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79B1 -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79B1
KR102474979B1 KR1020210004291A KR20210004291A KR102474979B1 KR 102474979 B1 KR102474979 B1 KR 102474979B1 KR 1020210004291 A KR1020210004291 A KR 1020210004291A KR 20210004291 A KR20210004291 A KR 20210004291A KR 102474979 B1 KR102474979 B1 KR 102474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radiation exposure
amount
unit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070A (ko
Inventor
김정인
우홍균
박종민
최창헌
정성문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프리카랩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프리카랩,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프리카랩
Priority to KR102021000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79B1/ko
Priority to PCT/KR2021/001230 priority patent/WO2022154157A1/ko
Publication of KR2022010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12Provision for actuation of an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 가능한 패치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되어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방사선 측정 장치; 및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방사선 작업 환경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 속해 있는 사람의 특정 신체 부위 별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SYSTEM FOR MONITORING RADIATION EXPOSURE USING APPARARUS OF SKIN ATTACHMENT TYPE FOR MEASURING RADIATION}
본 발명은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선 작업 환경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 속해 있는 사람의 특정 신체 부위 별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작업 환경에 노출된 사람(예: 원자력 발전소의 근로자)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 속해 있는 사람(예: 방사선 진단 또는 치료 환경 하의 환자 또는 의료진)은 방사선 피폭량이 일정 한도를 넘어서는 경우 중추신경 손상, 조혈조직 손상, 백혈병, 골육종, 갑상선암, 사망 등의 피해를 입게 된다.
이에 따라, 방사선 환경에 노출된 사람의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선량계가 개발되고 있다.
선량계의 종류에는, 방사선이 조사된 결정성 물질을 가열하면 생기는 열 형광 현상을 이용하는 열형광선량계(TLD;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방사선이 조사된 산화알루미늄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생기는 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광자극발광선량계(OSLD;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박막검전기의 원리를 이용하는 포켓선량계(P.D; Pocket Dosimeter) 등이 있다.
그러나, 열형광선량계 및 광자극발광선량계는 누적 선량을 평가하므로 실시간으로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포켓선량계는 전신 피폭에 대한 선량을 평가하므로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 별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4076호 (2015.11.27.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작업 환경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 속해 있는 사람의 특정 신체 부위 별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 가능한 패치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되어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방사선 측정 장치; 및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는, 방사선에 감응하여 전하를 발생시키는 방사선 감응부; 상기 방사선 감응부에서 발생한 전하를 저장하는 전하 수집부; 상기 전하 수집부에 저장되는 전하량을 측정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사선 감응부는, 페로브스카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하 수집부는, 슈퍼커패시터로 구성되고, 필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슈퍼커패시터의 일정 이상 충전에 의하여 ON 스위칭되도록 MOSFET 기반의 회로화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측정된 전하량에 대응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통신부가 수신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가 수신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추출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는, 플랫형 또는 돔형 패치 형태로 구성되고, 플렉시블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는, 소수성 재질로 된 1차 코팅체로 감싸인 구조를 가지며, 친수성 재질 또는 소수성 재질로 된 2차 코팅체로 상기 1차 코팅체의 적어도 일부 면이 감싸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사선 작업 환경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 속해 있는 사람의 특정 신체 부위 별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방사선 측정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방사선 측정 장치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방사선 측정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방사선 측정 장치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사선 측정 장치(100) 및 모니터링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 가능한 패치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되어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방사선 작업 환경에 노출된 사람(예: 원자력 발전소의 근로자)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 속해 있는 사람(예: 방사선 진단 또는 치료 환경 하의 환자 또는 의료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는 사용자의 생식선 부위, 안구 부위, 갑상선 부위 등 방사선 피폭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특정 신체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는, 방사선 감응부(110), 전하 수집부(120), 제 1 제어부(130) 및 제 1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 감응부(110)는, 방사선에 감응하여 전하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방사선 감응부(110)는, 페로브스카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는 1839년 러시아 우랄산맥에서 새로 발견된 광물에 붙여진 이름으로 19세기 러시아 광물학자 레프 페로브스키(Lev Perovsky)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페로스카이트의 화학식은 CaTiO3이며, 더 나아가 페로브스카이트는 CaTiO3와 동일 구조를 갖는 모든 물질을 통칭한다.
페로브스카이트는 금속, 유기물, 할로겐족(불소, 염소, 브롬 등)이 결합하여 화합물 결정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높은 광흡수성과 우수한 전하 이동 능력을 갖추고 있어, 방사선이 조사되면 이에 감응하여 이동 전하를 발생시킨다. 이때, 이동 전하량은 방사선 조사량, 즉, 상기 방사선 감응부(110)의 방사선 피폭량에 개략적으로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방사선 감응부(110)는, 방사선 작업 환경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서 방사선이 조사되면 페로브스카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이동 전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전하 수집부(120)는, 상기 방사선 감응부(110)에서 발생한 전하(이동 전하)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전하 수집부(120)는, 슈퍼커패시터로 구성되고, 필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슈퍼커패시터는 커패시터(콘덴서)의 성능 중 특히 전기 용량의 성능을 중점적으로 강화한 것으로서, 전지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부품을 의미한다.
상기 전하 수집부(120)는, 상기 방사선 감응부(110)에서 발생한 전하(이동 전하)를 저장하는 동시에, 회로화되어 구성되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 내의 모든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전원 공급원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도 도모하게 된다.
상기 제 1 제어부(130)는, 상기 전하 수집부(130)에 저장되는 전하량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제어부(130)는, 상기 전하 수집부(120)가 슈퍼커패시터로 구성되는 경우, 슈퍼커패시터의 일정 이상 충전에 의하여 ON 스위칭되도록 MOSFET 기반의 회로화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어부(130)는, 상기 전하 수집부(120)에 저장되는 전하량을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된 전하량 정보(즉,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140)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로 송신하게 한다.
상기 제 1 통신부(140)는, 상기 제 1 제어부(130)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140)는, 상기 제 1 제어부(130)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통신부(140)는, 상기 제 1 제어부(130)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e)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지웨이브(Z-Wav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엔에프씨(NFC) 방식 등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통신부(140)는, 상기 제 1 제어부(130)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엔에프씨(NFC)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엔에프씨(NFC) 방식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약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 통신 방식으로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가 소지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등)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를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에 근접 접촉시켜 현재의 해당 신체 부위의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유사한 방식으로 어느 특정의 관측자(방사선 치료 의료진)가 사용자(방사선 치료 환자)의 신체 부위의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는, 각 구성이 회로화 모듈로 된 집적회로로 제작될 수 있고, 특히 상기 방사선 감응부(110)와 상기 전하 수집부(120)가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플랫형(도 3의 (a)) 또는 돔형(도 3의 (b) 녹색 부분, 즉, 안구에 부착되기 직전의 상태에 있는 제일 좌측 개소 부분) 패치 형태로 구성되고, 플렉시블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플랫형 패치 형태는 사용자의 생식선 부위, 갑상선 부위 등의 특정 신체 부위 별 피부에 부착될 때 유리하고, 돔형 패치 형태는 사용자의 안구에 부착될 때 유리하다.
이 경우,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는, 방수성이 우수한 소수성 재질(예: 실리콘 재질)로 된 1차 코팅체로 감싸인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는, 친수성 재질 또는 소수성 재질로 된 2차 코팅체로 상기 1차 코팅체의 적어도 일부 면(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면)이 감싸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코팅체는 상기 1차 코팅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친수성 재질(예: 폴리마콘 재질, 헤마 재질 등)로 구성되면 사용자의 신체 피부(예: 안구)에 접촉 시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는, 실리콘 재질로 된 1차 코팅체 내부에 각 구성이 몰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의 부착감 내지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체 피부에 부착되는 측의 면을 폴리마콘 재질 및 헤마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된 2차 코팅체로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로부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별도의 단말기(데스크탑, 모니터링 디스플레이기기)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제 2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부(240), 디스플레이부(230), 및 제 2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로부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상기 제 1 제어부(130)에 의해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e)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지웨이브(Z-Wav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엔에프씨(NFC) 방식 등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로부터 엔에프씨(NFC)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엔에프씨(NFC) 방식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약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 통신 방식으로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가 소지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등)인 경우, 상기 모니터링 장치(200)를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에 근접 접촉시켜 현재의 해당 신체 부위의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유사한 방식으로 어느 특정의 관측자(방사선 치료 의료진)가 사용자(방사선 치료 환자)의 신체 부위의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별도의 단말기(데스크탑, 모니터링 디스플레이기기)의 개별적인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상기 제 1 제어부(130)에서 측정된 전하량에 대응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통신부(210)가 수신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100)에서 상기 전하 수집부(120)에 수집 저장되는 이동 전하가 전원 공급에 사용됨으로써 손실되는 정도를 감안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별도의 단말기(데스크탑, 모니터링 디스플레이기기)의 개별적인 저장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별도의 단말기(데스크탑, 모니터링 디스플레이기기)의 개별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부(220)는, 상기 제 2 통신부(210)가 수신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상기 제 1 제어부(130)에 의해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40)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추출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로 하여금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220)는, 현재 측정된 방사선 피폭량 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특정 시간 누적된 방사선 피폭량의 합계를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로 하여금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실시간 정보와 실시간 누적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별도의 단말기(데스크탑, 모니터링 디스플레이기기)에 앱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사선 작업 환경 또는 방사선 의료 환경에 속해 있는 사람의 특정 신체 부위 별 방사선 피폭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 피폭량 측정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방사선 측정 장치
110: 방사선 감응부
120: 전하 수집부
130: 제 1 제어부
140: 제 1 통신부
200: 모니터링 장치
210: 제 2 통신부
220: 제 2 제어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2)

  1.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 가능한 패치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부착되어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방사선 측정 장치; 및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는,
    방사선에 감응하여 전하를 발생시키는 방사선 감응부;
    상기 방사선 감응부에서 발생한 전하를 저장하는 전하 수집부;
    상기 전하 수집부에 저장되는 전하량을 측정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어 방사선 피폭 현장에서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방사선 피폭량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전하 수집부는,
    슈퍼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 내의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필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감응부는,
    페로브스카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슈퍼커패시터의 일정 이상 충전에 의하여 ON 스위칭되도록 MOSFET 기반의 회로화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측정된 전하량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측정된 전하량에 대응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는 상기 전하 수집부에서 수집 저장되는 이동 전하가 전원 공급에 사용됨으로써 손실되는 양을 감안한 것이고, 상기 제 2 통신부가 수신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가 수신하는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추출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방사선 피폭량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측정 장치는,
    플렉시블한 돔형 패치 형태로 구성되어 안구에 부착 가능하고,
    소수성 재질로 된 1차 코팅체로 먼저 감싸지고, 친수성 재질로 된 2차 코팅체로 상기 1차 코팅체의 적어도 일부 면이 감싸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12. 삭제
KR1020210004291A 2021-01-12 2021-01-12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74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91A KR102474979B1 (ko) 2021-01-12 2021-01-12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PCT/KR2021/001230 WO2022154157A1 (ko) 2021-01-12 2021-01-29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91A KR102474979B1 (ko) 2021-01-12 2021-01-12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70A KR20220102070A (ko) 2022-07-19
KR102474979B1 true KR102474979B1 (ko) 2022-12-06

Family

ID=8244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91A KR102474979B1 (ko) 2021-01-12 2021-01-12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4979B1 (ko)
WO (1) WO2022154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410B1 (ko) * 2023-08-31 2024-01-17 주식회사 파프리카랩 안구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306B1 (ko) * 2015-05-07 2016-10-2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JP2017090186A (ja) * 2015-11-09 2017-05-2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放射線検出器、及び放射線検出器の製造方法
JP2017192090A (ja) * 2016-04-15 2017-10-19 東芝電子管デバイス株式会社 放射線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531B1 (ko) * 2006-05-30 2006-11-28 (주)에스에프테크놀로지 개인선량계와 리더기간의 양방향 rf 통신을 이용한피폭·출입 관리장치 및 방법
JP5702786B2 (ja) * 2009-09-03 2015-04-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電流安定機能付き充電回路
JP2016507298A (ja) * 2013-02-01 2016-03-10 レンズウィスタ エージー コーティングが施された眼球レンズ及びその製造
KR101574076B1 (ko) 2015-05-19 2015-12-03 서울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작업자의 안전 및 피폭 관리 시스템
KR102166019B1 (ko) * 2019-04-02 2020-10-1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306B1 (ko) * 2015-05-07 2016-10-2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JP2017090186A (ja) * 2015-11-09 2017-05-2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放射線検出器、及び放射線検出器の製造方法
JP2017192090A (ja) * 2016-04-15 2017-10-19 東芝電子管デバイス株式会社 放射線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70A (ko) 2022-07-19
WO2022154157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69091B (zh) 放射学设备
KR102474979B1 (ko) 피부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EP3149437A1 (en) Ultraviolet light sensing
CA3016283C (en) A system for computing exposure to solar radiation of an individual
KR101670306B1 (ko)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01999887A (zh) 一种体温实时监测装置
KR100915217B1 (ko) 방사선관리구역의 이동 간 방사선측정 및 관제 시스템
Gomez et al. Precise, energy-efficient data acquisition architecture for monitoring radioactivity using self-sustainable wireless sensor nodes
JP5431122B2 (ja) 線量計
US20170248703A1 (en) Active dosimeter systems for real-time radiation dose measurements
CN207264795U (zh) 一种放射源复合定位承载装置
KR20200058837A (ko) 발열체를 구비한 방한 의류
ES2960495T3 (es) Sistema de monitorización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dispositivos portátiles y una unidad de control
KR102064362B1 (ko) 패치형 센서모듈
KR101191470B1 (ko) 방사선 개인선량계
KR102626410B1 (ko) 안구 부착형 방사선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모니터링 시스템
US20190033126A1 (en) Methods for guiding personal limit selection in uv dosimetry
KR101450170B1 (ko) 열형광선량계 사용 로그 기록기, 열형광선량계 사용 로그 기록 전송시스템 및 열형광선량계 사용 로그 기록 전송방법
JP3270067B2 (ja) 携帯測定装置及びデータ蓄積装置
JP2011099793A (ja) 生体情報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Bisegna et al. Prevention of UV radiation hazard
KR20240006747A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측위가 가능한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RU156907U1 (ru) Очки дополненной реальности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я радиационной обстановки
KR102665536B1 (ko) 실시간 개인 피폭선량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83729A (ko) 와이파이방식을 이용한 패치형 체온계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