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292B1 -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292B1
KR102474292B1 KR1020200035074A KR20200035074A KR102474292B1 KR 102474292 B1 KR102474292 B1 KR 102474292B1 KR 1020200035074 A KR1020200035074 A KR 1020200035074A KR 20200035074 A KR20200035074 A KR 20200035074A KR 102474292 B1 KR102474292 B1 KR 10247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blood sugar
signal
blood glucos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292B9 (ko
KR20210118604A (ko
Inventor
빈인욱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20003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92B1/ko
Priority to JP2022549763A priority patent/JP7481036B2/ja
Priority to CN202180021977.XA priority patent/CN115297913A/zh
Priority to EP21776362.2A priority patent/EP4129362A4/en
Priority to US17/906,613 priority patent/US20230139426A1/en
Priority to PCT/KR2021/002893 priority patent/WO2021194131A1/ko
Publication of KR2021011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604A/ko
Priority to KR1020220165141A priority patent/KR2022016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92B1/ko
Publication of KR10247429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9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iabet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약액 주입 로직이 프로그램된 약액 주입 장치에 의해 측정된 혈당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혈당값들을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혈당 변화 패턴에 따른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OF INJECTING CHEMICAL SOLUTION AND COMPUTER PROGRAM}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장치와 같은 인슐린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인슐린 주입 장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액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인체에 주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 형태의 인슐린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인슐린 주입 장치는 환자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인슐린 주입 장치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설계된 주입량 프로그램의 제어대로 인슐린을 주입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인슐린 주입 장치에 의해 프로그램된 인슐린이 주입되게 되면 불의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린 주입 장치는 환자의 혈당값이 낮은 상황 등을 고려하여 인슐린을 주입할 필요성이 있다.
0001)특허공개번호 제2009-009507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약액 주입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제어 방법은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약액 주입 로직이 프로그램된 약액 주입 장치에 의해 측정된 혈당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혈당값들을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혈당 변화 패턴에 따른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혈당 변화 패턴에 따른 미래의 혈당값 및 변화 방향성을 고려하여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는 약액 주입 정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의 혈당값 또는 미래의 혈당값을 산출하고, 현재의 혈당값 또는 미래의 혈당값을 고려하여 약액 주입 로직의 재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정해진 제1 대기 시간이 만료된 경우에,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산출된 혈당 변화 패턴에 따른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을 고려하여 약액 주입 로직의 재개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약액 주입 로직 재개 신호 또는 약액 주입 로직 중지 신호를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정해진 제2 대기 시간이 만료된 경우에, 약액 주입 로직 재개 신호를 자동적으로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약액 주입 정지 신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정해진 주입 정지 기간 동안의 측정 혈당값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수신된 측정 혈당값이 정상 혈당 구간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 혈당값이 상기 정상 혈당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재개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로직이 프로그램된 약액 주입 장치와 통신하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주입 기능 제어부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시키고, 상기 주입 기능 제어부는 측정된 혈당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혈당값들을 시간에 따른 혈당 변화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혈당 변화 패턴에 따른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을 고려하여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 로직에 의해 인슐린 주입을 하는 과정에서,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을 기초로 약액 주입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입 기능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제어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6는 약액 주입의 주입 시간 구간, 주입 중지 시간 구간, 주입 재 시작 시간 구간 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입 기능 제어부(110)의 블록도이다.
주입 기능 제어부(110)는 주입 로직 로딩부(111), 주입 로직 실행부(112), 혈당 패턴 검출부(113), 주입 로직 변경부(114), 주입 로직 재활성화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로직 로딩부(111)는 주입 로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로딩할 수 있다. 주입 로직은 해당 사용자의 치료를 수행한 의료 기관의 서버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또는 주입 로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로딩한다는 것은 주입 로직을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시켜 실행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주입 로직 실행부(112)는 로딩된 주입 로직을 실행시킬 수 있다. 주입 로직은 주입 시점에 주입 용량의 약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말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주입 로직에 의해 인슐린 주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혈당값의 변화 패턴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약액 주입 장치 또는 원격의 혈당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혈당값들을 수신하고, 측정된 혈당값들을 기초로 혈당 변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혈당 변화 패턴은 혈당값들의 시간에 대한 변화를 표현하는 것으로, 제1 혈당값, 제2 혈당값이 측정된 경우, 제1 혈당값과 제2 혈당값의 시간에 대한 방향성, 혈당값이 상승하다가 하락하는 변곡점, 혈당값이 하락하다가 상승하는 변곡점, 기준 혈당값과의 차이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측정된 혈당값들을 기초로 혈당값들이 상승하는 방향성을 가지는지 또는 하락하는 방향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측정된 혈당값들을 기초로 생성된 혈당 변화 패턴을 통해 혈당값의 시간에 대한 변화하는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혈당 변화 패턴 및 과거의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미래의 하나 이상의 혈당값을 예측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제1 사용자의 혈당값들을 기초로 판단된 제1 혈당 변화 패턴 및 제1 사용자의 과거의 제2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제1 혈당 변화 패턴 이후의 미래의 혈당값을 예측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제1 사용자의 혈당값들을 기초로 판단된 제1 혈당 변화 패턴 및 제2 사용자의 제3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혈당 변화 패턴 이후의 미래의 혈당값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제2 혈당 변화 패턴 또는 제3 혈당 변화 패턴은 하나 이상의 혈당 변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혈당 변화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측정된 혈당값들에 대응하는 미래의 혈당값의 방향성 및 미래의 혈당값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의 혈당값, 제2 시점의 혈당값을 기초로 하되, 각 사용자의 누적된 과거의 혈당값의 변화 데이터인 혈당 변화 패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시점 이후의 미래의 제3 시점의 혈당값을 산출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제1 내지 제2 시점과 대응되는 시점들의 혈당값들 중에서, 동일한 혈당 변화 패턴을 가지는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된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미래의 제3 시점의 혈당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혈당 변화 패턴을 가지는 측정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 또는 타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미래의 혈당값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의 혈당 변화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측정된 혈당값들이 만드는 혈당 변화 패턴 외에 약액 주입 정보를 더 고려하여 대응되는 혈당 변화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측정된 혈당값이 정상 혈당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예측된 미래의 혈당값이 정상 혈당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미래 시점의 혈당값이 정상 혈당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따른 약액 주입 신호의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약액 주입 신호의 발생 신호는 해당 미래 시점에 앞서서 발생될 수 있다.
혈당 패턴 검출부(113)는 측정된 혈당값이 기 설정된 최소 혈당값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거나, 측정된 혈당값들을 기초로 획득된 혈당값의 방향성을 검출하거나, 측정된 혈당값들을 기초로 획득된 미래의 혈당값이 최소 혈당값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혈당 패턴 검출부(113)에 의해 수신된 혈당 패턴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대응되어 저장된 주입 로직 외에 다른 로직으로 약액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약액 주입을 중지시키거나 주입량 또는 주입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약액 주입을 변경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약액 주입을 변경하는 제2 신호를 다시 생성하는 경우에, 제1 신호로부터의 정해진 제1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제2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대기 시간은 제1 시간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약액 주입을 변경하는 신호들이 자주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혈당 변화 패턴을 통해 혈당 변화의 방향성 및 미래의 혈당값을 고려하여 약액 주입 중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재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예를 들어, 미래의 혈당값이 기 설정된 최소 혈당값 이하이고 혈당값의 변화의 방향성이 감소인 경우, 인슐린 주입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인슐린 주입을 중지시키는 주입 중지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혈당값은 일반적인 기준 혈당값 이상 또는 사용자의 평균 혈당값 사용자의 평균 혈당값과 관련된 신체 정보들인 예를 들어, 키, 몸무게, 생년월일, 혈액형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예를 들어, 미래의 혈당값이 기 설정된 시작 혈당값 이상이고 혈당값의 변화의 방향성이 증가인 경우, 인슐린 주입을 재개시키는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인슐린 주입을 중지시키는 주입 중지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약액 주입 중지 신호를 주입 컨트롤러를 거쳐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주입 로직 변경부(114)는 약액 주입 중지 신호가 발생된 이후에, 제2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약액 주입 재개 신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주입 로직 재활성부(115)가 실행될 수 있다. 제2 대기 시간은 제1 대기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약액 주입이 중지되어 사용자에게 건강 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 로직 재활성화부(115)는 혈당 변화 패턴을 기초로 기 저장된 주입 로직을 재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혈당 변화 패턴은 미래의 혈당값의 방향성,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로직 재활성화부(115)는 측정된 혈당값을 기초로 예측된 미래의 혈당값이 기준 혈당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주입 로직을 재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는 인슐린 등의 약액의 주입을 중지시키고 다시 시작하는 동작을 구현하여 예상하지 못한 저혈당 위험 또는 고혈당 위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프로세서(120)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의 주입 기능 제어부(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주입 기능 제어부(11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서버, 다른 사용자 단말기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에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가 주입 기능 게임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약액 주입 로직, 약액 주입 현황, 혈당값 현황, 이펙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5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저장된 그래픽 데이터, 시각 데이터, 청각 데이터, 진동 데이터를 주입 기능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주입 기능 제어부(110) 및 통신부(13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 입력부(140), 출력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원격의 장치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120), 입력부(140), 출력부(15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주입 기능 제어부(11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일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원격의 약액 주입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장치로부터 측정 혈당값을 수신하거나, 별도의 혈당 측정 장치를 더 구비하여 혈당값을 측정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 측정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제어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가 약액 주입 로직을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한다.
S12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가 약액 주입 로직에 의해서 약액 주입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S13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가 약액 주입 장치로부터 혈당값을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혈당값 측정 장치로부터 혈당값을 수신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혈당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S14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혈당값들을 기초로 혈당 변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혈당 변화 패턴은 혈당값들의 시간에 대한 변화를 표현하는 것으로, 제1 혈당값, 제2 혈당값이 측정된 경우, 제1 혈당값과 제2 혈당값의 시간에 대한 방향성, 혈당값이 상승하다가 하락하는 변곡점, 혈당값이 하락하다가 상승하는 변곡점, 기준 혈당값과의 차이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 변화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측정된 혈당값들에 대응하는 미래의 혈당값의 방향성 및 미래의 혈당값을 산출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제1 내지 제2 시점과 대응되는 시점들의 혈당값들 중에서, 동일한 혈당 변화 패턴을 가지는 측정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된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미래의 제3 시점의 혈당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혈당 변화 패턴을 가지는 측정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 또는 타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미래의 혈당값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의 혈당 변화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혈당값들이 만드는 혈당 변화 패턴 외에 약액 주입 정보를 더 고려하여 대응되는 혈당 변화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S15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 변화 패턴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기준은 혈당 변화 패턴의 정상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현재의 혈당값, 미래의 혈당값, 혈당값의 변화의 방향성 등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평가 기준은 측정된 혈당값들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평균 혈당값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가 기준은 사용자의 평균 혈당값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평가 기준은 사용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의 평균 혈당값들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그룹은 사용자와 관련된 기타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키, 몸무게, 생년월일, 혈액형, 성별, 나이, 직업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가 유사한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지수는 혈당 변화 패턴과의 관련성이 높은 지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의 키, 몸무게, 생년월일, 혈액형, 성별, 나이, 직업군 등을 기초로 사용자 그룹을 검색하고,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들의 평균 혈당값, 혈당 최저값, 혈당 최고값 등을 기초로 A 사용자의 약액 주입의 중지의 기준이 되는 최소 혈당값을 결정할 수 있다.
S16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측정된 혈당값을 기초로 주입 로직에 의한 주입되는 동안에 사용자의 혈당 변화 패턴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약액 주입 장치로 약액 주입 중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약액 주입 중지 신호는 약액 주입을 정해진 시간 동안 중지시키는 신호이고, 약액 주입 감소 신호는 약액 주입 용량을 감소 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약액 주입 중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는 이전의 약액 주입 변경 신호이 전송된 이후에 기 설정된 제1 대기 시간, 예를 들어, 30분, 10분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약액 주입 중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가 전송된 이후에 기 설정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약액 주입 재개 신호가 자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과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대기 시간 동안 측정된 혈당값을 다시 고려한 후속의 혈당 변화 패턴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 변화 패턴 및 후속의 혈당 변화 패턴을 고려하여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혈당 변화 패턴 및 후속의 혈당 변화 패턴이 모두 평가 기준을 만족하게 되면 약액 주입 중지 신호(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의 전송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혈당 변화 패턴 또는 후속의 혈당 변화 패턴이 대기 시간 이후에 평가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약액 주입 중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혈당 변화 패턴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는 횟수가 소정의 최소 횟수 값 이상인 경우에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중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로직을 로딩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요청 신호에 의해 수신된 약액 주입 로직을 임시 저장 메모리에 로딩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요청 신호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에 기록된 명령어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요청 신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S22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가 약액 주입 로직에 의해서 약액 주입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S23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가 약액 주입 장치로부터 혈당값을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혈당값 측정 장치로부터 혈당값들을 수신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입력에 의해 혈당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혈당값들을 수신할 수 있다.
S24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값들을 이용하여 제1 혈당 변화 패턴을 판단하고 제1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제1 미래의 혈당값을 예측할 수 있다.
S25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제1 미래의 혈당값이 제1 최소 혈당값 이하이고,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이 감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약액 주입 감소 신호는 약액 주입 로직에 포함된 주입량의 일부 만을, 예를 들어 50% 만을 주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S26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장치로 약액 주입 감소 신호를 전송한다.
S27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값들을 기초로 제2 혈당변화 패턴을 판단하고, 제2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제2 미래의 혈당값을 예측할 수 있다. S280, S29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미래의 혈당값이 제2 최소 혈당값 이하이고,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이 감소인 경우, 약액 주입 장치로 약액 주입 중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60 단계 이후에, S31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로직이 변경된 이후에는 사용자의 혈당값을 수신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값을 이용하여 혈당 변화 패턴을 판단하고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미래의 혈당값을 예측한다.
S32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미래의 혈당값이 최소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S340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미래의 혈당값이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약액 주입 장치로 최소 모드 주입 로직에 따른 주입 시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310 이후에,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미래의 혈당값이 정상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S345에서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미래의 혈당값이 정상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약액 주입 장치로 정상적인 주입 로직에 따른 주입 시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약액 주입 로직이 중지되거나 감소되는 등의 변경이 실행된 이후에, 약액 주입이 다시 시작되는 것을 2가지의 루트로 처리할 수 있다. 2가지의 루트는 미래의 혈당값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S310, S320, S330, S325, S345의 순서로 약액 주입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미래의 혈당값이 제1 최소 기준 값 이상이고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이 증가인 경우, 최소 모드 주입 로직으로 약액을 주입하고, 소정의 대기 시간 이후에 예측된 미래의 혈당값이 제2 최소 기준 값 이상이고 혈당값의 변화의 방향성이 증가인 경우, 정상 모드 주입 로직으로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인슐린 주입 로직에 의해 주입되어 혈당값이 과도하게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혈당 위험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그래밍된 약액인 인슐린 주입을 변경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혈당값, 미래의 혈당값, 혈당의 변화 방향성을 이용하여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을 주입하는 동안에 측정된 혈당값들, 미래의 혈당값, 혈당의 변화 방향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래밍된 약액 주입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는 약액 주입의 주입 시간 구간, 주입 중지 시간 구간, 주입 재 시작 시간 구간 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t11 시점에 제1 주입 로직에 의한 약액 주입을 시작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이 수행되는 동안에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값을 수신하여 혈당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혈당값이 기준 혈당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t12시점 이후 부터 약액 주입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약액 주입량 및 약액 주입 시점을 조정한 제2 주입 로직을 수신 받고(S1) t13 시점 이후에 제2 주입 로직에 의한 약액 주입을 시작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로직의 수행 중에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저 혈당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t21 시점에 제3 주입 로직에 의한 약액 주입 시작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이후에, 측정된 혈당값을 수신하고, 혈당값, 혈당값의 변화 패턴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혈당값 및 혈당값의 변화 패턴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t22), 약액 주입을 중지하는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이 중지된 이후에, 혈당값 및 혈당값의 변화 패턴을 검출하여 혈당값의 변화 패턴이 최소 기준 범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t23 시점부터 최소 모드 약액 주입을 재 시작할 수 있다. 재 시작 신호를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최소 모드 약액 주입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혈당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혈당값이 최소 혈당값 이상, 및 최고 혈당값 이하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판단 결과, 사용자의 혈당값이 최소 혈당값 이상, 및 최고 혈당값 이하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3 주입 로직에 의해 약액 주입 시작을 시작하는 신호를 t24 시점에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주입 시스템은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 및 약액 주입 장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주입되어야 하는 인슐린, 글루카곤, 마취제, 진통제, 도파민, 성장 호르몬, 금연 보조제 등의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약액 주입 로직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약액 주입 신호에 의해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사용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체내로 약액을 주입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주입되어야 하는 약액 등의 물질을 보관하는 수단, 정해진 주입량을 주입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물질을 보관하는 수단, 주입하는 수단 등을 활용하여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주입 신호 또는 약액 주입 로직에 따라 주입되어야 하는 주입량이 주입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별도의 주입 컨트롤러를 거쳐 수신될 수도 있다.
측정된 혈당값(주입 전의 측정된 혈당값, 주입 후의 측정된 혈당값,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된 측정된 혈당값) 및 주입된 실제 주입량 등의 정보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약액 주입 장치(200)는 장치 상태 메시지, 생체값 측정 메시지, 약액 주입 메시지 등을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약액 주입 장치(200)는 장치의 잔여 배터리 용량 정보, 장치의 부팅 성공 여부, 주입 성공 여부 등을 포함하는 장치 상태 메시지를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로 전달된 메시지들은 주입 컨트롤러를 거쳐 사용자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 역시 소정의 절차로 승인된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와만 통신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200)는 주입과 관련된 주입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주입 기능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주입 기능 제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200)는 주입 기능 제어부(110)을 통해 약액 주입 및 주입 중지, 주입 재 시작 등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시스템은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 약액 주입 장치(200a) 및 생체값 측정 장치(200b)와 통신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주입 장치(200a), 생체값 측정 장치(200b)는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 주입 장치(200a)로 주입 관련 신호를 전송하고, 생체값 측정 장치(200b)로부터 생체값 측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약액이 주입되는 동안 또는 약액이 주입되지 않는 동안 생체값 측정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혈당값 등의 생체값의 변화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100’)는 주입 컨트롤러(100a) 및 주입 기능 제어부(110)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주입 컨트롤러(100a)는 약액 주입 장치(20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약액 주입 장치(200a)로 인슐린 등의 약물의 주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약액 주입 장치(200a)로부터 혈당 등의 생체값의 측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측정된 생체값 및 약물의 주입과 관련된 제어 신호는 소정의 시간 구간에 대한 복수 회에 대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컨트롤러(100a)는 약액 주입 장치(200a)로 사용자의 현 상태를 측정하라는 지시 요청을 전송하고, 지시 요청의 응답으로 측정 장치(200b)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약액 주입 로직이 프로그램된 약액 주입 장치에 의해 측정된 혈당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혈당값들을 기초로 시간에 따른 제1 사용자의 현재 혈당 변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혈당 변화 패턴과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과거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미래의 혈당값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혈당 변화 패턴에 따른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 및 상기 미래의 혈당값을 고려하여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생성된 시점부터 제1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생성된 신호이고,
    상기 제1 대기 시간은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의 변경 빈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인, 약액 주입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는
    약액 주입 정지 신호 또는 약액 주입 감소 신호 중 하나인, 약액 주입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의 혈당값 또는 미래의 혈당값을 산출하고, 현재의 혈당값 또는 미래의 혈당값을 고려하여 약액 주입 로직의 재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정해진 제2 대기 시간이 만료된 경우에, 약액 주입 로직 재개 신호를 자동적으로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약액 주입 정지 신호가 발생된 시점으로부터 정해진 주입 정지 기간 동안의 측정 혈당값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가 수신된 측정 혈당값이 정상 혈당 구간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 혈당값이 상기 정상 혈당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재개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제어 방법.
  8.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약액 주입 로직이 프로그램된 약액 주입 장치와 통신하는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주입 기능 제어부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시키고,
    상기 주입 기능 제어부는
    측정된 혈당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혈당값들을 기초로 시간에 따른 제1 사용자의 현재 혈당 변화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혈당 변화 패턴과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과거 혈당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미래의 혈당값을 예측하고,
    상기 혈당 변화 패턴에 따른 혈당값의 변화 방향성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미래의 혈당값을 고려하여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을 변경하는 신호를 상기 약액 주입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생성된 시점부터 제1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생성된 신호이고,
    상기 제1 대기 시간은 상기 약액 주입 로직의 변경 빈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인, 약액 주입 제어 전자 장치.
KR1020200035074A 2020-03-23 2020-03-23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4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74A KR102474292B1 (ko) 2020-03-23 2020-03-23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2549763A JP7481036B2 (ja) 2020-03-23 2021-03-09 薬液注入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2180021977.XA CN115297913A (zh) 2020-03-23 2021-03-09 药液注入控制方法及计算机程序
EP21776362.2A EP4129362A4 (en) 2020-03-23 2021-03-09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MEDICINAL FLUID INJECTION
US17/906,613 US20230139426A1 (en) 2020-03-23 2021-03-09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injection of medicinal fluid
PCT/KR2021/002893 WO2021194131A1 (ko) 2020-03-23 2021-03-09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65141A KR20220166765A (ko) 2020-03-23 2022-11-30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74A KR102474292B1 (ko) 2020-03-23 2020-03-23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141A Division KR20220166765A (ko) 2020-03-23 2022-11-30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604A KR20210118604A (ko) 2021-10-01
KR102474292B1 true KR102474292B1 (ko) 2022-12-06
KR102474292B9 KR102474292B9 (ko) 2023-02-23

Family

ID=778923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074A KR102474292B1 (ko) 2020-03-23 2020-03-23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65141A KR20220166765A (ko) 2020-03-23 2022-11-30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141A KR20220166765A (ko) 2020-03-23 2022-11-30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39426A1 (ko)
EP (1) EP4129362A4 (ko)
JP (1) JP7481036B2 (ko)
KR (2) KR102474292B1 (ko)
CN (1) CN115297913A (ko)
WO (1) WO202119413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8982B2 (ja) * 2014-12-04 2019-10-09 メドトロニック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ード遷移を動作させる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注入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7281B2 (en) * 2005-02-01 2009-06-16 Medtronic Minimed, Inc. Algorithm sensor augmented bolus estimator for semi-closed loop infusion system
KR100945735B1 (ko) * 2007-08-13 2010-03-17 김태훈 인슐린 펌프 및 인슐린 펌프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제어 장치
KR100946712B1 (ko) 2008-03-04 2010-03-12 주식회사 유비케어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US9486580B2 (en) * 2014-01-31 2016-11-08 Aseko, Inc. Insulin management
CN104027867A (zh) * 2014-06-13 2014-09-10 杨力 便携式智能双功糖尿病治疗泵
KR101739007B1 (ko) * 2014-07-11 2017-05-24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 및 방법
CN104958077A (zh) * 2015-07-24 2015-10-07 珠海福尼亚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闭环式人工胰腺系统
AU2017216336B2 (en) 2016-02-05 2020-12-10 Animas Corporation Visualization and analysis tool for a drug delivery system
FR3056095B1 (fr) * 2016-09-21 2018-10-1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Systeme automatise de regulation de la glycemie d'un patient
CN110325954B (zh) * 2016-12-27 2023-05-30 德克斯康公司 用于使用特定于hcp的装置进行患者监测的系统和方法
KR20190021959A (ko) * 2017-08-24 2019-03-06 최장환 냄새를 이용한 혈당감지방식의 인슐린 투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8982B2 (ja) * 2014-12-04 2019-10-09 メドトロニック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ード遷移を動作させる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注入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39426A1 (en) 2023-05-04
WO2021194131A1 (ko) 2021-09-30
EP4129362A1 (en) 2023-02-08
EP4129362A4 (en) 2023-08-30
CN115297913A (zh) 2022-11-04
JP2023515458A (ja) 2023-04-13
KR20220166765A (ko) 2022-12-19
KR102474292B9 (ko) 2023-02-23
KR20210118604A (ko) 2021-10-01
JP7481036B2 (ja)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9354A1 (en) Insulin delivery methods, systems and devices
US112246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edicament delivery control algorithms
US20140309615A1 (en) Discretionary insuli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AU2015277339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delivering medication to a pati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minimize the risks associated with automated therapy
WO2013090709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delivering medication to a pati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minimize the risks associated with automated therapy
US20140142535A1 (en) Pump controller that checks operational state of insulin pump for controlling the insulin pump
US11986630B2 (en) Dual hormone delivery system for reducing impending hypoglycemia and/or hyperglycemia risk
RU2705053C2 (ru)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контрольного сигна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нтролирующего средства или модуля безопасности
JP2022122877A (ja) 食事イベントに関連したボーラスタイミングを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0504352A (ja) 将来の低血糖イベントのリスクを推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10259590A1 (en) Meal bolus subcategories in model based insulin therapy
KR102474292B1 (ko)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93007B1 (ko)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인슐린 펌프로부터 파라미터 값들을 획득하는 펌프 제어 디바이스
US20220392603A1 (en) Exercise safety prediction based on physiological conditions
EP4075440A1 (en) Meal bolus subcategories in model based insulin therapy
US20210205535A1 (en) Prediction of meal and/or exercise events based on persistent residuals
US20220062546A1 (en) Adjusting settings to different degrees of aggressiveness in an automated insulin delivery system based on quality of blood glucose level control by a user
US20220249773A1 (en) Techniques and devices for adaptation of maximum drug delivery limits
CA3166418C (en) Compensation for missing readings from a glucose monitor in an automated insulin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