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674B1 -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 Google Patents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674B1
KR102476674B1 KR1020220045532A KR20220045532A KR102476674B1 KR 102476674 B1 KR102476674 B1 KR 102476674B1 KR 1020220045532 A KR1020220045532 A KR 1020220045532A KR 20220045532 A KR20220045532 A KR 20220045532A KR 102476674 B1 KR102476674 B1 KR 10247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performance
semi
insula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한
Original Assignee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674B1/ko
Priority to PCT/KR2023/004554 priority patent/WO20231957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의 열전도율을 유지하여 단열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준불연 이상의 난연성능과 방습성능이 우수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는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제1단열층, 상기 제1단열층 위에 형성되며, NBR (Nitrile Butylene Rubber) 고무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며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제2단열층 및 상기 제1단열층과 상기 제2단열층 사이에 형성되고, 팽창흑연이 포함되어 화재발생시 상기 제1단열층 또는 제2단열층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틈을 채울 수 있는 난연성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열층은 발포스티렌(EPS), 페놀폼(PF) 및 글래스울 샌드위치 패널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Composite insulation for buildings with excellent flame retardant and moisture-proof performance and improved energy efficiency}
본 발명은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정 또는 벽체 등의 평면 또는 3차원 설치구간에 사용 가능하며,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단열재는 건물의 내외벽체, 천정 및 각 설비에 사용된다. 건축용 단열재는 기본적으로 각종 건축관련 법령 또는 고시규정 등이 요구하는 성능을 만족시켜야 한다. 특히 에너지절약기준에 근거한 열관류율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건축물의 설계 시점에 적용되는 열관류율은 단순히 단열재 및 구성품목의 초기 열전도도를 기준으로 계산되고 있다.
유기질과 무기질 단열재들은 수분에 노출되고 상온에 노출되어 내포된 가스층이 방출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열전도도가 상승하여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경시변화의 기질을 보인다.
경시 변화에 따라 단열성능이 저하되며, 에너지손실 및 결로 발생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건축물 구조 및 구성체의 부식, 곰팡이 및 세균생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열교현상은 점, 선, 면의 형태로 단열이 파괴된 곳을 통해 열기와 냉기가 이동하여 에너지 손실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단열판넬은 그 설치 과정에서 이음매부위의 열교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우레탄폼 혹은 실란트 처리를 실시한다. 우레탄폼 및 실란트는 경시변화에 따라 실링 성능이 파괴되며, 결국 열교를 장기적으로 막을 수 없으며 이는 건축물의 노후화로 이어지게 된다. 열교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의 적층 이음매에 팀이 없애는 것이 필요하다.
건축 내외장재에서 단열성능과 동시에 요구되는 성능 중 하나는 난연성이다. 공동주택, 물류센터, 다중이용 시설에서의 화재는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손실을 야기시키므로 난연성을 중요한 요소이다. 난연성능은 건축법시행령,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국토교통부고시),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대한 고시가 새로이 이루어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시험 평가 방법이 유기단열재의 표면에 방열시트, 금속강판, 흑연발표체, 석고보드층 등이 복합으로 이루어진 곳에 진행된 콘칼로리미터법 및 유해성가스 시험을 이제는 단열재 심재에 대하여 직접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새로운 고시에 의해 보통의 유기 단열재는 표면처리 없는 심재시험에서 착화, 칼로리발생량 초과, 유해가스발생으로 이어져 난연 성능 이상을 획득하기 어렵다. 특히 22M 이상 혹은 6층이상의 건축물은 결과적으로 난연성능을 심재로서 만족하는 단열재가 사용되어야 하며, 최종적으로 구성된 벽체는 준불연 이상의 성능을 만족해야 한다.
한편, 단열 성능이 파괴된 곳으로 에너지의 이동이 발생하며, 이 때에 수증기의 이동이 함께 수반된다. 열교는 결로를 발생시키며 이는 건축물 구조 및 구성체의 부식, 곰팡이 및 세균생장을 유발한다. 글라스울, 미네랄울 등의 무기단열재는 열린구조의 소재이며 그 이음매들도 열려있으므로, 단열재 혹은 샌드위치패널로 설치된 경우 열교가 관찰되며 결로로 인한 곰팡이 및 세균이 생장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며 위생 문제 및 건축물의 노후화 및 에너지 손실을 유발한다. 폴리우레탄계 (경질, 연질, 뿜 포함) 단열재는 경시변화에 따라 열전도도가 증가하며 그 이음매의 열교가 관찰된다. 뿜칠의 초기에는 이음매가 없이 시공되나, 경시변화에 의해 갈라짐 현상 및 이탈락 현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특히 강판 마감과 긴밀 시공이 되지 않아 결로와 부식으로 이어진 경우가 종종 확인된다. 결국 결로로 인한 위생성에 영향이 발생한다. 페놀폼 단열재 또한 그 이음매에 열교 및 결로가 관찰되며, 경시변화로 인한 열전도도 상승이 발생한다. 결로에 의한 응축수 및 우수에 노출되는 경우 Phenolic Acid 및 VOC가 용출되며, 관련 구조재 및 부재를 급속히 부식시키는 문제로 미국, 유럽 등지의 해외에는 사용 중지 상태에 들어가 있다.
따라서, 단열효율이 유지되면서 난연, 방습 성능을 갖추면서, 법령상의 기준을 확보할 수 있는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27079호(2020.06.2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의 열전도율을 유지하여 단열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준불연 이상의 난연성능과 방습성능이 우수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는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제1단열층, 상기 제1단열층 위에 형성되며, NBR (Nitrile Butylene Rubber) 고무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며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제2단열층 및 상기 제1단열층과 상기 제2단열층 사이에 형성되고, 팽창흑연이 포함되어 화재발생시 상기 제1단열층 또는 제2단열층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틈을 채울 수 있는 난연성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열층은 발포스티렌(EPS), 페놀폼(PF) 및 글래스울 샌드위치 패널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열층은 2개 이상의 NBR (Nitrile Butylene Rubber) 고무발포 단열재를 평면방향으로 접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난연성 접착제층는 클로로프렌 고무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층은 열전도율 0.034 W/mK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단열층은 투습저항계수가 μ-value ("mu-value") ≥1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복합 단열판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초기단열성능에 의한 열관류율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경시변화를 최소화하여 장기적으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단열판재의 설치시 이음매 열교를 방지하여 에너지 손실 및 결로를 예방할 수 있다.
셋째, 결로를 방지하여 곰팡이 및 세균 생장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을 확보함과 동시에 건축물의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준불연 성능을 확보하여 화재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화염에 의해 발생되는 단열재의 형상 변화에도 준불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이음새 부분과 시공상태에 대한 열화상 촬영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제2단열층과 일반 단열판재의 세균증식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복합 단열판재는 제1단열층(10), 제2단열층(20), 난연성 접착제층(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복합 단열판재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1053호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서의 준불연 성능을 만족한다.
상기 고시에서, 준불연 재료란 한국산업규격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열 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며,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으며,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복합자재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는 것을 포함한다) 등이 없어야 하며, 복합 자제의 경우 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심재의 일부 용융 및 수축(시험체의 심재가 녹거나 줄어들어 시험체 바닥면의 강판이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이 없어야 한다.
또한, 한국산업규격 KS F 2271 중 가스유해성 시험 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이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준불연 또는 준불연 성능이란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상기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1053호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의 준불연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는 준불연 성능을 만족한다.
상기 제1 단열층(10)은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유기계 또는 무기계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열층(10)으로는 발포스티렌(EPS) 판재, 페놈폼(PF) 보드 또는 글래스울 샌드위치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발포스티렌(EPS) 판재가 사용되는 경우, EPS (Expanded Polystyrene) 로 되어 있는 제1단열층은 다양한 방법으로 난연성능을 확보한다. EPS (Extruded Polystyrene)의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패널을 생산한 후에 난연제를 도포하는 난연화하는 방식, EPS 발포비드를 난연제로 코팅한 후 보드로 성형하는 방식 및 발포전의 EPS 원료 제조과정에서 난연제를 미리 합침하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예를 들면, 그 제조과정에서 난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염화파라핀, 파라핀계오일, 고무계수지 중 1종 이상을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층에 침투시키고 흑연, 팽창질석, 카본블랙 중 1종 이상을 0.05-10 중량부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준불연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페놈폼(PF) 보드가 사용되는 경우, 페놀폼(PF) 보드의 경우에도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페놀폼(PF) 보드는 열전도도가 약 0.020 (W/mk) 이다. 페놀폼(PF) 로 되어 있는 단열판재 또한, 습도 및 온도변화에 따른 경시변화가 최소화된 재료이다. 그러므로, 경시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단열층으로 사용되는 페놀폼(PF) 보드는 준불연 성능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페놀폼(PF) 보드는 독립기포율이 약 90% 이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독립기포율이 낮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셀 사이로 발포가스가 빠져 나와, 단열 성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자기소화온도가 480도인 페놀수지는 유기물질 중 난연성이 가장 우수한 소재의 하나로 내열성, 내약품성과 더불어 고온 열변형이 낮고 화재시 유동가스의 발생이 적은 친환경 건축자재이다. 무기단열재의 우수한 내화성능과 유기질 단열재의 단열성 및 치수안정성, 내수성 등은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소재이다.
한편, 글래스울 샌드위치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그라스울 샌드위치 패널의 경우에도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판재이며, 기존의 상용화되어 있는 그라스울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양측 면재로는 도장용융 아연도금강판이 약 0.4 ~ 0.6 mm가 사용되며, 심재로 사용되는 그라스울은 64K 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스울 샌드위치 패널의 경우 면재의 틈이 수분이 이동하는 통로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에 취약하며, 경시변화가 큰 단점이 있다.
상기 제2단열층(20)은 NBR (Nitrile Butylene Rubber) 고무발포 단열재이다. 제1단열층은 기본적으로 단열성능 확보 뿐만 아니라 방습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한 소재이다. 준불연을 유지하면서도 단열성능을 확보하고 방습효과를 상승시켜 향균, 항곰팡이 성능 제공하기 위한 소재이다.
제2 단열층(20)은 높은 단열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내투습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단열성능이 지속된다. 즉 준불연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내투습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단열성능이 지속된다.
이러한 제2단열층(20)은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itrile Budadience Rubber :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 마그네슘 : 40 ~ 50 중량부, 황 : 1.5 ~ 4.0 중량부, 아디핀산에스테르 : 1.5 ~ 3.5 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 1.5 ~ 3.5 중량부, 산화 아연 : 15 ~ 25 중량부, 탈크(talc) : 4 ~ 7 중량부, 발포제 : 2.5 ~ 3.0 중량부 및 발포 보조제 : 8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NBR은 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로서, 내유성 고무이다.
수산화 마그네슘은 연소시에 발생하는 불활성기체가 연소부의 산소를 차단하며, 연소시 독성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수산화 마그네슘은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 5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 마그네슘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수산화 마그네슘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수축 현상이 발생하여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황은 분말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황은 히팅 열처리에 의해 가교되어 고무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황은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4.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완전히 가교되지 않아 물성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황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하게 가교되어 신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디핀산에스테르는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3.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디핀산에스테르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 반면에, 아디핀산에스테르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신율은 증가하나, 인장강도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디아미노디페닐메탄은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3.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아미노디페닐메탄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열전도율이 목표값에 미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디아미노디페닐메탄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첨가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산화 아연은 접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서 산화 아연은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2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아연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반대로, 산화 아연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첨가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탈크(talc)는 3 ~ 6㎛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탈크는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 7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발포제는 고무내에 고정된 기포 군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포제로는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 라민(DPT),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디아조아미노벤젠(DAB) 및 벤젠슬포닐히드라지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포제는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제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율이 저조할 수 있다. 반대로, 발포제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첨가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발포 보조제는 발포제의 분해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발포 보조제로는 살리실산, 프탈산 및 금속염 중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포 보조제는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 1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보조제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율이 저조할 수 있다. 반대로, 발포 보조제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첨가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열층(20)은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itrile Budadience Rubber :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아미노디페닐술폰 : 0.2 ~ 1.5 중량부,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 1.5 ~ 2.5 중량부 및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 10 ~ 1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아미노디페닐술폰은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 1.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아미노디페닐술폰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반대로, 디아미노디페닐술폰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는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2.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반대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신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는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반대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의 첨가량이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신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층(20)에 적용되는 NBR 고무발포 단열재는 원료혼합과정, 숙성과정, 압출과정 및 발포과정으로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1) 원료혼합과정
원료혼합과정에서는 수산화 마그네슘, 황, 아디핀산에스테르, 디아미노디페닐메탄, 산화 아연, 탈크 (talc), 발포제 및 발포 보조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원료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 마그네슘 : 40 ~ 50 중량부, 황 : 2.5 ~ 4.0 중량부, 아디핀산에스테르 : 2 ~ 4 중량부, 디아미노디페닐메탄 : 1.5 ~ 3.5 중량부, 산화 아연 : 15 ~ 25 중량부, 탈크(talc) : 3 ~ 6 중량부, 발포제 : 2.5 ~ 3.0 중량부 및 발포 보조제 : 8 ~ 1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비알 고무발포 단열재는 N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아미노디페닐술폰 : 0.2 ~ 1.5 중량부,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 1.5 ~ 2.5 중량부 및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 10 ~ 15 중량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더 첨가될 수 있다.
(2) 숙성과정
숙성과정에서는 원료혼합과정에 의하여 적절히 혼합된 원료를 숙성한다. 이러한 숙성은 10 ~ 80 ℃에서 1 ~ 12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 온도가 10℃ 미만일 경우에는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이 많이 소비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반대로, 숙성 온도가 80 ℃를 초과할 경우에는 혼합물의 점성이 떨어져 끈적임이 심하고 취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숙성 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고무와의 혼합 공정 중에 발생되는 잔류응력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가교 공정 중에 수축현상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숙성 시간이 12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없이 공정 시간만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3) 압출과정
압출과정에서는 숙성된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한다. 이러한 압출과정에 의하여, 숙성된 원료는 원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압출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압출기의 출구 온도는 90 ~ 11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기의 출구 온도가 상기 범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가류 시간이 변경되어 제품 밀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발포과정
발포과정에서는 압출과정에 의하여 압출된 원료를 발포한다.
발포과정은 압출된 혼합물이 가류되는 가류 단계, 예비 발포되는 예비발포 단계, 압출된 원료가 발포되는 발포 단계 및 발포숙성 단계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상기 가류 단계와, 예비발포 단계, 발포 단계, 및 발포숙성 단계는 소정의 온도로 히팅되는데, 가류 단계에서 발포숙성 단계로 갈수록 히팅온도는 점차 상승될 수 있다. 다만, 발포숙성 단계는 발포 단계보다 낮은 온도로 히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류 단계에서 압출된 혼합물이 가류되며, 상기 예비발포 단계에서는 가류단계에서 미처 가류되지 못한 혼합물이 추가로 가류되며, 가류된 혼합물의 일부는 발포되기 시작된다. 그리고 상기 발포 단계에서는 혼합물이 발포되며, 발포숙성 단계에서는 발포 단계에서 미발포된 부분이 발포된다.
상기 가류 단계는 100 ~ 115℃ 예비발포 단계는 120 ~ 135℃ 발포 단계는 140 ~ 180℃ 그리고 발포숙성 단계는 150 ~ 17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류 단계에서, 가류 온도가 100℃미만일 경우에는 제대로 가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가류시 간이 길어지므로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가류 온도가 115℃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류가 채 이루어지기 전에 발포가 시작될 우려가 높다.
한편, 예비발포 단계에서, 예비발포 온도가 120℃미만일 경우에는 가류 단계가 지속될 뿐 발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예비발포 단계의 온도가 135℃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고르게 발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 단계에서 발포 온도는 발포제의 종류에 따라 다소 조절될 수 있다. 발포 단계에서, 발포 온도가 140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발포 온도가 18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온으로 인하여 발포체가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숙성 단계에서 발포숙성 온도가 150℃미만일 경우에는 미발포된 부분이 발포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반대로, 발포숙성 온도가 17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엔비알 압출물이 열변화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각 단계는 압출물이 히팅터널을 통과하는 동안에 이루어지며, 히팅터널은 가류존, 예비발포존, 발포존 및 발포숙성존으로 구획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단열층(20)에 해당하는 NBR 고무발포 단열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제2단열층(20)은 준불연 성능을 가지며, 열전도율은 0.034 W/mK 이하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NBR (Nitrile Butylene Rubber) 로 되어 있는 제2단열층(20)은 DIN EN ISO 12572에 따라 투습저항계수 μ-value ("mu-value") ≥10,000 로서, 습기,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다. 단열판재의 이음매를 없애는 적층 및 연결방법과 더불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NBR (Nitrile Butylene Rubber) 로 되어 있는 제2단열층(20)은 또한 높은 수준의 투습저항계수 μ-value ("mu-value") ≥ 10,000 로서 방습층 (Vapor Barrier)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접착제층(30)은 제1단열층(10)과 제2단열층(20)을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난연성 접착제층(30)은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는 제1단열층(10) 및 제2단열층(20)의 복층구조이다. 각 층의 부착에 있어서 난연성 접착제를 사용하며. 이 때 난연성 접착제가 도포된 이음매 부위는 표면이 미세하게 용해되며, 접합 후에는 화학적으로 결합한 상태가 되므로, 이음매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인장 실험을 통해서 이음매가 아닌 본체에서 파괴지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난연성 접착제층(30)은 클로로프렌 고무 (Chloroprene Rubber)계로 난연 성능을 가지며, 약 0.05 - 3 mm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제2단열층(20)이 외부 환경에 접하도록 노출된 상태에서 화재에 의해 화염에 노출되거나 가열이 되는 경우에 수축율의 차이로 인하여 중심부 측으로 오므라지면서 모서리 부분이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단열재 또는 제2단열재가 형상의 변화가 생길 수 있고 형상 변화에 따른 화염이 이동할 수 있는 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반대편에 화염이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난연성 접착제층(30)은 팽창흑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흑연은 흑연을 산 처리하여 만드는데 산 처리된 흑연의 결정구조에 질산이나 황산 등이 첨가된다. 첨가된 물질은 열을 받아 부피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팽창흑연이 수직으로 팽창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수직으로 팽창한 팽창흑연은 부피가 커지면서 화염을 막아주며 팽창하면서 생긴 공극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팽창흑연이 팽창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접착제에 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축률의 차이에 의해 제2단열층이 변형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팽창흑연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고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수축률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간극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는 팽창흑연의 밀도는 2.0~2.4 g/cm3 이며 입자 크기는 150~200 μm이다. 팽창흑연의 함량은 30 ~ 70 vol%인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흑연의 함량이 30 vol% 미만의 경우에는 소량으로 인하여 충분한 팽창효과를 볼 수 없으며, 함량이 70 vol% 초과의 경우에는 팽창흑연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충분히 팽창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난연성 접착제층(30)의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증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열층(20)은 2개 이상의 NBR 고무발포 단열재를 평면방향으로 접합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제2단열층(20)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형성하는 경우 사이를 난연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경우에도 접착제층을 통하여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면적이나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단열층(10)과 제2단열층(2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음매를 없애기 위해 단순한 연결 접착 외에도 적층 시 엇갈림적층 (Staggered Lamination)을 하면 더 용이하게 이음매 열교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적층 구조를 통하여 단열, 방습, 난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이음새 부분과 시공상태에 대한 열화상 촬영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열 판재 간의 이음새 부분에 열이 누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엇갈림 방식으로 설치하여 이음매를 없애고 열교를 방지하여 에너지 손실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제2단열층(20)과 일반 단열판재의 세균증식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초기에 일정한 양의 세균을 포함하는 액적을 분무한 후에 일정시간 도과 후 세균증식여부를 관찰할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의 제2단열층(20)의 경우 세균이 증식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단열층
20: 제2단열층
30: 난연성 접착제층

Claims (6)

  1.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제1단열층;
    상기 제1단열층 위에 형성되며, NBR (Nitrile Butylene Rubber) 고무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며 준불연 성능을 가지는 제2단열층; 및
    상기 제1단열층과 상기 제2단열층 사이에 형성되고, 팽창흑연이 포함되어 화재발생시 상기 제1단열층 또는 제2단열층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틈을 채울 수 있는 난연성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열층은 발포스티렌(EPS), 페놀폼(PF) 및 글래스울 샌드위치 패널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층은 2개 이상의 NBR (Nitrile Butylene Rubber) 고무발포 단열재를 평면방향으로 접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접착제층는 클로로프렌 고무 접착제를 포함하는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층은 열전도율 0.034 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층은 투습저항계수가 μ-value ("mu-value")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KR1020220045532A 2022-04-05 2022-04-13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KR10247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532A KR102476674B1 (ko) 2022-04-13 2022-04-13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PCT/KR2023/004554 WO2023195753A1 (ko) 2022-04-05 2023-04-05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532A KR102476674B1 (ko) 2022-04-13 2022-04-13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674B1 true KR102476674B1 (ko) 2022-12-13

Family

ID=8443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532A KR102476674B1 (ko) 2022-04-05 2022-04-13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6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1090A (zh) * 2023-08-03 2023-09-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复合隔热件、电池及用电装置
WO2023195753A1 (ko) * 2022-04-05 2023-10-12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804B1 (ko) * 2018-09-28 2019-05-14 에프알코리아(주)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138304A (ko) * 2018-06-01 2019-12-12 더키 하이-테크 머티리얼(우한)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다층 복합 고무-플라스틱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7079B1 (ko) 2019-12-12 2020-06-26 여도환 하이브리드 방수 단열재 구조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304A (ko) * 2018-06-01 2019-12-12 더키 하이-테크 머티리얼(우한)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다층 복합 고무-플라스틱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7804B1 (ko) * 2018-09-28 2019-05-14 에프알코리아(주)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27079B1 (ko) 2019-12-12 2020-06-26 여도환 하이브리드 방수 단열재 구조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53A1 (ko) * 2022-04-05 2023-10-12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CN116691090A (zh) * 2023-08-03 2023-09-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复合隔热件、电池及用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674B1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US20080038516A1 (en)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Improved Fire Resistance
KR101725955B1 (ko) 화재차단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팽창성 화염차단 벨트
US20050176833A1 (en) Fire resistant insulation material
JP2007113386A (ja) 複合断熱パネルと複合発泡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259775B1 (ko) 준불연 우레탄계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963166B1 (ko) 난연성 단열발포폼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445442B1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KR102445441B1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KR102445440B1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JP3133683B2 (ja) 防火用膨張性樹脂組成物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317421B (zh) 一种防火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462936B1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2296040B1 (ko) 불연마감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건축물의 화재안전보강시공방법
JPS5818586B2 (ja) 防火性低温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2784A (ko) 팽창성 무기 골재를 포함하는 유기 단열재
WO2023195753A1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KR20240017239A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KR101953690B1 (ko) 변형방지기능을 갖는 스티로폼 조성물
KR102242117B1 (ko) 준불연성 복합단열판재
JP4227308B2 (ja) 間仕切壁構造
JP2001193309A (ja) 耐震性スリッ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