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45B1 - 동시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동시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45B1
KR102476545B1 KR1020220087552A KR20220087552A KR102476545B1 KR 102476545 B1 KR102476545 B1 KR 102476545B1 KR 1020220087552 A KR1020220087552 A KR 1020220087552A KR 20220087552 A KR20220087552 A KR 20220087552A KR 102476545 B1 KR102476545 B1 KR 10247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ay valve
connection part
end connect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한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한기술
Priority to KR102022008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4Arrangement of shut-off valves for disconnect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cycle, e.g. an outdoo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3Indoor unit with water as a heat sink or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three four-way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이 우수하고 냉온수의 공급이 동시에 가능하며, 부하량이 상이한 경우에도 원하는 냉온수의 양을 공급이 가능하며, 운전 전환시에 배관 내 압력 균일화 조정을 통한 압력차에 의한 진동, 가스 해머링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운전 전환시에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는 동시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 공기 열교환기, 냉수 열교환기, 온수 열교환기, 복수의 사방밸브, 복수의 팽창밸브, 복수의 제어밸브로 이루어져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냉난방 동시 운전, 절환 운전 등 다양한 운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시냉온수기{Cold, warm and hot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동시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의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히트펌프는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열교환을 통해 공급수를 냉각 및 가열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공급수를 가열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1-0118336호(2021.9.30.공개)가 있으며, 이는 난방시 응축기로 기능하고 냉방시 증발기로 기능하는 실내기, 난방시 증발기로 기능하고 냉방시 응축기로 기능하는 실외기, 압축기, 팽창밸브, 사방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시 정온의 냉난방을 공급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냉난방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운전 전환시 압축기를 정지해야 하며, 급탕, 냉수, 온수 등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한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1-0118336호(2021.9.30.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효율이 우수하고 냉온수의 공급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냉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하량이 상이한 경우에도 원하는 냉온수의 양을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냉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 전환시에 배관 내 압력 균일화 조정을 통한 압력차에 의한 진동, 가스 해머링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운전 전환시에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는 동시냉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인 동시내온수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일단이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1라인,
상기 제1라인에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라인,
상기 제2라인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사방밸브,
상기 제1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라인,
상기 제3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4라인,
상기 제4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
상기 제4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5라인,
상기 제5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6라인,
상기 제6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7라인,
상기 제7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8라인,
상기 제8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9라인,
상기 제9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냉수라인과 열교환하는 냉수 열교환기,
상기 제9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0라인,
상기 제10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11라인,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2라인,
상기 제12라인의 타단부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13라인,
상기 제13라인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사방밸브,
상기 제2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라인과 제4라인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4라인,
상기 제12라인과 제13라인을 연결하는 제3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5라인,
상기 제15라인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사방밸브,
상기 제3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6라인,
상기 제16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7라인,
상기 제17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온수라인과 열교환하는 온수 열교환기,
상기 제17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7라인과 제8라인이 연결되는 제4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8라인,
상기 제2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6라인과 제17라인을 연결하는 제5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9라인,
일단은 상기 제8라인과 제9라인을 연결하는 제6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6라인과 제7라인을 연결하는 제7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0라인,
일단은 상기 제5라인과 제6라인을 연결하는 제8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4라인과 제5라인을 연결하는 제9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1라인,
일단이 상기 제1 사방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9라인과 제10라인을 연결하는 제10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2라인,
상기 제6연결부와 냉수 열교환기 사이의 제9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1 팽창밸브 및
상기 제21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2 팽창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은 상기 제8라인과 제9라인이 연결되는 제6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7라인과 제18라인이 연결되는 제11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3라인 및
일단은 상기 제3 사방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0라인과 제11라인을 연결하는 제12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4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6연결부와 제1 팽창밸브 사이의 제9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1 제어밸브,
상기 제8연결부와 제2 팽창밸브 사이의 제21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2 제어밸브,
상기 제23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3 팽창밸브 및
상기 제6연결부와 제3 팽창밸브 사이의 제23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3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라인 상에 설치되어 압축기에서 제1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제5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9연결부에서 제8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
상기 제7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7연결부에서 제4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3 체크밸브,
상기 제18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11연결부에서 제4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4 체크밸브 및
상기 제20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6연결부에서 제7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5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냉방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연결을 차단하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제1 절환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제2 절환 운전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동시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연결을 차단하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난방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3라인과 제22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FF' 상태를, 제2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상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6라인과 제2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 및 제2 제어밸브는 'OFF' 상태를, 제3 제어밸브는 'ON'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급탕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3라인과 제22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FF' 상태를, 제2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방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4라인을 거쳐 제2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으로 순환하며,
제1 절환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4라인을 거쳐 제2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으로 순환하며, 또 다른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다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을 거쳐 제4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8라인으로 순환하며,
제2 절환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을 거쳐 제4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8라인으로 순환하며, 또 다른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다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며,
동시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며,
난방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 제8라인, 제20라인, 제6라인, 제21라인, 제2 팽창밸브, 제21라인,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3라인, 제1 사방밸브, 제22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상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23라인, 제3 팽창밸브, 제23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6라인, 제3 사방밸브, 제24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4라인을 거쳐 제2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급탕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 제8라인, 제20라인, 제6라인, 제21라인, 제2 팽창밸브, 제21라인,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3라인, 제1 사방밸브, 제22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동시냉온수기는 효율이 우수하고 냉온수의 동시 공급이 가능하고, 부하량이 상이한 경우에도 원하는 냉온수 양의 공급이 가능하며, 운전 전환시에 배관 내 압력 균일화 조정을 통한 압력차에 의한 진동, 가스 해머링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운전 전환시에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시냉온수기를 도시한 배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시냉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시냉온수기를 도시한 배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시냉온수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P), 일단이 압축기(CP)에 연결되는 제1라인(L1), 상기 제1라인(L1)에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라인(L2), 상기 제2라인(L2)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사방밸브(4W1), 상기 제1 사방밸브(4W1)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라인(L3), 상기 제3라인(L3)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4라인(L4), 상기 제4라인(L4)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AE), 상기 제4라인(L4)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5라인(L5), 상기 제5라인(L5)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6라인(L6), 상기 제6라인(L6)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7라인(L7), 상기 제7라인(L7)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8라인(L8), 상기 제8라인(L8)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9라인(L9), 상기 제9라인(L9)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냉수라인과 열교환하는 냉수 열교환기(CE), 상기 제9라인(L9)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0라인(L10), 상기 제10라인(L1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CP)에 연결되는 제11라인(L11), 상기 제1라인(L1)과 제2라인(L2)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C1)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2라인(L12), 상기 제12라인(L12)의 타단부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13라인(L13), 상기 제13라인(L13)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사방밸브(4W2), 상기 제2 사방밸브(4W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라인(L3)과 제4라인(L4)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C2)에 연결되는 제14라인(L14), 상기 제12라인(L12)과 제13라인(L13)을 연결하는 제3연결부(C3)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5라인(L15), 상기 제15라인(L15)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사방밸브(4W3), 상기 제3 사방밸브(4W3)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6라인(L16), 상기 제16라인(L16)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7라인(L17), 상기 제17라인(L17)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온수라인과 열교환하는 온수 열교환기(HE), 상기 제17라인(L17)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7라인(L7)과 제8라인(L8)이 연결되는 제4연결부(C4)에 연결되는 제18라인(L18), 상기 제2 사방밸브(4W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6라인(L16)과 제17라인(L17)을 연결하는 제5연결부(C5)에 연결되는 제19라인(L19), 일단은 상기 제8라인(L8)과 제9라인(L9)을 연결하는 제6연결부(C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6라인(L6)과 제7라인(L7)을 연결하는 제7연결부(C7)에 연결되는 제20라인(L20), 일단은 상기 제5라인(L5)과 제6라인(L6)을 연결하는 제8연결부(C8)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4라인(L4)과 제5라인(L5)을 연결하는 제9연결부(C9)에 연결되는 제21라인(L21), 일단이 상기 제1 사방밸브(4W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9라인(L9)과 제10라인(L10)을 연결하는 제10연결부(C10)에 연결되는 제22라인(L22), 상기 제6연결부(C6)와 냉수 열교환기(CE) 사이의 제9라인(L9)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1 팽창밸브(EX1), 상기 제21라인(L21)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2 팽창밸브(EX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되는 2 이상의 배관은 일체로 하여 단일의 배관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정도의 사항임을 밝힌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냉방, 난방, 냉난방 동시운전이 가능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환 운전, 특히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절환 운전을 통해 운전 전환시에 발생될 수 있는 배관 내 압력차에 의한 진동, 가스 해머링 등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배관의 파손, 냉매의 누설, 진동 발생, 소음 발생 등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상기 제8라인(L8)과 제9라인(L9)이 연결되는 제6연결부(C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7라인(L17)과 제18라인(L18)이 연결되는 제11연결부(C11)에 연결되는 제23라인(L23)과, 일단은 상기 제3 사방밸브(4W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0라인(L10)과 제11라인(L11)을 연결하는 제12연결부(C12)에 연결되는 제24라인(L24)과, 상기 제23라인(L23)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3 팽창밸브(EX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8라인(L8) 상에 설치되는 제4 팽창밸브(EX4)를 구비되며, 상기 제10연결부(C10)와 제2 사방밸브(4W2)를 연결하는 제25라인(L25)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6연결부(C6)와 제1 팽창밸브(EX1) 사이의 제9라인(L9) 상에 설치되는 제1 제어밸브(ES1)와, 상기 제8연결부(C8)와 제2 팽창밸브(EX2) 사이의 제21라인(L21) 상에 설치되는 제2 제어밸브(ES2)와, 상기 제6연결부(C6)와 제3 팽창밸브(EX3) 사이의 제23라인(L23) 상에 설치되는 제3 제어밸브(ES3)를 구비하여 배관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라인(L1) 상에 설치되어 압축기(CP)에서 제1연결부(C1)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CK1)와, 상기 제5라인(L5) 상에 설치되어 제9연결부(C9)에서 제8연결부(C8)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CK2)와, 상기 제7라인(L7) 상에 설치되어 제7연결부(C7)에서 제4연결부(C4)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3 체크밸브(CK3)와, 상기 제18라인(L18) 상에 설치되어 제11연결부(C11)에서 제4연결부(C4)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4 체크밸브(CK4)와, 상기 제20라인(L20) 상에 설치되어 제6연결부(C6)에서 제7연결부(C7)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5 체크밸브(CK5)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방밸브(4W1), 제2 사방밸브(4W2), 제3 사방밸브(4W3), 제1 제어밸브(ES1), 제2 제어밸브(ES2), 제3 제어밸브(ES3) 등을 온도 등의 검출 값을 통해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냉방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4W1)는 제2라인(L2)과 제3라인(L3)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4W2)는 제13라인(L13)과 제14라인(L14)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4W3)는 연결을 차단하며, 제1 제어밸브(ES1)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ES2) 및 제3 제어밸브(ES3)는 'OFF'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냉방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CP), 제1라인(L1), 제1연결부(C1), 제2라인(L2), 제1 사방밸브(4W1), 제2연결부(C2), 제4라인(L4), 공기 열교환기(AE), 제4라인(L4), 제5라인(L5), 제6라인(L6), 제7라인(L7), 제8라인(L8), 제9라인(L9), 제1 팽창밸브(EX1), 제9라인(L9), 냉수 열교환기(CE), 제9라인(L9), 제10라인(L10), 제11라인(L11), 압축기(CP)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C1)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L12), 제13라인(L13), 제2 사방밸브(4W2), 제14라인(L14)을 거쳐 제2연결부(C2)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L4)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절환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4W1)는 제2라인(L2)과 제3라인(L3)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4W2)는 제13라인(L13)과 제14라인(L14)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4W3)는 제15라인(L15)과 제16라인(L16)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ES1)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ES2) 및 제3 제어밸브(ES3)는 'OFF'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1 절환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CP), 제1라인(L1), 제1연결부(C1), 제2라인(L2), 제1 사방밸브(4W1), 제2연결부(C2), 제4라인(L4), 공기 열교환기(AE), 제4라인(L4), 제5라인(L5), 제6라인(L6), 제7라인(L7), 제8라인(L8), 제9라인(L9), 제1 팽창밸브(EX1), 제9라인(L9), 냉수 열교환기(CE), 제9라인(L9), 제10라인(L10), 제11라인(L11), 압축기(CP)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C1)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L12), 제13라인(L13), 제2 사방밸브(4W2), 제14라인(L14)을 거쳐 제2연결부(C2)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L4)으로 순환하며, 또 다른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C3)에서 다시 나누어져 제15라인(L15), 제3 사방밸브(4W3), 제16라인(L16), 제17라인(L17), 온수 열교환기(HE), 제17라인(L17), 제18라인(L18)을 거쳐 제4연결부(C4)에서 합쳐져서 제8라인(L8)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2 절환 운전시에 제1 사방밸브(4W1)는 제2라인(L2)과 제3라인(L3)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4W2)는 제13라인(L13)과 제19라인(L19)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4W3)는 제15라인(L15)과 제16라인(L16)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ES1)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ES2) 및 제3 제어밸브(ES3)는 'OFF'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2 절환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CP), 제1라인(L1), 제1연결부(C1), 제2라인(L2), 제1 사방밸브(4W1), 제2연결부(C2), 제4라인(L4), 공기 열교환기(AE), 제4라인(L4), 제5라인(L5), 제6라인(L6), 제7라인(L7), 제8라인(L8), 제9라인(L9), 제1 팽창밸브(EX1), 제9라인(L9), 냉수 열교환기(CE), 제9라인(L9), 제10라인(L10), 제11라인(L11), 압축기(CP)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C1)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L12), 제13라인(L13), 제2 사방밸브(4W2), 제19라인(L19), 제17라인(L17), 온수 열교환기(HE), 제17라인(L17), 제18라인(L18)을 거쳐 제4연결부(C4)에서 합쳐져서 제8라인(L8)으로 순환하며, 또 다른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C3)에서 다시 나누어져 제15라인(L15), 제3 사방밸브(4W3), 제16라인(L16)을 거쳐 제5연결부(C5)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L17)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동시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4W1)는 연결을 차단하고 제2 사방밸브(4W2)는 제13라인(L13)과 제19라인(L19)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4W3)는 제15라인(L15)과 제16라인(L16)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ES1)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ES2) 및 제3 제어밸브(ES3)는 'OFF'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동시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CP), 제1라인(L1), 제1연결부(C1), 제12라인(L12), 제13라인(L13), 제2 사방밸브(4W2), 제19라인(L19), 제17라인(L17), 온수 열교환기(HE), 제17라인(L17), 제18라인(L18), 제8라인(L8), 제9라인(L9), 제1 팽창밸브(EX1), 제9라인(L9), 냉수 열교환기(CE), 제9라인(L9), 제10라인(L10), 제11라인(L11), 압축기(CP)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C3)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L15), 제3 사방밸브(4W3), 제16라인(L16)을 거쳐 제5연결부(C5)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L17)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난방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4W1)는 제3라인(L3)과 제22라인(L22)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4W2)는 제13라인(L13)과 제19라인(L19)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4W3)는 제15라인(L15)과 제16라인(L16)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ES1)는 'OFF' 상태를, 제2 제어밸브(ES2)는 'ON' 상태를, 제3 제어밸브(ES3)는 'OFF'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난방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CP), 제1라인(L1), 제1연결부(C1), 제12라인(L12), 제13라인(L13), 제2 사방밸브(4W2), 제19라인(L19), 제17라인(L17), 온수 열교환기(HE), 제17라인(L17), 제18라인(L18), 제8라인(L8), 제20라인(L20), 제6라인(L6), 제21라인(L21), 제2 팽창밸브(EX2), 제21라인(L21), 제4라인(L4), 공기 열교환기(AE), 제4라인(L4), 제3라인(L3), 제1 사방밸브(4W1), 제22라인(L22), 제10라인(L10), 제11라인(L11), 압축기(CP)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C3)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L15), 제3 사방밸브(4W3), 제16라인(L16)을 거쳐 제5연결부(C5)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L17)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상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4W1)는 제2라인(L2)과 제3라인(L3)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4W2)는 제13라인(L13)과 제14라인(L14)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4W3)는 제16라인(L16)과 제24라인(L24)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ES1) 및 제2 제어밸브(ES2)는 'OFF' 상태를, 제3 제어밸브(ES3)는 'ON'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상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CP), 제1라인(L1), 제1연결부(C1), 제2라인(L2), 제1 사방밸브(4W1), 제2연결부(C2), 제4라인(L4), 공기 열교환기(AE), 제4라인(L4), 제5라인(L5), 제6라인(L6), 제7라인(L7), 제8라인(L8), 제23라인(L23), 제3 팽창밸브(EX3), 제23라인(L23), 제17라인(L17), 온수 열교환기(HE), 제17라인(L17), 제16라인(L16), 제3 사방밸브(4W3), 제24라인(L24), 제11라인(L11), 압축기(CP)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C1)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L12), 제13라인(L13), 제2 사방밸브(4W2), 제14라인(L14)을 거쳐 제2연결부(C2)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L4)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급탕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4W1)는 제3라인(L3)과 제22라인(L22)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4W2)는 제13라인(L13)과 제19라인(L19)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4W3)는 제15라인(L15)과 제16라인(L16)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ES1)는 'OFF' 상태를, 제2 제어밸브(ES2)는 'ON' 상태를, 제3 제어밸브(ES3)는 'OFF'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급탕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CP), 제1라인(L1), 제1연결부(C1), 제12라인(L12), 제13라인(L13), 제2 사방밸브(4W2), 제19라인(L19), 제17라인(L17), 온수 열교환기(HE), 제17라인(L17), 제18라인(L18), 제8라인(L8), 제20라인(L20), 제6라인(L6), 제21라인(L21), 제2 팽창밸브(EX2), 제21라인(L21), 제4라인(L4), 공기 열교환기(AE), 제4라인(L4), 제3라인(L3), 제1 사방밸브(4W1), 제22라인(L22), 제10라인(L10), 제11라인(L11), 압축기(CP)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C3)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L15), 제3 사방밸브(4W3), 제16라인(L16)을 거쳐 제5연결부(C5)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L17)으로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 전환은 제상 운전, 냉방 운전, 제1 절환 운전, 제2 절환 운전, 냉난방 동시 운전, 난방 운전, 급탕 운전의 순으로 또는 역순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동시냉온수기는 효율이 우수하고 냉온수의 동시 공급이 가능하고. 부하량이 상이한 경우에도 원하는 냉온수의 양을 공급이 가능하며, 운전 전환시에 배관 내 압력 균일화 조정을 통한 압력차에 의한 진동, 가스 해머링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운전 전환시에 압축기(CP)의 구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CP: 압축기 AE: 공기 열교환기
CE: 냉수 열교환기 HE: 온수 열교환기
4W1: 제1 사방밸브 4W2: 제2 사방밸브
4W3: 제3 사방밸브
EX1: 제1 팽창밸브 EX2: 제2 팽창밸브
EX3: 제3 팽창밸브 EX4: 제4 팽창밸브
L1: 제1라인 L2: 제2라인
L3: 제3라인 L4: 제4라인
L5: 제5라인 L6: 제6라인
L7: 제7라인 L8: 제8라인
L9: 제9라인 L10: 제10라인
L11: 제11라인 L12: 제12라인
L13: 제13라인 L14: 제14라인
L15: 제15라인 L16: 제16라인
L17: 제17라인 L18: 제18라인
L19: 제19라인 L20: 제20라인
L21: 제21라인 L22: 제22라인
L23: 제23라인 L24: 제24라인
L25: 제25라인
C1: 제1연결부 C2: 제2연결부
C3: 제3연결부 C4: 제4연결부
C5: 제5연결부 C6: 제6연결부
C7: 제7연결부 C8: 제8연결부
C9: 제9연결부 C10: 제10연결부
C11: 제11연결부 C12: 제12연결부
ES1: 제1 제어밸브 ES2: 제2 제어밸브
ES3: 제3 제어밸브
CK1: 제1 체크밸브 CK2: 제2 체크밸브
CK3: 제3 체크밸브 CK4: 제4 체크밸브
CK5: 제5 체크밸브

Claims (10)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일단이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1라인,
    상기 제1라인에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라인,
    상기 제2라인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사방밸브,
    상기 제1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라인,
    상기 제3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4라인,
    상기 제4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
    상기 제4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5라인,
    상기 제5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6라인,
    상기 제6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7라인,
    상기 제7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8라인,
    상기 제8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9라인,
    상기 제9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냉수라인과 열교환하는 냉수 열교환기,
    상기 제9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0라인,
    상기 제10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11라인,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2라인,
    상기 제12라인의 타단부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13라인,
    상기 제13라인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사방밸브,
    상기 제2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라인과 제4라인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4라인,
    상기 제12라인과 제13라인을 연결하는 제3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5라인,
    상기 제15라인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사방밸브,
    상기 제3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6라인,
    상기 제16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7라인,
    상기 제17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가 온수라인과 열교환하는 온수 열교환기,
    상기 제17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7라인과 제8라인이 연결되는 제4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8라인,
    상기 제2 사방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6라인과 제17라인을 연결하는 제5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9라인,
    일단은 상기 제8라인과 제9라인을 연결하는 제6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6라인과 제7라인을 연결하는 제7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0라인,
    일단은 상기 제5라인과 제6라인을 연결하는 제8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4라인과 제5라인을 연결하는 제9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1라인,
    일단이 상기 제1 사방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9라인과 제10라인을 연결하는 제10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2라인,
    상기 제6연결부와 냉수 열교환기 사이의 제9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1 팽창밸브 및
    상기 제21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2 팽창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8라인과 제9라인이 연결되는 제6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7라인과 제18라인이 연결되는 제11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3라인 및
    일단은 상기 제3 사방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0라인과 제11라인을 연결하는 제12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4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6연결부와 제1 팽창밸브 사이의 제9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1 제어밸브,
    상기 제8연결부와 제2 팽창밸브 사이의 제21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2 제어밸브,
    상기 제23라인 상에 설치되어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해 증발시키는 제3 팽창밸브 및
    상기 제6연결부와 제3 팽창밸브 사이의 제23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3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상에 설치되어 압축기에서 제1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제5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9연결부에서 제8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
    상기 제7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7연결부에서 제4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3 체크밸브,
    상기 제18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11연결부에서 제4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4 체크밸브 및
    상기 제20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6연결부에서 제7연결부로의 냉매 흐름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5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냉방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연결을 차단하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제1 절환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제2 절환 운전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동시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연결을 차단하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2 제어밸브 및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며,
    난방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3라인과 제22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FF' 상태를, 제2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상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2라인과 제3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6라인과 제24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 및 제2 제어밸브는 'OFF' 상태를, 제3 제어밸브는 'ON'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탕 운전 시에,
    제1 사방밸브는 제3라인과 제22라인을 연결시키고 제2 사방밸브는 제13라인과 제19라인을 연결시키며 제3 사방밸브는 제15라인과 제16라인을 연결시키며,
    제1 제어밸브는 'OFF' 상태를, 제2 제어밸브는 'ON' 상태를, 제3 제어밸브는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냉방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4라인을 거쳐 제2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으로 순환하며,
    제1 절환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4라인을 거쳐 제2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으로 순환하며, 또 다른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다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을 거쳐 제4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8라인으로 순환하며,
    제2 절환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을 거쳐 제4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8라인으로 순환하며, 또 다른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다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며,
    동시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 제8라인, 제9라인, 제1 팽창밸브, 제9라인, 냉수 열교환기, 제9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며,
    난방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 제8라인, 제20라인, 제6라인, 제21라인, 제2 팽창밸브, 제21라인,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3라인, 제1 사방밸브, 제22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상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2라인, 제1 사방밸브, 제2연결부,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5라인, 제6라인, 제7라인, 제8라인, 제23라인, 제3 팽창밸브, 제23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6라인, 제3 사방밸브, 제24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1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4라인을 거쳐 제2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4라인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급탕 운전 시에 냉매는 압축기, 제1라인, 제1연결부, 제12라인, 제13라인, 제2 사방밸브, 제19라인, 제17라인, 온수 열교환기, 제17라인, 제18라인, 제8라인, 제20라인, 제6라인, 제21라인, 제2 팽창밸브, 제21라인, 제4라인, 공기 열교환기, 제4라인, 제3라인, 제1 사방밸브, 제22라인, 제10라인, 제11라인, 압축기의 순으로 순환하며, 냉매의 일부는 제3연결부에서 나누어져 제15라인, 제3 사방밸브, 제16라인을 거쳐 제5연결부에서 합쳐져서 제17라인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냉온수기
KR1020220087552A 2022-07-15 2022-07-15 동시냉온수기 KR10247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52A KR102476545B1 (ko) 2022-07-15 2022-07-15 동시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52A KR102476545B1 (ko) 2022-07-15 2022-07-15 동시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545B1 true KR102476545B1 (ko) 2022-12-13

Family

ID=8443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552A KR102476545B1 (ko) 2022-07-15 2022-07-15 동시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5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253B1 (ko) * 2012-10-18 2012-11-26 (주) 오션엔지니어링 가스엔진식 히트펌프 시스템
KR101218349B1 (ko) * 2012-11-26 2013-01-03 이기승 냉동 냉장 및 상시 온수 생산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088118A (ko) * 2015-01-15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90081866A (ko) *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210118336A (ko) 2020-03-20 2021-09-30 주식회사 월드원하이테크 히트펌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253B1 (ko) * 2012-10-18 2012-11-26 (주) 오션엔지니어링 가스엔진식 히트펌프 시스템
KR101218349B1 (ko) * 2012-11-26 2013-01-03 이기승 냉동 냉장 및 상시 온수 생산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60088118A (ko) * 2015-01-15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90081866A (ko) *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210118336A (ko) 2020-03-20 2021-09-30 주식회사 월드원하이테크 히트펌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002B2 (ja) 空気調和装置
US7640763B2 (en) Hot water supply system
US1061989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O2013145006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653945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EP3587933A2 (en) Refrigerant transfer control in multi mode air conditioner with hot water generator
KR20060075021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의 과냉 장치
WO2016208042A1 (ja) 空気調和装置
US11578898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14997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210096522A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823469B1 (ko) 이원 싸이클을 이용한 부분부하가 적용된 고온 급탕 및 냉난방 장치
KR102476545B1 (ko) 동시냉온수기
US11262106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208620653U (zh) 一种基于经济器的空调调控结构及空调系统
KR20210096521A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961168B1 (ko) 공기열원 축냉운전과 수열원 축냉축열 동시운전을 갖는 다중열원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7255862A (ja) 空調システム
KR102105706B1 (ko) 히트펌프 시스템, 이의 양방향 인젝션 운전 방법
KR20080075581A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80945B1 (ko) 동시 냉온수기의 무정지 모드절환 제어시스템
KR20200114123A (ko) 공기조화 장치
KR100682718B1 (ko) 분지식 냉매 분배기에 연결된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2023511677A (ja) 空気調和装置
CN214581441U (zh) 空调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