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319B1 -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319B1
KR102476319B1 KR1020180054244A KR20180054244A KR102476319B1 KR 102476319 B1 KR102476319 B1 KR 102476319B1 KR 1020180054244 A KR1020180054244 A KR 1020180054244A KR 20180054244 A KR20180054244 A KR 20180054244A KR 102476319 B1 KR102476319 B1 KR 10247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essure
display panel
pressure senso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101A (ko
Inventor
홍원기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319B1/ko
Priority to US16/171,567 priority patent/US10678365B2/en
Priority to CN201910110075.8A priority patent/CN110471553A/zh
Publication of KR2019013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101A/ko
Priority to US16/866,810 priority patent/US1120992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Abstract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DISPLAY DEVICE AND FORCE SENSOR STRUCTUR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가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방식의 편리함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키패드 등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터치 센서에서 더 나아가 표시 장치에 압력의 세기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적용하여 기존의 물리적인 버튼 대용으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압력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압력 센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도전 시트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민감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제1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압력 감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의 타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재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도전 시트와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제2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상기 제2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재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동일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제1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의 타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제2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상기 제2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재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1기재층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제1 줄기 전극 및 상기 제1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제2 줄기 전극 및 상기 제2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각 제1 가지 전극과 상기 각 제2 가지 전극은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각 감지 영역마다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센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윈도우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각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된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각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민감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센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일면이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압력 감지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도전 시트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구조물은,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과 접촉하고 서로 이격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과 접촉하는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기재층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구동 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센싱 전극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각각 콤(comb) 형상으로 상호 맞물려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 민감 물질을 포함하고, 압력 인가 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압력 감지층에 접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에 의하면, 압력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Q부분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의 제1전극, 제2전극, 압력 감지층 및 압력집중범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압력 감지층의 압력에 대한 전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32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Q1부분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의 제1전극, 제2전극, 압력 감지층 및 압력집중범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Y-Y'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6 내지 도 63a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3의 Y-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3b는 도 63a의 R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3c는 도 63b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4 내지 도 92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3의 Y-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압력 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압력 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압력 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Q부분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의 제1전극, 제2전극, 압력 감지층 및 압력집중범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압력 감지층의 압력에 대한 전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300), 윈도우(500), 도전 시트(700), 압력 센서(100) 및 압력집중범프(BP)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1)는 브라켓(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에서의 "상부", "상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 또는 제3방향(D3) 측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 또는 제3방향(D3)의 반대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면 방향에서의 "상(위)", "하(아래)", "좌", "우"는 표시면을 정위치에 두고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양 장변(LS1, LS2)과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양 단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1) 또는 그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300) 등의 부재에서, 평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1 장변(LS1), 좌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2 장변(LS2), 위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1 단변(SS1),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2 단변(SS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의 장변(LS1, LS2)의 길이는 단변(SS1, SS2)의 길이의 1.5배 내지 2.5배의 범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는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인 제1영역(DR1)과 제2영역(D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DR1)은 제1 평면에 놓인다. 제2영역(DR2)은 제1영역(DR1)과 연결되되, 그로부터 꺾이거나 휘어져 있다. 제2영역(DR2)은 상기 제1 평면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제2 평면에 놓이거나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제2영역(DR2)은 제1영역(DR1)의 주변에 배치된다. 표시 장치(1)의 제1영역(DR1)은 주된 표시면으로 사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영역(DR2)도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의 제1영역(DR1)이 평탄부이고, 제2영역(DR2)이 곡면부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곡면부인 제2영역(DR2)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거나, 곡률이 변화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영역(DR2)은 표시 장치(1)의 가장자리(또는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영역(DR2)은 표시 장치(1)의 서로 대향하는 양 장변(LS1, LS2)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영역(DR2) 표시 장치(1)의 일변 가장자리에 배치되거나, 양 단변(SS1, SS2)에 배치되거나, 3개의 변 가장자리에 배치되거나, 모든 변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300)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장치, 전기 영동 장치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0)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유리, 석영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rigid)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나 기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30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는 윈도우(500)가 배치된다. 윈도우(5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300)을 보호하는 한편, 표시 패널(300)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윈도우(500)는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500)는 표시 패널(30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300)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500)는 표시 패널(30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양 단변(SS1, SS2)에서 윈도우(500)는 표시 패널(3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양 장변(LS1, LS2)에서도 윈도우(500)가 표시 패널(300)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SS1, SS2)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은 상부 결합층(813)을 매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적으로 결합한다는 의미는,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이 각각 상부 결합층(813)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간접적으로 결합한다는 의미는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다른 구성(예컨대, 터치 센서 등)이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부 결합층(813)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 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는 압력 센서(100)가 배치된다.
압력 센서(100)는 표시 패널(300)과 중첩할 수 있으며,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중간 결합층(811)을 통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0)는 표시 장치(1)의 제1영역(DR1) 및 제2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100)의 일부는 표시 장치(1)의 평탄부에 위치하는 부분 및 표시 장치(1)의 곡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00)는 복수의 감지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영역(SA)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각 감지 영역(SA)은 서로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영역(SA)은 표시 장치(1)의 제1영역(DR1) 및 제2영역(DR2)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 센서(100)는 서로 분리된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3)을 포함하며, 압력 감지층(150), 제1기재층(110) 및 제2기재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재층(110)과 제2기재층(12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재층(110)과 제2기재층(120)은 각각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이미드(poly 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술폰(poly 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기재층(110)과 제2기재층(120)은 각각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기재층(110)과 제2기재층(120)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기재층(110)과 제2기재층(120)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결합층(도면 미도시)를 매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기재층(120)과 마주보는 제1기재층(110)의 일면 상에는 제1전극(131)이 위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131)은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재층(110)과 마주보는 제2기재층(120)의 일면 상에는 제2전극(133)이 위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133)은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되고,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층(또는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131)은 구동 전극이고 제2전극(133)은 센싱 전극일 수 있다.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도전성 폴리머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 사이에는 압력 감지층(15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층(150)은 제1전극(13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기재층(110)의 일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층(150)은 제1전극(131)과 유사하게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D2)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층(150)은 압력 민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니켈, 알루미늄, 주석, 구리 등의 금속 나노파티클이나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입자 형태로서 폴리머 수지 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층(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이 커질수록 전기저항이 낮아지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와 압력의 크기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력 감지층(150)의 표면은 제1전극(131)에 맞닿고 제2전극(133)의 표면에 맞닿거나 적어도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압력 센서(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해당 부위에서 압력 감지층(150)의 표면은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3)의 표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압력 감지층(15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 사이에 놓인 압력 감지층(150)은 전기적인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압력 감지층(150)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거나 작을 경우 압력 감지층(150)은 높은 저항을 갖는다. 이 경우 제1전극(131)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제2전극(133) 측으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반면, 압력 감지층(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면 압력 감지층(150)의 저항이 낮아져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 간 전류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1전극(131)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제2전극(133)에서 전류량을 센싱하거나, 센싱된 전류량을 전압값으로 변환해 검출하면, 압력 감지층(150)에 어느 정도의 압력이 가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압력 감지층(150)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전극(131)의 두께 또는 제2전극(133)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층(150)의 두께는 4㎛ 내지 1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층(150)의 두께는 약 8㎛일 수 있다.
제1전극(131), 제2전극(133) 및 압력 감지층(150)은 각 감지 영역(SA)마다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131) 및 압력 감지층(150)은 제1방향(D1)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각 감지 영역(SA)에 위치하되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133)은 제2방향(D2)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각 감지 영역(SA)에 위치하되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압력 센서(100)의 제2기재층(120)이 제1기재층(110)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0)의 제1기재층(110)이 제2기재층(120)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100)의 하부에는 도전 시트(700)가 배치된다.
도전 시트(700)는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강도 보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 시트(700)는 그라파이트 시트 또는 구리 시트일 수 있다. 도전 시트(700)는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중간 결합층(815)을 통해 압력 센서(100)와 결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00)를 향하는 도전 시트(700)의 일면 상에는 압력집중범프(BP)가 위치할 수 있다. 압력집중범프(BP)는 각 감지 영역(SA)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각 감지 영역(SA) 내에 배치된 압력 감지층(15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력집중범프(BP)는 외력에 의한 압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각 감지 영역(SA)내의 압력 감지층(150)에 집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센서(100)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는 압력 센서(100)를 향하는 도전 시트(700)의 일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는 도전 시트(700)의 일면 상에 코팅 또는 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압력집중범프(BP)는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층을 매개로 도전 시트(70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압력집중범프(BP)는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구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력집중범프(BP)는 압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폴리머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압력집중범프(BP)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집중범프(BP)와 압력센서(100) 사이에는 중간 결합층(815)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전시트(700)과 압력센서(100) 사이의 공간은 중간 결합층(815)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구조는 도 4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표시 장치(1_1)는 도 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는 달리, 도전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할 수 있다. 도전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는 스페이서(SP)에 의해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 내에는 에어(air)가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 결합층(815)은 도 4a에 도시되 바와는 달리, 도전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지 않고, 도전시트(700)와 압력센서(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도전시트(700)와 압력센서(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SP)는 도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 센서(100)의 감지 영역(SA)과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SP)의 높이는 압력집중범프(BP)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SP)는 압력집중범프(BP)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SP)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SP)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고,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을 갖는 재질은 엘라스토머, 고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 시트(700)의 하부에는 브라켓(900)이 배치된다. 브라켓(900)은 다른 부품들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또는 보호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900)은 윈도우(500), 표시 패널(300), 압력 센서(100) 및 도전 시트(700)를 수납할 수 있다.
브라켓(900)의 바닥부는 도전 시트(700)와 대향한다. 도전 시트(700)는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하부 결합층(817)을 통해 브라켓(900)의 바닥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압력 센서(100)는 물리적인 입력 버튼을 대체하거나 물리적인 입력 버튼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압력 센서(100), 사용자 입력의 세기 또는 압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바, 표시 장치(1)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력 센서(100)로 압력 인가 여부와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에 인가되는 압력 및/또는 크기에 따라 사전 프로그래밍된 표시 장치(1)의 동작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조정, 화면 잠금, 화면 변환, 어플리케이션 호출, 어플리케이션 실행, 사진 촬영, 전화 수신 등의 사전 프로그래밍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압력 센서(100)의 감지 영역(SA)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BP)를 포함하는 바, 압력 센서(100)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압력집중범프(BP)가 윈도우(500)와 도전 시트(70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300)과 도전 시트(700) 사이에 배치되는 바, 윈도우(500), 표시 패널(300), 압력 센서(100), 압력집중범프(BP) 및 도전 시트(700)를 모듈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이하 실시예들 중 도전 시트(700)와 압력 센서(100) 사이에 범프(BP)가 배치된 실시예들의 경우, 모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가 적용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a)는 압력집중범프(BPa)가 도전 시트(700)와 일체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표시 장치(1a)의 압력집중범프(BPa)는 압력 센서(100)를 향하는 도전 시트(700)의 일면 상에 위치하되, 도전 시트(70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도전 시트(700)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전 시트(700)가 구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압력집중범프(BPa)도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a)는 도전 시트(700)를 프레싱(pressing)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도전 시트(700) 자체를 가공하여 압력집중범프(BPa)로 활용하는 바, 상술한 효과에 부가하여 표시 장치(1a)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a_1)는 도전 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하고 도전 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점에서 도 6a에 도시된 표시 장치(1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스페이서(SP) 관련 설명은 도 4b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한편, 이하 실시예들 중 도전 시트(700)와 범프(BPa)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실시예의 경우, 모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가 적용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b)는 압력 센서(100-1)의 구성이 도 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압력 센서(100-1)는 도 4a에 도시된 압력 센서(100)와는 달리, 제2기재층(1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전극(133)은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300)이 제2전극(133)의 기재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압력 센서(100-1)의 두 기재층 중 하나 및 중간 결합층(811)을 생략할 수 있는 바,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효과에 부가하여 표시 장치(1b)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c)는 압력집중범프(BPa)가 도전 시트(700)와 일체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1b)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외 압력집중범프(BPa)에 대한 설명은 도 6a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표시 장치(1c)의 구조를 간소화 하면서도 표시 장치(1c)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9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d)는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0)와 결합하여 압력 센서 구조물(FSS)을 이루는 점, 구체적으로 압력집중범프(BP)는 도전 시트(700)를 향하는 제1기재층(110)의 하면에 결합된 점에서 도 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0)와 결합하여 압력 센서 구조물(FSS)을 이루는 바, 감지 영역(SA)과 압력집중범프(BP)의 미스 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d_1)는 도전 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하고 도전 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점에서 도 9a에 도시된 표시 장치(1d)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스페이서(SP) 관련 설명은 도 4b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한편, 이하 실시예들 중 압력 센서(100)에 범프(BP)가 결합되거나, 또는 제1기재층(110)에 범프(BP)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의 경우, 모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가 적용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0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e)는 압력 센서 구조물(FSS-1)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9a에 도시된 표시 장치(1d)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압력 센서 구조물(FSS-1)의 압력집중범프(BPb)는 도전 시트(700)를 향하는 제1기재층(110)의 하면에 위치하되, 제1기재층(11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기재층(11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기재층(110)이 PET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압력집중범프(BPb)도 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b)는 제1기재층(110)을 에칭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제1기재층(110) 자체를 가공하여 압력집중범프(BPb)로 활용하는 바, 압력 센서 구조물(FSS-1)의 구조 및 표시 장치(1e)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e_1)는 도전 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하고 도전 시트(7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점에서 도 10a에 도시된 표시 장치(1e)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스페이서(SP) 관련 설명은 도 4b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한편, 이하 실시예들 중 압력 센서(100)와 범프(BPb)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1기재층(110)과 범프(BPb)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의 경우, 모두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가 적용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f)는 압력 센서(100-1)가 제2기재층(120)을 포함하지 않고 제2전극(133)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9a에 도시된 표시 장치(1d)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g)는 압력 센서(100-1)가 제2기재층(120)을 포함하지 않고 제2전극(133)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10a에 도시된 표시 장치(1e)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13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h)는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0)와 결합하여 압력 센서 구조물(FSS-2)을 이루고, 압력집중범프(BP)는 표시 패널(300)을 향하는 제2기재층(120)의 상면에 결합된 점에서 도 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집중범프(BP)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는 중간 결합층(811)이 위치할 수 있으며, 압력집중범프(BP)와 표시패널(300) 사이의 공간은 중간 결합층(811)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0)와 결합하여 압력 센서 구조물(FSS-2)을 이루는 바, 감지 영역(SA)과 압력집중범프(BP)의 미스 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h_1)는 표시 패널(300)과 압력센서(100)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하고 표시 패널(3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점에서 도 13a에 도시된 표시 장치(1h-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표시 패널(3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는 스페이서(SP)에 의해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 내에는 에어(air)가 있을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 결합층(811)은 압력센서(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압력센서(100)를 표시 패널(3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외 스페이서(SP) 관련 설명은 도 4b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한편, 이하 실시예들 중 압력 센서(100)에 범프(BP)가 결합되거나, 또는 제2기재층(120)에 범프(BP)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의 경우, 모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가 적용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4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i)는 압력집중범프(BPc)가 압력 센서(100)와 결합하여 압력 센서 구조물(FSS-3)을 이루되, 압력집중범프(Bpc)가 제2기재층(12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2기재층(12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도 13a에 도시된 표시 장치(1h)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i_1)는 표시 패널(300)과 압력센서(100)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하고 표시 패널(300)와 압력센서(10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점에서 도 1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i-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스페이서(SP) 관련 설명은 도 13b 및 도 4b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한편, 이하 실시예들 중 압력 센서(100)와 범프(BPc)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2기재층(110)에 범프(BPc)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의 경우, 모두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가 적용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j)는 압력집중범프(BP)가 표시 패널(300)을 향하는 윈도우(500)의 하면에 결합된 점에서 도 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는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력집중범프(BP)는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집중범프(BP)는 윈도우(500)의 하면에 코팅 또는 인쇄될 수 있으며, 또는 접착층을 매개로 윈도우(500)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집중범프(BP) 사이의 공간에는 굴절률 매칭층(도면 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굴절률 매칭층(도면 미도시)은 압력집중범프(BP)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결합층(813)은 압력집중범프(BP)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굴절율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결합층(813) 자체가 굴절률 매칭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k)는 압력집중범프(BPd)가 윈도우(50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윈도우(50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j)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압력집중범프(BPd)는 윈도우(500) 자체를 에칭하는 등의 가공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l)는 압력 센서(100-1)의 제2전극(133)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상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j)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m)는 압력 센서(100-1)의 제2전극(133)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상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1k)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압력 센서(100)가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4a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500)와 압력 센서(100)는 상부 결합층(813)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100)와 표시 패널(300)은 중간 결합층(811)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300)과 도전 시트(700)는 중간 결합층(815)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00)가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압력 센서(100)의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ITO, IZ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메탈메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a)는압력집중범프(BPa)가 도전 시트(70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도전 시트(700)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19에 도시된 표시 장치(2)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b)는 압력 센서(100-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이 윈도우(500)를 향하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19에 도시된 표시 장치(2)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c)는 압력 센서(100-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이 윈도우(500)를 향하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20에 도시된 표시 장치(2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d)는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0)의 제1기재층(1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압력 센서 구조물(FSS)을 이루는 점에서 도 19에 도시된 표시 장치(2)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e)는 압력집중범프(BPb)와 압력 센서(100)가 압력 센서 구조물(FSS-1)을 이루되, 압력집중범프(BPb)가 압력 센서(100)의 제1기재층(11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기재층(11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23에 도시된 표시 장치(2d)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f)는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0)의 제2기재층(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압력 센서 구조물(FSS-2)을 이루는 점에서 도 19에 도시된 표시 장치(2)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g)는 압력집중범프(BPc)와 압력 센서(100)가 압력 센서 구조물(FSS-3)을 이루되, 압력집중범프(BPc)가 압력 센서(100)의 제2기재층(12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2기재층(12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2e)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h)는 압력 센서(100-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이 윈도우(500)를 향하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2f)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i)는 압력 센서(100-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이 윈도우(500)를 향하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26에 도시된 표시 장치(2g)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9 및 도 30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2j) 및 도 30에 도시된 표시 장치(2k)는 압력 센서(100)가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j) 및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1k)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외 압력 센서(100)의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3)은 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메탈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1 및 도 32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도 31에 도시된 표시 장치(2l) 및 도 32에 도시된 표시 장치(2m)는 압력 센서(100-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이 윈도우(500)를 향하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2j) 및 도 30에 도시된 표시 장치(2k)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3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34는 도 33의 Q1부분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의 제1전극, 제2전극, 압력 감지층 및 압력집중범프를 도시한 평면도, 도 35는 도 33의 Y-Y’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압력 센서(101)의 구조가 도 2 내지 도 4a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1)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압력 센서(101)는 복수의 감지 영역(SA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측면에서 압력 센서(101)는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 감지층(150a), 제1기재층(110) 및 제2기재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131a)과 제2전극(133a)은 동일층(또는 동일 레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131a)과 제2전극(133a)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극(131a)과 제2전극(133a)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3a)은 각각 콤 형상 전극(comb shaped electrode)일 수 있다.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3a)은 상기 콤 형상이 맞물려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3a)은 각각 줄기 전극(또는 연결 전극)과 가지 전극(또는 핑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3a)은 가지 전극들이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3a)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이 넓어져 효과적인 압력 센싱을 할 수 있다.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3a)의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력 센서(101)의 제1 전극(131a)은 제1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줄기 전극(1311)과 제1 줄기 전극(1311)으로부터 제2방향(D2)으로 분지된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313)을 포함한다.
제1 줄기 전극(1311)은 제1방향(D1)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감지 영역(SA1)에 걸쳐 배치되어 각 감지 영역(SA)에 전압(구동 전압)을 제공한다. 제1 줄기 전극(1311)은 제1방향(D1)을 따라 이웃하는 감지 영역(SA1)들 사이의 비감지 영역에까지 배치되어 이웃하는 감지 영역(SA)에 놓인 제1 줄기 전극(1311)의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313)들은 제1 줄기 전극(1311)으로부터 분지되어 제2방향(D2)으로 연장된다. 제1 가지 전극(1313)들은 감지 영역(SA1) 내에 배치되고, 감지 영역(SA1) 이외의 비감지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영역(SA1) 내에서 이웃하는 제1 가지 전극(1313)들의 소정 간격 이격되고, 해당 이격 공간 내에 제2 전극(133a)의 제2 가지 전극(1333)이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영역(SA1)에 배치되는 제1 가지 전극(1313)의 수는 감지 영역(SA)의 면적에 따라 다르지만 2개 이상 20개 이하일 수 있다.
압력 센서(101)의 제2 전극(133a)은 제1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줄기 전극(1331)과 각 제2 줄기 전극(1331)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333)을 포함한다.
제2 줄기 전극(1331)은 제1 줄기 전극(1311)과는 달리 하나의 감지 영역(SA1)을 커버한다. 각 감지 영역(SA1)마다 별도의 제2 줄기 전극(1331)이 배치되고, 서로 다른 감지 영역(SA1)에 배치된 제2 줄기 전극(1331)들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제2 줄기 전극(1331)들은 각각 독립적인 센싱 배선(미도시)과 연결되어 해당 제2 전극(133a)에 인가된 전압이나 전류량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333)은 제2 줄기 전극(1331)으로부터 분지되어 제2방향(D2)으로 연장된다. 제2 가지 전극(1333)의 연장 방향과 제1 가지 전극(1313)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333)은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313)들 사이에 배치된다. 하나의 감지 영역(SA1) 내에서 제1 가지 전극(1313)의 수와 제2 가지 전극(1333)의 수는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감지 영역(SA1) 내에서 제1 가지 전극(1313)과 제2 가지 전극(1333)은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영역(SA1) 내에서의 이웃하는 가지 전극(1313, 1333)의 간격은 균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지 영역(SA1) 이외의 비감지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다른 감지 영역(SA1)의 상호 가장 가까운 가지 전극들(1313, 1333)간 이격 거리는 하나의 감지 영역(SA1) 내의 가지 전극(1313, 1333)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감지전극(131a) 및 제2감지전극(133a)은 제2기재층(120)과 마주보는 제1기재층(110)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 감지층(150a)은 감지 영역(SA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력 감지층(150a)은 대응하는 감지 영역(SA1)을 커버한다. 감지 영역(SA1) 내의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313)과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333)은 압력 감지층(150a)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로 이웃하는 감지 영역(SA1) 내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층(150a)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층(150a)은 제1기재층(110)과 마주보는 제2기재층(120)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집중범프(BP)는 각 감지 영역(SA1) 또는 압력 감지층(150a)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01)를 향하는 도전 시트(7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음은 표시 장치(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면에는 제1기재층(110)보다 제2기재층(120)이 표시 패널(300)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기재층(110)이 제2기재층(120)보다 표시 패널(300)에 상대적으로 인접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압력 감지층(150a)이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300)에 인접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압력 감지층(150a)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3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6 내지 도 63a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3의 Y-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3b는 도 63a의 R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63c는 도 63b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4 내지 도 92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3의 Y-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a)는 압력집중범프(BPa)가 도전 시트(70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도전 시트(700)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의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도 37의 표시 장치(3b) 및 도 38의 표시 장치(3c)는 압력 센서(101-1)가 제2기재층(120)을 포함하지 않고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의 표시 장치(3) 및 도 36의 표시 장치(3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3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3d)는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1)의 제1기재층(110)의 하면에 결합된 점, 이에 따라 압력집중범프(BP)와 압력 센서(101)가 압력 센서 구조물(FSS1)을 이루는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의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e)는 압력집중범프(BPb)와 압력 센서(101)가 압력 센서 구조물(FSS1-1)을 이루되, 압력집중범프(BPb)가 압력 센서(101)의 제1기재층(11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기재층(11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도 39의 표시 장치(3d)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도 41의 표시 장치(3f) 및 도 42의 표시 장치(3g)는 압력 센서(101-1)가 제2기재층(120)을 포함하지 않고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39의 표시 장치(3d) 및 도 40의 표시 장치(3e)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압력 감지층(150a)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3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h)는 압력집중범프(BP)가 압력 센서(101)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되, 압력 센서(101)의 제2기재층(120)의 하면에 결합된 점, 이에 따라 압력집중범프(BP)와 압력 센서(101)가 압력 센서 구조물(FSS1-2)을 이루는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의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3i)는 압력집중범프(BPc)와 압력 센서(101)가 압력 센서 구조물(FSS1-3)을 이루되, 압력집중범프(BPc)가 압력 센서(101)의 제2기재층(12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2기재층(12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도 43의 표시 장치(3h)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3j)는 압력집중범프(BP)가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되, 표시 패널(300)을 향하는 윈도우(500)의 하면에 압력집중범프(BP)가 결합된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의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k)는 압력집중범프(BPd)가 표시 패널(300)을 향하는 윈도우(500)의 하면에 위치하되, 압력집중범프(BPd)가 윈도우(50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윈도우(500)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의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도 48의 표시 장치(3l) 및 도 49의 표시 장치(3m)는 압력 센서(101-1)가 제2기재층(120)을 포함하지 않고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45의 표시 장치(3i) 및 도 46의 표시 장치(3j)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9 및 도 50을 참조하면, 도 49의 표시 장치(4) 및 도 50의 표시 장치(4a)는 압력 센서(101)가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된 표시 장치(3) 및 도 36에 도시된 표시 장치(3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500)와 압력 센서(101)는 상부 결합층(813)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101)와 표시 패널(300)은 중간 결합층(811)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300)과 도전 시트(700)는 중간 결합층(815)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01)가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압력 센서(101)의 제1전극(131a)과 제2전극(133a)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전극(131a)과 제2전극(133a)은 ITO, IZ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메탈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1 및 도 52을 참조하면, 도 51의 표시 장치(4b) 및 도 52의 표시 장치(4c)는 압력 센서(101-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표시 패널(300)의 상면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49의 표시 장치(4) 및 도 50의 표시 장치(4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상면에 직접 형성되고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제2기재층(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3, 도 54,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도 53의 표시 장치(4d)는 압력 감지 구조물(FSS1)이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39의 표시 장치(3d)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 54의 표시 장치(4e)는 압력 감지 구조물(FSS1-1)이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40의 표시 장치(3e)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도 55의 표시 장치(4f)는 압력 감지 구조물(FSS1-2)이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43의 표시 장치(3h)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 56의 표시 장치(4g)는 압력 감지 구조물(FSS1-3)이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44의 표시 장치(3i)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압력 센서(101)의 제1전극(131a)과 제2전극(133a)은 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메탈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면, 도 57의 표시 장치(4h) 및 도 58의 표시 장치(4i)는 압력 센서(101-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표시 패널(300)의 상면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55의 표시 장치(4f) 및 도 56의 표시 장치(4g)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59 및 도 60을 참조하면, 도 59의 표시 장치(4j) 및 도 60의 표시 장치(4k)는 압력 센서(101)가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45의 표시 장치(3j) 및 도 46의 표시 장치(3k)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압력 센서(101)의 제1전극(131a)과 제2전극(133a)은 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메탈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1 및 도 62를 참조하면, 도 61의 표시 장치(4l) 및 도 62의 표시 장치(4m)는 압력 센서(101-2)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고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표시 패널(300)의 상면에 직접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59의 표시 장치(4j) 및 도 60의 표시 장치(4k)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63a 내지 도 63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5)는 압력 센서(102)가 제2기재층(120)을 포함하지 않는 점, 압력 감지층(150a)이 제1기재층(110)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의 일부분, 예컨대 제1가지전극(1313) 및 제2가지전극(1333)을 커버하는 점, 압력 감지층(150a)의 일부분이 제1기재층(110)과 접촉하는 점에서 도 33 내지 도 35의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2)의 적층구조는 도 6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압력 센서(102)는 제1기재층(110)의 일면 상에 압력 감지층(150a)이 위치하고, 압력 감지층(150a) 상에 제1전극(131a)의 일부분 및 제2전극(133a)의 일부분이 배치된 구조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기재층(110) 상에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이 위치하고, 압력 감지층(150a)이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의 일부분, 예컨대 제1가지전극(1313) 및 제2가지전극(1333)을 커버하는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5a)는 도 63a 내지 도 63c의 설명에서 상술한 압력 센서(102)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36의 표시 장치(3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6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5b)는 압력집중범프(BP)가 제1기재층(110)의 하면에 결합된 점, 이에 따라 압력집중범프(BP)와 압력 센서(102)가 압력 센서 구조물(FSS2)을 이루는 점에서 도 63a의 표시 장치(5)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6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5c)는 압력 센서 구조물(FSS2-1)의 압력집중범프(BPb)가 제1기재층(110)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기재층(11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도 65의 표시 장치(5b)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67, 도 68, 도 69 및 도 70을 참조하면, 도 67의 표시 장치(5d), 도 68의 표시 장치(5e), 도 69의 표시 장치(5f) 및 도 70의 표시 장치(5f)는,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과 표시 패널(300) 사이에 제1기재층(110)이 위치하도록 압력 센서(102)가 배치되는 점에서 도 63a의 표시 장치(5), 도 64의 표시 장치(5a), 도 65의 표시 장치(5b) 및 도 66의 표시 장치(5c)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71 및 도 72를 참조하면, 도 71의 표시 장치(5h) 및 도 72의 표시 장치(5i)는 압력 센서(102-1)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는 점, 제1전극(131a), 제2전극(133a) 및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 바로 위에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67의 표시 장치(5d) 및 도 68의 표시 장치(5e)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7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5j)는 압력집중범프(BP)가 표시 패널(300)과 윈도우(500) 사이에 위치하되, 표시 패널(300)을 향하는 윈도우(500)의 하면에 결합된 점에서 도 63a에 도시된 표시 장치(5)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7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5k)는 압력집중범프(BPd)가 윈도우(50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윈도우(500)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점에서 도 73에 도시된 표시 장치(5j)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75 및 도 76을 참조하면, 도 75의 표시 장치(5l) 및 도 76의 표시 장치(5m)는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과 표시 패널(300) 사이에 제1기재층(110)이 위치하도록 압력 센서(102)가 배치되는 점에서 도 73의 표시 장치(5j) 및 도 74의 표시 장치(5k)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77 및 도 78을 참조하면, 도 77의 표시 장치(5n) 및 도 78의 표시 장치(5o)는 압력 센서(102-1)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는 점, 제1전극(131a), 제2전극(133a) 및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 바로 위에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73의 표시 장치(5j) 및 도 74의 표시 장치(5k)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79, 도 80, 도 81 및 도 82를 참조하면, 도 79의 표시 장치(6), 도 80의 표시 장치(6a), 도 81의 표시 장치(6b) 및 도 82의 표시 장치(6c)는 압력 센서(102)가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63a의 표시 장치(5), 도 64의 표시 장치(5a), 도 67의 표시 장치(5d) 및 도 68의 표시 장치(5e)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1전극(131a) 및 제2전극(133a)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메탈메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3, 도 84, 도 85 및 도 86을 참조하면, 도 83의 표시 장치(6d) 및 도 85의 표시 장치(6f)는 압력 센서 구조물(FSS2)이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65의 표시 장치(5b) 및 도 69의 표시 장치(5f)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또한 도 84의 표시 장치(6e) 및 도 86의 표시 장치(6g)는 압력 센서 구조물(FSS2-1)이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66의 표시 장치(5c) 및 도 70의 표시 장치(5g)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87 및 도 88을 참조하면, 도 87의 표시 장치(6h) 및 도 88의 표시 장치(6i)는 압력 센서(102-1)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는 점, 제1전극(131a), 제2전극(133a) 및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 바로 위에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79의 표시 장치(6) 및 도 80의 표시 장치(6a)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89 및 도 90을 참조하면, 도 89의 표시 장치(6j) 및 도 90의 표시 장치(6k)는 압력 센서(102)가 윈도우(5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73의 표시 장치(5j) 및 도 74의 표시 장치(5k)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91 및 도 92를 참조하면, 도 91의 표시 장치(6l) 및 도 92의 표시 장치(6m)는 압력 센서(102-1)가 제1기재층(110)을 포함하지 않는 점, 제1전극(131a), 제2전극(133a) 및 압력 감지층(150a)이 표시 패널(300)의 하면 바로 위에 형성된 점, 중간 결합층(811)이 생략된 점에서 도 89의 표시 장치(6j) 및 도 90의 표시 장치(6k)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9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압력 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평면부인 제1영역(DR1) 및 곡면부인 제2영역(DR2)을 포함하고, 압력 센서(100')는 표시 장치(1)의 평면부인 제1영역(DR1)에는 위치하지 않고 곡면부인 제2영역(DR2)에만 위치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100')는 표시 장치(7)의 에지 부분에만 배치되어 입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도 9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압력 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8)는 평면부인 제1영역(DR1) 및 곡면부인 제2영역(DR2)을 포함하되, 제2영역(DR2)은 제1영역(DR1)과 90° 또는 그 이상의 각도를 갖는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제2영역(DR2)은 실질적으로 표시 장치(8)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영역(DR2)은 표시면일 수도 있지만, 화면 표시와 무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압력 센서(100')는 제2영역(DR2)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압력 센서(100')가 표시 장치(8)의 측부에 위치하는 바, 표시 장치(8)를 그립한 상태에서의 압력 입력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도 9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압력 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는 평면부인 제1영역(DR1)을 포함하고 곡면부인 제2영역(DR2)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센서(100')는 표시 장치(9)의 평면부인 제1영역(DR1)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100')는 표시 장치(9)의 표시면을 구성하는 평면부에 배치되어 입력 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0-1, 100-2, 101, 101-1, 101-2, 102, 102-1: 압력 센서
300: 표시 패널
500: 윈도우
700: 도전 시트
900: 브라켓
BP, BPa, BPb, BPc, BPd: 압력집중범프
FSS, FSS-1, FSS-2, FSS-3, FSS1, FSS1-1, FSS1-2, FSS1-3, FSS2, FSS2-1: 압력 센서 구조물

Claims (35)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도전 시트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민감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6.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민감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제1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압력 감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의 타면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재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도전 시트와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압력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제2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상기 제2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재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동일 레벨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3.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민감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제1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의 타면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기재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제2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기재층과 마주보는 상기 제2기재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재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1기재층의 일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제1 줄기 전극 및 상기 제1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제2 줄기 전극 및 상기 제2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각 제1 가지 전극과 상기 각 제2 가지 전극은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각 감지 영역마다 분리되어 있는 표시 장치.
  2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센서에 결합된 표시 장치.
  2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2.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윈도우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3.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도전 시트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각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된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각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민감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센서에 결합된 표시 장치.
  27.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각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각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민감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 센서는,
    일면이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압력 감지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8.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9. 삭제
  30.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과 접촉하고 서로 이격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층의 일면과 접촉하는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감지층과 중첩하는 압력집중범프; 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구조물.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기재층에 결합된 압력 센서 구조물.
  32.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압력 센서 구조물.
  33.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구동 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센싱 전극인 압력 센서 구조물.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각각 콤 형상으로 상호 맞물려 끼워지도록 배치되는 압력 센서 구조물.
  35.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 민감 물질을 포함하고,
    압력 인가 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압력 감지층에 접촉하는 압력 센서 구조물.
KR1020180054244A 2018-05-11 2018-05-11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KR10247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44A KR102476319B1 (ko) 2018-05-11 2018-05-11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US16/171,567 US10678365B2 (en) 2018-05-11 2018-10-26 Display device and pressure sensor structure
CN201910110075.8A CN110471553A (zh) 2018-05-11 2019-02-11 显示装置和压力传感器结构
US16/866,810 US11209928B2 (en) 2018-05-11 2020-05-05 Display device and pressure sens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44A KR102476319B1 (ko) 2018-05-11 2018-05-11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101A KR20190130101A (ko) 2019-11-21
KR102476319B1 true KR102476319B1 (ko) 2022-12-09

Family

ID=6846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44A KR102476319B1 (ko) 2018-05-11 2018-05-11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678365B2 (ko)
KR (1) KR102476319B1 (ko)
CN (1) CN1104715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08B1 (ko) * 2015-06-17 2017-03-23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KR102360850B1 (ko) * 2017-06-30 2022-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76319B1 (ko) 2018-05-11 2022-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KR102555824B1 (ko) * 2018-07-31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941372B (zh) * 2019-12-13 2022-10-2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曲面压力触控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031816A (zh) * 2021-03-23 2021-06-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压感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3305A1 (en) * 2013-03-11 2014-09-11 Amazon Technologies, Inc. Force sensing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5359B2 (en) 2001-06-28 2004-04-06 Tactex Controls Inc. Pressure sensitive surfaces
US6896981B2 (en) * 2001-07-24 2005-05-24 Bridgestone Corporatio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US8654524B2 (en) 2009-08-17 2014-02-18 Apple Inc. Housing as an I/O device
JP5026486B2 (ja) 2009-09-29 2012-09-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感圧センサを備えたタッチ入力デバイスの実装構造
US8633916B2 (en)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US9886116B2 (en) 2012-07-26 2018-02-06 Apple Inc.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WO2014043664A1 (en) 2012-09-17 2014-03-20 Tk Holdings Inc. Single layer force sensor
KR101452302B1 (ko) * 2013-07-29 2014-10-2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센서 패널
TW201506717A (zh) * 2013-08-05 2015-02-16 Henghao Technology Co Ltd 顯示裝置
US9195343B1 (en) 2013-09-26 2015-11-24 Amazon Technologies, Inc. Force-sensing resistor sensor and applications
JP2015197299A (ja) * 2014-03-31 2015-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感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感圧素子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89149A1 (ko) * 2014-12-05 2016-06-09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입력장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터치위치와 터치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1598412B1 (ko) * 2015-02-11 2016-02-29 주식회사 하이딥 전극 시트 및 터치 입력 장치
CN106575174B (zh) 2015-04-24 2019-05-10 深圳纽迪瑞科技开发有限公司 压力感应装置、压力测量设备、触控板及显示设备
KR20170025706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하이딥 압력 감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1742584B1 (ko) * 2015-09-02 2017-06-0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2399557B1 (ko) * 2015-10-14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인식 방법
CN106681571A (zh) * 2015-10-15 2017-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456154B1 (ko) * 2016-01-29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1780258B1 (ko) 2016-02-05 2017-09-2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KR101729197B1 (ko) * 2016-04-01 2017-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KR101761361B1 (ko) * 2016-04-04 2017-07-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백 라이트 유닛
TWI581169B (zh) * 2016-04-28 2017-05-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雙模式電容觸控顯示面板
KR20170129372A (ko) 2016-05-17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258651B1 (ko) * 2016-05-18 2021-05-31 센셀, 인크.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방법
CN106066730A (zh) * 2016-05-27 2016-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压力触控模组、压力检测方法、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101835009B1 (ko) * 2016-08-19 2018-03-0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KR101762279B1 (ko) * 2016-10-18 2017-08-04 주식회사 하이딥 온도 보상이 적용된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전극시트 및 터치 입력 장치
US10248243B2 (en) * 2017-01-19 2019-04-02 Hideep Inc. Touch input device
CN107066145B (zh) * 2017-03-02 2020-06-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屏、触控显示装置以及显示驱动方法
KR101811424B1 (ko) 2017-10-12 2017-12-2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2476319B1 (ko) 2018-05-11 2022-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3305A1 (en) * 2013-03-11 2014-09-11 Amazon Technologies, Inc. Force sensing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4725A1 (en) 2020-08-20
US11209928B2 (en) 2021-12-28
KR20190130101A (ko) 2019-11-21
US20190346957A1 (en) 2019-11-14
CN110471553A (zh) 2019-11-19
US10678365B2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319B1 (ko)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KR102550324B1 (ko) 표시 장치
KR102545479B1 (ko) 표시 장치
EP4047463B1 (en)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73627B1 (ko)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55824B1 (ko) 표시 장치
US11150772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non-display area with a sensing portion and a non-sensing portion
KR102626021B1 (ko) 표시 장치
WO2019140896A1 (zh) 触控传感器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