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787B1 - Ship - Google Patents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787B1
KR102473787B1 KR1020197026873A KR20197026873A KR102473787B1 KR 102473787 B1 KR102473787 B1 KR 102473787B1 KR 1020197026873 A KR1020197026873 A KR 1020197026873A KR 20197026873 A KR20197026873 A KR 20197026873A KR 102473787 B1 KR102473787 B1 KR 10247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tank
fuel
line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9771A (en
Inventor
야스히코 히나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이 선박은, 선체(10)와, 선체(10)의 선미 측의 상부에 배치된 브리지와, 선체(10) 내에 마련된 주기관(40)과, 선체(10)의 상갑판(13) 상에 있어서의 브리지의 선수 측에 마련되고, 주기관의 연료가 저장됨과 함께,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축선(O)을 따라 뻗는 외주면을 갖는 연료 탱크(50)와, 연료 탱크(50) 내의 선수 측의 부분에 흡입구가 배치되어, 연료를 흡출하는 펌프(70)를 구비한다.In this ship, on the hull 10, the bridge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stern side of the hull 10, the main engine 40 provided in the hull 10, and the upper deck 13 of the hull 10 A fuel tank 50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along an axis O that is provided on the bow side of the bridge and stores fuel of the main engine and slopes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and a fuel tank 50 ), a suction port is disposed at a part on the bow side in the inside, and a pump 70 for sucking out fuel is provided.

Figure R1020197026873
Figure R1020197026873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4월 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7-07685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hips.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076856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April 7, 2017, and uses the content here.

선박의 일종으로서의 운반선으로서, LNG 등의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가 선수미(船首尾) 방향에 복수 배열된 운반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이들 복수의 카고 탱크는, 구형을 이루는 구형 탱크로 되어 있다. 구형 탱크는, 선박의 선미 측에 마련된 브리지보다 선수 측에서, 상갑판으로부터 상반부가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DESCRIPTION OF RELATED ART As a carrier ship as a type of ship, the carrier ship in which the cargo tanks which store liquefied gas, such as LNG, ar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bow and aft direction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2). These plurality of cargo tanks are spherical tanks forming a spherical shape. The spherical tank is provided so that its upper half protrudes from the upper deck on the bow side of the bridge provided on the stern side of the ship.

특허문헌 1, 2의 운반선에서는, 브리지로부터 전방의 수면까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선수미 방향에 배열된 복수의 구형 탱크 중, 선수 측에 배치된 구형 탱크의 높이를 선미 측에 배치된 구형 탱크보다 작게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carriers of Patent Literatures 1 and 2, among a plurality of spherical tanks arranged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e height of the spherical tanks arranged on the bow side is set to the stern side so that the view from the bridge to the water surface in front can be secured. A configuration that makes it smaller than the spherical tank is disclosed.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4891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9-2489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41293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61-241293

상기 운반선에서는, 화물로서의 카고 탱크의 액화 가스를 그대로 선박의 주기관(主機關)의 연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화물과 연료를 구분해야 한다는 요청으로부터,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와는 별도,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said carrier ship, the liquefied gas of the cargo tank as a cargo can also be used as fuel for the main engine of a ship as it is.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a fuel tank for storing fuel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a cargo tank for storing liquefied gas due to a request to separate cargo and fuel.

이와 같은 연료 탱크는, 선박의 항속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한 용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선박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연료 탱크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나 상기 연료 탱크의 크기에는 제한이 있다.It is preferable to make such a fuel tank as large as possible in order to secure the cruising distance of a ship.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fuel tank in a limited space in a ship,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uel tank and the size of the fuel tank.

특히, 연료 탱크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브리지로부터 수면까지의 시야를 방해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펌프에 의하여 적절히 흡출(吸出)하기 위해서는, 연료 탱크 내의 펌프 설치 위치에서의 연료의 액면 높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 탱크의 자세에도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depending on where the fuel tank is install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iew from the bridge to the water surface is obstruct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ppropriately pump out the fuel in the fuel tank by means of a pump,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osition of the fuel tank in order to secure the liquid level of the fuel at the pump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fuel tank.

본 발명은, 브리지로부터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연료 탱크의 크기 및 연료의 흡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p capable of securing the size of a fuel tank and the ability to draw fuel while securing a view from a bridge.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선미 측의 상부에 배치된 브리지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주기관과, 상기 선체의 상갑판 상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의 선수 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기관의 연료가 저장됨과 함께,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축선을 따라 뻗는 외주면을 갖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선수 측의 부분에 흡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연료를 흡출하는 펌프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includes a hull, a bridge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ern side of the hull, a main engine provided in the hull, and a bow side of the bridge on the upper deck of the hull Provided, fuel of the main engine is stored, and a fuel tank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along an ax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and a suction port disposed at a bow side portion in the fuel tank, the fuel It is provided with a pump that sucks out.

상기 양태의 선박에 의하면, 상갑판에 설치된 연료 탱크의 외주면이 선수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축선을 따라 뻗어 있다. 이로 인하여, 브리지로부터 선수의 전방까지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상기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연료 탱크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ip of the said aspe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uel tank installed in the upper deck extends along the axis line which inclines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fuel tank can be increas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while securing the field of vision from the bridge to the front of the player.

또한, 연료 탱크의 경사의 하부가 되는 연료 탱크 내의 선수 측의 부분으로부터, 펌프가 연료를 흡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비교적 적어진 경우여도, 흡입 시의 펌프의 헤드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끝까지 다 사용되지 못하여 잔류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ump is configured to suck fuel from the bow side of the fuel tank at the bottom of the slope of the fuel tank, even when the fuel in the fuel tank is relatively low, the head of the pump at the time of intake can be secured. hav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maining fuel in the fuel tank from being used up to the end.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선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연료 탱크의 상기 외주면을 이루는 상부 탱크 라인 및 하부 탱크 라인이, 각각 상기 축선에 평행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tank line and the lower tank line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el tank are parallel to the axis line, as viewe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상부 탱크 라인이 선수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되기 때문에, 브리지로부터 선수의 전방으로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탱크 라인이 선수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적어졌을 때에는, 연료 탱크의 전방으로 연료가 모인다. 이로 인하여, 연료 탱크 내의 선수 측에 마련된 펌프에 의하여, 전방에 모인 연료를 흡출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tank line slopes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it is possible to avoid obstructing the forward view of the bow from the bridge. Also, since the lower tank line inclines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when the fuel in the fuel tank becomes low, the fuel collects in front of the fuel tank. For this reason, the fuel accumulated in the front can be sucked out by the pump provided on the bow side in the fuel tank.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상기 상부 탱크 라인은, 선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브리지와 상기 선수의 전방의 수면을 잇는 시야 요구 라인을 따라 뻗어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ank line extends along a line of view required connecting the bridge and the water surface in front of the player, as viewe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이로써, 연료 탱크가 브리지로부터 선수의 전방까지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즉, 선박의 시야에 관한 규칙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연료 탱크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ximum capacity of the fuel tank can be secur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fuel tank does not obstruct the view from the bridge to the front of the bow, that is, in a range in which the ship's view-related rules are not violated.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상기 연료 탱크의 외주면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 면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el tank has a cylindrical surface shape centered on the axis line.

이로써, 연료 탱크 제조상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연료를 고압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내압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reby, the cost on fuel tank manufacture can be held down. In addition, a pressure-resistant structure for storing fuel in a high-pressure state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상기 선체 내에 카고 홀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고 홀드 내에 배치되어,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카고 탱크를 갖는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go hold is formed in the hull and has a cargo tank disposed in the cargo hold and accommodating liquefied gas.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가 별도 마련되는 경우여도, 상기와 같이, 연료 탱크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면서, 브리지로부터의 시야성, 연료 탱크 내의 연료의 소비성을 담보할 수 있다.Even if the cargo tank for storing liquefied gas and the fuel tank for storing fuel are provided separately, as described above, the visibility from the bridge and the consumption of fuel in the fuel tank can be ensured while maximizing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can

상기 선박에 의하면, 브리지로부터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연료 탱크의 크기 및 연료의 흡출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ip,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ize of the fuel tank and the suction property of the fuel while securing the view from the bridge.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운반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운반선의 연료 탱크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시야 요구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a는 운반선의 연료 탱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기 연료 탱크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운반선의 연료 탱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기 연료 탱크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5c는 운반선의 연료 탱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기 연료 탱크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carrier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rthogonal to the axial line of a fuel tank of a carrier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sual field request line.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fuel tank of a carrier vessel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uel tank.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fuel tank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uel tank of the carrier ship.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axial line of the fuel tank of the carrier vessel,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fuel tank.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선박(100)은, 액화 가스로서 액화 석유 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를 수송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이다.Hereinafter, the ship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hip 100 of this embodiment is a liquefied gas carrier that transports liquefied petroleum gas (LPG) as liquefied gas.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은, 선체(10), 브리지(20), 카고 탱크(30), 주기관(40), 연료 탱크(50) 및 펌프(7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 a ship 100 includes a hull 10, a bridge 20, a cargo tank 30, a main engine 40, a fuel tank 50, and a pump 70.

선체(10)는, 현측(舷側)(11), 선저(船底)(12) 및 상갑판(13)을 갖고 있다. 현측(11)은, 좌우 현측(11)을 각각 구성하는 한 쌍의 현측 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저(12)는, 이들 좌우의 현측(11)끼리를 하부에서 접속하는 선저 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hull (10) has a side (11), a ship's bottom (12), and an upper deck (13). The side 11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 shell plates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11, respectively. The ship bottom 12 is composed of a ship bottom shell plate that connects the left and right sides 11 to each other from the bottom.

상갑판(13)은, 선저(12)보다 상방에서 좌우 한 쌍의 현측(11)을 접속하고 있다. 상갑판(13)은, 선수로부터 선미에 걸쳐 뻗는 폭로 갑판이다. 상갑판(13)은,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갑판(13)은, 선박(100)의 항행 상태에 따라서는 상기 선박(100)의 선미 측이 내려감으로써, 상갑판(13) 자체도 선미 측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The upper deck 13 connect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11 above the ship bottom 12 . The upper deck 13 is an exposed deck extending from the bow to the stern. The upper deck 13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for the upper deck 13, the stern side of the said ship 100 goes down depending on the sailing condition of the ship 100, and the stern side of the upper deck 13 itself may also incline downward.

선체(10)는, 이들 현측(11), 선저(12) 및 상갑판(13)에 의하여,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체(10) 내에 있어서의 선미 측의 부분은, 기관실(14)로 되어 있다. 선체(10) 내에 있어서의 기관실(14)보다 선수 측의 부분은, 기관실(14)과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카고 홀드(15)로 되어 있다.The hull 1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fore and aft direction formed by these side 11, the ship bottom 12, and the upper deck 13 into a substantially box shape forming a space therein. The part on the stern side in the said ship body 10 becomes the engine room 14. The part on the bow side rather than the engine room 14 in ship body 10 becomes the cargo hold 15 partitioned by the engine room 14 and a bulkhead.

브리지(20)는, 선체(10)의 상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뻗도록 마련되어 있다. 브리지(20)는, 선체(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선미 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기관실(14)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브리지(20)는, 복수 계층을 이루고 있다. 브리지(20)의 상층에는, 선박(100)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실(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종실(21)은, 선박(100)의 전방을 높은 곳에서 전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ridge 20 is provid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hull 10. The bridge 20 is provided on the stern side in the upper part of the ship body 10 and is provided above the engine room 14 . The bridge 20 has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upper floor of the bridge 20, a cockpit 21 for manipulating the vessel 100 is provided. The cockpit 21 is configured so that the front of the ship 100 can be viewed from a high place.

카고 탱크(30)는, 선체(10)의 카고 홀드(15) 내에 선수미 방향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가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인접하는 카고 탱크(30)끼리의 사이의 부분은, 각 카고 탱크(30)가 수용되는 구획을 구획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있다.The cargo tank 30 is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three in this embodiment) may be arranged in the cargo hold 15 of the ship body 10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Partitions between the adjacent cargo tanks 30 comrades are provided with partition walls that divide compartments in which each cargo tank 30 is accommodated.

본 실시형태의 카고 탱크(30)는, 평판상의 탱크 벽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구성된 방형(方形) 탱크이다. 상기 카고 탱크(30) 내에는, 화물로서의 LPG가 상압 저온 상태로 저장된다. 또한, "상압 저온 상태"란, LPG를 가압하지 않고 저온으로 하는 것만으로 LPG의 액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LPG는, 약 -46

Figure 112019093828699-pct00001
이하로 함으로써, 상압에서 액화된다. 이로 인하여, 선박(100)에는, LPG를 저온 액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증발 가스 처리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증발 가스 처리 장치로서는, 재액화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The cargo tank 30 of this embodiment is a square tank constructed by bonding flat tank wall portions to each other. In the cargo tank 30, LPG as a cargo is stored at normal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In addition, "at normal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state"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liquefaction state of LPG is maintained only by making LPG low temperature without pressurizing it. LPG is about -46
Figure 112019093828699-pct00001
By carrying out below, it liquefies at normal pressure. For this reason, the ship 100 is provided with a boil-off gas treatment device (not shown) for maintaining LPG in a low-temperature liquefied state. As the boil-off gas treatment device, a reliquefaction device is employed.

재액화 장치는, 카고 탱크(30)에서 LPG가 외부의 열에 의하여 기화함으로써 배출된 증발 가스를, 카고 탱크(30)의 외부에서 냉각하여 재차 액화시킨다. 이와 같이 액화된 가스는, LPG로서 카고 탱크(30) 내에 되돌려진다. 이로써, LPG 내에서의 저온 액화 상태(예를 들면 -46

Figure 112019093828699-pct00002
이하의 온도)가 유지되고 있다.The re-liquefying device cools the boil-off gas discharged by vaporizing LPG in the cargo tank 30 by external heat from the outside of the cargo tank 30 and liquefies it again. The gas liquefied in this way is returned to the cargo tank 30 as LPG. Thus, the low-temperature liquefaction state in LPG (e.g. -46
Figure 112019093828699-pct00002
temperature below) is maintained.

주기관(40)은, 선체(10) 내의 기관실(14)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기관(40)은, LPG를 연료로서 구동된다. 여기에서, 주기관(40)의 연료는, LPG에 한정되지 않고, LPG와 다른 연료와의 병용(바이퓨얼)이나, 혼합(듀얼푸얼) 등이어도 된다. 주기관(40)의 구동에 의하여, 선체(10)의 선미의 하방에 마련된 스크루(41)가 회전한다.The main engine 40 is disposed in the engine room 14 in the ship body 10 . The main engine 40 of this embodiment is driven with LPG as fuel. Here, the fuel of the main engine 40 is not limited to LPG, and may be a combination (bifuel) or a mixture (dual fuel) of LPG and other fuels. By driving the main engine 40, the screw 41 provided below the stern of the ship body 10 rotates.

다음으로 연료 탱크(5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50)는, 주기관(40)의 연료가 되는 LPG를 저장한다. 연료 탱크(50)는, 상갑판(13) 상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선수미 방향으로 3개가 배열된 카고 탱크(30) 중, 중앙의 카고 탱크(30)의 상방의 상갑판(13) 상에 마련되어 있다.Next, the fuel tank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fuel tank 50 of this embodiment stores LPG serving as fuel for the main engine 40 . The fuel tank 50 is provided on the upper deck 13 .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deck 13 above the center cargo tank 30 among the cargo tanks 30 in which three were arranged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for example.

연료 탱크(50)는, LPG를 고압 상온 상태로 저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연료 탱크(50)는 내압 용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압 상온 상태"란, LPG를 냉각하지 않고 가압하는 것만으로 LPG의 액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The fuel tank 50 is capable of storing LPG at high pressure and normal temperature. For this reason, the fuel tank 50 is constituted by a pressure-resistant container. In addition, the "high-pressure normal temperatur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liquefied state of LPG is maintained only by pressurizing the LPG without cooling it.

연료 탱크(50)는, 통부(51)와, 한 쌍의 덮개부(52)를 갖는다. 통부(51)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51)의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즉, 통부(51)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통부(51)를 구성하는 벽의 두께는 일정하게 되어 있다. 통부(51)의 축선(O) 방향의 치수는, 통부(51)의 직경보다 크다. 즉, 연료 탱크(50)는, 축선(O)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다.The fuel tank 50 has a tubular portion 51 and a pair of lid portions 52 . The tubular portion 51 has a tubular shape centered on the axis O.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 th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axis line O of the tubular portion 51 has formed a circle, that is, the tubular portion 51 has formed a cylindrical shape.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ing the tube portion 51 is constant. The dimension of the tube portion 51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line O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ube portion 51 . That is, in the fuel tank 50, the direction of the axis line O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 쌍의 덮개부(52)는, 통부(51)의 축선(O) 방향 양단을 각각 폐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부(51)는, 통부(51)의 양단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곡면상을 이루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면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연료 탱크(50)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통부(51) 및 곡면상을 이루는 한 쌍의 덮개부(52)에 의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체로서 원통 형상을 이룸으로써, 내압성이 확보되고 있다. 연료 탱크(5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외주면도 원통 면상을 이루고 있다. 연료 탱크(50)의 용적은, 카고 탱크(30)의 용적보다 충분히 작다.The pair of cover portions 52 are provided so as to block both ends of the cylinder portion 51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line O. For example, the tubular portion 51 has a curved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tubular portion 51, and preferably has a spherical shape. In this way, the fuel tank 50 is constituted by the cylindrical portion 51 forming a cylindrical shape and the pair of cover portions 52 forming a curved surface, thereby forming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thereby ensuring pressure resista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entered on the axis of the fuel tank 50 also has a cylindrical surface shape.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50 is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capacity of the cargo tank 30 .

이와 같은 연료 탱크(50)는, 상갑판(13) 상에서, 상기 축선(O)이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연료 탱크(50)는,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축선(O)을 따라 뻗어 있다. 축선(O)은, 선박(100)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수미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연료 탱크(50)는, 선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축선(O)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쌍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Such a fuel tank 50 is provided on the upper deck 13 so as to incline downward as the axis line O faces the bow side. That is, the fuel tank 50 extends along the axis O that goes downward as it goes to the bow side. The axis line O coincides with the bow and aft direction when the ship 100 is viewed from a plane. A pair of fuel tanks 50 may be arranged so that mutual axes O are parallel to each other when spaced apart in the line width direction and viewed in plan.

상갑판(13)의 상방에 배치되는 축선(O)은, 상기 상갑판(13)에 대하여,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상갑판(13)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갑판(13)에 대한 축선(O)의 경사 각도는, 선박(100)의 항행 시에 상기 선박(100) 및 상갑판(13)의 선미 측이 내려가고 있는 경우여도, 축선(O)이 수평면에 대하여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다.An axis line O arranged above the upper deck 13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deck 13 so as to approach the upper deck 13 as it goes toward the bow sid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xis O with respect to the upper deck 13 is such that the axis O is in the horizontal plane even when the stern side of the ship 100 and the upper deck 13 are going down during navigation of the ship 100. It is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maintain an inclination downward as it faces the bow side.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선수미 방향 위치에서의 연료 탱크(50)의 통부(51)의 외주면의 상단끼리를 잇는 라인을 상부 탱크 라인(La)으로 한다. 상부 탱크 라인(La)은, 선박(10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상방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각 선수미 방향 위치에서의 연료 탱크(50)의 통부(51)의 외주면의 하단끼리를 잇는 라인을 하부 탱크 라인(Lb)으로 한다. 하부 탱크 라인(Lb)은, 선박(10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하방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a lin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ylinder portion 51 of the fuel tank 50 at each position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n upper tank line La. The upper tank line La forms an upper outl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ip 100. A line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ylinder portion 51 of the fuel tank 50 at each position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wer tank line Lb. The lower tank line Lb forms a downward outl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hip 100.

이들 상부 탱크 라인(La) 및 하부 탱크 라인(Lb)은,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탱크 라인(La) 및 하부 탱크 라인(Lb)은 축선(O)에 평행을 이루고 있다. 연료 탱크(50)를 구성하는 통부(51)의 두께는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탱크 라인(Lb)이 경사져 있음으로써, 연료 탱크(50)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바닥면도 하부 탱크 라인(Lb)과 동일하게 경사져 있다.These upper tank line La and lower tank line Lb incline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tank line La and the lower tank line Lb are parallel to the axis line O. Since the thickness of the tubular portion 51 constituting the fuel tank 50 is constant, the lower tank line Lb is inclin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that divides the space in the fuel tank 50 is also lower tank line Lb. is inclined in the same way as

상기와 같은 연료 탱크(50)의 경사 자세는, 일례로서, 상기 경사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부(6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탱크 지지부(60)는, 연료 탱크(50)의 축선(O)이 상기와 같이 경사지도록 상기 연료 탱크(50)를 상갑판(13) 상에 지지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50)는, 선수 측 지지부(61), 선미 측 지지부(62)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를 받고 있다. 선수 측 지지부(61), 선미 측 지지부(62)는 각각 상갑판(13) 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선미 측 지지부(62)의 상단이 선수 측 지지부(61)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미 측 지지부(62)와 선수 측 지지부(61)와의 높이의 차이에 따라, 연료 탱크(50)의 경사 자세가 유지되고 있다. 또한, 탱크 지지부(60)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갑판(13) 상에 연료 탱크(50)를 경사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As an example, the inclined attitude of the fuel tank 50 as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the tank support 60 supporting the inclined tank. The tank support portion 60 supports the fuel tank 50 on the upper deck 13 so that the axis O of the fuel tank 50 is inclin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fuel tank 50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bow side support part 61 and the stern side support part 62. The bow side support part 61 and the stern side support part 62 are each fixed on the upper deck 13, and the upper end of the stern side support part 62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ow side support part 61. In this way, the inclined attitude of the fuel tank 50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tern side support part 62 and the bow side support part 61 .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ank support portion 6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t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as long as the fuel tank 50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deck 13 in an inclined posture.

여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연료 탱크(50)의 경사 자세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료 탱크(50)는, 도 4에 나타내는 시야 요구 라인(Lv)의 하방에 들어가도록, 상갑판(1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시야 요구 라인(Lv)이란, 브리지(20)에 있어서의 조종실(21)과, 선수의 전방 수면에 있어서의 선수로부터 선박(100)의 전체 길이 Loa의 2배 또는 500m 중 짧은 쪽의 위치를 잇는 가상선이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4, the inclined attitude of the fuel tank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uel tank 50 is disposed on the upper deck 13 so as to fall below the visual field demand line Lv shown in FIG. 4 . Here, the field of view demand line Lv is the shorter of the cockpit 21 in the bridge 20 and the full length Loa of the ship 100 from the bow in the front water surface of the bow twice or 500 m. It is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locations.

즉, 선박(100)에서는 규칙에 의하여, 상갑판(13) 상의 연료 탱크(50) 등의 구조물이, 브리지(20)의 조종실(21)로부터 선수의 전방 수면의 선수로부터 전체 길이의 2배 또는 500m 중 짧은 쪽의 위치까지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요건으로서 정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야 요구 라인(Lv)의 브리지(20) 측의 기단은, 조종실(21)의 전방의 전벽면(前壁面)으로부터 선미 측을 향하여 750mm의 위치, 또한, 마루면으로부터 1800mm의 위치로 정해져 있다. 상기 시야 요구 라인(Lv)의 하방에 연료 탱크(50)가 배치되어 있으면, 즉, 시야 요구 라인(Lv)을 상방을 넘어 연료 탱크(50)의 상부 탱크 라인(La)이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규칙에 의한 요구를 충족시킨다.That is, in the ship 100, according to the rules, structures such as the fuel tank 50 on the upper deck 13 are twice the total length or 500 m from the bow of the water surface ahead of the bow from the cockpit 21 of the bridge 20 It is determined as a requirement that the view to the position of the shorter side is not obstructed. More specifically, the base end of the bridge 20 side of the view request line Lv is at a position of 750 mm from the front wall surface in front of the cockpit 21 toward the stern side, and at a position of 1800 mm from the floor surface. determined by location. If the fuel tank 50 is disposed below the visibility request line Lv, that is, if the upper tank line La of the fuel tank 50 is not located beyond the visibility request line Lv, the Satisfy the demands made by the rules.

연료 탱크(50)의 용적을 할 수 있는 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연료 탱크(50)의 상부 탱크 라인(La)은, 시야 요구 라인(Lv)에 할 수 있는 한 근처까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탱크(50)의 상부 탱크 라인(La)은, 시야 요구 라인(Lv)과 평행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연료 탱크(50)의 상부 탱크 라인(La)은, 시야 요구 라인(Lv)에 일치하여 뻗어 있어도 된다. 즉, 연료 탱크(50)의 상부 탱크 라인(La)은, 시야 요구 라인(Lv)을 따라 뻗어 있으면 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fuel tank 50 as much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tank line La of the fuel tank 50 be arrang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view request line Lv. The upper tank line La of the fuel tank 50 may be parallel to the visual field request line Lv. The upper tank line La of the fuel tank 50 may extend in line with the field of view request line Lv. That is, the upper tank line La of the fuel tank 50 should just extend along the view request line Lv.

다음으로 펌프(70)에 대하여 설명한다. 펌프(7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50) 내의 LPG를 주기관(40)에 압송하는 역할을 갖는다. 펌프(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 등의 구동부는, 연료 탱크(5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연료 탱크(50) 밖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연료 탱크(50)가 저장하는 LPG는 절연성을 갖기 때문에, 연료 탱크(50) 내에 구동부를 마련해도 문제는 없다.Next, the pump 7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2 , the pump 70 has a role of pressurizing LPG in the fuel tank 50 to the main engine 40 . A drive unit such as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pump 7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uel tank 50 o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uel tank 50 . In particular, since the LPG stored in the fuel tank 50 has insulating properties,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in the fuel tank 50.

펌프(70)는 그 흡입구가, 연료 탱크(50) 내에 있어서의 선수 측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50) 내의 공간에 있어서의 통부(51)와 선수 측의 덮개부(52)와의 경계 부근에 펌프(70)의 흡입구가 배치되어 있다. 펌프(70)의 흡입구는, 연료 탱크(50) 내의 공간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개소에, 또는 상기 개소에 근접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70)의 흡입구는, 연료 탱크(50)의 하부 탱크 라인(Lb)이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개소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70)로부터 흡출된 연료는 배관(71)을 통하여 주기관(40)에 이송된다.The suction port of the pump 70 is provided in the part on the bow side in the fuel tank 50.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70 is arrang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tube portion 51 in the space within the fuel tank 50 and the cover portion 52 on the bow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70 is provided at a location located at the bottommost position in the space within the fuel tank 50 or close to the loc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7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lower tank line Lb of the fuel tank 50 is located at the lowest point. The fuel drawn from the pump 70 is transported to the main engine 40 through the pipe 71.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갑판(13)에 설치된 연료 탱크(50)의 외주면이 선수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축선(O)을 따라 뻗어 있다. 이로 인하여, 브리지(20)의 조종실(21)로부터 선수의 전방까지의 시야를 크게 확보하면서, 상기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연료 탱크(50)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el tank 50 installed on the upper deck 13 extends along an axis O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fuel tank 50 within a range in which the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while securing a large field of view from the cockpit 21 of the bridge 20 to the front of the player.

즉, 연료 탱크(50)가 선수 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자세라면, 브리지(20)의 조종실(21)로부터 선수 측으로의 수면을 향하여 내려다 보는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자세에 의하여 연료 탱크(50)의 선미 측이 상방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지 않았던 공간이며 시야의 방해가 되지 않는 공간을, 연료 탱크(50)가 차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연료 탱크(50)가 연료를 저장 가능한 유효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That is, if the fuel tank 50 is inclined toward the bow, it is possible to suppress obstruction of the view looking down from the cockpit 21 of the bridge 20 toward the water surface toward the bow. In addition, since the stern side of the fuel tank 50 is positioned upward due to the inclined posture, the fuel tank 50 occupies a space that has not been used so far and does not obstruct the view. Due to this, the effective capacity of the fuel tank 50 capable of storing fuel can be expanded.

또한, 연료 탱크(50)의 경사의 하부가 되는 연료 탱크(50) 내의 선수 측의 부분으로부터, 펌프(70)가 연료를 흡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료 탱크(50) 내의 연료가 비교적 적어진 경우여도, 흡입 시의 펌프(70)의 헤드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50) 내의 LPG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에는, 상기 LPG가 연료 탱크(50)의 경사에 따라, 상기 연료 탱크(50) 내의 선수 측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모인 LPG를 펌프(70)가 흡입구를 통하여 흡출함으로써, 연료 탱크(50) 내의 연료가 끝까지 다 사용되지 못하여 잔류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펌프(70)에 의한 연료의 흡출성을 확보할 수 있다.Also, when the fuel in the fuel tank 50 is relatively small because the pump 70 sucks fuel from the portion on the bow side in the fuel tank 50 that is below the slope of the fuel tank 50. Even if it is, the head of the pump 70 at the time of suction can be secured. That is, as shown in FIG. 2 ,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LPG in the fuel tank 50 is reduced, the LPG is collected at the bow side in the fuel tank 5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uel tank 50 . As the pump 70 sucks the collected LPG through the suction po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maining fuel in the fuel tank 50 because it is not used up to the end. That is, the pump 70 can ensure the suctioning of fuel.

여기에서, 만일 연료 탱크(50)의 경사 자세가 본 실시형태와 반대의 경우, 즉, 연료 탱크(50)의 축선(O)이 선미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에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연료 탱크(50)의 선수 측이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브리지(20)의 조종실(21)로부터의 시야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료 탱크(50)를 보다 선미 측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설치의 자유도가 저해된다. 또, 브리지(20)로부터의 시야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연료 탱크(50)를 선수 측에 설치하려고 하면, 연료 탱크(50) 자체를 작게 구성할 필요가 있어, 유효 용적이 감소된다.Here, if the inclined posture of the fuel tank 50 is opposite to tha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when the axis line O of the fuel tank 5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ern side, the fuel tank ( 50)'s player's side is positioned upward.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iew from the cockpit 21 of the bridge 20 is obstr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field of view, the fuel tank 50 must be installed further toward the stern, which hinders the freedom of installation. In addition, if the fuel tank 50 is to be installed on the bow side so as not to obstruct the view from the bridge 20, the fuel tank 50 itself needs to be made small, reducing the effective volume.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료 탱크(50)의 축선(O)을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뻗도록 상기 연료 탱크(50)를 배치하면,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연료 탱크(50)를 상갑판(13) 전방 측에 배치할 수 있어, 즉 갑판 상의 연료 탱크(50)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리지(20)로부터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연료 탱크(50)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크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uel tank 50 is arranged so that the axis line O of the fuel tank 50 extends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el tank 50 can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deck 13, that is,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of the fuel tank 50 on the deck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50 can be maximiz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view from the bridge 20 is not obstructed.

또,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50)의 상부 탱크 라인(La), 하부 탱크 라인(Lb)이 경사지는 축선(O)에 평행을 이루고 있다. 즉, 상부 탱크 라인(La)이 선수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브리지(20)로부터 선수의 전방으로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보다 더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탱크 라인(Lb)이 선수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연료 탱크(50)의 내측의 공간을 구성하는 바닥면도 동일하게 경사진다. 이로 인하여, 연료 탱크(50) 내의 LPG가 적어졌을 때에는, 연료 탱크(50) 내의 연료가 바닥면에 의하여 선수 측에 안내됨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50) 내의 선수 측의 부분에 LPG를 모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료 탱크(50) 내의 선수 측에 마련된 펌프(70)에 의하여, 전방에 모인 연료를 고효율로 흡출할 수 있다.In addition, especially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tank line La and the lower tank line Lb of the fuel tank 50 are parallel to the inclined axis O. That is, since the upper tank line La slopes downward toward the player's side, obstruction of the player's forward view from the bridge 20 can be further avoided. Further, since the lower tank line Lb inclines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the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inner space of the fuel tank 50 also inclines in the same way. For this reason, when the amount of LPG in the fuel tank 50 decreases, the fuel in the fuel tank 50 is guided to the bow side by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LPG can be collected in the part on the bow side in the fuel tank 50. . For this reason, with the pump 70 provided in the bow side in the fuel tank 50, the fuel collected in the front can be suctioned out with high efficiency.

또한, 상부 탱크 라인(La)이, 선폭 방향에서 보아, 브리지(20)와 선수의 전방의 수면을 잇는 시야 요구 라인(Lv)을 따라 뻗어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규칙을 충족시키면서, 연료 탱크(50)가 브리지(20)로부터 선수의 전방까지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연료 탱크(50)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tank line La extends along the sight line Lv connecting the bridge 20 and the water surface in front of the player, as viewe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while satisfying the required rules, the fuel tank 50 ) can ensure the maximum capacity of the fuel tank 50 within a range in which the view from the bridge 20 to the front of the player is not hindered.

또, 연료 탱크(50)가 원통 형상을 이룸으로써, 연료 탱크(50) 제조상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료를 고압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내압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fuel tank 5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uel tank 50 can be reduced. In addition, a pressure-resistant structure for storing fuel in a high-pressure state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화물로서의 LPG를 저장하는 카고 탱크(30)와 연료로서의 LPG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50)가 별도 마련되는 경우여도, 상기와 같이, 연료 탱크(50)의 용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면서, 브리지(20)로부터의 시야성, 연료 탱크(50) 내의 연료의 흡출성을 담보할 수 있다.An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cargo tank 30 for storing LPG as cargo and the fuel tank 50 for storing LPG as fuel are separate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volume of the fuel tank 50 It is possible to ensure visibility from the bridge 20 and fuel extraction performance in the fuel tank 50 while securing the maximum.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change suitably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예를 들면 제1 변형예로서, 도 5a에 나타내는 연료 탱크(150)를 채용해도 된다. 제1 변형예의 연료 탱크(150)는, 각각 축선(O) 방향으로 뻗는 2개의 원통부(151)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합체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For example, as a first modification, the fuel tank 150 shown in FIG. 5A may be employed. The fuel tank 150 of the first modified example has a shape in which two cylindrical portions 151 each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line O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united in 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 제2 변형예로서, 도 5b에 나타내는 연료 탱크(160)를 채용해도 된다. 제2 변형예의 연료 탱크(160)는, 축선(O)을 따라 뻗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판부(161) 및 하판부(162)를 갖고 있다. 이들 상판부(161) 및 하판부(162)의 선폭 방향 양측은, 만곡부(163)에 의하여 원호상으로 접속되어 있다.Also, as a second modified example, the fuel tank 160 shown in FIG. 5B may be employed. The fuel tank 160 of the second modified example has an upper plate portion 161 and a lower plate portion 162 extending along the axis line O and oppos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portion 161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62 in the line width direction are connected by a curved portion 163 in an arc shape.

또한, 제3 변형예로서, 도 5c에 나타내는 연료 탱크(170)를 채용해도 된다. 제3 변형예의 연료 탱크(170)는, 축선(O)을 따라 뻗는 단면 사각 형상의 각통부(171)로 구성되어 있다.As a third modified example, the fuel tank 170 shown in FIG. 5C may be employed. The fuel tank 170 of the third modified example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tube portion 171 extending along the axis line O and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제1~제3 변형예 중 어느 경우여도, 연료 탱크(150, 160, 170)는,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축선(O)을 따라 뻗는 외주면 및 상기 외주면에 포함되는 상부 탱크 라인(La) 및 하부 탱크 라인(Lb)을 갖고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In any of the first to third modifications, the fuel tanks 150, 160, and 170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along an axis O that slopes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and an upper tank includ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has a line La and a lower tank line Lb. Therefore, the same effect as the embodiment is exhibited.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50)에 저장되는 연료를 LPG로 했지만, 예를 들면 LNG 등의 다른 액화 가스를 연료로 해도 된다. 또, 카고 탱크(30)에 저장되는 화물도 LPG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액화 가스여도 된다. 또한, 카고 탱크(30)에 저장되는 화물이 액화 가스 이외의 액체, 물자여도 된다.In the embodiment,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50 is LPG, but other liquefied gas such as LNG may be used as the fuel. Moreover, the cargo stored in the cargo tank 30 is not limited to LPG, and other liquefied gas may be sufficient as it. In addition, liquids and materials other than liquefied gas may be sufficient as the cargo stored in the cargo tank 30.

이 선박에 의하면, 브리지로부터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연료 탱크의 크기 및 연료의 흡출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hip,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ize of the fuel tank and the suction property of the fuel while securing the view from the bridge.

10 선체
11 현측
12 선저
13 상갑판
14 기관실
15 카고 홀드
20 브리지
21 조종실
30 카고 탱크
40 주기관
41 스크루
50 연료 탱크
51 통부
52 덮개부
60 탱크 지지부
61 선수 측 지지부
62 선미 측 지지부
70 펌프
71 배관
100 선박
150 연료 탱크
151 원통부
160 연료 탱크
161 상판부
162 하판부
163 만곡부
170 연료 탱크
171 각통부
O 축선
Lv 시야 요구 라인
La 상부 탱크 라인
Lb 하부 탱크 라인
10 hull
11 broadside
12 bottom
13 upper deck
14 engine room
15 Cargo Hold
20 bridge
21 cockpit
30 cargo tank
40 cycle engine
41 screw
50 fuel tank
51 Tongbu
52 cover
60 tank support
61 Athlete side support
62 stern side support
70 pump
71 plumbing
100 ships
150 fuel tank
151 cylinder
160 fuel tank
161 top plate
162 lower plate
163 bend
170 fuel tank
171 leg tube
O axis
Lv sight line
La upper tank line
Lb lower tank line

Claims (5)

선체와,
상기 선체의 선미 측의 상부에 배치된 브리지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주기관과,
상기 선체의 상갑판 상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의 선수 측에 마련되어, 상기 주기관의 연료가 저장됨과 함께, 선수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축선을 따라 뻗는 외주면을 갖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선수 측의 부분에 흡입구가 배치되어, 상기 연료를 흡출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통부와, 한 쌍의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흡입구가, 상기 연료 탱크 내의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통부와 선수 측의 상기 덮개부와의 경계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선수 측 지지부, 선미 측 지지부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선수 측 지지부, 상기 선미 측 지지부는 각각 상기 상갑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선미 측 지지부의 상단이, 상기 선수 측 지지부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선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연료 탱크의 상기 외주면을 이루는 상부 탱크 라인 및 하부 탱크 라인이, 각각 상기 축선에 평행을 이루고,
상기 상부 탱크 라인은, 선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브리지와 상기 선수의 전방의 수면을 잇는 시야 요구 라인을 따라 뻗어 있는 선박.
hull and
A bridg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rn side of the hull;
A main engine provided in the hull;
A fuel tank provided on the bow side of the bridge on the upper deck of the hull, storing fuel for the main engine,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along an ax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ow side;
A suction port is disposed at a portion on the bow side in the fuel tank, and a pump for sucking the fuel is provided,
The fuel tank includes a tube portion and a pair of cover portions;
In the pump, a suction port is disposed at a boundary between the tube portion and the lid portion on the bow side in a space in the fuel tank,
The fuel tank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bow side support part and the stern side support part,
The bow side support part and the stern side support part are each fixed on the upper deck,
The upper end of the stern side support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ow side support,
An upper tank line and a lower tank line constitu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el tank as viewe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are parallel to the axis, respectively;
The upper tank line extends along a view request line connecting the bridge and the water surface in front of the bow, as viewed in the ship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외주면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 면상을 이루고 있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A vessel in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el tank forms a cylindrical surface shape centered on the axis lin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내에 카고 홀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고 홀드 내에 배치되어,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카고 탱크를 구비하는 선박.
According to claim 1 or 4,
A cargo hold is formed in the hull,
A ship disposed in the cargo hold and having a cargo tank accommodating liquefied gas.
KR1020197026873A 2017-04-07 2017-08-18 Ship KR1024737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6856A JP6575033B2 (en) 2017-04-07 2017-04-07 Ship
JPJP-P-2017-076856 2017-04-07
PCT/JP2017/029634 WO2018185951A1 (en) 2017-04-07 2017-08-18 Ship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520A Division KR20210035329A (en) 2017-04-07 2017-08-18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771A KR20190109771A (en) 2019-09-26
KR102473787B1 true KR102473787B1 (en) 2022-12-02

Family

ID=637133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873A KR102473787B1 (en) 2017-04-07 2017-08-18 Ship
KR1020217008520A KR20210035329A (en) 2017-04-07 2017-08-18 Ship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520A KR20210035329A (en) 2017-04-07 2017-08-18 Ship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75033B2 (en)
KR (2) KR102473787B1 (en)
CN (1) CN110446655A (en)
WO (1) WO20181859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7837B2 (en) 2019-04-23 2023-02-22 三菱造船株式会社 Liquefied gas storage tanks and ships
JP7379211B2 (en) 2020-02-28 2023-11-14 三菱造船株式会社 fuel tanks and ship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086B1 (en) * 2015-02-17 2016-07-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ual fuel system having supplying fuel in lpg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1293A (en) 1985-04-19 1986-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Tank loading vessel
FI101060B (en) 1995-05-12 1998-04-15 Kvaerner Masa Yards Oy gas tankers
FI121876B (en) * 2010-04-09 2011-05-31 Waertsilae Finland Oy Procedure for operating a watercraft using LNG as fuel and watercraft
KR200476462Y1 (en) * 2010-05-12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mounted fuel gas tank on deck
KR101210917B1 (en) * 2010-05-19 2012-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mounted fuel gas tank on deck
KR101465621B1 (en) * 2010-11-12 2014-1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latform for liquified gas fuel tank of oil tanker
KR101551791B1 (en) * 2011-05-31 2015-09-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fueled ship
JP2014162430A (en) * 2013-02-27 2014-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Tank structure placed on deck,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KR101599299B1 (en) * 2014-05-02 2016-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ctive Support for Storage Tank for Liquid
BE1023050B1 (en) * 2015-06-19 2016-11-14 Van Hool Nv. DEVICE FOR A TANK CONTAINER WITH INCREASED VOLUME AND LOADING POW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086B1 (en) * 2015-02-17 2016-07-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ual fuel system having supplying fuel in lpg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329A (en) 2021-03-31
JP2018176900A (en) 2018-11-15
CN110446655A (en) 2019-11-12
KR20190109771A (en) 2019-09-26
JP6575033B2 (en) 2019-09-18
WO2018185951A1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4621B2 (en) Ship
KR102473787B1 (en) Ship
US20160031531A1 (en) LNG Ship or LPG Ship
KR102293412B1 (en) Ship
JP6899850B2 (en) Vessels with multiple fluid transport storage tanks
KR101681729B1 (en) Container ship
CN112977726A (en) Liquefied gas carrier
US20170320548A1 (en) Lng ship
KR20120001496A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using sea water for cooling
KR102028802B1 (en) Tank for storing liquefied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JP6991883B2 (en) Offshore floating facility
JP6613497B2 (en) Ship
KR101609471B1 (en) Sloshing weight reduction apparatus and liquid cargo storage tank including the same
KR20210157242A (en) Tank for storing liquefied Gas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399629B1 (en) Storage Tank of Liquefied Cargo
KR101444276B1 (en) Storage Tank of Liquefied Cargo
KR20120001495A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using sea water for cooling
KR101936909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of marine structure
KR101894946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of marine structure
KR101762816B1 (en) Liquefied gas carriers
KR102170032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N114987683A (en) Marine liquefied gas fuel tank
KR20230095480A (en) Liquefied gas Storagel tank with Protrusion and Ship having thereof
KR20160028574A (en) Gas Carrier
KR20210058878A (en) How to use existing 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7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22

Effective date: 2022012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