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199B1 - Spoon with rotatable head - Google Patents

Spoon with rotatable 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199B1
KR102476199B1 KR1020210144877A KR20210144877A KR102476199B1 KR 102476199 B1 KR102476199 B1 KR 102476199B1 KR 1020210144877 A KR1020210144877 A KR 1020210144877A KR 20210144877 A KR20210144877 A KR 20210144877A KR 102476199 B1 KR102476199 B1 KR 10247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gripping
rotating shaft
spo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홍국
Original Assignee
조홍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국 filed Critical 조홍국
Priority to KR102021014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199B1/en
Priority to PCT/KR2022/016437 priority patent/WO202307539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poon with a rotatable head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on with a rotatable head part comprises: a head part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 gripping part which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a fastening part connecting the head part and the gripping part so that the head part is idling with respect to an axis of the gripping part.

Description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SPOON WITH ROTATABLE HEAD}Spoon with rotatable head {SPOON WITH ROTATABLE HEAD}

본 발명은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on with a rotatable head portion.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밥이나 국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떠먹기 위한 기구로서, 음식물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스테인리스스틸, 합성수지, 나무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general, a spoon is a utensil for scooping and eating various foods, including rice or soup, and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handle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one side, and is made of stainless steel, synthetic resin, wood, etc. It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이와 같은 숟가락은 성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나, 어린 아이의 경우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여 헤드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흘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팔 또는 손힘이 없는 어린 아이 또는 환자들은 숟가락을 쥐는 힘이 부족하거나 숟가락을 움직일 때 유동하는 문제가 있다. Such a spoon is suitable for use by adults, but in the case of children, it has a problem in that food stored in the head portion spills because it is not properly used. In particular, young children or patients who do not have arm or hand strength have a problem of lack of gripping power or floating when moving the spoon.

따라서, 사용시 여전히 음식물의 흘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섭취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음식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음식물의 낭비가 심하거나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food spills during use, and most of the food falls to the floor in the process of eating, resulting in severe waste of food or contamination of the floor.

뿐만 아니라, 유아의 이유식 시기에, 보호자가 움직임이 많은 유아를 돌보며 이유식을 주는 과정에서 수용된 음식물을 흘리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during the weaning period of infant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guardian spills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process of giving weaning food while taking care of the infant with a lot of move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703호(2017.09.2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7703 (2017.09.26.)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 환자들에게 음식을 먹여주기 위한 보호자 혹은 숟가락 이용이 어려운 어린 아이나 환자들이 음식물을 흘리는 걸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잡고 있는 파지부가 회전되어도 음식물을 담고 있는 수용부는 계속해서 천장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spillage of food by guardians 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using a spoon to feed infants, children, or patients, even if the gripper held by the user rotates, the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food continues on the ceiling. It is to provide a rotatable spoon with a head portion capable of preventing spillage of food by allowing it to face in a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이 수용되는 헤드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되, 상기 헤드부가 상기 파지부의 축을 기준으로 공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for receiving food; a gripping unit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a fastening portion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holding por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is idling about an axis of the holding portion.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체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헤드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unit,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holding uni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oon with a rotatable hea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d seating portion formed to be fastened and detachable to one end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헤드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헤드안착부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a rota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art,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idlingly connected to the head seating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관통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 단부에서 상기 헤드안착부에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 상기 바디부의 타 측 단부의 양 측에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날개; 및 양 측의 상기 결합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날개가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하는 탄성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include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ead seating portion; Combining wing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stepped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nd an elastic groov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blades on both sides to allow the coupling blade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and outward.

또한, 상기 헤드안착부는, 상기 회전부의 삽입공내에 공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회전축부에 위치되는 상기 헤드부의 삽입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서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seating portion, the rotating shaft portion idlingly positioned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a flange portion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head portion located in the rotating shaf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tatable spoon with a hea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d a fitting groove formed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rotating shaft part.

또한, 상기 바디부가 상기 관통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날개의 단턱부가 상기 파지부의 타 단과 밀착되어, 상기 파지부와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고, 상기 헤드안착부가 상기 본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안착부의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 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의 상기 회전축부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stepped part of the coupling w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gripping part, the gripp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are fastened, and the head seat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n a state, The rotating shaft of the head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ng portion, the head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nnected, the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rot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lana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tatable spoon with a hea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idlingly in the rotating shaft portion between the branch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나 어린이, 환자들에게 음식을 먹여주기 위한 보호자 혹은 숟가락 이용이 어려운 어린 아이나 환자들이 음식물을 흘리는 걸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잡고 있는 파지부가 회전되어도 음식물을 담고 있는 수용부는 계속해서 천장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pillage of food by guardians for feeding infants, children, or patients, or young children 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using a spoon, even if the gripper held by the user rotates, it contains food.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continuously directed toward the ceiling to prevent spillage of f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의 구성들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가 파지부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삽입공에 플랜지부가 위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에 구강 검사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구강 검사부가 설치된 상태의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rotatable spoon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oon with a rotatabl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head portion rotatable sp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ste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part is fastened to a hold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poon in which the head is rota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flange portion is located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oral insp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head portion rotatable sp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poon in which the head part is rotatable with the oral inspection part installed according to FIG. 8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의 구성들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3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30)가 파지부(10)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2)의 삽입공(221)에 플랜지부(322)가 위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poon 1 having a rotatable head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poon 1 having a rotatable head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head portion 20 is rotatable spo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astening part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gripping part 10,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poon 1 in which the head part 20 is rota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insertion hole 221 of the rotation part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at the flange portion 322 is located i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은 파지부(10), 헤드부(20) 및 체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a spoon 1 having a rotatable head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ipping portion 10, a head portion 20, and a fastening portion 30. can

파지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부분이다. 파지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에는 후술할 체결부(30)의 본체(31)가 삽입될 수 있다.The gripping part 10 is a handle part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ping part 1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a through hole 11 may be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in body 31 of the fastening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

헤드부(20)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헤드부(20)는 일반적으로 숟가락에서 음식물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헤드부(20)는 수용부(21) 및 회전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portion 20 is a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food. The head portion 20 is generally a portion for receiving food in a spoon. The head part 2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21 and a rotating part 22 .

수용부(21)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부분으로써, 내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s a portion for accommodating food, and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회전부(22)는 수용부(21)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22)는 수용부(21)의 후방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전후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가 위치되는 측을 하측, 파지부(10)가 위치되는 측을 상측, 수용부(21)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측을 전방, 그 반대 측을 후방인 것으로 설명한다. The rotating part 22 may protrude from the accommodating part 21 . Specifically, the rotating part 22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ide where the head part 20 is located is the lower side, the side where the gripping part 10 is located is the upper side, and the foo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 as shown in FIG. The side to be is described as the front and the opposite side as the rear.

회전부(22)의 중심부에는 삽입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공(221)은 파지부(10)에 형성되는 관통홀(11)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부(22)에 형성된 삽입공(221)의 중심축과 파지부(10)에 형성된 관통홀(11)의 중심축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 insertion hole 22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part 22 . For example, the insertion hole 221 may be formed so that its central axis coincides with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gripping part 10 . That is, the central axis of the insertion hole 221 formed in the rotating part 22 and the central axis of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gripping part 10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221)에는 헤드안착부(32)의 회전축부(321)가 삽입될 수 있다. 회전부(22)는 삽입공(221)으로 삽입되는 헤드안착부(32)의 회전축부(321)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축부(321)가 삽입공(22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부(22)와 회전축부(321)는 서로 헛도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회전축부(321)의 직경보다 삽입공(221)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7 ,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of the head seating portion 3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1 . The rotation unit 22 may be idling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unit 321 of the head seating unit 3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1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1, the rotating portion 22 and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may be in a state of idle rotation. Thus,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22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

체결부(30)는 헤드부(20)와 파지부(10)를 연결하되, 헤드부(20)가 파지부(10)의 축을 기준으로 공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체결부(30)는 본체(31) 및 헤드안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0 connects the head part 20 and the gripping part 10, but the head part 20 can be connected so that idle rotation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gripping part 10. The fastening part 30 may include a main body 31 and a head seating part 32 .

본체(31)는 파지부(1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본체(31)는 바디부(311), 끼움돌부(312), 결합날개(313) 및 탄성홈(3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31 may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side the gripping part 10 . The main body 31 may include a body portion 311, a fitting protrusion 312, a coupling wing 313, and an elastic groove 314.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311)는 파지부(10)의 관통홀(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311)는 파지부(10)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바디부(311)의 길이와 파지부(10)의 길이가 동일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311)의 길이가 파지부(10)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311)는 파지부(10)의 관통홀(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바디부(311)가 관통홀(11)에 위치된 상태일 때, 서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바디부(311)가 회전되면 파지부(1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바디부(311)와 파지부(1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 체결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S. 4 to 6 , the body part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of the gripping part 10 .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31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gripping portion 10 . However, the length of the body part 311 and the length of the gripping part 10 are not limited to being the same, and the length of the body part 311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gripping part 10 .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11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through hole 11 of the gripping portion 10, and when the body portion 311 is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11, it is coupled to each other. can That is, when the body part 311 is rotated, the gripping part 10 may also be rotated together. That is, the body portion 311 and the gripping portion 10 may be coupled and fasten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끼움돌부(312)는 바디부(311)의 일 측 단부에서 헤드안착부(32)에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돌부(312)는 바디부(311)의 하단에서 헤드안착부(32)의 끼움홈(323)에 삽입 가능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부(312)가 끼움홈(323)에 삽입됨으로써, 헤드안착부(32)와 본체(31)가 체결될 수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312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311 to be inserted into the head seating portion 32 . Specifically, the fitting protrusion 312 may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311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3 of the head seating part 32 . As the fitting protrusion 31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3, the head seating part 32 and the main body 31 may be fastened.

결합날개(313)는 바디부(311)의 타 측 단부의 양 측에서 본체(31)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단턱부(3131)가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날개(313)는 바디부(311)의 상단에서 바디부(311)의 상단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날개(313)와 바디부(311)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결합날개(313)와 바디부(311)의 직경 차이에 의해 단턱부(3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부(311)는 관통홀(11)이 형성된 파지부(10)의 내주면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 측의 끼움돌부(312)가 형성하는 외주면은 파지부(10)의 외주면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wing 313 is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31 at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311 to form a stepped portion 3131, and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have. Specifically, the coupling wing 313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311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of the body portion 311 . At this time, a stepped portion 3131 may be formed by a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coupling wing 313 and the body portion 311 at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wing 313 and the body portion 311 are connected. For example, the body part 3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part 10 in which 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by the fitting protrusions 312 on both sides of the gripping part 10.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결합날개(313)는 단턱부(3131)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wing 313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top from the stepped portion 3131.

탄성홈(314)은 양 측의 결합날개(313) 사이에 형성되어, 결합날개(313)가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홈(314)은 양 측의 결합날개(313) 및 바디부(311)의 상단 소정 길이까지 형성되어, 두 개의 결합날개(313)와 바디부(311) 상단을 양 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홈(314)에 의해, 결합날개(313) 및 바디부(311)의 상단 소정 길이가 내측과 외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The elastic groove 314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so that the coupling wings 313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and outward. Specifically, the elastic groove 314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wing 313 and the body portion 311 on both sides to separate the two coupling wings 313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311 to both sides. can At this time, by the elastic groove 314, the upper predetermined length of the coupling wing 313 and the body portion 311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and outward.

헤드안착부(32)는 본체(31)의 하측 단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안착부(32)는 회전축부(321), 플랜지부(322) 및 끼움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seating portion 3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1 to be fastened and detachable. The head seating portion 32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portion 321 , a flange portion 322 and a fitting groove 323 .

회전축부(321)는 회전부(22)의 삽입공(221)내에 공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부(32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삽입공(221) 내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부(321)는 헤드부(20)의 삽입공(221) 직경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may be idlingly positioned in the insertion hole 221 of the rotating portion 22 . Specifically,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1 . 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221 of the head portion 20 .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322)는 회전축부(321)의 하측 단부에서, 회전축부(321)에 위치되는 헤드부(20)의 삽입공(2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322)에 의해, 회전축부(321)에 위치된 헤드부(20)가 플랜지부(322)와 파지부(10) 하단 사이의 회전축부(321) 길이 내에 위치될 수 있다.3 and 6, the flange portion 32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221 of the head portion 20 located in the rotation shaft portion 321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321. diameter can be formed. That is, by the flange portion 322, the head portion 20 located on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between the flange portion 32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10.

끼움홈(323)은 회전축부(321)의 내측에서 끼움돌부(3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홈(323)은 회전축부(321)의 상단에서 끼움돌부(312)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323)에 끼움돌부(312)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헤드안착부(32)와 본체(31)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The fitting groove 323 may be formed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312 can be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rotation shaft part 321 . Specifically, the fitting groove 323 may be formed in a length and size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312 can be inserted at the top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 As the fitting protrusion 31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3 and fastened, the head seating part 32 and the main body 31 may be fastened and fixed.

이하에서는, 파지부(10), 헤드부(20) 및 체결부(30)가 서로 체결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fastening the gripping part 10, the head part 20, and the fastening part 30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먼저, 본체(31)와 파지부(10)가 체결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31 and the gripping part 10 may be fastened.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파지부(10) 하단의 관통홀(11)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양 측의 결합날개(313)는 사이의 탄성홈(314)에 의해 서로 인접해지도록 내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파지부(10)의 관통홀(11)로 삽입될 수 있다.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may be drawn into the through-hole 11 at the bottom of the gripping part 10. At this time,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ar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groove 314 therebetween,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of the gripping part 10.

이후, 본체(31)에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관통홀(11)의 상측으로 삽입되며 바디부(311)가 관통홀(11)에 삽입될 수 있다. Th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31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ar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11, and the body portion 31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It can be.

이후, 바디부(311) 상단에 형성된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파지부(10)의 상단의 관통홀(11)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관통홀(11)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양 측의 결합날개(313)에 내측으로 가해지던 힘이 없어지면서,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탄성 변형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파지부(10)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인접해 있던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홈(314)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변형된다. Thereafter,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portion 311 may be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11 at the top of the gripping portion 10 . At this time, as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are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11, the forc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disappears, and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are elastically deformed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at is, while the coupling blades 313 on both sides that were adjacent to each other by being press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part 10 are elastically deform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 they are deformed to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elastic groove 314.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서로 이격되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 결합날개(313)의 단턱부(3131)가 파지부(10)의 상단과 밀착 접촉될 수 있다. 결합날개(313)가 파지부(10)의 상단과 밀착 접촉되며, 바디부(311)가 파지부(10)의 관통홀(11)에 삽입됨으로써, 파지부(10)와 체결부(30)가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when the coupling blades 313 on both si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the stepped portion 3131 of the coupling blade 3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10. It can be. The coupling wing 3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part 10, and the body part 31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of the gripping part 10, so that the gripping part 10 and the fastening part 30 can be concluded.

이때, 끼움돌부(312)는 파지부(10)의 하단에서 소정 길이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312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part 10 .

다음으로, 헤드안착부(32)가 본체(31)와 분리된 상태에서, 헤드안착부(32)의 회전축부(321)가 회전부(22)의 삽입공(221)에 삽입되어, 헤드부(20)와 체결부(30)가 연결될 수 있다. Next, in a state where the head seating portion 32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1,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1 of the head seating portion 3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1 of the rotating portion 22, and the head portion ( 20) and the fastening part 30 may be connected.

이 상태에서, 끼움돌부(312)가 끼움홈(323)에 삽입되며, 헤드안착부(32)와 본체(31)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2)가 플랜지부(322)와 파지부(10) 사이의 회전축부(321)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10) 또는 체결부(30)가 회전 되더라도, 헤드부(20)는 회전축부(321)와 공회전하여 수용부(21)가 천장을 바라보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fitting protrusion 31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3, and the head seating part 32 and the main body 31 may be fasten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rotation unit 22 may be positioned to be idling within the rotation shaft unit 321 between the flange unit 322 and the gripping unit 10 . Therefore, even if the gripping part 10 or the fastening part 30 rotates, the head part 20 idles with the rotating shaft part 321, and the accommodating part 21 can maintain a state facing the ceiling.

이처럼 파지부(10), 헤드부(20) 및 체결부(3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ripping part 10, the head part 20, and the fastening part 3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파지부(10), 헤드부(20) 및 체결부(30)를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의 체결 과정을 역순으로 할 수 있다.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gripping part 10, the head part 20, and the fastening part 30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fastening process.

즉, 헤드안착부(32)와 본체(31)를 분리한 후,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외력을 가한 후에 끼움돌부(312)를 하방으로 당기면, 양 측의 결합날개(313)가 관통홀(11)로 삽입되며 바디부(311)가 관통홀(11)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본체(31)와 파지부(10)를 분리할 수 있다.That is, after separating the head mounting portion 32 and the main body 31, applying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coupling wings 313 on both sid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n pulling the fitting protrusion 312 downward, the coupling wings on both sides 31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and the body portion 311 may be moved to a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11 . In this way, the main body 31 and the gripping part 10 can be separa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에 치아검사부(4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치아검사부(40)가 설치된 상태의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tooth inspection unit 40 is installed on the head portion 20 is rotatable spo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tooth inspection unit 40 according to Figure 8 is installed It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poon 1 in which the head portion 20 in the state is rotatabl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1)은 치아검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spoon 1 having a rotatable head port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oth inspection unit 40 .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은 치과에 방문하는게 무서워서 치아에 통증이 와도 보호자에게 알리지 않고 참거나, 치과에 가서 치료 받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어린 아이들의 치아 상태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치아 및 신체가 발달하는 어린 아이들의 경우 더더욱 치아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관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In general, young children are afraid to visit the dentist, so even if they have pain in their teeth, they endure it without notifying their guardians, or they often refuse to go to the dentist for treatment. Therefore, it is not easy to check the dental condition of young children. However,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whose teeth and body are developing, it is more important to frequently check and manage their tee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검사부(40)는 유아나 어린이가 식사하는 동안에 치아 상태를 확인 및 촬영할 수 있다. 즉, 별도로 치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분위기를 형성하지 않고, 식사 도중에 자연스럽게 구강 상태를 촬영함으로써, 어린 아이들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Tooth inspection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and photograph the state of the teeth while the infant or child is eating.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young children from feeling repulsive by naturally photographing the oral state during a meal without forming an atmosphere for checking the tooth state separately.

치아검사부(40)는 카메라부(41), 조명부(42), 센싱부(43) 및 실리콘부(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 inspection unit 40 may include a camera unit 41, a lighting unit 42, a sensing unit 43 and a silicon unit 44.

카메라부(41)는 헤드안착부(32)의 플랜지부(322)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부(41)는 버튼의 눌림에 따라 작동되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지부(10)에 물리적인 버튼이 형성되어, 보호자가 파지부(10)에 형성된 버튼을 누름에 따라 카메라부(41)가 작동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41 may be installed on the flange unit 322 of the head seating unit 32 . The camera unit 41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to capture an imag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hysical button is formed on the gripping unit 10 so that the camera unit 41 can be operated when a guardian presses the button formed on the gripping unit 10 .

조명부(42)는 헤드안착부(32)의 플랜지부(322)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42)는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버튼이 눌리면 카메라부(41)와 함께 작동되어, 어린 아이들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41)가 구강 내부를 촬영할 때 빛을 조사하여 정확한 구강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The lighting unit 42 may be installed on the flange unit 322 of the head seating unit 32 . The lighting unit 42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camera unit 41 when a button is pressed to operate the camera,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into the oral cavity of young children. Therefore, when the camera unit 41 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oral cavity image by radiating light.

즉, 카메라부(41)와 조명부(4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보호자가 어린 아이에게 음식물을 먹여줄 때 카메라부(41)와 조명부(42)가 작동될 수 있다. 어린 아이가 수용부(21)에 수용된 음식물을 받아먹기 위해 입을 벌리는 순간, 보호자가 파지부(10)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카메라부(41)와 조명부(42)가 작동될 수 있다. 조명부(42)는 어린아이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하고 카메라부(41)는 어린 아이의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41 and the lighting unit 42, the camera unit 41 and the lighting unit 42 may be operated when a guardian feeds a child with food. The moment a child opens his/her mouth to receive and eat food stored in the container 21, when the guardian presses a button on the gripper 10, the camera unit 41 and the lighting unit 42 can be operated. The lighting unit 42 may irradiate light into the child's oral cavity and the camera unit 41 may take pictures of the child's oral cavity.

카메라부(41)에서 촬영된 구강 내부의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41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not shown).

따라서, 보호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은 이미지를 통해서, 유치 발치 상태, 영구치가 나오는 상태, 영구치 개수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치과 치료시에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guardian can check the state of extraction of primary teeth, the state of permanent teeth coming out, the number of permanent teeth, etc. through the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can be used during dental treatment.

센싱부(43)는 수용부(21)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센싱부(43)는 수용부(2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되, 수용부(21) 내부의 음식물을 먹을 때 어린 아이의 앞니가 닿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센싱부(43)가 수용부(2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sensing unit 43 may be a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unit 21 . The sensing unit 43 is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21, and may be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a child's front teeth touch when eating food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21.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43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receiving unit 21 as an example.

센싱부(43)는 수용부(21)의 전면에서, 어린 아이가 수용부(21)의 음식물을 먹을 때 윗 앞니가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3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accommodating unit 21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front teeth come into contact when a child eats food in the accommodating unit 21 .

실리콘부(44)는 센싱부(43)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리콘부(44)는 센싱부(43)가 신체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센싱부(43)를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 다만, 실리콘부(44)는 치아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센싱부(43)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ilicon part 44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part 43 . The silicon unit 44 may shield the sensing unit 43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sensing unit 43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However, the silicon part 44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by pressure so that the force applied by the teeth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part 43 .

즉, 센싱부(43)와 실리콘부(44)를 이용하여 치아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어린 아이가 수용부(21)의 음식물을 먹을 때 접촉되는 앞니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the method for checking the tooth condition using the sensing unit 43 and the silicon unit 44, the pressure applied by the front teeth in contact when a child eats food in the receiving unit 21 is measured can do.

따라서, 어린아이가 앞니를 사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압력 세기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orce with which a child uses his front teeth. The measured pressure intensity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의 앱을 통해서, 카메라부(41)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치아 상태와, 센싱부(43)에서 측정된 치아 사용 힘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기 전 상태의 어린 아이의 경우 센싱부(43)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세기는 매우 낮을 수 있고, 영구치가 난 상태의 어린 아이의 경우 센싱부(43)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세기는 영구치가 나기 전 상태의 어린 아이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다.Through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tooth stat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41 and the tooth use forc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43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young child whose primary teeth are missing and before permanent teeth grow,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43 may be very low, and in the case of a young child who has permanent teeth,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43 The intensity of pressure may appear higher than that of a young child before permanent teeth erupt.

이처럼, 촬영된 이미지의 치아 상태와 센싱부(43)에서 측정된 치아 사용 힘을 비교하여, 어린 아이가 치아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comparing the tooth st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with the tooth forc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4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eeth of a young child are developing normal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
10: 파지부 11: 관통홀
20: 헤드부 21: 수용부
22: 회전부 221: 삽입공
30: 체결부 31: 본체
311: 바디부 312: 끼움돌부
313: 결합날개 3131: 단턱부
314: 탄성홈 32: 헤드안착부
321: 회전축부 322: 플랜지부
323: 끼움홈 40: 치아 검사부
41: 카메라부 42: 조명부
43: 센싱부 44: 실리콘부
1: Spoon with rotatable head
10: gripping part 11: through hole
20: head part 21: receiving part
22: rotating part 221: insertion hole
30: fastening part 31: main body
311: body part 312: fitting protrusion
313: combined wing 3131: stepped part
314: elastic groove 32: head seating part
321: rotation shaft portion 322: flange portion
323: fitting groove 40: tooth inspection unit
41: camera unit 42: lighting unit
43: sensing unit 44: silicon unit

Claims (6)

음식물이 수용되는 헤드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되, 상기 헤드부가 상기 파지부의 축을 기준으로 공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체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헤드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헤드안착부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
a head portion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 gripping unit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nd
A fastening portion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holding por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is idling with respect to an axis of the holding portion;
The fastening part,
a main body that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side the gripping part; and
A head mounting portion formed to be fastened and detachably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includes,
the head part,
Receptacle for receiving food; and
A rota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art,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ead seating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 단부에서 상기 헤드안착부에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
상기 바디부의 타 측 단부의 양 측에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날개; 및
양 측의 상기 결합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날개가 내측 및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하는 탄성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ead seating portion;
Combining wing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stepped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and
An elastic groov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wings on both sides to allow the coupling wing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ward and outward; Spoon head portion rotatable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헤드안착부는,
상기 회전부의 삽입공내에 공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회전축부에 위치되는 상기 헤드부의 삽입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서 상기 끼움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
The method of claim 4,
The head mounting part,
a rotating shaft portion positioned to be idling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a flange portion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head portion located in the rotating shaft portion; and
A spoon head portion rota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tting groove formed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side the rotating shaft por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가 상기 관통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날개의 단턱부가 상기 파지부의 타 단과 밀착되어, 상기 파지부와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고,
상기 헤드안착부가 상기 본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안착부의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회전부의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 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의 상기 회전축부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
The method of claim 5,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stepped portion of the coupling w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sea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rotating shaft portion of the head sea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nnected,
The head part is rotatable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rotating part is idlingly positioned in the rotating shaft part between the flange part and the gripping part.
KR1020210144877A 2021-10-27 2021-10-27 Spoon with rotatable head KR102476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77A KR102476199B1 (en) 2021-10-27 2021-10-27 Spoon with rotatable head
PCT/KR2022/016437 WO2023075396A1 (en) 2021-10-27 2022-10-26 Spoon having rotatable head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77A KR102476199B1 (en) 2021-10-27 2021-10-27 Spoon with rotatable h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199B1 true KR102476199B1 (en) 2022-12-08

Family

ID=8443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877A KR102476199B1 (en) 2021-10-27 2021-10-27 Spoon with rotatable hea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6199B1 (en)
WO (1) WO2023075396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416U (en) * 2012-09-26 2012-12-20 武志 池野 spoon
KR20140020105A (en) * 2012-08-08 2014-02-18 황현준 Stability control spooon
KR20170107703A (en) 2016-03-16 2017-09-26 김순일 Infant spoon fork handle with bal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418A (en) * 2002-03-19 2003-09-26 김지형 spoon for child with rotating axis
KR101659554B1 (en) * 2015-10-20 2016-09-26 김태준 spoon having horizontal maintenance function
JP3212653U (en) * 2017-07-13 2017-09-21 スケーター株式会社 cutl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105A (en) * 2012-08-08 2014-02-18 황현준 Stability control spooon
JP3180416U (en) * 2012-09-26 2012-12-20 武志 池野 spoon
KR20170107703A (en) 2016-03-16 2017-09-26 김순일 Infant spoon fork handle with b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396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8200A1 (en) Baby safe feeder with integrally fitted food container
US5133740A (en) Orthopedic pacifier
EP2174638B1 (en) Teether
US20100179593A1 (en) Pacifier apparatus
US20070124943A1 (en) Method for feeding a child during the child's transition from bottle- to spoon-feeding
US10010300B2 (en) Bite-block and film-holding device
US20010027956A1 (en) Infant feeding device
EP3150186A1 (en) Vibrating oral comfort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2476199B1 (en) Spoon with rotatable head
JP2015533602A (en) spoon
US20060155331A1 (en) Pacifier for administering flavour substances
US20200352828A1 (en) Apparatus Useful for Infant Teething and Suckling
JP7467035B2 (en) pacifier
GB2376410A (en) Child feeding utensil with mouth guard
CN109907620B (en) Spoon with counting function
AU5049999A (en) Infant feeding device
CN109770676B (en) Spoon with counting function
CN207168598U (en) A kind of maxillary support disc box for preventing that moulage is excessive
GB2319461A (en) Safety spoon for baby
KR960002563Y1 (en) Milk bottle for auinfant
WO2011092706A1 (en) Firm grasp nipple
KR200353875Y1 (en) Baby food feeding apparatus
WO2016174381A1 (en) Improvements in baby and infant pacifier weaning methods
KR200247357Y1 (en) Apparatus for nursing baby
JPH11174947A (en) Spoon for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