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12B1 - Ship - Google Patents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412B1
KR102293412B1 KR1020197026875A KR20197026875A KR102293412B1 KR 102293412 B1 KR102293412 B1 KR 102293412B1 KR 1020197026875 A KR1020197026875 A KR 1020197026875A KR 20197026875 A KR20197026875 A KR 20197026875A KR 102293412 B1 KR102293412 B1 KR 10229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iquefied gas
tank
cargo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2156A (en
Inventor
데츠야 도다
미츠히로 가와노
도시노리 이시다
사토시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2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이 선박은, 선체와, 선체 내에 마련된 주기와, 상기 선체에 마련된 카고 탱크와, 카고 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을,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를 저류하는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주기의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수용부(43)로 구획하는 구획벽(60)을 구비한다. 동일한 카고 탱크 내에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를 형성한다.This ship has a hull, a main provided in the hull, a cargo tank provided in the hull, and a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for storing liquefied gas as cargo in a space in the cargo tank and storing the liquefied gas as cargo. A partition wall (60) is provided for partitioning the fuel into a fuel accommodating portion (43) for storing fuel.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re formed in the same cargo tank.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4월 13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7-079888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the patent application 2017-079888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April 13, 2017, and uses the content here.

선박으로서, LNG나 LPG 등의 액화 가스를 저류하는 카고 탱크가 선수미(船首尾)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운반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운반선에서는, 주기(主機)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가, 카고 탱크와는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다.As a ship, the carrier ship in which the cargo tank which stores liquefied gas, such as LNG and LPG, was arranged in multiple order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In such a carrier, the fuel tank which stores the fuel supplied to the main body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cargo tank.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운반선에서는, 복수의 카고 탱크의 선미 측의 거주구의 하방에, 카고 탱크와는 독립적으로 연료 탱크가 마련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carrier ship of patent document 1, the fuel tank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a cargo tank below the accommodation port of the stern side of several cargo tanks.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4891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9-2489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41293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241293

상기 운반선에서는, 카고 탱크와 연료 탱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카고 탱크, 연료 탱크에 부수하는 배관, 방열, 소화 설비 등을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연료 탱크를 카고 탱크와 함께 선수미 방향으로 배열하면, 그만큼 부주의하게 선박 길이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In the said carrier, since a cargo tank and a fuel tank are provided separat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sponding piping, heat radiation, fire-extinguishing equipment, etc. which accompany these cargo tanks and a fuel tank respectively. Moreover, when a fuel tank is arranged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ogether with a cargo tank, the ship length may become large by that much carelessly.

예를 들면 연료 탱크를 상갑판 상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역시 연료 탱크용 설비를 카고 탱크와는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연료 탱크를 상갑판 상에 설치한 경우, 브리지로부터 선수의 전방의 수면까지의 시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의 사이즈에 제한이 있어, 항속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For example, it is conceivable to install a fuel tank on the upper deck, but after all,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quipment for fuel tanks separately from a cargo tank. In addition, when the fuel tank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in order to secure visibility from the bridge to the water surface in front of the bow, the size of the fuel tank is limited, which may affect the cruising distance.

본 발명은, 다양한 제한을 받지 않고 주기의 연료를 저류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p capable of storing cycle fuel without being subject to various limitations.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주기와, 상기 선체에 마련된 카고 탱크와, 상기 카고 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을,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를 저류하는 액화 가스 수용부와 상기 주기의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수용부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includes: a hull; a main provided in the hull; a cargo tank provided in the hull;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which stores the fuel of the said cycle is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고 탱크 내가 구획벽에 의하여 액화 가스 수용부와 연료 수용부로 구획된다. 이로써,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의 일부가 연료 수용부로서 이용된다. 이로 인하여, 탱크에 부수하는 설비를,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용, 주기의 연료용으로 별도로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 별도로 선체 내에 연료 탱크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선체의 장대화(長大化) 등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또한, 연료 탱크를 상갑판 상에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브리지로부터의 시야상의 제약을 받는 경우도 없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the inside of a cargo tank is partitioned into a liquefied gas accommodation part and a fuel accommodation part by a partition wall. Thereby, a part of the space in the cargo tank which accommodates liquefied gas is used as a fuel accommodating part.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the equipment accompanying the tank for the use of the liquefied gas as cargo and the use of the main fuel. Moreo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fuel tank in a ship body, lengthening of a ship body, etc. are not caused. In addition, there is no restriction in view from the bridge as in the case where the fuel tank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상기 카고 탱크는, 내측에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탱크 본체의 외면을 덮는 단열부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tank has a tank body for forming the space inside, and a heat insulating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tank body and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body.

이로써, 액화 가스와 연료와의 단열 구조를 공용화할 수 있다. 즉, 액화 가스용 탱크, 연료용 탱크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는, 양자에 단열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지만, 본 양태의 경우에는, 단열 구조를 공용화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Thereby, the heat insulation structure of a liquefied gas and a fuel can be made common. That is, when providing the tank for liquefied gas and the tank for fuel, respectively, although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heat insulation structure in both, in the case of this aspect, a heat insulation structure can be made common and cost reduction can be aimed at.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상기 주기는, 상기 선체 내의 선미 측에 구획된 기관실에 마련되고, 상기 카고 탱크는, 상기 선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기관실의 선수 측에 구획된 카고 홀드에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가 마련되며, 상기 구획벽은, 복수의 카고 탱크 중 가장 선미 측에 배치된 카고 탱크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According to the 3rd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aid machine is provided in the engine room partitioned on the stern side in the said hull, and the said cargo tank is a fore and aft direction to the cargo hold partitioned on the bow side of the said engine room in the said hull. A plurality is provided, and the said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only in the cargo tank arrange|positioned at the most stern side among several cargo tanks.

이에 따라, 주기에 가장 가까운 카고 탱크 내에 연료 수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기로의 연료 공급 계통의 장대화를 회피할 수 있다.Thereby, since the fuel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the cargo tank closest to a base, lengthening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 base can be avoided.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상기 카고 탱크는, 상기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을 상방에 연통시키는 트렁크 톱을 갖고, 상기 구획벽의 상단과 상기 카고 탱크의 내면의 사이에,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와 상기 연료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tank has a trunk top for communicating the space in the cargo tank upward, an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rgo tank,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and A communicat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fuel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이에 따라, 각각 기화된 액화 가스 및 연료를, 트렁크 톱을 통하여 외부로 해방시킬 수 있다. 즉, 액화 가스 개방용, 연료 개방용 트렁크 톱 및 릴리프 밸브 등의 설비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트렁크 톱을 공용화할 수 있다.Thereby, each vaporized liquefied gas and fuel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via a trunk top. That is,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facilities, such as a trunk top for liquefied gas opening and a fuel opening, and a relief valve, and one trunk top can be shared.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상기 카고 탱크는, 상기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을 상방에 연통시키는 트렁크 톱을 갖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카고 탱크의 상하에 걸쳐서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와 상기 연료 수용부를 구획하며, 상기 연료 수용부와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의 일부가 상기 트렁크 톱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tank has a trunk top for communicating the space in the cargo tank upward, and the partition wall includes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and the fuel accommodation over the top and bottom of the cargo tank. A portion may be partitioned, and a part of the fuel accommodating part and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trunk top.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선박이 기운 경우 등에 액화 가스와 연료가 혼합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액화 가스 수용부, 연료 수용부의 각각이 트렁크 톱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기화된 액화 가스, 연료를, 각각 트렁크 톱을 통하여 외부로 해방시킬 수 있다.Thereby, it can avoid that liquefied gas and fuel become mixed, for example, when a ship tilts. On the other hand, since each of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trunk top, the vaporized liquefied gas and fuel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via the trunk top,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의하면, 상기 연료는,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에 저류된 상기 액화 가스와 동일한 액화 가스여도 된다.According to the 6th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liquefied gas similar to the said liquefied gas stored in the said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may be sufficient as the said fuel.

이로써, 카고 탱크의 온도 관리 등을 일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트렁크 톱을 통하여 해방된 액화 가스를 재액화하여 카고 탱크 내로 되돌린 경우이더라도, 카고 탱크 내는 한 종류의 액화 가스이기 때문에, 이종(異種) 액체의 혼합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Thereby, temperature control of a cargo tank, etc. can be performed uniformly. Further, even when the liquefied gas released through the trunk top is re-liquefied and returned to the cargo tank, the problem of mixing of different liquids does not occur because the cargo tank is one type of liquefied gas.

상기 선박에 의하면, 다양한 제한을 받지 않고 주기의 연료를 저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ip, it is possible to store the fuel of the cycle without various restrictions.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카고 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카고 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선박의 카고 탱크에 있어서의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선박의 카고 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3 변형예에 관한 선박의 카고 탱크에 있어서의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ide view of the ship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t is a side view of the cargo tank of the ship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t is a top view of the cargo tank of the ship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It is sectional drawing orthogonal to the fore and aft direction in the cargo tank of the ship which concerns on a 1st modifica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cargo tank of the ship which concerns on a 2nd modified example.
It is sectional drawing orthogonal to the fore and aft direction in the cargo tank of the ship which concerns on a 3rd modified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선박(100)은, 액화 가스로서 액화 석유 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를 수송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hip 100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ship 100 of this embodiment is a liquefied gas carrier which transports liquefied petroleum gas (LPG; liquefied petroleum gas) as liquefied gas.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100)은, 선체(10), 브리지(20), 주기(25) 및 카고 탱크(3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hip 100 includes a hull 10 , a bridge 20 , a main body 25 , and a cargo tank 30 .

선체(10)는, 현측(舷側)(11), 선저(12) 및 상갑판(13)을 갖고 있다. 현측(11)은, 좌우의 현측(11)을 각각 구성하는 한 쌍의 현측 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저(12)는, 이들 좌우의 현측(11)끼리를 하부에서 접속하는 선저 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갑판(13)은, 선저(12)보다 상방에서 좌우 한 쌍의 현측(11)을 접속하고 있다. 상갑판(13)은, 선수로부터 선미에 걸쳐서 뻗는 전통(全通) 갑판으로서의 건현 갑판이다. 상갑판(13)은,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The ship body 10 has the side 11, the ship bottom 12, and the upper deck 13. As shown in FIG. The chord side 11 is comprised by a pair of chord side outer plate which comprises the left and right side side 11, respectively. The ship bottom 12 is comprised by the ship bottom shell which connects these left and right side 11 comrades from the lower part. The upper deck 13 connect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sides 11 above the ship bottom 12 . The upper deck 13 is a freeboard deck as a traditional deck extending from the bow to the stern. The upper deck 13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선체(10)는, 이들 현측(11), 선저(12) 및 상갑판(13)에 의하여, 선수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체(10) 내에 있어서의 선미 측의 부분은, 기관실(14)로 되어 있다. 선체(10) 내에 있어서의 기관실(14)보다 선수 측인 부분은, 기관실(14)과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카고 홀드(15)로 되어 있다.The ship body 10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box shape whose cross-sectional shape orthogonal to the fore and aft direction forms space inside by these chord 11, the ship bottom 12, and the upper deck 13. The part on the stern side in the inside of the said ship body 10 becomes the engine room 14. As shown in FIG. The part on the bow side rather than the engine room 14 in the ship body 10 becomes the engine room 14 and the cargo hold|hold 15 partitioned by the bulkhead.

브리지(20)는, 선체(10)의 상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뻗도록 마련되어 있다. 브리지(20)는, 선체(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선미 측에 마련되어 있고, 기관실(14)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브리지(20)는, 복수 계층을 이루고 있다. 브리지(20)의 상층에는, 선박(100)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실(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종실(21)은, 선박(100)의 전방을 높은 곳에서 전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ridge 20 is provided so that it may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hip body 10. As shown in FIG. The bridge 20 is provided in the stern side in the upper part of the ship body 10, and is provided above the engine room 14. As shown in FIG. The bridge 20 comprises a plurality of layers. An upper level of the bridge 20 is provided with a cockpit 21 for manipulating the ship 100 . The cockpit 21 is configured so that the front of the ship 100 can be viewed from a high place.

주기(25)는, 선체(10) 내의 기관실(14)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기(25)는, LPG를 연료로 하여 구동된다. 여기에서, 주기(25)의 연료는, LPG에만 한정되지 않고, LPG와 다른 연료와의 병용(바이퓨얼)이나, 혼합(듀얼퓨얼) 등이어도 된다. 주기(25)의 구동에 의하여, 선체(10)의 선미의 하방에 마련된 스크루(26)가 회전한다.The main engine 25 is arrange|positioned in the engine room 14 in the ship body 10. The main cycle 25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riven by using LPG as a fuel. Here, the fuel of the main engine 25 is not limited to LPG, and may be combined with LPG and other fuels (bifuel), mixed (dual fuel), or the like. By the drive of the main body 25, the screw 26 provided below the stern of the ship body 10 rotates.

카고 탱크(30(30A, 30B, 30C))는, 선체(10)의 카고 홀드(15) 내에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가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인접한 카고 탱크(30)끼리의 사이의 부분은, 각 카고 탱크(30)가 수용되는 구획을 분리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있다.The cargo tank 30 (30A, 30B, 30C) is provided so that multiple (three in this embodiment) may be arranged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in the cargo hold 15 of the ship body 10. In the portion between the adjacent cargo tanks 30 comrades, a partition for separating the compartments in which each cargo tank 30 is accommodated is provided.

본 실시형태의 카고 탱크(30)는, 평판상의 탱크벽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구성된 방형(方形) 탱크이다. 카고 탱크(30)는, 탱크 본체(40)와, 트렁크 톱(45)을 갖고 있다. 탱크 본체(40)는, 내부에 수용 공간(41)이 형성되어 있다. 트렁크 톱(45)은, 탱크 본체(40)의 상부 또한 중앙에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수용 공간(41)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The cargo tank 30 of this embodiment is a square tank comprised by joining flat tank wall parts to each other. The cargo tank 30 has a tank body 40 and a trunk top 45 . The tank body 40 has an accommodation space 41 formed therein. The trunk top 45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and the center of the tank main body 40, and forms the convex space which protrudes from the said accommodation space 41 inside.

여기에서, 복수의 카고 탱크(30) 중 가장 선미 측에 배치된 카고 탱크(30A)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 with respect to the cargo tank (30A) disposed on the most stern side of the plurality of cargo tanks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가장 선미 측의 카고 탱크(30A)는, 다른 카고 탱크(30B, 30C)보다 선수미 방향의 치수가 작다. 상기 카고 탱크(30A)는, 단열부(50), 구획벽(60), 릴리프 밸브(70), 재액화 장치(71), 화물용 펌프(72) 및 연료용 펌프(73)를 더 갖고 있다.The cargo tank 30A of the most stern side has a smaller dimension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an other cargo tanks 30B and 30C. The said cargo tank 30A further has the heat insulation part 50, the partition wall 60, the relief valve 70, the reliquefaction apparatus 71, the pump 72 for cargo, and the pump 73 for fuel. .

단열부(50)는, 카고 탱크(30A)에 있어서의 탱크 본체(40)의 외면을 덮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본체(40)의 외면 전역을 덮고 있다. 단열부(50)는, 탱크 본체(40)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열부(50)는, 예를 들면 유레테인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열부(50)에 의하여, 탱크 본체(40) 내의 수용 공간(41)에 있어서의 외부의 공간과의 단열성이 확보되어 있다.The heat insulating part 50 has covered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main body 40 in 30 A of cargo tanks, and has covered the whole outer surface of the tank main body 40 in this embodiment. The heat insulating portion 5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tank body 40 . The heat insulating part 50 may be formed of foamed resin, such as urethane, for example. The thermal insulation part 50 ensures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of the storage space 41 in the tank body 40 with the external space.

구획벽(60)은, 탱크 본체(40) 내에 마련된 벽부이다. 구획벽(60)은, 탱크 본체(40) 내의 수용 공간(41)을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로 구획한다. 액화 가스 수용부(42)는, 선박(100)의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본 실시형태에서는 LPG)를 저류한다.The partition wall 60 is a wall part provided in the tank main body 40 . The partition wall 60 divides the accommodation space 41 in the tank main body 40 into the liquefied gas containing part 42 and the fuel containing part 43. As shown in FIG.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stores liquefied gas (LPG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cargo of the ship 100 .

연료 수용부(43)는, 주기(25)의 연료로서의 액화 가스(본 실시형태에서는 LPG)를 저류한다.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stores the liquefied gas (LPG in this embodiment) as fuel of the main body 25. As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의 구획벽(60)은, 탱크 본체(40)의 바닥면(하방의 내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뻗어 있다. 구획벽(60)은 탱크 본체(40) 내의 선폭 방향 양측에 걸쳐서, 즉, 탱크 본체(40) 내의 선폭 방향 양측의 측면(측방의 내면)에 걸쳐서 뻗어 있다. 구획벽(60)의 상단(61)은, 탱크 본체(40)의 천장면(상부의 내면)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구획벽(60)의 상단(61)과 탱크 본체(40)의 천장면과의 사이에는,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를 연통시키는 연통부(75)가 형성되어 있다.The partition wall 60 of this embodiment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lower inner surface) of the tank main body 40 . The partition wall 60 extends over both sides in the line width direction in the tank body 40 , that is, over the side surfaces (inner surfaces of the side) on both sides in the line width direction in the tank body 40 . The upper end 61 of the partition wall 60 is arranged at intervals below the ceiling sur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tank main body 40 . For this reason, between the upper end 61 of the partition wall 60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tank main body 40, the communication part 75 which connects the liquefied gas containing part 42 and the fuel containing part 43 is provided. is formed

구획벽(60)은, 선폭 방향에서 보아 탱크 본체(40)에 있어서의 트렁크 톱(45)보다 선미 측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수용부(43)의 연료를 수용 가능한 용적은, 액화 가스 수용부(42)의 액화 가스를 수용 가능한 용적보다 작다. 구획벽(60)은, 탱크 본체(4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구획벽(60)의 표면에는 단열재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상기 구획벽(60)을 통하여 액화 가스 수용부(42)의 액화 가스와 연료 수용부(43)의 연료와의 사이에서 열전도가 용이하게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의 온도 조건은 동일하게 된다.The partition wall 60 is provided in the stern side rather than the trunk top 45 in the tank main body 40 as seen in the ship width direction. Therefore, the volume which can accommodate the fuel of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s smaller than the volume which can accommodate the liquefied gas of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s shown in FIG. The partition wall 6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ank body 40 .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no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60, and heat conduction is easily conducted between the liquefied gas of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of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through the partition wall 60. is composed of Accordingly, the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become the same.

릴리프 밸브(70)는,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수용 공간(41) 내에 연통하는 배관에 마련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70)는, 수용 공간(41)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이 된 경우에만 개방 상태가 되고, 상기 압력 미만인 경우에는 폐쇄 상태가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41) 내의 액화 가스나 연료가 기화됨으로써 발생하는 보일 오프 가스를, 탱크 본체(40) 외측으로 방출한다. 또, 수용 공간(41) 내의 기상(氣相)의 압력은, 릴리프 밸브(70)의 설정 압력 미만으로 유지된다.The relief valve 70 is provided in piping communicating in the accommodation space 41 via the trunk top 45 . The relief valve 70 is in an open state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 becomes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and when it is less than the said pressure, it is in a closed state. Accordingly, the boil-off gas generated by vaporizing the liquefied gas or fuel in the accommodation space 4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ank body 40 . Moreover, the pressure of the gas phase in the accommodation space 41 is maintained below the set pressure of the relief valve 70. As shown in FIG.

재액화 장치(71)는, 가스 석션 밸브(71a)에 의하여 탱크 본체(40)의 외부로 방출되는 보일 오프 가스를 냉각시킴으로써 재차 액화시킨다. 이와 같이 액화된 가스는,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재차 탱크 본체(40)의 수용 공간(41) 내로 되돌려진다. 이로써, 탱크 본체(40) 내의 저온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The reliquefaction apparatus 71 cools the boil-off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ank body 40 by the gas suction valve 71a to liquefy it again. The gas liquefied in this way is returned into the storage space 41 of the tank body 40 again via the trunk top 45 . Thereby, the low temperature state in the tank main body 40 is maintained.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카고 탱크(30A)는, 액화 가스, 연료를 상압(常壓) 저온 상태에서 저장하고 있다. "상압 저온 상태"란, 액화 가스, 연료를 가압하지 않고 저온으로 하는 것만으로 액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의 액화 가스, 연료로서의 LPG는, 약 -46

Figure 112019093830614-pct00001
이하로 함으로써, 상압에서 액화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재액화 장치(71)는, LPG의 보일 오프 가스를 -46
Figure 112019093830614-pct00002
이하로 냉각시킴으로써 재액화시켜, 탱크 본체(40) 내로 되돌리고 있다.Here, the cargo tank 30A of this embodiment is storing liquefied gas and a fuel in a normal pressure low temperature state. The "normal pressure low temperature state"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liquefied state is maintained only by making low temperature without pressurizing liquefied gas and fuel. The liquefied gas of this embodiment and LPG as fuel is about -46
Figure 112019093830614-pct00001
By setting it below, it liquefies at normal pressure. For this reason, the reliquefaction device 71 reduces the boil-off gas of LPG to -46.
Figure 112019093830614-pct00002
It is made to reliquefy by cooling below, and i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tank main body 40.

화물용 펌프(72)는, 탱크 본체(40)의 액화 가스 수용부(42) 내에 마련되어 있다. 화물용 펌프(72)는, 액화 가스 수용부(42) 내의 화물로서 액화 가스를 하역할 때에 상기 액화 가스를 탱크 본체(40)의 외부로 흡출한다. 액화 가스 수용부(42)로부터 흡출된 액화 가스는, 배관을 통하여, 선체(10) 밖으로 하역된다. 화물용 펌프(72)의 배관은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탱크 본체(40)의 외부로 뻗어 있다.The cargo pump 72 is provided i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of the tank main body 40 . The cargo pump 72 draws the liquefied gas out of the tank body 40 when unloading the liquefied gas as cargo i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 The liquefied gas drawn out from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is unloaded out of the ship body 10 through piping. The piping of the cargo pump 72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ank body 40 through the trunk top 45 .

연료용 펌프(73)는, 탱크 본체(40)의 연료 수용부(43) 내에 마련되어 있다. 연료용 펌프(73)는, 연료 수용부(43) 내의 연료를 흡출하여 주기(25)에 공급한다. 연료 수용부(43)로부터 흡출된 연료는, 배관을 통하여 주기(25)에 공급된다. 연료용 펌프(73)의 배관은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탱크 본체(40)의 외부로 뻗어 있다.The fuel pump 73 is provided in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of the tank main body 40 . The fuel pump 73 sucks the fuel in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nd supplies it to the main body 25 . The fuel withdrawn from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25 through a pipe. The piping of the fuel pump 73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ank body 40 through the trunk top 45 .

또한, 복수의 카고 탱크(30) 중 가장 선미 측의 카고 탱크(30)뿐만 아니라 다른 카고 탱크(30B, 30C)에도, 상기 단열부(50), 릴리프 밸브(70), 재액화 장치(71), 가스 석션 밸브(71a), 화물용 펌프(72)가 마련되어 있다. 또, 각각의 카고 탱크(30B, 30C)에 대응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소화 설비 등의 부수 설비가 마련되어 있다. 또, 카고 탱크(30B, 30C)도 상압 저온 상태에서 LPG를 저류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rgo tank 30 on the most stern side of the plurality of cargo tanks 30 as well as in other cargo tanks 30B and 30C, the insulating part 50, the relief valve 70, the reliquefaction device 71 , a gas suction valve 71a, and a cargo pump 72 are provided. Moreover, ancillary facilities, such as a fire extinguishing installation not shown in figure, are provided so that it may correspond to each cargo tank 30B, 30C. Moreover, the cargo tanks 30B and 30C also store LPG i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state.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선박(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effect of the ship 100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고 탱크(30A)의 탱크 본체(40) 내의 수용 공간(41)이, 구획벽(60)에 의하여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로 구획되어 있다. 이로써,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카고 탱크(30A) 내의 공간의 일부를 연료 수용부(43)로서 이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ccommodation space 41 in the tank main body 40 of 30 A of cargo tanks is partitioned into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on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on part 43 by the partition wall 60. As shown in FIG. Thereby, a part of the space in the cargo tank 30A which accommodates liquefied gas can be utilized as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만일 카고 탱크(30A)와는 별도로, 주기(25)의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를 선체(10)에 마련한 경우, 이하와 같은 디메리트가 발생한다.Here, if a fuel tank for storing the fuel of the main body 25 is provided in the hull 10 separately from the cargo tank 30A, the following demerits arise.

즉, 액화 가스나 연료가 인화성을 갖는 경우에는 탱크마다 소화 설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카고 탱크(30A), 연료 탱크에 대응하여 각각 소화 설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화 설비에 한정되지 않고, 각 탱크에 부수하는 설비를 별개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용이 증가하는 것 외에, 부수 설비의 설치 스페이스의 문제도 발생한다.That is, when liquefied gas or fuel has flammabil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xtinguishing facility for each tank.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corresponding to 30 A of cargo tanks and a fuel tank,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a fire-extinguishing install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parately the installation accompanying each tank. Therefore, in addition to an increase in cost, the problem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ancillary equipment also arises.

또한, 연료 탱크를 선체(10) 내에 마련하려고 한 경우에는, 카고 탱크(30A)와 선수미 방향으로 직렬로 마련하면, 선박(100) 자체의 전체 길이의 장대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 연료 탱크를 상갑판(13) 상에 마련하려고 하면, 다른 기기와의 관계에서의 설치 스페이스의 제한이나, 브리지(20)의 조종실(21)로부터의 시야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설치 등, 다양한 제약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it is going to provide a fuel tank in the hull 10, if it provides in series with the cargo tank 30A and the fore and aft direction, it will cause the lengthening of the full length of the ship 100 itself. Moreover, when it is going to provide a fuel tank on the upper deck 13, installatio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mitation of installation space in relation to other equipment, the visibility from the cockpit 21 of the bridge 20, etc. , various restrictions arise.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래 장착되어 있는 카고 탱크(30A)의 수용 공간(41)의 일부를 연료 수용부(43)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수 설비로서는 카고 탱크(30A)용 하나의 부수 설비로 충분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부수 설비를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용, 주기(25)의 연료용으로 별도로 마련할 필요는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since a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 of the cargo tank 30A originally mounted is used as the fuel accommodation part 43, as an auxiliary facility, one ancillary facility for the cargo tank 30A is an auxiliary facility. is enough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the auxiliary equipment for the liquefied gas as cargo and for the fuel of the main unit 25 .

또, 별도로, 선체(10) 내에 연료 탱크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선체(10)의 장대화 등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또한, 연료 탱크를 상갑판(13) 상에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상갑판(13) 상의 설치의 제약, 브리지(20)로부터의 시야상의 제약을 받는 경우도 없다. 또, 상기 제약에 따라 연료 용량을 제한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선박(100)의 항속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fuel tank in the ship body 10, the lengthening of the ship body 10, etc. are not brought about. Further, as in the case where the fuel tank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13 ,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on the upper deck 13 or restrictions on the view from the bridge 20 .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fuel capacity according to the above restriction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ruising distance of the vessel 100 .

따라서, 다양한 제한을 받지 않고 주기(25)의 연료를 효율적으로 저류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tore the fuel in the cycle 25 without being subject to various restrictions.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고 탱크(30A)의 탱크 본체(40)를 덮는 단열부(50)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액화 가스와 연료와의 단열 구조를 공용화할 수 있다. 즉, 액화 가스용 탱크, 연료용 탱크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는, 양자에 단열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단열 구조를 공용화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heat insulation structure of liquefied gas and fuel can be commonized by providing the heat insulation part 50 which covers the tank main body 40 of 30 A of cargo tanks. That is, when providing the tank for liquefied gas and the tank for fuel, respectively, although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heat insulation structure in both,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heat insulation structure can be shared and cost reduction can be aimed at.

또한, 연료 수용부(43)는, 복수의 카고 탱크(30A, 30B, 30C) 중 가장 선미 측에 배치된 카고 탱크(30A) 내에 구획벽(6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기관실(14)에 배치된 주기(25)에 가장 가까운 카고 탱크(30A) 내에 연료 수용부(43)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주기(25)로의 연료 공급 계통의 장대화를 회피할 수 있다.Moreover,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s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60 in the cargo tank 30A arrange|positioned at the most stern side among some cargo tank 30A, 30B, 30C. Thereby,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s formed in the cargo tank 30A closest to the main|base 25 arrange|positioned in the engine room 14. As shown in FIG. Therefore, lengthening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the main body 25 can be avoided.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벽(60)의 상단(61)과 탱크 본체(40)의 천장면과의 사이에 연통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연료 수용부(43)의 상방의 기상, 액화 가스 수용부(42)의 상방의 기상의 각각을 트렁크 톱(45)으로 유도할 수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part 75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61 of the partition wall 60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tank main body 40.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each of the gaseous phase above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nd the gaseous phase above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can be guide|induced to the trunk top 45.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각각 기화된 액화 가스 및 연료를,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외부로 해방시킬 수 있다. 즉, 액화 가스 개방용, 연료 개방용의 트렁크 톱(45) 및 릴리프 밸브 등의 설비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트렁크 톱(45)을 공용화할 수 있다. 이로써, 카고 탱크(30A)의 구조의 복잡화 및 비용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Thereby, each vaporized liquefied gas and fuel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via the trunk top 45.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facilities, such as the trunk top 45 for liquefied gas opening and the fuel opening, and a relief valve, and one trunk top 45 can be shared. Thereby,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of the cargo tank 30A and an increase in cost can be avoid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 연료가 모두 LPG이기 때문에, 카고 탱크(30A)의 온도 관리 등을 일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해방된 액화 가스를 재액화하여 카고 탱크(30A) 내로 되돌린 경우이더라도, 카고 탱크(30A) 안은 한 종류의 액화 가스인 LPG만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이종 액체 혼합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both the liquefied gas and fuel as cargo are LPG, temperature control of 30 A of cargo tanks, etc. can be performed uniformly. In addition, even when the liquefied gas released through the trunk top 45 is re-liquefied and returned to the cargo tank 30A, since only one type of liquefied gas, LPG, is accommodated in the cargo tank 30A, a mixture of different liquids problem does not occur.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In 2nd Embodiment,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s 1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제2 실시형태는, 구획벽(160)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2 실시형태의 구획벽(160)은, 탱크 본체(40) 내의 상하 및 선폭 방향에 걸쳐서 뻗어 있다. 이로써 구획벽(160)은, 탱크 본체(40) 내에서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가 비연통 상태가 되도록 구획하고 있다.2nd Embodiment differs from 1st Embodiment in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wall 160. As shown in FIG. The partition wall 160 of 2nd Embodiment extends over the inside of the tank main body 40, and the lin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 160 divides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nto a non-communicating state within the tank body 40 .

제2 실시형태의 구획벽(160)은,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 한 쌍의 세로벽부(162), 하나의 제2 가로벽부(163)를 갖고 있다.The partition wall 160 of 2nd Embodiment has a pair of 1st horizontal wall part 161, a pair of vertical wall part 162, and one 2nd horizontal wall part 163. As shown in FIG.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는, 탱크 본체(40)의 측방의 내면으로부터 선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는, 동일한 선수미 방향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선폭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는, 선폭 방향 내측의 단부끼리가, 서로 선폭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즉,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의 선폭 방향 내측의 단부끼리는, 서로 선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의 선폭 방향 내측의 단부는, 트렁크 톱(45)과 선수미 방향으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는, 탱크 본체(40)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에 걸쳐서 뻗어 있다.The pair of first horizontal wall portions 161 are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war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n the side of the tank body 40 . These pair of 1st horizontal wall parts 161 are provided in the same fore and aft direction position, and exten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In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wall portions 161 , the inner ends in the line width direction face each other in the lin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end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wall portions 161 inside in the line width direction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ine width direction from each other. Th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wall portions 161 in the line width direction are arrang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trunk top 45 and the fore and aft directions.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wall portions 161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40 to the ceiling surface.

한 쌍의 세로벽부(162)는, 한 쌍의 제1 가로벽부(161)의 선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선수 측을 향하여 뻗어 있다. 한 쌍의 세로벽부(162)는 서로 평행하게, 또한, 선수미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한 쌍의 세로벽부(162)의 선수 측의 단부는, 트렁크 톱(45)의 배치 개소까지 뻗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세로벽부(162)의 선수 측의 단부는, 트렁크 톱(45)의 선수미 방향의 중앙까지 뻗어 있다. 한 쌍의 세로벽부(162)는, 탱크 본체(40)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에 걸쳐서 뻗어 있다.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162 extend toward the bow side from the end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wall portions 161 inside in the line width direction. A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162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lso in the front-to-rear direction. The end of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162 on the bow side extends to the location where the trunk top 45 is plac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of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162 on the bow side extends to the center of the trunk top 45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162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40 to the ceiling surface.

제2 가로벽부(163)는, 한 쌍의 세로벽부(162)의 선수 측의 단부끼리를 선폭 방향으로 접속하고 있다. 제2 가로벽부(16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트렁크 톱(45)과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2nd horizontal wall part 163 connects the ends of a pair of vertical wall parts 162 on the bow side in the line width direction. The 2nd horizontal wall part 163 is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overlaps with the trunk top 45 in planar view.

제2 가로벽부(163)는, 탱크 본체(40)의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에 걸쳐서 뻗어 있다.The second horizontal wall portion 163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40 to the ceiling surface.

또한, 트렁크 톱(45)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릴리프 밸브(70), 재액화 장치(71), 가스 석션 밸브(71a)가 접속되어 있다. 또, 액화 가스 수용부(42)에는 화물용 펌프(72)가 마련되어 있고, 연료 수용부(43)에는 연료용 펌프(73)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화물용 펌프(72), 연료용 펌프(73)의 배관은,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외부로 뻗어 있다.Moreover, the relief valve 70, the reliquefaction apparatus 71, and the gas suction valve 71a are connected to the trunk top 45 similarly to 1st Embodiment. Moreover, the pump 72 for cargoes is provided i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pump 73 for fuels is provided in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s shown in FIG. The piping of the pump 72 for cargo and the pump 73 for fuel extends to the outside via the trunk top 45 .

상기의 구획벽(160)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료 수용부(4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인 도 3에서, 선폭 방향 중앙의 부분이 선수 측을 향하여 트렁크 톱(45)의 배치 개소까지 돌출되도록 뻗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액화 가스 수용부(4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인 도 3에서, 선폭 방향 중앙의 부분이, 연료 수용부(43)의 형상에 따라 선수 측을 향하여 트렁크 톱(45)의 배치 개소까지 파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연료 수용부(43), 액화 가스 수용부(42)는, 서로 직접적으로는 연통되어 있지 않고, 각각이 트렁크 톱(45)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160 has a shape extending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line width direction protrudes toward the bow side to the arrangement point of the trunk top 45 in FIG. 3 when viewed in a plan view. constitute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in FIG. 3 which is a planar view, the center part in the line width direction is cut toward the bow si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to the arrangement point of the trunk top 45. is taking shape. In addition,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nd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irectly, but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trunk top 45, respectively.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선박(100)이 기운 경우 등에 액화 가스와 연료가 혼합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가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와 연료가 혼합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본체(40) 내에서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가 완전히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과 연료의 혼합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void mixing of the liquefied gas and fuel, for example, when the ship 100 is inclined. That is, whe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like 1st Embodim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quefied gas and fuel as cargo will be mixed. In contrast,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re completely partitioned in the tank main body 40, mixing of cargo and fuel can be avoided.

한편, 액화 가스 수용부(42), 연료 수용부(43)의 각각이 트렁크 톱(45)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기화된 액화 가스, 연료를, 각각 트렁크 톱(45)을 통하여 외부로 해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화 가스 수용부(42), 연료 수용부(43)의 각각에 대응하여 트렁크 톱(45), 릴리프 밸브(70), 재액화 장치(71), 가스 석션 밸브(71a) 등의 설비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each of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s connected to the trunk top 45, the vaporized liquefied gas and fuel are released to the outside via the trunk top 45, respectively. can Accordingly, facilities such as the trunk top 45 , the relief valve 70 , the reliquefaction device 71 , and the gas suction valve 71a are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 There is no need to provide Therefore, an increase in cost can be suppress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change suitab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예를 들면, 제1 변형예로서,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4에서는, 구획벽(170)은, 탱크 본체(40)의 수용 공간(41) 내에서 선수미 방향으로 뻗어 있다. 즉, 구획벽(170)은, 탱크 본체(40)의 선미 측의 단면으로부터 선수 측의 단면에 걸쳐서 뻗어 있다. 이에 따라,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를 선폭 방향으로 분리하도록 구획하고 있다. 액화 가스 수용부(42)와 연료 수용부(43)는, 구획벽(170)을 통하여 선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좌현측(11)이 연료 수용부(43)가 되고, 우현측(11)이 액화 가스 수용부(42)로 되어 있다.For example, you may employ|adopt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as a 1st modification. In FIG. 4 , the partition wall 170 extends in the accommodating space 41 of the tank body 40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at is, the partition wall 170 extends from the end face on the stern side of the tank main body 40 to the end face on the bow side. Accordingly,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re partitioned so as to be separate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ortion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ortion 43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ine width direction through the partition wall 170 .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port side 11 becomes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nd the starboard side 11 becomes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for example.

또, 예를 들면 제2 변형예로서,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5의 구획벽(171)은, 바닥부 형성벽(172)과, 측부 형성벽(173)을 갖고 있다. 바닥부 형성벽(172)은, 탱크 본체(40)의 선미 측의 단면으로부터 선수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뻗어 있다. 측부 형성벽(173)은, 바닥부 형성벽(172)의 선수 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뻗어 있다. 바닥부 형성벽(172) 및 측부 형성벽(173)은 모두 탱크 본체(40) 내의 선폭 방향에 걸쳐서 뻗어 있다. 이에 따라, 구획벽(171)은, 탱크 본체(40) 내의 상하 방향의 일부에 연료 수용부(43)를 형성하고 있다.Moreover, you may employ|adopt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as a 2nd modification, 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71 in FIG. 5 has a bottom part forming wall 172 and a side part forming wall 173 . The bottom forming wall 172 extends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ow side from the end face of the stern side of the tank body 40 . The side forming wall 173 extends upward from an end of the bottom forming wall 172 on the bow side. Both the bottom forming wall 172 and the side forming wall 173 extend in the line width direction in the tank body 40 . Thereby, the partition wall 171 forms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n a part of the up-down direction in the tank main body 40. As shown in FIG.

또한, 예를 들면 제3 변형예로서,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6에서는, 선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구획벽(175)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구획벽(175)은, 탱크 본체(40) 내의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3개의 공간 중 선폭 방향 양측의 공간은 연료 수용부(43)로 되어 있고, 중앙의 공간은 액화 가스 수용부(42)로 되어 있다.Moreover, you may employ|adopt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as a 3rd modification, for example. In FIG. 6 , a pair of partition walls 175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line width direction. Thereby, the partition wall 175 partitions the space in the tank main body 40 into three spaces. Among the three spaces, the space on both sides in the line width direction serves as the fuel accommodating portion 43 , and the central space serves as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ortion 42 .

상기 어느 변형예이더라도, 구획벽(170, 171, 175)에 의하여 탱크 본체(40) 내의 일부에 연료 수용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탱크 본체(40) 내에 있어서의 연료 수용부(43)의 형성 위치는, 액화 가스에 대하여 전후, 좌우, 상하 어느 위치여도 상관없다. 또, 연료 수용부(43)가 분산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In any of the above modified examples,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can be formed in a part of the tank body 40 by the partition walls 170 , 171 , and 175 . That is,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in the tank main body 40 may be an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quefied gas front-back, left-right, up-and-down. Moreover,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may be disperse|distributed and it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lso by this, the effect similar to embodiment is shown.

실시형태에서는, 가장 선미 측의 카고 탱크(30A)에 구획벽(60, 161)을 마련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카고 탱크(30B, 30C)에도 구획벽(50, 161)을 마련함으로써 연료 수용부(43)를 형성해도 된다.In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which provided the partition walls 60 and 161 was demonstrated in 30 A of cargo tanks 30A of the most stern side, fuel accommodation by providing partition walls 50 and 161 also in other cargo tanks 30B and 30C. The portion 43 may be formed.

실시형태에서는, 액화 가스 수용부(42), 연료 수용부(43)에 모두 LPG가 수용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액화 가스 수용부(42), 연료 수용부(43)에, 예를 들면 LNG 등의 다른 동종의 액화 가스가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액화 가스 수용부(42), 연료 수용부(43)에 수용하는 액화 가스를 서로 다른 종류의 액화 가스로 해도 된다.In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LPG was accommodated in both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was demonstrated, thes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re LNG, for example. The liquefied gas of the same kind, such as these, may be accommodated. Moreover, it is good also considering the liquefied gas accommodated i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42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43 as liquefied gas of different types.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이 선박에 의하면, 다양한 제한을 받지 않고 주기의 연료를 저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hip, it is possible to store the fuel of the main cycle without various restrictions.

10 선체
11 현측
12 선저
13 상갑판
14 기관실
15 카고 홀드
20 브리지
21 조종실
25 주기
26 스크루
30 카고 탱크
30A 카고 탱크
30B 카고 탱크
30C 카고 탱크
40 탱크 본체
41 수용 공간
42 액화 가스 수용부
43 연료 수용부
45 트렁크 톱
50 단열부
60 구획벽
61 상단
70 릴리프 밸브
71 재액화 장치
71a 가스 석션 밸브
72 화물용 펌프
73 연료용 펌프
75 연통부
100 선박
160 구획벽
161 제1 가로벽부
162 세로벽부
163 제2 가로벽부
170 구획벽
171 구획벽
172 바닥부 형성벽
173 측부 형성벽
175 구획벽
10 hull
11 side
12 bottom
13 upper deck
14 engine room
15 cargo hold
20 bridge
21 cockpit
25 cycles
26 screw
30 cargo tank
30A cargo tank
30B cargo tank
30C cargo tank
40 tank body
41 accommodation space
42 liquefied gas receiver
43 fuel receiver
45 trunk saw
50 insulation
60 partition wall
61 top
70 relief valve
71 reliquefaction unit
71a gas suction valve
72 cargo pump
73 fuel pump
75 communication
100 ships
160 partition wall
161 first horizontal wall part
162 vertical wall part
163 second horizontal wall part
170 partition wall
171 partition wall
172 bottom forming wall
173 side forming wall
175 compartment wall

Claims (6)

선체와,
상기 선체 내에 마련된 주기와,
상기 선체에 마련된 카고 탱크와,
상기 카고 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을,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를 저류하는 액화 가스 수용부와 상기 주기의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수용부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 내에 마련되고, 하역할 때에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 내의 상기 액화 가스를 상기 카고 탱크의 외부로 흡출하는 화물용 펌프와,
상기 연료 수용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연료 수용부 내의 상기 주기의 연료를 흡출하여 상기 주기에 공급하는 연료용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는,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에 저류된 상기 액화 가스와 동일한 액화 가스인 선박.
hull and
a cycle provided in the hull, and
and a cargo tank provided on the hull;
a partition wall provided in the cargo tank and dividing the space in the cargo tank into a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for storing liquefied gas as cargo and a fuel accommodating part for storing the fuel of the main cycle;
A cargo pump provided i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and for sucking the liquefied gas in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cargo tank when unloading;
a fuel pump provided in the fuel accommodating part, sucking the fuel of the cycle in the fuel accommodating part and supplying it to the cycle,
The said fuel is a ship which is the same liquefied gas as the said liquefied gas stored in the said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는,
내측에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보다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탱크 본체의 외면을 덮는 단열부를 갖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go tank is
A vessel having a tank body forming the space on the inside, and a heat insulating part tha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tank body and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상기 선체 내의 선미 측에 구획된 기관실에 마련되고,
상기 카고 탱크는, 상기 선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기관실의 선수 측에 구획된 카고 홀드에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벽은, 복수의 카고 탱크 중 가장 선미 측에 배치된 카고 탱크에만 마련되어 있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The cycle is provided in the engine room partitioned on the stern side in the hull,
A plurality of the cargo tanks are arranged in a cargo hold partitioned on the bow side of the engine room in the hull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e said partition wall is a ship provided only in the cargo tank arrange|positioned at the most stern side among a plurality of cargo tan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는, 상기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을 외부에 연통시키는 트렁크 톱을 갖고,
상기 구획벽의 상단과 상기 카고 탱크의 내면의 사이에,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와 상기 연료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go tank has a trunk top that communicates the space in the cargo tank to the outside,
A vessel in which a communication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uel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rgo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는, 상기 카고 탱크 내의 공간을 외부에 연통시키는 트렁크 톱을 갖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카고 탱크의 상하에 걸쳐서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와 상기 연료 수용부를 구획하며,
상기 연료 수용부와 상기 액화 가스 수용부의 일부가 상기 트렁크 톱에 접속되어 있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go tank has a trunk top that communicates the space in the cargo tank to the outside,
The partition wall divides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and the fuel accommodating part over the top and bottom of the cargo tank,
A ship in which the fuel accommodating part and a part of the liquefied gas accommodating part are connected to the trunk top.
삭제delete
KR1020197026875A 2017-04-13 2017-08-18 Ship KR1022934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9888A JP6712569B2 (en) 2017-04-13 2017-04-13 Ship
JPJP-P-2017-079888 2017-04-13
PCT/JP2017/029616 WO2018189923A1 (en) 2017-04-13 2017-08-18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156A KR20190112156A (en) 2019-10-02
KR102293412B1 true KR102293412B1 (en) 2021-08-24

Family

ID=6379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875A KR102293412B1 (en) 2017-04-13 2017-08-18 Ship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12569B2 (en)
KR (1) KR102293412B1 (en)
CN (1) CN110431071A (en)
WO (1) WO201818992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2950A (en) 2020-04-01 2021-10-1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Independent liquid tank structure with longitudinal swinging bulkhead
CN113911261B (en) * 2020-07-07 2023-03-14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Liquefied gas transport ship
JP2023042833A (en) * 2021-09-15 2023-03-28 三菱造船株式会社 floating bod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403311L (en) * 1984-06-20 1985-12-21 Macgregor Navire Int Ab TANKER
JPS61241293A (en) * 1985-04-19 1986-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Tank loading vessel
JPH0635798U (en) * 1992-10-09 1994-05-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LPG tank structure of LPG ship
FI101060B (en) * 1995-05-12 1998-04-15 Kvaerner Masa Yards Oy gas tankers
JPH10316195A (en) * 1997-05-19 1998-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Tank having film
JP4116995B2 (en) * 2005-03-08 2008-07-09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Fuel tank on the upper deck
CN101528537B (en) * 2006-10-31 2012-09-05 森元信吉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KR100899997B1 (en) * 2007-10-11 2009-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loshing free cargo tank by re-liquefaction of boil off gas
WO2009072681A1 (en) * 2007-12-04 2009-06-11 Samsung Heavy Ind. Co., Ltd. Anti-sloshing structure for lng cargo tank
JP5688348B2 (en) * 2011-09-06 2015-03-25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Fuel tank and floating structure
JP2013193503A (en) * 2012-03-16 2013-09-30 Kawasaki Heavy Ind Ltd Ship propelling system and ship
KR20160061096A (en)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A tank for storing liquid
JP6544929B2 (en) * 2015-01-09 2019-07-17 大阪瓦斯株式会社 LNG fueled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77011A (en) 2018-11-15
JP6712569B2 (en) 2020-06-24
CN110431071A (en) 2019-11-08
WO2018189923A1 (en) 2018-10-18
KR20190112156A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9842B (en) Container transport ship propelled by gas fuel
KR102293412B1 (en) Ship
JP6496489B2 (en) LNG ship or LPG ship
KR20150098373A (en) Container carrier's optimized gas fuel tank arrangement and vessel vessel using open bulkhead
CN110099843B (en) Container transport ship propelled by gas fuel
JP6704026B2 (en) Ship
KR20180075333A (en) Gas Fuelled Container Carrier
KR20100039482A (en) Floating ocean structure having indenpendent typed lng storage tank
KR102203308B1 (en) Ship
KR20160002652A (en) Container ship
KR102408234B1 (en) Lng fueled ship
KR20190060224A (en) Vessel having independent type storage tank
JP2019523731A (en) Ship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or transporting fluids
KR20210035329A (en) Ship
JPH0635798U (en) LPG tank structure of LPG ship
JP2020152248A (en) Vessel
KR102061930B1 (en) Gas Fuelled Container Carrier
KR102459476B1 (en) ship
KR102408231B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cargo handling system and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the same
JP7357177B1 (en) Ships with tanks for liquefied gas fuel
KR102469938B1 (en) ship
KR102164733B1 (en) Ship
KR102459475B1 (en) ship
KR102488377B1 (en) ship
KR102573458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s and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