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214B1 -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214B1
KR102474214B1 KR1020220083735A KR20220083735A KR102474214B1 KR 102474214 B1 KR102474214 B1 KR 102474214B1 KR 1020220083735 A KR1020220083735 A KR 1020220083735A KR 20220083735 A KR20220083735 A KR 20220083735A KR 102474214 B1 KR102474214 B1 KR 102474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ginine
oral composition
dentin
calcium carbonate
dentinal tub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현
Original Assignee
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현 filed Critical 성현
Priority to KR102022008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르기닌(Arginine)을 5 내지 10 wt%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독자적인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상아질 및 상아세관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마개(plug)를 견고하게 형성하며, 치아 밖 및 상아질 표면으로부터의 상아세관 침투, 봉쇄 및 광화(mineralization)를 통해 시린 이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Functional oral composition containing arginine to relieve dentin hypersensitivity}
본 발명은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아관 내 체액 흐름 변경(Dentinal Tubule Occlusion)을 통한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시린 이 증상 (상아질 과민증, Dentin Hypersensitivity; DH)은 법랑질로 쌓여 있는 치아표면이 열, 증발, 촉각, 삼투 또는 화학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마모되거나 깨져 상아세관이 노출되고 외부 자극에 취약해져 외부환경에 아주 민감한 치아가 되는 증상으로 노출된 상아질에서 발생하는 짧고 날카로운 통증으로 정의된다.
2010년에 수행된 광범위한 7개 유럽 국가의 젊은 성인 3500여명의 임상 조사와 자가 보고 설문지를 토대로 상아질 과민증 유병률이 평가되었다. 유럽의 젊은 성인 중 최대 42%가 시린 이 증상의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1)또한 국내에서도 2019년 기준 성인 3명 중 2명이 앓는 것으로 조사되는 만큼 흔히 발생하는 구강 건강 문제이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통증 이론은 Gysi(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2)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이후 Brㅴnnstrㆆm(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3-5)에 의해 입증된 유체역학 이론이다. 이것은 민감한 상아질이 상아세관의 자극 유발 유체 흐름과 치수/상아질 경계 영역에서의 결과적인 통각수용기 활성화에 기반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인체 연구에 따르면 상아세관의 개통(patency)은 시린 이 증상의 중요한 특성이며, 상아세관의 밀도와 노출된 치경부의 상아질 표면에서 유도되는 통증 반응 사이에 상당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발치된 치아에 대한 추가 연구는 민감하지 않은 치아와 비교하여 민감한 치아가 협측 (buccal) 치경부 (cervical) 상아질 부위에 8 배 더 많고 두배 더 넓은 세관을 갖는 가지고 있다는 강력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6) (도 1 및 도 2 참고).
시린 이 증상이 발생하려면 치아의 상아질 표면이 노출(Lesion localisation) 되어야 하는데, 이는 치경부의 법랑질 마모 또는 치은 퇴축에 의해 일어난다. 그 다음 서로 근접한 많은 상아세관의 개통, 상아세관이 치수에서 구강 환경으로 열리거나 개방(Lesion initiation)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산성 식품 또는 음료에 의해 일어난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치약은 시린 이 증상(상아질 과민증) 치료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제제이며 국내 상아질 과민증용으로 판매되는 대부분의 치약은 치수신경 반응(Pulpal Nerve Response)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칼륨 이온과 같은 탈 감작제는 세뇨관을 따라 확산되고 치수 주변의 칼륨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치수내 신경 흥분성을 감소시켜 치수내 신경 기능을 억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7)
하지만 최근 발표된 칼륨 이온이 상아질 과민증 치료에 미치는 효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에서 칼륨 이온이 가지고 있는 약효의 증거는 약하거나 또는 불충분하다고 보고되었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8)
상아질 과민증에 의한 통증완화에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치수에서 구강환경으로 이어지는 상아세관의 폐쇄(Dentinal Tubule Occlusion) 이다. 상아세관을 막거나 직경을 줄여 체액의 이동을 억제하면 신경 자극을 줄일 수 있다.
종래에는 치약 조성물에 포함된 인산삼칼슘이 펩타이드와 결합하여 상아세관 및 상아질 표면에 재광화(remineralisation)를 유도하고, 펩타이드에 의한 상아모세포 분화촉진으로 치수/치수강 내에서의 상아질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하지만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아질 모세포는 치수강 내부 표층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아질을 형성하는 세포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펩타이드(아미노산이 2개 이상 결합)를 통한 상아질의 재생촉진은 상아질 모세포가 자리하는 치수/치수강 내에서만 이루어 질 수 있어 시린 이 증상 완화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칫솔질 방법에 따라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6579호 (2019.03.05.)
1. West N X, Sanz M, Lussi A, Bartlett D, Bouchard P and Bourgeois D (2013). Prevalence of dentine hypersensitivity and study of associated factors: a European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J Dent. 41(10): 841-851. 2. Gysi A (1900). An attempt to explain the sensitiveness of dentine. Brit J Dental Sci. 43: 865-868. 3. Brㅴnnstrㆆm M (1963)a. A hydrodynamic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of pain producing stimuli through the dentine. In: Sensory mechanisms in dentine, ed. D. J. Anderson. Oxford: Pergamon Press, pp. 73??9. 4. Brㅴnnstrㆆm M (1965). The surface of sensitive dentine. An experimental study using replication. Odontol Revy. 16(4): 293-299. 5. Brㅴnnstrㆆm M (1966). Sensitivity of dentin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1(4): 517-526. 6. Absi E G, Addy M and Adams D (1987). Dentine hypersensitivity. A study of the patency of dentinal tubules in sensitive and non-sensitive cervical dentine. J Clin Periodontol. 14(5): 280-284. 7. Narhi M, Jyvasjarvi E, Virtanen A, Huopaniemi T, Ngassapa D and Hirvonen T (1992). Role of intradental A- and C-type nerve fibres in dental pain mechanisms. Proc Finn Dent Soc. 88 Suppl 1: 507-516. 8. West N X, Seong J and Davies M (2015)c. Management of dentine hypersensitivity: efficacy of professionally and self-administered agents. J Clin Periodontol. vol 42 Suppl 16., pp. S256-302.
본 발명은 상아세관의 폐쇄 방법을 통해 시린 이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할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아르기닌(Arginine)을 5 내지 10 w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르기닌(Arginin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 및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을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성분은 22.5 내지 35 중량% 포함되고, 상기 기능성 성분 내에서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칼슘 각각의 함량이 아르기닌의 함량과 같거나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성분 내에서 아르기닌 :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의 혼합 비율은 1 : 1.5~2 : 1~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불소제, pH 조절제, 방부제 및 향미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독자적인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상아질 및 상아세관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플러그(plug)를 견고하게 형성하며, 치아 밖 및 상아질 표면으로부터의 상아세관 침투, 봉쇄 및 광화(mineralization)를 통해 시린 이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5000배 확대 전자현미경 이미지로써 노출된, 시린 이의 상아세관을 보여주는 예이다.
도 2는 5000배 확대 전자현미경 이미지로써 노출되지 않은, 시리지 않은 이의 상아세관을 보여주는 예이다.
도 3은 치아의 구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 처리 후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아르기닌(arginin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 및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을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여 고용해성인 아르기닌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화합물(Arginine Bicarbonate)이 불용성인 탄산칼슘 입자에 물리적으로 둘러싸이면서 접착 특성을 갖는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은 상아세관 내벽에 침투 및 부착되어 상아세관을 봉쇄함으로써 시린 이 증상을 빠르고 직접적으로 완화시킨다. 또한 알칼리성인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은 상아세관 봉쇄 후 타액(침) 및 상아세관 내 액체(dentine tubule fluid)의 칼슘 및 인산염 이온과 반응하여 상아질 및 상아세관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플러그를 형성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상아세관을 폐쇄함으로써 시린 이 증상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학적으로 유사한 이유는 탄산칼슘이 전구물질 (precursor)로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Hydroxyapatite (HAp, Ca10(PO4)6(OH)2))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필수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이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르기닌(arginine)은 화학식 C6H14N4O2의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물에 녹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탄산칼슘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변형되는데 필수적인 Arginine Bicarbonate의 생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Laevorotatory 형태의 아르기닌(L-Arginin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에 상기 아르기닌,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은 22.5 내지 35 중량% 포함되고, 이때 기능성 성분 내에서 탄산수소나트륨과 탄산칼슘 각각의 함량은 아르기닌의 함량과 같거나 높아야 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르기닌 :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의 혼합 비율은 1 : 1.5~2 : 1~1.5 이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성분은 22.5 내지 27 중량% 포함되고, 이때 아르기닌 :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의 혼합 비율이 1 : 1.8~2 : 1.2~1.5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펩타이드 및 인산삼칼슘 등을 포함하여 상아질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고 재광화(remineralization)를 유도하는 특허문헌 1과 달리,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이 상아세관 내에 직접 침투하여 플러그를 형성함으로써 봉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별도의 인산 성분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타액(침) 및 상아세관 내 액체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칼슘이온과 인산염 이온이 상기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과 반응하여 광화(mineralization)되어 플러그(마개)를 형성하는 차이가 있다. 이는 사용자의 상아질 및 상아세관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플러그를 형성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상아세관을 막음으로써 시린 이 증상이 재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펩타이드의 형태로 첨가되는 경우, 펩타이드 구조자체가 워낙 안정적이기 때문에 여기서 아미노산을 분리/분해하려면 추가적으로 가수분해(hydrolysis) 과정이 일어나야 한다. 따라서 본원발명과 같은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Arginine Bicarbonate)의 생성이 어렵고, 이에 따라 탄산칼슘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10(PO4)6(OH)2) 변형 또한 어려워진다.
따라서 단독의 아미노산이 접착 특성을 갖는 페이스트형 플러그를 만드는데 유리하고(1차 봉쇄), 더 빠르고 손쉽게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Arginine Bicarbonate)을 생성하고 이는 탄산칼슘이 더욱 견고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변형되는데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준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현저한 시린이 증상 완화 효과를 위하여 상기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가글액이나 치과에서 스케일링 후에 쓰는 폴리싱 페이스트(Polishing paste)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약 조성물인 경우 상기 기능성 성분 이외에 습윤제(예를 들어, 물, 벤질알코올, 소르비톨, 사카린, 수크랄로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점도조절제(예를 들어,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긴산 나트륨, 8μm 이하 실리카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플록사머, 라우릴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불소제(플루오르화나트륨, 플루오르화아민, 일불소인산나트륨), pH조절제(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방부제(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탄, 구연산, 호박산, 파라벤, 주석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파라벤, 나트로틱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탐, 감초산, 페퍼민트오일, 멘톨, 카르본, 스페아민트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아르기닌(Arginine)을 5wt%, 10wt%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실시예 1-2), 아르기닌(arginine)을 1wt%, 3wt%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비교예 1-2), 실리카 기반 불소화물(silica-based fluoride)을 포함(불소 1450 ppm)하는 치약 조성물(비교예 3),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을 5wt%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비교예 4)을 제조하였다.
상기 치약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습윤제 1은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글리세린:물=1.3:1)하고, 습윤제 2는 소르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며, 점도조절제는 CMC, 실리카 및 잔탄검을 포함하고, 불소제는 일불소인산나트륨을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는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을 포함하고,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및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며, 방부제는 이산화티타늄 및 파라벤을 포함하고, 향미제는 착향제 및 사카린을 포함하며, 각 제제 성분들의 혼합비율은 모두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습윤제 1 54.0 42.5 58.0 56.0 54 54.0
습윤제 2 14.2 14.2 14.2 14.2 14.2 14.2
기능성
성분
탄산수소나트륨 10.0 15.0 10.0 10.0 15 10.0
탄산칼슘 7.5 10.0 7.5 7.5 7.5 7.5
아르기닌 5.0 10.0 1.0 3.0 - -
질산칼륨 - - - - 5.0
점도조절제 3.8 3.8 3.8 3.8 3.8 3.8
불소제 1.08 1.08 1.08 1.08 1.08 1.08
계면활성제 1.0 1.0 1.0 1.0 1.0 1.0
pH 조절제 1.8 1.8 1.8 1.8 1.8 1.8
방부제 0.5 0.5 0.5 0.5 0.5 0.5
향미제 1.12 1.12 1.12 1.12 1.12 1.12
불소 포함 치약 조성물은 시린 이 증상 완화 효과가 없는 일반적인 치약으로서 비교예로 제조(비교예 3)하여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시린 이 증상 완화 효과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차가운걸 먹을때 이가 시린 이유는 치수내 신경이 자극되어서 인데, 이론상으론 이때 칼륨(potassium) 이온이 활동전위(action potential)가 발현되는 역치(threshold)를 높여준다고 알려져 있어 비교예로 제조(비교예 4)하여 시린 이 증상 완화 효과의 현저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한 범위를 벗어나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경우를 비교예로 제조(비교예 1-2)하여 아르기닌 함량을 제한한 임계적 의의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전자현미경 측정
먼저 상아질 시편을 제조하고 (dentine slice) 상아세관이 열리도록 6% citric acid에 담궜다가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하였다. 구강환경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 하트맨 용액 Hartmann's solution [sodium chloride (6 g, 102.6 mmol), sodium lactate (3.12 g, 27.8 mmol), potassium chloride (0.4 g, 5.3 mmol) calcium chloride (0.27 g, 2.4 mmol) in water (1000 mL)]에 2분간 담근 후 인공타액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상아질 시편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치약 조성물로 30분간 처리(상아질 시편에 인공타액을 바른 후 인공타액 및 치약 조성물을 2:1로 섞은 슬러리(slurry)를 사용하여 30분간 셰이커(Shaker)를 사용)하고 흐르는 증류수(deionised water)에 세척하고 상온에서 건조후에 전자현미경(약 2000배)으로 관찰하였다.
도 4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 처리 후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5%~10% 아르기닌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처리한 실시예의 경우 상아세관이 폐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시린이 기능성 치약(비교예 4)과 비교하더라도 우수한 상아세관 폐쇄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10% arginine)의 경우 실시예 1(5% arginine)과 거의 동일한 상아세관 봉쇄(dentinal tubule occlusion)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10%를 초과하여 아르기닌을 포함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10% 초과하는 조성으로는 배합이 어렵고, 5% 미만(1% ~ 3%)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비교예 1-2의 경우 상아세관 봉쇄(dentinal tubule occlusion)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5%~10%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것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2) 임상적 설문평가(participant survey)
60명의 시린이 증상을 호소하는 자원자를 대상으로 10명씩 6그룹으로 나누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치약 조성물을 하루 2번 2분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2주일간 사용 후 5점 리커트 스케일 (Likert scale)로 설문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리커트 스케일: 새로운 치약 사용 후 시린이 증상이 완화되었다.
1: Strongly disagree (전혀 그렇지 않다)
2: Disagree (그렇지 않다)
3: Nether agree nor disagree (모르겠다)
4: Agree (그렇다)
5: Strongly agree (굉장히 그렇다)
Total Score Average Score
실시예 1 5,4,4,5,4,5,5,4,5,5 4.6
실시예 2 5,3,4,5,5,5,5,3,5,5 4.5
비교예 1 5,3,3,3,4,3,3,3,3,4 3.4
비교예 2 3,3,3,3,5,5,3,3,4,5 3.7
비교예 3 3,4,3,4,4,4,2,4,3,3 3.4
비교예 4 5,3,3,4,3,4,4,2,5,3 3.6
상기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르기닌,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은 22.5 내지 35 중량% 포함하고, 아르기닌 :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의 혼합 비율은 1 : 1.5~2 : 1~1.5 인 실시예 1-2의 시린이 증상이 완화 효과가 비교예 1-4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기능성 성분은 22.5 내지 27 중량% 포함하고, 아르기닌 :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의 혼합 비율이 1 : 1.8~2 : 1.2~1.5 인 실시예 1의 시린이 증상 완화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아르기닌(Arginin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 및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을 포함하여 페이스트형 플러그 화합물을 형성하는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성분 내에서 아르기닌 :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의 혼합 중량 비율은 1 : 1.5~2 : 1~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성분은 22.5 내지 3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불소제, pH 조절제, 방부제 및 향미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220083735A 2022-07-07 2022-07-07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KR102474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735A KR102474214B1 (ko) 2022-07-07 2022-07-07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735A KR102474214B1 (ko) 2022-07-07 2022-07-07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214B1 true KR102474214B1 (ko) 2022-12-05

Family

ID=8439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735A KR102474214B1 (ko) 2022-07-07 2022-07-07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2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5438A (ja) * 2008-02-08 2015-08-27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Colgate−Palmolive Company 塩基性アミノ酸および可溶性炭酸塩を含む組成物
KR101956579B1 (ko) 2018-05-09 2019-03-1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5438A (ja) * 2008-02-08 2015-08-27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Colgate−Palmolive Company 塩基性アミノ酸および可溶性炭酸塩を含む組成物
KR101956579B1 (ko) 2018-05-09 2019-03-1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치약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West N X, Sanz M, Lussi A, Bartlett D, Bouchard P and Bourgeois D (2013). Prevalence of dentine hypersensitivity and study of associated factors: a European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J Dent. 41(10): 841-851.
2. Gysi A (1900). An attempt to explain the sensitiveness of dentine. Brit J Dental Sci. 43: 865-868.
3. Brㅴnnstrㆆm M (1963)a. A hydrodynamic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of pain producing stimuli through the dentine. In: Sensory mechanisms in dentine, ed. D. J. Anderson. Oxford: Pergamon Press, pp. 73??9.
4. Brㅴnnstrㆆm M (1965). The surface of sensitive dentine. An experimental study using replication. Odontol Revy. 16(4): 293-299.
5. Brㅴnnstrㆆm M (1966). Sensitivity of dentin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1(4): 517-526.
6. Absi E G, Addy M and Adams D (1987). Dentine hypersensitivity. A study of the patency of dentinal tubules in sensitive and non-sensitive cervical dentine. J Clin Periodontol. 14(5): 280-284.
7. Narhi M, Jyvasjarvi E, Virtanen A, Huopaniemi T, Ngassapa D and Hirvonen T (1992). Role of intradental A- and C-type nerve fibres in dental pain mechanisms. Proc Finn Dent Soc. 88 Suppl 1: 507-516.
8. West N X, Seong J and Davies M (2015)c. Management of dentine hypersensitivity: efficacy of professionally and self-administered agents. J Clin Periodontol. vol 42 Suppl 16., pp. S256-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1712B2 (ja) 多成分系口腔ケア組成物
RU2628540C2 (ru) Продукты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включающие оксид цинка и триметилглицин
JP5816549B2 (ja) 生体活性ガラスを用いたフッ化物取り込みを良く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5684454B2 (ja) 口腔ケア用の治療及び予防組成物
EP3474812B1 (en) Oral care compositions
RU2634269C2 (ru) Продукты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одержащие четырехосновный хлорид цинка и триметилглицин
CN107809997B (zh) 口腔护理组合物
JP6471667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KR102095945B1 (ko) 구강용 조성물
JP4826790B2 (ja) 加水分解シルク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JP2006514992A (ja) 塩類の塩からい味をマスクする経口組成物
KR101624764B1 (ko) 치아 연마제 조성물
JPH1017449A (ja) 知覚過敏症用組成物
CN109431834B (zh) 添加生物活性玻璃和氯化锶的口腔组合物及其应用
KR101569348B1 (ko) 시린이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102474214B1 (ko)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KR102474196B1 (ko) 글루타민을 포함하는 시린 이 증상 완화 기능성 구강용 조성물
JPS5846484B2 (ja) 口腔用組成物
JP6038567B2 (ja) 口腔用組成物
JP4542843B2 (ja) 口腔用組成物
BR112019001796B1 (pt) Composição de cuidados orais, método de redução da sensibilidade e/ou remineralização e/ou branqueamento dos dentes e uso da composição de cuidados orais
CN109152935B (zh) 口腔护理组合物
WO2007065856A1 (en)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rod-shaped apatite nanocrystals
KR100704585B1 (ko) 치약 조성물
KR101583758B1 (ko) 귀양석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