user.

또한, 베이스부(201)는 베이스 몸체(211)들 및 베이스 힌지(213)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art 201 may include base bodies 211 and base hinges 213 .

베이스 몸체(211)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곡면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몸체(211)들은 반원형 밴드 형상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몸체(211)들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는 가이드홀(210)들이 상호 간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body 211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pieces, each having a curved rectangular plate shape. These base bodies 211 may be positioned to form a semicircular band shape. In addition, guide holes 2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t least a part of each edge of the base body 211 .

베이스 힌지(213)들은 각각 베이스 몸체(211)들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 몸체(211)들을 힌지 연결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11)들은 베이스 힌지(213)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힌지(213)로 인해 상호 간에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11)들은 펼쳐진 상태에서 베이스 힌지(213)들에 의해 반원형 밴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base hinges 21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bodies 211 and hinge-connect the base bodies 211 . The base bodies 211 may be positioned to be folded or unfold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base hinge 213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ase hinge 213 . The base bodies 211 may be maintained in a semicircular band shape by the base hinges 213 in an unfolded state.

음향 출력부(202)는 베이스부(201)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교육 정보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은 음향 출력부(202)로부터 출력되어, 베이스부(201) 근처에 위치된 사용자에 의해 청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베이스부(201) 근처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향이 사용자에게 집중적으로 유도되어 보다 용이하게 청취될 수 있도록, 음향 출력부(202)는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201)의 양측단 부분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즉, 음향 출력부(20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201)의 양측단 부분을 형성하는 베이스 몸체(211)들의 각각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향 출력부(202)는 스피커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202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201 and can output sound of educational information. Sound is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202 and can be heard by a user located near the base unit 201 .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located near the base unit 201, the sound output unit 202 is provided on the base unit 201 to correspond to both ears of the user so that the sound is intensively induc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listen more easily. It may be located at both ends, respectively. That is, the sound output unit 202 is formed as a pair, and may be located on each of the base bodies 211 forming both ends of the base unit 20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ound output unit 202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peaker.

영상 출력부(203)는 베이스부(201)의 내측면에서 음향 출력부(202)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교육 정보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은 영상 출력부(203)로부터 출력되어, 베이스부(201) 근처에 위치된 사용자에 의해 시청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부(203)는 음향 출력부(202)와 베이스부(201)의 중앙 부분 사이의 베이스부(20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 출력부(203)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ideo output unit 203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20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udio output unit 202 and can output an image of educational information. The image is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03 and can be viewed by a user located near the base unit 201 . Here, the video output unit 203 may be located on the base unit 201 between the audio output unit 202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unit 201 . The image output unit 203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isplay device.

제어부(204)는 베이스부(201)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201)의 하측에 위치되어, 베이스부(201)에 연결되고 음향 출력부(202)와 영상 출력부(20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4)는 사용자 단말기(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생성되는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된 교육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4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unit 201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201, and controls the audio output unit 202 and the video output unit 203. can d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4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network 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edu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can be sent from

특히, 제어부(204)는 전송받은 교육 정보를 음향 출력부(202) 및 영상 출력부(2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04 may output the transmitted edu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202 and the video output unit 203.

또한, 제어부(204)는 감지부(241)를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241)는 베이스부(201)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241)는 사용자를 감지하되, 베이스부(201)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241)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사용자 단말기(10) 및 감지 유도체(11)들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등쪽 허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식별자(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유도체(11)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사용자의 발 뒤꿈치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이러한 감지 유도체(11)들의 각각에는 식별자가 인쇄될 수 있다. 베이스부(201)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일 때, 감지부(241)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자 및 감지 유도체(11)들의 식별자들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4)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연결되고, 앞서 언급된 교육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감지부(241)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자 및 감지 유도체(11)들의 식별자들을 동시에 감지한 이후에, 제어부(204)는 교육 정보를 전송받아, 교육 정보를 음향 출력부(202) 및 영상 출력부(203)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4 may include a sensing unit 241, and the sensing unit 24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unit 201. Here, the sensing unit 241 may detect a user, but detect a user position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base unit 201 . In particular, the sensing unit 241 can detect the user by sensing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nsing inductors 11 carried by the user. Her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back and output an identifier (eg, QR code, barcode, etc.). In addition, the sensing conductors 11 are formed as a pair, each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user's heel, and an identifier may be printed on each of the sensing conductors 11.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unit 201 and the user is within the set distance, the sensing unit 241 can detect the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identifiers of the sensing derivatives 11 . Here, the control unit 204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and can receive the aforementioned educati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 In addition, after the detector 241 detects the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identifiers of the detectors 11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204 receives the educa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ducational information to the audio output unit 202. And it can b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03.

이동부(205)는 제어부(204)의 하측에 위치되어 지면 상에 위치되고, 제어부(204)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205)는 제어부(204)에 의해 제어되어 지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moving unit 205 is located below the control unit 204 and is located on the ground, and may be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4 . Here, the moving unit 205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4 to move on the ground, and can move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특히, 감지부(241)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식별자 및 감지 유도체(11)들의 식별자를 감지한 이후에, 제어부(204)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받은 위치 정보에 대응하도록 이동부(205)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동부(205)는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등쪽을 향하면서 사용자의 이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부(205)는 사용자를 추적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02) 및 영상 출력부(203)가 위치된 베이스부(201)는 이동부(205)와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교육 정보를 제공받아 교육을 받을 수 있다.In particular, after the sensing unit 241 detects the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identifiers of the sensing derivatives 11, the control unit 204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in real time, The moving unit 205 may be controlled in real time to correspond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e moving unit 205 may move along the user's movement while facing the user's back to correspond to the user's movement. That is, the moving unit 205 may move while tracking the user. In addition, the base part 201 where the audio output unit 202 and the image output unit 203 are located may be moved in the same way as the moving unit 205 . Even if the user moves, he or she can receive education information stably and receive education.

베이스부(201)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2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01)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공기는 베이스부(201)의 내주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으로 유도되더라도 가이드홀(210)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홀(210)들은 베이스부(201)에 가해지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보 장치(200)는 공기의 저항으로 인해 감속되거나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도록 사용자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보 장치(200)의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정보 장치(200)는 사용자와 설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uide holes 210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201 . While the base part 201 is being moved,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holes 210 even if it is guided to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art 201 . That is, the guide holes 210 may reduce air resistance applied to the base portion 201 . Due to this, the information device 200 can stably move along with the user to correspond to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decelerating or falling due to air resistance. By moving the information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device 200 can stably move along with the user while maintaining a set distance from the user.

또한, 이동부(205)의 양측에는 한 쌍의 연결 부재(251)들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251)들은 각각 베이스부(201)의 하부 양측단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베이스부(201)의 베이스 몸체(211)들은 연결 부재(251)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펼쳐진 반원형 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51)들은 베이스부(201) 및 이동부(205)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lso,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251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unit 205 . Here, the connecting members 251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01,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Due to this, the base bodies 211 of the base part 201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band shape stably spread by the connecting members 251 .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s 251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ase part 201 and the moving part 205 .

또한, 베이스부(201)에는 베이스 라인(215)이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라인(215)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201)의 상부 양측단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베이스부(201)의 베이스 몸체(211)들이 펼쳐져 반원형 밴드 형상으로 형성될 때, 베이스 라인(215)은 팽팽한 상태로 일정한 장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251)들이 이동부(205)와 베이스부(201)를 연결한 상태로 일정한 길이를 가질 때, 베이스 라인(215)은 일정한 장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base line 215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part 201 . Base line 215 is made in the form of a wire, it can connect the upp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201. When the base bodies 211 of the base part 201 are spread and formed in a semicircular band shape, the base line 215 may have a constant tension in a taut state. In particular, when the connecting members 251 have a constant length while connecting the moving part 205 and the base part 201, the base line 215 may have a constant tension.

사용자가 베이스 라인(215)에 접촉될 때, 베이스 라인(215)의 장력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4)는 베이스 라인(215)의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접촉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부(205)를 사용자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접촉 신호에 따른 음향을 음향 출력부(202)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When a user touches the baseline 215, the tension of the baseline 215 may change. Here, the control unit 204 may detect a change in tension of the baseline 215 and generate a contact signal to move the moving unit 205 away from the user by a set distance and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It can be output through the unit 202.

예를 들어, 정보 장치(200)가 이동하는 사용자의 등쪽을 향하도록 이동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갑자기 정지하거나 정보 장치(200)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사용자는 베이스 라인(215)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라인(215)의 장력은 변하고, 제어부(204)는 이동부(205)를 사용자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면서 음향 출력부(202)를 통해 음향을 출력시키도록 접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갑자기 정지하거나 정보 장치(200)를 향하도록 이동하더라도 자신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던 정보 장치(200)의 베이스부(201)와 접촉하여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교육 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면서 사용자와의 충돌없이 안전하게 사용자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nformation device 200 suddenly stops or moves toward the information device 200 while moving toward the back of the moving user, the use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seline 215 . Here, the tension of the baseline 215 is changed, and the control unit 204 generates a contact signal to output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2 while moving the moving unit 205 to be separated from the user by a set distance. can Due to this, even if the user suddenly stops or moves toward the information device 200, the user may contact and not collide with the base portion 201 of the information device 200 moving along with the user's movement. Accordingly, the information device 200 can safely move along with the user without colliding with the user while stably providing educational information to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The functional oper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subject matter can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ir structural equivalents, or in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Do.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directed to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namely one or more modules of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medium for execution by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A tangible program medium may be a propagated signal or a computer readable medium. A propagated signal is an artificially generated signal, eg a machine generated electrical, optical or electromagnetic signal, generated to encode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by a computer to an appropriate receiver device.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 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bina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 readable propagating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may be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may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files that store portions of code), or part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one computer or on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Additionally, the logic flows and structural block diagrams described herein describe corresponding actions and/or specific methods supported by corresponding functions and steps supported by the disclosed structural means, and corresponding software. It can also be used to build structures and algorith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The processes and logic flows described herein can be performed by one or more programmable processors executing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functions by operating on input data and generating output.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Processors suitable for the execution of computer programs include, for example, both general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Generally, a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either read-only memory or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The core elements of a computer are one or more memory devices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instructions. A computer is also generally coupled to be operable to receive data from or transfer data to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such as magnetic, magneto-optical or optical disks, or to perform both. will be or will contain However, a computer need not have such a device.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description presents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thus prepared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Therefo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alter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hor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follow all the step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order shown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not, the technical skill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ndicate that it may fall within the range.

100: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
101: 사용자 관리부
102: 문항 제공부
103: 답안 처리부
104: 유형 결정부
105: 결과 관리부
106: 교육 정보부
100: mother comprehensive type inspection system
101: user management unit
102: question provision unit
103: answer processing unit
104: type determination unit
105: result management unit
106: Ministry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Claims (10)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부;
복수 개의 자아 영역의 문항들, 복수 개의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 복수 개의 육아 영역의 문항들 및 복수 개의 일 영역의 문항들을 포함하는 질문 세트를 저장하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에 질문 세트를 전송하는 문항 제공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질문 세트의 문항들의 각각에 대한 답안들을 포함한 답안 세트를 전송받고, 답안에 따른 수치를 산출하여 문항 세트의 영역별로 합산하는 답안 처리부;
답안 처리부에서 영역별로 합산된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영역별로 사용자의 우세 성향을 판정하고, 판정된 우세 성향을 조합하여 사용자 유형을 생성하는 유형 결정부; 및
복수 개의 우세 성향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며, 유형 결정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유형 정보를 조합하여 결과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결과 관리부를 포함하되,
자아 영역의 문항들은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을 포함하고,
대인 관계 영역의 문항들은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을 포함하며,
육아 영역의 문항들은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육아 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육아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을 포함하고,
일 영역의 문항들은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 및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을 포함하며,
문항들의 각각에는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이 포함되되,
유형 결정부는,
성향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외향형 및 내향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존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발산형 및 보유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아 에너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외적자원형 및 내적자원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가치관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현실형 및 이상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며,
사회 관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형 및 개인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관계 성향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관계지향형 및 논리지향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타인 공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공감형 및 객관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육아 중심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헌신형 및 균형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육아효능감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육아효능형 및 자아효능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자녀관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관계형 및 관리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및 육아선호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부모역할 중심형 및 자아성장 중심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일 영역의 문항들은 주도적 태도 관련 대표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주도형 및 반응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모험적 태도 관련 보조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모험형 및 안정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창의적 태도 관련 변수 문항들에 대한 답안에 따른 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진보형 및 보수형의 대응 성향 중 하나를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
In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user manager for receiv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 question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ego domain questions, a plurality of interpersonal domain questions, a plurality of parenting domain questions, and a plurality of one domain questions is stored, but the question se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user information. Item provi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n answer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n answer set including answers to each of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 set from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and sums them up for each area of the question set;
a typ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user's dominant tendency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summed values for each region in the answer processing unit, and generates a user type by combining the determined dominant tendency; and
A result of including a plurality of types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dominant tendencies, searching for ty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ype generated by the type determination unit, combining the searched type information, generating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management department,
Items in the ego domain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disposition,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self-esteem,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ego energy, and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values,
Item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a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relationship propensity, and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empathy for others,
Items in the childcare domain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centrality,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childrearing, and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parenting preference,
Items in one domain include representative variable items related to initiative attitude, auxiliary variable items related to adventurous attitude, and variable items related to creative attitude,
Each of the items includes a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type determination uni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propensity, one of the extroverted and introverted responding tendenci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elf-esteem, the divergent and introverted responses are determined.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retention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external resource type and the internal resource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ego energy,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values,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realistic type and the ideal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social relations, one of the social and individual type response tendenci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relational propensity, Therefore, one of the relationship-oriented and logic-oriented typ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one of the empathic and objective-type responses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empathy for others. do,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centrality of parenting,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devoted type and the balanced type wa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child-rearing efficacy type and the self-efficacy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child relationship,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relationship type and the management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preference, and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parental role-centered type and the self-growth-centered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propensity,
For the items in one domain,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initiative type and the responsive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representativ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initiative attitude, and the answer to the auxiliary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adventurous attitud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Based on numerical values, one of the response tendencies of the adventurous type and the stable type is determined as the dominant tendency, and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variable questions related to creative attitude, one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response tendencies is the dominant tendency.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문항들은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 중 하나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갖거나, 상호 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대응 성향 중 다른 하나에 따른 문항 내용을 가지며,
답안 처리부는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하고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하며,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긍정인 답변을 음수로 산출하고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에 따른 문항 내용의 문항에 대하여 부정인 답변을 양수로 산출하며,
유형 결정부는 합산된 수치가 양수일 때 하나의 대응 성향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고, 합산된 수치가 음수일 때 다른 하나의 대응 성향을 우세 성향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tems have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of a pair of mutually corresponding correspondence tendencies, or have item contents according to the other one of a mutually corresponding pair of corresponding propensities,
The answer processing unit calculates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response tendency as a positive number, calculates a negativ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item content according to one response tendency as a negative number, Calculate an affirmative answer as a negative number for the question of the ques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and calculate a negative answer for the question of the ques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other response tendency as a positive number,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one corresponding propensity as a dominant propensity when the summed value is a positive number, and determines the other corresponding propensity as a dominant propensity when the summed value is a negative number.
제1항에 있어서,
유형 결정부는 내향형 및 외향형 중 하나, 사회형 및 개인형 중 하나, 헌신형 및 균형형 중 하나 및 주도형 및 반응형 중 하나를 조합하여 사용자 유형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a user type by combining one of introvert and extrovert, one of social and individual, one of dedication and balance, and one of initiative and responsive.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형 정보는 각각의 대응 성향에 대한 내용 및 솔루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type information includes the contents and solutions for each corresponding tendency.
제1항에 있어서,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은,
사용자 유형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또는 동영상 형태의 교육 정보를 저장하되,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교육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육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교육 정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마 종합 유형 검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her comprehensive type examination system,
A mother comprehensive type that stores education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audio or video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types, but further comprises an educational information unit that searches for educa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arched educational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nspect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51441A 2022-04-26 2022-04-26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KR102477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41A KR102477763B1 (en) 2022-04-26 2022-04-26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41A KR102477763B1 (en) 2022-04-26 2022-04-26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763B1 true KR102477763B1 (en) 2022-12-15

Family

ID=8443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441A KR102477763B1 (en) 2022-04-26 2022-04-26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7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661A (en)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룰라비 System for phychotherapy and the method thereof
KR20210153953A (en) * 2020-06-11 2021-12-20 김희준 Vocational aptitude test system and vocational aptitude test method using the system
KR20220015162A (en) * 2020-07-30 2022-02-08 주식회사 소울매치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tching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ty information
JP2022514157A (en) * 2018-10-10 2022-02-10 霊動科技(北京)有限公司 Human interaction automatic guided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4157A (en) * 2018-10-10 2022-02-10 霊動科技(北京)有限公司 Human interaction automatic guided vehicle
KR20210053661A (en)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룰라비 System for phychotherapy and the method thereof
KR20210153953A (en) * 2020-06-11 2021-12-20 김희준 Vocational aptitude test system and vocational aptitude test method using the system
KR20220015162A (en) * 2020-07-30 2022-02-08 주식회사 소울매치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tching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ty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투미박스 와디즈펀딩1(2021.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on et al. Modeling and simulating terrorist networks in social and geospatial dimensions
Montgomery et al. Children’s privacy in the big data era: Research opportunities
Chessa et al. Mobile crowd sensing management with the ParticipAct living lab
Gibson Assessing teaching skills with a mobile simulation
Chen A non-line-of-sight error mitigation method for location estimation
Barbosa et al. Content management in a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Castillejo et al. Ontology-based model for supporting dynamic and adaptive user interfaces
Carbo et al. Agent-based simulation with NetLogo to evaluate ambient intelligence scenarios
KR20170043824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online learnimg
Batabyal et al. Analysing social behaviour and message dissemination in human based delay tolerant network
EP35028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based augmented reality
KR102477763B1 (en) System for mother's four sections behavior test
Saha et al. Utility-based exploration for performance enhancement in opportunistic mobile networks
Van Haeringen et al. Integrating valence and arousal within an agent-based model of emotion contagion
KR102479512B1 (en) Performance-oriented education method, server and terminal practicing the method
KR102383284B1 (en) System for providing business fieldtrip service using metaverse
Chen et al. A distributed algorithm for maximizing utility of data collection in a crowd sensing system
Amara et al. Dynamic group formation in mobile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Madsen et al. Connectivity probability of wireless ad hoc networks: Definition, evaluation, comparison
Abdulkareem The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art attendance tracking system using bluetooth low energy beacons
Wan et al. Research on disaster information dissemination based on social sensor networks
Martinez-Pabon et al. Recommending ads from trustworthy relationships in pervasive environments
Andris et al. Mapping the distribution and spread of social ties over time: A case study using Facebook friends
Medina et al. CoSP: A collaborative sensing platform for mobile applications
Aziz et al. Using context-aware wireless technologies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in built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