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83B1 -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83B1
KR102472383B1 KR1020200141316A KR20200141316A KR102472383B1 KR 102472383 B1 KR102472383 B1 KR 102472383B1 KR 1020200141316 A KR1020200141316 A KR 1020200141316A KR 20200141316 A KR20200141316 A KR 20200141316A KR 102472383 B1 KR102472383 B1 KR 10247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resin
lighting
package body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595A (ko
Inventor
최명호
Original Assignee
최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호 filed Critical 최명호
Priority to KR102020014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10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3/063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09K11/025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non-luminescent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부 또는 조명커버 표면에 특정한 축광 안료 및 향료를 포함하는 축광층을 구비하여 조명기구가 갖는 디자인적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컬러테라피 또는 라이트테라피와 같은 정서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천연에서 유래되는 오일을 온도에 따라 장시간 방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LIGHTING DEVICE USING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이후 인간의 주 활동 공간이 실외에서 실내로 바뀌게 되면서 조명은 우리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을 조명시켜 주기 위한 조명기구의 램프로서 현재까지도 백열전구나 형광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근래에는 형광등보다 더 밝고 수명이 긴 것을 물론 눈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는 삼파장 전구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빛을 내는 형광등, 전구 등의 광원과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광원을 은폐하면서 빛이 투과광 형태로 전파되게 하면서 외관이 미려하도록 부착된다.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지금까지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기능적 요소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의 장식적 요소로만 파악되어 왔으나, 근래에 있어 감성공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한 감성 조명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감성 조명들에 관한 연구 중 인간의 감정이나 상황을 대입시키기 위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고, 단순히 공간이나 시간과 관련한 통상적인 정보에 맞춘 감성 조명의 조절이나 주변 감성과 관련한 요소와 같은 하위 정보를 통한 조명의 조절에 대해서만 다루어져 한계가 있다.
또한, 근래에는 "웰빙" 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택에도 이러한 개념이 도입되고 있는 바, 종래에 단순히 조명 및 디자인 개념에서만 접근하던 조명기구에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개발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결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197848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398호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기구가 갖는 디자인적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컬러테라피 또는 라이트테라피와 같은 정서적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성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패키지 바디와 상기 패키지 바디에 실장된 엘이디 칩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되는 조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패키지 바디 및 조명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축광층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축광층은 패키지 바디에 실장된 엘이디 칩의 옆면을 둘러싸도록 인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조명커버의 내측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층은 축광 안료, 향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광 안료는 ZnSCu, ZnSCl, Al2O3MgO, Al2O3CaOS4OB2O3, CaAl2O4 및 Y2O2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 안료 중 Al2O3MgO, Al2O3CaOS4OB2O3, CaAl2O4 및 Y2O2S은 스칸듐(Sc), 이트륨(Y) 및 란탄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티움(Pm), 사마리움(Sm), 유로피움(Eu), 가돌리늄(Gd), 터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리움(Tm), 이터븀(Yb) 및 레테튬(L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희토류 원소가 도핑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축광 안료는 실란 화합물로 코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에 감응하여 40℃ 이상의 온도에서 휘발하는 천연 오일일 수 있으며, 감귤, 오렌지, 만다린, 탄제린, 베르가모트, 자스민, 장미, 케모마일, 페퍼민트, 타임, 라벤더 및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료로부터 유래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바인더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페놀(PF) 수지, ABS 수지, PVC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틴렌(PF) 수지, 폴리스틸렌(PS)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성물은 40℃ 초과의 온도에서 감응하는 시온 잉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부 또는 조명커버 표면에 축광층을 구비하여 조명기구가 갖는 디자인적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컬러테라피 또는 라이트테라피와 같은 정서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라 구현되는 구현되는 축광층의 색상을 변화시킴과 동시에 천연에서 유래되는 오일을 장시간에 거쳐 방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효과 및 추가적 효과에 대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a) 조명커버가 광원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를 갖되 축광층이 패키지 바디에 인쇄된 경우,
(b) 조명커버가 광원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를 갖되 축광층이 조명커버에 인쇄된 경우, 및
(c) 조명커버가 광원부를 덮는 구조를 갖되 축광층이 조명커버에 인쇄된 경우.
도 2는 축광층이 인쇄된 패키지 바디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축광층이 인쇄된 패키지 바디의 표면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는 축광층이 인쇄된 조명커버의 표면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또는" 또는 "및"의 사용은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및/또는"을 의미한다. 게다가, "동반하는"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동반하다" 및 "동반되는"의 사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섹션의 제목은 단지 체계화하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대상 물질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조명장치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패키지 바디와 상기 패키지 바디에 실장된 엘이디 칩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되는 조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패키지 바디 및 조명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축광층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00)는 패키지 바디(111)에 실장된 엘이디 칩(112)을 포함하는 광원부(110)와 상기 광원부(110) 상에 배치되는 조명커버(120)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110)의 패키지 바디(111) 및 조명커버(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축광층(131 및 132)이 인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110)는 패키지 바디(111)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바디(111) 표면에는 엘이디 칩(112)이 실장되어 빛을 발산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광원부(110)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상 형태(도 1 (a) 또는 (b))를 갖거나, 또는 광원부(110) 전체 표면을 덮는 덮개 형태(도 1(c))를 갖는 조명커버(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원부(110)를 구성하는 패키지 바디(111) 및 엘이디 칩(112)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엘이디 칩(112)은 소광 시 구현되는 무늬 및/또는 인쇄 모양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패키지 바디(111)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110)의 패키지 바디(111) 표면에는 축광층(131)이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광층(131)은 엘이디 칩(112)의 옆면을 둘러싸면서, 엘이디 칩(112) 표면에는 인쇄되지 않는 구조, 구체적으로 엘이디 칩(112)에 있어서 패키지 바디(111)와 평행한 면에 축광층(131)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광이란 빛을 잠시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빛 에너지가 어두운 암전 상태에서 발광하는 것을 말하는데, 상기 축광층(131)은 이러한 축광 성질을 이용한 층으로, 패키지 바디(111)에 실장된 엘이디 칩(112)이 빛을 발산하는 경우 발산된 빛을 축적하였다가, 암전 상태가 되면 축적된 빛 에너지를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축광층(131)은 엘이디 칩(112)의 표면(또는 상부면)에는 인쇄되지 않고, 옆면을 둘러싸도록 인쇄되므로, 조명장치(100)의 사용 시 엘이디 칩(112)의 광량 및 휘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사용 후 유효한 축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축광층(131)이 엘이디 칩(112)의 옆면을 둘러싸도록 인쇄되는 경우 조명 장치(100) 사용 후 엘이디 칩(112)의 형태에 따라 무늬나 디자인이 구현되거나, 엘이디 칩(112)의 형태와 함께 인쇄된 축광층(131)의 형태에 따라 무늬나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광층(131)은 (a) 엘이디 칩(112)의 옆면만 둘러싸는 구조로 인쇄되거나, (b) 엘이디 칩(112)의 상부면을 제외한 패키지 바디(111)의 전면에 인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c) 엘이디 칩(112)의 옆면을 둘러싸면서 패키지 바디(111)의 남은 표면에 특정 무늬나 디자인이 인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패키지 바디(111)에 인쇄되는 축광층(131)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조명장치(100)의 발광 시 엘이디 칩(112)의 광량 및 휘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소광 시 축광된 광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정서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축광된 광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축광층(132)은 조명커버(120)의 내측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도 4는 엘이디 칩(112)의 발광 시 조명커버(120)의 내측 및 외측 표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커버(120)의 내측 표면에 축광층(132)을 인쇄한 경우, 엘이디 칩(112)의 발광 시에는 축광층(132)이 인쇄된 부분에는 광 투과율이 떨어지므로 축광층(132)이 인쇄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무늬나 디자인에 따라 구현되고, 엘이디 칩(113)의 소광 시 축광층(132)의 발광으로 인해 축광층(132)이 인쇄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무늬나 디자인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축광층(131 및 132)은 패키지 바디(111)와 조명커버(120)의 내측 표면에 동시에 인쇄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엘이디 칩(112)의 광량 및 휘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패키지 바디(111)에 인쇄된 축광층(131)의 면적이 조명커버(120)에 인쇄된 축광층(132)의 면적보다 동일하거나 넓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넓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광층(131 및 132)은 축광 안료, 향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광 안료는 ZnSCu, ZnSCl, Al2O3MgO, Al2O3CaOS4OB2O3, CaAl2O4 및 Y2O2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광 안료는 Al2O3MgO, Al2O3CaOS4OB2O3, CaAl2O4 또는 Y2O2S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축광 안료를 포함하여 높은 잔광 휘도, 잔광 시간 및 내광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특히, Al2O3MgO, Al2O3CaOS4OB2O3, CaAl2O4 또는 Y2O2S를 축광 안료로 사용하는 경우 황화아연계(예컨대, ZnSCu, ZnSCl 등)와 비교하여 암실에서 인식 가능한 잔광시간이 20시간 이상으로 증가되고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엘이디 칩(112)의 발광 시 가시광을 안정적으로 축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 안료 중 Al2O3MgO, Al2O3CaOS4OB2O3, CaAl2O4 및 Y2O2S은 스칸듐(Sc), 이트륨(Y) 및 란탄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티움(Pm), 사마리움(Sm), 유로피움(Eu), 가돌리늄(Gd), 터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리움(Tm), 이터븀(Yb) 및 레테튬(L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희토류 원소가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축광 안료는 희토류 원소가 도핑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다 높은 축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축광 안료는 실란 화합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축광 안료는 분말 상태의 안료를 실란 화합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 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실란 화합물은 아미노실란(다우코닝사의 Z-6121 SILANE 제품), 비닐실란(다우코닝사의 Z-6518 SILANE 제품), 에폭시실란(다우코닝사의 Z-6040 SILANE 제품), 메타크릴실란(다우코닝사의 Z-6030 SILANE 제품), 알킬실란(다우코닝사의 Z-6582 SILANE 제품), 페닐실란(다우코닝사의 Z-5314 SILANE 제품)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축광 안료는 Eu, Dy 및 Y가 도핑된 SrAl2O4 형태(SrAl2O4Eu,Dy,Y)의 안료(평균 입도: 3~150 ㎛)를 메타크릴실란에 침지시킴으로써 표면에 메타크릴실란(평균 두께: 0.05~1 ㎛)층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축광 안료 표면을 실린 화합물로 코팅된 층을 형성함으로써 축광 안료의 열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엘이디 칩의 발광으로 인한 열에 대한 축광 효율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광 안료는 축광층을 구성하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8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축광 안료를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축광 효과가 저감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광학적 투명도를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전원이 차단되면 빛이 사라지면서 어두워지는데, 야간에 취침 등을 위해 조명기구를 끄는 경우 밝은 곳에 익숙해져 있던 눈이 어두운 곳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조명기구를 끈 후 사람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못하여 가구 등에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축광 안료에 의해 잔광 휘도, 잔광 시간 및 내광성 등이 우수한 축광 성능이 발휘되기 때문에 조명기구를 끈 경우에도 잔광에 의해 주변 사물을 쉽게 인식하면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위급상황 시 정전에 관계없이 비상등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원적외선, 음이온을 방출하고 탈취 및 항균 효과를 제공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향료는 온도에 감응하여 발향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는 온도에 감응하여 40℃ 이상의 온도에서 휘발하는 천연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광원부(110)의 엘이디 칩(112)이 발광하는 경우 광원부(110)의 패키지 바디(111)와 조명커버(120)의 온도가 40℃ 이상, 구체적으로는 45℃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이상으로 승온하게 되는데, 상기 천연 오일은 엘이디 칩(112)의 발광 이전에는 발향되지 않다가, 엘이디 칩(112)의 발광으로 패키지 바디(111) 및/또는 조명커버(120)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승온되면 이에 의해 발향되므로, 일반적인 향료와 비교하여 장시간에 걸쳐 은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천연 오일은 감귤, 오렌지, 만다린, 탄제린, 베르가모트, 자스민, 장미, 케모마일, 페퍼민트, 타임, 라벤더 및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료를 30~80℃ 시에서 추출된 천연 에센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40~60℃ 시에서 추출된 베르가모트 에센셜 오일, 자스민 에센셜 오일,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 및 타임 에센셜 오일을 각각 동량(중량 기준)으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것이므로 아로마테라피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인공적으로 제조된 오일을 사용한 경우와 대비하여 발향력이 낮은 한계가 있으므로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향료의 발향 효과를 충분히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향료이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발향력은 우수하나 경제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페놀(PF) 수지, ABS 수지, PVC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틴렌(PF) 수지, 폴리스틸렌(PS)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나 페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들은 경도가 높아 딱딱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하므로 조명장치의 조명커버 소재로 가능하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의 경우 항공기의 풍방유리 소재로 사용되어 조명장치의 커버 소재로 적합하고, 페놀 수지의 경우 전기 절연성을 가지므로 커버로 사용 시 조명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70 중량부; 또는 40 내지 6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축광층의 부착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축광층의 부착력은 향상되나 축광 효과 및 향료의 발향 효과를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상기 조성물은 40℃ 초과의 온도에서 감응하는 시온 잉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온 잉크란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잉크로서, 본 발명에서는 4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색상이 발현되는 잉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온 잉크는 30℃ 이상의 온도에서 색상이 발현되는 2종 이상의 잉크를 혼합하여 4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색상이 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시온 잉크는 30~39℃에서 색상이 변하는 시온 잉크; 51~59℃에서 색상이 변하는 시온 잉크; 및 60~69℃에서 색상이 변하는 시온 잉크가 혼합되어 45.5~49℃에서 1차적으로 색상이 변하고, 55.5~64℃에서 2차적으로 색상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2종 이상의 시온 잉크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온도 조건에 따라 축광층에 구현되는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어 단조로운 디자인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으므로 조명장치의 디자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온 잉크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5 중량부; 또는 8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온 잉크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적은 함량으로 인해 시온 잉크의 색상 발현이 미미하거나, 과량의 시온 잉크로 인해 색상이 과발현되어 축광 효과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패키지 바디와 상기 패키지 바디에 실장된 엘이디 칩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 상에 배치되는 조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패키지 바디 및 조명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축광층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축광층은 축광 안료, 향료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향료는 온도에 감응하여 40℃ 이상의 온도에서 휘발하는 천연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고,
    상기 향료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축광층 조성물은 40℃ 초과의 온도에서 감응하는 시온 잉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온 잉크는 30℃ 이상의 온도에서 색상이 발현되면서 발현 온도 조건이 차이나는 2종 이상의 잉크를 혼합한 것이고,
    상기 시온 잉크는 45.5~49℃에서 1차적으로 색상이 변하고, 55.5~64℃에서 2차적으로 색상이 변하고,
    상기 시온 잉크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축광층은 패키지 바디에 실장된 엘이디 칩의 옆면을 둘러싸도록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축광층은 조명커버의 내측 표면에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축광 안료는 ZnSCu, ZnSCl, Al2O3MgO, Al2O3CaOS4OB2O3, CaAl2O4 및 Y2O2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금속 화합물은 실란 화합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천연 오일은 감귤, 오렌지, 만다린, 탄제린, 베르가모트, 자스민, 장미, 케모마일, 페퍼민트, 타임, 라벤더 및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료로부터 유래되는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polymethylmethacrylate, PMMA), 페놀(PF) 수지, ABS 수지, PVC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틴렌(PF) 수지, 폴리스틸렌(PS)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삭제
KR1020200141316A 2020-10-28 2020-10-28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247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16A KR102472383B1 (ko) 2020-10-28 2020-10-28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16A KR102472383B1 (ko) 2020-10-28 2020-10-28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95A KR20220056595A (ko) 2022-05-06
KR102472383B1 true KR102472383B1 (ko) 2022-12-01

Family

ID=8158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16A KR102472383B1 (ko) 2020-10-28 2020-10-28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839A (ko) 2022-06-09 2023-12-18 미 숙 허 MBTI를 이용한 IoT제어 조명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560B2 (ja) * 1995-11-02 2001-06-11 日本鋼管株式会社 熱間圧延における板厚・板幅制御方法
JP2010165521A (ja) * 2009-01-14 2010-07-29 Nec Lighting Ltd 蛍光ランプ
JP2012129195A (ja) * 2010-12-15 2012-07-0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色変換発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433A (ko) * 2011-03-24 2012-10-05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축광체를 이용한 엘이디 패키지 및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30042978A (ko) * 2011-10-19 2013-04-29 박순자 투광성 커버를 갖는 조명기구
JP3175560U (ja) * 2012-02-28 2012-05-17 茂夫 清水 非常灯を兼用する残光電球及び蛍光灯
KR200469398Y1 (ko) 2012-07-12 2013-11-13 미아전기 주식회사 방습등용 조명등커버 결합구조
KR101978486B1 (ko) 2018-11-02 2019-08-28 (주)엔티전기 엘이디 조명 커버용 친환경 성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560B2 (ja) * 1995-11-02 2001-06-11 日本鋼管株式会社 熱間圧延における板厚・板幅制御方法
JP2010165521A (ja) * 2009-01-14 2010-07-29 Nec Lighting Ltd 蛍光ランプ
JP2012129195A (ja) * 2010-12-15 2012-07-0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色変換発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95A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05286D1 (de) Tageslicht/nacht-leuchtende farbige phosphoreszierende kunststoffzusammensetzungen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stände
US10761250B2 (en) Photo-luminescent visual elements, systems and methods
US9801254B2 (en) Backlit luminous structure with UV coating
JP2009032563A (ja) 発光装置
KR10247238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60127037A (ko) 조명 장치
RU164561U1 (ru) Прозрачная фотолюминесцентная пленка
US20070263377A1 (en) Luminescent lamp shade
AU2003229124B2 (en) Phosphorescent light cover or coating
CN2931656Y (zh) 发光地板
JP6276481B2 (ja) 照明される表面のための発光配置
KR101046373B1 (ko) 원적외선 방출 및 축광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용 커버
CN204977631U (zh) 一种双面夜光反光双用膜
KR100891008B1 (ko) 평판형 조명 장치
KR102631065B1 (ko) 원적외선 방출 및 축광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용 도장형커버
KR20210116942A (ko) 게르마늄 및 원적외선 도료를 포함하는 led 등기구
KR100268605B1 (ko) 야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14801934U (zh) 驱蚊灯
CN2911070Y (zh) 夜光天花板
JP5322246B2 (ja) 発光装置、及び発光シート
CN208638752U (zh) 一种用于指示标识的长余辉发光装置
CN205498213U (zh) 一种新型电控夜光玻璃
JP2000082302A (ja) 蓄光構造体
KR100587989B1 (ko) 야광구슬로 장식한 형광등
CN111253870A (zh) 有颜色的夜光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