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82B1 -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82B1
KR102472382B1 KR1020207036490A KR20207036490A KR102472382B1 KR 102472382 B1 KR102472382 B1 KR 102472382B1 KR 1020207036490 A KR1020207036490 A KR 1020207036490A KR 20207036490 A KR20207036490 A KR 20207036490A KR 102472382 B1 KR102472382 B1 KR 10247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link
terminal device
delete delete
time unit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874A (ko
Inventor
치엔씨 루
훼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는, 다운링크의 시간 유닛과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크기가 불일치한 상황 하의 사이드링크의 데이터 전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6월 29일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출원번호가 201810713184.4이고, 발명의 명칭이 "차량 사물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인용을 통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다.
차량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 기반 차량 대 차량(Long Term Evaluation Vehicle to Vehicle,LTE V2V)의 사이드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로서, 전통적인 LTE 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를 기지국을 통하여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방식과 달리,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단말 대 단말 직접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딜레이를 갖는다.
엔알(New Radio, NR)의 차량 대 기타 장치(Vehicle to Everything, V2X)) 시스템(“NR-V2X”로 약칭)은 자율주행을 지원하여야 하여, 더욱 큰 대역폭, 예를 들면, 몇십 메가 내지 더욱 넓은 대역폭, 또는 더욱 유연한 슬롯 구조를 지원하여야 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NR-V2X의 사이드링크 상에서,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지원하지만, LTE 기반의 V2X 시스템(“LTE-V2X”로 약칭)의 사이드링크 상에서, 단지 한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만 지원하면 된다.
미래의 차량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상에 동시에 LTE-V2X 시스템과 NR-V2X 시스템이 존재할 수 있고, 차량용 단말에 있어서, 동시에 이 두 가지 사이드링크 구조를 지원하여야 하며, 그러면 네트워크 스케줄링 기반의 사이드링크 전송에서, 다운링크의 시간 유닛과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크기가 불일치한 상황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 하에서, 어떻게 사이드링크의 전송 시간을 결정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것인가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바,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여, 사이드링크의 데이터의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바,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바, 해당 단말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xx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4 방면으로, 칩을 제공하는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칩에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해당 칩이 설치된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6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방안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진일보로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다운링크와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크기가 불일치할 때, 단말 장치가 어느 시간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지 알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구조의 예시적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도면.
도 3은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의 일 지시 방식의 예시적 도면.
도 4A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의 다른 일 지시 방식의 예시적 도면.
도 4B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의 또 다른 일 지시 방식의 예시적 도면.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의 예시적 블럭도.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단대단(Device to Device, D2D)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을 기반으로 D2D 통신을 진행하는 차량 사물인터넷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전통적인 LTE 시스템 중의 단말 사이의 통신 데이터를 네트워크(예를 들면, 기지국)를 통하여 수신 또는 송신하는 방식과 달리, 차량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단말 대 단말 직접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딜레이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차량 사물인터넷 시스템이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Time Division Duplex,TDD),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단말 장치일 수도 있고, 또한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의 도면이다. 도 1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 두 개의 단말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나,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는 또한 기타 수량의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관리 실체(Mobile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또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해당 차량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모드3과 모드4를 사용하여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121)와 단말 장치(122)는 D2D 통신 모드를 통하여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D2D 통신을 진행할 때, 단말 장치(121)와 단말 장치(122)가 D2D 링크, 즉 사이드 링크(Sidelink, Sl)를 통하여 직접 통신을 진행한다. 그 중에서, 모드3 중에서, 단말 장치의 전송 자원은 기지국이 할당한 것이고,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할당한 자원에 의하여 SL 상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장치를 위하여 단일 전송의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고, 또한 단말을 위하여 반영속성 전송의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모드4 중에서, 단말 장치는 센싱(sensing) + 유보(reservation)의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단말 장치는 SL 자원 상에서 자주적으로 전송 자원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자원 풀 중에서 모니터링의 방식을 통하여 사용가능한 전송 자원 집합을 취득하고, 단말 장치가 사용가능한 전송 자원 집합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자원을 선택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한다.
D2D 통신은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또는 차량 대 기타 장치(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가리킬 수 있다. V2X 통신에서, X는 무선 수신과 송신 능력을 가진 장치를 총괄하여 가리킬 수 있는바, 예를 들면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무선 장치,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용 장치, 또는 무선 송신/수신 능력을 가진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요하게 V2X 통신의 상황에 적용되나, 어떠한 기타 D2D 통신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기 때문에, 차량 사물인터넷 시스템 중의 다운링크와 사이드링크는 서로 다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하나는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하나는 NR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그렇다면 네트워크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서, 하기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상황1: LTE 시스템 기반의 다운링크가 LTE 시스템 기반의 사이드링크를 스케줄링하며;
상황2: LTE 시스템 기반의 다운링크가 NR 시스템 기반의 사이드링크를 스케줄링하며;
상황3: NR 시스템 기반의 다운링크가 LTE 시스템 기반의 사이드링크를 스케줄링하며;
상황4: NR 시스템 기반의 다운링크가 NR 시스템 기반의 사이드링크를 스케줄링한다.
그렇다면, 뒤의 세 가지 상황에서, 다운링크의 시간 유닛과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크기가 불일치한 상황이 존재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상황2에 있어서, LTE 시스템 기반의 다운링크의 시간 유닛이 서브 프레임 즉 1ms이고, 만일 NR 시스템 기반의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이 0.5ms라면(이때, NR 시스템 기반의 사이드링크의 서브 캐리어 간격은 30kHz), 그렇다면,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은 두 개 사이드링크의 슬롯에 대응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만일 단말 장치가 시간 n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시간 n+4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면, 그 중에서, 시간 n+4는 다운링크 기반의 시간 유닛이고, 이는 두 개 사이드링크의 슬롯에 대응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여야만, 비로소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차량 사물인터넷 중의 단말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100)에는 하기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S210: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며;
S220: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바,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제어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이거나, 또는 또한 기타 다운링크 정보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해당 제1 제어 정보는 단말 장치가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는바, 예를 들면, 해당 제1 제어 정보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진일보로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다운링크와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크기가 불일치할 때, 단말 장치가 어느 시간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지 알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제어 정보를 통하여 직접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거나, 또는 또한 해당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지시 정보를 통하여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으며; 또는 또한 특정된 방식을 통하여 해당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송신 방식을 통하여 암시적으로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제어 정보는 DCI일 수 있고, 해당 제1 제어 정보에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스케줄링 정보에 지시 정보를 포함시켜, 단말 장치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할 수 있고, 해당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은 특정 경계에 대한 인덱스 값일 수 있으므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특정 경계와 해당 인덱스 값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진일보로, 해당 송신 시간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하나의 시간 유닛 오프셋을 지시할 수 있고, 해당 시간 유닛 오프셋은 특정 경계에 대한 시간 유닛 오프셋일 수 있는바, 예를 들면, 만일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이 0.5ms라면, 해당 오프셋은 4ms 또는 4.5ms 등일 수 있으므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특정 경계와 해당 시간 유닛 오프셋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진일보로, 해당 송신 시간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특정 경계 오프셋에 대한 시간 유닛의 수량을 지시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경계 오프셋에 대한 시간 길이, 즉 특정 경계 오프셋에 대하여 얼마나 긴 시간이 되었는지를 지시할 수 있거나, 또는 또한 기타 지시 장식을 사용하여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아래 주요하게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특정 경계에 대한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않으며,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특정 경계에 대한 오프셋을 지시할 때, 유사한 결정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이 포함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운링크의 시간 유닛과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인 바, 예를 들면, 다운링크의 시간 유닛은 슬롯, 서브 프레임 또는 단 전송 시간 간격(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또는 시간 길이를 잴 수 있는 기타 양일 수 있고,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은 슬롯, 서브 프레임 또는 sTTI, 또는 시간 길이를 잴 수 있는 기타 양일 수 있으며, 아래 실시예1~실시예4를 참조하고, 주요하게 서브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1
해당 특정 경계는 무선 프레임 경계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N개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N개 시간 유닛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그렇다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N개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중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을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은 무선 프레임에 포함된 N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인덱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한 사이드링크의 무선 프레임이 10ms이고,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이 0.5ms라면, 즉 20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인덱스 값이 0~19)이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서브 프레임 인덱스는 0~19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일부 상황 하에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인 바,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후, 일정한 처리 시간을 경과하여야만 비로소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진행할 수 있고, 만일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해당 처리 시간 내에 처한다면(상황1로 표시), 해당 시간 유닛이 사용 가능하지 않다고 여기며; 또는 만일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또는 특수 프레임일 수 있다면(상황2로 표시), 예를 들면, 쌍을 이루는 스펙트럼 시스템(예를 들면 FDD) 또는 쌍을 이루지 않는 스펙트럼 시스템(예를 들면 TDD)에서, 이러한 상황도 역시 해당 시간 유닛이 사용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여길 수 있다. 각 무선 프레임 내에 모두 동일한 인덱스 값의 시간 유닛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후의 기타 무선 프레임 내의 사용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을 선택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해당 단말 장치는 첫번째 사용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을 선택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해당 첫번째 사용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은 현재 무선 프레임 후의 제k1번째 무선 프레임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k1은 1 또는 기타 값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부 상황 하에서, 만일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내의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말하면, 만일 현재 무선 프레임 내에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내의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현재 무선 프레임 내에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지 않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후의 제a1번째 사용 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바, a1은 1 또는 기타 값이고, 또는 해당 단말 장치는 또한 현재 무선 프레임 내의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 후의 제b1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바, 선택적으로, b1은 1 또는 기타 값이다.
예를 들면, 한 무선 프레임 P1 내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1에서 DCI를 송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1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에 대응되며,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1+4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8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9에 대응되며, 해당 인덱스 값은 k1이고, 한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 프레임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8 간은 단말 장치의 처리 시간으로 여겨지며, 그렇다면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8의 시퀀스는 하기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상황1: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이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8보다 이르며;
이 상황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이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여길 수 있고, 만일 무선 프레임 P1 후의 무선 프레임이라면, 즉 무선 프레임 P1+ a1 중의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이 사용 가능하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무선 프레임 P1+ a1 중의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 상까지 순연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렇지 않다면 계속하여 순연하며; 또는 해당 단말 장치는 또한 현재 무선 프레임 내의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8 또는 그 후의 제b1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바, 그 중에서, a1은 1 또는 기타 값이고, b1은 1 또는 기타 값이다.
상황2: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이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8이거나, 또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1+8보다 늦으며;
이 상황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이 사용가능한 것으로 여길 수 있고, 그렇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현재 무선 프레임 P1 중의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1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의 무선 프레임은 사이드링크 상의 무선 프레임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2
해당 특정 경계는 무선 프레임 주기 경계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 주기에는 L개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이 포함되며, L은 1보다 큰 정수이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L개 시간 유닛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L개 시간 유닛 중의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은 무선 프레임 주기에 포함된 L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인덱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무선 프레임 주기에 P(예를 들면 1024)개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고, 각 무선 프레임에 Q(예를 들면 10)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이 포함된다면,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인덱스 값이 0~10239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 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고, 또한 두 레벨 인덱스(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 인덱스 값과 서브 프레임 인덱스 값)를 사용하여 한 무선 프레임 주기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 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1과 유사하게, 일부 상황 하에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지 않은 상황이 존재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상기의 상황1과 상황2에 있어서이다. 각 무선 프레임 주기 내에 모두 동일한 인덱스 값의 시간 유닛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후의 기타 무선 프레임 주기 내의 사용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을 선택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해당 단말 장치는 첫번째 사용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을 선택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해당 첫번째 사용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은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후의 제k2번째 무선 프레임 주기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K2는 1 또는 기타 값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상황 하에서, 만일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내의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말하면, 만일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내에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내의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만일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내에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지 않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후의 제a2번째 사용가능한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바, a2는 1 또는 기타 값이고, 또는 해당 단말 장치는 또한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내의 해당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 후의 제b2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바, 선택적으로, b2는 1 또는 기타 값이다.
예를 들면, 한 무선 프레임 주기 C1 내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2에서 DCI를 송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2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에 대응되며,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2+4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8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9에 대응되며, 해당 인덱스 값은 k2이고, 한 무선 프레임 주기 내의 서브 프레임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8 간은 단말 장치의 처리 시간으로 여겨지며, 그렇다면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8의 시퀀스는 하기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상황1: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8보다 이르며;
이 상황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가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여길 수 있고, 만일 무선 프레임 주기 C1 후의 무선 프레임 주기라면, 즉 무선 프레임 주기 C1+ a2 중의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가 사용 가능하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무선 프레임 주기 C1+ a2 중의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 상까지 순연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렇지 않다면 계속하여 순연하며; 또는 해당 단말 장치는 또한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내의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8 또는 그 후의 제b2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황2: 해당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8이거나, 또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2+8보다 늦으며;
이 상황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가 사용가능한 것으로 여길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현재 무선 프레임 주기 C1 중의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k2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3
상기 특정 경계는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은 제2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사이드링크 상의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에 대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m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만일 해당 제m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이 사용 가능하지 않다면(예를 들면 상황1 또는 상황2에 있어서), 해당 단말 장치는 또한 해당 제m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a3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a3=1 또는 기타 값이고, 그 중에서, 해당 m은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인덱스 값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은 제2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에는, 해당 제2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해당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또한 해당 제2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K1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해당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K1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선택적으로, 해당 K1은 2, 4, 8 등일 수 있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스케줄링 정보의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또는 그 후의 어느 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수신하여 경계로 하고, 해당 인덱스 값을 참조하여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만일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 가능하지 않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a3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a3은 1 또는 기타 값일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해당 특정 경계는 제1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일 수 있고, 단말 장치는 수신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제2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을 해당 제1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으로 결정하며, 또는 단말 장치는 수신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제2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후의 제K1번째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을 해당 제1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으로 결정하며, K1은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것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K1은 2, 4, 8 등일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한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이 다수의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황(정황1)에 적용되고, 마찬가지로 하나의 사이드링크 서브 레임이 다수의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황(정황2)에 적용된다. 아래 두 가지 정황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정황1: 한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이 두 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고, 단말 장치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에 대응됨) 상에서 DCI를 수신하며,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9에 대응된다.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과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 간은 단말 장치의 처리 시간으로 여겨진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황1: 해당 특정 경계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이며;
만일 인덱스 값이 8이고, 해당 인덱스 값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에 대한 것이라면, 단말 장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고, 진일보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황2: 해당 특정 경계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이며;
해당 인덱스 값은 0 또는 1일 수 있고,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에 대한 것이며, 각각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9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어서, 해당 단말 장치는 인덱스 값에 의하여 해당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응되는 어느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할지 결정한다.
정황2: 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이 두 개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고, 단말 장치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에 대응됨) 상에서 DCI를 수신하면,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응되는 바, 도4A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4A와 도4B의 차별점이라면,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은 가지런할 수도 있고, 또한 일정한 오프셋을 가질 수도 있다.
상황1: 해당 특정 경계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이다.
만일 인덱스 값이 2이고, 해당 인덱스 값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에 대한 것이라면, 단말 장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황2: 해당 특정 경계는 또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일 수 있다.
해당 인덱스 값은 0일 수 있고,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를 지시하면, 단말 장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4
상기 특정 경계는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은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상의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대한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n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만일 해당 제n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이 사용가능하지 않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또한 해당 제n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a4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바, 선택적으로, a4=1 또는 기타 값이고, n은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인덱스 값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은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에는, 해당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을 해당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또한 해당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K2번째 다운링크 시간 유닛을 해당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K2는 1보다 큰 정수이고, 선택적으로, 해당 K2는 2, 4, 8 등일 수 있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가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시간 유닛, 또는 그 후의 어느 한 다운링크 시간 유닛을 경계로 하고, 해당 인덱스 값을 참조하여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만일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은 사용가능하지 않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a4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a4는 1 또는 기타 값일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해당 특정 경계는 제1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일 수 있고, 단말 장치는 수신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제2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을 해당 제1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으로 결정하며, 또는 단말 장치는 수신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제2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후의 제K2번째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을 해당 제1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으로 결정하며, K2는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것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K2는 2, 4, 8 등일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상기 정황1과 정황2에 적용된다. 아래 두 가지 정황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정황1: 한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이 두 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고,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4에 대응됨) 상에서 DCI를 수신하면,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9에 대응되고,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4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 간은 단말 장치의 처리 시간으로 여겨진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황1: 해당 특정 경계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이며;
만일 인덱스 값이 8이고, 해당 인덱스 값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에 대한 것이라면, 단말 장치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 후의 제8번째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황2: 해당 특정 경계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이며;
해당 인덱스 값이 0 또는 1일 수 있고, 해당 인덱스 값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한 것이며, 각각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과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9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라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인덱스 값에 의하여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8 아니면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9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지 결정할 수 있다.
정황2: 한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이 두 개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고,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에 대응됨) 상에서 DCI를 수신하며,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가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에 대응되는 바, 도4A 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황1: 해당 특정 경계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일 수 있으며;
만일 인덱스 값이 4이고, 해당 인덱스 값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에 대한 것이라면, 단말 장치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 후의 제4번째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즉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황2: 해당 특정 경계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이며;
만일 인덱스 값이 0이고, 해당 인덱스 값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한 것이라면, 단말 장치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p3+4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서브 프레임 q3+2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중의 단말의 처리 시간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일 뿐, 구체적인 처리 시간의 크기는 단말의 처리 능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 제1 서브 캐리어 간격과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소재하는 캐리어 또는 부분 대역폭(Bandwidth Part, BWP)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소재하는 캐리어, BWP 또는 자원 풀의 서브 캐리어 간격인 것이 포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할 수 있는 인덱스 또는 오프셋 등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상의 시간 유닛의 입도에 따라 지시할 수 있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지시할 수 있는 인덱스 또는 오프셋 등 파라미터는 또한 다운링크 상의 시간 유닛의 입도에 따라 지시할 수 있으며, 이 상황 하에서, 다운링크 상의 시간 유닛과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의 입도 간의 관계에 의하여, 진일보로 사이드링크 상에서의 인덱스 또는 오프셋, 즉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제1 서브 캐리어 간격과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을 참조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해당 제1 서브 캐리어 간격과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은 한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의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만일 한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두 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이 대응되고,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지시한 인덱스 또는 오프셋이 2이라면, 사이드링크 상의 인덱스 또는 오프셋이 4인 것을 결정할 수 있는 바, 즉 해당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은 특정 경계 오프셋이 4인 것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200)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해당 제1 서브 캐리어 간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해당 제2 구성 정보는 해당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사전 구성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정보인 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상위 계층 신호 예를 들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신호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해당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사전 구성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정보인 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상위 계층 신호 예를 들면 RRC 신호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해당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와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동일한 구성 정보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성 정보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의 지시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실시에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또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송신 방식을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우선 제1 제어 정보의 송신 방식에 의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인덱스 값을 지시할 수 있고, 진일보로 상기 실시예의 결정 방식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송신 방식은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가리킬 수 있는 바, 즉
해당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자원, 검색 공간, 집합 등급, 빔, 안테나 포트, 프리코딩 매트릭스, 변조 및 코딩 스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해당 제1 제어 정보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마스크 시퀀스, 스크램블링 시퀀스,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시퀀스 등 시퀀스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NTI) 등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송신 방식은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과 제1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바, 이로써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송신 방식에 의하여, 해당 제1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마스크 시퀀스는 서로 다른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는 서로 다른 마스크 시퀀스를 통하여 해당 제1 제어 정보에 대하여 마스크 처리를 진행하여, 단말 장치로 서로 다른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서로 다른 마스크 시퀀스를 사용하여 해당 제1 제어 정보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사용하는 마스크 시퀀스를 판단하고, 진일보로 해당 제1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지시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마스크 시퀀스1이 인덱스 값 0에 대응되고, 마스크 시퀀스2가 인덱스 값 1에 대응되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마스크 시퀀스2를 사용하여 해당 제1 제어 정보에 대하여 마스크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마스크 시퀀스 1과 마스크 시퀀스 2를 사용하여 해당 제1 제어 정보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사용하는 마스크 시퀀스가 2인 것을 결정하고, 나아가 대응되는 인덱스 값 1을 결정할 수 있으며, 진일보로, 해당 단말 장치는 인덱스 값 1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실행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 예를 들면, 서로 다른 검색 공간이 서로 다른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는 서로 다른 검색 공간을 통하여 해당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로 서로 다른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해당 단말 장치는 수신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에 의하여, 해당 제1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지시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검색 공간1이 인덱스 값 0에 대응되고, 검색 공간2가 인덱스 값 1에 대응되며, 네트워크 장치는 검색 공간1을 사용하여 해당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면, 단말 장치는 수신한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에 의하여 대응되는 인덱스 값을 0으로 결정하며, 진일보로, 해당 단말 장치는 인덱스 값 0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을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실행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서로 다른 RNTI 또는 PDCCH 자원 등 정보 또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암시적으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서로 다른 송신 시간을 지시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의하여,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지시 정보에 의하여, 또는 해당 제1 제어 정보의 송신 방식 등 방식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스케줄링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어, 단말 장치는 해당 송신 시간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아래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는 바,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상호 대응되고, 유사한 기술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300)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310);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3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이고,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특정 경계에 대한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 또는 오프셋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특정 경계와 상기 인덱스 값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경계는 무선 프레임 경계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N개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N개 시간 유닛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N개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중 상기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을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경계는 무선 프레임 주기 경계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 주기에는 L개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L개 시간 유닛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L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L개 사이드링크의 시간 유닛 중 상기 인덱스 값이 지시하는 시간 유닛을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경계는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은 제2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사이드링크 상의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에 대한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m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제1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에 m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더한 후의 첫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며,
그 중에서, 상기 m은 상기 인덱스 값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경계는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은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상의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대한 시간 유닛의 인덱스 값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 후의 제n번째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n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더한 후의 첫번째 사용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며,
그 중에서, 상기 n은 상기 인덱스 값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시퀀스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RNTI), 검색 공간, 집합 등급, 송신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시퀀스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RNTI), 검색 공간, 집합 등급, 송신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1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고,
그 중에서, 상기 제1 대응 관계는 시퀀스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RNTI), 검색 공간, 집합 등급, 송신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시간 유닛 인덱스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시퀀스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인 바, 즉 마스크 시퀀스, 스크램블링 시퀀스, 복조 참조 신호(DMRS) 시퀀스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320)은 또한,
상기 제1 제어 정보, 제1 서브 캐리어 간격과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소재하는 캐리어 또는 부분 대역폭(Bandwidth Part, BWP)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소재하는 캐리어, BWP 또는 자원 풀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310)은 또한,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결정 모듈(320)은 또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통신 모듈(310)은 또한, 제2 구성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결정 모듈(320)은 또한,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유닛은 서브 프레임 또는 슬롯이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6에 도시된 통신 장치(600)에는 프로세서(6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600)에는 또한 기억장치(6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620)는 독립적인 프로세서(610)의 한 단독의 소자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600)에는 또한 송수신기(630)가 포함될 수 있고, 프로세서(610)는 해당 송수신기(63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타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송수신기(630)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기(630)에는 나아가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고, 안테나의 수량은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6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7에 도시된 칩(700)에는 프로세서(7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700)에는 또한 기억장치(7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720)는 독립적인 프로세서(710)의 한 단독의 소자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이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럭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실행하여 완성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만 한 것이며,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또한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이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하거나 토론한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은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한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가 포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41)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 -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특정 경계에 대한 시간 유닛의 오프셋을 지시하는데 이용됨 -;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이 포함되되,
    상기 특정 경계는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다운링크 상의 시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경계는 상기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 또는 상기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 뒤의 제K 개의 시간 유닛이고, K는 1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특정 경계와 상기 오프셋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특정 경계와 상기 오프셋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특정 경계에 n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더한 후의 첫 번째 사용 가능한 사이드링크 시간 유닛을,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으로 결정하며,
    상기 n은 상기 오프셋인 것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서브 캐리어 간격과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에 의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제1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소재하는 캐리어 또는 부분 대역폭(BWP)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소재하는 캐리어, BWP 또는 자원 풀의 서브 캐리어 간격인 것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서브 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것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정보이며; 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구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 유닛은 서브 프레임 또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특정 경계에 대한 시간 유닛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이용됨 -;
    이 포함되되,
    상기 특정 경계는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2 다운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다운링크 상의 시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1.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10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3. 칩에 있어서,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장치가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 또는 제10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 또는 제10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207036490A 2018-06-29 2019-04-03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KR102472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13184.4 2018-06-29
CN201810713184 2018-06-29
PCT/CN2019/081275 WO2020001118A1 (zh) 2018-06-29 2019-04-03 一种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874A KR20210008874A (ko) 2021-01-25
KR102472382B1 true KR102472382B1 (ko) 2022-11-29

Family

ID=6898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490A KR102472382B1 (ko) 2018-06-29 2019-04-03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102774B2 (ko)
EP (2) EP3780673B1 (ko)
JP (1) JP7317870B2 (ko)
KR (1) KR102472382B1 (ko)
CN (3) CN114401555A (ko)
AU (1) AU2019295826B2 (ko)
BR (1) BR112020024169A2 (ko)
CA (1) CA3100406C (ko)
ES (1) ES2929321T3 (ko)
MX (1) MX2020013999A (ko)
PL (1) PL3780673T3 (ko)
TW (1) TWI818042B (ko)
WO (1) WO2020001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6430B (zh) * 2018-09-05 2023-04-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及资源配置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US20220150937A1 (en) * 2019-03-13 2022-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antenna remote units in sidelink-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363602B2 (en) * 2019-06-27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resource allocation configuration switch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s
CN115053582B (zh) * 2021-01-08 2023-10-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4765840A (zh) * 2021-01-14 202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322A1 (ko) 2016-07-01 2018-01-0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82553A1 (zh) 2016-11-04 2018-05-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跨载波调度方法及装置
WO2018088951A1 (en) * 2016-11-11 2018-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1908B (zh) * 2011-02-28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及设备
EP2533582A1 (en) * 2011-06-09 2012-12-12 Alcatel Lucent A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therefor
US8934436B2 (en) * 2011-12-31 2015-01-13 Ofinno Technologies, L.L.C.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in wireless networks
TWI620459B (zh) *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US9451570B2 (en) * 2012-08-29 2016-09-20 Alcatel Lucent Device discover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807719B2 (en) * 2013-03-14 2017-10-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signal by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144501B (zh) * 2013-05-09 2019-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2d发现信号资源配置方法、系统及相关装置
US9923690B2 (en) * 2013-08-06 2018-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signaling of the downlink and uplink subframe allocation for a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469926B (zh) * 2013-09-16 2019-03-12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d2d系统中的传输方法和装置
US9693271B2 (en) * 2013-12-13 2017-06-27 Intel Corporation Adaptive cell range expansion mechanisms for LTE cells
CN104812058A (zh) * 2014-01-24 2015-07-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d2d终端之间实现同步的方法和d2d终端设备
CN105940742B (zh) * 2014-01-28 2019-11-01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设备对设备终端收发信号的方法和装置
CN105101458B (zh) * 2014-05-08 2021-05-07 夏普株式会社 D2d通信中的不同cp长度共存的配置
KR20160018244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아이티엘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770074B (zh) * 2014-12-22 2022-09-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设备直通中继选择的方法、网络控制节点和用户设备
EP3249870B1 (en) * 2015-01-23 2020-10-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b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648763B2 (ja) * 2015-02-26 2020-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595246B2 (en) * 2015-09-04 2020-03-17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07041002B (zh) 2016-02-04 2023-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信道子帧的指示方法及装置
US10869288B2 (en) * 2016-03-30 2020-1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timing in V2X UE
EP3457746A4 (en) * 2016-05-12 2019-05-15 Sony Corporatio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JPWO2017208286A1 (ja) * 2016-06-03 2019-04-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798726B2 (en) * 2016-08-12 2020-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PS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85759B2 (en) * 2016-08-12 2020-09-22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umerology band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031928A1 (en) * 2016-08-12 2018-02-15 Intel IP Corporation SUPPORT OF SC-PTM BASED MULTICASTING FOR BL/CE AND NB-IoT UEs
WO2018030307A1 (ja) * 2016-08-12 2018-02-1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6413078A (zh) * 2016-09-12 2017-02-15 厦门大学 一种d2d通信的同步方法及d2d通信装置
CN109565798B (zh) * 2016-09-29 2022-02-1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线通信方法、装置和系统
WO2018062098A1 (ja) * 2016-09-30 2018-04-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CN108024338B (zh) 2016-11-03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子帧配置方法及装置
US11122527B2 (en) * 2017-03-24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based on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for transmitting data by employing multiple ports
US11324076B2 (en) * 2017-03-24 2022-05-03 Apple Inc. Tracking reference signals for new radio
US11134492B2 (en) * 2017-04-12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covery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20200163103A1 (en) * 2017-05-05 2020-05-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mi-persistent schedul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CN117997501A (zh) * 2017-06-13 2024-05-07 苹果公司 用于蜂窝通信的涉及多个带宽部分的新无线电的使用
EP4280526A3 (en) * 2017-08-11 2024-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 rate for control information
EP3682699A1 (en) * 2017-09-11 2020-07-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information on data channel in a radio access network
CN111279738A (zh) * 2017-10-30 2020-06-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波束成形无线电接入网络中的链路自适应
EP3738251A1 (en) * 2018-01-12 2020-1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signaling for radio access networks
US11388724B2 (en) * 2018-02-16 2022-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resource allocation for radio access networks
EP3753158A1 (en) * 2018-02-16 2020-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rq codebook structure
WO2019160459A1 (en) * 2018-02-17 2019-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mapping based on bandwidth part
EP3776960A1 (en) * 2018-04-06 2021-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for feedback signaling
CN112106400A (zh) * 2018-05-17 2020-12-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电接入网络的测量报告
US20210219314A1 (en) * 2018-06-07 2021-07-15 Ntt Docomo, Inc.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322A1 (ko) 2016-07-01 2018-01-0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82553A1 (zh) 2016-11-04 2018-05-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跨载波调度方法及装置
WO2018088951A1 (en) * 2016-11-11 2018-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7997A (ja) 2021-10-14
ES2929321T3 (es) 2022-11-28
EP3780673B1 (en) 2022-09-14
AU2019295826B2 (en) 2021-12-16
JP7317870B2 (ja) 2023-07-31
EP3780673A4 (en) 2021-07-28
US11930504B2 (en) 2024-03-12
EP4106360B1 (en) 2024-03-13
CN111758268A (zh) 2020-10-09
TW202007193A (zh) 2020-02-01
US20210321376A1 (en) 2021-10-14
EP3780673A1 (en) 2021-02-17
TWI818042B (zh) 2023-10-11
CA3100406A1 (en) 2020-01-02
KR20210008874A (ko) 2021-01-25
EP4106360A1 (en) 2022-12-21
US11102774B2 (en) 2021-08-24
CN114401555A (zh) 2022-04-26
BR112020024169A2 (pt) 2021-03-02
PL3780673T3 (pl) 2022-11-28
WO2020001118A1 (zh) 2020-01-02
CA3100406C (en) 2023-08-01
MX2020013999A (es) 2021-03-25
CN112291746A (zh) 2021-01-29
US20210051638A1 (en) 2021-02-18
AU2019295826A1 (en) 2020-12-03
CN112291746B (zh)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0637B2 (ja) D2d通信におけるリソース構成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KR102472382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JP2021502742A5 (ko)
JP7213357B2 (ja) サイド通信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KR20210119402A (ko) 사이드링크 통신의 방법 및 단말 장치
JP2022549595A (ja) データ送信方法と装置
CN111107650B (zh)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431896B (zh)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226476A (zh) 探测参考信号传输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2205050A (zh) 一种车联网中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KR20200065059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US2021031492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Transmission
JP2023159308A (ja) フィードバック情報の伝送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KR102294803B1 (ko)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667634B1 (ko) 사이드 링크 통신 방법 및 단말 디바이스
CN112673691A (zh) 传输信息、接收信息的方法和通信设备
CN110710276A (zh) 传输物理随机接入信道prach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