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987B1 -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 Google Patents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987B1
KR102472987B1 KR1020220045100A KR20220045100A KR102472987B1 KR 102472987 B1 KR102472987 B1 KR 102472987B1 KR 1020220045100 A KR1020220045100 A KR 1020220045100A KR 20220045100 A KR20220045100 A KR 20220045100A KR 102472987 B1 KR102472987 B1 KR 10247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x
folding
wall
wat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현
이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4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물막이장치를 이용하여 하수박스, 배수박스, 암거 등의 하수관로를 개보수하기 위한 지점의 유수 흐름을 차단하여 편리하게 개보수를 함은 물론 개보수가 끝나면 물막이장치를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는 일정구간을 전체적으로 차수하는 대형 물막이방식으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박스형 하수관로에 설치 및 해체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공기가 지연되어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수의 차수판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폴딩형 차수벽을 아치형으로 펼친 후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를 이용하여 폴딩형 차수벽을 일체로 연결 지지한 상태로 하수관로의 바닥 슬라브에 배치하고, 상기 폴딩형 차수벽의 후방 하수관로의 양 측벽 상하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측벽 고정대 및 상기 차수판 서포트의 사이에 다수의 수압 버팀대를 연결 설치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Water blocking device for improving and repairing box-type sewer conduit}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물막이장치를 이용하여 하수박스, 배수박스, 암거 등의 하수관로를 개보수하기 위한 지점의 유수 흐름을 차단하여 편리하게 개보수를 함은 물론 개보수가 끝나면 물막이장치를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오수, 공장 및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수 등의 오염된 하수는 하수도관이나 하수박스를 통해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보내지게 되는데 하수의 배수가 불량할 경우 물이 특정 장소에 고여 주변 환경 및 미관을 해치고 주변 동식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악취가 발생하는 등 각종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로 하수박스, 배수박스, 암거 등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오수와 같이 쓸려 내려온 흙이나 불순물이 서서히 퇴적되어 쌓이며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원활한 배수가 어려워 준설이 필요한 경우나, 하수박스가 노후화되어 개보수가 필요한 경우 흐르는 하수를 막아야 준설 및 개보수가 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초기의 박스형 하수관로의 개보수는 다수개의 마대자루나 벽돌을 쌓아 물길을 막아 수로를 차단하였지만, 이는 특별한 장비 없이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의 체력소모가 크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박스형 하수관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물막이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715332호, 명칭/ 하수관거의 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이 적용된 물막이 바이패스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는 하수관로의 전, 후방 차단지점에 각각 한 쌍의 물막이 차수장치를 삽입 설치하고, 전방의 차단지점에서 하수를 펌핑하여 수조탱크에 저장하며, 수조탱크에 수용된 하수를 이송관을 이용하여 후방 차단지점의 건너편으로 이송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구간을 전체적으로 차수하는 대형 물막이방식으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박스형 하수관로에 설치 및 해체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공기가 지연되어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차수판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폴딩형 차수벽을 아치형으로 펼친 후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를 이용하여 폴딩형 차수벽을 일체로 연결 지지한 상태로 하수관로의 바닥 슬라브에 배치하고, 상기 폴딩형 차수벽의 후방 하수관로의 양 측벽 상하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측벽 고정대 및 상기 차수판 서포트의 사이에 다수의 수압 버팀대를 연결 설치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딩형 차수벽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된 바닥 지수가스켓을 바닥 슬라브에 밀착시켜 폴딩형 차수벽의 후방으로 유수가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형 차수벽의 측단에 일체로 부착된 측벽 지수가스켓을 하수관로의 측벽에 밀착시켜 폴딩형 차수벽의 후방으로 유수가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딩형 차수벽,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 및 한 쌍의 측벽 고정대를 현장에서 신속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는 방법으로 유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박스형 하수관로를 원활하게 개보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보수 후 해체가 용이하여 개보수에 따른 공기를 단축하여 공사비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보수용 물막이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함은 물론 특히 개보수용 물막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폴딩형 차수벽을 접철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성이 매우 용이하고, 이동 및 보관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형 차수벽의 하부 및 측단에 각각 일체로 부착된 바닥 지수가스켓 및 측벽 지수가스켓을 이용하여 폴딩형 차수벽의 후방으로 유수가 유입됨을 효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개보수의 외부요인을 차단하여 개보수를 더욱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의 접철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개보수용 물막이장치의 펼침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형 차수벽을 1차로 접철하는 상태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폴딩형 차수벽을 2차로 접철한 상태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폴딩형 차수벽에 차수판 서포트를 연결 조립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폴딩형 차수벽 및 차수판 서포트의 연결 조립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폴딩형 차수벽 및 차수판 서포트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차수판 서포트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개보수용 물막이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수압 버팀대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배수호스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폴딩형 차수벽(10),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 다수의 수압 버팀대(4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폴딩형 차수벽(10)은, 다수 개(본 발명에서는 4개로 실시됨)의 차수판(11)이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어두운 박스형 하수관로(1) 내에서도 시인성이 용이하도록 형광아크릴과 같은 소재로 제작함이 용이하고, 상기 차수판(11)의 후면 상하에는 차수판 서포트(20)를 끼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서포트 홀더(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차수판(11)의 사이사이에는 각각 다수의 연결시트(13)가 전, 후면에 일체로 접합됨으로써 다수의 차수판(11)은 상호 연결시트(13)를 매개로 일체화 연결됨은 물론 연결시트(13)를 기점으로 중첩되도록 접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연결시트(13)는 플렉시블한 실리콘 등을 소재로 하는 얇은 시트의 형태로서 접힘이나 펼침이 용이하면서도 찢기지 않는 강성을 유지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폴딩형 차수벽(10)을 이용하여 하수박스, 배수박스, 암거 등과 같은 박스형 하수관로(1)를 개보수하기 위해서는 폴딩형 차수벽(10)을 도 9와 같이 아치형으로 펼쳐 박스형 하수관로(1)에 배치함으로써 박스형 하수관로(1)를 막아준 후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를 각각의 차수판(11)에 형성된 다수의 서포트 홀더(12)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결합하면 다수의 차수판(11)은 일체로 연결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폴딩형 차수벽(10)은 수압을 덜 받는 아치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다수의 차수판(11) 및 다수의 연결시트(13) 하부에는 도 2와 같이 전후 양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바닥 지수가스켓(14)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 지수가스켓(14)은 바닥 슬라브(2)에 밀착되면서 지수력을 발휘함으로써 차수판(11) 및 바닥 슬라브(2) 간의 틈새를 통해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으로 유수가 유입됨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더욱 원활한 개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박스형 하수관로(1)의 양 측벽(3)에 인접하는 한 쌍의 차수판(11) 측단에는 전후 양면에 부착되는 측벽 지수가스켓(15)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측벽 지수가스켓(15)은 박스형 하수관로(1)의 측벽(3)에 밀착되면서 지수력을 발휘함으로써 차수판(11) 및 측벽(3) 간의 틈새를 통해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으로 유수가 유입됨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더욱 원활한 개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 상하에는 상기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와 동일한 높이로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가 각각 박스형 하수관로(1)의 양 측벽(3)에 고정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는 길이 가변이 자유로워 박스형 하수관로(1)의 규격에 관계없이 측벽(3)에 원활하게 가압 고정되는 기술이 유기적으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는 도 10과 같이 아우터 파이프(31) 및 아우터 파이프(31)의 타측에 삽입되는 이너 파이프(3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아우터 파이프(31) 및 아우터 파이프(31)는 나사결합됨으로써 회전조작에 따라 상호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양측 선단에는 각각 박스형 하수관로(1)의 양 측벽(3)에 가압 고정되는 가압 고정고무(33)가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는 측벽(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 및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의 사이에는 수압으로부터 폴딩형 차수벽(10)이 밀리지 않고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수압 버팀대(40)가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수압 버팀대(40)는 왼 나사봉(41) 및 오른 나사봉(42)의 외측에 신축 조절구(43)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왼 나사봉(41) 및 오른 나사봉(42)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회전방지 사각돌기(44)는 차수판 서포트(20)의 후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회전방지 사각홀(22) 및 측벽 고정대(30)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회전방지 사각홀더(35)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왼 나사봉(41) 및 오른 나사봉(42)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차수판 서포트(20) 및 측벽 고정대(30)와 상호 일체성을 유지하여 수압에도 폴딩형 차수벽(10)은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버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신축 조절구(43)의 회전조작에 따라 왼 나사봉(41) 및 오른 나사봉(42)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 및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 상호 간의 간격에 맞추어 자유롭게 신축됨으로써 차수판 서포트(20) 및 측벽 고정대(30)의 사이에 간편하게 조립하여 일체화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폴딩형 차수벽(10),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 및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를 현장에서 신속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유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박스형 하수관로(1)를 더욱 원활하게 개보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보수 후 해체가 용이하여 개보수에 따른 공기를 단축하고, 전체적인 공사비를 대폭 절감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박스형 하수관로(1)를 물막이한 후 개보수가 끝나면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 및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를 철거하고, 폴딩형 차수벽(10)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양측 한 쌍의 차수판(11)을 중앙으로 모이도록 연결시트(13)를 기점으로 1차로 접철한 후 2장으로 중첩된 차수판(11)을 2차로 접철하면 4장의 폴딩 차수판(10)은 상호 근접하도록 접철됨으로써 미사용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성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다른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며, 점유면적이 작아 보관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형 차수벽(10)에 의해 물막이 됨으로써 저수된 물의 수위가 올라가면서 월류 됨을 방지하는 기술이 유기적으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다수의 차수판(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차수판(11) 하측에 도 11과 같이 전후를 관통하여 배수호스(50)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에는 일측 측벽(3)에 인접하여 수위 조절받침(52)이 놓이며, 배수호스(50)는 수위 조절받침(52)에 받쳐진다.
따라서 폴딩형 차수벽(10)에 의해 저수된 물은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 일측 측벽(3)에 인접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배수함으로써 물 넘침을 방지하여 개보수를 위한 지점으로 물이 유입됨을 차단하고, 특히 상기 수위 조절받침(52)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배수호스(50)의 배출구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폴딩형 차수벽(10)에 의해 저수된 물의 수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 박스형 하수관로 2: 바닥 슬라브
3: 측벽 10: 폴딩형 차수벽
11: 차수판 12: 서포트 홀더
13: 연결시트 14: 바닥 지수가스켓
15: 측벽 지수가스켓 20: 차수판 서포트
22: 회전방지 사각홀 30: 측벽 고정대
31: 아우터 파이프 32: 이너 파이프
33: 가압 고정고무 35: 회전방지 사각홀더
40: 수압 버팀대 41: 왼 나사봉
42: 오른 나사봉 43: 신축 조절구
44: 회전방지 회전돌기 50: 배수호스
52: 수위조절 받침

Claims (7)

  1.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차수판(11)과, 상기 차수판(11)의 사이사이에 일체로 접합되어 다수의 차수판(11)을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시트(13)를 포함하는 폴딩형 차수벽(10)과;
    상기 폴딩형 차수벽(10)을 아치형으로 펼쳐 박스형 하수관로(1)의 바닥 슬라브(2)에 배치하여 박스형 하수관로(1)를 막아준 후 각각의 차수판(11) 후면 상하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서포트 홀더(12)를 관통 결합하여 다수의 차수판(11)을 일체로 연결 지지하는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와;
    상기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 상하에 각각 박스형 하수관로(1)의 양 측벽(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와;
    상기 한 쌍의 차수판 서포트(20) 및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다수의 수압 버팀대(4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폴딩형 차수벽(10)은 미사용시 양측 한 쌍의 차수판(11)을 중앙으로 모이도록 연결시트(13)를 기점으로 1차로 접철한 후 2장으로 중첩된 차수판(11)을 2차로 접철하는 방법으로 4장의 폴딩 차수판(10)을 상호 근접하도록 접철하여 부피를 줄이고;
    상기 한 쌍의 측벽 고정대(30)는, 아우터 파이프(31) 및 아우터 파이프(31)의 타측에 삽입되는 이너 파이프(32)가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31) 및 이너 파이프(32)의 선단에는 각각 가압 고정고무(33)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수압 버팀대(40)는 왼 나사봉(41) 및 오른 나사봉(42)의 외측에 신축 조절구(43)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왼 나사봉(41) 및 오른 나사봉(42)의 선단에 형성된 회전방지 사각돌기(44)는 각각 차수판 서포트(20)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방지 사각홀(22) 및 측벽 고정대(30)의 전면에 형성된 회전방지 사각홀더(35)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차수판(11) 하측에는 전후를 관통하여 배수호스(50)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배수호스(50)는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 바닥 슬라브(2)에 놓이는 수위 조절받침(52)에 받쳐진 상태에서 폴딩형 차수벽(10)에 의해 저수된 물을 일측 측벽(3)에 인접하는 위치로 배수하여 물 넘침을 방지하며, 상기 수위 조절받침(52)의 높이에 따라 폴딩형 차수벽(10)에 의해 저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차수판(11) 및 다수의 연결시트(13) 하부에는 전후 양면에 부착되는 바닥 지수가스켓(14)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 지수가스켓(14)은 바닥 슬라브(2)에 밀착되면서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으로 유수가 유입됨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하수관로(1)의 양 측벽(3)에 인접하는 한 쌍의 차수판(11) 측단에는 전후 양면에 부착되는 측벽 지수가스켓(15)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측벽 지수가스켓(15)은 박스형 하수관로(1)의 측벽(3)에 밀착되면서 폴딩형 차수벽(10)의 후방으로 유수가 유입됨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45100A 2022-04-12 2022-04-12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KR10247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00A KR102472987B1 (ko) 2022-04-12 2022-04-12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00A KR102472987B1 (ko) 2022-04-12 2022-04-12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987B1 true KR102472987B1 (ko) 2022-12-01

Family

ID=8444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100A KR102472987B1 (ko) 2022-04-12 2022-04-12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31896A (zh) * 2023-12-11 2024-01-23 盛晓鑫 一种水利工程挡水施工止水防渗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55Y1 (ko) * 1994-12-15 1999-06-15 이상순 발코니 난간 거푸집 고정 지지대 구조
KR100886787B1 (ko) * 2008-11-27 2009-03-04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암거 차수공법 및 장치
KR101279504B1 (ko) * 2012-11-30 2013-06-28 (주)알파에코 하수관거 유지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시스템 및 그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
KR101842859B1 (ko) * 2017-09-07 2018-03-28 주식회사 더아림 바이패스용 개구부를 가진 차집관거 물막이벽,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물돌리기 공법
KR20210037417A (ko) * 2019-09-27 2021-04-06 (주)한국알앤디 하수 사각형거용 물막이 장치, 하수 사각형거용 물돌리기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 사각형거 바닥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55Y1 (ko) * 1994-12-15 1999-06-15 이상순 발코니 난간 거푸집 고정 지지대 구조
KR100886787B1 (ko) * 2008-11-27 2009-03-04 봉화토건 합자회사 하수암거 차수공법 및 장치
KR101279504B1 (ko) * 2012-11-30 2013-06-28 (주)알파에코 하수관거 유지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시스템 및 그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
KR101842859B1 (ko) * 2017-09-07 2018-03-28 주식회사 더아림 바이패스용 개구부를 가진 차집관거 물막이벽,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물돌리기 공법
KR20210037417A (ko) * 2019-09-27 2021-04-06 (주)한국알앤디 하수 사각형거용 물막이 장치, 하수 사각형거용 물돌리기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하수 사각형거 바닥 보수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31896A (zh) * 2023-12-11 2024-01-23 盛晓鑫 一种水利工程挡水施工止水防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987B1 (ko) 박스형 하수관로 개보수용 물막이장치
KR101279504B1 (ko) 하수관거 유지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시스템 및 그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
KR101420854B1 (ko) 차집 관거 차수 장치 및 공법
KR101537035B1 (ko) 이중관 구조의 방음공기층과 슬라이딩 지수결합부를 갖는 배관파이프와 배관결합부속과 부분오픈형 배관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세대슬랩 부분매립형 오,배수관 배관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CN104775484A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及建筑的给排水系统
CN205549702U (zh) 一种装配式三级沉淀池
CN204510742U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给排水系统和卫浴室
CN104746592A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及建筑的给排水系统
CN204626541U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及建筑的给排水系统
CN209636932U (zh) 加固地下排水方沟的预制管片结构
JP5622113B2 (ja) ポンプユニット
CN204626537U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及建筑的给排水系统
CN204491738U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及建筑的给排水系统
CN204645171U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及建筑的给排水系统
CN220335961U (zh) 一种信息化地下管廊防水结构
KR20150075740A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CN212641095U (zh) 一种一体化过水槽式道路侧石
CN104727529A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给排水系统和卫浴室
JP4617413B2 (ja) 排水接続管
JP4611662B2 (ja) 真空弁ユニット
CN211898796U (zh) 一种园林建设施工临时排水结构
JP5597742B1 (ja) 人孔内の仮設水路装置および仮設水路設置方法
CN214005823U (zh) 一种市政工程用水流抽送装置
CN214784506U (zh) 一种海绵城市排水管道
CN210315895U (zh) 一种水利工程密闭性排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