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127B1 -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127B1
KR102474127B1 KR1020200180297A KR20200180297A KR102474127B1 KR 102474127 B1 KR102474127 B1 KR 102474127B1 KR 1020200180297 A KR1020200180297 A KR 1020200180297A KR 20200180297 A KR20200180297 A KR 20200180297A KR 102474127 B1 KR102474127 B1 KR 10247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inclined wall
container body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555A (ko
Inventor
장중렬
Original Assignee
장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중렬 filed Critical 장중렬
Priority to KR102020018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절첩부에 의하여 절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절첩부에 절취부가 구비된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하부 테두리의 내부에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하부 경사벽과 상기 하부 경사벽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하부 수평부재에 의하여 하부 저장공간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기 뚜껑은 상부 테두리의 내부에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상부 경사벽과 상기 상부 경사벽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상부 수평부재에 의하여 상부 저장공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용기 뚜껑이 절첩부에 의하여 용기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별도의 절취도구인 가위나 칼을 이용하지 않고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용이하게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PACKING CONTAINER IN WHICH THE BODY AND LID ARE SEPARABLE 1/2}
이 건 발명은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몸체로부터 용기 뚜껑이 절취홀을 갖는 절첩부에 의하여 절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활동이 다변화 될수록 여가 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일회용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패스트푸드(fast-food)와 같은 테이크 아웃점에서 음식들을 구입하여 야외에 가지고 나가서 먹거나 이동하면서 먹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테이크 아웃점에서 음식을 포장하는 포장용기는 패스트푸드와 같은 가공음식물 중 대표적인 자장면, 쌀국수, 스파게티, 감자튀김, 햄버거, 치킨요리, 돈가스, 도넛 등을 포장함에 있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의 상단부에 덮어 용기에 식품을 보호하는 뚜껑으로 구비되어 있다.
용기와 뚜껑은 투명하고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용기와 뚜껑의 일측단이 일체로 성형되어 뚜껑이 용기의 일측단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뚜껑을 열고 용기의 내부에 식품을 담은 후 뚜껑을 닫고 뚜껑 타측단을 스템플러(stapler) 등을 통하여 용기에 체결시킨 상태로 이용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9825호(2018.11.05)의 발포폼으로 만들어진 연육과일 포장상자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포장상자는 컨테이너를 수납하는 상자 본체에 완충공간부와 엣지지지턱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자 뚜껑에 날개고정돌부가 구비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상자 본체에 대하여 상자 뚜껑이 분리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포장상자 이외에 상자 본체와 상자 뚜껑이 절첩부에 의하여 절첩되도록 일체형태를 갖는 발포폼 포장상자가 제안되었으나, 절첩부에 의하여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나 상자 본체로부터 상자 뚜껑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위나 칼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간혹 가위나 칼이 준비되지 않는 상태에서 뚜껑을 분리시킬 경우, 상자 뚜껑이나 상자 본체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119825호(2018.11.05)
이 건 발명은 용기 뚜껑이 절취부를 갖는 절첩부에 의하여 용기 몸체로부터 용이하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별도의 절취도구인 가위나 칼을 이용하지 않고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절첩부(30)에 의하여 절첩되게 구비되어지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는 하부 테두리(101)의 내부에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하부 경사벽(102)과 상기 하부 경사벽(10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하부 수평부재(103)에 의하여 하부 저장공간부(104)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기 뚜껑(20)은 상부 테두리(201)의 내부에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상부 경사벽(202)과 상기 상부 경사벽(202)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상부 수평부재(203)에 의하여 상부 저장공간부(204)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절첩부(30)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단면이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18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첩부(30)에는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1/2 분리 가능하도록 절취부(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취부(40)에는 장공 형태의 절취홀(401)이 상기 절취부(40)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은 발포합성수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10)의 하부 테두리(101)와 용기 뚜껑(20)의 상부 테두리(201) 중 단방향 중앙에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19
"와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20
"형태를 갖는 수분배출홈(105)(20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10)에 용기 뚜껑(20)이 덮혀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21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10)의 각 하부 경사벽(102)과 하부 수평부재(103)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06)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보강리브(106)는 상기 하부 경사벽(102) 전체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수평부재(103)에 걸치어지도록 ㄴ 자모양으로 구비되고, 상기 용기 뚜껑(20)의 상부 경사벽(203)과 상부 수평부재(203)에도 다수개의 보강리브(206)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보강리브(206)는 상기 상부 경사벽(202) 전체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수평부재(203)에 걸치어지도록 ㄴ 자모양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10)의 하부 테두리(101)의 장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하부 테두리(101) 내측으로 연장되는 평편한 형태의 보강편(107)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 뚜껑(20)의 상부 테두리(201)의 장방향 중앙부에도 상기 상부 테두리(201) 내측으로 연장되는 평편한 형태의 보강편(207)이 구비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절취홀(401)은 절첩부(4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2~4개가 일정 간격으로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되, 3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절취홀을 갖는 절첩부에 의하여 일체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뚜껑이 용이하게 접혀지거나 열려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용기 뚜껑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절취도구인 가위나 칼을 준비하지 않고 용기 몸체로부터 용기 뚜껑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용기 몸체로부터 용기 뚜껑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용기 몸체 또는 용기 뚜껑의 일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의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절취도구인 가위나 칼을 준비하지 않고 용기 몸체(10)로부터 용기 뚜껑(20)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일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절첩부(30)에 의하여 절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절첩부(30)에 절취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 몸체(10)는 하부 테두리(101)의 내부에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하부 경사벽(102)과 상기 하부 경사벽(10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하부 수평부재(103)에 의하여 하부 저장공간부(104)가 제공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 및 절첩부(30)는 무게를 가볍게 하는 가운데 열전도율이 낮은 즉, 보온이 유지되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 및 절첩부(30)는 발포합성수지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테두리(101)의 단방향 중앙에는 "
Figure 112020139206456-pat00005
"형태를 갖는 수분배출홈(105)이 구비됨으로써, 후술하는 용기 뚜껑(30)이 덮혀져 전체적으로 "
Figure 112020139206456-pat00006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내부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경사벽(102)과 하부 수평부재(103)는 각각 보강리브(106)가 구비되어 발포합성수지를 보강하여 내용물의 보관, 저장 및 운반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 뚜껑(20)은 용기 몸체(10)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부 테두리(201)의 내부에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상부 경사벽(202)과 상기 상부 경사벽(202)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상부 수평부재(203)에 의하여 상부 저장공간부(204)가 제공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용기 뚜껑(20)은 상부 테두리(201) 중 단방향 중앙에 "
Figure 112020139206456-pat00007
"형태를 갖는 수분배출홈(205)이 구비되어 용기 몸체(10)에 덮혀 졌을 경우, 하부 테두리(101)에 구비된 수분 배출홈(105)와 함께 "
Figure 112020139206456-pat00008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용기 뚜껑(20)의 상부 경사벽(203)과 상부 수평부재(203)에는 각각 보강리브(206)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경사벽(102)과 하부 수평부재(103)에 구비된 보강리브(106)와 같이 발포합성수지를 보강하여 내용물의 보관, 저장 및 운반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 뚜껑(20)의 상부 테두리(201) 중 장방향 중앙에 보강편(207)이 구비되어 용기 뚜껑(20)을 닫았을때 하부 테두리(101)의 구비된 보강편(107)과 맞대어져 포장용기의 전면 중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첩부(30)는 전면이 용기 몸체(10)의 배면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가운데 배면이 용기 뚜껑(20)의 전면측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10)의 배면을 기준으로 용기 뚜껑(20)이 용기 몸체(10)의 상부를 향하여 절첩되어 닫히거나, 반대 방향으로 펼쳐지게 열릴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첩부(30)는 중앙을 기준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단면이 "
Figure 112020139206456-pat00009
"형태를 가지며 장방향의 길이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절첩부(30)는 일정 간격을 갖는 절취홀(401)이 구비되어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용기 몸체(10)로부터 용기 뚜껑(2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절취홀(401)을 통해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한손으로 용기 몸체(10)를 붙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용기 뚜껑(20)을 잡아 양측으로 당기면 양측으로부터 절첩부(30)를 향하여 힘이 집중되고, 힘의 집중으로 인하여 절취부(40)의 절취홀(401)이 절취되면서 분리됨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절첩부(30)의 절취부(4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취부(40)의 절취홀(401)을 통해 일정하게 절취됨에 따라 절취 과정에서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의 일부가 불균일하게 절취되어 파손이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절취홀(401)은 장공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절취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 뚜껑(20)이 용기 몸체(10)의 상부에 안정되게 덮혀지도록 하는 가운데 절취시 용이하게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절취홀(401)은 절첩부(40)의 전체 길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4개가 일정 간격으로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하되, 적어도 3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양측과 중앙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절취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중간부분이 깨끗하게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0:용기 몸체 20:용기 뚜껑
30:절첩부 40:절취부
101:하부 테두리 102:하부 경사벽
103:하부 수평부재 104:저장공간부
105:수분배출홈 106:보강리브
107:보강편 201:상부 테두리
202:상부 경사벽 203:상부 수평부재
204:상부 저장공간부 205:수분배출홈
206:보강리브 207:보강편

Claims (6)

  1.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절첩부(30)에 의하여 절첩되게 구비되어지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는 하부 테두리(101)의 내부에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하부 경사벽(102)과 상기 하부 경사벽(10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하부 수평부재(103)에 의하여 하부 저장공간부(104)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기 뚜껑(20)은 상부 테두리(201)의 내부에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된 상부 경사벽(202)과 상기 상부 경사벽(202)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상부 수평부재(203)에 의하여 상부 저장공간부(204)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절첩부(30)는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단면이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22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첩부(30)에는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이 1/2 분리 가능하도록 절취부(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절취부(40)에는 장공 형태의 절취홀(401)이 상기 절취부(40)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 몸체(10)의 각 하부 경사벽(102)과 하부 수평부재(103)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06)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보강리브(106)는 상기 하부 경사벽(102) 전체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수평부재(103)에 걸치어지도록 ㄴ 자모양으로 구비되고, 상기 용기 뚜껑(20)의 상부 경사벽(203)과 상부 수평부재(203)에도 다수개의 보강리브(206)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보강리브(206)는 상기 상부 경사벽(202) 전체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수평부재(203)에 걸치어지도록 ㄴ 자모양으로 구비되며, 상기 용기 몸체(10)의 하부 테두리(101)의 장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하부 테두리(101) 내측으로 연장되는 평편한 형태의 보강편(107)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 뚜껑(20)의 상부 테두리(201)의 장방향 중앙부에도 상기 상부 테두리(201) 내측으로 연장되는 평편한 형태의 보강편(20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와 용기 뚜껑(20)은 발포합성수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하부 테두리(101)와 용기 뚜껑(20)의 상부 테두리(201) 중 단방향 중앙에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23
    "와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24
    "형태를 갖는 수분배출홈(105)(20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10)에 용기 뚜껑(20)이 덮혀 "
    Figure 112022097079415-pat00025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80297A 2020-12-21 2020-12-21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KR10247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97A KR102474127B1 (ko) 2020-12-21 2020-12-21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97A KR102474127B1 (ko) 2020-12-21 2020-12-21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55A KR20220089555A (ko) 2022-06-28
KR102474127B1 true KR102474127B1 (ko) 2022-12-05

Family

ID=8226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97A KR102474127B1 (ko) 2020-12-21 2020-12-21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1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2285A (ja) * 2006-05-10 2007-11-22 Idemitsu Unitech Co Ltd 蓋付容器
JP2010168068A (ja) * 2009-01-22 2010-08-05 Chuo Kagaku Co Ltd 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4032A (ja) * 2012-12-07 2014-06-26 Kobayashi Kk 包装用容器
KR102104391B1 (ko) * 2019-05-10 2020-05-29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딸기 포장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825A (ko) 2017-04-26 2018-11-05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발포폼으로 만들어진 연육과일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2285A (ja) * 2006-05-10 2007-11-22 Idemitsu Unitech Co Ltd 蓋付容器
JP2010168068A (ja) * 2009-01-22 2010-08-05 Chuo Kagaku Co Ltd 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4032A (ja) * 2012-12-07 2014-06-26 Kobayashi Kk 包装用容器
KR102104391B1 (ko) * 2019-05-10 2020-05-29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딸기 포장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55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8921A (en) Foam package for breakfast foods
US6572909B1 (en) Container having single-cycle hinge and use thereof
US5012971A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US4844330A (en) Paperboard food carton and divider
ES2922180T3 (es) Caja de cartón para un producto alimenticio
US6227441B1 (en) Tubular container having an outer sleeve and an inner storage bag
CN106132836A (zh) 用于运输和展示食品的带有可展开通风板的可变换的箱子
US10926913B2 (en) Vented tri-fold containers
EP3204305B1 (en) Mail packaging for food
EP0192665A1 (en) Crate
KR102474127B1 (ko) 몸체와 뚜껑이 1/2 분리 가능한 포장용기
KR20110003040U (ko) 닭튀김용 종합포장케이스
JP6073667B2 (ja) 包装容器
KR102035342B1 (ko) 조각과일 포장체
EP2326559B1 (fr) Emballage pliable avec systeme de verrouillage en position plie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KR102216000B1 (ko) 접이식 포장용기
EP3257775B1 (en) Container for food stuffs
BG2014U1 (bg) Търговска опаковка
FR2915189A1 (fr) Boite pour l'emballage de produits.
KR20090000631U (ko) 과일상자.
KR102182590B1 (ko)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US20140314903A1 (en) Incremental eating tool
EP2119635A2 (fr) Réceptacle à capacité variable pour contenir un produit malléable, associant deux enveloppes emboîtables par coulissement
US20190208881A1 (en) Stuffed Animal Lunch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