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355B1 -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355B1
KR102473355B1 KR1020210118394A KR20210118394A KR102473355B1 KR 102473355 B1 KR102473355 B1 KR 102473355B1 KR 1020210118394 A KR1020210118394 A KR 1020210118394A KR 20210118394 A KR20210118394 A KR 20210118394A KR 102473355 B1 KR102473355 B1 KR 10247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pipe
support
wall surface
pull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재
이재수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이덕재
이재수
이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재, 이재수, 이정윤 filed Critical 이덕재
Priority to KR102021011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는, 벽면에 매립된 배관 박스 내에 단부가 위치된 냉매 배관을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 배관을 상기 배관 박스에서부터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양단이 건물의 바닥 및 벽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위치되어, 상기 벽면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냉매 배관의 단부를 인출시키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당김력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바닥 및 벽면에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부에 간격조절부가 구비되어 당김력 제공부를 통한 냉매 배관의 단부를 인출을 위해 당길 때 간격조절부에 의해 지지부와 벽면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냉매 배관이 벽면에 매립된 배관 박스의 상측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냉매 배관의 인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BURIED PIPE SPACE ADJ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등에 매립되어 있는 배관과 배관 박스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를 흐르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에어컨은 증발기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 즉 응축기, 압축기와 같은 부품이 하나의 유닛으로 제작되는 일체형 에어컨과, 증발기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냉동 사이클의 다른 부품들을 포함하는 실외기로 분리 제작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한편,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은 사용자의 실내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바닥 및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 시공되며, 냉매 배관은 벽체 내에 매립된 배관 박스 내에서 연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에어컨의 냉매 배관은 시간이 지날수록 노후되어 배관에 부식이 발생하기도 하며, 배관으로부터 냉매가 누설되어 에어컨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도 한다.
이렇게, 배관이 부식되면 부식된 배관의 교체를 위해 인출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208351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매관을 당길 때 배관이 콘크리트 구조물 벽체에 매립되어 냉매순환용 배관의 단부에 설치된 배관 박스의 상단에 걸리게 되면서 인출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2083512호(2020.02.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냉매 배관을 인출시킬 때 매립된 배관 박스와의 접촉을 방지 가능하도록 간격을 조절 가능한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는, 벽면에 매립된 배관 박스 내에 단부가 위치된 냉매 배관을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 배관을 상기 배관 박스에서부터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양단이 건물의 바닥 및 벽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위치되어, 상기 벽면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냉매 배관의 단부를 인출시키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당김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과 이와 대향된 상태로 상기 벽면에 밀착된 상측 밀착부와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높이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당김력 제공부는 단부에 상기 냉매 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는 벽면(W)에 매립된 배관 박스(10) 내에 단부가 위치된 냉매 배관(P)을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 배관(P)과 상기 배관 박스(10)의 간의 접촉에 의한 인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 배관(P)이 상기 배관 박스(10)로부터 이격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양단이 각각 건물의 바닥 및 벽면(W)에 지지되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벽면(W)과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냉매 배관(P)이 상기 배관 박스(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12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지지되어 상기 냉매 배관(P)의 단부를 인출시키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당김력 제공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10)의 하단은 바닥과 수평방향으로 위치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하측 밀착부(114)에 회동가능하도록 축(1110)을 통하여 축결합된 채로,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만이 상기 간격조절부(120)에 의하여 상기 벽면(W)과의 수평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축(1110)에는 토션스프링(1140)의 권취부가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1140)의 일단부는 상기 하측 밀착부(114)의 상부에 형성된 홈(1142)에 지지되고, 상기 토션스프링(1140)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11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상기 지지부(110)가 상기 벽면(W)과 멀어지는 경우 각도 변화에 따라 토션스프링(1140)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하측 밀착부(114)에 원위치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면서 상기 하측 밀착부(114)가 바닥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바닥 및 벽면에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부에 간격조절부가 구비되어 당김력 제공부를 통한 냉매 배관의 단부를 인출을 위해 당길 때 간격조절부에 의해 지지부와 벽면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냉매 배관이 벽면에 매립된 배관 박스의 상측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냉매 배관의 인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서 간격조절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서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서 지지부의 하부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서 간격조절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서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에서 지지부의 하부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100)는 지지부(110), 간격조절부(120) 및 당김력 제공부(130)를 포함하며,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P)을 유지보수를 위해 인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이때, 냉매 배관(P)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에서 벽면(W)을 거쳐 벽면(W)의 하측에 매립형으로 위치된 배관 박스(10) 내에 단부가 위치되며, 배관 박스(1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지지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건물의 바닥 및 벽면(W)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부(110)는 한 쌍의 이웃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 배치된다.
더욱이, 지지부(110)는 이웃한 상부에 횡방향의 연결대(110a)에 의해 연결되며, 상부에 고정되는 간격조절부(120)의 끝단부에 벽면(W)에 밀착되도록 상측 밀착부(112)가 구비되고, 이웃한 하부에 하측 밀착부(114)가 구비된다.
한편, 상측 밀착부(112) 및 하측 밀착부(114)는 건물의 바닥 및 벽면(W)에 손상을 방지와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목재 또는 연질재 등의 재질로 구비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대(110a)에는 설치고리(111)가 설치되어, 견인고리(132)를 통해 당김력 제공부(13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상, 하부가 분할되고, 이웃한 단부에 나선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벽면(W)과의 거리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하부가 하측 밀착부(114)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하측 밀착부(114)의 상면에 바닥면이 원호 형상을 갖도록 홈(1142)을 형성하고 홈(1142) 내에 위치된 지지부(110)의 하부에 축(1110)을 관통시켜 지지부(110)의 하부가 홈(1142)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지지부(110)의 하부에 반원 형상으로 가공한 후 반원면에 래칫(1120)이 설정간격마다 일체 형성되고, 하측 밀착부(114)의 홈(1142) 내에 래칫(1120) 중 어느 하나에 간섭하도록 멈춤쇠(11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멈춤쇠(113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축(1110)과 평행한 상태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래칫(1120) 내에 위치되게 하면 지지부(110)의 하부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간섭하고, 이동시켜 래칫(1120) 외부에 위치되게 하면 지지부(110)의 하부가 양쪽 방향으로 모두 회전 가능하도록 간섭 해제한다.
한편, 래칫(1120)은 일측은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이 각각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멈춤쇠(1130)가 회전되면서 지지부(110)의 하부가 도 5 기준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멈춤쇠(1130)가 수직면에 위치되면 지지부(110)의 하부가 도 5 기준 좌측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지지부(110)의 각도가 변경되면 각도에 맞게 래칫(1120)이 멈춤쇠(1130)를 따라 이동하게 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이 외에 도 5(b)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벽면(W)과의 거리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하부가 하측 밀착부(114)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하측 밀착부(114)의 상면에 바닥면이 원호 형상을 갖도록 홈(1142)을 형성하고 홈(1142) 내에 위치된 지지부(110)의 하부에 축(1110)을 관통시켜 지지부(110)의 하부가 홈(1142)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축(1110)에는 토션스프링(1140)의 권취부가 결합되며, 토션스프링(1140)의 일단부는 하측 밀착부(114)의 홈(1142)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1140)의 타단부는 지지부(110)에 지지된다.
이렇게, 지지부(110)는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벽면(W)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각도 변화에 따라 토션스프링(1140)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하측 밀착부(114)에 원위치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면서 하측 밀착부(114)가 바닥면을 가압하게 된다.
간격조절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상부 후면과 이와 대향된 상측 밀착부(112)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부(110)의 상단과 이와 대향된 벽면(W)과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간격조절부(120)는 상측 밀착부(112)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122a)과, 제1 브래킷(122a)과 이격 위치되면서 연결대(110a)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2 브래킷(122b)과, 제1 브래킷(122a)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연결암(124)과, 제2 브래킷(122b)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끝단부가 제1 연결암(124)의 이웃한 단부와 축 결합되는 제2 연결암(126) 및 제1, 2 연결암(124, 126)의 연결지점을 연결하여 회전시 제1, 2 브래킷(122a, 122b)의 간격을 조절하는 나선축(128)을 포함한다.
여기서, 나선축(128)은 제1, 2 연결암(124, 126)의 연결지점 일측에는 회전(자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제1, 2 연결암(124, 126)의 연결지점 타측에는 너트 등과 같은 나선홀에 체결되므로 회전시 연결지점의 일, 타측의 간격이 조절된다.
그리고 나선축(128)의 단부에는 막대기나 공구 등을 넣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선축(128)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축(128)의 일측은 제1, 2 연결암(124, 126)의 연결지점 일측에 고정되므로 나선축(128)의 타측에 나선 체결된 제1, 2 연결암(124, 126)의 연결지점 타측이 나사선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제1, 2 브래킷(122a, 122b)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게 할 수 있다.
당김력 제공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110a)에 연결된 설치고리(111)에 걸린 상태로 지지되며, 냉매 배관(P)의 단부를 인출시키도록 당김력을 제공한다.
이때, 당김력 제공부(130)는 체인 블록 방식 등이 적용되되, 몸체에 구비된 고리(132)를 설치고리(111)에 걸 수 있도록 구비되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134)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연속 이동시키면 체인(136)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더욱이, 체인(136)의 단부에는 가압구(138)가 구비되어, 가압구(138)를 통해 당김력이 작용되는 냉매 배관(P)의 단부 등을 조임 방식 등에 의해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면(W)의 하측에 위치된 배관 박스(10)가 중심에 오도록 지지부(110)의 상하부가 건물의 바닥 및 벽면(W)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지지부(110)의 상측에 위치된 연결대(110a)의 설치고리(111)에 견인고리(132)를 걸어 당김력 제공부(130)를 지지하게 한다.
다음으로, 벽면(W) 하측의 배관 박스(10) 내에 위치된 냉매 배관(20)의 단부를 당김력 제공부(130)의 가압구(138)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당김력 제공부(130)의 손잡이(134)를 일방향으로 연속 이동시키면 체인(136)이 상승하게 되며, 체인(136) 상승에 따라 냉매 배관(P)의 단부가 고정된 가압구(138)에 의해 딸려오게 된다.
다음으로, 냉매 배관(P)이 당겨지면서 배관 박스(10)의 상부에 닿는지 여부를 관찰한 후 닿지 않으면 계속 냉매 배관(P)을 당기게 되고, 배관 박스(10)의 상부에 닿는 경우 간격조절부(120)를 조절하게 된다.
즉,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벽면(W)과 지지부(110)의 상측과의 거리를 멀게 하는 경우 나선축(128)을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축(128)의 일측은 제1, 2 연결암(124, 126)의 연결지점 일측에 고정되므로 나선축(128)의 타측에 나선 체결된 제1, 2 연결암(124, 126)의 연결지점 타측이 나사선을 따라 전진하면서 제1, 2 브래킷(122a, 122b)의 간격을 넓히게 된다.
이렇게,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딸려오는 냉매 배관(P)이 배관 박스(10)의 상부에 닿지 않으면 간격조절부(120)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당김력 제공부(130)로 냉매 배관(P)을 계속 인출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110: 지지부
120: 간격조절부
130: 당김력 제공부
10: 배관 박스
P: 냉매 배관

Claims (4)

  1. 벽면(W)에 매립된 배관 박스(10) 내에 단부가 위치된 냉매 배관(P)을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 배관(P)과 상기 배관 박스(10)의 간의 접촉에 의한 인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매 배관(P)이 상기 배관 박스(10)로부터 이격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양단이 각각 건물의 바닥 및 벽면(W)에 지지되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벽면(W)과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냉매 배관(P)이 상기 배관 박스(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12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지지되어 상기 냉매 배관(P)의 단부를 인출시키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당김력 제공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10)의 하단은 바닥과 수평방향으로 위치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하측 밀착부(114)에 회동가능하도록 축(1110)을 통하여 축결합된 채로, 상기 지지부(110)의 상단만이 상기 간격조절부(120)에 의하여 상기 벽면(W)과의 수평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축(1110)에는 토션스프링(1140)의 권취부가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1140)의 일단부는 상기 하측 밀착부(114)의 상부에 형성된 홈(1142)에 지지되고, 상기 토션스프링(1140)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11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간격조절부(120)에 의해 상기 지지부(110)가 상기 벽면(W)과 멀어지는 경우 각도 변화에 따라 토션스프링(1140)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하측 밀착부(114)에 원위치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면서 상기 하측 밀착부(114)가 바닥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력 제공부는 단부에 상기 냉매 배관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KR1020210118394A 2021-09-06 2021-09-06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KR10247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94A KR102473355B1 (ko) 2021-09-06 2021-09-06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94A KR102473355B1 (ko) 2021-09-06 2021-09-06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355B1 true KR102473355B1 (ko) 2022-12-01

Family

ID=8444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394A KR102473355B1 (ko) 2021-09-06 2021-09-06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3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041U (ko) * 1994-12-29 1996-07-20 자동차용 잭
KR102083512B1 (ko) 2019-01-16 2020-03-02 박영태 매설 배관 인출 및 교체장치
KR102185253B1 (ko) * 2019-05-21 2020-12-01 박영태 건물 매립관의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041U (ko) * 1994-12-29 1996-07-20 자동차용 잭
KR102083512B1 (ko) 2019-01-16 2020-03-02 박영태 매설 배관 인출 및 교체장치
KR102185253B1 (ko) * 2019-05-21 2020-12-01 박영태 건물 매립관의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695B1 (ko) 매립형 에어컨배관 확관장치
KR102129204B1 (ko) 매립된 에어컨배관의 교체 및 확관용 작업대
KR102083512B1 (ko) 매설 배관 인출 및 교체장치
KR102473355B1 (ko) 매립 배관 간격조절장치
KR101695436B1 (ko) 스프링클러 연결구
CN210512089U (zh) 一种基于制冷空调的散热片空调管连接件结构
CN210147372U (zh) 一种空调铜管焊接支撑工装
KR20220162196A (ko) 에어컨 매립배관 인출장치
CN209355381U (zh) 实现多联机空调系统超低温制冷的保温装置及空调系统
KR102357454B1 (ko) 에어컨배관 인출용 스크류잭
JPH083812Y2 (ja) 流体管の配管構造
JPH11287480A (ja) 分離型空気調和機及びそれを据付ける据付装置
CN2846951Y (zh) 波纹连接管
CN217724016U (zh) 一种用于殡葬的制冷火化棺
CN215568499U (zh) 暖通空调系统空调制冷管道安装定位装置
CN213871410U (zh) 一种矩形风管双向抗震支吊架
CN215600981U (zh) 一种室内管道安装系统
KR20220007575A (ko) 에어컨 매립 배관의 관경 복원장비 및 그 복원방법
EP0443780A2 (en) Air-conditioner
CN216131495U (zh) 一种建筑用给排水暖通固定安装结构
CN218154549U (zh) 一种中央空调及通风系统安装吊架吊码
CN213901636U (zh) 一种制冷设备除霜器
CN216203718U (zh) 一种减少冷量损失保温的安装装置
CN219866671U (zh) 冰箱用铜管紧固装置
CN213177080U (zh) 一种基于金属表面镀层技术的新型防腐型抗震支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