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128B1 -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128B1
KR102472128B1 KR1020210011797A KR20210011797A KR102472128B1 KR 102472128 B1 KR102472128 B1 KR 102472128B1 KR 1020210011797 A KR1020210011797 A KR 1020210011797A KR 20210011797 A KR20210011797 A KR 20210011797A KR 102472128 B1 KR102472128 B1 KR 10247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scan
scan model
information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451A (ko
Inventor
송명우
전하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EP21864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12126A1/en
Priority to PCT/KR2021/012096 priority patent/WO2022050809A1/ko
Priority to CN202180050221.8A priority patent/CN115955947A/zh
Priority to US18/041,905 priority patent/US20230310126A1/en
Publication of KR2022003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에 대한 모델인,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내의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ental treat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method}
개시된 실시예는, 구강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는 인공물을 치아에 부착하여 구강 치료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이용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다.
환자의 치과 치료에는 다양한 분야가 존재한다. 치과 치료 분야로는 치아에 대한 충치 치료 또는 손상된 치아에 대한 복원 치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치가 발생한 경우, 충치의 치료를 위해서는 충치의 진행 단계에 따라서 충치가 발생한 치아 부분을 절삭하고, 절삭된 치아를 인공물을 이용하여 복원시키는 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내에 존재하는 치수까지 충치가 발생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충치가 발생한 치아를 절삭하고, 절삭된 치아 내에 있는 치수에 대하여 신경 치료를 선행한 후, 크라운(crown) 치료를 진행하여야 한다.
여기서, 크라운 치료는, 절삭된 치아의 외부를 둘러싸는 크라운을 절삭된 치아에 부착 또는 결합 시키는 치료를 의미한다. 크라운 치료를 위해서는, 절삭된 치아에 맞는 크라운을 제작하여야 한다. 그리고, 절삭된 치아에 부착될 크라운이 정확하게 제작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크라운이 바르게 제작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의사 등의 치과 치료 전문가가 환자의 치아에 제작된 크라운을 직접 부착해 보고, 부착된 크라운의 상태를 검사하였었다.
그리고, 이러한 수동 검사 결과 크라운이 오제작된 경우, 예를 들어, 크라운과 절삭된 치아가 서로 충돌한다거나 크라운이 절삭된 치아에 비하여 작게 제작되는 경우, 해당 크라운을 다시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크라운이 오제작되면, 환자는 치과에 추가로 내방하여야 하며, 크라운을 다시 기공소 등과 같은 크라운을 제작하였던 제작소로 보내서 수정 작업을 하거나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크라운의 오제작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크라운 등과 같은 인공물의 제작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공을 목적 및 효과로 한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는, 크라운 등과 같은 인공물의 오제작을 의사, 치기공사 등의 치과 치료 전문가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공을 목적 및 효과로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인공물의 오제작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 및 비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공을 목적 및 효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에 대한 모델인,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내의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는 치아 또는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이고, 상기 인공물은 크라운이며, 상기 라인은 마진 라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모델 내에서 상기 대상체의 마진 라인에 대응되는 제1 라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 상기 대상체의 마진 라인에 대응되는 제2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 상기 대상체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 및 상기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충돌하는 부분을 상기 오제작 부분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스캔 모델이, 상기 대상체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 및 상기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정도를 복수개의 레벨들로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레벨들이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인공물의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수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두께, 길이, 면적,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물은 크라운, 인레이 또는 온레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한 컴퓨터 기반 설계(CAD: Computer Aided Design)를 통하여,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을 3차원적으로 모델링한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상기 디자인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 각각의 전체 형상을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적으로 정렬된 상기 디자인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마진 정보에 근거하여 2차적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을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상에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모델의 마진 라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의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수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에 대한 모델인,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내의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크라운 등과 같은 인공물의 오제작을 의사, 치기공사 등의 치과 치료 전문가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인공물을 환자의 절삭된 치아에 직접 부착해보지 않아도, 인공물의 오제작을 빠르게 인식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일 블록도이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블록도이다.
도 5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블록도이다.
도 6은 인레이 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크라운 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임플란트 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은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일 흐름도이다.
도 8b는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흐름도이다.
도 9a는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흐름도이다.
도 9b는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10은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디자인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2는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13은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14a는 디자인 모델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5b는 디자인 모델에서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5는 개시된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6a는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6b는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에서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스캔 모델에서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19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20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2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실시예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part, portion)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요소(unit, 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라는 표현은, 그 시스템이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스캐너는 대상체와 관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거나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객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너의 스캔 대상은 구강의 내부 또는 구강과 관련된 객체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 스캐너는 구강의 치료에 이용되는 구강과 관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너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에 인입 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구강 스캐너(intraoral scanner)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구강 스캐너는 한 손으로 잡아서 휴대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핸드 헬드(hand-held) 형 스캐너라 칭할 수 있다. 또는,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스캐너는 치과 치료에 이용 가능한 테이블 형 스캐너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블 형 스캐너는 구강과 관련된 객체를 스캔하여 치과 치료에 이용 가능한 스캐너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스캐너는 구강에 대응되는 2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스캐너는 구강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스캐너는 구강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이미지를 수신한 외부 장치는, 수신된 2차원 이미지에 근거하여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호칭 및 설명의 편의 상, 치과의 치료를 위한 스캐너로 구강 내에 인입 가능한 형태의 스캐너, 및 테이블 형 스캐너를 모두 통칭하여 '스캐너'라 칭하도록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구강에 포함되는 대상체를 나타내는 이미지(예를 들어, '구강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는 치아, 치은, 구강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또는 구강 내에 결합, 부착 또는 삽입 가능한 인공 구조물(예를 들어, 브라켓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임플란트, 인공 치아, 크라운, 인레이 및 온레이 등을 포함하는 치아 수복물, 구강 내 삽입되는 교정 보조 도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전술한 인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석고 모델, 인상체(impression body) 등과 같은 객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대상체는 전술한 인공 구조물 또는 구강 내에 존재하는 객체(치아 등)와 관련된 객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 또한, 교정 장치는 브라켓, 어태치먼트(attachment), 교정용 나사, 설측 교정 장치, 및 가철식 교정 유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호칭의 편의 상, 전술한 인공 구조물 및 인공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객체를 모두 통칭하여 '인공물'이라 호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전술한 핸드 헬드 형 스캐너 및 테이블 형 스캐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예시에서, 스캔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는 구강과 관련된 객체들이라 할 수 있으므로, 명세서 전반적으로 기재된 '구강을 스캔'한다는 의미는 구강 자체를 스캔하는 경우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인공물, 및/또는 구강을 나타내거나 구강과 관련된 기타 객체 등을 스캔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가 구강을 스캔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대상체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또는 대상체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대상체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로우 데이터(raw data) 또는 로우 이미지(raw imag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우 이미지는 진단을 위해서 필요한 구강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획득되는 데이터로, 스캐너(예를 들어,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대상체인 환자의 구강 내를 스캔(scan)할 때 스캐너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예를 들어, 2차원 프레임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로우 이미지는, 가공 되지 않은 이미지로, 스캐너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원본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서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전자 장치들, 예를 들어, 스캐너(100) 및 그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인 구강 진단 장치(120)가 도시된다. 도 1에서는, 구강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스캐너가 구강 내에 인입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구강 스캐너(intraoral scanner)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캐너(100)는 구강 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의료 장치이다. 도 1 에 도시된 스캐너(100)와 같이 구강 내에 인입 가능한 형태를 갖는 스캐너를 구강 스캐너(intraoral scanner) 또는 휴대형 스캐너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치과 치료를 위한 스캐너는 도 1에 도시된 핸드 헬드 형의 스캐너 이외에도, 전술한 테이블 형 스캐너가 될 수 있다. 테이블 형 스캐너는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스캐너(100)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비 접촉식으로 대상체(예를 들어, 치아 등과 같은 구강 내의 객체 또는 인상체(impression body) 등)를 스캐닝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포함하는 구강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예를 들어, 광학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 또는 구강 내부를 본뜬 인상체 등을 스캔 한다. 스캐너(100)는 대상체인 구강 내부의 치아, 치은 및 구강 내에 삽입 가능한 인공물, 석고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이미징하기 위해서, 대상체에 대한 표면 정보를 로우 데이터(raw data)로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캐너(100)가 구강을 스캔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스캐너(100)에서 획득되는 로우 데이터는 스캐너(1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우 데이터는 스캐너(100)가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프레임 이미지(frame image)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이미지'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 데이터'로 호칭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캐너(100)에서 획득된 로우 데이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강 진단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스캐너(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한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를 구강 진단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강 진단 장치(120)는 스캐너(10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스캐너(100)로부터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강 진단 장치(120)는 스캐너(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 이미지를 생성, 처리,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송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강 진단 장치(120)는 스캐너(1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 구강을 나타내는 이미지, 구강 치료에 이용되는 모델(예를 들어, 치아에 대한 3차원 모델 또는 크라운을 생성하기 위한 3차원 모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진단 장치(12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구강 진단 장치(120)는 구강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또는 서버 장치)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강 진단 장치(120)는 스캐너(100)에 연동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저장 및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소프트웨어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호칭 될 수 있다. 구강 진단 장치(120)가 스캐너(100)와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 구강 진단 장치(120)에 저장되는 전용 소프트웨어는 스캐너(100)와 연결되어 대상체 스캔을 통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들을 실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 제품 별로 각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가 존재할 수 있다. 전용 소프트웨어는 대상체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 처리,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00)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그대로 구강 진단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구강 진단 장치(120)는 수신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3차원 구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구강 이미지'는 수신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의 내부 구조를 3차원적으로 모델링(modeling)하여 생성될 수 있으므로,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3차원 구강 모델', '3차원 스캔 모델', '3차원 모델' 또는 '치아 모델' 등으로 호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차원 구강 모델', '3차원 모델' 또는 '치아 모델'을 모두 통칭하여, '스캔 모델'이라 칭하도록 한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서 '스캔 모델'은 스캐너(100)가 치아, 인상체 및/또는 인공물 등과 같은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적으로 모델링된 구조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00)는 광삼각(Optical triangulation) 방식, 컨포컬(confocal) 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생성, 처리, 전송 및/또는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모든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도 1에서 설명한 구강 진단 장치(120) 자체가 될 수도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전자 장치(200)가 도 1에서 설명한 구강 진단 장치(120)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전자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200)가 도 1에서 설명한 구강 진단 장치(120)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전자 장치인 경우의 예시로는, 구강 진단 장치(120)가 치과 내에 위치하며 스캐너(예를 들어, 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전자 장치이며, 전자 장치(200)는 기공소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는 스캐너(예를 들어, 100)으로부터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구강 진단 장치(120)로부터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서버(또는 서버 장치)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버(170)는 스캐너(100), 및 스캐너(101) 및 구강 진단 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70)는 스캐너(100), 스캐너(101) 및 구강 진단 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하며, 스캐너(100), 스캐너(101) 및 구강 진단 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서버(170)는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 및/또는 가공하여,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캐너(예를 들어, 100)는 구강 스캔을 통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강 스캔을 통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는 치아에 대한 데이터 치아와 관련된 데이터, 또는 치아의 치료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치아에 대한 데이터'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 장치(200)는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에 대한 데이터는, i) 대상체(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치아, 인공물(크라운, 인상체 등) 등)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 ii)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2차원 이미지,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모델 중 적어도 하나, iii)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치아에 부착, 삽입 또는 설치될 인공물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또는 모델, 및 iv) 대상체에 부착, 삽입 또는 설치될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인공물에 대한, 2차원 이미지,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모델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는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술한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00) 또는 스캐너(101)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직접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스캐너(100)가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구강 진단 장치(120)로 전송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구강 진단 장치(120)로부터 상기 획득된 데이터 또는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가공 또는 처리하여 생성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에 대한 데이터는, 구강 내에 인입 가능한 핸드 헬드 형 스캐너인 스캐너(100) 이외에, 테이블 형 스캐너인 스캐너(101)에서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스캐너(101)는 대상체에 광을 조사(project)하고 광이 조사된 대상체를 스캔함으로써, 패턴의 변형에 의한 삼각 계측의 원리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3차원 데이터 획득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스캔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너(101)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52, 153), 광 조사부(150), 턴 테이블(160), 및 암(arm)(155)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101)는 대상체를 스캔함으로써 로우 데이터(raw data)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01)에 의해서 스캔되는 대상체는,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를 본 떠서 획득한 인상체(impression model)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101)는 광 조사부(150)를 통해 턴 테이블(160) 상에 위치하는 대상체(10)에 광을 투영(project)할 수 있다. 광 조사부(150)에서 출력되는 광은 선 또는 점의 형태, 구조광 형태, 줄무늬 패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 조사부(150)에서 출력되는 광은 자체적으로 패턴이 변하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조사부(150)는 광원을 통하여 광을 출력하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광 조사부(150)는 소정 세기를 갖는 광을 출력하고, 광 조사부(150)에서 출력되는 광이 패턴 생성 장치(미도시) 등을 통과하면서 소정 패턴을 갖는 광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스캐너(101)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예를 들어, 광학 카메라 등)(152, 153)를 이용하여 광이 투영된 대상체의 표면을 스캔함으로써, 대상체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데이터'는 대상체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52, 153)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표면을 스캔함으로써 획득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데이터는 로우 데이터(raw data)일 수 있다. 또는, 스캐너(101)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2차원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3차원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스캐너(101)가 두 개의 카메라(152, 15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턴 테이블(160)은 암(arm)(155)을 통해 스캐너(101)의 하우징과 연결될 수 있다. 턴 테이블(160)은 기 설정된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가 이동되거나, 또는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턴 테이블(160)은 암(155)의 제어에 의해 축 방향으로 스윙(swing)되거나, 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턴 테이블(160)은 단위 이동 시간만큼 1회 이동하거나 회전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만큼 정지될 수 있다.
스캐너(101)와 구강 진단 장치(12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01)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RFID,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 또는 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강 진단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스캐너(101)는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구강 진단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전자 장치(200)가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와 각각 구별되는 장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200)는 구강 진단 장치(120) 또는 서버(170) 자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상세 구성 및 상세 동작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일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는 도 2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200)에 동일 대응될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320),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3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을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상에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을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디자인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상에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에 인공물이 부착되는데 있어서, '부착'은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접착 물질을 이용하지 않고 대상체와 인공물이 밀접하게 결합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제1 스캔 모델은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캔 모델은 대상체에 부착 또는 결합될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모델은 대상체에 부착 또는 결합될 인공물을 모델링하여 생성한 3차원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고,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오제작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대상체와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가 치아 또는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물은 크라운이며, 전술한 '대상체와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은 마진 라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에 있어서, 마진(margin)이란 치아와 치아에 부착될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 등) 사이의 경계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계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라인을 마진 라인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에도 마진이 존재하며, 치아에 부착될 크라운에도 마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에도 마진 라인이 존재하며, 크라운에도 마진 라인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상기 디자인 모델 내에서 상기 대상체(예를 들어, 크라운 치료를 위해서 절삭된 지대치)의 절삭된 표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제1 라인(예를 들어, 디자인 모델의 마진 라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 상기 대상체의 절삭된 표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제2 라인(예를 들어, 크라운의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구강에 대한 촬영(또는, 스캔) 동작, 구강에 대한 이미지 또는 구강에 대한 데이터의 획득 동작, 획득된 이미지 또는 데이터의 처리 또는 가공 동작 및/또는 획득된 이미지 또는 데이터의 전송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에서 소정 동작을 수행한다고 기재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을 직접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외부에서부터 전송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미도시), 전자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ROM(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Processor)(미도시)(이하, '내부 프로세서'로 지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내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프로세서 및 내부 프로세서에서 처리 또는 이용될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예를 들어, RAM, ROM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싱글 코어 이상의 멀티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헥사 코어, 옥타 코어, 데카 코어, 도데카 코어, 헥사 다시 벌 코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설계 가능 논리 소자 및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내부 회로가 포함된 반도체 소자인 FPGA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FPGA 를 이용해서 고속의 이미지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에서 전술한 '획득', '정렬', '식별', '생성'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은, 프로세서(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을 직접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미도시)는 도 2에서 설명한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또는 서버(170)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RFID,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 또는 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원거리 통신 규격에 따라서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3G, 4G, 5G 및/또는 6G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캐너 등)와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외부 장치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HDMI 포트(미도시) 등과 같이 케이블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미도시)를 통하여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서 스캐너(예를 들어, 도 2의 100 또는 101)(도 3에 미도시 됨)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서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강 진단 장치(도 2의 120) 또는 서버(도 2의 17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0)는 통신 인터페이스(32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목적하는 정보(예를 들어, '제2 스캔 모델 상에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 등)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에 비하여, 디스플레이(33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33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3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30)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30)는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330)는 전술한 제1 스캔 모델, 디자인 모델, 및 제2 스캔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전자 장치(500)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전자 장치(300, 또는 40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전자 장치(400)에 비하여, 메모리(3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도면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34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10)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10)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스캔 동작을 수행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 치아에 대한 데이터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340)는 구강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구강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50)는 전자 장치(5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일 지점을 지칭 또는 선택하기 위한 마우스(mouse) 또는 키보드(key board)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50)는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는 마이크가 될 수 있으며,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제어부(311) 및 영상 처리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1)는 전자 장치(500)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1)는, 메모리(340) 또는 제어부(311) 내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및/또는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내부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13)는 이미지의 생성 및/또는 처리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313)는 스캐너(미도시)로부터 획득된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을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3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13)는 스캐너(미도시)가 치아 또는 치아의 인상체를 스캔하여 획득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치아를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제1 스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313)는 스캐너(미도시)가 인공물 스캔하여 획득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공물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제2 스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3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13)는 제어부(311)에 제어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 상에,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 400 또는 500)에서 수행되는 상세 동작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 및 그의 동작 방법은, 치아에 삽입 또는 부착되는 인공물이 오제작되는 경우, 치기공사, 치과의사, 및 환자가 겪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치과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치아가 손상되어 크라운 치료를 받는 경우를 예로 들자. 이 경우, 환자는 치과 치료를 위해서 치과에 방문하고, 치과 의사는 치아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손상된 부분이 제거된 치아에 부착될 크라운을 제작하기 위해서 치아를 스캔한다. 그리고, 치아를 스캔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 등에 입력하여 크라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크라운 모델에 대응되는 실제 크라운을 제작한다. 환자는 크라운 제작이 완료되면, 다시 치과에 방문하여야 한다. 치과 의사는 제작된 크라운이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감싸도록, 치아에 크라운을 부착하여 크라운 치료를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크라운이 오제작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크라운은 환자의 치아(예를 들어, 지대치)와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치아를 감싸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인접한 주변 치아들과 충돌하거나 너무 틈이 크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치아보다 크게 제작되어 인접한 다른 치아들과 충돌하는 경우, 환자의 치아보다 작게 제작되어 환자의 치아를 감싸도록 부착할 수 없는 경우, 의도하는 크기 또는 두께보다 작게 제작되어 인접한 치아와의 틈이 커지는 경우, 환자의 치아의 적어도 일부분과 크라운의 내측이 충돌하는 경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크라운의 제작을 다시 하여야 하며, 환자는 또 다시 치과에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치과 의사 또한 크라운이 오제작되지 않았다면 종료되었을 크라운 치료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 치료를 위하여 치아에 정밀하게 부착 또는 결합되는 인공물의 경우, 오제작되면 치과의사, 치기공사 및 환자는 모두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치과 치료를 위하여 치아에 정밀하게 부착 또는 결합되는 인공물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기 이전에 인공물의 오제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인레이 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치과 치료를 위하여 환자의 치아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인공물은 인레이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인레이를 위한 치과 치료인 인레이 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610 부분을 참조하면,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601)의 상부 중앙 부분에 충치(602)가 발생한 경우가 도시된다.
후속하여, 도 6의 620 부분을 참조하면, 치과 의사는 치아(601)에서 충치(602)가 발생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의 630 부분은, 충치(602)가 발생한 부분을 제거한 치아(601)를 나타낸다. 치과 의사는 충치(602)가 발생한 부분을 제거한 치아(601)를 스캐너(미도시)를 이용하여 스캔하거나 임프레션(impression) 작업을 수행하여, 충치를 제거한 치아의 일부 영역(631)에 삽입 및 부착될 인레이(641)를 제작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6의 640 및 650 부분을 참조하면, 충치를 제거한 치아의 일부 영역(631)에 제작된 인레이(641)를 삽입 및 부착함으로써, 인레이 치료를 완료할 수 있다.
도 7a는 크라운 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크라운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는 치아의 일부가 깨져서 내부의 신경이 손상된 치아(720) 또는 충치로 인하여 내부의 신경이 손상된 치아(710)가 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손상이 발생된 치아를 제거 또는 식각하여, 치아(710)에 크라운을 씌울 수 있는 형태로 치아(710)를 다듬을 수 있다.
그리고, 다듬어진 치아(710)를 스캐너(미도시)를 이용하여 스캔하거나 임프레션(impression)을 수행하여, 치아(710)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되는 크라운(713)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다듬어진 치아(710)를 '지대치'라 할 수 있다. 지대치(710)에 부착될 크라운(713)은, 내부에서 지대치와 충돌을 일으키거나 지대치와 어긋나는 부분이 없이 제작 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지대치와 접하게 되는 크라운의 안쪽면에 있어서, 지대치와 충돌을 일으키거나 지대치와 어긋나는 부분이 없어야 한다. 또한, 지대치(710)에 부착되는 크라운이 지대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720, 730)와 충돌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또한, 지대치(710)에 부착되는 크라운과 지대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720, 730) 간의 틈 또는 간격이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지대치(710)에 부착되는 크라운과 지대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720, 730) 간의 틈이 큰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크라운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720, 730)에 껴서 잇몸의 염증 또는 치아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b는 임플란트 치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b 에 있어서, 도 7a 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b의 임플란트 치료는 도 7a 에서 설명한 크라운 치료와 유사하나, 도 7a 에서 설명한 지대치(710) 대신에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762)가 이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도 7b 에 있어서 어버트먼트(762)의 좌측에 배치되는 인접 치아(720)가 도 7a 에서는 부러진 치아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도 7b 에서는 정상 치아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7b의 750 영역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치료의 경우, 잇몸에 픽스쳐(fixture: 763)를 삽입하고, 픽스쳐(763)에 어버트먼트(762)가 결합되도록 한다.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서, 픽스쳐(763)는 치아의 뿌리 역할을 담당하며, 어버트먼트(762)는 지대치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어버트먼트(762)가 삽입된 구강을 스캔하거나 어버트먼트(762)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이 근거하여, 어버트먼트(762)와 결합되는 크라운(765)에 대한 디자인 모델이 생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762)와 결합되는 크라운(765)을 임플란트 크라운이라 칭하기도 하나, 이하에서는 호칭의 편의상 '크라운(765)'으로 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생성된 디자인 모델을 이용하여 크라운(765)이 제작되면, 크라운(765)을 어버트먼트(762)에 부착할 수 있다(S771). 구체적으로, 크라운(765)의 마진 라인(767)과 어버트먼트(762)의 마진 라인(761)이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크라운(765)을 어버트먼트(762)에 부착할 수 있다. 도 7b에 있어서, 어버트먼트(762)는 환자의 구강 구조 또는 환자의 치아에 맞춤형으로 제작된 어버트먼트(762)가 될 수 있다.
790 영역을 참조하면, 어버트먼트(762)에 크라운(765)이 부착되어 임플란트 치료가 완료된 구강이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치과 치료에 이용되는 인공물이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인레이 또는 크라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 크라운은 도 7a 에서 설명한 지대치(710)에 부착되는 크라운(713)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 7b에서 설명한 어버트먼트(762)에 부착되는 크라운(765)을 의미할 수 도 있다. 설명의 편의 상, 이하에서 언급되는 크라운은 도 7a 에서 설명한 지대치(710)에 부착되는 크라운(713)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는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일 흐름도이다. 또한, 도 8a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300, 400 또는 5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에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 될 수 있다. 도 8a에서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이 도 4에서 도시한 전자 장치(400)를 통하여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은 대상체(예를 들어, 치아 또는 치아에 대응되는 인상체 등)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을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획득한다(S810). 구체적으로, S810 단계는 프로세서(3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캔 모델은,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에 대한 크라운 치료를 하는 경우, 치아는 도 7a 에서 설명한 지대치(710)가 될 수 있다.
또는, 대상체는 도 7b 에서 설명한 임플란트 치료를 위한 임플란트 치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치료가 수행되는 경우, 지대치(710)에 대응되는 어버트먼트(762)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캔 모델은 임플란트 치료를 위하여 픽스쳐와 결합된 어버트먼트(762)를 스캔하여 획득되는 모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어버트먼트(762)를 스캔하여 획득되는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도 7b 에서 설명한 크라운(765)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크라운(765)을 스캔하여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도 8a를 포함하여 이하에 첨부될 도면에서는, 대상체가 치아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치아는 도 7a 에서 설명한 지대치(710)가 될 수 있다. 또는, 대상체인 치아는 7b에서 설명한, 지대치(710)에 대응되는 어버트먼트(762)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이하에서 기재되는 '치아'가 치아는 도 7a 에서 설명한 지대치(71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스캐너(100) 또는 스캐너(101)는 대상체를 스캔할 수 있다. 스캔이 되는 대상체는, 치아, 치아에 대응되는 인공물, 치아를 본 뜬 인상체, 치아에 대응되는 석고 모델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대상체(예를 들어, 도 7a 에서 설명한 지대치(710))를 스캔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스캐너(100)에서 치료 대상이 되는 치아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 예를 들어, 로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스캐너(100)는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료 대상이 되는 치아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대상체를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모델을 통칭하여 '모델'로 칭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치료 대상인 치아로, 인공물이 부착될 치아를 스캔하여 생성된 모델을 '제1 스캔 모델'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캔 모델은, 인공물이 부착되기 위해서 다듬어진 치아를 스캔하여 획득된 모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630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물이 결합 또는 부착될 치아 부분을 식각한 영역(631)을 포함하는 치아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라운(713)이 결합 또는 부착될 치아이며, 크라운 부착을 위해서 다듬어진 치아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762)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스캐너(100)에서 획득된 데이터, 예를 들어, 로우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는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술한 제1 스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는 생성된 제1 스캔 모델을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400)는 통신 인터페이스(320)를 통하여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된 제1 스캔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310)는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스캔 모델을 수신함으로써, 제1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스캐너(100)에서 획득된 데이터, 예를 들어, 로우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는 전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치료 대상인 치아를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는 스캐너(100)에서 전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는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도 있을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400)는 통신 인터페이스(320)를 통하여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을 생성하거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스캔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공물은 치아, 치은, 구강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또는 구강 내에 결합, 부착 또는 삽입 가능한 브라켓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임플란트, 인공 치아, 크라운, 인레이 및 온레이 등을 포함하는 치아 수복물, 구강 내 삽입되는 교정 보조 도구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인공물은 교정 장치, 임플란트, 인공 치아, 크라운, 인레이 및 온레이 등을 포함하는 치아 수복물, 구강 내 삽입되는 교정 보조 도구를 제작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석고 모델, 인상체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810 단계에서의 '인공물'이 크라운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400)는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치아에 부착될 인공물을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S810). 구체적으로, S810 단계는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한 컴퓨터 연산에 근거한 디자인을 통하여, 치아에 부착 또는 결합될 인공물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모델의 생성 동작은 프로세서(3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디자인 모델의 생성 동작은 외부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된 디자인 모델은 전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810 단계는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한 컴퓨터 기반 설계(CAD: Computer Aided Design)를 통하여, 상기 치아에 부착될 인공물을 3차원적으로 모델링한 디자인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컴퓨터 기반 설계(CAD: Computer Aided Design)에 따라 목적물을 디자인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CAD 시스템이라 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AD 시스템은,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다듬어진 치아에 부착될 인공물에 대한 디자인을 수행하여, 인공물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은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한다(S820). 구체적으로, S820 단계는 프로세서(3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400)는 제2 스캔 모델을 생성하거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캐너(100), 스캐너(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스캔 모델을 수신함으로써,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도 2의 100)는 인공물을 스캔하여 로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스캐너(100)는 실제로 제작된 인공물을 스캔할 수 있다. 그리고, S81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스캐너(100)는 획득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스캐너(100)가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한 로우 데이터는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술한 제2 스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는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400)는 통신 인터페이스(320)를 통하여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310)는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스캔 모델을 수신함으로써,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스캐너(100)가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 예를 들어, 로우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는 전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는 스캐너(100)에서 전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인공물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는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도 있을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400)는 통신 인터페이스(320)를 통하여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 또는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계속하여,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은 S810 단계에서 획득된 제1 스캔 모델과 S820 단계에서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한다(S830).
구체적으로, S830 단계는 프로세서(3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공물 내에서 지대치와 충돌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서,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과 지대치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을 정렬 및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830 단계는 대상체와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와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은 마진 라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체는 치아 또는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이고, 인공물이 크라운인 경우, '대상체와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은 마진 라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830 단계는 치료 대상인 치아를 절삭하는 경우, 절삭된 표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라인(예를 들어,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S810 단계에서 획득된 제1 스캔 모델과 S820 단계에서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S830).
도 6 내지 도 7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치료 대상인 치아는 인공물을 부착하기 위해서 절삭될 수 있다. 또는, 치료 대상인 치아는 충치가 존재하는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일부분이 절삭될 수 있다. 또한, 절삭되는 부분에는 치과 치료를 위한 인공물, 예를 들어, 인레이, 온레이, 크라운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치아에서 치료를 위하여 절삭된 치아의 단면을 '절삭면' 또는 '절삭된 표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절삭된 표면의 경계'는 치아 내에서 절삭면과 절삭되지 않은 면이 만나는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운 치료를 위하여 다듬어진 치아에 있어서 '절삭된 표면의 경계'는 마진 라인이 될 수 있다.
도 7b 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치과 치료가 임플란트 치료인 경우, 인공물은 임플란트의 크라운(765)이며 크라운(765)은 어버트먼트(762)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라운(765)과 어버트먼트(762)가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이 마진 라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인레이 치료 대상인 치아의 경우, 영역(631)이 절삭되어, 치아의 상부면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면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에서, 치과 치료를 위해서 인공물 부착을 위하여 '절삭된 표면'은 630 부분에 도시된 영역(631)을 형성하는 표면이 될 수 있다. 전술한 '절삭된 표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라인'은 647 라인 및 642 라인 중 적어도 하나 될 수 있다. 인공물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치과 치료를 위해서 치아 내에서 '절삭된 표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라인'은 642 라인이 될 수 있다. 또는, 절삭된 치아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치과 치료를 위해서 치아 내에서 '절삭된 표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라인'은 647 라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서 설명한 크라운 치료에서와 같이 인공물이 크라운인 경우, 전술한 '절삭된 표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라인'은 711 라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물이 크라운인 경우, 치아의 절삭된 표면을 크라운이 둘러쌓는 형태로, 치아와 크라운이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치아에서 '절삭된 표면의 경계'는 치아를 절삭하고 난 후에 절삭된 곳과 남은 곳의 경계가 되는 라인으로, 마진을 이루는 라인인 '마진 라인(margin line)'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치아에서 '절삭된 표면의 경계'는 크라운의 끝 라인(717)과 치아가 접하게 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a의 도시 예에서, 치아에서의 '절삭된 표면의 경계'는 711 라인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인공물은 도 7a 에서 설명한 크라운(713)이며, 전술한 '대상체와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 은 '마진 라인'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S830 단계는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830 단계는 상기 디자인 모델에서 상기 대상체의 마진 라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 상기 대상체의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
또한, S830 단계는, 2 단계에 걸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제1 스캔 모델과 디자인 모델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10)는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1차적으로 정렬하고, 상기 1차적으로 정렬된 디자인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2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전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대략적으로 정렬한 후, 2차적으로 마진 라인을 이용하여 정교하게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2단계 정렬 동작은 이하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S830 단계에서의 정렬 동작은 AI 기술에 근거한 신경망(Neural Network) 연산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신경망은 상호 결합 가능한 두 객체를 입력받고 입력된 두 객체가 정렬되도록, 학습 데이터(예를 들어, 제1 스캔 모델 및 제2 스캔 모델)를 학습(training)하여 신경망 내부의 가중치 값들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적화된 가중치 값을 가지는 신경망을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learning)함으로써, 목적하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의 신경망으로, 정렬의 대상이 되는 두 객체인 '제1 스캔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두 모델을 비교 및 정렬하여, 정렬된 '제1 스캔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NN 등의 신경망으로, 정렬의 대상이 되는 두 객체인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두 모델을 비교 및 정렬하여, 정렬된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치과 치료를 위해 절삭된 치아(또는, 다듬어진 치아)를 스캔하여 획득한 제1 스캔 모델과 인공물에 대응되는 디자인 모델을 결합하는 경우,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을, 호칭의 편의 상 '결합 모델'이라 칭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S830 단계는 이하에서 도 11 내지 도 16a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8a를 참조하면,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은 S830 단계에서의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제2 스캔 모델 내의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한다(S840). 구체적으로, S840 단계는 프로세서(3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840 단계는, S830 단계의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인공물이 부착될 치아와 인공물 간에 충돌하는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충돌하는 부분을 상기 오제작 부분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840 단계는, S830 단계의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인공물이 부착될 치아와 상기 치아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간에 충돌하는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충돌하는 부분을 상기 오제작 부분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840 단계는, S830 단계의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인공물이 부착될 치아와 상기 치아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간의 간격이 한계값 이상이 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한계값 이상이 되는 부분을 상기 오제작 부분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대치(710)에 부착되는 크라운과 지대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720, 730) 간의 틈이 큰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크라운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720, 730)에 껴서 잇몸의 염증 또는 치아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공물이 부착될 치아와 상기 치아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간의 간격이 한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도, 인공물이 오제작된 경우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제작 부분이란, 인공물을 치아에 부착 또는 결합하면, 치아에 불편함을 야기하거나, 치아와 충돌하거나, 인공물이 부착된 치아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와 충돌 또는 부정 교합이 발생되거나, 치아의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거나 하는 등과 같이, 인공물이 목적하는 형태로 제작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오제작 부분이란, 실제로 제작된 인공물이 디자인 모델과 다르게 제작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디자인 모델은 치아를 스캔하여 생성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컴퓨터 기반으로 디자인된 3차원 모델을 의미하므로, 디자인 모델과 완전히 동일하게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이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인공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작상의 오류 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물에 오제작 부분이 발생하면, 인공물을 수정하여 오제작 부분이 제거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는, 오제작 부분의 오제작 정도가 심하여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인공물을 신규로 다시 제작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치과의사, 치기공사 등의 치과 치료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인공물의 제작에 오류가 발생하여 인공물의 수정 또는 재 제작이 필요한 경우, 인공물 내의 오제작 부분을 빠르고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호칭의 편의 상, S840 단계에서 생성되는 '오제작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1 정보라 칭하도록 한다.
제1 정보는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에 있어서, 전술한 오제작 부분과 오제작되지 않은 부분을 서로 구별하여 표시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스캔 모델에 있어서 전술한 오제작 부분과 오제작되지 않은 부분을 서로 구별하여 표시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는, 제1 정보는 제2 스캔 모델에 있어서, 전술한 오제작 부분에 대한 깊이, 두께, 길이, 면적,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840 단계의 동작은 S830 단계에서 설명한 AI 기술에 근거한 신경망을 통한 연산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의 신경망으로, S830 단계에서 정렬된 '제1 스캔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두 모델을 비교 및 분석하여, 제2 스캔 모델에서 제1 스캔 모델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 및/또는 제2 스캔 모델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을 제1 정보로써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NN 등의 신경망으로, S830 단계에서 정렬된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두 모델을 비교 및 분석하여, 제2 스캔 모델에서 제1 스캔 모델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 및/또는 제2 스캔 모델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을 제1 정보로써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의 신경망으로, S830 단계에서 정렬된 '제1 스캔 모델'과 '제2 스캔 모델', 및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에 인접한 치아들의 위치 및 배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비교 및 분석하여, 제2 스캔 모델에서 제1 스캔 모델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 및/또는 제2 스캔 모델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을 제1 정보로써 출력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이하에서,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b는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흐름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1)과 S831 단계를 제외하고 도 8a에서 설명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과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도 8b에 있어서 도 8a 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1)은 S820 단계에 후속하여, S810 단계에서 획득된 디자인 모델과 S820 단계에서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할 수 있다(S831).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에서 추출된 마진 라인과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추출된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S830). 제2 스캔 모델(1200)이 나타내는 인공물은 디자인 모델(1120)에 근거하여 제작된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하고, 후속하여 S840 단계에서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오제작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도 9a는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흐름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0)에 있어서, 도 8a에서 설명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과 동일한 구성들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0)은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에 비하여, S85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0)은 S840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850 단계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400 또는 500) 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3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방법(900)에 있어서, S830 단계 대신에 S831 단계가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방법(900)은 도 8b에서 설명한 정보 제공 방법(801)에서 S85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방법(801)은 S840 단계에 후속하여 S850 단계의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개시된 실시예에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9b에 도시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1)에 있어서, 도 8a에서 설명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과 동일한 구성들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1)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1)은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에 비하여, S86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860 단계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 에 포함되는 통신 인터페이스(3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901)은 S840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외부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는 단계(S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미도시)는 도 2에서 설명한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8a에서 설명한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800)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의 사용자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S840 단계에서 생성된 제1 정보를 제공하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가 치기공소에 위치하며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의 사용자가 치기공사인 경우, 치기공소에서 원격지에 위치하는 치과에 있는 치과의사에게 제1 정보를 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는 통신 인터페이스(320)를 통하여 제1 정보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치과 의사가 사용하는 구강 진단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S860).
구체적으로, S860 단계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의 사용자의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의 사용자는 S840 단계에서 획득된 제1 정보가 특정 외부 장치예를 들어, 치과 의사가 이용하는 구강 진단 장치)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 400 또는 500)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S8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860 단계는 S840 단계의 완료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840 단계에서 제1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제1 정보를 자동으로 기 설정된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방법(901)에 있어서, S830 단계 대신에 S831 단계가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방법(900)은 도 8b에서 설명한 정보 제공 방법(801)에서 S86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방법(801)은 S840 단계에 후속하여 S860 단계의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작된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실제 환자의 치아에 결합 또는 부착시켜 보고, 크라운이 부착된 치아를 실제로 움직여 보거나 관찰해 보아야만, 크라운에 제대로 제작되었는지 또는 오제작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었다.
만약, 크라운에 오제작 부분이 존재한다면, 크라운을 다시 치기공소 등과 같은 크라운 제작소로 보내서 수정 작업을 하여야 한다. 또한, 다시 환자는 다시 치과에 방문하여, 크라운을 치아에 부착하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크라운 수정 작업, 환자의 치과 재방문 및 치과 의사의 반복적인 치료로 인하여, 치과 치료의 불편함 및 크라운 제작에 있어서의 비효율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도 1 내지 도9b를 참조하여 설명한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제작된 인공물을 환자의 치아에 직접 부착 또는 결합해보지 않고도, 실제로 제작된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1 스캔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여 비교함으로써, 인공물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디자인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여 비교함으로써, 인공물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크라운 등과 같은 인공물이 오제작된 경우라도, 환자의 치과 재방문 및 치과 의사의 반복적인 치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불편함 및 비효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300, 400 또는 500)서 제1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들을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들은,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스캔 모델(1000)은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예를 들어, 환자의 치아 또는 인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10을 포함하여 이하에서는, 치아(구체적으로, 지대치)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모델(1000)을 획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영역(1010)을 참조하면,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1020)는 크라운 치료를 위해서 식각 또는 다듬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치아(1020)에서 식각된 표면의 경계(1021)은 마진 라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캔 모델(1000)은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 만이 포함되도록 영역(1010)만을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제1 스캔 모델(1000)은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와 그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포함하는 영역을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스캔 모델이 치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 만을 포함하는 영역(1010)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캔 모델(1010)은 스캐너(예를 들어, 도 2의 100 또는 101)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스캔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환자의 치아를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제1 스캔 모델(1010)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스캐너(100)가 치아(1020)을 스캔하여 제1 스캔 모델(1010)이 획득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스캔 모델(1010)은 도 2에서 설명한 스캐너(100), 구강 진단 장치(120), 서버(170) 및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는 제1 스캔 모델(1010)을 생성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제1 스캔 모델(101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디자인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0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 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300)은 디자인 모델(1120)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은 제1 스캔 모델(1010)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치아(1020)에 부착될 인공물을 모델링한 모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은 치아(1020)에 부착할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3차원적으로 모델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디자인 모델(1120)은 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 및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공물이 치아(1020)에 부착된다는 것은, 인공물과 치아(1020) 사이에 틈이 없이 완전히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인공물과 치아(1020) 사이에 약간의 틈이 존재하여 그 사이에 접착을 위한 물질이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디자인 모델(1120)은 스캐너(100)로부터 치아(1020)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예를 들어, 로우 데이터,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제1 스캔 모델(1010), 또는 제1 스캔 모델(1010)에 대응되는 데이터 등)를 수신받는 구강 진단 장치(120), 서버(170) 및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진단 장치(120), 서버(170) 및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스캐너(100)로부터 치아(1020)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디자인 모델(1120)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치아(1020)를 스캔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1010)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스캐너(100),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된 제1 스캔 모델(1010)을 수신함으로써, 제1 스캔 모델(101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서 설명한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을 나타내는 결합 모델(1100)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모델(1100)은 도 10에서 설명한 제1 스캔 모델(1010)에 디자인 모델(1120)을 결합시켜 놓은 것이다. 예를 들어, 크라운 치료에 있어서, 크라운은 다듬어진 치아를 둘러싸는 형태로 크라운 치료의 대상이 되는 치아와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 모델(1100)에 있어서, 디자인 모델(1120)은 다듬어진 치아를 둘러싸는 크라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자인 모델(1120)이 획득되면, 디자인 모델(1120)에 근거하여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터(3-dimesional printer) 등과 같이 가상의 디자인을 실제의 물건으로 제작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디자인 모델(1120)에 대응되는 실제 물건인 크라운을 만들 수 있다.
도 12는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실제로 제작된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120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인공물이 크라운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도시하였으며, 제2 스캔 모델(1200)의 전면(1210)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 스캔 모델(1200)은 스캐너(예를 들어, 도 2의 100 또는 101)에서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스캔된 인공물을 3차원적으로 모델링 또는 복원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너(100)는 실제로 제작된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예를 들어, 로우 데이터,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1200), 또는 제2 스캔 모델(1200)에 대응되는 데이터 등)를 구강 진단 장치(120), 서버(170) 및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구강 진단 장치(120), 서버(170) 및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스캐너(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디자인 모델(1120)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실제로 제작된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스캔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스캐너(100 또는 101), 구강 진단 장치(120), 및 서버(17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된 제2 스캔 모델(1200)을 수신함으로써, 제2 스캔 모델(120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12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스캔 모델(1200)의 후면(1220)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캔 모델(1200)의 후면(1220)은 다듬어진 치아(예를 들어, 도 10의 1020)와 접하거나 마주하는 면이 될 수 있다.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1200)에는, 치아(1020)의 절삭면(또는, 인공물과의 접합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라인, 예를 들어, 마진 라인(1230)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마진 라인(1230)은 제2 스캔 모델(1200)의 안쪽 면 접합 선(1232)과 제2 스캔 모델(1200)의 바깥쪽 면 접합선(1231)에 의해서 형성되는 띠 형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라운의 마진 라인(1230)이 치아(1020)의 절삭면의 경계에 대응되며, 치아(1020)에서 절삭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라인(예를 들어, 도 7a의 711)과 크라운의 마진 라인(1230)이 상호 접촉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14a는 디자인 모델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4a는 도 11에서 설명한 디자인 모델(1120)의 안쪽면 중 일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도 14a에 있어서, 도 11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디자인 모델(1120)에 근거하여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이 제작되고, 그렇게 제작된 인공물을 스캔하여 도 12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제2 스캔 모델(1200)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캔 모델(1200)은 디자인 모델(1120)에 전체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a에 도시된 디자인 모델(1120)의 안쪽면 중 일 부분은, 도 13의 1310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디자인 모델(1120)에서 마진 라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에는 마진 라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을 분석하여 인공물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 각각에 대응되는 면들을 연결하는 모서리(예를 들어, 1411, 1412)를 마진 라인(1410)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을 분석하여 모델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을 연결하는 경계면(예를 들어, 1410)을 마진 라인에 대응되는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10)는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을 마진 라인에 대응되는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은 마진 라인에 대한 정보인 마진 정보(margin information)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의 생성 과정에서 마진 라인에 대응되는 부분이 식별될 수 있으며, 식별된 부분에 대하여 마진 포인트들(Margin points)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진 포인트들은 디자인 모델(1120)의 안쪽 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선(1412)을 복원하기 위한 데이터 값들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진 포인트들은, 3차원 모델링을 위한 메쉬 구조로 디자인 모델(1120)이 생성될 때, 디자인 모델(1120)의 안쪽 면의 경계에 대응되는 선(1412)을 나타내는 포인트들(예를 들어, 메쉬 구조의 꼭지점들)이 될 수 있다.
도 14b는 디자인 모델에서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4b에 있어서, 도 11 및 도 14a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도 14b를 참조하면, 디자인 모델(1120)에서 마진 라인(1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된 치아의 둘레와 접하도록 디자인 모델(1120)의 경계 모서리를 돌아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디자인 모델(1120)이 임플란트 크라운에 대응되는 모델인 경우,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은 어버트먼트와 접하는 면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에 포함되는 마진 정보를 이용하여 디자인 모델의 마진 라인(1410)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마진 라인을 표시한 디자인 모델(112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미도시)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표시된 마진 라인에 오류가 있는 경우, 디자인 모델(1120)에 포함되는 마진 라인 중 적어도 일부분을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의 프로세서(31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도 5의 350)을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마진 라인의 수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마진 라인의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진 라인이 수정되면, 프로세서(310)는 수정된 마진 라인을 표시한 디자인 모델(112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미도시)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디자인 모델(1120)에서 마진 라인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의 프로세서(31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도 5의 350)을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마진 라인을 지정 또는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마진 라인의 설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디자인 모델(1120)에 포함되는 마진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에 포함되는 마진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을 추출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을 식별하는 동작 및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정렬 동작을 이하에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개시된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6a는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6b는 인공물을 스캔하여 획득된 제2 스캔 모델에서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스캔 모델에서의 마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도 8a에서 설명한 정렬 동작(S83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15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에서 수행되는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 간의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동작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0 내지 도 14b 에서 설명된 구성들(예를 들어, 제1 스캔 모델(도 10의 1010), 디자인 모델(도 11, 도 14a, 및 도 14b의 1120), 제2 스캔 모델(도 12 및 도 13의 1200 등)을 참조하도록 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이 1차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디자인 모델(1120)을 이용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12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이 1차적으로 정렬되면, 제2 스캔 모델(1200)에 있어서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1410)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1230)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정렬 동작을 이하에서 S1520 단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의 정렬 동작은 2 단계에 걸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프로세서(310)는 제1 스캔 모델(1010)과 디자인 모델(1120)을 결합하고(S1510), 디자인 모델(1120)과 결합된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1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S1510).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2 스캔 모델(1200)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서,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하기 위해서, 디자인 모델(1120)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캔 모델(1010) 및 제2 스캔 모델(1200)은 마진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디자인 모델(1120)은 마진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자인 모델(1120)이 마진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자인 모델(1120)의 경계 라인을 찾아서 마진 정보를 만들거나, 사용자가 마진 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정보 및 마진 라인은 도 14a 및 도 14b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디자인 모델(1120)은 제1 스캔 모델(1010)을 기초로 형성하기 때문에, 디자인 모델(1120)과 제1 스캔 모델(1010)과 쉽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모델(1120)과 제1 스캔 모델(1010)을 결합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을 먼저 획득하고, 후속하여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S1520).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 간의 근접한 포인트들(closet points)를 탐색하고, 탐색된 근접한 포인트들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S1520).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310)는 제2 스캔 모델(1200)의 전체적인 형상과 디자인 모델(1120)의 전체적인 형상을 비교하여,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캔 모델(1200)과 디자인 모델(1120)의 정렬은 ICP(Iterative Closest Points) 기법, AI 기술, 수동 정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정렬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S1520 단계의 정렬은 전술한 '1차적 정렬'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S1520 단계의 정렬을 1단계 정렬로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6a를 참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과 디자인 모델(1120) 간의 1차 정렬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스캔 모델(1200)은 디자인 모델(1120)에 근거하여 제작된 인공물을 스캔한 모델이다. 따라서, 제2 스캔 모델(1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디자인 모델(112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스캔 모델(1200)과 디자인 모델(1120)의 정렬은 제2 스캔 모델(1200)의 전체적인 형상과 디자인 모델(1120)의 전체적인 형상을 비교하거나, 근접한 포인트들 또는 유사한 포인트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포인트들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캔 모델(1200)과 디자인 모델(1120)의 정렬은 상호 근접한 포인트를 찾아서 정렬하는 ICP(Iterative Closest Points) 기법, AI 기술, 수동 정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정렬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전술한 1차 정렬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스캔 모델(1200)과 디자인 모델(1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S1530).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다(S1530). S1530 단계에서의 정렬을 2단계 정렬 또는 2차적 정렬로 호칭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은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1410)에 근거하여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적으로 정렬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을 식별하고,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14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1230)에 근거하여, 제1 스캔 모델(1010)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S1530). 그에 따라서, 제1 스캔 모델(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의 정렬이 완료될 수 있다. S1530 단계는 이하에서 도 16b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6b를 참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마진 라인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이 1차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디자인 모델(1120)을 이용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123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이 1차적으로 정렬되면, 제2 스캔 모델(1200)에 있어서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1410)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1230)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진 라인(1230)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과 1차적으로 정렬된 제2 스캔 모델(1200)을 분석하여 마진 라인을 자동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6a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디자인 모델(1120)과 정렬된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전술한 근접 영역(1650)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근접 영역(1650)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정보에 포함되는 마진 포인트들을 기준으로, 디자인 모델(1120)과 1차적으로 정렬된 제2 스캔 모델(1200)의 근접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캔 모델(1200)에 설정된 근접 영역 내에서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을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델(1120)과 정렬된 제2 스캔 모델(1200)에 있어서,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1410)과 대응되는 제2 스캔 모델(1200) 영역을 '근접 영역(16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영역(1650)은 마진 라인을 포함하는 마진 라인의 인접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접 영역은 '디자인 모델(1120) 내에서 마진 라인(1410)을 포함하는 마진 라인(1410)의 인접 부분'과 대응되는 제2 스캔 모델(1200) 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프로세서(310)는 설정된 근접 영역(1650)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마진 라인을 추출하기 위한 근접 영역(1650)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수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근접 영역(1650)을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에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도 5의 350)을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근접 영역(1650)을 지정 또는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근접 영역(1650)을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프로세서(310)는 제2 스캔 모델(1200)의 근접 영역(1650) 내에서 마진 라인의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310)는 제2 스캔 모델(1200)을 분석하여,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라인(1410)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인공물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 각각에 대응되는 면들을 연결하는 모서리를 마진 라인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과 1차적으로 정렬된 제2 스캔 모델(1200)을 분석하여 인공물의 최 하단 둘레를 마진 라인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식별된 마진 라인(123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600)은 식별된 마진 라인(1230)이 표시된 제2 스캔 모델(1200)을 포함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0)는 마진 라인(1230)이 표시된 제2 스캔 모델(120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600)이 디스플레이(33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600)은 마진 라인(1230)에 대한 폭, 길이, 간격, 각도, 및/또는 면적 등과 같은 구체적인 수치 값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들(16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측정 도구들(1610)을 선택 또는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요청에 대응되는 측정값들을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측정 도구들(16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함으로써, 마진 라인(1230)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 값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진 라인(1230)의 일부 지점들에 대한 두께(또는 폭)을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 결과(1630)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600) 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마진 라인을 수동으로 변경 또는 재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또는 500)의 프로세서(31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도 5의 350)을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마진 라인을 지정 또는 식별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200) 내에서 마진 라인의 변경 또는 재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식별된 마진 라인을 표시한 제2 스캔 모델(120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600)이 디스플레이(33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 각각에서 마진 라인을 식별 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에서 추출된 마진 라인과 제2 스캔 모델(1200)에서 추출된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디자인 모델(1120)과 결합된 제1 스캔 모델(예를 들어, 도 10의 101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S1530).
또한, 제1 스캔 모델과 제2 스캔 모델의 정렬은 전술한 2단계의 정렬이 아니라,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과 같이, 프로세서(310)는 제1 스캔 모델(1010)과 디자인 모델(1120)을 결합한 후,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스캔 모델(1200)의 마진 라인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디자인 모델(1120)의 마진 정보와 입력된 마진 라인을 이용하여, 디자인 모델(1120)과 제2 스캔 모델(1200)을 정렬할 수 있다.
다시 도 8a를 참조하면, S830 단계의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제2 스캔 모델(1200) 내의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이하,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40). 또는, 다시 도 8b를 참조하면, S831 단계의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제2 스캔 모델(1200) 내의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이하,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40).
S840 단계에서 식별된 오제작 부분은 이하에서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제2 스캔 모델(1830)은 도 12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스캔 모델(120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310)는 제2 스캔 모델(1830)에 포함되는 오제작 부분(1810, 1820)을 식별하고,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캔 모델(1830)에서 제1 정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식별된 오제작 부분과 오제작 되지 않은 부분과 구별되도록 제2 스캔 모델(18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캔 모델(1830) 내에서 오제작 부분(1810, 1820)은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오제작 부분(1810, 1820)은 크라운의 안쪽면이 다듬어진 치아(예를 들어, 지대치)와 충돌하게 되는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제작 부분(1810, 1820)은 크라운을 깎아내는 등과 같이 수정 제작 해야 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캔 모델(1830) 내에서 오제작 부분(1810, 182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의도하는 데로 잘 만들어진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제2 스캔 모델(1830) 내에서 오제작 부분(1810, 1820)을 표시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도 9a 의 S85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된 제2 스캔 모델(1830) 내에서 오제작 부분(1810, 1820)을 표시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3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예를 들어, 크라운의 제작자)는 오제작 부분(1810, 1820)을 표시한 이미지을 보고, 표시된 부분에 대응되는 크라운의 안쪽 부분을 조금 더 식각함으로써, 크라운과 지대치가 충돌하지 않도록 크라운을 다시 가공 할 수 있다. 따라서, 크라운을 환자의 치아에 직접 결합시켜 보지 않고도, 크라운에서 오제작된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빠르게 재 가공을 완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310)는 도 9b 의 S86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된 제2 스캔 모델(1830) 내에서 오제작 부분(1810, 1820)을 표시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3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제2 스캔 모델(1900)은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스캔 모델(1200 또는 183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 스캔 모델(1900)의 바깥쪽이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2 스캔 모델(1900)의 바깥쪽 면(1920)을 기준으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와 충돌할 수 있는 부분을 오제작 부위로 식별하고, 제2 스캔 모델(1900)상에 식별된 부분(1910, 193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된 부분(1910, 1930)은 인접한 치아와 충돌하게 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식별된 오제작 부분에 있어서 오제작 정도에 따라서 복수개의 레벨들로 구별하고, 구별된 레벨들이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되도록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식별된 부분(1910, 1930)이 인접한 치아와의 충돌 정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부분(1910, 1930)이 인접한 치아와의 충돌 정도(구체적으로, 충돌되는 깊이, 폭 또는 두께)에 따라서 복수의 컬러 레벨들(1950)을 설정할 수 있고, 식별된 부분(1910, 1930)을 설정된 컬러 레벨에 대응되는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부분(1910, 1930)이 인접한 치아와 0.2mm 정도 충돌을 일으킬 경우, 복수의 컬러 레벨들(1950)에서 대응되는 레벨(예를 들어, 충돌 깊이가 0.05 0.250 mm)에 설정된 컬러(1951)로 식별된 부분(1910, 19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캔 모델을 획득하기 위하여 치료의 대상인 치아를 스캔하는데 있어서, 치료의 대상인 치아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함께 스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캔 모델은 치료의 대상인 치아 및 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나타내는 모델이 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스캔 모델은 치료의 대상인 치아(1020)과 그에 인접한 치아들을 포함하는 모델(1000)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스캔 모델(1900)과 제1 스캔 모델(1000)을 정렬한 결과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900)과 치료의 대상인 치아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가 충돌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제2 스캔 모델(1900)의 바깥쪽 면의 일부인 식별된 부분(1910, 1930)가, 그에 대응되는 디자인 모델보다 두껍게 제작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된 부분(1910, 1930)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가 충돌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된 부분(1910, 1930)에서 충돌의 정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된 부분(1910, 1930)을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10)는 제2 스캔 모델(1900)이 대상체(예를 들어, 지대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 및 대상체(예를 들어, 지대치)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정도를 복수개의 레벨들로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레벨들이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90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부분(1910)이 인접한 치아와 0.4mm 충돌하는 경우 식별된 부분(1910)은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식별된 부분(1930)이 인접한 치아와 0.7mm 충돌하는 경우 식별된 부분(1910)은 연두색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별된 부분(1910, 1930)을 표시한 제2 스캔 모델(1900)에서 사용자가 특정 지점(예를 들어, 1905)을 포인팅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포인팅된 지점(1905)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들(1960)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 도 16a 내지 도 19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프로세서(310)는 식별된 부분(1910, 1930)을 표시한 제2 스캔 모델(1900)을 포함하며, 제2 스캔 모델(1900) 내에서 구체적인 측정값들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0)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0)은 제2 스캔 모델(1900)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측정값,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단면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측정 도구들(161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선택된 측정 도구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 경우, 프로세서(31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측정 값, 단명 및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0) 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측정 도구들(161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제2 스캔 모델(1900)과 인접한 치아(2021)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2 스캔 모델(1900)과 인접한 치아(2021) 간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인 '0.133mm' (20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0) 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측정 도구들(161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제2 스캔 모델(1900)에서 오제작 부분으로 식별된 부분(1910, 또는 1930)에 대한 넓이 또는 면적의 크기를 측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1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 식별된 부분(1910, 또는 1930)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인 '12.918
Figure 112021011100280-pat00001
' 및 '3.475
Figure 112021011100280-pat00002
' 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0) 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제2 스캔 모델(1900)을 가로지르는 선(2040)을 그린 경우, 선(2040)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프로세서(310)는 선(2040)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이하, 도 21의 20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1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도 20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스캔 모델(1900)을 가로지르는 선(2040)을 그린 경우, 선(2040)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프로세서(310)는 선(2040)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20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2010)은 사용자가 그린 선(2040)에 의한 제2 스캔 모델(1900)의 수직 단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201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20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0)의 부분 화면 또는 서브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선(2040)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330)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이 도 20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0)에서 도 21에 도시된 단면(2010)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면(2010)을 참조하면, 선(2040)에 의해서 절단된 제2 스캔 모델이 도시되며, 치아(예를 들어, 지대치)(2050)를 둘러싸며 크라운(21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치아(2050)와 크라운(2100)의 사이 영역(2060)은 치아(2050)와 크라운(2100) 간의 접착을 위한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인공물(예를 들어, 크라운)의 오제작 부분에 대한 수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정보는, i) 오제작 부분을 어떻게 추가적으로 식각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선(예를 들어, '가이드 선'), ii) 몇 mm 의 깊이로 추가적으로 식각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팝업 창 또는 서브 화면, iii) 오제작 부분이 수정되려면 어떠한 길이, 면적 또는 부피를 갖는 영역에 대하여 어떠한 정도로 식각 또는 재가공 해야하는지를 나타내는 팝업 창 또는 서브 화면, iv) 수정이 불가능 한 경우,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신규 제작 해야함을 알리는 메시지 등의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정보는 제2 스캔 모델에서 추가적으로 식각 또는 수정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한 깊이, 면적, 부피,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정보는, 제2 스캔 모델(예를 들어, 1900)에 포함되는 오제작 부분들 각각에 대하여 생성 및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오제작 부분(1930)의 수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 및 오제작 부분(1910)의 수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가 개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19 또는 20에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들어, 1900 또는 2000)에 있어서, 오제작 부분을 선택 또는 포인팅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 또는 포인팅한 오제작 부분에 대응되는 가이드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들어, 1900 또는 2000) 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있어서,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오제작 부분(1930)을 선택하면,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오제작 부분(1930)의 수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가 팝업 창 또는 팝업 메시지 등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을 참조하면, 단면(201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크라운을 나타내는 제2 스캔 모델에서 추가적으로 식각 되어야 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가이드 선(2070)이 표시된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단면(2010) 상에서 크라운(2100) 내에서 오제작된 부분(구체적으로, 2070 영역 내의 부분)이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들어, 2000 또는 2010)은, 제2 스캔 모델에서 추가적으로 식각 또는 수정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한 깊이, 면적, 부피,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들어, 2000 또는 2010)은, 제2 스캔 모델에서 오제작 된 부분을 별도의 하이라이트 처리(2071)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는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은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 및 다중언어 번역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에 포함되는 단어들 각각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벡터 값들을 목표 언어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벡터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300: 전자 장치
310: 프로세서
311: 제어부
313: 영상 처리부
320: 통신 인터페이스
330: 디스플레이
340: 메모리
35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9)

  1.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에 대한 모델인,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내의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치아 또는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이고,
    상기 인공물은 크라운이며,
    상기 라인은 마진 라인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디자인 모델 내에서 상기 대상체의 마진 라인에 대응되는 제1 라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 상기 대상체의 마진 라인에 대응되는 제2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 상기 대상체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 및 상기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충돌하는 부분을 상기 오제작 부분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스캔 모델이, 상기 대상체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치아 및 상기 대상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정도를 복수개의 레벨들로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레벨들이 서로 다른 컬러, 투명도, 패턴, 기호, 도형,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인공물의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수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두께, 길이, 면적, 및 부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물은
    크라운, 인레이 또는 온레이인,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한 컴퓨터 기반 설계(CAD: Computer Aided Design)를 통하여,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을 3차원적으로 모델링한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결합된 상기 디자인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 각각의 전체 형상을 비교하여 1차적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적으로 정렬된 상기 디자인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마진 정보에 근거하여 2차적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14.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을 나타내는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상에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공물이 결합되는 경계면에 대응되는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모델의 마진 라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의 마진 라인에 근거하여, 상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된 상기 제1 스캔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전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오제작 부분에 대한 수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9.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제1 스캔 모델에 근거하여 생성되며 상기 대상체에 부착될 인공물에 대한 모델인, 디자인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모델에 근거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물을 스캔하여 생성된 제2 스캔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모델과 상기 제2 스캔 모델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스캔 모델에서의 오제작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스캔 모델 내의 상기 식별된 부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011797A 2020-09-07 2021-01-27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47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64766.7A EP4212126A1 (en) 2020-09-07 2021-09-07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ental treatment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ame
PCT/KR2021/012096 WO2022050809A1 (ko) 2020-09-07 2021-09-07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202180050221.8A CN115955947A (zh) 2020-09-07 2021-09-07 提供用于牙科治疗的信息的方法和执行其的电子装置
US18/041,905 US20230310126A1 (en) 2020-09-07 2021-09-07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ental treatment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4130 2020-09-07
KR1020200114130 2020-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451A KR20220032451A (ko) 2022-03-15
KR102472128B1 true KR102472128B1 (ko) 2022-11-30

Family

ID=8081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797A KR102472128B1 (ko) 2020-09-07 2021-01-27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5014A (ko) * 2022-06-22 2023-12-29 주식회사 메디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726A2 (en) 2008-10-29 2010-05-14 Inpront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implant planning and tooth implant kits
KR101444727B1 (ko) * 2014-03-18 2014-09-26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KR101801827B1 (ko) 2016-08-04 2017-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751B1 (ko) * 2016-12-19 2018-05-30 주식회사 디디에스 Cad 시스템, 보철물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모델 제작 방법
KR101862752B1 (ko) 2016-12-19 2018-05-30 주식회사 디디에스 Cad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방법 및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80B1 (ko) * 2014-07-04 2017-06-09 주식회사 인스바이오 치과 시술 시뮬레이션을 위한 치아모델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726A2 (en) 2008-10-29 2010-05-14 Inpront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implant planning and tooth implant kits
KR101444727B1 (ko) * 2014-03-18 2014-09-26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KR101801827B1 (ko) 2016-08-04 2017-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751B1 (ko) * 2016-12-19 2018-05-30 주식회사 디디에스 Cad 시스템, 보철물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모델 제작 방법
KR101862752B1 (ko) 2016-12-19 2018-05-30 주식회사 디디에스 Cad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방법 및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451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998B2 (en) Dental preparation guide
JP6118259B2 (ja) カスタム支台歯形成ガイドを設計及び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憶媒体
CN112243366B (zh) 三维口腔模型分析方法以及包括其的修复体设计方法
JP5154955B2 (ja) 口腔スキャニング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936082A1 (en) Method of processing three-dimensional scan data for manufacture of dental prosthesis
JP2009523552A (ja) 三次元データ取得の視覚化
CA3097483A1 (en) Designing a virtual preparation and a virtual gingival
KR102472128B1 (ko) 치과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200375705A1 (en) Scannable healing components
EP3560455A1 (en) Designing a virtual preparation and a virtual gingival
EP4212126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ental treatment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ame
KR20220107773A (ko) 삼차원 구강 모델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0242B1 (ko) 무치악 영역에 가상 보철물을 디자인하는 방법
KR102673346B1 (ko) 삼차원 구강 모델 처리 장치 및 삼차원 구강 모델 처리 방법
EP437481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240173078A1 (en) Data processing method
KR20220056770A (ko) 삼차원 구강 모델 처리 장치 및 삼차원 구강 모델 처리 방법
KR20230014628A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KR20240068667A (ko) 치아 수복 작업 흐름에서 자동화된 치아 관리
KR20220129476A (ko)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20169380A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KR20230055381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30029554A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