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285B1 -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285B1
KR102474285B1 KR1020210172906A KR20210172906A KR102474285B1 KR 102474285 B1 KR102474285 B1 KR 102474285B1 KR 1020210172906 A KR1020210172906 A KR 1020210172906A KR 20210172906 A KR20210172906 A KR 20210172906A KR 102474285 B1 KR102474285 B1 KR 10247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ce
user
suctio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곤
Original Assignee
이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곤 filed Critical 이해곤
Priority to KR102021017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안면을 감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유동부;상기 공기유동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 안면 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유출부; 및 상기 커버부 내주면 원주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A FACE CLOSE-FITTING MASK THROUGH SUCTION}
본 발명은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의 안면밀착부 내부공기를 블로워팬을 통해 석션함으로써, 진공압에 의해 마스크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안면 밀착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과거와 달리 현대인들은 각종 유해가스, 황사, 미세먼지 등에 의해 호흡기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이는 산업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인류가 겪고 있는 현상이며, 산업의 발전과 도시의 편익이 발달함에 따라 그에 비례하여 대기 오염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기오염의 원인은 사막의 모래 폭풍, 화산 분화 등 자연적인 것과 공장의 폐가스, 연료의 연소 등 인위적인 것으로 나뉜다.
통상 자연적인 오염물질은 자연의 생리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고 일시적으로 발생되므로 인간의 호흡기 건강에 지속적인 큰 위협이 되지는 않는다.
다만, 인위적인 오염물질은 연료의 연소, 원자력을 이용한 핵에너지의 발생, 화학반응, 물리적 공정 및 자동차·항공기 등에서 배출되는데, 가장 주된 원인은 연료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여러 오염물질이고, 인간의 호흡기 건강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 중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질소(NO₂), 아황산가스(SO₂)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특히 이산화황(SO₂)의 경우 다른 대기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추가적인 2차 오염물질을 만들어낸다. 대기오염물질은 입자 크기에 따라 아황산가스나 일산화탄소 등 가스상 물질과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황사, 먼지바람, 꽃가루, 공기 중 세균, 산불, 화산폭발 등도 대기오염의 주원인이며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 청소현장, 특정물 제조 공장, 도색공장, 병원등의 공기오염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복합성분을 가진 대기 중 부유 물질로서, 직경 10㎛이하의 입자상 물질로, 주로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며, 특히 제조공장이나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다량이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이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주로 연소입자인 탄소, 유기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으로 구성되며, 호흡기 및 심혈관계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고 사망률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속에서 사람의 호흡기 건강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마스크 개발을 들 수 있다.
사람의 주된 호흡 계통은 코와 입이므로, 코와 입을 마스크로 보호하여 대기오염물질이 직접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 장치는 코와 입만을 보호하는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어 미세 먼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 장치는 외기를 정화하여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호흡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외부로 전파되어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마스크는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밴드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양 귀에 걸거나 두상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장시간 장착하는 마스크의 특성 상 상기 밴드가 피부에 염증을 발생시키거나 장착에 따른 불편함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눈과 호흡기를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필터링된 정화된 외기를 사용자 호흡기로 공급하고 사용자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차적으로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 내부 공기를 석션하여 밴드를 장착하지 않고도 진공압에 의해 마스크가 안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면 밀착형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10-0108837호 (2010년 10월 08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면을 감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유동부, 상기 공기유동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 안면 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유출부 및 상기 커버부 내주면 원주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밀착부는 상기 공기유출부의 블로워 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밴드를 장착하지 않고도 진공압에 의해 마스크가 안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는 안면을 감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유동부; 상기 공기유동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안면 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유출부; 및 상기 커버부 내주면 원주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면밀착부는, 일면이 안면에 밀착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밀착패드; 및 상기 밀착패드 일면에 통공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다수개의 통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공기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밀착패드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유동부는, 사용자의 호흡기 측을 향하는 위치에 통공된 다수개의 벤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유입부는. 외기 유입을 유도하는 제1팬; 및상기 제1팬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유입된 외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유출부는, 상기 커버부 내측 공기 및 상기 밀착패드 내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2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팬은, 일정 압력으로 상기 밀착패드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사용자의 안면에 상기 커버부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유출부는,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유입부는,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 및 상기 공기유동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는 상기 공기유출부와 인접한 커버부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유입한 후 유입된 외기를 상기 공기유출부로 이송하여 상기 공기유출부 외측으로 에어커튼을 조성하는 에어커튼조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에 의하면, 안면밀착부가 공기유출부의 블로워 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밴드를 장착하지 않고도 진공압에 의해 마스크가 안면에 용이하게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 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호흡기 뿐 아니라 사용자의 눈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 및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유출부에 필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터링된 정화 공기를 공급하고 사용자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도 이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호흡과정에서 외부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의 배출을 차단하여 바이러스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동부가 커버부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안면 하측을 향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벤트홀이 통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강 기류(down flow)에 의해 공기의 유동 및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구현되고 사용자의 호흡기측으로 필터링된 공기가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미세 벤트홀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강한 바람으로 인한 불쾌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외부공기 유입 후 공기유출부로 이송하여 공기유출부에서 외측으로 에어커튼을 조성하는 에어커튼조성부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공기유출부 유입을 방지하여 쾌적한 공기 공급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밀착부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3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조성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면밀착부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3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1)는 도 1,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 공기유동부(200), 공기유입부(300), 공기유출부(400), 에어커튼조성부(500) 및 안면밀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0)는 호흡기를 포함한 사용자의 안면 전체를 감싸거나 호흡기를 포함한 사용자의 안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부(100)는 사용자의 코, 입 등의 호흡기 계통을 포함하여 얼굴의 전체를 감싸도록 안착되고, 호흡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 골격 구조에 대응되도록 포물선을 그리며 라운딩 처리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 입 등의 호흡기 계통을 포함한 얼굴 일부를 감싸도록 안착되고, 호흡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 골격 구조에 대응되도록 포물선을 그리며 라운딩 처리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는 일반적인 밀착형 마스크와는 달리 안면에 일정 공간을 두도록 구성되어, 밀폐에 의한 답답함 없이도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는 재질이 비교적 연한 연성의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는 사용자의 얼굴 윤곽에 맞게 변형되며 잘 접촉될 수 있도록 유동성이 부여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200)는 상기 커버부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공기 유동을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부(200)는 상기 커버부(100)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 하측 즉, 사용자의 호흡기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유동부(200)는 커버부(100) 상단에 배치된 공기유입부(300)에서 유입된 공기가 사용자의 코나 입 측으로 하방 이동 후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관으로, 커버부(100)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어지는 길이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유동부(200)는 상기 공기유입부(300)로 유입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 상측 즉, 사용자의 눈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공기 공급을 받는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부(200)는 상기 커버부(100) 내주면에 단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00) 내주면 일측단 및 상기 커버부(100) 내주면 타측단에 형성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부(200)는 사용자의 안면 하측을 향하는 위치에 통공된 다수개의 벤트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트홀(210)은 미세 통공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급되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벤트홀(210)은 상기 공기유동부(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호흡기 측으로 필터링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유입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부(200)로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300)는 상기 공기유동부(200)와 연통된 상기 커버부(100) 일측에 단일로 구성되거나, 상기 공기유동부(200)와 연통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유입부(300)는 상기 커버부(100) 상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유입하고 필터링한 후 상기 공기유동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기 유입을 유도하는 제1팬(310) 및 상기 제1팬(31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유입된 외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은 상기 제1필터부재(320)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입부(300) 내부에 배치되어 외기의 유입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팬(310)은 서큘레이터를 통한 원활한 공기 공급이 가능한 블로워 팬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재(320)는 상기 공기유입부(300)에 구비된 필터부재로, 상기 제1팬(310)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입부(300)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된 외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필터부재(320)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초미세먼지 및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모두를 필터링하는 헤파 필터일 수 있으나, 상기 제1필터부재(320)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구조 및 방식을 제한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부(300)는 가열부재(330) 및 가습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30)는 상기 제1필터부재(320)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부재(330)는 상기 제1필터부재(320)와 이웃하는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필터부재(3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소정 길이로 배열된 열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열 온도는 34 ~ 38℃ 사이가 적당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온도범위는 사람의 체온 범위와 유사하므로 사용자가 뜨겁거나 차다고 느껴지지 않으며, 이 경우 필터링된 공기를 대략 3~4℃ 정도 상승시켜 공급하므로, 찬 공기로 인한 면역력 저하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습부재(340)는 상기 제1필터부재(320)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동부(200)로 유입되는 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부재(340)는 상기 제1필터부재(320)에서 정화된 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정화 공기가 적정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건조한 날씨나 또는 사용자가 감기등의 질병에 의해 일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재(340)은 오리피스관(341), 가습수조(342) 및 발열소자(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관(341)은 상기 공기유동부(200)로 이동하는 수증기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축경된 유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관(341)은 상기 오리피스관(34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에 따라 상기 가습부재(340)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수동적으로 상기 공기유동부(200)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관(341)은 관의 단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었다가 중앙부에서 최소 단면적이 되고, 다시 관의 단면적이 완만하게 확대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단면적을 작게 하여 압력 에너지가 속도 에너지로 바뀌는 것을 이용한 구조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관(341)을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후의 유속을 비교하면 상기 오리피스관(341)을 통과할 때 유속이 빨라지고 이에 따라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 가습수조(342)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저압의 오리피스관(341)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관(341)은 상기 제1필터부재(320)에서 필터링된 정화 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데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수증기가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습수조(342)는 일측에 초음파 진동자가 내설되고, 상기 오리피스관(341)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발열소자(343)는 상기 가습수조(342)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수조(342) 내 수분을 가열시켜 수증기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습수조(342) 및 상기 발열소자(343)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습수조(342) 및 발열소자(34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부재를 적용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재(340)는 사용자의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뿐 아니라 질병에 걸린 사용자에게 가습으로 인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유출부(400)는 안면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유출부(400)는 사용자의 호기를 포함한 상기 커버부(100) 내부의 공기 및 후술할 밀착패드(610) 내부 공기를 커버부(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커버부(100) 하측에 형성되고 배출되는 공기로 에어커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출부(400)는 상기 커버(100)부 내측 공기 및 상기 밀착패드(610) 내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2팬(410) 및 상기 제2팬(41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팬(410)은 상기 공기유출부(400)에 구비되는 팬으로, 상기 제2필터부재(420)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출부(40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유출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팬(4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호기를 포함한 커버부(100) 내부 공기 뿐 아니라 안면밀착부(600)의 밀착패드(610) 내부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팬(410)은 일정 압력으로 상기 밀착패드(610)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안면밀착부(600)의 진공압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상기 커버부(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팬(410)은 서큘레이터를 통한 원활한 공기 공급이 가능한 블로워 팬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재(420)는 상기 공기유출부(40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로, 상기 제2팬(410)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출부(400) 내부에 배치되어 유출될 외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필터부재(420)는 이물질이나 초미세먼지 및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 모두를 필터링하는 헤파 필터일 수 있으나, 상기 제2필터부재(420)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구조 및 방식을 제한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조성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커튼조성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출부(400)와 인접한 커버부(100) 내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공기 유입 후 상기 공기유출부(400)로 이송하여 상기 공기유출부(400)에서 외측으로 에어커튼이 조성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커튼조성부(500)는 상기 커버부(100) 내주면 일측에서 상기 공기유출부(400)로 이어지도록 돌출 형성된 에어커튼조성라인(510) 및 상기 에어커튼조성라인(510) 내부에 구비되어, 외기 유입을 유도하는 제3팬(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조성라인(510)은 상기 공기유출부(400)와 연통되는 상기 커버부(100) 하측에 일정 길이로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제3팬(520)에 의해 외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외기가 상기 공기유출부(400)로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공기유출부(400) 하단으로 에어커튼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조성라인(510)은 외기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511) 및 상기 공기유출부(400)와 연결된 일측에 구비되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유출부(400)로 배출시키는 다수개의 유출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커튼조성라인(510)은 상기 유입홀(511)로 외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외기가 상기 공기유출부(400)와 연통된 유출홀(511)로 배출되어 공기유출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에어커튼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팬(520)은 상기 유입홀(511)로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밀착부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면밀착부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면밀착부(6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00) 내주면 원주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면밀착부(600)는 커버부(100) 후방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호흡기 전방에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유출부(400)와 연통되어 제2팬(410)에 의해 내부 공기를 석션하여 진공압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안면밀착부(600)는 제2팬(410)의 가동에 따른 석션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밴드 없이도 마스크(1)가 사용자의 안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안면밀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 전체 형상의 커버부 내주면와 호흡기를 포함한 안면 전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면밀착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기를 포함한 안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형상의 커버부 내주면에 상기 커버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면밀착부(600)는 밀착패드(610) 및 통기공(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패드(610)는 일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안면밀착부(600)의 외장 하우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패드(610)는 사용자의 안면 둘레로 밀착되는 것으로, 연질 소재, 예컨대,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안면 골격을 따라 용이하게 굴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패드(610)는 상기 공기유출부(400)와 연결되어 제2팬(410)에 의해 밀착패드(610) 내부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진공압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기공(620)은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610) 일면에 구비되는 통공으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공(620)은 석션시 진공압에 의한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면밀착부(600)는 석션관(6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석션관(630)은 일단이 상기 밀착패드(610)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유출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밀착패드(610)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길이 방향의 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션관(630)은 상기 밀착패드(610)와 공기유출부(400)를 연결하는 관으로, 제2팬(410)의 작동에 의해 밀착패드(610) 내부의 공기가 공기유출부(400)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밀착패드(610) 내부의 공기압력을 감소시켜 진공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석션관(630)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에 의하면, 안면밀착부가 공기유출부의 블로워 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밴드를 장착하지 않고도 진공압에 의해 마스크가 안면에 용이하게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 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호흡기 뿐 아니라 사용자의 눈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 및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유출부에 필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터링된 정화 공기를 공급하고 사용자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도 이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호흡과정에서 외부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의 배출을 차단하여 바이러스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동부가 커버부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안면 하측을 향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벤트홀이 통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강 기류(down flow)에 의해 공기의 유동 및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구현되고 사용자의 호흡기측으로 필터링된 공기가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미세 벤트홀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강한 바람으로 인한 불쾌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외부공기 유입 후 공기유출부로 이송하여 공기유출부에서 외측으로 에어커튼을 조성하는 에어커튼조성부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공기유출부 유입을 방지하여 쾌적한 공기 공급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100 : 커버부 200 : 공기유동부
210 : 벤트홀 300 : 공기유입부
310 : 제1팬 320 : 제1필터부재
330 : 가열부재 340 : 가습부재
341 : 오리피스관 342 : 가습수조
343 : 발열소자 400 : 공기유출부
410 : 제2팬 420 : 제2필터부재
500 : 에어커튼조성부 510 : 에어커튼조성라인
511 : 유입홀 512 : 유출홀
520 : 제3팬 600 : 안면밀착부
610 : 밀착패드 620 : 통기공
630 : 석션관

Claims (8)

  1. 안면을 감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부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유동부;
    상기 공기유동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
    안면 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유출부; 및
    상기 커버부 내주면 원주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밀착부는,
    일면이 안면에 밀착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밀착패드; 및
    상기 밀착패드 일면에 통공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다수개의 통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공기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밀착패드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는,
    사용자의 호흡기 측을 향하는 위치에 통공된 다수개의 벤트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외기 유입을 유도하는 제1팬; 및
    상기 제1팬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유입된 외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부는,
    상기 커버부 내측 공기 및 상기 밀착패드 내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2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팬은,
    일정 압력으로 상기 밀착패드 내부 공기를 배출시켜, 사용자의 안면에 상기 커버부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부는,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 및
    상기 공기유동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부와 인접한 커버부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유입한 후 유입된 외기를 상기 공기유출부로 이송하여 상기 공기유출부 외측으로 에어커튼을 조성하는 에어커튼조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KR1020210172906A 2021-12-06 2021-12-06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KR10247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906A KR102474285B1 (ko) 2021-12-06 2021-12-06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906A KR102474285B1 (ko) 2021-12-06 2021-12-06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285B1 true KR102474285B1 (ko) 2022-12-05

Family

ID=8439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906A KR102474285B1 (ko) 2021-12-06 2021-12-06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2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007A (ja) * 1992-12-02 1994-06-21 Masayoshi Wayama エアマスク
KR20100108837A (ko) 2009-03-30 2010-10-08 유진곤 일회용 황사 마스크
KR20160000527U (ko) * 2014-08-01 2016-02-15 유클리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KR20200106666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를 이용한 질병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0956A (ko) * 2018-12-13 2021-10-07 이해곤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007A (ja) * 1992-12-02 1994-06-21 Masayoshi Wayama エアマスク
KR20100108837A (ko) 2009-03-30 2010-10-08 유진곤 일회용 황사 마스크
KR20160000527U (ko) * 2014-08-01 2016-02-15 유클리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KR20210120956A (ko) * 2018-12-13 2021-10-07 이해곤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20200106666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를 이용한 질병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884B1 (ko)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20220114502A (ko) 미세먼지 차단용 전면 마스크
KR102157371B1 (ko)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US20110126828A1 (en) Personal air purifier
JP2020505529A (ja) 空気から微粒子を除去する装置
KR20190021971A (ko) 스마트 마스크
JP2022546804A (ja) フェイスマスク
KR102192707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
KR102474285B1 (ko) 석션을 통한 안면 밀착형 마스크
WO2017089912A1 (en) Endo-nasal air purification system (enaps)
CN104826249A (zh) 一种三位一体多功能便携式防雾霾呼吸机
CN207220209U (zh) 具有独立呼吸腔的贴合型防霾智能口罩
CN107537103A (zh) 一种负压型口罩
JP2008212603A (ja) 新鮮空気吹き出しのサンバイザ−。
KR102274456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마스크장치
WO1997021466A1 (en) Breathing apparatus and nozzle therefor
CN104096327A (zh) 防颗粒物呼吸装置
KR20230114523A (ko) 내압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CN212395651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便携式空气调节设备
CN211537083U (zh) 一种暖通管道用过滤装置
KR20210065511A (ko) 밀착 능력이 향상된 보건 및 산업용 마스크
CN204655832U (zh) 一种三位一体多功能便携式防雾霾呼吸机
KR102447557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장치
KR102166281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장치
CN205598458U (zh) 一种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