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397B1 -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397B1
KR102476397B1 KR1020220090754A KR20220090754A KR102476397B1 KR 102476397 B1 KR102476397 B1 KR 102476397B1 KR 1020220090754 A KR1020220090754 A KR 1020220090754A KR 20220090754 A KR20220090754 A KR 20220090754A KR 102476397 B1 KR102476397 B1 KR 10247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oral model
oral
main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9365A (en
Inventor
남옥형
이현종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397B1/en
Publication of KR2022010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Abstract

본 기술은 치아 발거 시술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구강 모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에 따르면, 구강 내 매복된 과잉치를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과잉치 제거 수술의 실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임상적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AD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과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개별 환자 맞춤형 구강 모형을 경제적이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n oral model that can be used for tooth extraction procedure educ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realistically reproduce an impacted excess tooth in the oral cavity, increase the practical effect of the excess tooth removal surgery, and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In addition, by using a computer program such as CAD and 3D printing technology, an oral model customized for an individual patient can be economically and easily manufactured.

Description

구강 모형 및 이의 제조방법{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Oral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본 기술은 치아 발거 시술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구강 모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n oral model that can be used for tooth extraction procedure educ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구강 모형은 치과 계통의 교육기관, 병원, 세미나 등에서 실습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강 모형은 임플란트, 발치, 교정, 잇몸 질환 치료 등의 치과 치료 교육과정에서 실습생들이 실제 시술을 하기 전에 실습용으로 주로 사용된다.Oral models are used for practice in dental educational institutions, hospitals, and seminars. These oral models are mainly used for practice before trainees perform actual procedures in dental treatment courses such as implants, tooth extractions, orthodontics, and gum disease treatment.

한편, 과잉치(supernumerary tooth)는 앞니, 송곳니, 어금니 등 각 치종의 정해진 수 이상으로 더 많이 발생한 치아를 뜻하는데, 사람의 경우 대구치부 맨 뒤쪽이나 위턱 가운데 쪽의 절치부에서 주로 발생한다. 유치열기에 발생한 과잉치는 영구치의 맹출을 방해할 수 있으며, 입안에 치아가 배열될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총생과 같은 부정교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접치의 치근을 흡수하거나 낭종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비강, 상악동, 경구개로 함입되거나 신경을 압박하여 지각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과잉치에 의하여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에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upernumerary teeth refer to teeth that have more than a set number of teeth of each type, such as incisors, canines, and molars. Excessive teeth in primary teeth may interfere with the eruption of permanent teeth, and malocclusion such as crowding may occur due to lack of space in the mouth for teeth to be arranged. In addition, it can resorb the roots of adjacent teeth or form cysts, and it can enter the nasal cavity, maxillary sinus, and hard palate, or cause paresthesia by compressing nerv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move the excess teeth before complications occur.

그러나, 매복된 과잉치 제거 수술은 현재로서는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많은 임상 경험을 통하여 숙련하는 방법밖에는 없으나, 이는 환자군 모집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윤리적인 문제로 인하여 쉽게 진행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rgery to remove an impacted supernumerary tooth currently has only a method to be skilled through many clinical experiences targeting actual patients, but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ceed easily due to ethical problems as well as difficulty in recruiting patient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강 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종래 구강 모형은 주로 임플란트나 단순 발치와 같은 시술의 실습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영구 전치부 치아와 근접하여 매복해 있는 과잉치를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하기 어려워 과잉치 제거 수술의 실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Such. A method of using an oral model can be considered to solve the problem, but the conventional oral model can be mainly applied only to the practice of procedures such as implants or simple tooth extractions, and can simulate the overbite that is ambush in close proximity to the permanent anterior tooth similar to the real one.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use for practice of excess tooth removal surgery.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22578호, 교육용 임플란트 치아모형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2578, Dental Implant Model for Education

본 기술은 구강 내 매복되어 있는 치아의 발치 실습에 사용할 수 있는 구강 모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One obj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to provide an oral model that can be used for extraction practice of an impacted tooth in the oral cavity.

또한, 본 기술은 상기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ral model.

본 기술은 매복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 형상의 본체; 상기 매복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매복 공간의 내측면과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거 대상 치아; 및 상기 제거 대상 치아를 본체의 매복 공간 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강 모형을 제공한다.The present technology is a main body of the upper or lower jaw shape of the oral cavity in which an ambush space is formed; a tooth to be removed, located inside the buried space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tooth to be removed in the buried space of the main body.

또한, 본 기술은 (S1) 제거 대상 치아 및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제거 대상 치아를 둘러싸는 매복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매복 공간으로 둘러싸인 제거 대상 치아를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 형상의 본체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제거 대상 치아와 상기 매복 공간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배치하는 단계; (S4) 3차원 구강 모형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S5) 상기 생성된 3차원 구강 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가공을 통해 구강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the steps of (S1) forming an abutment space surrounding the tooth to be removed and the tooth to be remo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2) arranging the tooth to be removed surrounded by the buried space on the main body of the upper or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S3) arranging a support connecting the tooth to be remov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S4) generating data of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S5) manufacturing an oral model through mechanical processing using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oral model data.

상술한 본 기술의 일측면에 따르면, 구강 내 매복된 과잉치를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과잉치 제거 수술의 실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임상적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AD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과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개별 환자 맞춤형 구강 모형을 경제적이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alistically reproduce an impacted excess tooth in the oral cavity, increase the practical effect of the excess tooth removal surgery, and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In addition, by using a computer program such as CAD and 3D printing technology, an oral model customized for an individual patient can be economically and easily manufactured.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모형의 A-A`의 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의 실물 사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oral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cut along the line AA′ of the oral model of FIG. 1;
Figure 3 is a real picture of the oral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은 매복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 형상의 본체; 상기 매복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매복 공간의 내측면과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거 대상 치아; 및 상기 제거 대상 치아를 본체의 매복 공간 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th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upper or lower jaw shape in which an abutment space is formed; a tooth to be removed, located inside the buried space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tooth to be removed within the buried space of the main body.

상기 이격 거리는 0.01 내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m이다.The separation distance is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0.05 to 1.5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0.1 to 1.0 mm.

상기 매복 공간 및 제거 대상 치아는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buried space and the tooth to be removed may exist.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은 상기 매복 공간의 유체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uth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buri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은 (S1) 제거 대상 치아 및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제거 대상 치아를 둘러싸는 매복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매복 공간으로 둘러싸인 제거 대상 치아를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 형상의 본체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제거 대상 치아와 상기 매복 공간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배치하는 단계; (S4) 3차원 구강 모형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S5) 상기 생성된 3차원 구강 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가공을 통해 구강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S1) forming an abutment space surrounding the tooth to be removed and the tooth to be remo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2) arranging the tooth to be removed surrounded by the buried space on the main body of the upper or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S3) arranging a support connecting the tooth to be remov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S4) generating data of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S5) manufacturing an oral model through mechanical processing using the generated 3D oral model data.

상기 이격 거리는 0.01 내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m이다.The separation distance is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0.05 to 1.5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0.1 to 1.0 mm.

상기 (S3) 단계는 상기 매복 공간의 유체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로를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S3) may further include arranging a communic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ambush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S1) 내지 (S4) 단계는 CAD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The steps (S1) to (S4) may use a CAD program.

상기 (S5) 단계의 기계 가공은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The machining of the step (S5) may be performed using a 3D print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기술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기술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기술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기술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technology,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technology,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technology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기술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기술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technology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technology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technology.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10)은 매복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는,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 형상의 본체(100); 상기 매복 공간(1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매복 공간(120)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거 대상 치아(140); 및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를 본체(100)의 매복 공간(120) 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ral mod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n upper or lower jaw shape in which an ambush space 120 is formed; a tooth to be removed 140 located inside the buried space 120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upport part 150 supporting the tooth to be removed 140 within the buried space 120 of the main body 100 .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10)의 본체(100)는 인체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의 형상을 구현한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치조골부(110)와 매복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main body 100 of the mouth mod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mplements the shape of the upper or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of a human body. The main body 100 may have an alveolar bone 110 and an impact space 120 formed therein.

상기 치조골부(110)는 상기 본체(100)에서 치아(130)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치조골부(110)는 별도로 형성되어 본체(100)에 결합되거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치조골부(110)는 본체(100)의 원호상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간격을 둔 안쪽에, 원호를 따라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조골부(110)와 치아(130)는 본체(100)와 일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치조골부(110)는 치아(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lveolar bone part 110 is a part of the main body 100 where the teeth 130 are located. The alveolar bone 110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00 . The alveolar bone 11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arc-shaped side edge along an arc. As shown in FIG. 2, the alveolar bone 110 and the tooth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00, or may be individually formed and combined. When formed individually, the alveolar bone 11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so that the tooth 130 can be coupled.

상기 매복 공간(120)은 제거 대상 치아(14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요구되는 실습 조건에 따라 본체(100)에 내부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다. The abutment space 120 is a space where the tooth 140 to be removed is placed, and can be freely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required practice conditions.

상기 치아(130)는 본체(10)의 치조골부(110)에 결합되며, 인체의 구강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재현하기 위하여 결합 위치에 따라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eth 130 ar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110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incisors, canines, premolars, molars, etc. have.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는 구강 내로 맹출하여야 할 시기가 지나도 맹출하지 않고 구강 점막 또는 악골 내에 묻혀있는 매복치 또는 과잉치를 의미한다.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에서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 제거 수술 실습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제거 대상 치아(140)는 본체(100)의 매복 공간(120) 내부에 위치하며, 매복 공간(140)의 내측면과 일정 이격 거리를 두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격 거리가 지나치게 긴 경우, 매복 공간(120)을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제거 대상 치아(140)가 쉽게 발치될 수 있어, 오히려 실습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격 거리가 지나치게 짧은 경우, 본체(100)와 제거 대상 치아(140)가 직접 맞닿아 있을 수 있어, 실습 시 제거 대상 치아(140)의 발치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The tooth to be removed 140 refers to an impacted tooth or an excessive tooth buried in the oral mucosa or jawbone without erupting even after the time to erupt into the oral cavity has passed. In the oral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the tooth 140 to be removed may be a subject of surgical practice. The tooth to be removed 140 is located inside the buried space 120 of the main body 100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f the separation distance is too long, the tooth to be removed 140 can be easily extracted just by opening the abutment space 120, and the practice effect may be reduced, and if the separation distance is too short, the main body ( 100) and the tooth to be removed 140 may be in direct contact, so extraction of the tooth to be removed 140 may not be performed well during practice.

상기 이격 거리는 바람직하게 0.01 내지 2.0 mm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거 대상 치아(140)를 매복 공간(120)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본체(100)와 제거 대상 치아(140)가 직접 결합되어 실습 시 제거 대상 치아(140)의 발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실습을 하는 것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0.05 to 1.5 mm, and even more preferably 0.1 to 1.0 mm. In this way, by separating the tooth 140 to be remov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spac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ain body 100 and the tooth 140 to be removed are directly coupled, and the extraction of the tooth to be removed 140 during practice It prevents malfunctions and allows it to function similarly to clinical practice with real patients.

상기 매복 공간(120) 및 제거 대상 치아(140)는 요구되는 실습 조건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buried space 120 and the tooth to be removed 14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required practice conditions.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을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부재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단면이 원, 삼각, 사각, 오각 등인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필요한 범위 내에서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50)의 단면적이 넓을 경우, 구강 모형(10)에서 제거 대상 치아(140)가 본체에 강하게 결합 되어 실습 시 제대로 발치가 되지 않는 등 실습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150 is a member that fixes the tooth to be removed 140 to the main body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column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ircle, a triangle, a square, a pentagon,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ieces. can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upport part 150 by minimizing its cross-sectional area within a required range.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art 150 is wide, the tooth to be removed 140 in the oral model 10 is strong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practice effect may be reduced, such as not being properly extracted during practice.

상기 지지부(150)는 본체(100),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제거 대상 치아(14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일 수도 있다.The support portion 15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tooth 140 to be removed using the main body 100 and a single material, but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mbined.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10)의 본체(100), 치아(130), 제거 대상 치아(140), 지지부(15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 플라스틱, 레진,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를 단일 또는 혼용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 The body 100, teeth 130, teeth to be removed 140, and support 150 of the oral mod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re not limited thereto, but are made of soft synthetic resin, plastic, resin, It may be made of a single or mixed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10)은 상기 매복 공간(120)의 유체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합성수지, 레진, 실리콘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구강 모형(10) 제조할 경우, 매복 공간(120)과 제거 대상 치아(140) 사이의 빈 공간에 남아 있는 소재 또는 불순물을 세척액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ral mod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passage 160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ambush space 12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oral model 10 is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resin, or silicon, the material or impurities remaining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abutment space 120 and the tooth to be removed 140 can be washed with a cleaning solution. is to do

한편, 본 기술에 따른 구강 모형(10)의 제조방법은 (S1) 제거 대상 치아(140) 및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제거 대상 치아(140)를 둘러싸는 매복 공간(120)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매복 공간(120)으로 둘러싸인 제거 대상 치아(140)를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의 형상의 본체(100)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와 상기 매복 공간(12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부(150)를 배치하는 단계; (S4) 3차원 구강 모형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S5) 상기 생성된 3차원 구강 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가공을 통해 구강 모형(1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al mod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S1) forming an embedding space 120 surrounding the tooth 140 to be removed and the tooth 140 to be remo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2) arranging the tooth to be removed 140 surrounded by the buried space 120 on the main body 100 in the shape of the upper or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S3) arranging a support part 150 connecting the tooth to be removed 1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120; (S4) generating data of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S5) manufacturing the oral model 10 through mechanical processing using the generated 3D oral model data.

상기 (S1) 단계는 실습의 대상이 되는 제거 대상 치아(140)를 형성하고,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의 표면과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매복 공간을 피막구조 또는 캡슐과 같은 형태로 제거 대상 치아(140)를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는 직접 치아의 형태를 설계하거나, 실제 시술 대상 환자의 구강 정보로부터 획득한 매복치 또는 과잉치의 형태를 이용하거나, 또는 기존에 미리 설계된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the step (S1), the tooth 140 to be removed, which is the object of practice, is formed, and the buried space is removed in the form of a film structure or capsul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removed 140 by a certain distance. This is a step of forming to surround the target tooth 140 . The shape of the tooth to be removed 140 may be directly designed, the shape of an impacted tooth or excessive tooth acquired from oral information of a patient to be treated may be used, or a previously designed shape may be used.

상기 이격 거리는 바람직하게 0.01 내지 2.0 mm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거 대상 치아(140)를 매복 공간(120)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본체(100)와 제거 대상 치아(140)가 직접 결합되어 실습 시 제거 대상 치아(140)의 발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실습을 하는 것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preferably 0.01 to 2.0 mm, more preferably 0.05 to 1.5 mm, and even more preferably 0.1 to 1.0 mm. In this way, by separating the tooth 140 to be remov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spac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ain body 100 and the tooth 140 to be removed are directly coupled, and the extraction of the tooth to be removed 140 during practice It prevents malfunctions and allows it to function similarly to clinical practice with real patients.

상기 (S2) 단계는 상기 매복 공간(120)으로 둘러싸인 제거 대상 치아(140)를 본체(100)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본체(100)는 인체의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의 형상인 것으로, 치아(130), 치조골(110)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와 마찬가지로, 직접 설계하거나, 실제 시술 대상 환자의 구강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악 또는 하악의 형태를 이용하거나, 또는 기존에 미리 설계된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step (S2) is a step of arranging the tooth 140 to be removed surrounded by the buried space 120 on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s in the shape of the upper or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of the human body, and may be in the form of including teeth 130 and alveolar bone 110, and, like the tooth to be removed 140, may be directly designed or actually The shape of the upper jaw or the lower jaw obtained from the or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to be operated on may be used, or a previously designed shape may be used.

상기 (S3) 단계는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와 상기 매복 공간(12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부(15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제거 대상 치아(140)를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단면이 원, 삼각, 사각, 오각 등인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필요한 범위 내에서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50)의 단면적이 넓을 경우, 제조된 구강 모형(10)에서 제거 대상 치아(140)가 본체에 강하게 결합 되어 실습 시 제대로 발치가 되지 않는 등 실습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The step (S3) is a step of arranging the support part 150 connecting the tooth 140 to be remov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120 . The support part 150 serves to fix the tooth 140 to be removed to the main body 100, and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ircle, triangle, square, pentagon, etc., and is arranged in multiple pieces. It can b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upport part 150 by minimizing its cross-sectional area within a required range.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art 150 is wide, the tooth to be removed 140 in the manufactured oral model 10 is strong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practice effect may be reduced, such as not being properly extracted during practice.

이와 같이 매복 공간(120)으로 둘러싸인 제거 대상 치아(140)를 본체(100)에 지지부(150)을 이용하여 배치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매복치 또는 과잉치가 있는 구강 모형을 설계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tooth to be removed 140 surrounded by the buried space 120 on the main body 100 using the support 150, it is possible to design an oral model having an impacted tooth or excessive teeth similar to a real one.

상기 (S3) 단계는 상기 매복 공간(120)의 유체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로를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합성수지, 레진, 실리콘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구강 모형(10) 제조할 경우, 매복 공간(120)과 제거 대상 치아(140) 사이의 빈 공간에 남아 있는 소재 또는 불순물을 세척액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tep (S3) may further include arranging a communic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ambush space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oral model 10 is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resin, or silicon, the material or impurities remaining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abutment space 120 and the tooth to be removed 140 can be washed with a cleaning solution. is to do

상기 (S4) 단계는 상기 (S1) 내지 (S3) 단계를 통하여 설계된 구강 모형(10)의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S1) 내지 (S4) 단계는 CAD(computer-aided 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구강 모형(10)의 형상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The step (S4) is a step of generating three-dimensional data of the oral model 10 designed through the steps (S1) to (S3). The steps (S1) to (S4) may be performed using a computer-aided design (CAD) program, and shape information of the oral model 10 may be designed and produced as digital data.

상기 (S5) 단계는 상기 생성된 3차원 구강 모형(10)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가공을 통해 구강 모형(1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강 모형(10)의 본체(100), 치아(130), 제거 대상 치아(140), 지지부(15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 플라스틱, 레진,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를 단일 또는 혼용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 The step (S5) i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oral model 10 through mechanical processing using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oral model 10 data. The body 100, teeth 130, teeth to be removed 140, and support 150 of the oral model 10 are, but are not limited to, soft synthetic resins having elasticity, plastics, resins, rubbers, silicones, etc. It may be made of single or mixed materials.

한편, 상기 기계 가공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3D 프린터를 이용할 경우, 생성된 3차원 구강 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프린터에 의해 구강 모형(10)을 형성한다. 3D 프린터는, 입력된 구강 모형(10)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한층씩, 상기의 의치상용 재료를 적층함으로써 구강 모델(10)을 성형한다. 3D 프린터는, 광조형 방식, 분말 소결 적층 방식, 열용해 적층 방식 및 잉크젯 방식 중 어떤 방식을 채용한 것이어도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echanical processing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using a 3D printer. When using a 3D printer, the oral model 10 is formed by the 3D printer using the generated 3D oral model data. The 3D printer molds the oral cavity model 10 by laminating the above denture base material layer by layer based on the input data of the oral model 10 . The 3D printer may employ any of a stereolithography method, a powder sinter lamination method, a thermal melting lamination method, and an inkjet method.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구강 모델(10)을 형성하는 경우, 본체(100), 치조골부(110), 매복 공간(120), 치아(130), 제거 대상 치아(140), 지지부(150)를 포함하여 구강 모델(10) 전체를 3D 프린터만으로 성형할 수 있다. When the oral model 10 is formed using a 3D printer, the main body 100, the alveolar bone 110, the abutment space 120, the tooth 130, the tooth to be removed 140, and the support 150 are included. Thus, the entire oral model 10 can be molded only with a 3D printer.

이로써, 수작업 등에 의한 매복 공간(120), 제거 대상 치아(140) 등을 성형하거나 수정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거나,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ocess of shaping or modifying the buried space 120 or the tooth 140 to be removed by manual work can be eliminated or minimized.

특히, 본 기술의 구강 모형(10)은 본체(100)에 제거 대상 치아(140)을 배치시 별도의 내부 공간(120)을 두고 제거 대상 치아(140)가 본체(100)와 이격되도록 하고, 일부분만이 지지부(150)로 연결되도록 설계함으로써,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경우, 단일 소재만을 이용하여 성형하더라도, 이와 같이, 본체(100)와 제거 대상 치아(140)가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습에 적합한 매복치 또는 과잉치가 있는 구강 모형을 제조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oral model 10 of the present technology, when placing the tooth 140 to be removed on the main body 100, a separate internal space 120 is provided so that the tooth 140 to be removed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0, By designing only a part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50, even if a 3D printer is used, even if it is molded using only a single material, since the main body 100 and the tooth 140 to be removed are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Oral models with impacted teeth or superfluous teeth suitable for practice can be manufactured.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기술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기술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achiev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technology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and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 - 구강 모형 100 - 본체
110 - 치조골부 120 - 매복 공간
130 - 치아 140 - 제거 대상 치아
150 - 지지부 160 - 연통
10 - oral model 100 - main body
110 - alveolar bone 120 - ambush space
130 - tooth 140 - tooth to be removed
150 - support 160 - communication

Claims (5)

(S1) 제거 대상 치아 및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제거 대상 치아를 둘러싸는 매복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매복 공간으로 둘러싸인 제거 대상 치아를 구강의 상악 또는 하악 형상의 본체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제거 대상 치아와 상기 매복 공간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배치하는 단계;
(S4) 3차원 구강 모형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S5) 상기 생성된 3차원 구강 모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가공을 통해 구강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
(S1) forming an embedding space surrounding the tooth to be remo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oth to be removed;
(S2) arranging the tooth to be removed surrounded by the buried space on the main body of the upper or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S3) arranging a support connecting the tooth to be remov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space;
(S4) generating data of a three-dimensional oral model; and
(S5) manufacturing an oral model through mechanical processing using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oral model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0.1 내지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is 0.1 to 2.0 m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ral mod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매복 공간의 유체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로를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mod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S3) further comprises arranging a communication path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ambush spac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내지 (S4) 단계는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s (S1) to (S4) ar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CAD progra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ral mod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의 기계 가공은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모형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chanical processing of the step (S5)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model,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3D printer.
KR1020220090754A 2019-10-10 2022-07-22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KR102476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754A KR102476397B1 (en) 2019-10-10 2022-07-22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457A KR20210042645A (en) 2019-10-10 2019-10-10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KR1020220090754A KR102476397B1 (en) 2019-10-10 2022-07-22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457A Division KR20210042645A (en) 2019-10-10 2019-10-10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365A KR20220109365A (en) 2022-08-04
KR102476397B1 true KR102476397B1 (en) 2022-12-09

Family

ID=757431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457A KR20210042645A (en) 2019-10-10 2019-10-10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KR1020220090754A KR102476397B1 (en) 2019-10-10 2022-07-22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457A KR20210042645A (en) 2019-10-10 2019-10-10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42645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9180A1 (en) * 2021-07-23 2023-01-26 Universität Heidelberg Medical training mod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585A (en) 2003-01-29 2004-08-19 Univ Waseda Medical simulator
JP2009092895A (en) 2007-10-09 2009-04-30 Higashi Nippon Gakuen Hokkaido Iryo Daigaku Dental injection simulator
CN104112387A (en) 2014-08-01 2014-10-22 北京大学口腔医学院 Complex tooth extraction model
CN208422226U (en) 2017-12-15 2019-01-22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A kind of impacted tooth teaching mode of 3D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78Y1 (en) 2006-05-11 2006-07-27 주식회사 거승 The dental model implant for the eduction a purpo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585A (en) 2003-01-29 2004-08-19 Univ Waseda Medical simulator
JP2009092895A (en) 2007-10-09 2009-04-30 Higashi Nippon Gakuen Hokkaido Iryo Daigaku Dental injection simulator
CN104112387A (en) 2014-08-01 2014-10-22 北京大学口腔医学院 Complex tooth extraction model
CN208422226U (en) 2017-12-15 2019-01-22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A kind of impacted tooth teaching mode of 3D pri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645A (en) 2021-04-20
KR20220109365A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8090B2 (en) Dental prosthesis providing an exposed occlusal surface
US10383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attachment fabrication and placement
CN111107804A (en) Tooth repairing mould
US8636513B2 (en) Fabricating a base compatible with physical tooth models
US20150245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US201502458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EP3939539B1 (en) Partially connected full denture having an adjustable dental arch and occlusion curvature
US20060093987A1 (en) Producing an adjustable physical dental arch model
CN109803604B (en) Co-placement support for artificial teeth
AU2017315006B2 (en) Tooth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nture base
US20060093993A1 (en) Producing a base for physical dental arch model
US20160365008A1 (en) Dental training device
JP2013138752A (en) Artificial tooth having keeping mechanism
KR102476397B1 (en) A oral model and a method for the same
WO2016071529A1 (en) Artificial teeth
KR101240357B1 (en) Rapid prototype of oral model assembly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using the same
US20060127857A1 (en) Producing non-interfering tooth models on a base
JP5275205B2 (en) Artificial molar
JP2010051789A (en) Artificial molar tooth
CN105957421B (en) Multifunctional oral cavity plants practice model
CN115153919A (en) Step-by-step root-shaped positioning guide plate for preparation of self-dental-implant alveolar fossa and manufacturing method
JP7112616B2 (en) Artificial tooth piece unit,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CN220474196U (en) Root canal retreatment model
KR102022360B1 (en) Educational Tooth Model Manufacturing Method and Educational Tooth Model
JP2022055460A (en) Den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