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570B1 -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570B1
KR102473570B1 KR1020170162178A KR20170162178A KR102473570B1 KR 102473570 B1 KR102473570 B1 KR 102473570B1 KR 1020170162178 A KR1020170162178 A KR 1020170162178A KR 20170162178 A KR20170162178 A KR 20170162178A KR 102473570 B1 KR102473570 B1 KR 10247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terminal
vertical
box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237A (ko
Inventor
박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16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버티컬 형태로 거치하면서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가 개시된다. 박스 형태의 케이스 베이스 및 케이스 베이스의 전면에 결합하는 전면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베이스 내에 수납되며 스위치 버튼과 통신 및 전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소켓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전면 케이스의 전면 상부에 바 형태로 배치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거치 유닛은, 모바일 단말의 폭 방향의 사이즈에 따라 바 형태의 몸체가 세로 방향으로 제1 폭만큼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 및 모바일 단말의 길이 방향의 사이즈에 따라 바 형태의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좌우 이동 받침대들이 가로 방향에서의 서로 반대 방향들로 제2 폭의 절반만큼 각각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VERTICAL ST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버티컬 형태로 거치할 수 있고 차량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일례로 차량 대시보드에 장착되는 바디와, 바디에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핸드폰을 거치시키는 지지부를 갖는 홀더를 구비한다. 여기서, 바디는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 형성된 슬로트에서 핸드폰 홀더의 지지부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더가 회전 및 슬로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디의 슬로트 속에서 슬라이더가 자유로이 회전하고 슬로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종래의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핸드폰 거치대에서 볼과 소켓 구조로 거치대가 회전하는 구조와 별도의 레버 형태의 홀더를 사용하여 위치 변경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구성이 매우 단순화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능하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서로 다른 사이즈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실시간 자유로이 사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수십 종의 스마트폰의 크기는 대부분이 서로 다른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모바일 단말을 단일 거치대를 사용하여 거치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의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는 모바일 단말의 충전을 위해 모바일 단말의 충전 단자와 차량의 시거잭이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에 케이블을 연결해야만 한다. 물론, 차량에는 무선 충전 장치가 탑재되거나 별도의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 상에서 충전되는 모바일 단말은 화면이 차량 천정이나 바닥을 보도록 눕혀진다. 따라서, 무선 충전 중에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기능 예컨대 내비게이션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9684호(2014.06.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사용하기 편리하며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저렴한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에 상관없이 모바일 단말을 간편하게 버티컬 형태로 거치할 수 있고, 거치 상태에서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는, 모바일 단말을 길이 방향이 지면과 평행한 가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눕히고 폭 방향이 상기 지면 및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세워 거치하는 버티컬 거치 장치로서, 박스 형태의 케이스 베이스 및 상기 케이스 베이스의 전면에 결합하는 전면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베이스에 설치되며 스위치 버튼과 통신 및 전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소켓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 상부에 바 형태로 배치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폭 방향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바 형태의 몸체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제1 폭만큼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길이 방향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바 형태의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좌우 이동 받침대들이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서로 반대 방향들로 제2 폭의 절반만큼 각각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일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는 착탈식 무선 충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충전을 위한 1차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형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 상기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 내의 가이드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1 폭만큼 왕복 운동하는 상하 이동 무빙 블록; 및 상기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에 수납되고 상기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와 상기 상하 이동 무빙 블록 사이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 상부면상에 바 형태로 고정되는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제2 폭의 절반만큼 왕복 운동하는 좌우 이동 무빙 블록;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이동 무빙 블록과 기어 결합하는 오일 댐퍼;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에 수납되고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와 상기 좌우 이동 무빙 블록과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좌우 이동 스프링; 및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좌우 이동 무빙 블록 상에서 접동하거나 가이드되며 상기 좌우 이동 스프링을 지지하는 좌우 이동 스프링 고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버튼 홀에 삽입되고 상기 스위치 버튼 상에 고정되는 스위치 버튼 커버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은 스위치 버튼 커버 블록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과 외부 장치의 페어링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즈에 상관없이 모바일 단말을 간편하게 버티컬 형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버티컬 거치 상태에서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티컬 형태로 거치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버티컬 거치 상태에서 무선 충전과 함께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저렴한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이하 간략히 '버티컬 거치 장치'라고 한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버치컬 거치 장치의 거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의 전면에 모바일 단말을 거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제어보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위목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버터킬 거치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베젤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둘레'는 대상물의 테두리 바깥 주변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이하 간략히 '버티컬 거치 장치'라고 한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버치컬 거치 장치의 거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의 전면에 모바일 단말을 거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100)는, 케이스(110), 인쇄회로기판(120) 및 거치 유닛(130)을 포함한다. 버티컬 거치 장치(100)는 무선충전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사각 박스 형태를 구비하고, 케이스 베이스(110a)와 전면 케이스(110b)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 유닛(130)은 전면 케이스(110b)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1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130a)와, 전면 케이스(110b)의 전면 상부에 막대 혹은 바 형태로 배치되는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130b)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충전 유닛(150)은 전면 케이스(110b)의 중앙 개구부에 삽입되거나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무선충전 유닛(150)은 전면 케이스(110b)의 중앙부에 삽입 형태로 끼워진 후 소정 각도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전면 케이스(110b)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무선충전 유닛(150)의 제1 접속 단자와 전면 케이스(110b)의 중앙 개구부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속 단자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베이스(110a)는 전면이 개구부로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태를 가진 케이스 베이스(111)와, 케이스 베이스(111)의 측면 등에 설치되는 제1 체결구조(111a)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b)는 케이스 베이스(111)의 전면 개구부를 덮는 커버 몸체(113)와, 커버 몸체(113)의 측면 등에 설치되어 제1 체결구조(111a)와 체결되는 제2 체결구조(113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케이스(110b)는 커버 몸체(113)의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 구조(116)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10b)의 하부 구조(116)는 옆으로 눕혀 세워진 모바일 단말(도 4의 200)의 하부측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전면 케이스(110b)의 전면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구조(116)는 거치 유닛(130)과의 사이에 지지되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오목한 부분(도 2의 11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케이스(110b)의 하부 구조(116)는 개구부(118)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118)은 전면 케이스(110b)가 케이스 베이스(110a)와 체결된 상태에서 케이스 베이스(110a) 내에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의 소켓(124)을 외부에 노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소켓(124)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형태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면 케이스(110b)의 하부 구조(116)는 버튼 홀(119)을 구비하고, 버튼 홀(119)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스위치 버튼 커버 블록(122a)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 버튼 커버 블록(122a)은 인쇄회로기판(120)의 스위치 버튼(122) 상에 결합하며 전면 케이스(110b)의 전면 하부에 노출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스위치 버튼(122)을 온 또는 오프 동작시키고, 그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사운드 링크 등을 위한 페더링 동작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면 케이스(110b)는 전면 중앙 개구부의 가로 방향에서의 좌우 측에 전면에서 배면으로 들어간 오목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오목부(115)는 모바일 단말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배면에 돌출되는 카메라 돌출 부분 등을 수용하기 위한 여유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20)은 그 일면 상에 실장되는 스위치 버튼(122) 및 소켓(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20)은 차량 전원이나 상용 전원 등에 연결되는 트랜스포머(126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머(126a)는 버티컬 거치 장치(100)의 전원장치 또는 전원부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20)에는 신호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무선충전 유닛(150)은 전면 케이스(110b)의 중앙 개구부(114a)에 삽입된 후 대략 90°정도 회동시켜 전면 케이스(110b)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무선충전 유닛(150)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는 충전 코일 또는 1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 유닛(150)은 전면 케이스(110b)의 배면에 대응하는 일면측에 배치되는 차폐부재나 차폐층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코일은 DDQ(multi-coil double-D quadrature) 형태, 또는 멀티 코일 바이폴라(multi-coil bipolar)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 유닛(130)은 제1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130a)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의 배면상에 고정되는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131a, 131b),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 내의 가이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제1 폭만큼 왕복 운동하는 상하 이동 무빙 블록(133a, 133b), 및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에 수납되고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와 상하 이동 무빙 블록 사이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동 스프링(135a, 135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 유닛(130)은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130b)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의 전면 상부면상에 바 형태로 고정되는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132),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제2 폭의 절반만큼 왕복 운동하는 좌우 이동 무빙 블록(136a, 136b),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이동 무빙 블록과 기어 결합하는 오일 댐퍼(1342),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에 수납되고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와 좌우 이동 무빙 블록과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좌우 이동 스프링(138a, 138b), 및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좌우 이동 무빙 블록 상에서 접동하거나 가이드되며 좌우 이동 스프링을 지지하는 좌우 이동 스프링 고정 블록(142a, 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130b)에서,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132)의 배면 측에는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몸체(134)가 결합되고,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132)의 배면측 상부로서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몸체(134) 상에는 케이스 박스 커버(132a)가 나사 등의 체결수단(132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좌우 이동 무빙 블록(136a, 136b)의 가로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에는 좌우 이동 반침대(144a, 144b)가 체결수단(146a)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몸체(134) 내에서 오일 댐퍼(1342)와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 운동하는 좌우 이동 무빙 블록(136a, 136b)은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몸체(134)의 배면측에서 배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핀(1344)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 핀(1344)은 좌우 이동 무빙 블록(136a, 136b) 상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좌우 이동 무빙 블록(136a, 136b)의 왕복 운동 중에 좌우 이동 무빙 블록(136a, 136b)을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버티컬 거치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을 가로로 눕힌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 손쉽게 거치하고, 모바일 단말을 거치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을 하거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거나 사운드 링크를 통해 음악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음악을 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제어보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120)은 제어부(121), 스위치 버튼(122), 메모리(123), USB포트(124), 전원부(126), 통신서브시스템(128) 및 무선충전유닛접속단자(129)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 버튼(122), USB포트(124), 전원부(126) 및 무선충전유닛접속단자(129)는, 제어부(121)나 전원부(126)에 연결되거나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거나 모니터링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들의 대응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마이컴이나 논리회로, PGA(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버티컬 거치 장치의 페어링 등을 기능 지원이나 제어를 통해 모바일 단말과 차량 스피커 등과 사운드 링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일련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는 무선충전유닛(150)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모바일 단말이나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무선충전 유닛의 동작 상태나 모바일 단말의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는 통신서브시스템(128)을 통해 사용자의 다른 모바일 단말이나 미리 설정된 호스트나 서버와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100)는,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다만, 케이스(110)는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100)의 케이스와 달리 전면 케이스의 높이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버티컬 거치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케이스(110)와 전면 케이스의 배면 상부가 밀폐된 구조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외하고,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버티컬 거치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위목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버터킬 거치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베젤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도 1의 100)는 그 배면에서 거위목 어셈블리(300)와 체결될 수 있다. 그 경우, 버티컬 거치 장치의 전원 라인이나 데이터 통신 라인이 거위목 어셈블리(300) 내의 배선을 통해 거위목 어셈블리(300)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도 1의 100)는 거위목 어셈블리(300)를 게재하고 베젤 어셈블리(400)와 체결될 수 있다. 베젤 어셈블리(400)는 벽이나 선반,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체결될 수 있다. 베젤 어셈블리(400)는 단자를 구비하여 거위목 어셈블리(300)의 배선이나 이에 대응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베젤 어셈블리(400)의 소켓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소켓은 상용전원이나 차량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100)는, 거치 유닛, 케이스 및 다리부를 구비하고, 거위목 어셈불리(300) 및 베젤 어셈블리와 결합될 수 있다.
거치 유닛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살명한 거치 유닛(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케이스는 무선충전 유닛을 내장한 형태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하부 구조가 케이스를 지지하는 두 다리와 발 형태를 갖는 다리부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거치 장치(100)의 전면에는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내에 있는 모든 구성요소의 변형물과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모바일 단말을 길이 방향이 지면과 평행한 가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눕히고 폭 방향이 상기 지면 및 상기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세워 거치하는 버티컬 거치 장치로서,
    박스 형태의 케이스 베이스 및 상기 케이스 베이스의 전면에 결합하는 전면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베이스에 설치되며 스위치 버튼과 통신 및 전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소켓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는 바 형태의 몸체를 갖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폭 방향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바 형태의 몸체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제1 폭만큼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길이 방향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바 형태의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좌우 이동 받침대들이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서로 반대 방향들로 제2 폭의 절반만큼 각각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 상부면상에 바 형태로 고정되는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 내에서 가로 방향으로 제2 폭의 절반만큼 왕복 운동하는 좌우 이동 무빙 블록;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이동 무빙 블록과 기어 결합하는 오일 댐퍼;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에 수납되고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와 상기 좌우 이동 무빙 블록과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좌우 이동 스프링; 및
    상기 좌우 이동 케이스 박스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좌우 이동 무빙 블록 상에서 접동하거나 가이드되며 상기 좌우 이동 스프링을 지지하는 좌우 이동 스프링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착탈식 무선 충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충전을 위한 1차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형 개구부에 삽입되는,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레이들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배면상에 고정되는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
    상기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 내의 가이드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제1 폭만큼 왕복 운동하는 상하 이동 무빙 블록; 및
    상기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에 수납되고 상기 상하 이동 가이드 박스와 상기 상하 이동 무빙 블록 사이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동 스프링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버튼 홀에 삽입되고 상기 스위치 버튼 상에 고정되는 스위치 버튼 커버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은 스위치 버튼 커버 블록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과 외부 장치의 페어링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KR1020170162178A 2017-11-29 2017-11-29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KR10247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78A KR102473570B1 (ko) 2017-11-29 2017-11-29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78A KR102473570B1 (ko) 2017-11-29 2017-11-29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37A KR20190063237A (ko) 2019-06-07
KR102473570B1 true KR102473570B1 (ko) 2022-12-05

Family

ID=6685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78A KR102473570B1 (ko) 2017-11-29 2017-11-29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946A (ko) * 2011-02-01 2012-08-09 황병화 개인휴대단말기의 차량거치대용 가변형홀더
KR20140069684A (ko) 2012-11-29 2014-06-10 이기영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160001328A (ko) * 2014-06-27 2016-01-06 엠디온(주)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1708690B1 (ko) * 2014-10-10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701054B1 (ko) * 2015-06-12 2017-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37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9932B1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TWI528673B (zh) 無線充電基座
AU2014201369B2 (en) Docking apparatus of electronic apparatus
JP5175968B1 (ja) スタンドおよび電子機器
JP2013098663A (ja) 電子機器用のスタンド、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支持装置、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10842237B2 (en) Electronics stand
KR2012006142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침대용 거치대
EP2752610A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61015B2 (en) Holding mechanism and holding device
KR102473570B1 (ko) 모바일 단말의 버티컬 거치 장치
CN104124589A (zh) 托盘、数据卡固定装置及移动终端
KR102036887B1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JP2013101372A (ja) スタンドおよび電子機器
WO2024081238A1 (en) Video gaming system
JP5221730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スタンド
KR101384652B1 (ko) 차량용 거치대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JP5872924B2 (ja) 携帯型超音波診断装置用カート、携帯型超音波ユニット
CN203618046U (zh) 一种手机投影仪及手机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US11911694B1 (en) Cloud gaming system
KR20230170212A (ko) 전원 공급 레일용 홀더 장치
US11865437B1 (en) Video gaming system
US11957973B1 (en) Video gaming system
JP2021108074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