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286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286B1
KR102473286B1 KR1020220040308A KR20220040308A KR102473286B1 KR 102473286 B1 KR102473286 B1 KR 102473286B1 KR 1020220040308 A KR1020220040308 A KR 1020220040308A KR 20220040308 A KR20220040308 A KR 20220040308A KR 102473286 B1 KR102473286 B1 KR 10247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isplay device
connecting member
weight
stan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4922A (en
Inventor
전국열
이명엽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286B1/en
Publication of KR2022004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및 상기 스탠드 바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A stand bar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nection member: and a head connected to the stand bar and having a display.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스마트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image information stored inside. Representative display devices include televisions, monitors, laptops, smart phones, and the like.

다만, 스마트폰 등과 같은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다. 반대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mobile display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re limited in size for portability. Conversely, a relatively large display device such as a TV requires a large installation space and is inconvenient to mov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컴팩트한 베이스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stably supported by a compact ba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헤드 및 스탠드 바에 의한 전도 모멘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verturning moment by the head and the stand bar is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및 상기 스탠드 바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바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전선이 통과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바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전선이 수용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상향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연통홀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연결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및 상기 스탠드 바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바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전선이 통과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바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전선이 수용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상향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및 상기 베이스 내부서 상기 배터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워 보드를 더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base; A stand bar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nection member: and a head connected to the stand bar and having a display,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urther to the outside of the base,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wires can pass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nd a passage for receiving wire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side the stand bar, and th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wire to the communication hole,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do.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base; A stand bar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nection member: and a head connected to the stand bar and having a display,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urther to the outside of the base,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wires can pass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nd a passage for receiving wire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side the stand bar, and th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 A display device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member through upw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base; and a power board disposed inside the bas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내에 웨이트가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eight is disposed in the ba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lowered. Thus, the display device can be stably supported while keeping the base compact.

또한, 스탠드바는 헤드의 배면이 아닌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의 배면을 거울 등과 같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and bar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instead of the rear.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for other purposes, such as mirrors.

또한, 스탠드바가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유려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nd ba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ase, the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streamlined.

또한, 스탠드 바의 하단은 베이스의 관통공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커넥팅 바는 웨이트와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바가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전도 모멘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end of the stand bar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ng bar protruding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base, and the connecting bar may be fastened with a weigh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overturning moment generated when the stand ba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또한, 웨이트는 관통공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중량의 웨이트로 더 큰 전도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Also, the weight may be disposed eccentric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rough hole.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ort a larger overturning moment with a weight of the same weight.

또한, 커넥팅 바는 베이스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로 전달되는 모멘트가 베이스로 분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ar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s a result, the moment transmitted to the connecting bar can be distributed to the base.

또한, 캐스터 볼은 베이스의 일측면의 하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을 들어올려 캐스터 볼만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만들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ter ball separates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ase from the floor, and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Accordingly, the user can lif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so that only the caster balls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in this state,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moved.

또한, 배터리 및 서브 웨이트가 베이스 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 중심이 더욱 낮아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and the sub-weight are disposed in the ba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further lowered and st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커넥팅 바는 배터리와 서브 웨이트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lso, the connecting bar may pass between the battery and the sub weight.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within the base.

또한, 커넥팅 바는 베이스의 중심을 통과하고, 웨이트는 커넥팅 바와 나란한 대칭축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무게와 서브 웨이트의 무게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ar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base, and the weight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n axis of symmetry parallel to the connecting bar. Also, the weight of the battery and the weight of the sub weight may be the same or simila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being overtur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웨이트의 무게는, 배터리의 무게 및 서브 웨이트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이로써 웨이트는 커넥팅 바에 작용하는 전도 모멘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lso, the weight of the weight may be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battery and the weight of the sub weight. As a result, the weight can stably support the overturning moment acting on the connecting bar.

또한, 웨이트는 제1,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중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이를 보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the weigh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ccordingly, when the weight of the battery and the sub-battery is insuffici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being overtur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reinforcing the weight of the battery and the sub-battery.

또한, 베이스의 좌우방향 길이는 헤드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가 충분히 컴팩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미려해질 수 있다.Also, the length of the base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head. As a result, the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beautiful because the base is sufficiently compact.

또한, 커넥팅 바에는 스탠딩 바 내부의 통로를 통해 헤드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선의 배치가 용이해지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for guiding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ead through a passage inside the standing bar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As a result, the arrangement of the wires can be facilitated and the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further r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lted state of a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swive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of a base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cut along line A-A' of FIG. 5;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hen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asten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two elements are directly fastened or connected, or a third element exists between the two elements and the third element is connected to the two elements. It may mean that elements are connected or fasten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fasten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third element between the two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tilted state of a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swive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와, 스탠드 바(20)와, 헤드(30)와, 커넥팅 바(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10, a stand bar 20, a head 30, and a connecting bar 50.

베이스(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The base 10 may support the display device 1 on the bottom surface.

헤드(30)는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헤드(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에는 영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 A display 3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ead 30 . A video or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1 . Also, the display 31 may include a touch screen.

헤드(30)의 둘레부(32)(33)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32)와 한 쌍의 단변(short side)(33)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 방향과 단변(33)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L1)는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헤드(30)는 장변(32)이 수평하고 단변(33)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eripheral portions 32 and 33 of the head 30 may include a pair of long sides 32 and a pair of short sides 33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3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rt side 33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 length L1 of the long side 32 may be longer than a length L2 of the short side 33 . The head 3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long side 32 is horizontal and the short side 33 is vertic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탠드 바(20)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베이스(10)와 헤드(3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stand bar 20 may extend vertically and connect the base 10 and the head 30.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는 베이스(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50)와 헤드(30)의 일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상기 커넥팅 바(5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부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1)는 헤드(30)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일 측면을 마주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tand bar 20 may connect one side of the head 30 and the connecting bar 50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base 10 . A lower end of the stand bar 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50 . A protrusion 21 protruding horizontally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nd bar 20 , and the protrusion 2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30 .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stand bar 20 may face one side of the head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베이스(10)와 동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10)의 상측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head 30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base 10 with respect to the stand bar 20 . That is, the head 30 may overlap the bas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1 does not deviate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the display device 1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overturning.

스탠드 바(20)가 헤드(30)의 배면이 아닌 일 측면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30)의 배면을 다른 용도(예를 들어, 거울)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stand bar 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30 rather than the rear,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 is improved in terms of design, and the rear of the head 30 is used for other purposes (eg, It can be used as a mirror).

베이스(10)의 좌우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베이스(1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base 1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1 of the long side 32 of the head 30 . Therefore, the head 30 may protrude laterally than the base 10 .

스탠드 바(20)는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와 단변의 길이(L2)를 합한 것(L1+L2)보다 길 수 있다.The stand bar 20 may be extended long enough. The vertical length of the stand bar 2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long side 32 of the head 30 . The vertical length of the stand bar 20 may be longer than the sum (L1+L2) of the length L1 of the long side 32 of the head 30 and the length L2 of the short side.

스탠드 바(20) 및 돌출부(21)의 내부에는 헤드(30)의 내부와 연통된 통로(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20a)는 스탠드 바(20)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부(21)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A passage 20a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ead 30 may be formed inside the stand bar 20 and the protrusion 21 . The passage 20a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stand bar 20 to the end of the protrusion 21 .

베이스(10)의 내부에는 후술할 배터리(60)(도 7 참조) 및 상기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power boar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보드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은 통로(20a)를 통해 헤드(3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Inside the base 10, a battery 60 (see FIG. 7) to be described later and a power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60 may be disposed. An electric wire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board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head 30 through the passage 20a. As a resul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head 30 - for example, the display 31.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20)의 돌출부(21)는 헤드(30)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수평축(axis)(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x1)은 스탠드 바(20)의 돌출부(21)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평축(x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트(tilt) 동작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protrusion 21 of the stand bar 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30, and the head 30 has a horizontal axis with respect to the stand bar 20 ( axis)(x1). The horizontal axis x1 may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21 of the stand bar 20 . That is, the head 30 is capable of til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x1.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커넥팅 바(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스탠드 바(20)와 함께 베이스(10)에 대해 수직축(axis)(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직축(x2)는 스탠드 바(2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수직축(x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전환되는 스위블(swivel) 동작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lower end of the stand bar 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50, and the head 30 has a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base 10 together with the stand bar 20 ( axis)(x2). The vertical axis (x2) may correspond to the stand bar (20). Accordingly, the head 30 can perform a swivel operation in which the direction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x2.

헤드(30)의 틸트 동작과 스위블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tilt operation and the swivel operation of the head 30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4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헤드(30)에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mponents of FIG. 4 may be provided in the head 30 of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 인터페이스(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서(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110, an input interface 120, a learning processor 130, a sensor 140, an output interface 150, a memory 170, and a processor 180. can include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external devices such as other terminals or external servers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may transmit/receive sensor information, a user input, a learning model, a control signal, and the like with external devices.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At this time,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includ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Long Term Evolution (LTE), 5G, Wireless LAN (WLAN), and Wireless-Fi (Wi-Fi). Fidelit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 interface 120 may acquire various types of data.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interface 120 may include a camera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Here, a camera or microphone may be treated as a sensor, and signals obtained from the camera or microphone may be referred to as sensing data or sensor information.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The input interface 120 may obtain learning data for model learning and input data to be used when obtaining an output using the learning model. The input interface 120 may obtain raw input data, and in this case, the processor 180 or the learning processor 130 may extract input features as preprocessing of the input data.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Camera, 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interface 120 may include a camera (Camera, 121)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Microphone, 122)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can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interface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interface 12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s), audio information (or signals),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putt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input interfaces. Of th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31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processes external sound signals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function (or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being performed in the display device 1 . Meanwhile, various noise cancellation algorithms may be applied to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interface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123, the processo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can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단말기(1)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123 is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rear side or side of the terminal 1,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 input means consists of a virtual key, soft key, or vis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It can be made of a touch key (touch key) disposed on.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The learning processor 130 may learn a model composed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training data. Here, the lear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referred to as a learning model. The learning model may be used to infer a result value for new input data other than learning data, and the inferred value may be used as a basis for a decision to perform a certain operation.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디스플레이 장치(1)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running processor 130 may include a memory integrated or implemented in the display device 1 . Alternatively, the learning processor 130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memory 170, an external memory directly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1, or a memory maintained in an external device.

센서(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nsor 140 may obtain at least one of internal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and user information using various sensors.

이때, 센서(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140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 inertial sensor, an RGB sensor, an IR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 microphone, a lidar, radar, etc.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output interface 150 may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이때, 출력 인터페이스(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interface 150 may include a display that outputs visual information, a speaker that outputs auditory information, and a haptic module that outputs tactile information.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 인터페이스(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interface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31, a sound output unit 152, a haptic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can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3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isplay device 1 . For example, the display 3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on the display device 1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3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This touch screen functions as a user input interface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user, and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1 and the user.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interfac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interface 15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ceiver, a speaker, and a buzzer.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3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vibration.

광출력 인터페이스(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interface 154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1 .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s, alarms, schedule notifications,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pplications.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display device 1 . For example, the memory 170 may store input data obtained from the input interface 120, learning data, a learning model, a learning history, and the like.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80 may determine at least one executabl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based on information determined or generated using a data analysis algorithm or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lso, the processor 180 may perform the determined operation by controlling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 .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180 may request, retrieve, receive, or utilize data from the learning processor 130 or the memory 170, and select a predicted operation or an operation determined to be desirable among the at least one executable operation.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 may be controlled to execute.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8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when it is necessary to link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the determined operation.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180 may obtain intention information for a user input and determine a user's requirement based on the acquired intention information.

이때,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180 uses at least one of a STT (Speech To Text) engine for converting a voice input into a character string and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engine for obtaining intention information of a natural language, and I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y be obtained.

이때,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외부 서버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T engine or NLP engine may be composed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t least partially trained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T engine or the NLP engine may be learned by the learning processor 130, learned by an external server, or learned by distributed processing thereof.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processor 180 collects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user feedback on the operation contents or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70 or the running processor 130, or in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xternal server. can transmit The collected history information can be used to update the learning model.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the processor 180 may combine and operate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10)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내부 공간은 하우징(11)과 커버(1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10 may include a housing 11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cover 12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 .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0 may be formed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cover 12 .

베이스(10)의 저면은 하우징(11)의 저면일 수 있고, 베이스(10)의 상면은 커버(12)의 상면일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면은 하우징(11)의 둘레면과 커버(12)의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의 둘레면은 베이스(10)의 둘레면에 대해 수평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may be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 , and the top surface of the base 10 may be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12 .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0 may inclu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2 .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2 may be stepped in a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0 .

베이스(10)의 둘레에는 커넥팅 바(50)가 통과하는 관통공(19)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관통공(19)은 하우징(11)의 일 측면(13)에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9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bar 50 passes may be formed around the base 10 . In more detail, the through hole 19 may be formed on one side surface 13 of the housing 11 .

하우징(11)의 둘레면은, 전면과, 배면과, 관통공(19)이 형성된 일 측면(13)과, 상기 일 측면(13)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 측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1 may include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 side surface 13 on which the through hole 19 is formed, and another side surface 14 located opposite the one side surface 13 .

베이스(1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은 베이스(10)의 일 측면(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캐스터 볼(16)은 상기 함몰부(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는 베이스(10)의 일 측면(13)에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aster balls 16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 . The plurality of caster balls 16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13 of the base 10 . In more detail, a recessed portion 15 recessed upwar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and the caster ball 16 may be disposed within the recessed portion 15. The depression 15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surface 13 of the base 10 .

베이스(10)는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이 바닥면에 접할 수 있고 베이스(10)의 일 측면(13)의 하단은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타 측면(14)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The base 10 may maintain a horizontal or near-horizontal stat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aster balls 16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one side surface 13 of the base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surface 14 of the base 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평상시에는 캐스터 볼(16)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이동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베이스(10)의 타 측면(14)의 하단을 들어올려 캐스터 볼(16)만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만들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display device 1 by the caster ball 16 may not be performed normally. The user can lif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surface 14 of the base 10 so that only the caster balls 16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in this state, the display device 1 can be easily mov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base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A' of FIG. 5,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BB'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일측면(13)에 형성된 관통공(19)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커넥팅 바(50)의 일부는 베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베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ar 50 may pass through a through hole 19 formed on one side surface 13 of the base 10 . That is, a part of the connecting bar 50 may be located inside the base 10, and another part may be located outside the base 10.

커넥팅 바(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P)은 베이스(10)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하학적 중심일 수 있다.The connecting bar 50 may extend left and right. The connecting bar 50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P of the base 10 . The center P may be a geometric center of the base 10 in a horizontal direction.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바(50)와 베이스(10)의 전면 사이의 전후 거리는, 커넥팅 바(50)와 베이스(10)의 배면 사이의 전후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의 길이는 베이스(10)의 좌우 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길고, 베이스(10)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ront-rear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bar 5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10 may be the same as the front-back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bar 5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10 .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ar 50 may be longer than half of the length of the base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는 후술할 웨이트(40)에 체결될 수 있다.An inner end of the connecting bar 50 may be fastened to a weight 40 to be described later.

커넥팅 바(50)의 외측 단부에는 스탠드 바(20)(도 1 참조)가 연결되는 연결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51)는 베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A connection portion 51 to which the stand bar 20 (see FIG. 1 ) is connected may be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connecting bar 50 . The connection part 51 may be located outside the base 10 .

연결부(51)에는 스탠드 바(20) 내부의 통로(20a)(도 1 참조)와 연통되는 연통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52)은 연결부(51)에 상하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 내의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연통홀(52)을 통해 스탠드 바(20) 내부의 통로(20a)로 들어갈 수 있다.A communication hole 52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20a (see FIG. 1 ) inside the stand bar 20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51 . The communication hole 52 may b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1 .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power board in the base 10 may enter the passage 20a inside the stand ba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52 .

또한, 커넥팅 바(50)에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4)(도 9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4)은 커넥팅 바(5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4)은 베이스(10)의 내부부터 연결부(51)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groove 54 (see FIG. 9) for guiding the wir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50. The guide groove 54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50 . The guide groove 54 may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base 10 to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51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커넥팅 바(50)가 체결된 웨이트(40)(weight)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40 disposed inside the base 10 and fastened to the connecting bar 50 .

웨이트(40)는 고중량을 갖는 무게추일 수 있다. 웨이트(40)는 금속 재질임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40 may be a weight having a high weight. The weight 4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웨이트(4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중심을 낮추고, 헤드(30) 및 스탠드 바(20)에 의해 커넥팅 바(50)에 작용하는 전도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weight 40 may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1 and support an overturning moment acting on the connecting bar 50 by the head 30 and the stand bar 20 .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 can be stably supported while maintaining a compact size of the base 10 .

웨이트(40)는 커넥팅 바(50)와 나란한 대칭축(axis)(X3)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칭축(X3)은 베이스(10)의 중심(P)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The weight 40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n axis X3 parallel to the connecting bar 50 . The axis of symmetry X3 may cross the center P of the base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따라서, 웨이트(40)의 중량이 전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ight of the weight 40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한, 웨이트(40)는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가상축(axis)(X4)에 대해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40 may be disposed eccentric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rough hole 19 . In more detail, the weight 40 may be disposed eccentric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rough hole 19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axis X4 crossing the center P of the base 10 back and forth.

즉,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타 측면(14)에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40)에 의해 지지 가능한 커넥팅 바(50)의 전도 모멘트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That is, the weight 40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other side surface 14 of the base 10 . Therefore, the magnitude of the overturning moment of the connecting bar 50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weight 40 can be increased.

웨이트(40)에는 커넥팅 바(50)가 삽입되는 삽입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4)은 베이스(10)의 관통공(19)을 좌우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44)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An insertion groove 44 into which the connecting bar 5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weight 40 . The insertion groove 44 may face the through hole 19 of the base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44 may be opened.

따라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는 상기 삽입홈(44)에 삽입될 수 있고, 상하 방향에 대해 베이스(10)의 내측 저면과 삽입홈(44)의 내측 상면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Therefore,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ng bar 5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4, and can be constrain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a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44 in the vertical direction.

스크류 등의 제1체결부재(C1)는 웨이트(40)의 상면을 관통하여 삽입홈(44) 내에 위치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웨이트(4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고 삽입홈(44)의 상측에 위치하는 함몰부(41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채결부재(C1)는 함몰부(41a)를 관통하여 삽입홈(44) 내에 위치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C1)는 커넥팅 바(5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such as a screw, may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40 and be fastened to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ng bar 50 located in the insertion groove 44. In more detai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40, a recessed portion 41a may be formed that is recessed downward and is located above the insertion groove 44,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is a recessed portion 41a It can be fastened to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ng bar 50 located in the insertion groove 44 through the. The first fastening member C1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50 .

또한,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제2체결부재(C2)는 베이스(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커넥팅 바(50)에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ar 50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 .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such as a screw, may pas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and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bar 50.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에는, 베이스(10)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커넥팅 바(50)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는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C2)는 상기 지지부(17)를 하측에서 관통하여 커넥팅 바(5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C2)는 커넥팅 바(5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base 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17 protruding upward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to horizontally support the connecting bar 50 . The support part 17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r 50 .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bar 50 by penetrating the support part 17 from the lower sid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2)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50).

이로써, 커넥팅 바(50)에 가해지는 전도 모멘트가 베이스(10)와 웨이트(40)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Thus, the overturning moment applied to the connecting bar 50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base 10 and the weight 4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60 and a sub weight 70 .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베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웨이트(40)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일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커넥팅 바(50)는 배터리(60)와 서브 웨이트(7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The battery 60 and the sub weight 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se 10 . The battery 60 and the sub weight 70 may be separate members separated from the weight 40 . The battery 60 and the sub weight 7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bar 50 may pass between the battery 60 and the sub weight 70 .

즉, 배터리(60)와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60)는 커넥팅 바(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60 and the sub weight 70 may b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connecting bar 50 . For example, the battery 6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connecting bar 50 and the sub weight 70 may be located in the rear of the connecting bar 50.

서브 웨이트(70)는,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power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 weight 70 may include a power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60 .

배터리(60)의 무게와 서브 웨이트(70)의 무게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중량이 전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The weight of the battery 60 and the weight of the sub weight 70 may be the same or similar. Accordingly, the weight of the base 10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한, 웨이트(40)의 무게는, 배터리(60)의 무게 및 서브 웨이트(70)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중량이 커넥팅 바(50)가 돌출된 일 측면(13)의 반대편인 타 측면(14)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고, 헤드(30) 및 스탠드 바(20)에 의한 전도 모멘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lso, the weight of the weight 40 may be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battery 60 and the weight of the sub weight 70 . Therefore, the weight of the base 10 can be eccentric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14 opposite to the one side 13 from which the connecting bar 50 protrudes, and conduction by the head 30 and the stand bar 20 moment can be stably supported.

한편, 웨이트(40)는 본체(41)와, 제1돌출부(42)와, 제2돌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eight 40 may include a body 41 , a first protrusion 42 , and a second protrusion 43 .

본체(41)는 커넥팅 바(50)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삽입홈(44)은 본체(41)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41)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본체(41)는 웨이트(40) 전체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41 may be fastened with the connecting bar 50 . That is, the insertion groove 44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41 . The body 41 may have a plate shape. The main body 41 may occupy most of the total weight of the weight 40 .

본체(41)는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41)는 베이스(10)의 타측면(14)에 인접하게 편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41)는 좌우 방향에 대해, 베이스(10)의 중심(P)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가상축(X4)과 베이스(10)의 타측면(1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main body 41 may be disposed eccentric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rough hole 19 . That is, the main body 41 may be eccentric adjacent to the other side surface 14 of the base 10 . In more detail, the main body 41 may be located between the other side surface 14 of the base 10 and the virtual axis X4 crossing the center P of the base 10 back and for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본체(41)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대칭축(X3)에 대해 대칭 형상일 수 있다.The main body 41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n axis of symmetry X3 crossing the center P of the base 10 from side to side.

제1돌출부(42)는 본체(41)에서 베이스(10)의 내둘레와 배터리(6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60)는 커넥팅 바(50)와 제1돌출부(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42 may protrud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se 10 and the battery 60 in the main body 41 . Accordingly, the battery 6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bar 50 and the first protrusion 42 .

제2돌출부(43)는 본체(41)에서 베이스(10)의 내둘레와 서브 웨이트(7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와 제2돌출부(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43 may protrud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se 10 and the sub weight 70 in the main body 41 . Accordingly, the sub weight 7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bar 50 and the second protrusion 43 .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는, 본체(41)에서부터, 상기 가상축(X4)을 넘어서까지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42 and the second protrusion 43 may protrude from the main body 41 beyond the imaginary axis X4.

따라서,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는,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42 and the second protrusion 43 together with the battery 60 and the sub weight 70 can prevent the display device 1 from being overtur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41),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 각각은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50)에 의해 웨이트(40)로 전달되는 모멘트에 의해 웨이트(40)가 리프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eight 40 may be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 In more detail, each of the main body 41 , the first protrusion 42 and the second protrusion 43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ight 40 from being lifted by the moment transmitted to the weight 40 by the connecting bar 50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베이스 16: 캐스터 볼
19: 관통공 20: 스탠드 바
30: 헤드 40: 웨이트
50: 커넥팅 바 51: 연결부
52: 연통홀 54: 가이드홈
60: 배터리 70: 서브 웨이트
10: base 16: caster ball
19: through hole 20: stand bar
30: head 40: weight
50: connecting bar 51: connection
52: communication hole 54: guide groove
60: battery 70: serve weight

Claims (15)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및
상기 스탠드 바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바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전선이 통과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바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전선이 수용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상향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연통홀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연결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Bas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base;
A stand bar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necting member: and
A head connected to the stand bar and equipped with a display; includes,
The connecting member is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further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e lower end of the stand ba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can pass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stand bar to receive wire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I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by penetrating upw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wire to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a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넥팅 바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s
Including a connecting ba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base,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및
상기 스탠드 바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바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전선이 통과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 바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한 전선이 수용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상향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및
상기 베이스 내부서 상기 배터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워 보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Bas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base;
A stand bar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necting member: and
A head connected to the stand bar and equipped with a display; includes,
The connecting member is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further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base,
The lower end of the stand ba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can pass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stand bar to receive wire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e one or more fastening members,
In the display device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base; an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wer board disposed inside the bas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를 방지하는 웨이트 부재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board functions as a weight member to prevent the display from fall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심과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 1 가상선은,
상기 제 1 가상선과 평행하되 상기 배터리의 중심을 지나는 제 2 가상선과, 상기 제 1 가상선과 평행하되 상기 파워 보드의 중심을 지나는 제 3 가상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 first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enter of the base,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ed between a second imaginary line parallel to the first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attery and a third imaginary line parallel to the first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ower boar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weight provided inside the bas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at least one weigh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웨이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nection member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fixed to the at least one weight,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KR1020220040308A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KR102473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en)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en) 2020-03-31 2020-03-31 Display apparatus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en)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38A Division KR102395124B1 (en) 2020-03-31 2020-03-31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22A KR20220044922A (en) 2022-04-12
KR102473286B1 true KR102473286B1 (en) 2022-12-05

Family

ID=7861024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en) 2020-03-31 2020-03-31 Display apparatus
KR1020220040306A KR102473285B1 (en)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en)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en)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en) 2020-03-31 2020-03-31 Display apparatus
KR1020220040306A KR102473285B1 (en)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en) 2020-03-31 2022-03-31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951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75B1 (en) * 2022-01-20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535718B1 (en) * 2022-01-21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535721B1 (en) * 2022-04-08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1903A (en) * 2007-03-26 2008-10-09 Bank Of Tokyo-Mitsubishi Ufj Ltd Stand for display device
US20170060516A1 (en) * 2014-10-30 2017-03-02 Nec Platforms, Ltd. Display device and pos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905U (en) * 1997-11-21 1999-06-15 전주범 Position shifter of TV
KR20100074936A (en) * 2008-12-24 201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apparatus
KR101581953B1 (en) * 2009-06-24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1169192B1 (en) * 2009-12-07 2012-07-26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Movable medical monitor with battery pac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1903A (en) * 2007-03-26 2008-10-09 Bank Of Tokyo-Mitsubishi Ufj Ltd Stand for display device
US20170060516A1 (en) * 2014-10-30 2017-03-02 Nec Platforms, Ltd. Display device and pos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285B1 (en) 2022-12-05
KR102413201B1 (en) 2022-06-27
KR20220045132A (en) 2022-04-12
KR20220044922A (en) 2022-04-12
KR20220045131A (en) 2022-04-12
KR102395124B1 (en) 2022-05-09
KR20210121809A (en)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3286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46903B1 (en) Display apparatus
KR102367837B1 (en) Display device
KR2018013677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15552B1 (en) Display device
KR102391687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ound output unit
CN105723692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591109B2 (en) Mobile terminal
KR102456106B1 (en) Display apparatus
KR2018005524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08450B1 (en) Display apparatus
KR102344046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32638B1 (en) Display device
US20230291233A1 (en)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08734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602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1474444B1 (en) Portable terminal
KR2016011655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64388A (en) Mobile terminal
KR20090079467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