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552B1 -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 Google Patents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552B1
KR102474552B1 KR1020210037838A KR20210037838A KR102474552B1 KR 102474552 B1 KR102474552 B1 KR 102474552B1 KR 1020210037838 A KR1020210037838 A KR 1020210037838A KR 20210037838 A KR20210037838 A KR 20210037838A KR 102474552 B1 KR102474552 B1 KR 10247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facility
risk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2817A (en
Inventor
이윤래
Original Assignee
(주)하이라인닷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라인닷넷 filed Critical (주)하이라인닷넷
Priority to KR102021003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552B1/en
Publication of KR2022013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8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얻어지는 지진 발생 정보와 지진 발생 후 얻어지는 액상화 값을 반영한 쉐이크맵을 반영하여 각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통합하고 현재 운영 중인 국토지반정보와 연계하여 응급대응방안 등을 제공하여 재난대응 의사결정자에게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지진 발생 시 시설물 관리자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시설물별 EAP를 제시하여 담당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행동이 가능한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facility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dispersed by each institution by reflecting the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and the shake map reflecting the liquefaction value obtained after the earthquake occurs, and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ly operating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emergency response measures, etc. Provides basic information to disaster response decision makers, and proposes EAP for each facility for active response by facility manag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case of an earthquake, enabling the person in charge to take prompt and accurate earthquake risk-based shake maps It's about the response system.

Description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Earthquake response system using risk-based shake map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본 발명은 지진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얻어지는 지진 발생 정보와 지진 발생 후 얻어지는 액상화 값을 반영한 쉐이크맵을 반영하여 각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통합하고 현재 운영 중인 국토지반정보와 연계하여 응급대응방안 등을 제공하여 재난대응 의사결정자에게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지진 발생 시 시설물 관리자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시설물별 EAP를 제시하여 담당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행동이 가능한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 respons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ntegrates facility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distributed by each institution by reflecting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and a shake map reflecting liquefaction values obtained after an earthquake occurs, and is currently operated. Basic information is provided to decision makers for disaster response by providing emergency response plans in connection with geotechnical information in progress, and EAP for each facility is presented for active response by facility manag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so that the person in charge can quickly and accurately It is about an earthquake response system using an actionable risk-based shake map.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으로 인한 대규모의 인명피해와 시설물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많은 구조물들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한반도는 유라시아판의 안쪽에 위치하여 주변국에 비해 그동안 지진 안전지대로 평가되어 왔으나, 최근 크고 작은 지진 발생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고, 2017년 경상북도 포항에서는 규모 5.4의 계기지진 관측 이래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였다.Recently, large-scale human casualties and facility damages due to earthquakes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around the world, and many structures that perform core functions in society as a whole are being damaged. Since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inside the Eurasian plate, it has been evaluated as an earthquake-safe zone compared to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the frequency of large and small earthquakes is increasing recently, and it is the second largest since the observation of an instrumental earthquake of magnitude 5.4 in Pohang, Gyeongsangbuk-do in 2017. of earthquakes occurred.

이에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같이 여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난/재해를 인지 및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Accordingly, in Korea, as in advanced countries, various studies to recognize and predict disasters/disasters using various data have begun to be discussed in earnest.

미국 Purdue 대학에서 개발한 재난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인 DIMSuS (Disaster Mitigation Support System)[5]는 지역사회 및 산업사회의 활동이 도로, 제방, 전력, 가스, 전기통신 등 주요 인프라에 의존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한 중요도와 재해로 인해 사회 및 산업에 가해지는 위험의 정도를 주요 시설물의 상태 및 확률에 의한 위험도를 산출하여 개발되었다. DIMSuS (Disaster Mitigation Support System)[5], a disaster decision support system developed by Purdue University in the US, quantitatively measures the degree to which community and industrial society activities depend on major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levees, electricity, gas, and telecommunications. It was developed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risk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probability of major facilities for the degree of risk posed to society and industry due to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disasters indicated by .

그러나 DIMSuS는 대상 지역의 피해규모 파악과 이에 근거한 의사결정 지원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DIMSuS has a problem in that it lacks the scale of damage in the target area and decision-making support based on 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진 발생시 얻어지는 지진 발생 정보와 지진 발생 후 얻어지는 액상화 값을 반영한 쉐이크맵을 반영하여 각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통합하고 현재 운영 중인 국토지반정보와 연계하여 응급대응방안 등을 제공하여 재난대응 의사결정자에게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지진 발생 시 시설물 관리자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시설물별 EAP를 제시하여 담당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행동이 가능한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facility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dispersed by each institution by reflecting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and a shake map reflecting liquefaction values obtained after an earthquake, and to integrate the currently operated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ers by providing emergency response plans, etc., and present EAP for each facility for active response by facility manag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so that the person in charge can take prompt and accurate action based on risk To provide an earthquake response system using a shake map of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은, 지진 발생 당시 및 지진 발생 이후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 지진 재난의 영향이 높은 시설물을 선별하여 지진 재난 대응의 우선 순위를 제공하고, 지진 재난 발생시 인명대피 및 보호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시설물을 선정하는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에 의하여 선정된 결과와 관심 지역의 현재 지진 재난 단계 별로 대응 방안을 실시간으로 표출 확산하는 원스탑(one-stop) 모바일 지원 확산 모듈;을 포함한다.An earthquake response system using a risk-based shake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includes an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that collects and pre-processes related big data at the time and after an earthquake occurs; A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that prioritize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by selecting facilities highly affected by earthquake disasters and selects facilities that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for evacuation and protectio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disaster; and a one-stop mobile support spreading module that expresses and spreads in real time the result selected by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and the countermeasures for each stage of earthquake and disaster in the region of interest.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은, 침하 감지기, 센서/변위 감지기 및 지진 계측기에서 감지된 지진 정보를 포함하는 지진 발생 정보 데이터 베이스; 지진 발생 후 지반의 액상화 정도를 측정하여 지도에 표시한 쉐이크맵을 생성하는 쉐이크맵 생성 모듈; 시설물 아이디, 시설물명칭, 주소, 좌표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 상기 시설물 아이디별 시설물 구분, 시설물 등급, 중요도 순위, 중요도 등급, 기능적 위험도, 구조적 위험도 및 종합 위험도를 포함하는 중요도/위험도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includes an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database including earthquake information detected by a subsidence detector, a sensor/displacement detector, and an earthquake measuring instrument; A shake map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shake map displayed on a map by measuring the degree of liquefaction of the ground after an earthquake occurs; a facility information database including data such as facility ID, facility name, address, and coordinate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importance/risk database including facility classification by facility ID, facility grade, importance order, importance grade, functional risk, structural risk, and overall risk.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진 발생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침하 계측, 변위 계측, 가스 누출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arthquake generation information database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settlement measurement, displacement measurement, and gas leakag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쉐이크맵 생성 모듈은, 해당 지역을 1×1km 크기의 격자 형태로 나누는 격자 생성 모듈; 각 격자의 중앙을 굴착 및 지반 조사하여 액상화 값을 산출하는 액상화 값 산출 모듈; 각 격자 별로 산출된 액상화 값을 기준으로 해당 격자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고 지도에 표시하는 위험 단계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ke map generation module may include a grid generation module dividing a corresponding region into a grid having a size of 1×1 km; A liquefaction valu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liquefaction value by excavating and examining the center of each gri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isk level display module that determines the risk level of the grid based on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ed for each grid and displays it on a map.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화 값 산출 모듈은, 지층별 N값, 토질 종류, 밀도를 수집하고, 수치해석을 통해 지진 강도에 따른 액상화 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ion module collects the N value, soil type, and density for each stratum, and calculates the liquefaction value according to the earthquake intensity through numerical analysi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에는, 공간 도시 정보 인벤토리와 정원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데이터 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space database including a space city information inventory and garden spac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은, 각 시설물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고, 시설물 등급을 단계별로 나누어 검색하며, 시설물 순위 별로 평가점/ 등급을 표출하는 지진 중요도 평가 모듈; 주요 대상 시설물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각 시설물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며, 기본 정보, 지진 정보를 반영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표출하는 지진 위험도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includes an earthquake importance evaluation module that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ach facility, searches by dividing the facility grade into stages, and expresses an evaluation point/grade for each facility rank;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arthquake risk assessment module that provides a main target facility information interface,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ach facility, and evaluates and expresses the risk level by reflecting basic information and earthquak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본 정보는 수신 시간, 주소, 좌표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information is reception time, address, coordinate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스탑 지원 확산 모듈은 FCM(Firebase Cloud Messaging)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stop supporting diffusion module is preferably implemented using Firebase Cloud Messaging (FCM) technology.

본 발명의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얻어지는 지진 발생 정보와 지진 발생 후 얻어지는 액상화 값을 반영한 쉐이크맵을 반영하여 각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통합하고 현재 운영 중인 국토지반정보와 연계하여 응급대응방안 등을 제공하여 재난대응 의사결정자에게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지진 발생 시 시설물 관리자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시설물별 EAP를 제시하여 담당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행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arthquake response system using the risk-based shake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and the shake map reflecting the liquefaction value obtained after the earthquake occur are reflected to integrate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distributed by each institution, and the current Basic information is provided to decision makers for disaster response by providing emergency response plans in connection with operating geotechnical information, and EAP for each facility is presented for active response by facility manag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so that the person in charge can quickly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t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데이터 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인벤토리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ER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탑 지원 확산 모듈에 의하여 표출되는 화면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생성 모습을 도시하는 화면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좌표의 생성 및 저장 화면 예시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arthquake response system using a risk-based shake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ER diagram based on an inventory provided by a spatial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a one-stop supporting diffu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how a grid is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grid coordinate generation and storag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110),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120) 및 원스탑 모바일 지원 확산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earthquake response system 100 using the risk-based shake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processing module 110, a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120, and one-stop mobile support diffusion It consists of a module 130.

먼저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110)은 지진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구성요소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하 감지기(141), 지진 계측기(142)를 비롯한 센서/변위 감지기 등의 지진 감지부(140)에서 감지되는 지진 발생 당시 얻어지는 지진 발생 관련 빅데이터 뿐만 아니라 지진 발생 이후 얻어지는 지반의 액상화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120)에서 제공되는 정보까지 총 망라하여 저장하고 전처리하는 것이다. First,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110 is a component that collects and preprocesses earthquake-related big data, an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o big data related to earthquakes obtained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detected by the earthquake detection unit 140 of the back, data related to liquefaction of the ground obtained after an earthquake occurred,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120 are all covered and stored. and pre-processing.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110)을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 정보 데이터 베이스(111), 시설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112), 중요도/위험도 데이터 베이스(113), 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114) 및 쉐이크맵 생성 모듈(11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110 is specifically configured as shown in FIG. ), a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14 and a shake map generation module 115.

먼저 상기 지진 정보 데이터 베이스(111)는 상기 침하 감지기(141), 센서/변위 감지기 및 지진 계측기(142)에서 감지된 각종 지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전달받아서 전처리하고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지진 정보 데이터 베이스(111)에는 예를 들어 침하 계측 raw data, 변위 계측 raw data, 지진계측 raw data, 가스 누출 raw data 등이 저장된다. First, the earthquake information database 111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preprocesses, and stores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types of earthquak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ttlement detector 141, the sensor/displacement detector, and the earthquake measuring instrument 142. Accordingly, the earthquake information database 111 stores, for example, settlement measurement raw data, displacement measurement raw data, earthquake measurement raw data, and gas leakage raw data.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112)는 관할 지역의 시설물 아이디, 시설물명칭, 주소, 좌표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들이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시설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112)에는 각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통합하여 각 시설물 별로 명칭, 주소, 좌표 등의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이다. Next, the facility information database 112 is a component for storing facility information including data such as facility ID, facility name, address, and coordinates in the jurisdictional area. That is, in the facility information database 112, facility information and space information distributed for each institution are integrated, and data such as names, addresses, and coordinates are matched and stored for each facility.

다음으로 상기 중요도/위험도 데이터 베이스(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1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상기 시설물 아이디별 시설물 구분, 시설물 등급, 중요도 순위, 중요도 등급, 기능적 위험도, 구조적 위험도 및 종합 위험도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저장한다. Next, as shown in FIG. 1, the importance/risk database 113 is installed in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110, and the facility ID provided by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120. Information including facility classification, facility class, importance ranking, importance class, functional risk level, structural risk level, and overall risk level is stor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도시 정보 인벤토리와 정원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114)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114)는 관할 지역 내의 시설물들 중 피해 영향이 큰 시설물과 활용도 높은 시설물들을 내진설계 유무, 구조 형식, 시설물 위치 및 용도, 노후도, 반/지형 특성 등으로 분류하고 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11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14 including a spatial city information inventory and garden spatial information. That is, the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14 classifies and selects facilities with high damage impact and facilities with high utilization among facilities within the jurisdiction by seismic design, structure type, facility location and use, deterioration, semi/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etc. to construct the database.

도 2에서는 이러한 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114)에서 제공하는 인벤토리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ER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2 shows an ER diagram based on the inventory provided by the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114.

다음으로 상기 쉐이크맵 생성 모듈(115)은 지진 발생 후 지반의 액상화 정도를 측정하여 지도에 표시한 쉐이크맵을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쉐이크맵 생성 모듈(115)은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 실제 지반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액상화값을 산출하고 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이다. Next, the shake map generation module 115 is a component that measures the degree of liquefaction of the ground after an earthquake occurs and generates a shake map displayed on a map. That is, the shake map generation module 115 calculates a liquefaction value obtained by examining the actual ground after an earthquake occurs and displays it on a map.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쉐이크맵 생성 모듈(115)을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생성 모듈(115a)과 액상화값 산출 모듈(115b) 및 위험 단계 표시 모듈(115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격자 생성 모듈(115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이크맵을 생성할 해당 지역을 1×1km 크기의 격자 형태로 나누어 격자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격자 생성 모듈(115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격자에 대해서 격자 좌표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여 좌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shake map generation module 115, as shown in FIG. make up First, as shown in FIG. 4 , the grid generating module 115a is a component that creates a grid by dividing a corresponding area to generate a shake map into a grid having a size of 1×1 km. And, as shown in FIG. 5 , the grid generation module 115a converts grid coordinates into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for the generated grid and stores the coordinate data in the database.

다음으로 상기 액상화값 산출 모듈(115b)은 각 격자의 중앙을 굴착 및 지반 조사하여 액상화 값을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액상화 값 산출 모듈(115 b)은 상기 격자 생성 모듈(115a)에 의하여 생성된 각 격자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각 격자에 대하여 1×1km 크기의 격자의 중앙 지점을 굴착하고 지반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각 격자의 액상화 상태를 조사하여 그 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Next,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ion module 115b is a component that calculates the liquefaction value by excavating and examining the ground at the center of each grid. That is,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ion module 115 b excavates a central point of a grid having a size of 1 × 1 km for each grid using the coordinate values of each grid generated by the grid generating module 115 a and performs a ground investigation. It is to investigate the liquefaction state of each lattice and calculate the value.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화 값 산출 모듈(115b)은 굴착 작업에 의하여 얻어지는 지층별 N값, 토질 종류, 밀도를 수집하고, 수치해석을 통해 지진 강도에 따른 액상화 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ion module 115b collects the N value, soil type, and density of each stratum obtained by excavation work, and calculates the liquefaction value according to the earthquake intensity through numerical analysis.

다음으로 상기 위험 단계 표시 모듈(115c)은 각 격자 별로 산출된 액상화 값을 기준으로 해당 격자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고 지도에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위험 단계 표시 모듈(115c)은 액상화값에 따른 위험 단계를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4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액상화값 산출 모듈(115b)에 의하여 산출되는 각 격자별 액상화값을 토대로 각 격자의 위험 단계를 판정하고 이를 색상을 달리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것이다. Next, the risk level display module 115c i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risk level of the grid based on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ed for each grid and displays it on a map. That is, the risk level display module 115c classifies the risk level according to the liquefaction value into four levels of attention, caution, alert, and serious, and calculates the liquefaction value for each grid calculated by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ion module 115b. Based on this, the risk level of each grid is determined and displayed on the map with different colors.

다음으로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110)과 연결되어 설치되며, 지진 재난의 영향이 높은 시설물을 선별하여 지진 재난 대응의 우선 순위를 제공하고, 지진 재난 발생시 인명대피 및 보호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시설물을 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서는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12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지진 중요도 평가 모듈(121)과 지진 위험도 평가 모듈(12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1,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12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110, and selects facilities highly affected by earthquake disasters to respond to earthquake disasters. It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priorities and selects facilities that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for evacuation and protectio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disaster.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120 may include an earthquake importance evaluation module 121 and an earthquake risk evaluation module 122.

먼저 상기 지진 중요도 평가 모듈(121)은 각 시설물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고, 시설물 등급을 단계별로 나누어 검색하며, 시설물 순위 별로 평가점/등급을 표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지진 중요도 평가 모듈(121)은 주요 대상 시설물 정보, 시설물 구분, 시설물 명칭, 시설물 등급 등의 시설물 정보와 중요도 항목, 평가 점수 및 평가 등급을 포함하는 중요도 정보를 표출하는 것이다. First, the earthquake importance evaluation module 121 is a component that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ach facility, searches by dividing the facility grade into stages, and expresses an evaluation point/grade for each facility rank. That is, the earthquake importance evaluation module 121 displays facility information such as main target facility information, facility classification, facility name, and facility grade, and importance information including importance items, evaluation scores, and evaluation grades.

다음으로 상기 지진 위험도 평가 모듈(122)은 주요 대상 시설물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각 시설물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며, 기본 정보, 지진 정보를 반영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표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지진 위험도 평가 모듈(122)은 기능적/구조적 위험도, 종합 위험도 등을 각 시설물 정보에 대응되도록 평가하여 표출하는 것이다. Next, the earthquake risk assessment module 122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main target facility information interface,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ach facility, and evaluates and expresses the risk by reflecting basic information and earthquake information. That is, the earthquake risk evaluation module 122 evaluates and displays functional/structural risk, comprehensive risk,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information.

이때 상기 기본 정보는 수신 시간, 주소, 좌표 등이다. At this time, the basic information is reception time, address, coordinates,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원스탑 모바일 지원 확산 모듈(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110)과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120)에 의하여 선정된 결과와 관심 지역의 현재 지진 재난 단계에 따른 대응 방안을 실시간으로 표출 확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원스탑(one-stop) 모바일 지원 확산 모듈(130)은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Push Notification 기술 적용하고,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앱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접속한 지역 또는 관심 지역의 현재 지진 재난 단계 및 해당 단계에 따른 대응 방안을 표출하고 지진 또는 위험 상황 발생시 관련 정보를 신속히 알림으로써 재난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 1, the one-stop mobile support expansion module 13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110, and the result selected by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120 It is a component that expresses and spreads the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current earthquake disaster stage in the region of interest in real time. That is, the one-stop mobile support diffusion module 130 applies Push Notification technology for minimizing transmission delay, and is an Android-based mobile app syste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by expressing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tages and promptly notifying related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or dangerous situation.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정보를 신속히 전파하기 위해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원스탑 지원 확산 모듈(130)은 FCM(Firebase Cloud Messaging)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one-stop support spreading module 130 is implemented using FCM (Firebase Cloud Messaging) technology so as to minimize transmission delay in order to quickly propagat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이러한 원스탑 지원 확산 모듈(130)에 의하여 표출되는 화면 예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the one-stop support spreading module 130 is as shown in FIG. 3 .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지원시스템
110 :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
120 :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
130 : 원스탑 모바일 지원 확산 모듈
140 : 지진 감지부
100: Earthquake response support system using risk-based shake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processing module
120: ground safety decision making module
130: one-stop mobile support expansion module
140: earthquake detection unit

Claims (4)

지진 발생 당시 및 지진 발생 이후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
지진 재난의 영향이 높은 시설물을 선별하여 지진 재난 대응의 우선 순위를 제공하고, 지진 재난 발생시 인명대피 및 보호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시설물을 선정하는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
상기 지반 안전 의사 결정 모듈에 의하여 선정된 결과와 관심 지역의 현재 지진 재난 단계 별로 대응 방안을 실시간으로 표출 확산하는 원스탑(one-stop) 모바일 지원 확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진 빅데이터 수집 처리 모듈은,
침하 감지기, 센서/변위 감지기 및 지진 계측기에서 감지된 지진 정보를 포함하는 지진 발생 정보 데이터 베이스;
지진 발생 후 지반의 액상화 정도를 측정하여 지도에 표시한 쉐이크맵을 생성하는 쉐이크맵 생성 모듈;
시설물 아이디, 시설물명칭, 주소, 좌표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 데이터 베이스;
상기 시설물 아이디별 시설물 구분, 시설물 등급, 중요도 순위, 중요도 등급, 기능적 위험도, 구조적 위험도 및 종합 위험도를 포함하는 중요도/위험도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쉐이크맵 생성 모듈은,
해당 지역을 1×1km 크기의 격자 형태로 나누는 격자 생성 모듈;
각 격자의 중앙을 굴착 및 지반 조사하여 지층별 N값, 토질 종류, 밀도를 수집하고, 수치해석을 통해 지진 강도에 따른 액상화 값을 산출하는 액상화 값 산출 모듈;
각 격자 별로 산출된 액상화 값을 기준으로 해당 격자의 위험 단계를 결정하고 지도에 표시하는 위험 단계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지원시스템.
An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module that collects and pre-processes related big data at the time and after the earthquake occurs;
A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that prioritize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by selecting facilities highly affected by earthquake disasters and selects facilities that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for evacuation and protectio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disaster;
A one-stop mobile support spreading module that expresses and spreads in real time the results selected by the ground safety decision-making module and the countermeasures for each stage of earthquake and disaster in the area of interest,
The earthquake big data collection processing module,
an earthquake generation information database including earthquake information detected by subsidence detectors, sensors/displacement detectors, and seismic instruments;
A shake map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shake map displayed on a map by measuring the degree of liquefaction of the ground after an earthquake occurs;
a facility information database including data such as facility ID, facility name, address, and coordinates;
Including; importance/risk database including facility classification by facility ID, facility grade, importance ranking, importance grade, functional risk, structural risk, and overall risk,
The shake map generation module,
A grid generation module that divides the area into grids with a size of 1 × 1 km;
A liquefaction value calculation module that excavates and surveys the center of each grid to collect N values, soil types, and densities for each stratum, and calculates liquefaction values according to earthquake strength through numerical analysis;
An earthquake response support system using a risk-based shake map comprising a risk level display module that determines the risk level of the grid based on the liquefaction value calculated for each grid and displays it on the ma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발생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침하 계측, 변위 계측, 가스 누출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도 기반의 쉐이크맵을 이용한 지진대응 지원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earthquake occurrence information database,
An earthquake response support system using a risk-based shake m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settlement measurement, displacement measurement, and gas leak information.
삭제delete
KR1020210037838A 2021-03-24 2021-03-24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KR102474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838A KR102474552B1 (en) 2021-03-24 2021-03-24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838A KR102474552B1 (en) 2021-03-24 2021-03-24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817A KR20220132817A (en) 2022-10-04
KR102474552B1 true KR102474552B1 (en) 2022-12-06

Family

ID=8360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838A KR102474552B1 (en) 2021-03-24 2021-03-24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5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32B1 (en)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An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the emergency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951B1 (en) * 2014-11-10 2016-07-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GIS-based real time earthquake prediction method
KR20160117766A (en) * 2015-03-31 2016-10-11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edicting and managing system of marine disasters thorugh analysing ocean information
KR101903879B1 (en) * 2017-02-17 2018-10-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seismic safety estimation for infrastruc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32B1 (en) * 2010-06-04 2010-10-25 이에스이 주식회사 An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the emergency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817A (en)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øvholt et al. Tsunami hazard and risk assessment on the global scale
Earle et al. Prompt Assessment of Global Earthquakes for Response (PAGER): A system for rapidly determining the impact of earthquakes worldwide
Del Negro et al. Living at the edge of an active volcano: Risk from lava flows on Mt. Etna
Pellicani et al. Rockfall trajectory modeling combined with heuristic analysis for assessing the rockfall hazard along the Maratea SS18 coastal road (Basilicata, Southern Italy)
KR1022660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making visualization for responding of earthquake disasters
Pollino et al. An open source GIS system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and post-event emergency management
Otake et al. Justification of possible casualty-reduction countermeasures based on global tsunami hazard assessment for tsunami-prone regions over the past 400 years
Yong et al. Seismic hazard and loss estimation for Central America
Thomas et al. A method for evaluating population and infrastructure exposed to natural hazards: tests and results for two recent Tonga tsunamis
Rivas-Medina et al. The role of GIS in urban seismic risk studies: application to the city of Almería (southern Spain)
KR102474552B1 (en)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Sciortino et al. Satellite A-DInSAR pattern recognition for seismic vulnerability mapping at city scale: insights from the L’Aquila (Italy) case study
Taubenböck et al. Assessing building vulnerability using synergistically remote sensing and civil engineering
Di Meo et al. Real time damage scenario and seismic risk assessment of Italian roadway network
Taubenböck The vulnerability of a city—diagnosis from a bird’s eye view
Huat et al. Slope hazard assessment in urbanized area
KR20210123036A (en) A support system for risk and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disastor decision
Thomas et al. A method for planning disaster risk management and calibrating disaster relief efforts: application to the 2009 and 2022 Tonga tsunamis
Skrame et al. Earthquake-resistant cities in Albania: The Seismic Microzonation Studies (SMS) and Limit Condition in Emergency (LCE) integrated approach
Intrieri et al. Sinkhole risk mapping and early warning: the case of Camaiore (Italy)
Goseberg et al. Highly-resolved numerical modeling of tsunami run-up and inundation scenario in the city of Padang, West Sumatra
Infante et al. Monitoring of strategic buildings in civil protection activities via remote sensing data
Azizi et al. Earthquake risk assessment using OpenQuake and GIS: A case study of Cyprus.
JP4704809B2 (en) Ground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and ground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Divakar et al. Land use exposure to deterministic seismic hazard in delhi national capital terri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