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094B1 -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 Google Patents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094B1
KR102474094B1 KR1020210168255A KR20210168255A KR102474094B1 KR 102474094 B1 KR102474094 B1 KR 102474094B1 KR 1020210168255 A KR1020210168255 A KR 1020210168255A KR 20210168255 A KR20210168255 A KR 20210168255A KR 102474094 B1 KR102474094 B1 KR 102474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ase frame
assembly
flatt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유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엠케이
Priority to KR102021016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04G21/063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concrete placement level adjuster. The concrete placement level adjuster includes: a base frame; a flattening assembly which has a flattening member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flattens an upper surface of placed concrete; a supply adjustment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is provided at a front part of the flattening assembly to adjust an amount of concrete to be guided to the flattening assembly; a movement assembly which is provided at a front part of the supply adjustment unit and moves the flattening assembly to a required movement location; and a level maintenance unit of which one side is supported by the base frame and another side is coupled to the movement assembly to maintain a level of the base frame. The movement assembly is remotely controlled by a work terminal, so the work of flattening concrete can be performed in a safe manner.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콘크리트 타설면에 대한 평탄 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ouring leve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pouring level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leveling work on a concrete pouring surface through remote control.

토목공사 또는 건축물의 축조나 도로 공사시에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콘크리트를 양생시킴으로써 바닥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or road construction, the floor can be formed by pouring concrete using a formwork and then curing the concrete.

여기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콘크리트의 고른 충진과 평탄면을 얻기 위해 평탄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Here, during the concrete pouring work, a flattening work must be performed to obtain an even filling of the concrete and a flat surface.

종래의 콘크리트 평탄화 작업은 작업자가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1차로 전체 면 고르기 작업을 수행한 후, 2차로 흙손을 이용하여 부분 면 작업을 수행하여 콘크리트의 평탄화 작업을 완성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oncrete flattening work, a worker first performed a full surface leveling operation using a scraper, and then performed a partial surface leveling operation using a trowel secondly to complete the concrete leveling operation.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평탄화 작업을 위해서는 많은 작업자가 동원되어야 하고, 작업시간 역시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에 따라 콘크리트 평탄화의 작업 결과도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many workers must be mobilized for the conventional concrete leveling wor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also lo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result of concrete flattening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operator.

이에, 콘크리트 평탄화 작업을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며,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conducted on a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capable of more accurately, simply, and automatically performing a concrete leveling operation.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01377호(1996.01.25)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01377 (1996.01.2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격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콘크리트 타설면에 대한 평탄 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made to automatically perform a leveling operation on a concrete placing surface through remote contro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평탄부재를 가지며, 타설 콘크리트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 조립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평탄화 조립체의 전부에 구비되어 상기 평탄화 조립체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부; 상기 공급량 조절부의 전부에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 조립체를 요구되는 이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조립체; 및 일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 조립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조립체는 작업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되는 것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rame; a flattening assembly having a flattening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flattening an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Doedoe coupled to the base frame, provided in the entire flattening assembly to control the amount of concrete supplied to the flattening assembly; a moving assembly provided at all of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and moving the flattening assembly to a required movement position; and a leveling unit having one side supported by the base frame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movable assembly to maintain a level of the base frame, wherein the movable assembly is remotely controlled by a work terminal. adjuster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하부에 결합되며, 타설 콘크리트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설 콘크리트를 평탄화시키는 평탄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평탄부재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평탄부재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키는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tening assembly includes a flattening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flattening the poured concrete in a st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a vibration unit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transmitting vibrations to the flat member; and a suspension for damping transmission of vibration from the flat member to the base fr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절부는, 미리 정해진 양 이외의 여분 잉여 콘크리트를 1차적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제1 이송 스크루; 상기 제1 이송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이송 스크루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 조립체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는 제1 공급량 조절판; 상기 제1 이송 스크루의 후부에 구비되며, 여분 잉여 콘크리트를 2차적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제2 이송 스크루; 상기 제2 이송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이송 스크루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 조립체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는 제2 공급량 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a first conveying screw for primarily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excess concrete ot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 first rotation unit rotating the first transfer screw; a first supply amount control plat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and controlling an amount of concrete guided to the leveling assembly; a second conveying screw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and secondarily conveying and discharging excess concrete; a second rotation unit rotating the second transfer screw; and a second supply amount control plate coupled to the base fram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transfer screw, and adjusting the amount of concrete guided to the flattening assemb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스크루의 나선 피치는 상기 제2 이송 스크루의 나선 피치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 스크루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이송 스크루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링크축으로 연결된 회동 프레임에 지지되되, 상기 회동 프레임은 제1 실린더에 의해 상기 링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ral pitch of the first transfer screw is formed larger than the spiral pitch of the second transfer screw, the second transfer screw is supported on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transfer screw Is supported on a pivoting fram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a link shaft, and the pivoting frame may be rotated based on the link shaft by a first cylind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립체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된 설치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동력부; 상기 동력부에 결합된 한 쌍의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이동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날개부는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assembly, the support frame; A pair of power units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lat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 pair of rotating plates coupled to the power unit; and a plurality of moving w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moving wing par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moving wing part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ng plate increas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2 실린더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힌지부에 지지된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 가이드;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holding unit, one end of the second cylind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rotating shaf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cylind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hinge shaft supported by the hinge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rotated by the second cylinder; a rotating shaft support guid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and a third cylinder having one end supported on the rotating shaft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rotating the support frame based on the hinge ax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절부에는 요구되는 콘크리트 평탄면 높이 정보를 제공하는 레이저 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irradiated from a laser level that provides required concrete flat surface height informa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는 원격제어가 가능하기에, 콘트리트 평탄화 작업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는 넓은 면적에 대해 콘크리트 평탄화 작업을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can be remotely controlled, concrete leveling work can be safely performed.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can uniformly perform a concrete leveling operation over a large area.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전방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후방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프레임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fro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upper part.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tion frame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eve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arts mean that they ar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member,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are located above or below the gravitational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전방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후방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프레임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를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top, and FIG. 3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een from the rear and upper par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5 is a ro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is rotated, FIG. 6 is a side view of a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leve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는 베이스 프레임(100), 평탄화 조립체(200), 공급량 조절부(300), 이동 조립체(400) 및 수평 유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includes a base frame 100, a flattening assembly 200, a supply amount control unit 300, a moving assembly 400 and a leveling unit 500. can include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00)은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의 뼈대를 이루며, 평탄화 조립체(20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base frame 100 forms the skeleton of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and is made to support the flattening assembly 200.

이러한 평탄화 조립체(200)는 타설 콘크리트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is leveling assembly 200 is made to level the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이와 같은 평탄화 조립체(200)는 평탄부재(210), 진동부(220) 및 서스펜션(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attening assembly 200 may include a flattening member 210 , a vibration unit 220 and a suspension 230 .

여기서 평탄부재(2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평탄부재(210)는 타설 콘크리트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평탄부재(210)는 타설 콘크리트로부터 반발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 평탄부재(210)는 타설 콘크리트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의 자세를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flat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 This flat member 210 is made to flatten the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Such a flat member 210 is a part to which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from the poured concrete, and the flat member 210 is made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1000 in a st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그리고 진동부(22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진동부(220)는 평탄부재(210)로 진동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평탄부재(210)는 진동을 통해 타설된 콘크리트 내의 기포를 제거하고, 골재 및 콘크리트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And the vibrator 220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00 . The vibrating unit 220 transmits vibration to the flat member 210 . Accordingly, the flat member 210 may remove air bubbles in the poured concrete through vibration and promote stability of the aggregate and concrete.

그리고 서스펜션(230)은 평탄부재(210)로 가해지는 진동이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서스펜션(230)은 평탄부재(210)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키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suspension 230 is made to prevent vibration applied to the flat member 21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ase frame 100 . That is, the suspension 230 is made to attenuate transmission of vibration from the flat member 210 to the base frame 100 .

한편, 이동 조립체(400)는 공급량 조절부(300)의 전부에 구비되며, 평탄화 조립체(200)를 요구되는 이동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moving assembly 40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300 and is configured to move the flattening assembly 200 to a required moving position.

이러한 이동 조립체(400)는 지지 프레임(410), 동력부(420), 회전판(430) 및 이동 날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assembly 40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410, a power unit 420, a rotating plate 430, and a moving wing unit 440.

여기서 동력부(420)는 지지 프레임(4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부(420)는 제1 동력부(421)와 제2 동력부(422)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power unit 42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410 . The power unit 420 may include a first power unit 421 and a second power unit 422 forming a pair.

이와 같은 제1 동력부(421)와 제2 동력부(422)는 지지 프레임(410)에 구비된 설치판(411)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된다.The first power unit 421 and the second power unit 422 are installed symmetrically to the mounting plate 411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410 .

여기서 제1 동력부(421)는 제1 회전판(431)에 결합되어 제1 회전판(431)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제2 동력부(422)는 제2 회전판(432)에 결합되어 제2 회전판(432)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회전판(431)과 제2 회전판(432)을 회전시키는 동력부(420)는 모터일 수 있다.Here, the first power unit 421 is coupled to the first rotary plate 431 to rotate the first rotary plate 431, and the second power unit 422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ry plate 432 to rotate the second rotary plate 432. It is made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432. The power unit 420 that rotates the first rotation plate 431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432 may be a motor.

이와 같은 제1 회전판(431)과 제2 회전판(432)은 제1 동력부(421)와 제2 동력부(422)를 통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제1 회전판(431)과 제2 회전판(432)은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동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plate 431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432 are independently rotated by the first power unit 421 and the second power unit 422 .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plate 431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432 rotate at different rotation speeds, and the moving assembly 400 can move left and right.

그리고 이동 날개부(440)는 회전판(4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 날개부(440)는 회전판(430)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 배치된다.And the moving wing 440 is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430 . The moving wings 4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plate 430 .

이와 같은 이동 날개부(440)는 회전판(4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 조립체(4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바닥에 설치된 철근 및 기타 건설자재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동 날개부(440)로 전달되는 구동력은 회전판(430)에 가까이에 위치된 이동 날개부(440)의 폭이 넓은 부분으로 대부분의 힘이 전달되기에, 이동 조립체(400)의 이동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ement wing 44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moves away from the rotating plate 430 . This is to effectively move the movable assembly 400 in a state in which it does not get caught in reinforcing bars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installed on the floor during the mov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moving wing 440 is transmitted to the wide part of the moving wing 440 located close to the rotating plate 430, the movement of the moving assembly 400 can be done effectively.

한편, 공급량 조절부(300)는 평탄화 조립체(200)의 전부에 구비되며, 평탄화 조립체(200)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급량 조절부(300)는 평탄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넓은 면적에 대해 타설 콘크리트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배분되도록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30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leveling assembly 200,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concrete guided to the leveling assembly 200.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300 adjusts the poured concrete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a large area in the process of flattening.

이러한 공급량 조절부(300)는 제1 이송 스크루(310), 제1 회전부(320), 제1 공급량 조절판(330), 제2 이송 스크루(340), 제2 회전부(350) 및 제2 공급량 조절판(3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300 includes a first transfer screw 310, a first rotation unit 320, a first supply control plate 330, a second transfer screw 340, a second rotation unit 350 and a second supply control plate. (360).

여기서 제1 이송 스크루(310)는 미리 정해진 양 이외의 여분의 잉여 콘크리트를 1차적으로 이송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이송 스크루(310)는 제1 회전부(320)에 의해 회전되며, 잉여 콘크리트는 제1 이송 스크루(310)의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부(320)는 벨트를 통해 제1 이송 스크루(31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송 스크루(310)에 의해 이송된 잉여 콘크리트는 제1 이송 스크루(310)의 일측으로 배출된다.Here, the first conveying screw 310 is configured to primarily convey and discharge excess concrete ot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is rotated by the first rotation unit 320, and surplus concrete may be transferred along the spir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The first rotating unit 320 may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conveying screw 310 through a belt. In this way, the surplus concrete transferred by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is discharged to one side of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

그리고 제1 공급량 조절판(330)은 제1 이송 스크루(310)의 후부에 구비된다.And the first supply amount control plate 3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

이러한 제1 공급량 조절판(330)은 평탄화 조립체(200)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제1 이송 스크루(310)를 통해 외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잉여 콘크리트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supply amount control plate 330 controls the amount of concrete guided to the flattening assembly 200 and simultaneously guide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surplus concrete transferred outward through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그리고 제2 이송 스크루(340)는 제1 이송 스크루(310)의 후부에 구비되며, 제2 이송 스크루(340)와 함께 미리 정해진 양 이외의 여분의 잉여 콘크리트를 2차적으로 이송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and together with 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is configured to secondarily transfer and discharge excess concrete ot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여기서 제1 이송 스크루(310)의 나선 피치는 제2 이송 스크루(340)의 나선 피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1 이송 스크루(310)가 1차적으로 많은 양의 잉여 콘크리트를 제1 이송 스크루(310)의 일측으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제2 이송 스크루(340)는 이외의 잉여 콘크리트를 제2 이송 스크루(340)의 일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spiral pitch of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is formed larger than the spiral pitch of 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so that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primarily transfers a large amount of surplus concrete to the first transfer screw ( 310), the second conveying screw 340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other surplus concrete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screw 340 in the state of being dischar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screw 340.

이러한 제2 이송 스크루(340)는 제2 회전부(350)에 의해 회전되며, 잉여 콘크리트는 제2 이송 스크루(340)의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부(350)는 벨트를 통해 제2 이송 스크루(34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is rotated by the second rotation unit 350, and surplus concrete may be transferred along the spir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Here, the second rotating unit 350 may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conveying screw 340 through a belt.

그리고 제2 공급량 조절판(360)은 제2 이송 스크루(340)의 후부에 구비된다.And the second supply amount control plate 3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

이러한 제2 공급량 조절판(360)은 평탄화 조립체(200)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제2 이송 스크루(340)를 통해 외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잉여 콘크리트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ly amount control plate 360 controls the amount of concrete guided to the flattening assembly 200 and simultaneously guide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surplus concrete transferred outwar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여기서 제2 이송 스크루(34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되고, 제1 이송 스크루(310)는 회동 프레임(37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동 프레임(370)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링크축(371)에 의해 연결되며, 회동 프레임(370)은 제1 실린더(380)의 작동에 의해 링크축(37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실린더(380)에 마련된 로드의 신축에 의해 회동 프레임(370)은 링크축(37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transfer screw 340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frame 100 and the first transfer screw 310 may be supported by the rotation frame 370 . The pivoting frame 370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00 by a link shaft 371, and the pivoting frame 37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ink shaft 371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cylinder 380. It is done. That is, the rotational frame 37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link shaft 371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d provided in the first cylinder 380 .

예를 들어,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가 타설 콘크리트의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현재 작업 위치에서의 타설 콘크리트 높이가 기준 레벨보다 높은 경우, 제1 실린더(380)의 작동을 통해 회동 프레임(370)을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잉여 콘크리트의 배출량을 늘리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poured concrete at the current working posi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while the concrete pouring leveler 1000 is performing the leveling operation of the poured concrete, the rotation frame ( 370) may b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100 to increase the discharge amount of surplus concrete.

이와 같은 공급량 조절부(300)에는 수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광부는 작업 공간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요구되는 콘크리트 평탄면 높이 정보를 제공하는 레이저 레벨기(미도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함으로써, 공급량 조절부(300)는 잉여 콘크리트의 배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 light receiving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3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from a laser level (not shown) that provides required concrete flat surface height information in a state disposed outside the work space. By receiving the irradiated light, the supply amount controller 300 can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excess concrete.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는 작업 위치에서의 타설 콘크리트의 높이에 따라 회동 프레임(37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며, 잉여 콘크리트의 배출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1000 can selectively rotate the rotational frame 37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oured concrete at the working position and selectively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surplus concrete.

한편, 수평 유지부(500)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을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leveling unit 500 maintains the level of the base frame 100 while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moves.

이러한 수평 유지부(500)는 제2 실린더(510), 회전축(520), 회전축 지지 가이드(530) 및 제3 실린더(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holding unit 500 may include a second cylinder 510, a rotation shaft 520, a rotation shaft support guide 530, and a third cylinder 540.

여기서 제2 실린더(510)의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지지되고, 제2 실린더(510)의 타단은 회전축(520)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축(520)은 제2 실린더(510)에 마련된 로드의 신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second cylinder 51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ylinder 51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520. The rotating shaft 520 may be rota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d provided on the second cylinder 510 .

그리고 회전축(520)의 일단은 제2 실린더(510)에 결합되고, 회전축(520)의 타단은 지지 프레임(410)의 힌지부(412)에 지지된 힌지축(413)에 결합된다.And one end of the rotary shaft 520 is coupled to the second cylinder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520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413 supported by the hinge part 412 of the support frame 410.

그리고 지지 프레임(41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회전축(520)은 회전축 지지 가이드(5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 지지 가이드(53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축(52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Also, the rotation shaft 520 configured to rotate the support frame 410 may be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support guide 530 . The rotating shaft support guide 53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00 to support the rotating shaft 520 .

그리고 제3 실린더(540)의 일단은 회전축(520)에 결합되고, 제3 실린더(540)의 타단은 지지 프레임(410)의 상부 지지된다. 이러한 제3 실린더(540)에 구비된 로드의 신축에 의해 지지 프레임(410)은 힌지축(413)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And one end of the third cylinder 540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520,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cylinder 540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410. The support frame 41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hinge axis 413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d provided in the third cylinder 540 .

이와 같이, 수평 유지부(500)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가 타설 콘크리트의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실린더(510)와 제3 실린더(540)에 구비된 로드의 신축을 통해 이동 조립체(400)를 상, 하, 좌, 우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leveling unit 500 includes the second cylinder 510 and the third cylinder ( so that the base frame 100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while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1000 proceeds with the flattening operation of the poured concrete). The moving assembly 400 can be selectively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through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d provided at 540 .

여기서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에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센서(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는 수평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의 수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 horizontal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1000, and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1000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evel sensor. Leveling of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foundation.

한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는 작업 단말기(600)에 의해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작업 단말기(600)를 통해 이동 조립체(4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may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work terminal 600. That is, the operator can selectively adjust the operation of the moving assembly 400 through the work terminal 600 .

이와 같은 작업 단말기(600)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작업자는 작업 단말기(600)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Such a work terminal 60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so that the operator selectively operates the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1000 through the work terminal 600. can be adjusted

여기서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작업 단말기(600)는 예를 들어, 문자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와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출력장치가 구비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상관없다.Here, the work terminal 600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1000 may be, for example, any device provided with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and an output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on a screen.

이러한 작업 단말기(600)는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The work terminal 600 i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nd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panel. It could be.

이와 같이, 작업자는 작업 단말기(600)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10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기에, 타설 콘크리트의 평탄화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operator can remotely control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1000 through the work terminal 600, the leveling operation of the poured concrete can be easily performed.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escription scope of these embodiment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베이스 프레임
200: 평탄화 조립체
210: 평탄부재
220: 진동부
230: 서스펜션
300: 공급량 조절부
310: 제1 이송 스크루
320: 제1 회전부
330: 제1 공급량 조절판
340: 제2 이송 스크루
350: 제2 회전부
360: 제2 공급량 조절판
370: 회동 프레임
371: 링크축
380: 제1 실린더
400: 이동 조립체
410: 지지 프레임
411: 설치판
412: 힌지부
413: 힌지축
420: 동력부
421: 제1 동력부
422: 제2 동력부
430: 회전판
431: 제1 회전판
432: 제2 회전판
440: 이동 날개부
500: 수평 유지부
510: 제2 실린더
520: 회전축
530: 회전축 지지 가이드
540: 제3 실린더
600: 작업 단말기
1000: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
100: base frame
200: flattening assembly
210: flat member
220: vibration unit
230: Suspension
300: supply control unit
310: first transfer screw
320: first rotating part
330: first supply amount control plate
340: second transfer screw
350: second rotating part
360: second supply amount control plate
370: rotation frame
371: link axis
380: first cylinder
400: moving assembly
410: support frame
411: installation plate
412: hinge part
413: hinge axis
420: power unit
421: first power unit
422: second power unit
430: rotating plate
431: first rotating plate
432: second rotating plate
440: moving wing
500: leveling unit
510: second cylinder
520: axis of rotation
530: rotation shaft support guide
540: third cylinder
600: work terminal
1000: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Claims (7)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평탄부재를 가지며, 타설 콘크리트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 조립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평탄화 조립체의 전부에 구비되어 상기 평탄화 조립체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부;
상기 공급량 조절부의 전부에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 조립체를 요구되는 이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조립체; 및
일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 조립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조립체는 작업 단말기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되고,
상기 이동 조립체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된 설치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동력부; 상기 동력부에 결합된 한 쌍의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이동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날개부는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인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
base frame;
a flattening assembly having a flattening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flattening an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Doedoe coupled to the base frame, provided in the entire flattening assembly to control the amount of concrete supplied to the flattening assembly;
a moving assembly provided at all of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and moving the flattening assembly to a required movement position; and
One side is supported on the base frame,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moving assembly, and includes a leveling unit for maintaining the base frame level, the moving assembly is remotely controlled by a work terminal,
The moving assembly may include a support frame; A pair of power units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lat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 pair of rotating plates coupled to the power unit; and a plurality of moving w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plate, wherein the moving wing parts ar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moving wing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ng plate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하부에 결합되며, 타설 콘크리트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설 콘크리트를 평탄화시키는 평탄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평탄부재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평탄부재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키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lattening assembly,
A flat memb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flattening the poured concrete in a st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a vibration unit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transmitting vibrations to the flat member; and
Concrete placing level adju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spension for damping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from the flat member to the bas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절부는,
미리 정해진 양 이외의 여분 잉여 콘크리트를 1차적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제1 이송 스크루;
상기 제1 이송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이송 스크루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 조립체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는 제1 공급량 조절판;
상기 제1 이송 스크루의 후부에 구비되며, 여분 잉여 콘크리트를 2차적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제2 이송 스크루;
상기 제2 이송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이송 스크루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 조립체로 안내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는 제2 공급량 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ly control unit,
A first conveying screw that primarily conveys and discharges excess concrete ot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 first rotation unit rotating the first transfer screw;
a first supply amount control plat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and controlling an amount of concrete guided to the leveling assembly;
a second conveying screw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and secondarily conveying and discharging excess concrete;
a second rotation unit rotating the second transfer screw; and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upply amount control plate coupled to the base fram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transfer screw, and adjusting the amount of concrete guided to the flattening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스크루의 나선 피치는 상기 제2 이송 스크루의 나선 피치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 스크루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이송 스크루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링크축으로 연결된 회동 프레임에 지지되되, 상기 회동 프레임은 제1 실린더에 의해 상기 링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
According to claim 3,
The helical pitch of the first conveying screw is formed larger than the helical pitch of the second conveying screw,
The second conveying screw is supported on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conveying screw is supported on a pivoting fram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a link axis, and the pivoting frame is rotated based on the link axis by a first cylinder. Characterized by a concrete pouring leveling machi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 실린더;
일단은 상기 제2 실린더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힌지부에 지지된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 가이드;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ing unit,
a second cylinder having one e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rotating shaf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cylind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hinge shaft supported by the hinge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rotated by the second cylinder;
a rotating shaft support guid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and
One end is supported on the rotation shaft,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ylinder for rotating the support frame based on the hinge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절부에는 요구되는 콘크리트 평탄면 높이 정보를 제공하는 레이저 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레벨조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rete pouring level adju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irradiated from a laser level that provides required concrete flat surface height information.
KR1020210168255A 2021-11-30 2021-11-30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KR102474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255A KR102474094B1 (en) 2021-11-30 2021-11-30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255A KR102474094B1 (en) 2021-11-30 2021-11-30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094B1 true KR102474094B1 (en) 2022-12-05

Family

ID=8439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255A KR102474094B1 (en) 2021-11-30 2021-11-30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09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8963A (en) * 1990-01-10 1991-09-12 Shimizu Corp Control method for concrete levelling device
JPH0583202U (en) * 1992-04-08 1993-11-12 株式会社熊谷組 Concrete leveling equipment
KR960001377A (en) 1994-06-03 1996-01-25 심현영 Concrete Flat Machine
KR100995727B1 (en) * 2010-05-18 2010-11-19 손강국 A flat working device for constructing concrete bottom
JP2021110157A (en) * 2020-01-10 2021-08-02 Jfeシビル株式会社 Concrete comp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8963A (en) * 1990-01-10 1991-09-12 Shimizu Corp Control method for concrete levelling device
JPH0583202U (en) * 1992-04-08 1993-11-12 株式会社熊谷組 Concrete leveling equipment
KR960001377A (en) 1994-06-03 1996-01-25 심현영 Concrete Flat Machine
KR100995727B1 (en) * 2010-05-18 2010-11-19 손강국 A flat working device for constructing concrete bottom
JP2021110157A (en) * 2020-01-10 2021-08-02 Jfeシビル株式会社 Concrete compa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8295A (en) Torsional automatic grade control system for concrete finishing
WO2009077640A1 (en) A method for moving a material processing device, a device for processing mineral material, and a frame for a processing device
CN105952469A (en) Full-automatic high-frequency vibrating leveling machine for tunnel inverted arch
CN111350116B (en) Material discharging and spreading device and material spreading robot
CN108995215B (en) Powder paving device applied to 3D printer
CN103144196A (en) Concrete stirring st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discharging method thereof
KR102474094B1 (en) Leveling adjuster for concrete pouring
CN111395118B (en) Leveling device paves
CN208815359U (en) The warehouse that paves automatically of high-speed rail unballasted track bed plate concrete receives face all-in-one machine
CN112627534B (en) Control method of concrete pouring and vibrating integrated device
CN110792275B (en) Movable wall building device
CN104264572A (en) Troweling head system of laser troweling machine
CN212925681U (en) Concrete road surface leveling device
CN105926947A (en) Thin-layer reactive powder concrete vibrating and levelling method and system
CN113445707A (en) Cement mortar smearing equipment capable of improving uniformity
KR101322639B1 (en) Light weight concrete floor surface finshing device
KR100995727B1 (en) A flat working device for constructing concrete bottom
CN111350117B (en) Material paving actuating device and material paving robot
CN211201219U (en) Movable wall-building mortar paving device
CN214424041U (en) Concrete placement integrated device that vibrates
CN110836020A (en) Movable wall-building mortar paving method
CN109853338A (en) Automatic stirring paves molding machine
JPH01295972A (en) Concrete leveler
CN214882779U (en) Concrete sliding formwork paving device
CN211007685U (en) Building concrete po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