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27B1 -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27B1
KR102474927B1 KR1020210094988A KR20210094988A KR102474927B1 KR 102474927 B1 KR102474927 B1 KR 102474927B1 KR 1020210094988 A KR1020210094988 A KR 1020210094988A KR 20210094988 A KR20210094988 A KR 20210094988A KR 102474927 B1 KR102474927 B1 KR 102474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fabric
washing
textile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김민지
송예빈
황지민
임시현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5Laser beam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93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 D06B11/0096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to get a faded l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님과 같은 직물을 워싱 가공하여 친환경적이고 다양한 패션아이템과 워싱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은, (S1) 레이저 조사기에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S2) 가공 대상 직물을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레이저 조사기가 상기 (S1) 단계에서 입력된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으로 상기 테이블 상의 가공 대상 직물에 레이저를 방출하여 직물의 일정 영역을 워싱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Method of Laser Washing Treatment for Textile}
본 발명은 직물을 워싱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님(denim), 벨벳, 인조가죽, 스웨이드와 같은 직물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워싱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청바지 등을 즐겨 입는 소비자들은 새로 구입한 청바지라 할지라도, 그 외관이 오래되고 낡은 듯하게 보이는 것(이를 '구제바지'라 칭함)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청바지 제조업자들은 직물에 염색하여 제조한 의류를 특수 처리하여 낡고 바랜 듯한 의류로 재 가공하여 판매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직물을 탈색 또는 연마시키는 종래 기술로서는 스톤워싱(stone washing), 케미컬워싱, 바이오워싱 등 많은 종류의 방법이 있다.
스톤워싱 방법은 화산석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척하는 방법인데, 상기 화산석의 소모량, 작업의 번잡함, 원가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케미컬워싱, 바이오 워싱 등 화학적인 방법에 의할 경우 화학반응에 의해 탈색 또는 워싱에 있어서 정밀 탈색 등에 문제점이 있으며, 반복 작업 시 균일한 작업이 힘들고, 공정에 의한 부산물 발생이 심각하며 생산 후 배출되는 오염수가 많아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64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758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님과 같은 직물을 워싱 가공하여 친환경적이고 다양한 패션아이템과 워싱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은, (S1) 레이저 조사기에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S2) 가공 대상 직물을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레이저 조사기가 상기 (S1) 단계에서 입력된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으로 상기 테이블 상의 가공 대상 직물에 레이저를 방출하여 직물의 일정 영역을 워싱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기는 인그레이브(Engrave) 출력값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직물을 레이저 워싱 가공한다.
상기 (S3) 단계 후 워싱 가공된 부분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영역에 저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급냉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에 의해 워싱 가공된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으로 워싱 가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패션아이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여러가지 직물 시료에 대한 레이저 워싱 가공 후의 두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여러가지 직물 시료에 대한 레이저 워싱 가공 후의 무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여러가지 직물 시료에 대한 레이저 워싱 가공 후의 인장강신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여러가지 직물 시료에 대한 레이저 워싱 가공 후의 인장강도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여러가지 직물 시료에 대한 레이저 워싱 가공 후의 신도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여러가지 직물 시료에 대한 레이저 워싱 가공 후의 표면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을 후술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은 (S1) 레이저 조사기에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S2) 가공 대상 직물을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레이저 조사기가 상기 (S1) 단계에서 입력된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으로 상기 테이블 상의 가공 대상 직물에 레이저를 방출하여 직물의 일정 영역을 워싱 가공하는 단계, 및 (S4) 워싱 가공된 부분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영역에 저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급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레이저 조사기의 제어부에 직물에 조사될 레이저의 출력값과 직물에 가공하고자 하는 워싱 패턴에 대한 그래픽 파일을 입력한다. 이 때 레이저 조사기의 출력값은 인그레이브(Engrave) 출력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출력 조건이 레이저 조사기의 제어부에 입력되면, 가공 대상 직물, 예를 들어 데님 바지나 데님 자켓을 레이저 조사기의 테이블 상에 올려 놓고, 레이저 조사기의 레이저 헤드를 직물에서 워싱 가공을 하고자 하는 부분에 정렬한다(단계 S2).
이와 같이 레이저 조사기의 테이블 상에 가공 대상 직물이 놓여져 정렬되면, 레이저 조사기가 레이저 헤드를 통해 테이블 쪽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가공 대상 직물의 일정 영역을 워싱 가공한다(단계 S3).
이러한 레이저 워싱 가공에 의해 직물에 열이 발생하게 되며, 직물의 섬유 조직에 훼손이 발생하여 인장강도가 약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레이저 워싱 가공(단계 S3) 직후에 직물의 워싱 가공된 부분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영역에 저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급냉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
즉, 레이저 워싱 가공에 의해 직물의 섬유가 훼손된 부분이 급냉되면, 섬유 조직이 치밀해지면서 인장강도가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레이저의 워싱 가공 시 레이저 강도 변화에 따른 무게 및 두께 변화, 인장강신도 변화, 표면색 변화를 측정하였다.
레이저 워싱 가공에 사용된 레이저 조사기는 파워소스가 60W/80W 이며, 워싱 가공 방법은 인그레이빙 가공 방식을 선택하고, 가공 강도(engraved power)는 11P, 13P, 15P, 17P, 19P를 선택하였다.
직물의 두께와 무게는 KS K 0514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두께(T)는 압력 0.5g/㎠ 일 때의 두께(㎜)이고, 무게(W)는 시료의 단위면적당 무게(g/㎠)로 표시된다. 사용된 시료는 5×5(㎝)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된 것이다.

시료
engraved power
Raw Power 11 Power 13 Power 15 Power 17 Power 19
BD 0.72 0.73 0.67 0.58 0.53 0.48
BBD 0.75 0.72 0.66 0.57 0.49 0.49
LBD 1.41 1.41 1.36 1.29 1.24 1.18
LT 0.75 0.76 0.70 0.63 0.56 0.48
SD 0.96 0.99 0.95 0.87 0.78 0.75
VL 0.62 0.58 0.58 0.50 0.44 측정불가
표 1에서 시료 이름이 BD로 된 것은 Blue Denim, BBD는 Blue Black Denim, LBD는 Light Blue Denim, LT는 Leather, SD는 Suede, VL은 Velvet을 나타낸다.
위의 표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두께 측정 결과, Denim 소재의 직물에서 레이저 워싱 가공 후 두께변화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Leather 소재와 Suede 경우 레이저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이 11에서 두께가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무게 측정 결과 Denim 소재의 직물에서 레이저 워싱 가공 후 무게께변화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인장강신도 시험은 SHIMADZU 인장강신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강도(%)와 신도(%)를 측정하였다.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는 인장강신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데님(BD, BBD, LBD) 소재와 Velvet(VL)의 경우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값이 커질수록 신도 및 인장강도는 감소한다. 그리고 Suede(SD)는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값이 커질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했다가 증가했으며, Leather(LT)는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이 11로 가공한 시료를 제외하고는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값이 커질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의 시료에 대한 표면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면색 변화는 측색기(X-Rite, Ci64, US)를 사용하여 광원 D65 광원, 10 시야에서 표면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표면색 변화는 BD 및 BBD의 경우 LBD와 다르게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값이 커질수록 L*값이 증가하여 명도가 높아졌고, b*값이 증가하여 노란빛을 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BD 와 LBD의 경우,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값이 커질수록 a* 값이 감소하여 점차 녹색빛을 띄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공전 L*값이 낮았던 BD와 BBD는 가공후 Power값이 커질수록 명도가 높아졌고, 가공전 L*값이 높았던 LBD는 가공 후 별다른 명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가공 후 Power값이 커질수록 L*값과 b*값이 증가하여 명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워싱 가공 후에 직물의 두께 및 무게가 감소하며, 인장강도와 신도는 인그레이브 출력(engraved power)값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물의 표면색은 레이저 워싱 가공 후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BD : Blue Denim BBD : Blue Black Denim
LBD : Light Blue Denim LT : Leather
SD : Suede VL : Velvet

Claims (4)

  1. (S1) 레이저 조사기에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
    (S2) 가공 대상 직물을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단계;
    (S3) 상기 레이저 조사기가 상기 (S1) 단계에서 입력된 출력값과 레이저 조사 패턴으로 상기 테이블 상의 가공 대상 직물에 레이저를 방출하여 직물의 일정 영역을 워싱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S3) 단계 후 워싱 가공된 부분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영역에 저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급냉시키는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기는 인그레이브(Engrave) 출력값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직물을 레이저 워싱 가공하는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에 의해 워싱 가공된 직물.
KR1020210094988A 2021-07-20 2021-07-20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KR102474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88A KR102474927B1 (ko) 2021-07-20 2021-07-20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88A KR102474927B1 (ko) 2021-07-20 2021-07-20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927B1 true KR102474927B1 (ko) 2022-12-06

Family

ID=8440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988A KR102474927B1 (ko) 2021-07-20 2021-07-20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452A (ko) 2003-04-07 2003-05-09 주식회사 대원하이테크 레이저빔을 이용한 청바지 가공방법
KR100727583B1 (ko) 2006-12-15 2007-06-14 신정식 레이저 샌딩을 이용한 사진 또는 이미지가 새겨진 데님의류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데님의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452A (ko) 2003-04-07 2003-05-09 주식회사 대원하이테크 레이저빔을 이용한 청바지 가공방법
KR100727583B1 (ko) 2006-12-15 2007-06-14 신정식 레이저 샌딩을 이용한 사진 또는 이미지가 새겨진 데님의류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데님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 CO2 laser treatment as a clean process for treating denim fabric
CN110167708B (zh) 具有对激光精加工的增强响应特性的织物
US201502982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terning using a laser
US20150079359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pattern used to process a surface of a fabric through laser irradiation, and fabric created thereby
Khalil Sustainable and ecological finishing technology for denim jeans
Unal et al. Sustainability in textile design with laser technology
EP1684974B1 (en) Sculptured and etched polyester textile having shade contrast corresponding to surface etched regions
Samanta et al. Environmentally friendly denim processing using water-free technologies
KR102474927B1 (ko) 직물의 레이저 워싱 가공 방법
US20180010293A1 (en) Method of dyeing knitted fabrics, and fabric and vamp fabric with predetermined color using the same
Dudeja Laser application in apparel industry
Ahmad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laser fading of denim: a critical review
CN109844217B (zh) 用于局部标记衣物的方法
US20010025835A1 (en) Camouflage denim products
Khoa et al. Application of CO2 laser technology in creating whisker and handsand effects on denim wash
Hung et al. Application of laser technology
Kan et al. Color fading of indigo-dyed cotton denim fabric by laser
Liu et 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induced decolorisation of cotton knitted fabric dyed with reactive dye
Siddique et al. Optimization of discharge printing of indigo denim using potassium permanganate via response surface regression
Othman et al. Different Printing Techniques for Printing Denim Fabrics
Nofal et al. Application of Carbon Dioxide Laser Irradiation in Engraving Polyester and Cotton-Based Textiles
Morgan et al. The effect of CO2 laser irradiation on surface and dyeing properties of wool for textile design
Venkatraman Carbon dioxide laser as a sustainable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 on denim fabric: evaluation of colour and durability
Uysaler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preparation processes on CO2 laser-faded denim fabric quality
Hassabo et al. Denim manufacturing and washing as a fashioned gar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