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706B1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706B1
KR102475706B1 KR1020170184577A KR20170184577A KR102475706B1 KR 102475706 B1 KR102475706 B1 KR 102475706B1 KR 1020170184577 A KR1020170184577 A KR 1020170184577A KR 20170184577 A KR20170184577 A KR 20170184577A KR 102475706 B1 KR102475706 B1 KR 10247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area
light guide
incident surfa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1795A (en
Inventor
유진희
고동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706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7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에 발생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을 입사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는 렌즈부,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복수의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A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generating light, a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guid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lens unit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and emitting it forward. , Includes a plurality of shield parts for blocking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parts, wherein the lens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parts, and at least two areas of the plurality of areas may have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Lamp for vehicle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의 렌즈부를 통해 효율적인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lamp that forms an efficient beam pattern through one lens unit.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vehicles ar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head lamps and fog lamps mainly for lighting functions, and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and brake lamps for signal functions. (Brake lamp), side marker, etc., and these vehicle lamps are regulated by law for their install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so that each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exerted.

헤드 램프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유발을 예방하도록 평상 시에는 주로 로우 빔 패턴을 유지하고, 고속 주행 시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곳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The headlamps mainly maintain a low beam pattern in normal times to prevent glare to the driver of the oncoming vehicle or the driver of the preceding vehicle trave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when driving at high speed or in a dark environment, the headlamp is turned on as needed. A high beam pattern is formed to promote safe driving.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Among vehicle lamps, headlamps that form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so that a driver's forward vision is secured during night driving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safe driving.

또한, 테일 램프는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리어 램프로서, 테일-브레이크 램프(Tail-Brake lamp)와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및 백업 램프(Back up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il lamp is a rear lamp moun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tail-brake lamp, a turn signal lamp, a back up lamp, and the like.

이 중에서, 테일-브레이크 램프는 야간 주행 시 후방 차량에서 자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하는 후미등(Tail light)과, 후방 차량에게 자기 차량이 감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지등(Stop light)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mong these, the tail-brake lamp functions as a tail light that informs the rear vehicle of the position of the host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top light that indicates that the host vehicle is decelerating to the rear vehicle. will perform

또한, 턴 시그널 램프는 자기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진로의 방향을 바꾸고자 운전자가 방향 지시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점멸됨에 따라 후방 차량에게 주행 방향의 변경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urn signal lamp flickers when the driver manipulates the direction indicating lev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ourse on which the subject vehicle wants to drive, thereby performing a function of allowing the rear vehicle to recognize the change in the driving direction.

그리고, 백업 램프는 후진을 위하여 변속 단을 후진으로 하는 경우, 점등됨에 따라 차량이 후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후진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hift stage is set to reverse for reverse, the backup lamp functions as a reverse light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backward as it is turned on.

다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 모듈을 사용하므로 많은 광원과 많은 광학 요소를 사용하므로 소모되는 전력 많고 차량에서 차량용 램프가 차지하는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vehicle lamp uses a plurality of lens modules to form a beam pattern, since it uses many light sources and many optical elements, a large amount of power is consumed and the size occupied by the vehicle lamp in the vehicle is inevitably increased.

한국등록특허 10-1557112Korea Patent Registration 10-15571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이 하나의 렌즈부를 투과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in which light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passes through one lens unit to form a beam patter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에 발생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을 입사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는 렌즈부,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복수의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A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generating light, a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guid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lens unit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and emitting it forward. , Includes a plurality of shield parts for blocking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parts, wherein the lens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parts, and at least two areas of the plurality of areas may have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나의 렌즈부의 복수의 입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형상을 변경하여 빔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심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position and shape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of one lens unit to form a beam pattern and simultaneously increase aesthetic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light path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re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fou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차량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차량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상용되는 경우와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용도의 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ercially available for use as a headlamp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so that the front view of the vehicle is secured by irradiating light in the driving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driving in a dark place. It can be used as a lamp for various purposes installed in a vehicle, such as a lamp, a brake lamp, a fog lamp, a position lamp, a turn signal lamp, a daytime running lamp, a backup lamp,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light path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 side view of a vehicle lamp.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광원(100),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 렌즈부(300), 복수의 쉴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a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a lens unit 300, and a plurality of shield units 400. can do.

복수의 광원(10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100)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dity Discha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may be formed to generate light having an amount or color suitable for the use of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diode (L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used as the light sour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ser diode (LD) or bulb type lamp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As the bulb type lamp, a halogen lamp, a high intensity discharge (HID) lamp,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복수의 광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는 복수의 광원(100)의 수량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각 광원(100)에서 발생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사면과 출사면(212)을 구비한 TIR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는 각 광원(100)에서 발생한 광을 전방에 위치한 렌즈부(300) 방향으로 광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parts 200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quantity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and are TIR lenses having an incident surface and an exit surface 212 so that light generated from each light source 100 can be transmitted.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are formed to guide the light generated from each light source 100 toward the lens unit 300 located in the front.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렌즈부(300)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에서 출사된 광을 입사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300)는 복수의 입사면과 복수의 입사면에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출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이 전방으로 출사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이 출사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The lens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and emit the light forward. In addition, the lens unit 300 may be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and a plurality of exit surfaces for emitting light incident on the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That the light is emitted forward means that the light is emit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ward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r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구체적으로 렌즈부(300)는 복수의 렌즈를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입사면과 복수의 출사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비구면 렌즈의 양측을 수직 방향으로 잘라 중앙 부분만으로 형성된 제1 렌즈와 비구면 렌즈의 우측 영역을 수직방향으로 잘라 형성된 제2 렌즈와 비구면 렌즈의 좌측을 수직 방향으로 잘라 형성된 제3 렌즈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ns unit 300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and a plurality of exit surfaces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ens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first lens formed only by the central portion by vertically cutting both sides of an aspheric lens based on the optical axis of each lens, and a second lens formed by vertically cutting the right area of the aspherical lens and an aspheric surface I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third lens formed by vertically cutting the left side of the len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부(300)는 제1 입사면(312)과 제1 출사면(314)을 포함하는 제1 렌즈 영역(310), 제2 입사면(322)과 제2 출사면(324)을 포함하는 제2 렌즈 영역(320), 제3 입사면(332)과 제3 출사면(334)을 포함하는 제3 렌즈 영역(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영역(310)은 제2 렌즈 영역(320)과 제3 렌즈 영역 사이(330)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사면(314)과 제2 출사면(324)과 제3 출사면(334)은 기존 비구면 렌즈 형상에 의하여 전방으로 볼록하게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s unit 300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area 310 including a first incident surface 312 and a first exit surface 314, a second incident surface ( 322) and the second exit surface 324, and a third lens area 330 including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and the third exit surface 334. have. The first lens area 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lens area 330 . Here, the first exit surface 314, the second exit surface 324, and the third exit surface 334 may be convexly curv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existing aspherical lens shape.

복수의 쉴드부(400)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며, 끝단에는 컷오프 에지가 형성되어 렌즈부(300)의 복수의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이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의 하부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shield units 400 are formed to block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and cut-off edges are formed at the ends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exit surfaces of the lens unit 300 Let the pattern emit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ut-off line.

구체적으로 복수의 쉴드부(400)는 제1 렌즈 영역(3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쉴드부(410), 제2 렌즈 영역(3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쉴드부(420), 제3 렌즈 영역(33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 쉴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hield units 400 include a first shield unit 410 located behind the first lens area 310, a second shield unit 420 located behind the second lens area 320, A third shield unit 430 positioned behind the third lens area 330 may be included.

또한, 제1 쉴드부(410)의 끝단에는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후방 초점(P1)이 형성되고, 제2 쉴드부(420)의 끝단에는 제2 렌즈 영역(320)의 제2 후방 초점(P2)이 형성되고, 제3 쉴드부(430)의 끝단에는 제3 렌즈 영역(330)의 제3 후방 초점(P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ck focus P1 of the first lens area 31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hield part 410, and the second lens area 3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hield part 420. Two rear focal points P2 are formed, and a third rear focal point P3 of the third lens area 330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third shield part 430 .

한편, 전술한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는 복수의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 렌즈 영역(310)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 가이드부(210),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2 렌즈 영역(320)으로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220),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3 렌즈 영역(330)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광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parts 200 described above include at least one first light guide part 210 for guiding light incident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to the first lens area 310 and the light source 100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220 for guid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ens area 320 to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at least one light inciden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00 for guiding the third lens area 330. 3 light guide parts 230 may be included.

특히, 제1 광 가이드부(2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광 가이드부(220) 및 제3 광 가이드부(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 units 210 may be provided, and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light guide unit 220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230 .

이에 따라, 복수의 광원(100)도 복수의 제1 광 가이드부(210)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광원(110),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220)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120),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230)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광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110)과 제2 광원(120) 및 제3 광원(130)의 광축은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광원(100) 중 적어도 하나의 광축(Ax2)은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also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 parts 210 and at least one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220. It may include two light sources 120 and at least one third light source 130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230 . At this time, the optical axes of the first light source 110, the second light source 120, and the third light source 130 may be formed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10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as shown in FIG. At least one optical axis Ax2 of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00 may be formed to cross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

여기서 복수의 제1 광 가이드부(210)는 제1 렌즈 영역(3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 광 가이드부(220)는 제2 렌즈 영역(32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3 광 가이드부(230)는 제3 렌즈 영역(3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 units 210 are located behind the first lens area 310, the second light guide unit 220 is located behind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230 may be located behind the third lens area 330 .

또한, 복수의 제1 가이드부(210) 중 적어도 하나의 출사면(212)은 출사 된 광이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후방 초점(P1)을 지나도록 제1 렌즈 영역(310)으로 출사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emitting surface 212 of the plurality of first guide parts 210 has a first lens area 310 so that the emitted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rear focal point P1 of the first lens area 310. It may be formed inclined so as to emit.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광원(110) 중 적어도 하나의 광축이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될 경우, 이 제1 광원(110)에 대응되는 제1 광 가이드부(210)의 출사면(212) 중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 근접한 일측 영역이 타측 영역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출사면(212)이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when the optical axi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0 does not intersect with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the first light source ( Among the exit surfaces 212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210 corresponding to 110), the exit surface 212 is positioned so that one side area close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other side area. It can be formed inclined.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복수의 제1 광원(110)에서 발생한 제1 광(L1)은 복수의 제1 광 가이드부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의 제1 후방 초점(P1)을 지나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입사면(312)에 입사되고 제1 출사면(314)에서 평행광으로 출사되어 빔 패턴의 집광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light L1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0 of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the first rear side of the first lens area by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s. After passing through the focal point P1, light is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2 of the first lens region 310 and emitted as parallel light from the first emission surface 314 to form a condensing area of a beam pattern.

또한, 제2 광원(120)에서 발생한 제2 광(L1)은 제2 광 가이드부에 의하여 제2 렌즈 영역(320)의 제2 입사면(322)에 입사되고 다시 제2 출사면(324)에서 출사 된다. 다만, 제2 광(L2)은 제2 렌즈 영역(320)의 제2 후방 초점(P2)을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제2 출사면(324)의 형상에 따라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 방향으로 굴절됨으로써, 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ight L1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120 is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of the second lens area 320 by the second light guide unit, and is then returned to the second exit surface 324. is released from However, since the second light L2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back focal point P2 of the second lens region 320,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region 310 ( By being refracted in the Ax1) direction, a diffusion region of the beam pattern is formed.

마찬가지로 제3 광원(130)에서 발생한 제3 광(L3)은 제3 광 가이드부(230)에 의하여 제3 렌즈 영역(330)의 제3 입사면(332)에 입사되고 다시 제3 출사면(334)에서 출사 된다. 이때에도 제3 광(L3)은 제3 렌즈 영역(320)의 제3 후방 초점(P3)을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제3 출사면(334)의 형상에 따라 제1 렌즈 영역(330)의 광축(Ax1) 방향으로 굴절되어 제2 광(L2)과 같이 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한다.Similarly, the third light L3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130 is incident on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of the third lens area 330 by the third light guide unit 230, and is then returned to the third exit surface ( 334). Even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light L3 does not pass through the third back focal point P3 of the third lens area 320,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area 330 ( It is refracted in the Ax1) direction to form a diffusion region of the beam pattern like the second light L2.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하나의 렌즈부에 의하여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a beam pattern can be efficiently formed by one lens unit of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beam pattern may be formed as a low beam pattern,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는 내측면을 복수의 반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반사면은 타원형 반사면 및 원형 반사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n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and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n elliptical reflective surface and a circular reflective surface.

구체적으로 제1 광 가이드부(210)의 복수의 반사면은 제1 광원(110)에서 발생하는 광을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후방 초점(P1)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타원형 반사면이 포함될 수 있고, 제2 광 가이드부(220)와 제3 광 가이드부(230)에서 전달되는 광은 제2 초점(P2)과 제3 초점(P3)을 지나기지 않으므로 제2 광 가이드부(220)와 제3 광 가이드부(230)의 복수의 반사면은 원형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of the first light guide unit 210 are elliptical reflective surfaces to reflect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to the first back focus P1 of the first lens area 310. Since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ight guide unit 220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230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focal point P2 and the third focal point P3, the second light guide unit 220 ) and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of the third light guide unit 230 may include circular reflective surfac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 광 가이드부(220)와 제3 광 가이드부(230)의 내측면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은 타원형 반사면 외에도 광을 효율적으로 제2 입사면(322)과 제3 입사면(332)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원형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second light guide unit 220 and the third light guide unit 230 efficiently transmit light in addition to the elliptical reflection surface to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A circular reflective surface may be included to reflect the surface 332 .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렌즈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구면 렌즈를 수직방향으로 잘라낸 복수의 형상을 연결한 것으로 외부에서 이를 관찰하였을 때, 이 자른 형상에 의하여 심미성은 물론 각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광의 효율을 떨어트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ns part of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lurality of shapes obtained by cutting an aspherical le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cut shape improves aesthetics as well as each shape. The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emitting surface may be reduced.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는 이를 해결하고자 렌즈부(300)를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하고,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광학 특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입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과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입사면과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vehicle lamp 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lens unit 300 with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and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reas have different optics. It can be formed to have a specific.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other incident surfaces.

즉, 제1 렌즈 영역(310)이 제2 렌즈 영역(320)과 제3 렌즈 영역(330)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제1 출사면(314)과 제2 출사면(324)과 제3 출사면(334)이 하나의 출사면으로 형성하여 차량용 램프의 심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irst lens area 310 is form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lens area 330 so that the first exit surface 314 and the second exit surface 324 and the second lens area 324 are formed. 3 exit surface 334 can be formed as one exit surface to increase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lamp.

도 4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영역(310)이 제2 렌즈 영역(320)과 제3 렌즈 영역(330)보다 전방에 위치하므로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후방 초점(P1)은 제2 렌즈 영역(320)의 후방 초점(P2)과 제3 렌즈 영역(330)의 제3 후방 초점(P3)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쉴드부(410)도 제2 쉴드부(420)과 제3 쉴드부(430)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일부도 제1 후방 초점(P1)에 따라 다른 광원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광원(110)이 제2 광원(120)과 제3 광원(13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lens area 3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lens area 330, the first rear side of the first lens area 310 Since the focal point P1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ar focal point P2 of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rear focal point P3 of the third lens area 330, the first shield unit 410 also has a second focal point P2. I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hield part 420 and the third shield part 430 .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other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first rear focal point P1.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light source 120 and the third light source 130 .

다만, 이 경우, 복수의 광원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존재하기 어렵고, 제1 렌즈 영역(310)이 제2 렌즈 영역(320)과 제3 렌즈 영역(330)보다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차량용 램프 전체의 부피가 커져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exist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and since the first lens area 3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lens area 330, the vehicle lamp The overall volume increases, which can result in high costs.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방 초점(P2)과 제3 후방 초점(P3)을 제1 후방 초점(P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기 위하여 제2 입사면(322)과 제3 입사면(332)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third incident incident surface 322 are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posterior focal point P1. The shape of the surface 332 may be modified.

구체적으로, 제2 입사면(322)과 제3 입사면(332)은 복수의 쉴드부(400) 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률지도록 형성하여, 제2 렌즈 영역(320)의 제2 후방 초점(P2)과 제3 렌즈 영역(330)의 제3 후방 초점(P3)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are formed to be convexly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hield units 400, so that the second rear focal point P2 of the second lens region 320 is formed. and the third rear focal point P3 of the third lens area 330 may be moved forward.

즉,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후방 초점(P1)과 제2 렌즈 영역(320)의 제2 후방 초점(P2)과 제3 렌즈 영역(330)의 제3 후방 초점(P3)은 제2 입사면(322)과 제3 입사면(324)의 형상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의 광축(Ax1)에 수직한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후방 초점(P2)과 제3 후방 초점(P3)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입사면(322)과 제3 입사면(332)의 형상 외에도 제2 렌즈 영역(310)과 제3 렌즈 영역(320)의 두께 또는 각 출사면의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irst rear focal point P1 of the first lens area 310, the second rear focal point P2 of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rear focal point P3 of the third lens area 330 are Depending on the shapes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24, they may be position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shapes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the second lens area 310 and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re used to move the second and third rear focal points P2 and P3 forward. 3 The thickness of the lens area 320 or the curvature of each exit surface may be changed.

또한, 제2 쉴드부(420)와 제3 쉴드부(430)과 제1 쉴드부(410)도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에 수직한 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광원(100)도 제1 후방 초점(P1)과 제2 후방 초점(P2)과 제3 후방 초점(P3)에 위치에 따라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hield unit 420, the third shield unit 430, and the first shield unit 410 may also be position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and a plurality of The light source 100 is also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rear focal point P1, the second rear focal point P2, and the third rear focal point P3. It can b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의 제2 입사면(322)과 제3 입사면(332)의 형상을 복수의 쉴드부(400)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로 형성하여 복수의 광원(100)이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0)에 나열될 수 있고, 전체적인 차량용 램프의 부피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램프 설계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빔 패턴을 형성하며, 심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hap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of the vehicle lamp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nvex curvature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hield parts 400 to form a plurality of Since the light source 100 of can be arranged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and the overall volume of the vehicle lamp can be reduced, the lamp design cost can be reduced, an efficient beam pattern can be formed, and aesthetics can be increased.

도 6은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4)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4 according to fou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복수의 광원(100),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 복수의 쉴드부(400), 렌즈부(300)를 포함하되, 제2 렌즈 영역(320)의 제2 입사면(322)과 제3 렌즈 영역(330)의 제3 입사면(332)은 전방으로 오목하게 곡률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and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hield units 400 and the lens unit 300 are included, but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of the second lens area 320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of the third lens area 330 are forward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concavely curvature.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광 가이드부(210)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입사면(312)에 입사된 제1 광(L1)은 빔 패턴의 집광 영역을 형성하고, 제2 광 가이드에 의하여 제2 렌즈 영역에 입사된 제4 광(L4)은 제2 입사면(322)의 오목한 형상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굴절되어 제2 출사면(324)에서 출사되므로 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하고, 제3 광 가이드(230)에 의하여 제3 렌즈 영역(330)에 입사된 제5 광(L5)은 제3 입사면(332)의 오목한 형상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의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굴절되어 제3 출사면(334)에서 출사되므로 제4 광(L4)과 같이 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light L1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2 of the first lens area 310 by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 units 210 forms a condensing area of a beam pattern, The fourth light L4 incident to the second lens area by the light guide is refracted by the concave shap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so that the distance away from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increases. and is emitted from the second exit surface 324 to form a diffusion area of the beam pattern, and the fifth light L5 incident on the third lens area 330 by the third light guide 230 is the third incident surface. By the concave shape of 332, the first lens area 310 is refracted so that the distance away from the optical axis Ax1 is increased and emitted from the third emitting surface 334, so that the beam pattern is similar to that of the fourth light L4. It is possible to form a diffusion region of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출사면(324)에 출사되는 제1 경로(L4a)와 제1 렌즈 영역의 광축(Ax1)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d)는 제2 입사면에 입사되는 제2 경로(L2b)와 제1 렌즈 영역의 광축에 팽행 선과 이루는 각도(c)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2 출사면(324)에서 출사되는 제4 광(L4)의 경로는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 이격되는 거리가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an angle d formed between the first path L4a emitted from the second exit surface 324 and a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is Since the second path L2b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angle c formed with the parallel line of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region are formed larger than the path of the fourth light L4 emitted from the second exit surface 324, the path of the fourth light L4 emitted from the second exit surface 324 The distance away from the optical axis Ax1 of the 1 lens area 310 may gradually increase.

또한, 광학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은 광을 발산시키고 볼록한 형상은 광을 수렴하므로, 제2 입사면과 제3 입사면의 오목한 형상에 의하여 굴절되는 광은 제2 출사면과 제3 출사면에서 출사 시 제2 출사면과 제3 출사면의 볼록한 형상에 의하여 빔 패턴에 맞게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oncave shape diverges light and a convex shape converges light in optics, the light refracted by the concave shapes of the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is emitted from the second and third exit surfaces. The beam pattern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vex shapes of the second and third exit surfaces.

도 7은 본 발명의 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5)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vehicle lamp 5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해보면, 발명의 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5)는 전술한 복수의 광원(100),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 복수의 쉴드부(400), 렌즈부(300)를 포함하되, 복수의 광 가이드부(200)는 복수의 제1 광원(110)에서 입사된 광을 제1 렌즈 영역(310)으로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 가이드부(210), 제2 광원(120)에서 입사된 광을 상기 제3 렌즈 영역(310)으로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220)와 제3 광원(130)에서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렌즈 영역(320)으로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vehicle lamp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light sources 100 and a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2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shield parts 400 and a lens part 300, but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parts 200 guide light inciden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0 to the first lens area 310 at least.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220 and a third light source 130 for guiding light incident from one first light guide part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20 to the third lens area 310 )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220 for guiding the incident light to the second lens area 320 .

이에 따라, 제1 광 가이드부(310)에서 출사된 제1 광(L1)은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후방 초점(P1)을 지나 제1 렌즈 영역(310)에 입사 및 출사되고, 제2 광 가이드부(220)에서 출사된 제7 광(L7)은 제1 후방 초점(P1)보다 전방에 위치한 제4 초점(P4)을 지나 제3 렌즈 영역(330)에 입사 및 출사되고. 제3 광 가이드부(230)에서 출사된 제 6광(L6)은 제4 초점(P4)을 지나 제2 렌즈 영역(320)에 입사 및 출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light L1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guide unit 310 passes through the first rear focal point P1 of the first lens region 310 and is incident on and emitted from the first lens region 310. , The seventh light L7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guide unit 220 passes through the fourth focal point P4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rear focal point P1 and is incident on and emitted from the third lens area 330. . The sixth light L6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guide unit 230 may pass through the fourth focal point P4 and be incident to and emitted from the second lens area 320 .

또한, 제2 입사면과 제3 입사면은 전방으로 오목하게 곡률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may be formed to be concavely curved forward.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광 가이드부(210)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310)의 제1 입사면(312)에 입사된 제1 광(L1)은 빔 패턴의 집광 영역을 형성하고, 제2 광 가이드(220)에 의하여 제3 렌즈 영역(310)의 제3 입사면(332)에 입사된 제7 광(L7)은 제3 입사면(332)의 오목한 형상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굴절되어 제3 출사면(334)에서 출사되므로, 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하고, 제3 광 가이드(230)에 의하여 제2 렌즈 영역(320)에 입사된 제6 광(L6)은 제2 입사면(322)의 오목한 형상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과의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굴절되어 제2 출사면(324)에서 출사되므로, 제 7광과 같이 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light L1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2 of the first lens region 310 by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 units 210 forms a condensing region of a beam pattern, and The seventh light L7 incident on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of the third lens area 310 by the light guide 22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lens area 310 by the concave shape of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 is refracted so that the distance away from the optical axis Ax1 increases and is emitted from the third exit surface 334, forming a diffusion area of the beam pattern, and the second lens area 320 by the third light guide 230 ) The sixth light L6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is refracted by the concave shap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so that the distance away from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region 310 increases, and the second exit surface ( 324), it is possible to form a diffusion region of a beam pattern like the seventh light.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출사면(324)에 출사되는 제6 경로(L6a)와 제1 렌즈 영역(310)의 광축(Ax1)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d)는 제2 입사면(322)에 입사되는 제6 경로(L6b)와 제1 렌즈 영역(3)의 광축(Ax1)에 팽행한 선과 이루는 각도(d)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2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4 광(L4)의 경로는 제1 렌즈 영역의 광축과 이격되는 거리가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an angle d formed between the sixth path L6a emitted from the second exit surface 324 and a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area 310 is is larger than the angle d formed between the sixth path L6b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x1 of the first lens region 3, so that The path of the fourth light L4 may be formed such that a distance away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area gradually increase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입사면(322)과 제3 입사면(332)의 오목한 형상에 의하여 굴절되는 광은 제2 출사면(324)과 제3 출사면(334)에서 출사 시 제2 출사면(324)과 제3 출사면(334)의 볼록한 형상에 의하여 빔 패턴에 맞게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refracted by the concave shapes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2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32 is emitted from the second exit surface 324 and the third exit surface 334. The beam pattern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vex shapes of the second exit surface 324 and the third exit surface 334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5)는 제2 광원(120)에서 발생한 광이 제1 후방 초점(P1) 보다 전방에 있는 제4 초점(P4)을 지나 제3 렌즈 영역(330)에서 입사 및 출사되고, 제3 광원(130)에서 발생한 광이 제4 초점(P4)을 지나 제2 렌즈 영역(320)에 입사되므로 제2 광원(120)과 제3 광원(130)이 복수의 제1 광원(11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어 전체적인 차량용 램프의 크기를 줄이면서 효율적인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vehicle lamp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120 passes through the fourth focal point P4 in front of the first rear focal point P1,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lens area ( 330), and since light generated from the third light source 130 passes through the fourth focal point P4 and is incident to the second lens area 320, the second light source 120 and the third light source 130 Since it can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sources 110, an efficient beam pattern can be formed while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vehicle lamp.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광원 200: 광 가이드부
210: 제1 광 가이드부 220: 제2 광 가이드부
230: 제3 광 가이드부 300: 렌즈부
310: 제1 렌즈 영역 312: 제1 입사면
314: 제1 출사면 320: 제2 렌즈 영역
322: 제2 입사면 324: 제2 출사면
330: 제3 렌즈 영역 332: 제3 입사면
334: 제3 출사면 400: 쉴드부
410: 제1 쉴드부 420: 제2 쉴드부
430: 제3 쉴드부
100: light source 200: light guide unit
210: first light guide part 220: second light guide part
230: third light guide unit 300: lens unit
310: first lens area 312: first incident surface
314: first exit surface 320: second lens area
322: second entrance surface 324: second exit surface
330: third lens area 332: third incident surface
334: third exit surface 400: shield unit
410: first shield part 420: second shield part
430: third shield unit

Claims (14)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에 발생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을 입사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는 렌즈부; 및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가지며,
상기 렌즈부는,
제1 입사면과 제1 출사면을 포함하는 제1 렌즈 영역;
제2 입사면과 제2 출사면을 포함하는 제2 렌즈 영역; 및
제3 입사면과 제3 출사면을 포함하는 제3 렌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는,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렌즈 영역으로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 가이드부;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렌즈 영역으로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 및
입사된 광을 상기 제3 렌즈 영역으로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 가이드부는, 복수의 제1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출사면은 출사된 광이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제1 후방 초점을 지나 상기 제1 렌즈 영역으로 출사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generating light;
a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for guiding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 lens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and emitting the light forward; and
A shield unit for blocking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The lens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and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reas have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The lens part,
a first lens area including a first incident surface and a first exit surface;
a second lens area including a second incident surface and a second exit surface; and
A third lens area including a third incident surface and a third exit surface;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at least one first light guide unit guiding the incident light to the first lens area;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for guiding the incident light to the second lens area; and
and at least one third light guide unit for guiding incident light to the third lens area,
The at least one first light gui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 units,
The vehicular lamp of claim 1 , wherein at least one exit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guide parts is inclined so that emitted light passes through a first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area and exits to the first lens are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영역에서 출사된 광은 빔 패턴의 집광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렌즈 영역 및 상기 제3 렌즈 영역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area forms a condensing area of a beam pattern,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ens area and the third lens area forms a diffusion area of the beam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영역은 상기 제2 렌즈 영역과 상기 제3 렌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ens area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lens area and the third lens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2 입사면 및 상기 제3 입사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cident surface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제1 후방 초점은 상기 제1 입사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렌즈 영역의 제2 후방 초점과 상기 제3 렌즈 영역의 제3 후방 초점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후방 초점에 따라 다른 광원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area is located forward of the second rear focal point of the second lens area and the third rear focal point of the third lens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positioned ahead of other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first rear focal poi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면과 상기 제3 입사면은 상기 복수의 쉴드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제1 후방 초점과 상기 제2 렌즈 영역의 제2 후방 초점과 상기 제3 렌즈 영역의 제3 후방 초점은 상기 제2 입사면과 상기 제3 입사면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광축에 수직한 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제1 후방 초점과 상기 제2 후방 초점과 상기 제3 후방 초점에 위치에 의하여 제1 렌즈 영역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열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are convexly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hield parts,
The first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area, the second rear focal point of the second lens area, and the third rear focal point of the third lens area are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1 locat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area,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lig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of a first lens area according to positions at the first rear focal point, the second rear focal point, and the third rear focal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부는 내측면에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타원형 반사면 및 원형 반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light guide units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on inner surfaces,
The plurality of reflective surfaces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liptical reflective surface and a circular reflective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면 및 상기 제3 입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에 출사된 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제2 입사면과 제3 입사면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광축과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굴절되어 제2 출사면과 제3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are formed concave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third light guide part are separated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area by the shap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A vehicle lamp that is refracted so that a distance of is emitted from the second exit surface and the third exi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쉴드부는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쉴드부;
상기 제2 렌즈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쉴드부;
상기 제3 렌즈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제1 후방 초점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쉴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2 렌즈 영역의 제2 후방 초점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3 쉴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2 렌즈 영역의 제3 후방 초점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hield parts
a first shield unit positioned behind the first lens area;
a second shield unit positioned behind the second lens area;
A third shield unit positioned behind the third lens area;
The position of the first shield part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first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area;
The position of the second shield part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rear focal point of the second lens area,
A position of the third shield part is determined by a position of a third rear focal point of the second lens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제1 후방 초점을 지나 상기 제1 입사면에 입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광 가이드부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제1 후방 초점보다 전방에 위치한 제4 초점을 지나 상기 제2 렌즈 영역과 제3 렌즈 영역에 입사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first light guide part passes through a first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area and is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and the at least one third light guide part passes through a fourth focal point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rear focal point and enters the second lens area and the third lens area. car lam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면과 상기 제3 입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광 가이드부에서 전달되어 상기 제2 입사면에 입사된 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광 가이드부에서 전달되어 상기 제3 입사면에 입사된 광은 상기 제2 입사면의 형상과 상기 제3 입사면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제1 렌즈 영역의 광축과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굴절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are concavely formed,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third light guide part and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second light guide part and incident on the third incident surface are A lamp for a vehicle that is refracted such that a distance separated from an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region increases according to a shape and a shape of the third incident surface.
KR1020170184577A 2017-12-29 2017-12-29 lamp for vehicle KR102475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77A KR102475706B1 (en) 2017-12-29 2017-12-29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77A KR102475706B1 (en) 2017-12-29 2017-12-29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95A KR20190081795A (en) 2019-07-09
KR102475706B1 true KR102475706B1 (en) 2022-12-08

Family

ID=6726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77A KR102475706B1 (en) 2017-12-29 2017-12-29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7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568140U (en) * 2019-07-11 2020-05-19 浙江百康光学股份有限公司 Double-light lens module, automobile headlamp and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590A (en) 2003-12-05 2005-06-23 Koito Mfg Co Ltd Vehicular headlamp
JP5146214B2 (en) 2008-09-17 2013-02-20 市光工業株式会社 Vehicle lighting
JP6203174B2 (en) * 2012-06-05 2017-09-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Vehicle ligh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572A (en) * 2012-11-29 2014-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lamp having aspherical len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557112B1 (en) 2014-04-22 2015-10-02 에스엘 주식회사 Lamp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590A (en) 2003-12-05 2005-06-23 Koito Mfg Co Ltd Vehicular headlamp
JP5146214B2 (en) 2008-09-17 2013-02-20 市光工業株式会社 Vehicle lighting
JP6203174B2 (en) * 2012-06-05 2017-09-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Vehicle l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95A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8958B (en) Vehicle lamp
KR20190064090A (en) Lamp for vehicle
KR102470446B1 (en) Lamp for vehicle
KR20190081690A (en) A lamp for vehicle
KR20220052025A (en) Lamp for vehicle
KR20200068247A (en) lamp for vehicle
KR102405443B1 (en) Lamp for vehicle
KR102475706B1 (en) lamp for vehicle
KR102405441B1 (en) Lamp for vehicle
KR20150048353A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KR102463275B1 (en) Lamp for vehicle
KR102421071B1 (en) Lamp for vehicle
KR102475703B1 (en) lamp for vehicle
KR102178817B1 (en) Lamp for vehicle
KR102555372B1 (en) Lamp for vehicle
KR20220089401A (en) Lamp for vehicle
KR102439168B1 (en) lamp for vehicle
KR102446505B1 (en) Lamp for vehicle
KR102348905B1 (en) Lamp for vehicle
KR102522911B1 (en) Lamp for vehicle
KR20210000507A (en) Lamp for vehicle
KR20200058127A (en) Lamp for vehicle
KR102409832B1 (en) Lamp for vehicle
KR102673137B1 (en) Lamp of vehicle
KR102446507B1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