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995B1 -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995B1
KR102475995B1 KR1020210108933A KR20210108933A KR102475995B1 KR 102475995 B1 KR102475995 B1 KR 102475995B1 KR 1020210108933 A KR1020210108933 A KR 1020210108933A KR 20210108933 A KR20210108933 A KR 20210108933A KR 102475995 B1 KR102475995 B1 KR 10247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link
case
case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순
Original Assignee
(주)세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나테크 filed Critical (주)세나테크
Priority to KR102021010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2011/188Media card holders, e.g. memory cards, SIM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케이스 본체부;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근거리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부재를 내장하며,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내장된 근거리통신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간섭되지 않은 특정 위치로 변경 장착가능한 구조의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 및 상기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가 장착된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되며, 열가소성 소재를 기계 가공하여 제작된 디자인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디자인 외관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장착하고자 하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NFC 안테나와 충돌되지 않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Mobile Phone Case Having NFC Moun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NFC 태그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가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보호 기능뿐만 아니라 미관을 개선하거나,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여 왔으며, 현재는 미려하고 인체 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견고하고 튼튼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보호 케이스는 현재 휴대 단말기를 가죽 또는 직물 등으로 제작된 수납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파우치형(pouch type)과,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지갑형과,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수납공간에 휴대 단말기를 끼워 보관하는 케이스형(case type) 등이 제안되어 상용화되었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들은 단순히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본연의 역할 이외에도, 보호 케이스의 활용도 측면과 사용자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그 일환 중 하나가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니고 있는 각종 카드(교통카드/신용카드/체크카드/할인카드 등)을 수납하는 수납 기능의 추가이다.
현대인들은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수단 이용 시 교통요금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물품 구매 시 물품 구매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신용카드, 현금을 인출하기 위한 현금 인출카드, 그리고, 물품 구매 시 할인 받기 위한 각종 할인카드 등 적어도 1장 이상의 카드를 소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카드는 일상생활에서 그 사용빈도가 빈번하게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지갑에 수납하여 휴대하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이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그 사용빈도가 높은 각종 카드를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수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일례가 파우치형 또는 지갑형 보호 케이스 구조에서 덮개의 내측부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부를 마련하여 여러 장의 카드를 수납하는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이 덮개의 내측부에 카드가 수납되는 구조에서는 덮개의 반복적인 개폐 동작 과정에서 수납된 카드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스크래치 등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 외에도,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디자인 외관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의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장착하고자 하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NFC 안테나와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NFC 태그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이 요구되어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 후면부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NFC 카드를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 휴대폰 자체에 내장되는 NFC 안테나와의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 구조로서, 휴대폰 내장 NFC 안테와의 간섭으로 인해 NFC 카드의 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685호 (공개일자: 2005년10월17일)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디자인 외관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장착하고자 하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NFC 안테나와 충돌되지 않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케이스 본체부;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근거리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부재를 내장하며,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내장된 근거리통신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간섭되지 않은 특정 위치로 변경 장착가능한 구조의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 및 상기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가 장착된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되며, 열가소성 소재를 기계 가공하여 제작된 디자인 인쇄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는,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디자인 인쇄부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판재의 일측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실크인쇄(silk screen printing)한 후, 실크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엔씨가공(NC Machining)하여 제작되고,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는, 케이스 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가변부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가변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외부면에 링크구조의 결속힌지 및 결속레일이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링크결속부; 상기 링크결속부의 결속힌지에 일단부가 결속되는 제1링크; 상기 링크결속부의 결속레일에 일단부가 결속되고, 제1링크와 링크결속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판상형 부재가 내장되고, 타측면에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가 탑재되는 NFC거치대; 및 상기 링크결속부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내부로 진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링크결속부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2링크의 일단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디자인 인쇄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장착된 휴대폰과 무선 연동되며, 연동된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된 제어값에 따라 전력라인을 통해 광출력스티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자인 인쇄부의 내부에 적층 구조로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무선충전 가능한 구조이며, 제어부 및 전력라인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저장부; 상기 디자인 인쇄부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라인 형태로 전기전도성 잉크로 인쇄되고, 전력저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라인; 및 상기 디자인 인쇄부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디자인 인쇄부의 표면으로 돌출된 전력라인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기설정된 색상과 발광패턴으로 발광하는 필름구조의 광출력스티커;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은,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케이스 본체부를 성형한 후, 케이스 본체부의 내측면에 근거리통신 부재를 내장하는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를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NFC태그 장착단계;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판재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실크인쇄한 후 열기를 가하여 건조시키는 실크인쇄단계; 실크인쇄단계로부터 실크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엔씨가공(NC Machining)하는 PC판재 가공단계; 및 엔씨가공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최종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NFC태그 장착단계는,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에 케이스 본체부를 장착한 후, 케이스 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가변부를 장착한 후, 위치가변부의 NFC거치대의 타측면에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를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케이스 본체부,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 및 디자인 인쇄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디자인 외관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장착하고자 하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NFC 안테나와 충돌되지 않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위치가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전파 또는 휴대폰에 내장된 NFC 안테나로부터 발생되는 전파로부터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에 내장된 근거리통신 부재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특정 형태로 장착되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 전력저장부, 전력라인 및 광출력스티커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하여 손쉽게 표현하고자 하는 광 디자인을 휴대폰 케이스의 외부면에 출력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NFC태그 장착단계, 실크인쇄단계, PC판재 가공단계 및 최종 조립단계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디자인 외관을 가지고, 이와 동시에 장착하고자 하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NFC 안테나와 충돌되지 않는 NFC 태그를 특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면을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아랫면을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의 다양한 위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면을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아랫면을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특정 구조의 케이스 본체부(110),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 및 디자인 인쇄부(13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디자인 외관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장착하고자 하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NFC 안테나와 충돌되지 않는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NFC 태그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의 다양한 위치를 예시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부(110)는,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근거리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부재를 내장하며,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내장된 근거리통신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간섭되지 않은 특정 위치로 변경 장착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내장된 NFC안테나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120a, 120b)에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를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폰의 경우 120a 위치에 장착하고, 애플 아이폰의 120b 위치에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인쇄부(130)는,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가 장착된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되며, 열가소성 소재를 기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인쇄부(130)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판재의 일측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실크인쇄(silk screen printing)한 후, 실크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엔씨가공(NC Machining)하여 제작되고,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내지 도 9에는 도 7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S100)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NFC태그 장착단계(S110), 실크인쇄단계(S120), PC판재 가공단계(S130) 및 최종 조립단계(S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NFC태그 장착단계(S11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케이스 본체부(110)를 성형한 후, 케이스 본체부(110)의 내측면에 근거리통신 부재를 내장하는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를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실크인쇄단계(S12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판재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실크인쇄한 후 열기를 가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PC판재 가공단계(S130)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크인쇄단계(S120)로부터 실크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엔씨가공(NC Machining)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최종 조립단계(S140)는, 도 9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씨가공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NFC태그 장착단계(S110), 실크인쇄단계(S120), PC판재 가공단계(S130) 및 최종 조립단계(S14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쇄하여 다양한 디자인 외관을 가지고, 이와 동시에 장착하고자 하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NFC 안테나와 충돌되지 않는 NFC 태그를 특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의 내측면에 위치가변부(14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가변부(140)는, 특정 구조의 링크결속부(141), 제1링크(142), 제2링크(143), NFC거치대(144) 및 푸쉬버튼(14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가변부(140)의 링크결속부(14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외부면에 링크구조의 결속힌지 및 결속레일이 형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위치가변부(140)의 제1링크(142)는, 링크결속부(141)의 결속힌지에 일단부가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2링크(143)는, 링크결속부(141)의 결속레일에 일단부가 결속되고, 제1링크(142)와 링크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NFC거치대(144)는, 제1링크(142)와 제2링크(143)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전파차단부재(146)가 내장되고, 타측면에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푸쉬버튼(145)은, 링크결속부(141)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내부로 진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47)에 의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링크결속부(14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2링크(143)의 일단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언급한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S100)의 NFC태그 장착단계(S110)는,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에 케이스 본체부(110)를 장착한 후,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위치가변부(140)를 장착한 후, 위치가변부(140)의 NFC거치대(144)의 타측면에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를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특정 구조의 위치가변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된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전파 또는 휴대폰에 내장된 NFC 안테나로부터 발생되는 전파로부터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에 내장된 근거리통신 부재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151), 전력저장부(152), 전력라인(153) 및 광출력스티커(15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1)는, 디자인 인쇄부(13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장착된 휴대폰과 무선 연동되며, 연동된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된 제어값에 따라 전력라인(153)을 통해 광출력스티커(15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저장부(15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인쇄부(130)의 내부에 적층 구조로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무선충전 가능한 구조이며, 제어부(151) 및 전력라인(153)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라인(15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인쇄부(130)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라인 형태로 전기전도성 잉크로 인쇄되는 구성으로서, 전력저장부(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스티커(154)는 디자인 인쇄부(130)의 일측면에 부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는 스티커 기능을 가지는 필름형 구조로서, 일측면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광출력스티커(154)는, 디자인 인쇄부(130)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디자인 인쇄부(130)의 표면으로 돌출된 전력라인(153)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제어부(151)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기설정된 색상과 발광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형태로 장착되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151), 전력저장부(152), 전력라인(153) 및 광출력스티커(154)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하여 손쉽게 표현하고자 하는 광 디자인을 휴대폰 케이스의 외부면에 출력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휴대폰 케이스
110: 케이스 본체부
120: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
130: 디자인 인쇄부
140: 위치가변부
141: 링크결속부
142: 제1링크
143: 제2링크
144: NFC거치대
145: 푸쉬버튼
146: 전파차단부재
147: 탄성부재
151: 제어부
152: 전력저장부
153: 전력라인
154: 광출력스티커
S100: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S110: NFC태그 장착단계
S120: 실크인쇄단계
S130: PC판재 가공단계
S140: 최종 조립단계

Claims (5)

  1.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케이스 본체부(110);
    상기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근거리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부재를 내장하며,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에 내장된 근거리통신 안테나의 위치에 따라 간섭되지 않은 특정 위치로 변경 장착가능한 구조의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 및
    상기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가 장착된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되며, 열가소성 소재를 기계 가공하여 제작된 디자인 인쇄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의 내측면에 위치가변부(140)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위치가변부(140)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외부면에 링크구조의 결속힌지 및 결속레일이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링크결속부(141);
    상기 링크결속부(141)의 결속힌지에 일단부가 결속되는 제1링크(142);
    상기 링크결속부(141)의 결속레일에 일단부가 결속되고, 제1링크(142)와 링크결속되는 제2링크(143);
    상기 제1링크(142)와 제2링크(143)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연자성 페라이트 소재로 구성된 전파차단부재(146)가 내장되고, 타측면에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가 탑재되는 NFC거치대(144); 및
    상기 링크결속부(141)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내부로 진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47)에 의해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링크결속부(14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2링크(143)의 일단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푸쉬버튼(14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디자인 인쇄부(130)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판재의 일측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실크인쇄(silk screen printing)한 후, 실크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엔씨가공(NC Machining)하여 제작되고,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디자인 인쇄부(130)의 내부에 장착되고, 장착된 휴대폰과 무선 연동되며, 연동된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된 제어값에 따라 전력라인(153)을 통해 광출력스티커(1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1);
    상기 디자인 인쇄부(130)의 내부에 적층 구조로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무선충전 가능한 구조이며, 제어부(151) 및 전력라인(153)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저장부(152);
    상기 디자인 인쇄부(130)의 외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라인 형태로 전기전도성 잉크로 인쇄되고, 전력저장부(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라인(153); 및
    상기 디자인 인쇄부(130)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디자인 인쇄부(130)의 표면으로 돌출된 전력라인(153)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제어부(151)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기설정된 색상과 발광패턴으로 발광하는 필름구조의 광출력스티커(1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1항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장착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일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케이스 본체부(110)를 성형한 후, 케이스 본체부(110)의 내측면에 근거리통신 부재를 내장하는 근거리통신부재 장착부(120)를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NFC태그 장착단계(S110);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판재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실크인쇄한 후 열기를 가하여 건조시키는 실크인쇄단계(S120);
    실크인쇄단계(S120)로부터 실크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엔씨가공(NC Machining)하는 PC판재 가공단계(S130); 및
    엔씨가공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를 케이스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최종 조립단계(S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제작방법.
KR1020210108933A 2021-08-18 2021-08-18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47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933A KR102475995B1 (ko) 2021-08-18 2021-08-18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933A KR102475995B1 (ko) 2021-08-18 2021-08-18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995B1 true KR102475995B1 (ko) 2022-12-09

Family

ID=8444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933A KR102475995B1 (ko) 2021-08-18 2021-08-18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9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685A (ko) 2004-04-12 2005-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 태그 리더기 겸용 휴대용 단말기
KR100998049B1 (ko) * 2010-09-09 2010-12-03 박갑세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274224B1 (ko) * 2012-02-24 2013-06-17 경 환 양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4336A (ko) * 2012-07-02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후면커버의 제조방법
KR20180133764A (ko) * 2017-06-07 2018-12-17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 휴대폰 커버 타입 전자태그 리더기
KR102049885B1 (ko) * 2018-12-20 2019-12-05 이엘케이 주식회사 혼성막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이용한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2251057B1 (ko) * 2020-01-31 2021-05-11 이현우 휴대폰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685A (ko) 2004-04-12 2005-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 태그 리더기 겸용 휴대용 단말기
KR100998049B1 (ko) * 2010-09-09 2010-12-03 박갑세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274224B1 (ko) * 2012-02-24 2013-06-17 경 환 양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4336A (ko) * 2012-07-02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후면커버의 제조방법
KR20180133764A (ko) * 2017-06-07 2018-12-17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 휴대폰 커버 타입 전자태그 리더기
KR102049885B1 (ko) * 2018-12-20 2019-12-05 이엘케이 주식회사 혼성막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이용한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2251057B1 (ko) * 2020-01-31 2021-05-11 이현우 휴대폰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384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16854B1 (ko)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KR101510700B1 (ko) 이동 단말기
KR101706628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모듈
KR20190059626A (ko) 휴대폰케이스
CN107710723A (zh) 卡收纳型后壳
US880374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475995B1 (ko) Nfc 탑재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2731A (ko) 이동 단말기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327370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용 커버
CN102224635B (zh) 便携式电子设备
US20130176094A1 (en) Antenna assembly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US8779982B2 (en) System for reducing antenna gain deterioration
KR20090062937A (ko) 휴대 단말기
KR20180046660A (ko) Rfid태그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2072676B1 (ko) 영상 및 음악이 내장된 카드형태 앨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JP2012129975A (ja) 携帯電子機器
KR101936346B1 (ko) 기능별 모듈이 결합된 단말기 보호케이스 구조
KR102471530B1 (ko)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23843B1 (ko) 휴대 단말기
JP3182247U (ja) 携帯機器用ケース
GB2492088A (en) Shielding layer for case of mobile device to protect nearby RFID card
KR20170070875A (ko) 휴대 단말기
KR20210110527A (ko) 카드 및 지폐 수납구조를 포함하는 도어형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