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023B1 -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023B1
KR102476023B1 KR1020200049003A KR20200049003A KR102476023B1 KR 102476023 B1 KR102476023 B1 KR 102476023B1 KR 1020200049003 A KR1020200049003 A KR 1020200049003A KR 20200049003 A KR20200049003 A KR 20200049003A KR 102476023 B1 KR102476023 B1 KR 10247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period
expecte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598A (ko
Inventor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이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정 filed Critical 이효정
Priority to KR102020004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0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598A/ko
Priority to KR1020220167342A priority patent/KR2022016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023B1/ko
Priority to KR1020240020710A priority patent/KR20240023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CIDING LEARNING PLANNER BASED ON THE PREDICTED ACHIEVEMENT GRADE INFORMATION}
본 발명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벨 테스트를 통해 학생의 예상 성취 등급을 도출하는 방법 및 이에 기반한 학습 플래너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공부를 하는 경우, 학습 계획을 세워두고 진행하나, 이를 모두 수행하였을 때, 예상되는 자신의 레벨을 알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신의 레벨을 높이는데 효율적인 학습 계획을 세우기 어려우며, 동기부여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자신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라고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은 자신의 지인들과 비교를 할 수 있으나, 1인이 확인할 수 있는 표본은 너무 적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와 같이 공부할 경우의 예상 성취 등급을 제공하여 학생의 동기부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등급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절대적인 공부량을 제공하여 학생의 의욕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상 성취 등급을 기반한 등급을 높이기 위한 커리큘럼을 자동으로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기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종합 레벨 진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솔루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플래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즉, 학생의 현재 레벨을 기반으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커리큘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수업 진행을 도와줄 수 있다.
여기서, 학생의 현재 레벨은 레벨 테스트의 결과로 도출될 수 있고, 레벨 테스트의 결과는 미리 정해진 문제 및 정답을 기반으로 레벨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일 수 있으며, 정답률 또는 정답의 개수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으나, 특정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 등이 고려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학업을 진행하는 사용자에게 현재 예상 등급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동기부여를 도울 수 있다. 사용자는 확인한 현재 예상 등급 또는 대학 정보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학습 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즉, 능동적으로 공부량을 늘리게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플래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과 함께 후술하겠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는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라고 나타낼 수도 있으며,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는 사용자의 레벨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 정보, 종합 레벨 진단 정보 및 솔루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기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본 정보에서는 사용자 즉, 학생의 기본적인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정보는 학생명, 학년 정보, 학교 정보, 학습 유효 기간 정보, 1등급 목표 기간 정보 및 1~2등급 목표 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명, 학년 정보 또는 학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학습 유효 기간 정보, 1등급 목표 기간 정보 및 1~2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1~2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1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1년에서 1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16개월일 수 있고, 상기 1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8개월일 수 있으나, 시험 기간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종합 레벨 진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합 레벨 진단 정보에서는 사용자의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레벨 진단 정보는 영역(section), 레벨, 전과정 평균학습기간, 평균학습기간+시험기간, 예상 완료 일자 및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은 문법&작문(Grammar & Writing), 듣기&말하기(Listening & Speaking) 및 읽기&단어(Reading & Vocabulary)로 분류될 수 있으나, 보다 상세히 분류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벨은 12 등급 중 하나로 도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2 등급은 파닉스(phonics) 입문, 파닉스 중급, 파닉스 고급, 초등 입문, 초등 중급, 초등 고급, 중등 입문, 중등 중급, 중등 고급, 고등 입문, 고등 중급 및 고등 고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영역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과정 평균 학습 기간은 현재 레벨에서 입시(또는 수능) 완성 단계까지 도달하는데 평균적으로 걸리는 기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평균 학습 기간 + 시험 기간은 상기 전과정 평균 학습 기간과 시험 기간을 합산한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전과정 평균 학습 기간은 간략히 평균 학습 기간이라 나타낼 수 있고, 평균 학습 기간 + 시험 기간는 진단 완료 일자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예상 완료 일자는 현재 날짜로부터 평균학습기간+시험기간을 기산한 날짜를 나타낼 수 있으며,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은 사용자가 현재와 같은 학습 능력 또는 학습량으로 진행하는 경우, 고 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간략히 예상 성취 등급이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종합 레벨 진단 정보는 도 3과 같이, 하단 영역에 영역 별 레벨을 차트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손쉽게 영역 별 레벨을 확인할 수 있고, 부족한 영역 또는 강한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차트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레포트의 솔루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솔루션 정보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커리큘럼을 수행하여 개선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루션 정보는 영역 별로 도 4와 같은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영역에 따른 솔루션 정보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솔루션 정보는 영역, 커리큘럼, 솔루션 학습 기간에 따른 예상 완료 기간, 솔루션 학습 기간에 따른 단축 기간,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및 솔루션 예상 성취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은 도 3과 함께 설명한 영역과 동일할 수 있고, 커리큘럼은 사용자의 현재 레벨에서 입시(또는 수능) 완성 단계까지 구성된 학습 커리큘럼으로 학습 유효 기간을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예상 완료 기간은 상기 커리큘럼에 따라 입시 완성 단계까지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시험 기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축 기간은 상기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 기존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 수행하는 경우보다 입시 완성 단계까지 단축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평균 학습 기간 및 예상 완료 기간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는 평균 학습 기간 + 시험 기간 및 예상 완료 기간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은 예상 성취 등급(진단)으로 나타낼 수 있고, 솔루션 예상 성취 등급은 예상 성취 등급(솔루션)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이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은 레벨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고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낼 수 있고, 솔루션 예상 성취 등급은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고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솔루션 정보는 도 4와 같이, 하단 영역에 솔루션에 따라 학습시 소요되는 기간 및 기존의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시 소요되는 기간을 차트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손쉽게 솔루션에 따라 단축되는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차트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플래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는 상기 예상 성취 등급 정보에서 제공된 커리큘럼을 학습 플래너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리큘럼이 등록된 경우, 학습 플래너는 도 6과 같이 커리큘럼에 따라 사용자가 일자별로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및/또는 학습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강의 정보 및/또는 학습량 정보는 영역 별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 플래너는 사용자에게 도 5와 같이 현재 진행 중인 학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진행 중인 학습에 대한 정보는 영역 별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영역별로 커리큘럼 명, 현재 학습 수준 및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랭킹(전국) 퍼센트 정보, 평균 예상 등급 정보 및 관련 대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커리큘럼 명은 상술한 예상 성취 등급 정보에서 제공되는 커리큘럼일 수 있고, 평균 예상 등급은 영역별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의 평균으로 도출될 수 있다. 관련 대학 정보는 평균 예상 등급을 기반으로 도출된 대학들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관련 대학 보기가 클릭된 경우,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 평균 예상 등급 또는 관련 대학 정보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학습 설정 변경 요청을 클릭하여 학습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영역 별로 학습량을 수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정된 고등학교 예상 성취 등급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정한 학습 계획 또는 학습량을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경우, 학습 플래너에 반영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학습 플래너는 커리큘럼에 따라 사용자가 일자별로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및/또는 학습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플래너는 날짜, 영역, 강의명, 목표 시간,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총 예상 학습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시간 및 최종 학습 완료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고, 완료 여부는 자동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및 저장 장치(7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 및/또는 저장 장치(7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720)와 저장 장치(73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및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및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는 명령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명령 및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명령 및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명령은,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 및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학년 정보는 초1 내지 초6, 중1 내지 중3 중 하나로 획득될 수 있으나, 고1 내지 고3 중 하나로 획득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는 미리 정해진 문제 및 정답을 기반으로 레벨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일 수 있으며, 정답률 또는 정답의 개수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으나, 특정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 등이 고려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는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20). 여기서,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30). 여기서,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현재 날짜 정보,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는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40). 여기서, 커리큘럼 정보는 현재 날짜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의 커리큘럼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커리큘럼 정보는 시험 기간에 대해서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커리큘럼 정보는 강의 정보 및/또는 교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850). 여기서,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및/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여 학습 플래너를 수정할 수 있다. 이후, 일 실시예는 수정된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강의 정보 및/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수정된 학습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학습 플래너에 적용하기 위해 일 실시예는 관리자 단말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정된 학습 계획 정보를 상기 학습 플래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학년 정보 및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유효 기간 정보 및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커리큘럼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기간 정보, 단축 기간 정보 및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커리큘럼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학습 플래너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일자별로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강의 정보 또는 일자별 사용자가 진행하여야 하는 학습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 플래너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예상 등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예상 등급 정보에 따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학년 정보는 초1 내지 초6 및 중1 내지 중3 중 하나로 획득되고,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는 정답률 또는 정답의 개수 기반으로 도출되되, 특정 문제에 대한 정답 여부가 고려되고,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는 상기 레벨 테스트 결과 정보에 따른 현재 레벨로부터 완성 레벨까지 소요되는 평균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는 상기 커리큘럼 정보에 따라 학습 진행 시 입시 완성 단계까지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단축 기간 정보는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예상 완료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학년 정보 및 현재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시험 기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날짜 정보, 상기 평균 학습 기간 정보 및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완료 일자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현재 날짜 정보로부터 고3까지의 기간 정보에서 상기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1 등급 목표 기간 정보는 상기 학습 유효 기간 정보에서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2년 선행에 따른 기간 정보는 2년에서 2년동안의 시험 기간 정보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정보로 16개월을 나타내고,
    상기 진단된 예상 성취 등급은 레벨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학습 방법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고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내고,
    상기 개선된 예상 성취 등급은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고1이 되었을 때의 예상 성취 등급을 나타내며,
    상기 예상 성취 등급 또는 대학 정보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학습 설정 변경 요청이 수신에 따라 학습 계획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에 따라 학습량이 수정되고, 수정된 예상 성취 등급이 표시되고, 수정한 학습 계획 또는 학습량이 관리자에 의해 승인되면, 상기 학습 플래너에 반영되는,
    예상 성취 등급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9003A 2020-04-22 2020-04-22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KR10247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03A KR102476023B1 (ko) 2020-04-22 2020-04-22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167342A KR20220166254A (ko) 2020-04-22 2022-12-05 초등학생 및 중학생이 고등학교 진학시 예상되는 성취 등급 및 학습 계획 도출 방법
KR1020240020710A KR20240023583A (ko) 2020-04-22 2024-02-13 초등학생 및 중학생이 고등학교 진학시 예상되는 성취 등급 및 학습 계획 도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03A KR102476023B1 (ko) 2020-04-22 2020-04-22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342A Division KR20220166254A (ko) 2020-04-22 2022-12-05 초등학생 및 중학생이 고등학교 진학시 예상되는 성취 등급 및 학습 계획 도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598A KR20210130598A (ko) 2021-11-01
KR102476023B1 true KR102476023B1 (ko) 2022-12-08

Family

ID=7851936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003A KR102476023B1 (ko) 2020-04-22 2020-04-22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167342A KR20220166254A (ko) 2020-04-22 2022-12-05 초등학생 및 중학생이 고등학교 진학시 예상되는 성취 등급 및 학습 계획 도출 방법
KR1020240020710A KR20240023583A (ko) 2020-04-22 2024-02-13 초등학생 및 중학생이 고등학교 진학시 예상되는 성취 등급 및 학습 계획 도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342A KR20220166254A (ko) 2020-04-22 2022-12-05 초등학생 및 중학생이 고등학교 진학시 예상되는 성취 등급 및 학습 계획 도출 방법
KR1020240020710A KR20240023583A (ko) 2020-04-22 2024-02-13 초등학생 및 중학생이 고등학교 진학시 예상되는 성취 등급 및 학습 계획 도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760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804A (ja) * 2007-08-16 2009-03-05 Foresight:Kk 学習支援システム
JP2010009073A (ja) * 2003-05-07 2010-01-14 Takafumi Terasawa 学習効果予測方法及び学習効果予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16A (ko)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학습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6196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유비온 적응적 학습가이드 제공방법
KR20180102785A (ko)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진학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073A (ja) * 2003-05-07 2010-01-14 Takafumi Terasawa 学習効果予測方法及び学習効果予測装置
JP2009047804A (ja) * 2007-08-16 2009-03-05 Foresight:Kk 学習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254A (ko) 2022-12-16
KR20240023583A (ko) 2024-02-22
KR20210130598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sada et al. The process of basic training, applied training,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an observer
Saks et al. Job search self-efficacy: Reconceptualizing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Phakiti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iorgio et al. Studying abroad and earnings: A meta‐analysis
Belfield et al. Using resource and cost considerations to support educational evaluation: Six domains
Maldonado et al.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a review of the technique
Ford et al. Improving Efficiency for Making Screening Decisions: A Statewide Comparison of Early Literacy Curriculum–Based Measurement Tools
Iqbal et al. STUDENTS'PERCEIVED QUALITY OF ACADEMIC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 EMPIRICAL STUDY
Lee et al. A litmus test of school accountability policy effects in Korea: Cross-validating high-stakes test results for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Currie et al. Sequential testing in a high stakes OSCE: determining number of screening tests
Patel et al. Is international accounting education delivering pedagogical value?
US10665123B2 (en) Smart examination evaluation based on run time challenge response backed by guess detection
KR102476023B1 (ko) 예상 성취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예상 성취 등급 정보 기반의 학습 플래너를 제공하는 방법
CN114090733A (zh) 学习资源推荐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Pitt Derryberry et al. Assessing the relationship among Defining Issues Test scores and crystallised and fluid intellectual indices
Oetzel et al. Evaluating participatory health research
Renshaw Design and assessment of a skills-based geoscience curriculum
Kieftenbeld et al. Statisticall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multiple automated raters across multiple items
Keenan et al. Examining Teachers’ Technology Use Through Digital Portfolios
Appleget et al. Best practices for US Department of Defense model validation: lessons learned from irregular warfare models
Harring et al. Longitudinal models for repeated measures data
Kao et al. Applying the Mathematical Work of Teaching Framework to Develop a Compute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sessment
Asarta et al. Success in the economics major: is it path dependent?
Stratton et al. Modeling enrollment in and comple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he role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s by program type
Nurim et al. The Comparability of Outcome Feedback Towards Experience on Internal Control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