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522B1 -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522B1
KR102472522B1 KR1020210143467A KR20210143467A KR102472522B1 KR 102472522 B1 KR102472522 B1 KR 102472522B1 KR 1020210143467 A KR1020210143467 A KR 1020210143467A KR 20210143467 A KR20210143467 A KR 20210143467A KR 102472522 B1 KR102472522 B1 KR 10247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cpr
terminal
user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017A (ko
Inventor
정목
허웅
올리비에 파스칼 메르쉐
류성진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Priority to KR102021014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5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Bioeth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은, 심폐소생술을 실습하기 위한 훈련장치; 상기 훈련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훈련장치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클라이언트가 직접 편집 가능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CLIENT CUSTOMIZED CPR SYSTEM}
아래의 실시 예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이란 심폐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심폐기능을 회복시켜 소생시키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상태로부터 회복하는 데에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폐소생술은 그 대상이 성인, 소아 또는 영아인지에 따라 방법이 달라진다. 따라서, 각 대상별로 심폐소생술을 미리 숙지하고 익혀두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심폐소생술 교육은 디스플레이 교육이나 책자 등의 2차원적인 교육을 통해 실시되기 때문에, 피교육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직접 실습해볼 수 있는 훈련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훈련장치와 단말기를 연동하여, 단말기를 통해 실습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실습 동작에 대한 결과를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아울러,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나라마다 또는 병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동일한 훈련장치를 이용하더라도 각 클라이언트가 심폐소생술 훈련 프로그램을 직접 디자인하고 편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훈련장치, 단말기 및 서버가 서로 연동되는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직접 구성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심폐소생술 실습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심폐소생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은, 심폐소생술을 실습하기 위한 훈련장치; 상기 훈련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훈련장치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클라이언트가 직접 편집 가능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별로 클라이언트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로 상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할 화면을 편집하고, 편집된 화면은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로 로그인된 상기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목, 사진, 동영상 및 훈련 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훈련 프로그램의 훈련 제목, 훈련 타입, 피드백 타입, 오토 스탑,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 구조 인공호흡 여부, 인증서 발급 여부, 표시 아이콘, 표시 개수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평가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평가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평가 결과에 따른 인증서를 발급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인증서에 나타나는 항목을 편집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메인 인스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인 인스턴스와 통신하되, 상기 메인 인스턴스가 다운된 경우 상기 보조 인스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복수 개의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 개의 인스턴스 중 반응속도가 가장 높은 인스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별로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상기 훈련장치를 이용하면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로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 별로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에 대한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상기 통계에 표시되는 항목을 편집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훈련장치 별 사용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는, 흉부 압박 깊이, 흉부 압박 속도, 흉부 압박 위치 및 인공 호흡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은, 훈련장치, 단말기 및 서버가 서로 연동되어 실습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인증서 항목 및 통계 항목 등을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은, 복수 개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통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훈련 프로그램을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훈련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훈련장치 별 사용 통계 화면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복수 인스턴스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1)은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수행 동작을 기록 및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U)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U)에게 효율적인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U)란, 훈련장치(11)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직접 실습하는 개개인의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시스템(1)은 클라이언트(C)가 원하는 기능 및 항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C)에 의해 맞춤형으로 편집 가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란, 심폐소생술 시스템(1)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는 병원, 소방서, 관공서, 기업 및 학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1)은 훈련장치(11), 단말기(12) 및 서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훈련장치(11)는 사용자(U)가 심폐소생술을 실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훈련장치(11)는 사용자(U)가 실제 상황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인체와 유사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장치(11)는 인간의 표준 체형에 따른 외형을 가질 수 있다. 훈련장치(11)는 성인용, 소아용 및 영아용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각각 성인, 소아 및 영아의 외형을 가진 마네킹을 포함할 수 있다. 훈련장치(11)는 심폐소생술의 일련의 동작, 예를 들어, 흉부압박, 기도확보, 인공호흡 등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12)는 훈련장치(11)와 통신 가능한 별도 장치일 수 있다. 단말기(12)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사용자(U)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2)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및 스마트워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12)는 복수 개의 훈련장치(11)와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서버(13)는 단말기(12)와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는 복수 개의 단말기(12)와 개별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서버(13)는 단말기(12)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분석하는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는 클라이언트(C)에게 관리자 페이지(130)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페이지(130)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서버(13)는 클라이언트(C) 별로 고유의 클라이언트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클라이언트 아이디로 관리자 페이지(130)에 접속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에서 단말기(12)에 표시될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 편집된 화면은 클라이언트 아이디로 로그인된 단말기(12)에 표시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C)는 고유의 클라이언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서버(13)의 관리자 페이지(130)에서 단말기(12)에 표시할 화면을 직접 편집하고, 단말기(12)에서 해당 클라이언트 아이디로 로그인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직접 편집한 화면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클라이언트(C) 별로 고유한 단말기(12)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기(12)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목, 사진, 동영상 및 훈련 프로그램(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를 통해 단말기(12)의 화면에 표시될 제목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를 통해 단말기(12)의 화면 표시될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는 해당 클라이언트(C)를 소개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나, 심폐소생술 훈련을 안내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 단말기(1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훈련 프로그램을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훈련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를 통해 단말기(12)에 표시될 훈련 프로그램(21)을 편집할 수 있다. 훈련 프로그램(21)은, 클라이언트(C)가 미리 구성한 심폐소생술 훈련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훈련장치(11)의 타입(22) 별로 훈련 프로그램(21)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훈련장치(11)의 타입(22) 별 훈련 프로그램(21)은, 단말기(12)에 연결된 훈련장치의 타입(22)에 대응되게 단말기(12)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용 훈련장치(11)가 단말기(12)에 연결되면 단말기(12)의 화면에는 성인용 훈련 프로그램(21)이 표시될 수 있으며, 영아용 훈련장치(11)가 단말기(12) 연결되면 영아용 훈련 프로그램(21)이 표시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훈련장치(11)의 타입(22) 별로 제목(23)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훈련장치(11)의 타입(22) 별 제목(23)은, 단말기(12)에 연결된 훈련장치의 타입(22)에 대응되게 단말기(12)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를 통해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세부적인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훈련 제목(211), 훈련 타입(212), 피드백 타입(213), 오토 스탑(214),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215), 구조 인공호흡 여부(216), 인증서 발급 여부(217), 표시 아이콘(218), 표시 개수(219) 및 표시 위치(2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 가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훈련 제목(211) 및 표시 아이콘(218)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아이콘(218)은 예를 들어, 심폐소생술, 흉부압박, 인공호흡 및 인증서 등 다양한 항목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훈련 제목(211) 및 표시 아이콘(218)은 단말기(12)의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U)는 단말기(12)에 표시된 훈련 제목(211) 및 표시 아이콘(218)을 통해 훈련 프로그램(21)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훈련 타입(212)을 설정할 수 있다. 훈련 타입(212)은 심폐소생술 훈련, 흉부압박 훈련 및 인공호흡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피드백 타입(213)을 설정할 수 있다. 피드백 타입(213)은 그래프 타입 및 타이머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오토 스탑(214)을 설정할 수 있다. 오토 스탑(214)은 일정 동작 또는 일정 시간 이후 훈련이 자동으로 종료되는 기능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오토 스탑(214)의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오토 스탑(214)을 적용하는 경우, 종료 사이클, 종료 압박수, 종료 인공호흡수 및 종료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215)을 설정할 수 있다.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215)은 30:2, 15:2 및 3: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C)는 해당 클라이언트 심폐소생술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215)을 설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구조 인공호흡 여부(216)를 설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인증서 발급 여부(217)를 설정할 수 있다. 인증서는 사용자(U)가 해당 훈련 프로그램(21)을 기준에 맞게 수행하였을 때 발급되는 증서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각 훈련 프로그램(21)의 표시 개수(219) 및 표시 위치(210)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는 블록을 드래그하여 훈련 프로그램(21)의 위치를 재정렬할 수 있으며, 표시 개수(219)를 조절하여 원하는 개수만큼의 훈련 프로그램(21)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클라이언트(C)가 자율적으로 단말기(12)에 표시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C)마다 개별적인 훈련 프로그램(21)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심폐소생술 시스템(1)을 이용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C)가 자신만의 훈련 프로그램(21)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C)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 프로토콜이 상이한 클라이언트(C)라고 할지라도 개별적으로 훈련 프로그램(21)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심폐소생술 시스템(1)의 범용성 및 유지보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에서 사용자(U) 별로 사용자 계정(51)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는 사용자 계정(51)을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51)은 사용자(U) 별로 생성되는 고유의 계정일 수 있다. 사용자 계정(51)은 사용자(U)의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U)는 단말기(12)에서 사용자 계정(51)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C)가 단말기(12)에 클라이언트 아이디로 로그인을 해두면, 사용자(U)가 단말기(12)에 사용자 계정(51)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U)가 단말기(12)에 본인의 사용자 계정(51)으로 로그인하고 훈련장치(11)를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하면,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가 서버(13)에 전송될 수 있다. 서버(13)는 전송받은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를 사용자(U) 별로 기록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3)는 사용자(U) 별로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에 대한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에서 사용자(U) 별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에 대한 통계에 표시되는 항목을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 별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에 대한 통계에는, 사용자 정보, 훈련장치 타입, 흉부 압박 깊이, 흉부 압박 속도, 흉부 압박 위치, 인공 호흡량, 훈련 회수, 훈련 기간, 훈련 시간 및 평가 결과 등에 대한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통계는 그래프 또는 차트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훈련이 진행되면, 훈련장치(11)는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2)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흉부 압박 깊이, 흉부 압박 속도, 흉부 압박 위치 및 인공 호흡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훈련이 진행되는 동안, 단말기(12)는 훈련장치(11)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2)는 훈련장치(11)에 수행되는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U)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U)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심폐소생술 동작 정보를 단말기(12)를 통해 모니터링함으로써, 심폐소생술 동작을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훈련이 종료되면, 단말기(12)는 저장해둔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서버(13)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기(12)는 심폐소생술 훈련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훈련장치(11)와 통신하고, 심폐소생술 훈련이 종료되면 서버(13)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신 간섭을 줄여 시스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버(13)는 전송받은 사용자(U)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서버(13)는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13)는 산출된 평가 결과를 단말기(12)로 전송하고, 단말기(12)는 전송받은 평가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U)는 단말기(12)에 표시된 평가 결과를 통해 심폐소생술 동작을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동작을 단말기(12)가 아닌 서버(13)에서 수행하게 되면, 시스템 관리자는 평가 알고리즘을 서버(13)에 업데이트 함으로써 일괄 관리할 수 있다. 즉, 평가 알고리즘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 개별 단말기(12)가 아닌 서버(13)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일괄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시스템 관리 부담을 줄이고 관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12)는 평가 결과에 따른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결과가 일정 기준을 만족한 경우에, 단말기(12)는 사용자(U)가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하였다는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인증서는 사용자 계정(51)에 저장된 이메일로 발송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인증서를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C)는 관리자 페이지(130)에서 인증서 나타나는 항목을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C)는 인증서 제목(61), 인증서 내용(62), 첨부 이미지(63), 인증 기간(64), 인증 번호(65) 및 인증 날짜(66) 등을 편집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관리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훈련장치 별 사용 통계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3)는 관리자 페이지(130)에서 훈련장치(11) 별 사용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3)는 훈련장치(11)의 사용 기록을 저장하고, 통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는 월별 또는 년도별로 훈련장치(11)의 각 타입의 사용 회수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는 훈련장치(11) 별 사용 통계를 확인하여, 훈련장치(11)의 타입 별 수요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8 및 도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스템의 서버의 복수 인스턴스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3)는 단말기(12)와 통신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3)는 메인 인스턴스(131)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인스턴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2)는 기본적으로 메인 인스턴스(131)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메인 인스턴스(131)가 다운된 경우, 단말기(12)는 보조 인스턴스(132)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인과 보조를 분리하여 서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3)는 복수 개의 인스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2)는 복수 개의 인스턴스(133) 중 반응속도가 가장 높은 인스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트래픽 집중을 방지하여 서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심폐소생술 시스템
11: 훈련장치
12: 단말기
13: 서버

Claims (14)

  1. 클라이언트는 심폐소생술 교육자이고, 사용자는 심폐소생술 피교육자인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에 있어서,
    심폐소생술을 실습하기 위한 훈련장치;
    상기 훈련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훈련장치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화면의 구성을 클라이언트가 직접 편집 가능한 관리자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은 제목,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별로 클라이언트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로 상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할 화면의 구성을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 표시할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고, 설계된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편집된 화면의 구성은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된 상기 단말기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고유한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별로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는 심폐소생술 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된 상기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설계한 훈련 프로그램으로 심폐소생술 훈련을 실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는 상기 서버에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훈련 프로그램의 훈련 제목, 훈련 타입, 피드백 타입, 오토 스탑,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 구조 인공호흡 여부, 인증서 발급 여부, 표시 아이콘, 표시 개수 및 표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평가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평가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 평가 결과에 따른 인증서를 발급 가능한,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인증서에 나타나는 항목을 편집 가능한,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메인 인스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인 인스턴스와 통신하되, 상기 메인 인스턴스가 다운된 경우 상기 보조 인스턴스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 개의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 개의 인스턴스 중 반응속도가 가장 높은 인스턴스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별로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 별로 심폐소생술 훈련 정보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상기 통계에 표시되는 항목을 편집 가능한,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훈련장치 별 사용 통계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한 정보는, 흉부 압박 깊이, 흉부 압박 속도, 흉부 압박 위치 및 인공 호흡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143467A 2020-07-06 2021-10-26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KR102472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467A KR102472522B1 (ko) 2020-07-06 2021-10-26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91 2020-07-06
KR1020210143467A KR102472522B1 (ko) 2020-07-06 2021-10-26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691 Division 2020-07-06 2020-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017A KR20220006017A (ko) 2022-01-14
KR102472522B1 true KR102472522B1 (ko) 2022-12-02

Family

ID=7934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467A KR102472522B1 (ko) 2020-07-06 2021-10-26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81120B2 (ko)
KR (1) KR102472522B1 (ko)
WO (1) WO2022010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4125B (zh) * 2022-01-22 2024-02-02 郑州市中心医院 一种心肺复苏机智能监控系统与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6151B2 (ja) * 2014-07-03 2020-03-04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099460B1 (ko) * 2019-10-25 2020-04-09 김병수 저장매체에 저장된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자가 호흡 검진 및 훈련 어플리케이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273A (ko) 2004-12-24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 설정 장치 및 방법
US10002539B2 (en) * 2006-11-27 2018-06-19 Kbpor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recording and playback of video audio and data inputs
US20160328998A1 (en) * 2008-03-17 2016-11-10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Virtual interactive system for ultrasound training
KR20100078493A (ko)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큐오시스템즈 웹사이트 기반의 세일즈 통계 분석 및 산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232868B1 (ko) * 2011-02-16 2013-02-15 주식회사 비티 교육 프로그램이 내장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KR101740110B1 (ko) 2015-01-28 2017-06-08 주식회사 아이엠랩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996354B1 (ko) 2017-08-11 2019-10-0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6151B2 (ja) * 2014-07-03 2020-03-04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099460B1 (ko) * 2019-10-25 2020-04-09 김병수 저장매체에 저장된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자가 호흡 검진 및 훈련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45593A1 (en) 2023-08-03
KR20220006017A (ko) 2022-01-14
WO2022010176A1 (ko) 2022-01-13
US11881120B2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8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ask time estimation and scheduling
US111448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ac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and establishing live network connections
WO2010053591A2 (en) Remote observ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2472522B1 (ko) 클라이언트 맞춤형 심폐소생술 시스템
KR20200097637A (ko) 시뮬레이션 모래상자 시스템
US1004959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mpetency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ptimization
Grogan-Johnson The five W's meet the three R's: The who, what, when, where, and why of telepractice service delivery for school-based speech-language therapy services
KR101740110B1 (ko)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EP40642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raining scheme
CA2480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based online interview training
US20210264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Bayley et al. Impact of ambulance crew configuration on simulated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CN113409624A (zh) 一种基于ar增强现实技术的心肺复苏训练系统
JP2005106836A (ja) 医療教育システム
Plichta et al. Cyber bullying versus self-image creation on the internet: Are the underlying mechanisms different in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Ryba-White et al. Integrating telemedicine into sleep medicine: a learner’s perspective
Park et al. Development and Effect of a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Using Standardized Patients
CN113099159A (zh) 一种远程会议的控制方法及装置
Liu et al.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Elderly Relatives for an Elderly Care Facility Based on Internet Application
Picou et al. Standardized patients: Potential to improve student training in aural rehabilitation
Bizoń et al. VIRCO: A virtual reality tool for long-term training and evaluation of the cognitive skills development in an interactive sensory substitution environment
JP2020201789A (ja) サービス予約管理システム
Seymour Chest Compression Fraction Time: Implementing Recommended Guideline
Sefcik et al. Nursing, kinesiology, and psychology collaboration in HIV research: interprofessional perspectives
Forsyth et al. Scholarship of practice in the care of people with dementia: Creating the future through collaborative eff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