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443B1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443B1
KR102405443B1 KR1020170111542A KR20170111542A KR102405443B1 KR 102405443 B1 KR102405443 B1 KR 102405443B1 KR 1020170111542 A KR1020170111542 A KR 1020170111542A KR 20170111542 A KR20170111542 A KR 20170111542A KR 102405443 B1 KR102405443 B1 KR 10240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ens
light
lamp module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5206A (en
Inventor
강다일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443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 모듈은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1 광축을 가지는 제1 렌즈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1 광원 유닛;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2 광축을 가지는 제2 렌즈와,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2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2 광원 유닛; 및 상기 제1 광원 유닛 및 제2 광원 유닛의 전방에 공통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에서 투과된 광이 입사되어 차량 전방에 노면 패턴을 조사하며, 중심축을 가지는 투광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광축 또는 제2 광축은 투광렌즈의 중심축과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정렬될 수 있다.In th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lamp module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a first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first optical axis, and a first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a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first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light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ens; A second light source, a second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second optical axis,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second lens a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nd a translucent lens disposed in common in front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s incident to irradiate a road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and having a central axis. Including, but the first optical axis or the second optical axis may be aligned so as not to intersect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렌즈가 배치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ead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are disposed in a light propagation direction.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를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a head lamp and a fog lamp mainly for the purpose of a lighting function, and a turn signal lamp, a tail lamp, and a brake for the purpose of a signal function It is equipped with a brake lamp, a side marker, and the like, and the installation standards and standards for these vehicle lamps are regulated by laws and regulations to fully exhibit each function.

차량용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Among the vehicle lamps, the head lamp forms a low beam pattern or a high beam pattern so that the driver's front view is secur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in a dark environment such as at night,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afe driving. is doing

이러한 헤드 램프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유발을 예방하도록 평상 시에는 주로 로우 빔 패턴을 유지하고, 고속 주행 시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곳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These headlamps usually maintain a low beam pattern to prevent glare to a driver of an oncoming vehicle or a driver of a preceding vehicle trave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ly, a high beam pattern is formed to promote safe driving.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headlamps and fog lamps mainly for the purpose of lighting functions, and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brake lamps, and side markers for the purpose of signal functions are provided, and these vehicle lamps are In order to fully demonstrate each function, the installation standards and standards are prescribed by laws and regulations.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Among vehicle lamps, headlamps that form a low-beam pattern or a high-beam pattern so as to secure a driver's front view when driving at night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safe driving.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광원 모듈, 실드 부재 및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nventional vehicle lamp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source module, a shield member, and a lens.

광원 모듈은 광을 발광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반사시켜 렌즈 쪽으로 조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ght source module includes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and a reflector that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irradiates it toward the lens.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리플렉터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고,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은 실드 부재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면서 렌즈를 통해 투사되며, 실드 부재에 의해 차단된 광은 상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투사됨으로써,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forward by the reflector,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is projected through the lens while at least a part is blocked by the shield member, and the light blocked by the shield member is reflect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being projected, a low beam pattern is formed.

한국공개특허 제2015-0052638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05263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램프 모듈이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in which a plurality of lamp modules are disposed.

특히, 차량용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유닛을 하나로 인식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vehicle lamp module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capable of recogniz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s on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 모듈은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1 광축을 가지는 제1 렌즈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1 광원 유닛;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2 광축을 가지는 제2 렌즈와,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2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2 광원 유닛; 및 상기 제1 광원 유닛 및 제2 광원 유닛의 전방에 공통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에서 투과된 광이 입사되어 차량 전방에 노면 패턴을 조사하며, 중심축을 가지는 투광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광축 또는 제2 광축은 투광렌즈의 중심축과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정렬될 수 있다.In th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lamp module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a first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first optical axis, and a first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a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first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light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ens; A second light source, a second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second optical axis,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second lens a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nd a translucent lens disposed in common in front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s incident to irradiate a road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and having a central axis. Including, but the first optical axis or the second optical axis may be aligned so as not to intersect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하면, 광 진행 방향에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렌즈를 사용함에 따라 효율적인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icient beam pattern can be formed by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the light propagation direction.

또한, 복수의 광원 전방에 투광 렌즈를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광원 유닛이 하나로 인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disposing the light-transmitting lens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can be recognized as on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상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투광렌즈를 수직 및 수평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복수의 렌즈에 의하여 형성되는 광 경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에 의하여 형성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모듈의 측단면도에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싱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램프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램프 모듈이 차량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 유닛에서 조사되는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sections of a light-transmitting len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formed by a plurality of conventional lense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formed by a plurality of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light path in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light path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light path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path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beam patter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 plurality of lamp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plurality of lamp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14 is a view illustrating a beam pattern irradiat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includes and/or comprising means not excluding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use it a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cross-sectional, side, and/or schematic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hicle lamp module and vehicle head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illustrative drawings.

도 1은 차량용 램프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amp module for a vehicle, FIG. 2 is a top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유닛을 포함한다.1 to 3 ,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복수의 광원 유닛은 제1 광원 유닛(100) 및 제2 광원 유닛(200)을 포함하며, 각각의 광원 유닛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includ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 and each light source unit is configured as follows.

제1 광원 유닛(100)은 제1 광원(110), 제1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1 광축(Ax1)을 포함하는 제1 렌즈(140) 및 제1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렌즈(140) 내부로 입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 광학 요소(120)로 구성된다.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110 , a first lens 140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transmitted, and a first light source 110 including a first optical axis Ax1 . It is composed of a first optical element 120 that controls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140 can be incident into the interior.

제2 광원 유닛(200)은 제2 광원(210), 제2 광원(2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2 광축(Ax2)을 포함하는 제2 렌즈(240) 및 제2 광원(2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렌즈(240) 내부로 입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 광학 요소(220)로 구성된다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210 , a second lens 240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10 is transmitted, and a second light source 210 including a second optical axis Ax2 . It is composed of a second optical element 220 that control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ens 240 to be incident into the interior.

또한,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유닛 전방에 공통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광원 유닛에서 투과된 광이 입사되고 출사됨으로써, 차량 전방의 노면 상에 빔 패턴을 형성하고, 기하학적 축인 중심축(Ax)을 포함하는 투광 렌즈를 포함하며, 제1 광축(Ax1) 또는 제2 광축(Ax2)은 투광렌즈의 중심축(Ax)과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정렬된다. In addition, the vehicle lamp module is disposed in common in front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nd the light transmitted from each light source unit is incident and emitted, thereby forming a beam pattern on the road surfac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geometric axis of the central axis (Ax) ), wherein the first optical axis Ax1 or the second optical axis Ax2 are aligned so as not to intersect the central axis Ax of the light transmitting le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로우빔 및 하이빔 등 메인 빔 패턴을 형성하면서도 슬림하고 소형화된 램프 모듈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는 사이즈가 대략 가로 20mm, 세로 20mm의 크기로 형성되므로 메인 빔 패턴을 만족하는 광 성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복수의 유닛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만약, 하나의 광학 유닛으로 메인 빔 패턴을 형성한다면 광원은 고광도의 광량이 사용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광학계 전체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방열도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모듈은 소형화된 복수의 광원 유닛을 사용하여 메인 빔 패턴을 만족하는 광 성능을 가지면서도 방열성이 우수하고 디자인 적으로도 우수한 소형화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a slim and miniaturized lamp module while forming a main beam pattern such as a low beam and a high beam, and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ize of approximately 20 mm in width and 20 mm in length, so it is inevitable to use a plurality of units to have optical performance that satisfies the main beam pattern. If the main beam pattern is formed with one optical unit, the light source needs to use a high luminous intensity, and accordingly,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enlarged and heat dissipation is difficult. However,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miniaturized module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and excellent design while having light performance satisfying the main beam pattern by using a plurality of miniaturized light source uni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전방에 투광 렌즈(710)를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광원 유닛이 하나로 인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광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can be recognized as one by disposing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can control the light more efficiently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제1 광축(Ax1) 또는 제2 광축(Ax2)은 투광 렌즈의 중심축(Ax)과 어느 한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집광패턴 및 확산패턴을 가장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에서 볼 때 발광면이 균일하여 점등이미지를 향상시키며, 광이 어느 한 위치에 집광되어 열에 의해 광학계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tical axis (Ax1) or the second optical axis (Ax2) is formed so as not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t any one point with the central axis (Ax)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so that the light collecting pattern and The diffusion pattern can be formed most efficiently,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light emitting surface is uniform to improve the lighting imag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ptical system from being damaged by heat because the light is condensed at a certain location.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 유닛이 상기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 유닛은 제1 렌즈(140) 또는 제2 렌즈(240)의 후방 초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제1 광원 유닛(100)과 제2 광원 유닛(200)이 각각 제1 쉴드(130) 및 제2 쉴드(230)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차량의 형태에 따라 이러한 쉴드는 초정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lamp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of the first lens 140 and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of the second lens 240 is the first lens 140 or the second lens 240 . It further includes a shield formed extending from the rear focal point.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at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include a first shield 130 and a second shield 230 , respectively.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vehicle, such a shield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hull.

제1 쉴드(130) 및 제2 쉴드(230)는 각각 전단부에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컷오프 형성부가 위치하며, 컷오프 형성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반사부를 가진다. 이 때, 제1 쉴드(130)의 반사부는 제2 쉴드(230)의 반사부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shield 130 and the second shield 230 each have a cut-off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 cut-off line positioned at a front end thereof, and a reflecting portion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cut-off forming portion. In this case, the reflective portion of the first shield 13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reflective portion of the second shield 23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각각의 광학 유닛이 쉴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광학 유닛에서 형성되는 빔 패턴이 중첩되어 로우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광학 유닛(100)은 로우빔에서 고광도 영역을 조사하며, 제2 광학 유닛(200)은 확산 영역을 조사한다. 따라서, 제1 광학 유닛(100)에서 조사되는 광량이 높을수록 효율이 좋으므로, 쉴드 반사부의 면적이 넓을수록 광 효율이 좋은 것은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빔 패턴은 국가마다 배광을 만족하는 기준이 상이하므로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팟 모듈의 광효율이 높은 것만이 장점이라고 할 수 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모듈은 쉴드의 반사부 면적 조절을 통해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ptical unit includes a shield, beam patterns formed from a plurality of optical units may overlap to form a low beam. In this case, the first optical unit 100 irradiates the high luminance region in the low beam, and the second optical unit 200 irradiates the diffusion region. Accordingly, since the higher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optical unit 100, the better the efficiency.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larger the area of the shield reflecting unit is, the better the light efficiency is. However, since the beam pattern has different standards for satisfying light distribution in each country, it cannot be said that only the high light efficiency of the spot module is an advantage for common use. Therefore,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ntrolling it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reflection part of the shiel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투광렌즈(710) 를 포함하며, 투광렌즈(710)는 도 3의 측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 모듈의 A-A 수직단면 상에서 차량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곡률을 형성하며, 차량용 램프 모듈의 B-B 수평단면 상에서 차량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곡률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광렌즈(710)는 전방에서 복수의 램프 유닛이 하나의 곡면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면서 광학 기능을 만족한다. 여기서 도 3(a)는 B-B 수평단면된 투광렌즈(7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A-A 수직단면된 투광렌즈(710)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lens 710,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is convex to the front of the vehicle on the A-A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vehicle lamp modul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side view of FIG. The curvature is formed to have a shape, and the curvature is formed to have a convex shape in the front of the vehicle on the B-B horizontal section of th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ly,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optical function while allowing a plurality of lamp units to be recognized as one curved surface from the front. Here, Fig. 3 (a) is a view showing the translucent lens 710 of B-B horizontal section, and Fig. 3 (b) is a view showing the translucent lens 710 of A-A vertical section.

또한,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는 입사면 및 출사면을 포함하는 볼록렌즈로 형성되며, 제1 렌즈(140)는 제1 광축(Ax1)을 기준으로 출사면의 곡률이 비대칭을 이룬다. 이는, 제1 렌즈(140)에서 출사되고 투광렌즈에서 입사된 광이 투광렌즈에서 출사될 때, 평행광을 이루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240 are formed of a convex lens including an incident surface and an exit surface, and the first lens 140 has a curvature of the exit surface based on the first optical axis Ax1. This asymmetry This is to achieve parallel light whe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140 and incident from the light-transmitting lens is emitted from the light-transmitting lens.

또한, 제2 렌즈(240)의 출사면은 투광렌즈의 기하학적인 축인 중심축(Ax3)을 기준으로 제1 렌즈(140)의 출사면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xit surface of the second lens 240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exit surface of the first lens 14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x3, which is a geometric axis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모듈을 구성하는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와 투광렌즈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며, 이를 통해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와 투광렌즈 사이의 광학적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임으로 도 4 및 도 5에 기재된 복수의 광 경로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의하여 발생되는 광 경로가 아니다.4 and 5 are schematic views of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240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constituting the vehicle lamp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An optical correlation between (240)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can be seen. Accordingly, FIGS. 4 and 5 are for explaining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len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urality of light paths described in FIGS. 4 and 5 are substantially generated by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an optical path that becomes

도 4는 종래의 제1 렌즈(800a) 및 종래의 제2 렌즈(240) 투광렌즈의 광축(Ax3)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룰 때 종래의 제1 렌즈(800a) 및 종래의 제2 렌즈(800b)와 투광렌즈 사이의 광학적 상관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제1 렌즈(140)의 출사면이 비대칭인 렌즈이며, 제2 렌즈(240)의 출사면이 투광 렌즈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때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와 투광 렌즈 사이의 광학적 상관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conventional first lens 800a and a conventional second lens 800b when the conventional first lens 800a and the conventional second lens 240 are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Ax3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are schematically shown, and FIG. 5 is a lens in which the exit surface of the first lens 140 is asymmetrical, and the exit surface of the second lens 240 is the central axis ( Ax)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240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when symmetry is achiev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1 렌즈(800a) 및 종래의 제2 렌즈(800b)가 광축(Ax1, Ax2)을 중심으로 대칭인 비구면 렌즈로 구성되어 평행광을 출사하게되고, 이러한 평행광이 투광 렌즈에 입사 및 출사되어 광 빔이 양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광 빔들은 메인빔 패턴을 형성하기에 부적합하므로,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는 광축(Ax1, Ax2)을 기준으로 출사면의 곡률이 비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 각각의 광축을 기준으로 출사면의 곡률이 비대칭으로 형성될 때, 제1 렌즈(140)의 출사면은 제1 광축(Ax1)을 중심으로 차량용 램프 모듈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표면(142)과, 차량용 램프 모듈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표면(144)을 포함하며, 제1 표면(142)의 곡률이 제2 표면(144)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광 렌즈(710)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광 빔이 더욱 확산되기 때문이다. 즉, 제1 표면(142)의 곡률을 제2 표면(144)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 표면(142)에서 출사되는 광(L1)이 제1 광축(Ax1) 측으로 편향되도록하여 투광 렌즈(710)에 입사시킴으로써 투광렌즈에서 출사되는 광(L2)은 평행광을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 the conventional first lens 800a and the conventional second lens 800b are composed of aspherical lenses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es Ax1 and Ax2 to emit parallel light. It can be seen that the parallel light is incident on and emitted from the light-transmitting lens, so that the light beam is diffused in both directions. Since these light beams are not suitable for forming the main beam patter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of the exit surface of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240 is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es Ax1 and Ax2. As such, when the curvature of the exit surface is a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each of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240 , the exit surface of the first lens 140 crosses the first optical axis Ax1 . a first surface 142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lamp module as a center, and a second surface 144 formed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lamp module,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142 is the second surface 144 )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 4 , the light beam is more diffused toward both ends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 That is, by forming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142 to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144 , the light L1 emitted from the first surface 142 is deflected toward the first optical axis Ax1. By being incident on the light transmitting lens 710 , the light L2 e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lens forms parallel light.

제2 렌즈(240)는 투광렌즈(71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제1 렌즈(140)의 출사면이 대칭을 이룸으로써, 제2 렌즈의 출사면은 제2 광축(Ax2)을 중심으로 차량용 모듈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표면(242)과 차량용 램프 모듈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표면(244)을 포함하며, 제1 표면(242)의 곡률이 제2 표면(244)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광 렌즈(710)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광 빔이 더욱 확산되기 때문이다. 즉, 제2 렌즈 제1 표면(240)의 곡률을 제2 표면(244)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 표면(242)에서 출사되는 광이 제2 광축(Ax2) 측으로 편향되도록하여 투광 렌즈(710)에 입사시킴으로써 투광렌즈(710)에서 출사되는 광은 평행광을 형성하게 된다.In the second lens 240 , the exit surface of the first lens 140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x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 so that the exit surface of the second lens crosses the second optical axis Ax2 . a first surface 242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module and a second surface 244 formed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lamp module as a center,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242 is that of the second surface 244 formed larger than the curvature.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beam is more diffused toward both ends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 That is, by forming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240 of the second lens to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244 ,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urface 242 is deflected toward the second optical axis Ax2 to transmit light. By making the lens 710 incid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forms parallel light.

제1 렌즈(140) 및 제2 렌즈(240)의 출사면 곡률은 투광렌즈의 곡률과 연관성을 가지며, 투광렌즈(710)의 수직단면 또는 수평단면의 곡률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The curvature of the exit surfaces of the first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240 is related to the curvature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모듈의 측단면도에 광 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투광렌즈를 투과한 광이 평행하게 출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lamp modul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light path, and shows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lens is emitted in parall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에서 제1 광학 요소(100) 및 제2 광학 요소(200)는 내측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리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4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이 제1 광학 요소 및 제2 광학 요소를 제1 리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40)로 형성한 광학계의 상면도 및 광경로를 도시하고 있다.In th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tical element 100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200 may be formed of a first reflector 120 and a second reflector 240 having a reflective surface formed therein. can 7 to 9 are top views and optical paths of an optical system in which a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rst optical element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by a first reflector 120 and a second reflector 240 is showing

도 7은 제1 리플렉터(120)가 타원을 기조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며, 제2리플렉터(220)가 포물선을 기조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리플렉터(120)는 광을 집광하는 역할을 하는 타원을 기조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1 렌즈(140)의 후방 초점 근방으로 집광하도록 반사하고 집광된 광이 제1 렌즈(140)에 입사된다. 제1 렌즈(140)에서 출사된 광은 투광렌즈로 입사되어 평행광으로 출사됨으로써, 로우빔 패턴에서 고광도 영역을 형성한다.7 illustrates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reflector 120 is formed of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n ellipse,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is formed of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 parabola. Accordingly, the first reflector 120 is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n ellipse serving to condense light, thereby condensing the ligh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to the vicinity of the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140 . The reflected and condensed light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140 .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140 is incident on the light-transmitting lens and is emitted as parallel light, thereby forming a high-intensity region in the low-beam pattern.

반면, 제2 리플렉터(220)는 광을 평행하게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포물선을 기조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이 평행하게 제2 렌즈(240)에 입사되도록 하며, 평행하게 입사된 광은 제2 렌즈(240) 및 투광 렌즈(710)를 통과하면서 서로 교차하는 광 빔을 형성한다. 이러한 광 빔은 로우빔 패턴의 고광도 영역 양측에 형성되는 확산 패턴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flector 220 is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 parabola serving to reflect light in parallel, so that the ligh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incident on the second lens 240 in parallel. The parallel incident light passes through the second lens 240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to form a light beam that intersects with each other. Such a light beam forms a diffusion patter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igh luminance region of the low beam pattern.

도 8은 제1 리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20) 각각이 제1 광축(Ax1) 및 제2 광축(Ax2)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반사면으로 형성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리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20)는 각각 제1 광축(Ax1) 및 제2 광축(Ax2)을 중심으로 차량용 램프 모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면(120a. 220a)과 차량용 램프 모듈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면(120b, 220b)을 포함한다. 제1 반사면(120a, 220a)은 포물선을 기조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며, 제2 반사면(120b, 220b)은 타원을 기조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반사면(120a, 220a) 및 제2 반사면(120b, 220b)은 일체로 형성된다.8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each of the first reflector 12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is formed of reflective surfaces of different shapes with respect to the first optical axis Ax1 and the second optical axis Ax2. will be. Accordingly, the first reflector 12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are first reflective surfaces 120a. 220a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lamp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rst optical axis Ax1 and the second optical axis Ax2, respectively. and second reflective surfaces 120b and 220b disposed inside the vehicle lamp module. The first reflective surfaces 120a and 220a are formed as reflective surfaces based on a parabola,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s 120b and 220b are formed as reflective surfaces based on an ellipse. In additi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s 120a and 220a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s 120b and 220b are integrally formed.

제1 광학 유닛(100)에서 제1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일부는 제1반사면(120a)으로 입사되며, 다른 일부는 제2 반사면(120b)으로 입사된다. 제1 반사면(120a)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1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이 평행하게 반사되어 제1 렌즈(140)에 입사되며, 제1 렌즈(140)의 제1 표면(142)에서 출사될 때, 제1 표면(142)의 곡률에 의해 광을 제1 광축(Ax1) 측으로 편향시키며, 투광렌즈(710)에서 다시 편향되어 고광도 패턴 일측에 형성되는 확산 패턴을 형성한다.A por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n the first optical unit 100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20a, and the other portion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20b.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20a is reflected in parallel from the ligh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and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140 , and is incident on the first surface 142 of the first lens 140 . When emitted, the light is deflected toward the first optical axis Ax1 by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142 , and is deflected again by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to form a diffusion pattern formed on one side of the high-intensity pattern.

또한, 제2 반사면(144)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1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이 제1 렌즈(140)의 후방 초점 부근에 집광되며, 제1 렌즈(140)로 입사되어 제1 렌즈(140)의 제1 표면(142)에서 출사되는 광이 평행광을 형성함으로써, 로우빔 패턴에서 고광도 패턴을 형성한다. In addition, as for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44 , the ligh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condensed near the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140 , and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140 to the first len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urface 142 of 140 forms parallel light, thereby forming a high-intensity pattern in the low-beam pattern.

제2 광학유닛(200)에서 제2 광원(2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일부는 제1 반사면(220a)으로 입사되며, 다른 일부는 제2 반사면(220b)으로 입사된다. 제1 반사면(220a)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2 광원(210)으로부터의 광이 평행하게 반사되어 제2 렌즈(240)에 입사되며, 제2 렌즈(240)의 제1 표면(242)에서 출사될 때, 제1 표면(242)의 곡률에 의해 광을 제2 광축(Ax2) 측으로 편향시키며, 투광렌즈에서 다시 편향되어 고광도 패턴 타측에 확산 패턴을 형성한다.A por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10 in the second optical unit 200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220a, and the other portion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220b.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220a is reflected in parallel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10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lens 240 , and is incident on the first surface 242 of the second lens 240 . When emitted, the light is deflected toward the second optical axis Ax2 by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242, and is deflected again from the light-transmitting lens to form a diffusion pattern on the other side of the high-intensity pattern.

즉, 제1 광학 유닛(100)과 제2 광학 유닛(200)은 제1 반사면(120a, 220a)을 통해 광이 입사되는 방향에 교차한 노면 상에 확산 패턴을 형성하며, 제2 반사면(120b, 220b)을 통해 고광도 패턴을 형성하여 전체적인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optical unit 10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200 form a diffusion pattern on the road surface that intersects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ncident throug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s 120a and 220a,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 high-intensity pattern may be formed through 120b and 220b to form an overall low-beam pattern.

도 9는 제1 레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20) 각가에 형성된 제2 반사면을 타원 및 포물선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리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20) 각각 제2 반사면은 포물선을 기초로하는 반사면과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며,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이 포물선을 기초로하는 반사면보다 제2 반사면 상에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FIG. 9 illustrates a third embodiment in which a reflection surface based on an ellipse and a parabola is formed on the second reflection surface formed on each of the first reflector 12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 Accordingly, the first reflector 120 and the second reflector 220, respectively,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of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 parabola and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n ellipse, and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ellipse is a parabola. It may be positioned forward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than the reflective surface on which it is based.

이에 따라 제1 광학 유닛(100)에서 제1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일부는 제2 반사면(120b)의 타원을 포물선을 기초로하는 반사면에 입사되며, 다른 일부는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으로 입사된다. 포물선을 기초로하는 반사면에 입사되는 광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은 제1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이 평행하게 반사되어 제1 렌즈(140)에 입사되며, 제1 렌즈(140)의 제1 표면(142)에서 출사될 때, 제1 표면(142)의 곡률에 의해 광을 제1 광축(Ax1) 측으로 편향시키며, 투광렌즈(710)에서 다시 편향되어 고광도 패턴 일측에 형성되는 확산 패턴을 형성한다.Accordingly,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n the first optical unit 100 is incident on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parabola of the ellips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20b, and the other part is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ellipse. is entered into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incident on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parabola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140 as the ligh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reflected in parallel, and the first lens 140 is When emitted from the first surface 142, the light is deflected toward the first optical axis Ax1 by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142,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is deflected again to form a diffusion pattern formed on one side of the high-intensity pattern. to form

또한,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에 입사되는 광은 제1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이 제1 렌즈(140)의 후방 초점 부근에 집광되며, 제1 렌즈(140)로 입사되어 제1 렌즈(140)의 제1 표면(142)에서 출사되는 광이 평행광을 형성함으로써, 로우빔 패턴에서 고광도 패턴을 형성한다(타원 및 포물선)In addition, as for the light incident on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ellipse, the ligh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condensed near the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140 , and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140 to the first len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urface 142 of 140 forms parallel light, thereby forming a high-intensity pattern in the low-beam pattern (ellipse and parabola).

제2 광학유닛(200)에서 제2 광원(2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일부는 2 반사면(220b)의 타원 및 포물선을 기초로하는 반사면에 입사되며, 다른 일부는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으로 입사된다. 포물선을 기초로하는 반사면에 입사되는 광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은 제2 광원(210)으로부터의 광이 평행하게 반사되어 제2 렌즈(240)에 입사되며, 제2 렌즈(240)의 제1 표면(242)에서 출사될 때, 제1 표면(242)의 곡률에 의해 광을 제2 광축(Ax1) 측으로 편향시키며, 투광렌즈(710)에서 다시 편향되어 고광도 패턴 일측에 형성되는 확산 패턴을 형성한다.Part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10 in the second optical unit 200 is incident on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ellipse and parabola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220b, and the other part is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ellipse. is entered into The light incident on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parabola is incident on the second lens 240 as the ligh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10 is reflected in parallel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lens of the second lens 240 . When emitted from the first surface 242, the light is deflected toward the second optical axis Ax1 due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242, and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is deflected again to form a diffusion pattern formed on one side of the high-intensity pattern. to form

또한,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에 입사되는 광은 제2 광원(210)으로부터의 광이 제2 렌즈(240)의 후방 초점 부근에 집광되며, 제2 렌즈(240)로 입사되어 제2 렌즈(240)의 제1 표면(242)에서 출사된다.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모듈에 따른 제1~3실시예는 서로 다른 형태의 반사면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고광도 패턴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for the light incident on the reflective surface based on the ellipse, the ligh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10 is condensed near the rear focal point of the second lens 240 ,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lens 240 to the second lens. It is emitted from the first surface 242 of 240.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intensity pattern can be more easily formed by using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reflective surfaces. .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광 경로에 따라 나타낸 로우빔 패턴이고, 도 10(b)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광 경로에 따라 나타낸 로우빔 패턴이다.Fig. 10(a) is a low-beam pattern shown along the optical path of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low-beam pattern shown along the optical path of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실시예 2의 빔은 실시예 3보다 스팟 영역(H2)의 범위가 더욱 HV쪽에 형성됨으로써, Max Cd 값이 도 14(b)에 도시된 빔 보다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beam of Example 2 has a spot region H2 wider than that of Example 3 on the HV side, so that the Max Cd value is higher than that of the beam shown in FIG. 14(b) .

또한, 실시예 2의 경우, 최대 광도값(Max Cd): 25959.31을 가지고, 실시예 3의 경우, 최대 광도값(Max Cd): 29604.99을 가지므로 실시예 2가 효율적으로 로우 빔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2, it has a maximum luminous intensity value (Max Cd): 25959.31, and in the case of Example 3, it has a maximum luminous intensity value (Max Cd): 29604.99, so that the low beam is efficiently formed in Example 2 can see.

즉, 제2 반사면(120b, 220b)을 전부 다 타원형 반사면으로 형성할 경우 고광도 영역의 광도가 떨어지고, 확산 영역이 형성이 어려워지므로, 제2 반사면(120b, 220b)과 제2 반사면(120b, 220b)을 포물선형 반사면과 타원형 반사면으로 형성할 경우 효율적으로 고광도 영역과 확산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all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s 120b and 220b are formed as elliptical reflective surfaces, the luminosity of the high luminance region decreases and the diffusion region becomes difficult to form, so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s 120b and 220b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When (120b, 220b) is formed with a parabolic reflective surface and an elliptical reflective surface, a high luminance region and a diffusion region can be efficiently formed.

또한, 본 명세서의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제1 광학요소 및 제2 광학 요소를 리플렉터로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제1 광학 요소 및 제2 광학 요소 각각은 제1 광원(110) 및 제2 광원(21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 제1 광학요소 및 제2 광학 요소에 의해 내부 반사되는 렌즈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체로 형성될 경우 렌즈체의 일면에 쉴드를 형성하여 제1광학요소 및 쉴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are formed as a reflector is illustrated in FIGS. 7 to 9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each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includes the first light source 110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2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210 may be formed of a lens body that is internally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elements, and when the lens body is formed, a shiel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ens body to form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ield can be integrally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은 제1 광원(110)과 제2 광원(210)은 서로 다른 광량을 가지며, 제1 광원(110)과 제2 광원(21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2배 이상의 광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광원(210)이 제1 광원(110)보다 광량이 높으며 2배 이상의 광량을 가진다. 이는 확산 패턴을 형성하는 데에 더 많은 광량이 사용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lamp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source 1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0 have different amounts of light, and any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1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0 is It may have more than twice the amount of light of the o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ght source 210 has a higher light quantity than the first light source 110 and has twice the light quantity. This is because a larger amount of light is used to form the diffusion patter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상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top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vehicle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 모듈(10, 20, 30)을 포함하며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한다. 11 to 13,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amp modules 10 , 20 , 30 and forms two or more different beam patter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 모듈이 복수의 광원 유닛(100, 200, 300, 400, 500, 600)을 포함하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적어도 일부의 제1 램프 모듈(10)은 복수의 광원 유닛(100, 200)이 하나의 빔 패턴을 구현하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적어도 일부의 제2 램프 모듈(20)은 복수의 광원 유닛이 복수의 빔 패턴을 구현하며, 복수의 램프 모듈은 각각 복수의 광원 유닛 전방에 배치되는 하나의 투광렌즈(710, 720, 730)를 포함한다.In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100 , 200 , 300 , 400 , 500 and 600 , and at least some of the first lamp modules 10 among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100 and 200 implement one beam pattern, and i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the second lamp module 20 implements a plurality of beam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implement a plurality of beam patterns. Each of the lamp modules includes one light-transmitting lens 710 , 720 , 730 dispos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따라서, 복수의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유닛이 하나의 투광렌즈를 공유함으로써, 전방에서 볼 때 하나의 램프로 인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since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share one light-transmitting lens,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can be recognized as one lamp when viewed from the front.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차량용 램프 모듈의 배치 및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11 to 13 show the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module in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램프모듈(10), 제2램프 모듈(20) 및 제3 램프 모듈(30)을 포함하며, 각각의 램프 모듈은 복수의 광원 유닛으로 구성된다. 제1 램프 모듈(10)은 제1 광원 유닛(100) 및 제2 광원 유닛(200)을 포함하며, 제2 램프 모듈(20)은 제3 광원 유닛(300) 및 제4 광원 유닛(400)을 포함하고, 제3 램프 모듈(30)은 제5 광원 유닛(500) 및 제6 광원 유닛(600)을 포함한다.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mp module 10 , a second lamp module 20 , and a third lamp module 30 , and each lamp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The first lamp module 1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unit 100 and a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 and the second lamp module 20 includes a third light source unit 300 and a fourth light source unit 400 . and the third lamp module 30 includes a fifth light source unit 500 and a sixth light source unit 600 .

제1 램프 모듈(10)은 복수의 광원 유닛이 모두 동일한 기능이 빔 패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램프 유닛(10)의 복수의 광원 유닛이 모두 컷오프 라인을 가지는 로우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광원유닛(100) 및 제2 광원 유닛(200)은 각각 제1 광원(110), 제2 광원(2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1 광축(Ax1)을 가지는 제1 렌즈(140), 제1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렌즈(140) 내부로 입사하도록 제어하는 제1광학요소로 구성되며, 제2 광원 유닛(200) 또한 동일한 구성으로 제2 광원(220), 제2 렌즈(240) 및 제2 광학 요소로 구성된다. 제1 광원 유닛(100) 및 제2 광원 유닛(200)은 제1 광학 요소(100) 및 제2 광학 요소(200)가 내측에 반사면을 형성하는 제1 리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20)로 구성되며, 각각 제1 쉴드(130)와 제2 쉴드(230)를 더 포함한다.In the first lamp module 10 ,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ll have the same function to form a beam patter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of the first lamp unit 10 are configured to implement a low beam pattern having a cut-off line. Accordingl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transmi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0, respectively, and have a first lens having a first optical axis Ax1. (140), is composed of a first optical element that control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to be incident into the first lens 140,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is also configured in the second It is composed of a light source 220 , a second lens 240 ,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include a first reflector 120 and a second reflector ( 220),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shield 130 and a second shield 230, respectively.

따라서, 제1 광원 유닛(100)은 제1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제1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되고 제1 쉴드(130)에의해 일부가 차단되며, 제1 렌즈(140)를 투과한 광이 투광렌즈(710)에 입사 및 출사되어 차량 전방 노면 상에 로우빔 패턴 중 고광도 패턴을 형성한다.Accordingly, i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20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120 and partially blocked by the first shield 130 , and the first lens 140 . The light passing through is incident and emitted to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to form a high-intensity pattern among the low-beam patterns on the road surface in front of the vehicle.

제2 광원유닛(200)은 제2 광원(22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제2 리플렉터(220)에 의해 반사되고 제2 쉴드(230)에의해 일부가 차단되며, 제2 렌즈(240)를 투과한 광이 투광렌즈(710)에 입사 및 출사되어 차량 전방 노면 상에 로우빔 패턴 중 확산 패턴을 형성한다.In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220 is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220 , a portion is blocked by the second shield 230 ,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lens 240 . One light is incident on and emitted from the light-transmitting lens 710 to form a diffusion pattern among the low-beam patterns on the road surface in front of the vehicle.

이 때, 제1 광원 유닛(100)은 고광도 패턴을 형성하므로 제1 리플렉터(120)가 광을 집광하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으며, 제2 광원유닛(200)은 확산 패턴을 형성하므로 제2 리플렉터(220)가 광을 평행으로 반사하는 포물선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forms a high-intensity pattern, the first reflector 120 may be an elliptical reflector that condenses ligh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forms a diffusion pattern, so the second reflector ( 220) may be a parabolic reflector that reflects light in parallel.

또한, 차량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광원유닛(100)은 제2 광원유닛(100)보다 차량 중심축에 가까이 배치된다. 이는 제2 광원유닛(200)이 확산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1 광원유닛(100) 및 타 광원모듈에 의한 광 간섭이 생길 경우 광 빔의 확산이 어렵게 되므로 위와 같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is disposed closer to the vehicle central axis than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vehicle central ax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forms a diffusion pattern, so that when light interference occurs b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and other light source modules, it becomes difficult to spread the light beam.

제2 램프모듈(20)은 복수의 광원유닛이 두 개 이상의 빔 패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유닛 중 제3 광원유닛(300)이 로우빔을 형성하며, 제4광원 유닛_(400)이 하이빔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3 광원유닛(300)은 쉴드를 포함하고, 제4 광원유닛(400)은 쉴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제4 광원유닛(400)의 광원의 광량은 제3광원유닛(300)의 광원의 광량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lamp module 20,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form two or more beam patterns. In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00 forms a low beam, and the fourth light source unit_400 forms a high beam. Accordingly,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00 includes a shield, and the fourth light source unit 400 does not include a shiel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light of the light source of the fourth light source unit 400 is higher than that of the light source of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00 .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차량 중심 축으로부터 횡방향(X)으로 제2 램프 모듈(20), 제1 램프 모듈(10) 및 제3 램프 모듈(30) 순서로 배치되며, 차량 전후 방향(Y)에 차량 전방으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제2 램프 모듈, 제1 램프 모듈, 제3램프 모듈 순서로 배치된다. The vehicle lamp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S. 11 to 13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lamp module 20 , the first lamp module 10 , and the third lamp module 3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from the vehicle center axis. The second lamp module, the first lamp module, and the third lamp module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vehicle front to the vehicle rear in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Y).

도 1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램프모듈(10)은 제1 광원유닛(100)이 로우빔 패턴(Lb)의 고광도 영역(Hz)을 형성하고 제2 광원유닛(200)이 가장자리의 대확산 영역(SP2)을 조사한다. 제2 램프모듈(20)은 제3 광원유닛(300)이 중간 확산 영역(SP1)을 조사하며, 제4 광원유닛(400)이 컷 오프 라인(C) 보다 상측 영역에 빔 패턴을 조사한다. 제3 램프 모듈(30)은 제5 광원 유닛(500) 역시 컷 오프 라인(C) 보다 상측 영역에 빔 패턴을 조사하며, 상기 제4 광원 유닛(400)과 제5 광원 유닛(500)으로부터의 빔 패턴이 중첩되어 하이빔 패턴(Hb)를 형성한다. 제6 광원 유닛(600) 역시 확산 영역(SP1,SP2)로 빔 패턴을 조사한다. 따라서, 제1 광원 유닛(100), 제2 광원 유닛(200), 제3 광원 유닛(300), 제6 광원 유닛(600)으로부터의 빔 패턴이 중첩되어 로우빔 패턴(Lb)를 형성한다.  14, in the first lamp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forms a high luminance region (Hz) of the low beam pattern Lb,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has a large edge The diffusion region SP2 is irradiated. In the second lamp module 20 ,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00 irradiates the intermediate diffusion region SP1 , and the fourth light source unit 400 irradiates a beam pattern to an area above the cut-off line C . The third lamp module 30 also irradiates a beam pattern to an area above the cut-off line C from the fifth light source unit 500 and the fourth light source unit 400 and the fifth light source unit 500 . The beam patterns overlap to form the high beam pattern Hb. The sixth light source unit 600 also irradiates a beam pattern to the diffusion regions SP1 and SP2. Accordingly, the beam patterns from the first light source unit 100 ,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00 , the third light source unit 300 , and the sixth light source unit 600 overlap to form the low beam pattern Lb.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제1 모듈 20: 제2 모듈
30: 제3 모듈 100: 제1 광원 유닛
110: 제1 광원 120: 제1 리플렉터
130: 제1 쉴드 140: 제1 렌즈
200: 제2 광원 유닛 210: 제2 광원
220: 제2 리플렉터 230: 제2 쉴드
240: 제2 렌즈 200: 제2 광원 유닛
300: 제3 광원 유닛 400: 제4 광원 유닛
500: 제5 광원 유닛 600: 제6 광원 유닛
710: 제1 투광 렌즈 720: 제2 투광 렌즈
730: 제3 투광 렌즈
10: first module 20: second module
30: third module 100: first light source unit
110: first light source 120: first reflector
130: first shield 140: first lens
200: second light source unit 210: second light source
220: second reflector 230: second shield
240: second lens 200: second light source unit
300: third light source unit 400: fourth light source unit
500: fifth light source unit 600: sixth light source unit
710: first light-transmitting lens 720: second light-transmitting lens
730: third light-transmitting lens

Claims (25)

차량용 램프 모듈에 있어서,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1 광축을 가지는 제1 렌즈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1 광원 유닛;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2 광축을 가지는 제2 렌즈와,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2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2 광원 유닛; 및
상기 제1 광원 유닛 및 제2 광원 유닛의 전방에 공통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에서 투과된 광이 입사되어 차량 전방에 노면 패턴을 조사하며, 중심축을 가지는 투광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광축 또는 제2 광축은 투광렌즈의 중심축과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정렬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제2렌즈는 입사면 및 출사면을 포함하는 볼록 렌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제1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출사면의 곡률이 비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1 렌즈의 출사면은 상기 제1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의 외측에 형성된 제1 표면과,
상기 제1 광축을 기준으로 차량용 램프 모듈의 내측에 형성된 제2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면의 곡률은 상기 제2 표면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In the vehicle lamp module,
a first light source;
a first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first optical axis;
a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first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ens;
a second light source;
a second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second optical axis;
a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second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second lens; and
It is disposed in common in front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s incident to irradiate a road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lens having a central axis but,
The first optical axis or the second optical axis is aligned so as not to intersect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are formed of a convex lens including an incident surface and an exit surface,
In the first lens, the curvature of the exit surface is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first optical axis,
The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ens includes a first surfac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lamp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rst optical axis;
and a second surfac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lamp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rst optical axis,
A vehicle lamp module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 유닛은,
상기 제1 렌즈 또는 제2 렌즈의 후방 초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방 초점에 전단부가 위치하는 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among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 units,
The vehicle lamp module further comprising a shield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or the second lens and having a front end positioned at the rear focal poi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렌즈는,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의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차량 전방으로 볼록하고,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의 수평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 전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차량용 램프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lucent lens,
A vehicle lamp module having a curvature convex in front of the vehicle based on a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vehicle lamp module and convex in front of the vehicle based on a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vehicle lamp modul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출사면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렌즈의 출사면과 선대칭을 이루는 차량용 램프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emitting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line-symmetrical with the emitting surface of the first le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1광축 쪽으로 편향되어 상기 투광 렌즈로 입사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first surface is deflected toward the first optical axis and is incident on the light-transmitting lens.
차량용 램프 모듈에 있어서,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1 광축을 가지는 제1 렌즈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1 광원 유닛;
제2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제2 광축을 가지는 제2 렌즈와,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2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제2 광원 유닛; 및
상기 제1 광원 유닛 및 제2 광원 유닛의 전방에 공통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에서 투과된 광이 입사되어 차량 전방에 노면 패턴을 조사하며, 중심축을 가지는 투광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광축 또는 제2 광축은 투광렌즈의 중심축과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정렬되고,
상기 제1 광학요소는 내측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리플렉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광학요소는 내측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가지는 제2 리플렉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리플렉터는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제1 렌즈의 후방 초점 근방으로 집광하도록 반사하며,
상기 제2 리플렉터는 포물선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광원에서 방출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광축에 대해 평행하게 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In the vehicle lamp module,
a first light source;
a first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first optical axis;
a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first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ens;
a second light source;
a second len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having a second optical axis;
a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second optical element contro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second lens; and
It is disposed in common in front of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is incident to irradiate a road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lens having a central axis but,
The first optical axis or the second optical axis is aligned so as not to intersect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transmitting lens,
The first optical element is formed of a first reflector having a reflective surface formed therein,
The second optical element is formed of a second reflector having a reflective surface formed therein,
The first reflector is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n ellipse, and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o be condensed near the rear focal point of the first lens,
The second reflector is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 parabola, and refle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n parallel to the second optical axi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제1 광원 유닛은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반사부 및 상기 전단부에 형성되는 컷오프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1쉴드를 포함하고,
제2 광원 유닛은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반사부 및 상기 전단부에 형성되는 컷오프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2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first shield including a reflective portion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front end and a cut-off form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e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second shield including a reflective portion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front end and a cut-off form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en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의 반사부는 상기 제2쉴드의 반사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차량용 램프 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flective portion of the first shield has a smaller area than the reflective portion of the second shiel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유닛에서 형성된 빔 패턴과 상기 제2 광원 유닛에서 형성된 빔 패턴이 중첩되어 로우빔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광원 유닛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고광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광원 유닛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A low beam pattern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beam pattern formed b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beam pattern formed by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he first light source unit forms a high luminance region of the low beam pattern,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is a vehicle lamp module forming a diffusion region of the low beam patter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플렉터 및 제2 리플렉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는, 상기 제1 광축 및 제2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면은 포물선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면은 타원을 기초로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may include a first reflecting surface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lamp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rst optical axis and the second optical axis and a first reflecting surface disposed inside the vehicle lamp module 2 reflective surfaces,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 parabola,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as a reflective surface based on an ellips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 및 제2광원 각각에서 조사되는 광의 일부는 상기 제1반사면으로 입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반사면으로 입사되며,
상기 제1 반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광축 및 상기 제2광축에 대해 평행하도록 반사되고,
상기 제2 반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각각의 후방 초점 부근을 지나도록 반사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A por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each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another portion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reflect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optical axis and the second optical axis,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s reflec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vicinity of the rear focal point of each of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Vehicle lamp modul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유닛에서 형성된 빔 패턴과 상기 제2 광원 유닛에서 형성됨 빔 패턴이이 중첩되어 로우빔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고광도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 2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5. The method of claim 14,
A low beam pattern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beam pattern formed by the first light source unit and the beam pattern formed by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forms a high-intensity region of the low-beam pattern,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forms a diffusion region of the low-beam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요소와 상기 제2 광학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광을 내부에서 반사하는 렌즈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is a vehicle lamp module formed of a lens body that reflects light from the in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요소와 상기 제2 광학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광을 내부에서 반사하는 렌즈체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체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쉴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is formed of a lens body that reflects light inside, and the shield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ens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제2 광원은 서로 다른 광량을 가지며,
상기 제1 광원과 제2 광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2배 이상의 광량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have different amounts of light,
Any one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has a light quantity more than twice that of the other lamp module.
복수의 램프 모듈을 구비하고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은, 각각 복수의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제1 램프 모듈과 제2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램프 모듈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광원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 유닛이 하나의 빔 패턴을 구현하고,
상기 제2램프 모듈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광원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 유닛이 2이상의 빔 패턴을 구현하되,
상기 제1 램프 모듈 및 상기 제2 램프 모듈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유닛의 전방에 공통으로 배치되는 투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램프 모듈은 상기 제1 램프 모듈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램프 모듈보다 차량 중심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In the vehicle lamp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lamp modules and forming two or more different beam patterns,
The plurality of lamp modules includes a first lamp module and a second lamp module each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provided in the first lamp module implements one beam pattern,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provided in the second lamp module implements two or more beam patterns,
Each of the first lamp module and the second lamp module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lens commonly disposed in front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The second lamp modul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lamp module, and is disposed closer to a vehicle central axis than the first lamp modul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모듈 또는 상기 제2 램프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유닛 각각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되며 광축을 가지는 렌즈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광학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20. The method of claim 19,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provided in the first lamp module or the second lamp module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controls a lens having an optical axi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lens A lamp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n optical elemen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요소는 내측에 반사면이 형성되는 리플렉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램프 모듈에서, 차량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광원 유닛의 리플렉터는, 내측에 배치되는 광원 유닛의 리플렉터보다 더 넓은 면적의 반사면을 갖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optical element is composed of a reflector having a reflective surface formed therein,
In the first lamp module, the reflector of the light source unit disposed outsid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central axis has a reflective surfac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reflector of the light source unit disposed inside the vehicle lamp assembl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복수의 광원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로우빔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복수의 광원 유닛 중 다른 일부는 컷오프 라인의 상측을 조사하는 하이빔 패턴을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20. The method of claim 19,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of the second lamp module exhibit a low beam pattern forming a cut-off line,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is a vehicle lamp assembly having a high beam pattern irradiating an upper side of the cut-off lin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에서, 상기 로우빔 패턴을 구현하는 광원 유닛은 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23. The method of claim 22,
In the second lamp module, the light source unit implementing the low beam pattern further includes a shield.
삭제delet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유닛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의 광량과 제2 광원의 광량은 서로 상이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unit provided in the second lamp module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and a light amount of the first light source and a light amount of the second light sour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KR1020170111542A 2017-09-01 2017-09-01 Lamp for vehicle KR102405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42A KR102405443B1 (en) 2017-09-01 2017-09-01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42A KR102405443B1 (en) 2017-09-01 2017-09-01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06A KR20190025206A (en) 2019-03-11
KR102405443B1 true KR102405443B1 (en) 2022-06-07

Family

ID=6575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42A KR102405443B1 (en) 2017-09-01 2017-09-01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4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80A (en) * 2019-12-27 2021-07-07 에스엘 주식회사 Guide lamp for vehicles
KR102597013B1 (en) * 2021-09-17 2023-11-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amp for vehicle
WO2024004957A1 (en) * 2022-06-28 2024-01-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Vehicle la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23B1 (en) * 2002-04-23 2005-09-29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Light unit
JP2007076567A (en) * 2005-09-15 2007-03-29 Kawasaki Heavy Ind Ltd Vehicular lamp device, and motorcycle having the same
JP2012156051A (en) * 2011-01-27 2012-08-16 Koito Mfg Co Ltd Vehicle headlamp
KR101295827B1 (en) * 2012-02-02 2013-08-16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A lamp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638A (en) 2013-11-06 2015-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DB head-lamp system and Beam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23B1 (en) * 2002-04-23 2005-09-29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Light unit
JP2007076567A (en) * 2005-09-15 2007-03-29 Kawasaki Heavy Ind Ltd Vehicular lamp device, and motorcycle having the same
JP2012156051A (en) * 2011-01-27 2012-08-16 Koito Mfg Co Ltd Vehicle headlamp
KR101295827B1 (en) * 2012-02-02 2013-08-16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A lamp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06A (en)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6007B2 (en) Vehicle lighting
KR102036749B1 (en) Lamp for vehicle
JP6052569B2 (en) Vehicle lamp unit
JP5091808B2 (en) Vehicle lighting
JP6030932B2 (en) Vehicle headlamp
KR102405436B1 (en) Lamp for vehicle
JP2011040247A (en) Lamp unit of headlight for vehicle
CZ305372B6 (en) Motor vehicle headlight
KR102470446B1 (en) Lamp for vehicle
KR102405443B1 (en) Lamp for vehicle
KR102384541B1 (en) Lamp for vehicle
KR102463275B1 (en) Lamp for vehicle
KR102348887B1 (en) Lamp for vehicle
KR102405441B1 (en) Lamp for vehicle
KR102036095B1 (en) Lamp for vehicle
KR20190078814A (en) Lamp for vehicle
JP4666160B2 (en) Vehicle lighting
KR102555372B1 (en) Lamp for vehicle
KR102446505B1 (en) Lamp for vehicle
KR102348905B1 (en) Lamp for vehicle
KR20220089401A (en) Lamp for vehicle
KR102446512B1 (en) Lamp for vehicle
KR102522911B1 (en) Lamp for vehicle
KR102409832B1 (en) Lamp for vehicle
JP4608645B2 (en) Vehicle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