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91B1 -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 Google Patents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91B1
KR102474991B1 KR1020220082547A KR20220082547A KR102474991B1 KR 102474991 B1 KR102474991 B1 KR 102474991B1 KR 1020220082547 A KR1020220082547 A KR 1020220082547A KR 20220082547 A KR20220082547 A KR 20220082547A KR 102474991 B1 KR102474991 B1 KR 10247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ed
seating
mounting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버켓에 장착되어 간접활선공구를 선단에 결합한 활선스틱 다수를 거치할 수 있는 절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머, 후크, 나이프, 압축기 등의 간접활선공구가 선단에 결합된 활선스틱 다수를 활선 버켓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선 작업의 종류에 따른 간접활선공구가 결합된 활선스틱을 작업자가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구성들이 절연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 하중의 대분을 차지하는 몸체와 안착부를 경량화시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외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거치된 활선스틱이 이탈되지 않고 보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Live wire bucket detachable indirect live wire tool insulated cradle}
본 발명은 활선 버켓에 장착되어 간접활선공구를 선단에 결합한 활선스틱 다수를 거치할 수 있는 절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박기, 테이핑기, 그립퍼, 후크, 나이프, 압축기 등의 간접활선공구가 선단에 결합된 활선스틱 다수를 활선 버켓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선 작업의 종류에 따른 간접활선공구가 결합된 활선스틱을 작업자가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구성들이 절연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 하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몸체와 안착부를 경량화시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외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거치된 활선스틱이 이탈되지 않고 보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신설, 교체 또는 보수를 할 때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작업을 시행하게 되면 정전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최근에 들어서 전력 수요가 급증함과 동시에 전기 품질에 대한 전력 사용자의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정전에 대한 민원과 보상 청구 등의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배전선로의 보수 작업이 대부분 무정전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무정전 작업은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있는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서 전력을 차단하지 않고 배전선로에 대한 공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무정전 작업 방식에 의한 배전 공사로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기 공법 등이 있는데, 그 한 예로서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의 경우에는 케이블차와 작업 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 버켓이 구비된 트럭 및 활선 작업용 도구 등을 모두 갖춰야만 한다. 이후,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 한 후, 배전 선로의 교체 또는 이설 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바이패스 케이블을 철거하여 배전 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무정전 작업, 즉, 활선 작업은 배전선로에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고난도의 위험이 따르므로 작업자들이 사용하는 공구는 엄격한 시험 조건하에서 제작되어야 하며, 특히, 공구의 기계적 강도 및 절연강도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활선 작업용 도구 중에서 활선상태의 전선을 간접활선 작업으로 수행해야 할 때, 선단에 피박기, 테이핑기, 그립퍼, 후크, 나이프, 압축기 등의 공구(이하, '선단공구'라 한다.)가 결합된 활선스틱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활선스틱은 작업자가 활선 버켓을 사용하여 선로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면서 작업자가 절연장비를 착용하고 직접 선로와 접촉하며 작업하는 직접작업이 보편화되어 작업의 범위가 확대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 및 작업효율을 더욱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활선스틱의 사용은 선단공구의 종류에 따라 활선스틱이 종류별로 구비되어야 하거나, 선단공구의 종류에 따라 체결부재를 선단에 매번 교체해야 하는데, 활선 버켓안에 활선작업을 위해 구비된 다수의 활선스틱이 정렬되지 않고 뒤섞여 용도에 맞는 선단공구 교체 및 활선스틱을 선택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183호(2020.06.11.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활선 버켓을 이용한 무정전 작업 즉, 활선 작업은 작업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선단공구가 결합된 활선스틱을 종류별로 활선 버켓에 보관하여 사용할 때, 상기 활선 버켓안에 활선작업을 위해 구비된 다수의 활선스틱이 정렬되지 않고 뒤섞여 용도에 맞는 선단공구 교체 및 활선스틱을 선택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활선 버켓과 같은 재질인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안전하게 작업에 사용할 수 있고, 활선 버켓의 내부에 활선스틱이 보관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하여 활선스틱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음은 물론 활선 버켓의 외부에도 활선스틱이 보관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하여 활선 버켓 내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거치홈의 내부 일측과 타측 및 후방에 탄성을 가지는 이탈방지패드 및 완충패드를 설치하여 외부 충격 및 진동에 의해 거치된 활선스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활선스틱의 추락에 따른 파손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활선 버켓(10)에 상부 후방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내입홈(202)이 형성되어 상기 내입홈(202)에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인입출되는 안착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거치홈(302)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302)에 활선스틱(20)의 외주연 상부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안착홈(212)이 형성되는 하부안착브라켓(210);과 상기 안착홈(212)에 하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안착파이프(220);와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하부가 결합되는 전면커버(230); 및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착파이프(220)의 상부가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230)의 상부가 하부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상기 안착홈(212)과 대응되도록 안착홀(242)이 형성되는 상부안착브라켓(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거치홈(302)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거치홈(302)의 내부 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완충패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양측에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호 형상으로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이 형성되는 상부거치브라켓(310);과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상부거치홈(31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하부거치홈(322)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과 대응되도록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이 형성되는 하부거치브라켓(320);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에 상부가 내입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에 하부가 내입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의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내부홈(3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는 각각 상부거치홈(312)과 상기 하부거치홈(322)의 내측방향이 개방된 "C"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하부면에 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의 후방에 각각의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홈(3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부면에 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홈(32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부(3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에 상부가 내입되며, 상기 하부완충패드홈(326)에 하부가 내입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완충패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는 전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110)을 통해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외부받침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부받침부재(400)는 상부가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인 상태와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상태일 때, 상부를 고정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는 활선 버켓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활선 작업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활선 버켓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여 활선스틱이 활선 버켓의 내부에 보관되어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 및 활선 버켓의 외부에도 탈착이 가능하여 활선스틱이 활선 버켓의 외부에 보관되어 활선 버켓의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에 경량홀을 형성하고, 안착부를 하부안착브라켓, 상부안착브라켓, 전면커버 및 안착파이프로 구성하여 경량화함으로써, 활선 버켓에 탈착이 용이한 효과와, 경량화에 따른 보다 많은 갯수의 활선스틱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활선버켓의 운반 및 취급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에 형성된 거치홈의 내부 일측과 타측 및 후방에 탄성을 가지는 이탈방지패드와 완충패드를 설치하여 외부 충격 및 활선 버켓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에 의해 거치된 활선스틱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활선스틱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고, 활선스틱의 추락에 따른 파손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부의 내입홈의 크기를 활선스틱의 하부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활선스틱을 거치홈으로부터 안전하게 분리 후 내입홈으로부터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가 활선 버켓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가 활선 버켓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에 활선스틱이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에 활선스틱이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착부를 나타낸 사시도(a) 및 평면도(b).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착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a), 평면도(b), 투영 평면도(c).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부장착용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a) 및 분해사시도(b).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부장착용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도(a), 정면도(b), 측단면도(c) 및 정단면도(d).
본 발명은 활선 버켓(10)에 장착되어 간접활선공구를 선단에 결합한 활선스틱(20) 다수를 거치할 수 있는 절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머, 후크, 나이프, 압축기 등의 간접활선공구가 선단에 결합된 활선스틱(20) 다수를 활선 버켓(10)에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활선 작업의 종류에 따른 간접활선공구가 결합된 활선스틱(20)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구성들이 활선 버켓(10)과 같거나 유사한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활선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몸체(100)와 안착부(200)를 경량화시켜 설치가 용이하도록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선스틱(20)의 외주연 상부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300)의 거치홈(302)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이탈방지패드(330)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부 후방에 완충패드(340)를 설치하여 활선스틱(20)의 거치시 활선스틱(20)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 및 활선 버켓(10)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발생시 활선스틱(2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활선스틱(20)의 추락에 따른 파손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는 활선 버켓(10)에 상부 후방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내입홈(202)이 형성되어 상기 내입홈(202)에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인입출되는 안착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거치홈(302)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302)에 활선스틱(20)의 외주연 상부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안착홈(212)이 형성되는 하부안착브라켓(210);과 상기 안착홈(212)에 하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안착파이프(220);와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하부가 결합되는 전면커버(230); 및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착파이프(220)의 상부가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230)의 상부가 하부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상기 안착홈(212)과 대응되도록 안착홀(242)이 형성되는 상부안착브라켓(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거치홈(302)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거치홈(302)의 내부 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완충패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양측에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호 형상으로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이 형성되는 상부거치브라켓(310);과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상부거치홈(31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하부거치홈(322)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과 대응되도록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이 형성되는 하부거치브라켓(320);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에 상부가 내입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에 하부가 내입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의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내부홈(3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는 각각 상부거치홈(312)과 상기 하부거치홈(322)의 내측방향이 개방된 "C"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하부면에 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의 후방에 각각의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홈(3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부면에 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홈(32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부(3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에 상부가 내입되며, 상기 하부완충패드홈(326)에 하부가 내입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완충패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는 전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110)을 통해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외부받침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외부받침부재(400)는 상부가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인 상태와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상태일 때, 상부를 고정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활선스틱(20)은 선단에 다양한 종류 즉, 해머, 후크, 나이프, 압축기 등의 간접활선공구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활선 작업에 따라 필요한 간접활선공구가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활선스틱(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는 상부에 구비된 체결부재에 간접활선공구가 결합되는 절연봉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동이 가능한 간접활선공구가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연봉부(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연봉부(22)에 결합된 간접활선공구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이하, "절연 거치대"라 통칭 한다.)는 상기와 같은 활선스틱(20)의 절연봉부(22)에 작동부(24)가 구비되어도 상기 작동부(24)에 의한 직경의 확장이 크지 않으므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안착부(200)의 내입홈(202)에 하부가 원활하게 인입출된다.
그러나 상기 작동부(24)에 의해 활선스틱(20)의 절연봉부(22)의 직경이 확장되어야 할 경우도 필요한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착부(200)의 내입홈(20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에 따라 연장홈(20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활선스틱(20)은 상기 작동부(24)를 통해 간접활선공구를 전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전동핸들(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활선스틱(20)은 간접활선공구가 선단에 결합된 절연봉부(22)로만 구성되거나, 절연봉부(22)와 작동부(24) 또는 절연봉부(22)와 작동부(24) 및 전동핸들(26)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몸체(100)는
활선 버켓(10)에 상부 후방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 버켓(10)의 상부에 상부 후방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안착부(200)와 거치부(300)를 통해 다수의 활선스틱(20)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몸체(1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안착부(200)와 거치부(300)가 전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가지고, 상기 안착부(200)와 거치부(300)가 충분히 이격될 수 있도록 길이가 형성되어 길이가 긴 활선스틱(20)이 상기 안착부(200)와 거치부(300)를 통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몸체(100)는 전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관통홀(110)은 본 발명의 몸체(100)의 하중을 줄여 경량화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본 발명의 절연 거치대를 보다 쉽게 활선 버켓(10)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11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외부받침부재(400)의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후방으로 회전될 때,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의 말단이 활선 버켓(1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하부가 상기 외부받침부재(400)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몸체(100)는 활선 버켓(10)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하게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예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 내구성 또한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높아 작은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몸체(100)가 합성수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시 또는 강한 자외선 등에 의해 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몸체(100)는 전면 또는 후면 양측면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보강날개(도면부호 미표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100)는 활선 버켓(10)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상부에 후방으로 절곡된 후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걸이부(도면부호 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걸이부를 통해 활선 버켓(10)의 상부면에 쉽게 안착되어 장착됨은 물론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장착 및 위치 이동이 용이하여 활선스틱(20)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안착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내입홈(202)이 형성되어 상기 내입홈(202)에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인입출되는 것으로, 상기 내입홈(202)에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인입되어 지지되거나 인출되어 작업자가 활선스틱(2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입홈(202)은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일정 길이만큼 내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활선스틱(20)의 하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안착홈(212)과 안착파이프(220) 및 상부안착브라켓(240)의 안착홀(242)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입홈(202)은 상기 활선스틱(20)의 외주연 하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거치부(300)에서 활선스틱(20)의 상부를 전방으로 이탈시킬 때, 상기 활선스틱(20)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활선스틱(20)을 취급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내입홈(202)은 상기 활선스틱(20)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작업자가 상기 거치부(300)에서 활선스틱(20)의 상부를 전방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안착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안착홈(212)이 형성되는 하부안착브라켓(210)과, 상기 안착홈(212)에 하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안착파이프(220)와,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하부가 결합되는 전면커버(230) 및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착파이프(220)의 상부가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230)의 상부가 하부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상기 안착홈(212)과 대응되도록 안착홀(242)이 형성되는 상부안착브라켓(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은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212)에 활선스틱(20)의 하부가 밀접되어 지지되도록 하며, 안착파이프(220)의 하부가 상기 안착홈(212)의 내측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은 상부면 양측 가장자리와 상부면 전방 가장자리에 삽입홈(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어 전면커버(230)의 하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은 활선스틱(20)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안착파이프(220)와 전면커버(230)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안착홈(212)을 통해 내입홈(202)의 하부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파이프(220)는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안착홈(212)에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되고, 활선스틱(20)의 하부가 내부에 인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보다 상단의 활선스틱(20)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내입홈(202)의 중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안착브라켓(240)은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안착파이프(220)의 상부가 하부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착파이프(220)는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과 상기 상부안착브라켓(240)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안착브라켓(240)은 상부면에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안착홈(2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안착홀(24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안착홈(212)과 안착파이프(220)에 의해 하부와 중단부가 형성된 내입홈(202)의 상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안착브라켓(240)은 하부면 양측 가장자리와 하부면 전방 가장자리에 삽입홈(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어 전면커버(230)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과 함께 상기 전면커버(23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전면커버(230)는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과 상부안착브라켓(2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안착부(200)의 전방을 보호하여 안착파이프(2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안전하게 지지 및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안착부(200)는 상기와 같이 하부안착브라켓(210), 안착파이프(220), 전면커버(230) 및 상부안착브라켓(240)으로 구성됨에 따라 활선스틱(20)의 하부를 내입홈(202)에 내입시켜 지지 및 보호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중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절연 거치대가 경량화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안착부(200)는 복수 개의 내입홈(2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장홈(20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연장홈(202a)은 앞서 설명된 활선스틱(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작동부(24)가 다른 작동부(24)에 비해 크기가 큰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내입홈(202)에 더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안착부(200)의 복수 개의 내입홈(2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다른 작동부(24)에 비해 크기가 큰 작동부(24)가 설치된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인입출될 수 있는 연장홈(202a)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홈(202a)은 상기 내입홈(202)의 전방에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상기 연장홈(202a)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장홈(202a)이 형성되는 내입홈(202)의 하부와 상부를 형성하는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안착홈(212)과 상부안착브라켓(240)의 안착홀(242)은 전방에 연통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연장안착홈과 연장안착홀이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홈(202a)이 형성되는 내입홈(202)의 중단부를 형성하는 안착파이프(220)는 상기 연장안착홈 및 상기 연장안착홀에 대응되도록 전방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안착파이프(220)의 개방된 전방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가 상부안착브라켓(240)의 사이에는 상기 안착파이프(220)의 개방된 전방을 폐쇄하는 커버(222)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안착부(200)는 하부안착브라켓(210)과 상부안착브라켓(240)이 원활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지지봉(도면부호 미표시)을 통해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안착브라켓(240)의 하부면이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거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거치홈(302)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302)에 활선스틱(20)의 외주연 상부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안착부(200)에 활선스틱(20)의 하부를 인입시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활선스틱(20)의 상부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거치부(300)는 거치홈(302)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활선스틱(20)의 외주연 상부가 상기 거치홈(302)에 내입될 때,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활선스틱(20)의 상부가 상기 거치홈(30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부(300)는 거치홈(302)의 내부 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완충패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완충패드(340)는 상기 거치홈(302)에 활선스틱(20)이 내입될 때와 내입된 후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유동될 때, 상기 활선스틱(20)이 거치홈(302)의 내부 후방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이탈방지패드(330)와 완충패드(340)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 일예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에 강하고 내구성이 강한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거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양측에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호 형상으로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이 형성되는 상부거치브라켓(310)과,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상부거치홈(31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하부거치홈(322)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과 대응되도록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이 형성되는 하부거치브라켓(320)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에 상부가 내입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에 하부가 내입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거나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지지브라켓(3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전방에 안착부(200)의 내입홈(20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거치홈(312)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활선스틱(20)이 수직으로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하부면에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양측에 위치되되, 상기 상부거치홈(312)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의 위치가 개방되어 호 형상으로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은 앞서 설명된 이탈방지패드(330)의 상부가 내입되는 곳으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과 함께 상기 이탈방지패드(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에 결합되거나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지지브라켓(3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의 결합은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하부에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상부가 밀접되어 복수 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및 몸체(100)의 결합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지지브라켓(350)이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의 하부에 결합된 후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상부거치홈(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거치홈(322)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거치홈(312)과 하부거치홈(322)에 의해 거치홈(30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과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을 통해 이탈방지패드(330)가 상기 거치홈(302)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에 상부가 내입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의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에 하부가 내입된 상태로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의 개방된 거치홈(302)의 내측방향 즉,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과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의 개방된 거치홈(302)의 내측방향 즉, 하부거치홈(322)의 내측방향을 통해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거치홈(302)의 양측에 돌출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패드(330)의 사이를 활선스틱(20)의 상부 외주연에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상기 상부거치홈(312)과 하부거치홈(3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활선스틱(20)이 보다 원활하게 거치홈(302)에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의 내측 상부면(도면 11을 기준으로 할 때)에 돌출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의 내측 하부면(도면 11을 기준으로 할 때)에 돌출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내부홈(3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는 상기 이탈방지패드(33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이탈방지패드(330)가 활선스틱(20)이 거치홈(302)에 인입출될 때, 상기 이탈방지패드(330)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에 대응되는 형상 즉,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는 각각 상부거치홈(312)과 상기 하부거치홈(322)의 내측방향이 개방된 "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가 "C"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활선스틱(20)이 거치홈(302)에 인입출될 때, 이탈방지패드(330)의 내측방향의 완충력이 약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패드(330)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활선스틱(20)의 인입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하부면에 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의 후방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홈(3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부면에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홈(3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완충패드(340)는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상부완충패드홈(316)에 상부가 내입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의 하부완충패드홈(326)에 하부가 내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거치홈(302)에 내입된 활선스틱(20)의 상부 외주연의 파손을 최소화한다.
이때, 상기 완충패드(340)는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과 하부완충패드홈(326)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거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가 하부거치브라켓(320)의 하부와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350)을 이용하여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을 몸체(100)에 결합시키는 이유는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결합 및 상기 이탈방지패드(330)와 완충패드(340)를 구성한 후 사이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을 몸체(100)에 직접 결합시키면 결합을 할 수 있는 부위가 협소하여 결합력이 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거치부(300)는 상기 지지브라켓(350)을 통해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는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 버켓(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탈착이 용이하여 활선스틱(20)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데, 상기 활선 버켓(10)의 외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활선 버켓(10)의 상부 말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안전턱(미표시)과 상기 활선 버켓(10)의 외측면의 형상이 하부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하부가 상부보다 좁은 형상이면 몸체(100)의 하부 즉, 안착부(200)에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몸체(100)의 하부가 활선 버켓(10)의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는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110)을 통해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외부받침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받침부재(400)는 본 발명의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가 활선 버켓(10)의 외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부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부 말단이 활선 버켓(10)의 외측면에 밀접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00)의 하부가 활선 버켓(10)의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활선스틱(20)의 보관 및 취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외부받침부재(400)는 상부가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인 상태와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상태일 때, 상부를 고정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잠금블록(430)은 외부받침부재(400)의 상부를 상기 몸체(100)와 수평하게 고정하거나 상기 몸체(100)와 수직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가 활선 버켓(10)의 내부와 외부에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받침부재(4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 하부 후방이 결합되되, 상기 관통홀(110)에 상부가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420)과,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420)의 상부 후방에 힌지핀(440)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외부장착용받침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420)은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고정홈(4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하부가 상기 고정홈(4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잠금홈(412)과, 일측면 또는 타측면 하부에 상기 고정홈(422)에 인입출가능하도록 고정돌기(432)가 돌출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잠금홀(412)에 내입되는 잠금블록(430) 및 상기 고정홈(422)의 내측면 상부에 타측이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잠금블록(430)의 타측면 상부에 밀접되는 잠금장치스프링(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받침부재(400)는 상부 즉,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하부 즉,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420)의 상부에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잠금블록(430)에 의해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고정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를 활선 버켓(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블록(430)은 일측면 또는 타측면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42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4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작업자는 상기 가압돌기(434)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잠금블록(430)을 타측 또는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외부장착용받침대(41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가압돌기(434)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스프링(450)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고정된다.
부가하여, 상기 잠금블록(430)은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인 상태이면 상기 잠금장치스프링(450)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고정돌기(432)가 상기 고정홈(422)에 내입되어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고정되고,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상태이면 상기 잠금장치스프링(450)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고정돌기(432)가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420)의 후면 후방에 위치되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420)의 후면에 상기 고정돌기(432)가 걸림으로써,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대(410)는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되되, 상기 고정홈(4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핀홀(미표시)과,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잠금블록(430)은 상부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되되, 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가이드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핀홀과 고정핀 및 가이드홈은 상기 잠금블록(430)이 작업자 또는 잠금장치스프링(45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절연 거치대는 활선 버켓(10)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활선 작업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활선 버켓(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도 탈착이 가능하여 활선스틱(20)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경량화되도록 제작되어 운반 및 취급 뿐만 아니라 활선 버켓(10)에 탈착이 용이한 한편, 안착부(200)에 의해 활선스틱(2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패드(330)와 완충패드(340)가 구비된 거치홈(302)이 형성된 거치부(300)를 통해 보관된 활선스틱(20)의 이탈이 방지되어 공구 추락에 의한 공구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활선 작업시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다수의 활선스틱(20)을 활선 버켓(10)에 보관 및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활선 버켓 20 : 활선스틱
22 : 절연봉부 24 : 작동부
26 : 전동핸들
100 : 몸체
110 : 관통홀
200 : 안착부
202 : 내입홈 202a : 연장홈
210 : 하부안착브라켓 212 : 안착홈
220 : 안착파이프 222 : 커버
230 : 전면커버 240 : 상부안착브라켓
242 : 안착홀
300 : 거치부
302 : 거치홈 310 : 상부거치브라켓
312 : 상부거치홈 314 : 상부이탈방지패드홈
316 : 상부완충패드홈 318 :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
320 : 하부거치브라켓 322 : 하부거치홈
324 : 하부이탈방지패드홈 326 : 하부완충패드홈
328 : 하부완충패드돌기 330 : 이탈방지패드
332 : 내부홈 340 : 완충패드
350 : 지지브라켓
400 : 외부받침부재
410 : 외부장착용받침대 420 : 외부장착용받침대브라켓
430 : 잠금블록 440 : 힌지핀
450 : 잠금장치스프링

Claims (10)

  1. 활선 버켓(10)에 상부 후방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내입홈(202)이 형성되어 상기 내입홈(202)에 활선스틱(20)의 하부가 인입출되는 안착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거치홈(302)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302)에 활선스틱(20)의 외주연 상부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부(300); 및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110)을 통해 상기 몸체(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외부받침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받침부재(4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면 하부에 하부 후방이 결합되되, 상기 관통홀(110)에 상부가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외부장착용받침브라켓(420);과
    상기 외부장착용받침브라켓(420)의 상부 후방에 힌지핀(440)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외부장착용받침대(410); 및
    상부가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인 상태와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상태일 때, 상부를 고정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안착홈(212)이 형성되는 하부안착브라켓(210);과
    상기 안착홈(212)에 하부가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안착파이프(220);와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하부가 결합되는 전면커버(230); 및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후방이 결합되되, 상기 하부안착브라켓(2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착파이프(220)의 상부가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230)의 상부가 하부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상기 안착홈(212)과 대응되도록 안착홀(242)이 형성되는 상부안착브라켓(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거치홈(302)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거치홈(302)의 내부 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탄성을 가지는 완충패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내입홈(20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양측에 상기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호 형상으로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이 형성되는 상부거치브라켓(310);과
    상기 몸체(1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상부거치홈(31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하부거치홈(322)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과 대응되도록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이 형성되는 하부거치브라켓(320);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에 상부가 내입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에 하부가 내입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이탈방지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상기 상부이탈방지패드홈(314)의 내측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기 하부이탈방지패드홈(324)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패드(330)는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내부홈(3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완충패드내부돌기(318)와 상기 하부완충패드내부돌기(328)는
    각각 상부거치홈(312)과 상기 하부거치홈(322)의 내측방향이 개방된 "C"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은
    하부면에 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상부거치홈(312)의 후방에 각각의 상부거치홈(312)의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완충패드홈(3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거치브라켓(320)은
    상부면에 측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완충패드홈(32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부(3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거치브라켓(310)과 하부거치브라켓(32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완충패드홈(316)에 상부가 내입되며, 상기 하부완충패드홈(326)에 하부가 내입되고, 상기 거치홈(302)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완충패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82547A 2022-07-05 2022-07-05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KR102474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547A KR102474991B1 (ko) 2022-07-05 2022-07-05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547A KR102474991B1 (ko) 2022-07-05 2022-07-05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991B1 true KR102474991B1 (ko) 2022-12-06

Family

ID=8440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547A KR102474991B1 (ko) 2022-07-05 2022-07-05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26B1 (ko) * 2019-08-16 2020-04-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와이어 홀더 스트레이트닝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정리 공법
KR102124183B1 (ko) 2018-06-08 2020-06-17 한국전력공사 입상케이블 거치장치
KR20200069863A (ko) * 2018-12-07 2020-06-17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스틱 위치 조절장치
KR20220049279A (ko) * 2020-10-14 2022-04-21 조덕승 활선 작업용 전기절연스틱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183B1 (ko) 2018-06-08 2020-06-17 한국전력공사 입상케이블 거치장치
KR20200069863A (ko) * 2018-12-07 2020-06-17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스틱 위치 조절장치
KR102089726B1 (ko) * 2019-08-16 2020-04-24 대원전기 주식회사 와이어 홀더 스트레이트닝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정리 공법
KR20220049279A (ko) * 2020-10-14 2022-04-21 조덕승 활선 작업용 전기절연스틱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34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2024874B1 (ko) 와이어 밴딩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밴딩 공법
KR101523289B1 (ko)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2089726B1 (ko) 와이어 홀더 스트레이트닝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정리 공법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106236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KR102474991B1 (ko) 활선 버켓 탈착형 간접활선공구 절연 거치대
KR102124183B1 (ko) 입상케이블 거치장치
KR102352787B1 (ko) 엘보접속재 탈착장치
CN209747433U (zh) 一种跌落式熔断器熔管装上取下装置
US6642464B1 (en) Method for operating remote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with transitional light-emitive member disposed intermediate an elongate member and a tool
EP3492334A1 (en) Device adapted to at least partially cover a coupler-head
CN211743936U (zh) 一种新型的电缆桥架
KR10203111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 차단장치
CN113933546B (zh) 一种连接装置
JP2002199567A (ja) アーム把持式プレハブ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諸装置
KR102522915B1 (ko) 활선 작업용 전기절연스틱 거치대
KR102289231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221344B1 (ko) 도시 지중배전선로의 보호캡시스템
KR102075108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144872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CN211018102U (zh) 一种电缆桥架
CN210350526U (zh) 一种智能楼宇控制柜用固定结构
KR102644279B1 (ko) 간접 활선 안전작업이 가능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용 탑다운 체결방식 전선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탄성 접속 방법
JP5856449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