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912B1 -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912B1
KR102471912B1 KR1020207018254A KR20207018254A KR102471912B1 KR 102471912 B1 KR102471912 B1 KR 102471912B1 KR 1020207018254 A KR1020207018254 A KR 1020207018254A KR 20207018254 A KR20207018254 A KR 20207018254A KR 102471912 B1 KR102471912 B1 KR 10247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heat exchange
pin
exchange tub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9661A (en
Inventor
게이이치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6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21D53/085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with fins places on zig-zag tubes or paralle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열교환 튜브를 적층 핀의 투공에 확실하게 삽입시키기 위해, 적층 핀을 투공의 위치에 기초하여 정렬시키기 위한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서 적층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적층 핀(10)을 유지시키는 적층 핀 유지부(20)와,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에서의 일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투공(12)으로부터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으로 삽입되고, 타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투공(12)으로부터 삽입되는 열교환 튜브(T)의 선단부를 맞닿게 하는 복수의 안내봉(30)과, 복수의 안내봉(30)을 적층 핀 유지부(20)에 유지된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삽입시키는 안내봉 이동부(40)를 구비하고, 복수의 안내봉(30)은 외경 치수의 차이에 따라 복수 종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100)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for aligning a laminated fin based on a position of a through hole in order to reliably insert a heat exchange tube into a through hole of a laminated fin. As a solution, lamination is performed from the lamination pin holding portion 20 for holding the lamination pin 10 in a state in which the lamination state is maintained, and the through hole 12 opening in the end face on one side of the lamination pin 10 in the lamination direction.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ser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fins 10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ps of the heat exchange tubes T inserted from the through holes 12 opened to the other e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guide rods ( 30) into the hole 12 of the stacking pin 10 held in the stacking pin holding unit 20, and a guide rod moving part 40,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respond to differences in outer diameters. It is a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ypes are installed according to.

Figure 112020064959469-pct00001
Figure 112020064959469-pct00001

Description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본 발명은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적층 핀(stacked fins)의 각각의 핀에 형성된 투공(透孔)의 위치에 열교환 튜브를 삽입하기 위한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for inserting a heat exchange tube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each fin of stacked fins used in a heat exchanger. It is about.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쿨러 등의 열교환기는 투공(12)이 형성된 핀(11)을 복수매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핀(10)에서 투공(12)에 열 매체를 유통시키는 열교환 튜브(T)가 삽입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열교환 튜브(T)로서는 구리관을 중앙부에서 U자 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한 헤어핀 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열교환 튜브(T)를 삽입시키기 위한 열교환 튜브의 삽입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국제공개 번호 WO2017/061004)이나 특허문헌 2(일본 특개평9-108760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As shown in Fig. 24, a heat exchanger such as a cooler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ns 11 having through holes 12 formed thereon, and a heat exchange tube T through which a heat medium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s 12. It is composed by inserting. As such a heat exchange tube T, a hairpin-shaped tube formed by bending a copper tube in a U-shape at the center is used. As a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for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laminated fin 10, Patent Document 1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17/061004) or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9-108760) It is known that a configuration such as that disclosed in

열교환 튜브를 적층 핀의 투공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핀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투공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층 핀의 투공에 열교환 튜브를 삽입하기 전에 열교환 튜브의 안내봉을 투공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적층 핀을 구성하는 개개의 핀을 적층 방향에서 투공의 위치에 기초하여 정렬시키고 있다.In order to insert the heat exchange tube into the through-holes of the laminated fins, the positions of all through-holes formed in the fin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laminated fins must coincide. Therefore, as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before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laminated fin, by inserting the guide rod of the heat exchange tube into the through hole, the individual fins constituting the laminated fin ar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in the laminating direction. are sorted based on

국제공개 번호 WO2017/061004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17/061004 일본 특개평9-108760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9-108760

적층 핀을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투공의 직경 치수와 거의 동일 치수의 외경 치수를 갖는 안내봉을 투공으로부터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꽂아 넣도록 삽입시키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내봉을 사용한 경우, 안내봉과 투공과의 마찰에 의해 안내봉을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관통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외경 치수가 투공의 직경 치수에 대해 대폭 작은 안내봉을 사용하면, 적층 핀으로의 안내봉의 삽입 자체는 용이하게 되지만 적층 핀을 확실하게 정렬시킬 수 없어, 열교환 튜브의 삽입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In order to align the stacking pins, it is conceivable to insert a guide bar having an outer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so as to be inser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tacking pin from the through hole. However, when such a guide rod is used,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guide rod cannot be penetra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laminating pi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guide rod and the hole. On the other hand, if a guide rod whose outer diameter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used, the guide rod itself is easily inserted into the laminated fin, but the laminated fin cannot be reliably aligned, making it difficult to insert the heat exchange tube. have an assignmen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열교환 튜브를 적층 핀의 각각의 핀에 형성된 투공의 위치에서 정렬시킴으로써, 투공으로의 열교환 튜브의 삽입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s object is to provide a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capable of reliably and easily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into the through hole by aligning the heat exchange tube at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each fin of the laminated fins. .

즉,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적층 핀의 각각의 핀에 형성된 복수의 투공의 위치에 열교환 튜브를 삽입하기 위한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로서, 적층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층 핀을 유지시키는 적층 핀 유지부와, 상기 적층 핀의 적층 방향에서의 일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상기 투공으로부터 상기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삽입되고, 타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상기 투공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열교환 튜브의 선단이 맞닿아지는 복수의 안내봉과, 상기 복수의 안내봉을 상기 적층 핀 유지부로 유지된 상기 적층 핀의 상기 투공에 삽입시키는 안내봉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봉은 외경 치수의 차이에 따라 복수 종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for inserting a heat exchange tube into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each fin of a multilayer fin used in a heat exchanger, wherein the multilayer fin maintains the laminated fin in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d state is maintained. A holding portion and an end of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hole open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tacked fins on one side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tacked fins and inserted through the through-hole opened i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stacked fins A plurality of guide rod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guide rod moving part for inserting the plurality of guide rods into the hole of the piling pin held by the piling pin holder,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rods are of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outer diamet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이것에 의해, 열교환 튜브를 적층 핀의 각각의 핀에 형성된 투공에 삽입시키기 전에, 투공의 위치에서 안내봉을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관통시킬 수 있어, 적층 핀을 투공의 위치에서 적층 방향으로 확실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 튜브의 선단부를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관통한 안내봉의 선단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안내봉을 적층 핀으로부터 뽑는 것만으로, 열교환 튜브를 적층 핀의 투공 부분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efore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each fin of the laminated fin, the guide rod can be passed through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fin at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aminated fin can be reliably inserted in the lamination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sorting is possible. Then, the heat exchange tube can be easily and reliably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laminated fin simply by pulling out the guide rod from the laminated fin in a state where the tip of the heat exchange tube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guide rod penetrating the laminated fin in the laminating direction. can

또한, 상기 복수의 안내봉은 외경 치수가 상기 투공에 삽입되는 열교환 튜브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임과 아울러 상기 투공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은 직경 치수로 형성된 제1 안내봉과, 상기 외경 치수가 상기 열교환 튜브의 외경 치수의 98 내지 102%의 치수 범위이며 또한 상기 제1 안내봉보다도 작은 직경 치수로 형성된 제2 안내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rods include first guide rods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cond guide bar formed in a size range of 98 to 102%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bar and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guide bar.

이것으로, 적층 핀을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capable of reliably and efficiently aligning the stacking fin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tacking fins at low cost.

또한, 상기 복수의 안내봉은 상기 투공으로의 삽입측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캡부의 외경 치수가 복수 종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guide rod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outer diameter dimensions of the cap portion at the tip portion on the insertion side into the through hole.

이것으로, 안내봉에 부착하는 캡부의 외경 치수만을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캡부 이외의 부분의 구성을 공통화할 수 있다.With this, since only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 portion attached to the guide rod needs to be changed, the configuration of parts other than the cap portion can be made common.

본 발명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에 의하면, 안내봉을 적층 핀의 각각의 핀에 형성된 투공에 관통시킴으로써 적층 핀을 투공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내봉의 선단부에 열교환 튜브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안내봉을 적층 핀의 투공으로부터 뽑기 동작을 하면, 열교환 튜브를 적층 핀의 투공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inated fins can be aligned in advance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through-holes by passing the guide rod through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fins of the laminated fins. Then, when the guide rod is pulled out of the through hole of the laminated fin in a state where the heat exchange tub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stal end of the guide rod, the heat exchange tube can be easily and reli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laminated fin.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적층 핀에 있어서의 일부의 투공에 제1 안내봉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적층 핀에 있어서의 다른 투공에 제2 안내봉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열교환 튜브의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의 적층 핀에 있어서의 투공으로의 삽입 순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의 적층 핀에 있어서의 투공으로의 삽입 순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의 적층 핀에 있어서의 투공으로의 삽입 순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 이동부와 적층 핀 반송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으로의 안내봉의 삽입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 이동부와 열교환 튜브 삽입부의 개략 평면도 및 도면 중의 A화살방향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응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으로의 열교환 튜브의 삽입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이어지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4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적층 핀과 열교환 튜브의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in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minated fin in this embodime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guide rod is inserted into a partial hole in the laminated p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guide rod is inserted into another through-hole in the laminated pi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showing an inserted state of a heat exchange tub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showing the procedure of inserting guide rods into through-holes in laminated pins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showing the procedure of inserting guide rods into through-holes in laminated pins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showing the procedure of inserting guide rods into through-holes in laminated pins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guide rod moving part and a stacking pin conveying part in the third embodiment.
Fig. 10 is a schematic front view corresponding to Fig. 9;
Fig. 1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ep of inserting a guide rod into a lamination pin in the third embodiment.
Fig. 12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11;
Fig. 13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12;
Fig. 14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13;
Fig. 15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14;
Fig. 16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15;
Fig. 17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16;
Fig. 1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guide rod moving part and a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part in a third embodiment, and a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the drawing.
Fig. 19 is a schematic front view corresponding to Fig. 18;
Fig. 20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ep of inserting heat exchange tubes into laminated fins in the third embodiment.
Fig. 21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20;
Fig. 22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21;
Fig. 23 is a schematic front view continuing from Fig. 22;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minated fin and a heat exchange tube in the prior art.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Mode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100)는 적층 핀(10)을 유지시키는 적층 핀 유지부(20)와,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삽입되는 복수의 안내봉(30)과, 복수의 안내봉(30)을 이동시키는 안내봉 이동부(40)와, 동작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있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10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laminated fin holding portion 20 for holding the laminated fin 10, and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serted into through holes 12 of the laminated fin 10. and a guide rod moving unit 40 for moving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50.

본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10)과 열교환 튜브(T)의 사시도를 도 2에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10)은 복수매의 판 형상의 핀(11)이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것이다. 핀(11)에는 복수의 투공(12)이 복수단에 걸쳐 지그재그 형상(투공(12)의 위치가 이웃하는 열 또는 행에서 엇갈려 있는 상태)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화살표(X) 방향을 열 방향, 화살표(Y) 방향을 행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T)는 구리관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의 금속관이며,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의 외곡부(B)에서 U자 모양으로 구부려져 있다.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minated fin 10 and the heat exchange tube T in this embodiment. The laminated fins 10 in this embodiment are obtain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fins 11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In the fin 1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in a zigzag shape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12 are staggered in adjacent columns or rows) over a plurality of stages. In Fig. 2, the arrow X direction is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arrow Y direction is the row direction. In addition, the hairpin-shaped heat exchange tube T is a metal tu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 copper tube, and is bent into a U shape at a bent portion B at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적층 핀 유지부(2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 핀(10)의 적층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적층 핀(10)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적층 핀 유지부(20)로서는 스택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스택 핀(도시 생략)과 함께 적층 핀(10)을 꺼낸 적층 핀(10)을 적층 방향에서의 양단부로부터 맞닿는 맞닿음판(22)과, 대향하는 맞닿음판(22, 22)끼리를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도 1 내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접리 운동시키는 맞닿음판 구동부(24)로 이루어지는 클램퍼 구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적층 핀(10)을 맞닿음판(22)에 의해 적층 방향으로 클램프한 후, 스택 핀이 뽑아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적층 핀(10)으로부터 스택 핀을 뽑지 않는 상태로 해 둘 수도 있다. 맞닿음판 구동부(24)의 동작은 동작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tacking pin holding portion 20 holds the stacking pin 10 while maintaining the stacked state of the stacking pin 10 . As such a lamination pin holding portion 20, an abutting plate 22 that abuts the lamination pin 10 from both ends in the lamination direction, having taken out the lamination pin 10 together with the stack pin (not shown) from a stack device (not shown). and a clamper structure composed of abutting plate drive unit 24 that moves the opposing abutting plates 22 and 22 together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 can be used 1 and 2 show a state in which the stack pin is pulled out after the stack pin 10 is clamped in the stacking direction by the abutting plate 22, but the stack pin is not pulled out from the stack pin 10. can also be set to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plate driving unit 24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 유지부(20)의 맞닿음판(22)은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내측 끝가장자리(22A)가 적층 핀(10)의 투공(12) 형성면의 일부에 맞닿고, 제2 내측 끝가장자리(22B)가 적층 핀(10)의 측면과 소요 간격을 둔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맞닿음판(22)에 의하면, 적층 핀(10)의 적층 상태를 유지시키면서도, 각각의 핀(11)의 평면 위치를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 적층 핀 유지부(20)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서 제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utting plate 22 of the laminated pin holder 20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n L shape, and the first inner edge 22A is the surface where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of the laminated fin 10. , and the second inner edge 22B is in a state where the side surface of the laminated pin 10 and the required distance are spaced apart. According to such abutting plate 22,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lane position of each pin 11 can be mov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while maintaining the lamination state of the lamination pin 10. do.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laminated pin holding part 2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presented in this embodiment.

복수의 안내봉(30)은 적층 핀 유지부(20)에 의해 유지된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에서의 일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투공(12)으로부터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복수의 안내봉(30)은 최대 외경 치수가 각각 다른 제1 안내봉(30A)과 제2 안내봉(30B)을 가지고 있다. 제1 안내봉(30A)의 최대 외경 치수는 열교환 튜브(T)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임과 아울러 투공(12)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은 직경 치수의 외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2 안내봉(30B)의 최대 외경 치수는 열교환 튜브(T)의 외경 치수와 대략 동일한 직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안내봉(30B)의 최대 외경 치수는 열교환 튜브(T)의 98 내지 102%의 치수 범위이며, 또한, 제1 안내봉(30A)의 최대 외경 치수보다도 작은 직경 치수로 하고 있다.A plurality of guide rods 30 extend from through-holes 12 opened to one end face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held by the lamination pin holder 20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will be inserted.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 this embodiment have first guide rods 30A and second guide rods 30B having different maximum outer diameters.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rod 30A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 tube T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 . In contrast,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rod 30B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 tube T. In additio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rod 30B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within the range of 98 to 102% of the heat exchange tube T, and is small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rod 30A. I do it by size.

제1 안내봉(30A)과 제2 안내봉(30B)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부(30Ar(30Br))와 캡부(30Ac(30Bc))를 갖고, 로드부(30Ar(30Br))의 선단에 캡부(30Ac(30Bc))가 착탈 가능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부(30Ac)의 최대 외경 치수를 열교환 튜브(T)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임과 아울러 투공(12)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은 직경 치수의 외경 치수로 형성하고, 캡부(30Bc)의 최대 외경 치수를 열교환 튜브(T)의 외경 치수와 대략 동일한 외경 치수로 형성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안내봉(30A)의 로드부(30Ar)와 제2 안내봉(30B)의 로드부(30Br)는 외경 치수를 열교환 튜브(T)의 외경 치수 이하로 한 동일 직경 치수로 공통화할 수도 있다. 게다가, 제1 안내봉(30A)의 투공(12)으로의 삽입시의 마찰저항도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안내봉(30)은 최대 외경 치수가 다른 복수 종류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second guide rod 30B have a rod portion 30Ar (30Br) and a cap portion 30Ac (30Bc), and a rod portion (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p portion 30Ac (30Bc) is detachable from the tip of 30Ar (30Br) may be employed. In this case,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ap portion 30Ac is formed to be a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 tube T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 so that the cap portion 30Bc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the largest outer diameter dimension to substantially the same outer diameter dimension as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heat exchange tube (T). As a result, the rod portion 30Ar of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rod portion 30Br of the second guide rod 30B have the same diameter with an outer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 tube T. may be commonalized.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rictional resistance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first guide rod 30A into the through hole 12 can also be reduced.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rtant that a plurality of types of guide rods 30 having different maximum outer diameters are provided.

안내봉 이동부(40)는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에서 적층 핀(10)의 외부 위치로부터 복수의 안내봉(30)을 적층 핀(10)에 삽입 및 뽑기(도 1 중의 화살표(B) 방향으로 삽입 및 뽑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안내봉 이동부(40)로서는 유체 실린더 등으로 대표되는 직동 장치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 이동부(40)는, 동작 제어부(50)에 의해, 제1 안내봉(30A)과 제2 안내봉(30B)을 상이한 타이밍에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삽입하거나 뽑도록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The guide rod moving unit 40 inserts and pulls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to and out of the lamination pin 10 from an external posi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arrow B in FIG. 1 ). )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and extraction). As such a guide rod moving unit 40, a linear motion device represented by a fluid cylinder or the like is preferably used.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moves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second guide rod 30B at different timings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 is being controlled to insert or withdraw.

본 실시형태에서의 동작 제어부(5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핀 유지부(20)에 유지된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에서의 일방측의 끝면에 개구하고 있는 복수의 투공(12)의 일부에 제1 안내봉(30A)을 삽입하도록 안내봉 이동부(40)를 동작시킨다. 계속해서 동작 제어부(5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나머지의 투공(12)에 제2 안내봉(30B)을 삽입시키도록 안내봉 이동부(40)를 동작시킨다. 이때, 제1 안내봉(30A)은 이웃하는 복수개의 투공(12)에 대하여 1개의 투공(12)에 삽입시키면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투공(12)당 1개의 제1 안내봉(30A)을 삽입시키도록 안내봉 이동부(40)를 동작시키고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that are open at one end face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tacking pin 10 held by the stacking pin holding unit 20.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is operated to insert the first guide rod 30A into a part of the through hole 12 .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operates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so as to insert the second guide rod 30B into the remaining through hole 12 .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rod 30A only needs to be inserted into one through hole 12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 this embodiment, one first guide rod 30A per four through holes 12 ) is being operated to insert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이와 같이 외경 치수가 투공(12)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작은 제1 안내봉(30A)을 선행시켜 투공(12)의 일부에 삽입시킴으로써, 모든 제2 안내봉(30B)을 확실하게 투공(12)으로부터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안내봉(30A)에 의해 투공(12)을 변형시키지 않고 투공(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적층 핀(10)을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으로 확실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제1 안내봉(30A)에 선행시켜 제1 안내봉(30A)의 외경 치수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의 외경 치수로 형성된 제2 안내봉(30B)을 투공(12)에 삽입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투공(12)으로의 복수의 안내봉(30)의 삽입 처리를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In this way, by leading the first guide rod 30A, whose outer diamet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 and inserting it into a part of the through hole 12, all the second guide rods 30B are reli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It can be inserted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from .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align the stacking pins 10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tacking pins 10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s 12 without deforming the through holes 12 by the first guide rod 30A. have. In contrast to this, a second guide rod 30B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rod 30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prior to the first guide rod 30A. You can do it.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to the through holes 12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핀(10)으로부터 스택 핀을 뽑은 상태로 하여 안내봉(30)을 투공(12)에 삽입했지만,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핀(SP)이 삽입통과되어 있는 상태의 적층 핀(10)의 투공(12)에 복수의 안내봉(30)을 삽입할 수도 있다. 스택 핀(SP)이 삽입되어 있는 투공(12)에 대해서는, 제1 안내봉(30A)을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안내봉(30A)의 선단부를 스택 핀(SP)의 선단부에 맞대고, 제1 안내봉(30A)과 스택 핀(SP)의 맞댐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투공(12)에 대한 스택 핀(SP)의 뽑기와 제1 안내봉(30A)의 삽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스택 핀(SP)이 삽입통과되어 있음으로써, 어느 정도의 정렬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적층 핀(10)에 제1 안내봉(30A) 또는 제2 안내봉(30B)을 삽입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리하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bar 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with the stack pin pulled out of the stack pin 10, but a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3, the stack pin SP is inserted and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2 of the laminated pin 10 in a present state. Regarding the through hole 12 into which the stack pin SP is inserted,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first guide rod 30A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stack pin 10.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rod 30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tack pin SP, and while maintaining the abutted state between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stack pin SP, the stack for the through hole 12 is maintained. The extraction of the pin SP and the insertion of the first guide rod 30A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s the stack pin SP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of the stack pin 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uide rod 30A or the first guide bar 30A is attached to the stack pin 10 in a state where a certain degree of alignment is maintained. It is also advantageous at the point where two guide rods 30B can be inserted.

또한,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스택 핀(SP)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를 거치지 않고,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택 핀(SP)이 삽입되어 있는 투공(12)에 대해서는 스택 핀(SP)의 선단에 제1 안내봉(30A)의 선단을 맞닿게 한다. 그리고, 다른 투공(12)에는 제2 안내봉(30B)의 선단을 꽂아 넣는다. 이후, 투공(12)으로부터의 스택 핀(SP)의 뽑기 처리 및 제1 안내봉(30A)의 삽입 처리와, 투공(12)으로의 제2 안내봉(30B)의 삽입 처리를 각각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stack fin SP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stack fin 10, the state shown in FIG. 4 may be skipped through the state shown in FIG. 3 .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rod 30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tack pin SP for the through hole 12 into which the stack pin SP is inserted. Then, the tip of the second guide rod 30B is inserted into the other hole 12. Thereafter,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stack pin SP from the through hole 12 and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guide rod 30B into the through hole 12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respectively. have.

동작 제어부(50)는 적층 핀 유지부(20)와 안내봉 이동부(4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것이며,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pc의 CPU와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100)에 있어서의 동작 제어부(50)는 도시하지 않은 열교환 코어 제조 장치의 동작 제어부와 구성을 공통되게 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laminated pin holding unit 20 and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respectively, and the CPU and storage unit of a pc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100. It can be configured by a control program stored in advance in The operation controller 50 in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100 may have a common configuration with an operation controller of a heat exchange core manufacturing device (not shown).

이렇게 하여 적층 핀(10)에 있어서의 각각의 핀(11)의 위치를 투공(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정렬시킨 후, 동작 제어부(50)는 열교환 튜브(T)를 투공(12)에 삽입시키는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열교환 튜브(T)를 투공(12)에 삽입통과시키고 있다.In this way, after aligning the position of each fin 11 in the laminated fin 1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2, the operation controller 50 inserts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through hole 12 execute the action 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 tube T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as follows.

동작 제어부(50)는 도시하지 않은 열교환 튜브 삽입부에 적층 핀(10)의 타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투공(12)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제1 안내봉(30A) 및 제2 안내봉(30B)의 각각의 캡부(30Ac, 30Bc)에 열교환 튜브(T)의 선단을 맞닿게 한다(도 5 참조). 동작 제어부(50)는 열교환 튜브(T)의 선단을 캡부(30Ac, 30Bc)에 맞닿게 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안내봉 이동부(40)에 제1 안내봉(30A) 및 제2 안내봉(30B)을 적층 핀(10)의 투공(12)으로부터 도 5 내의 화살표 방향으로 뽑게 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안내봉(30A) 및 제2 안내봉(30B)의 투공(12)으로부터의 뽑기와 투공(12)으로의 열교환 튜브(T)의 삽입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적층 핀(10)이 열교환 튜브(T)를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includes first guide rods 30A and second guide rods 30B protruding from through-holes 12 opened on the other side end surfaces of the laminated fins 10 in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portions (not shown). The front end of the heat exchange tube 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 cap portions 30Ac and 30Bc of (see FIG. 5). The operation controller 50 moves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second guide rod ( 30B) from the hole 12 of the stacking pin 1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5. Thereby, the drawing|pulling out of the through hole 12 of 1st guide rod 30A and the 2nd guide rod 30B, and the operation|work of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through hole 12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is way, a heat exchanger obtained by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laminated fin 10 can be obtained.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복수의 안내봉(30)의 구성에 더하여, 최대 외경 치수가 제1 안내봉(30A)의 외경 치수와 제2 안내봉(30B)의 외경 치수의 중간 치수로 형성된 제3 안내봉(30C)을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제3 안내봉(30C)의 구성은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로드부(30Cr)와 로드부(30Cr)에 착탈 가능한 캡부(30Cc)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는 등에 의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다.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ximum outer diameter is halfway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rod 30B.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third guide bar 30C formed in dimensions.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guide rod 30C is configured of a rod portion 30Cr and a cap portion 30Cc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rod portion 30Cr, similarly to the previous embodiment. Since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common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동작 제어부(50)는 안내봉 이동부(40)에, 적층 핀 유지부(20)에 유지된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에서의 일방측의 끝면에 개구하고 있는 복수의 투공(12)의 일부에 제3 안내봉(30C)을 삽입시킨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50)는 안내봉 이동부(40)에, 다른 투공(12)의 일부(스택 핀이 삽입통과되어 있는 투공(12)인 것이 바람직함)에 제1 안내봉(30A)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50)는 안내봉 이동부(40)에, 나머지의 투공(12)에 제2 안내봉(30B)을 삽입시킨다.As shown in FIG. 6 ,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in this embodiment is directed to one side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ion pin 10 held by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and the lamination pin holding unit 20. The third guide bar 30C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2 opened on the end face of the .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moves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to a part of another through-hole 12 (preferably through-hole 12 through which the stack pin is inserted). The first guide bar 30A is inserted. Then, as shown in FIG. 8 ,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inserts the second guide bar 30B into the guide bar moving unit 40 and into the remaining through-holes 12 .

이때, 동작 제어부(50)는 최초에 투공(12)에 삽입되는 제3 안내봉(30C)을, 이웃하는 복수개의 투공(12)에 대하여 1개의 투공(12)에 삽입시키면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투공(12)당 1개의 제3 안내봉(30C)을 삽입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동작 제어부(50)는 제1 안내봉(30A)을 제3 안내봉(30C)이 삽입된 투공(12)에 의해 구분된 3개의 투공(12)의 중앙 위치의 투공(12)에 삽입시키고 있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50)는 제2 안내봉(30B)을 나머지의 투공(12)에 삽입시키고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only needs to insert the third guide rod 30C ini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 into one through-hole 12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 adjacent to each other. In , one third guide bar 30C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our through-holes 12 .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in this embodiment sets the first guide rod 30A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three through holes 12 divided by the through holes 12 into which the third guide rod 30C is inserted. (12) is inserted. Then, the operation controller 50 inserts the second guide bar 30B into the remaining through holes 12 .

이와 같이 동작 제어부(50)는 최대 외경 치수가 가장 큰 제1 안내봉(30A)의 삽입에 선행시켜 제1 안내봉(30A)과 제2 안내봉(30B)의 중간의 최대 외경 굵기의 제3 안내봉(30C)을 투공(12)의 일부에 삽입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3 안내봉(30C)의 투공(12)으로의 삽입통과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투공(12)의 직경 치수에 대한 제3 안내봉(30C)의 최대 외경 치수가 적당한 크기(제1 안내봉(30A)과 제2 안내봉(30B)의 중간의 최대 외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층 핀(10)의 사전 정렬이 이루어져, 제1 안내봉(30A)을 투공(12)에 삽입시킬 때의 마찰력을 작게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안내봉 이동부(40) 및 열교환 튜브 삽입부의 출력을 저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투공(12)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유리하다.In this way,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precedes the insertion of the first guide rod 30A having the largest maximum outer diameter, so that the third guide rod 30A and the second guide rod 30B have a maximum outer diameter in the middle. Guide rod 30C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rough hole 12. This allows the third guide bar 30C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 In additio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third guide rod 30C relative to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to an appropriate size (the middl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rod 30A and the second guide rod 30B). Therefore, the lamination pin 10 is pre-aligned, and the frictional force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first guide bar 30A into the through-hole 12 can be reduced.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utput of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and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unit can be reduced, and de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12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적층 핀(10)을 적층 방향으로 정렬시킨 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열교환 튜브 삽입부 및 안내봉 이동부(40)에 의해 열교환 튜브(T)의 선단부를 안내봉(30)에 맞닿게 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안내봉(30)을 투공(12)으로부터 뽑는 것만으로 열교환 튜브(T)를 투공(12)에 삽입시킬 수 있다.After aligning the stacking fins 10 in the stacking direction in this way, the front end of the heat exchange tube T is moved by the guide bar 30 by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unit and the guide bar moving unit 4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at exchange tube 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simply by pulling out the guide rod 30 from the through hole 12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ing state.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봉 이동부(40)에 접리 운동하는 적층 핀 반송부(60)에 스택 핀(SP)이 삽입된 상태의 적층 핀(10)을 반송시키고, 스택 핀(SP)이 삽입통과된 상태의 적층 핀(10)에 복수의 안내봉(30)을 삽입시키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안내봉(30)은 적어도 2종류의 직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앞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안내봉(30)이라 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 이동부(40)는 베이스부(41)와, 안내봉 직동 기구(42)와, 안내봉 지지체(44)와, 적층 핀 받이부(46)와, 적층 핀 누름부(48)를 가지고 있다. 안내봉 이동부(40)는 동작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고 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는 등에 의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다.In this embodiment, the lamination pin 10 in a state in which the stack pin SP is inserted is conveyed to the lamination pin conveyance section 60 that moves in and out of the guide rod moving section 40, and the stack pin SP is inserted.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are inserted into the stacked pins 10 in a passed state will be described. I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re formed in at least two types of diameters.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for simplicity of descrip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guide rod moving part 4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part 41, a guide rod linear mechanism 42, a guide rod support body 44, and a laminated pin. It has a receiving part 46 and a lamination pin pressing part 48. The operation of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 Sinc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mmon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explanations thereof are omitted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베이스부(41)는 평면시 형상이 장방형을 이루는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41)의 단부에는 안내봉 직동 기구로서의 유체 실린더(42)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유체 실린더(42)의 출력축에는 이동측 안내봉 지지체(44A)가 부착되어 있어 유체 실린더(42)의 출력축의 신축 동작에 동기하여 이동한다. 베이스부(41)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는 고정측 안내봉 지지체(44B)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 지지체(44)는 이동측 안내봉 지지체(44A)와 고정측 안내봉 지지체(4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안내봉(30)은 제1 단부가 이동측 안내봉 지지체(44A)에 연결되고, 복수의 안내봉(30)의 축선 방향이 수평하게 되도록 고정측 안내봉 지지체(44B)에 지지(삽입통과)된 캔틸레버 상태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base portion 41 is formed of a plate body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t the end of the base portion 41, a fluid cylinder 42 as a guide rod direct acting mechanism is arranged. A movable-side guide rod support 44A is attach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fluid cylinder 42, and moves in synchronism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output shaft of the fluid cylinder 42.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41, a fixed-side guide rod support 44B is erected and installed. Thus, the guide rod support 44 in this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the movable guide rod support 44A and the fixed side guide rod support 44B.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have first ends connected to the movable guide rod support 44A, and are supported (inserted) on the fixed guide rod support 44B so that the axi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s horizontal.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reciprocate in the cantilever state.

적층 핀 받이부(46)는 복수의 안내봉(30)의 축선 방향(왕복 운동 방향)으로 뻗어 설치되어 있다. 적층 핀 받이부(46)는 긴 선 형상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안내봉(30)의 축선 방향에 평행한 배열로 소요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적층 핀 받이부(46)에 재치된 적층 핀(10)은 투공(12)의 위치가 복수의 안내봉(30)의 높이 위치에 위치 맞추어져 있다.The laminated pin receiving portion 46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reciprocating mo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nd is provided. The laminated pin receiving portion 46 is formed in an elongated linear body, and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places at required intervals in an arrangement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 In the stacking pin 10 mounted on the stacking pin receiving portion 46, the position of the hole 12 is aligned with the height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베이스부(41)의 안내봉 직동 기구(42)와 대향하는 평면 위치에는 적층 핀 누름부(4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 누름부(48)는 핀용 유체 실린더(48A)와 핀용 유체 실린더(48A)의 축의 선단에 부착되고, 도면 중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스토퍼체(48B)를 가지고 있다. 핀용 유체 실린더(48A)는 유체 실린더(42)의 출력축의 신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축한다.Laminated pin pressing parts 48 are arranged in a plane position of the base part 41 facing the guide rod direct acting mechanism 42 . The laminated pin presser 48 in this embodiment has a fluid cylinder 48A for pins and a stopper body 48B that is attached to the tip of a shaft of the fluid cylinder 48A for pins and is expan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fluid cylinder 48A for pins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of the fluid cylinder 42 .

적층 핀 반송부(60)는 베이스부(6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적층 핀(10)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스택 핀(SP)을 파지하는 스택 핀 파지부(64)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62)는 평면시 형상이 장방형을 이루는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택 핀 파지부(64)는 스택 핀(SP)의 파지 상태와 비파지 상태가 전환 가능함과 아울러, 베이스부(6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리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적층 핀 반송부(6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적어도 도 10 내의 화살표(X) 방향 및 도 11 내의 화살표(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안내봉 이동부(40)에 대하여 접리 운동한다. 적층 핀 반송부(60)는 동작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has stack pin gripping units 64 at both ends of the base unit 6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old the stack pins SP inserted through the stacking pins 10 . The base portion 62 is formed of a plate body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The stack pin holding portion 64 is provided so that the stack pin SP can be switched between a holding state and a non-holding state, and can move in and out of the base portion 6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at leas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in FIG. 10 an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Z in FIG. 11 by a drive mechanism (not shown), and is attached to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make a tangential motion against The operation of 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적층 핀(10)에 대한 복수의 안내봉(30)의 삽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적층 핀 반송부(60)는 도시하지 않은 스택 장치로부터 스택 핀(SP)이 삽입통과된 상태의 적층 핀(10)을 받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 양단부로부터 돌출해 있는 스택 핀(SP)을 스택 핀 파지부(64)가 파지하고, 스택 장치로부터 적층 핀(10)을 스택 핀(SP)과 함께 받는다.Subsequently, a method for inserting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to the laminated pins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receives the stacking pins 10 in a state where the stacking pins SP are inserted from a stacking device (not show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the stack pins SP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stacking pins 10 in the stacking direction are gripped by the stack pin gripping portion 64, and the stacking pins 10 are removed from the stack device. is received along with the stack pin (SP).

적층 핀 반송부(60)는,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도 10의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한 후, 도 11의 화살표(Z) 방향으로 이동(동시에 이동해도 됨)하고, 적층 핀(10)을 적층 핀 받이부(46)에 재치한다. 적층 핀(10)이 적층 핀 받이부(46)에 재치되면, 스토퍼체(48B)가 도 11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신장(상승)하고, 적층 핀(10)의 적층 방향의 일방의 단부의 측방 위치에 대기시킨다. 다음에 적층 핀 반송부(60)는,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도 12의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택 핀(SP)의 선단부를 복수의 안내봉(30)의 선단부에 맞댄 상태, 및, 투공(12)의 위치에 복수의 안내봉(30)을 위치맞춤한(선단부를 꽂아 넣은) 상태로 한다. 스택 핀(SP)의 선단부와 복수의 안내봉(30)의 선단부를 맞닿게 한 후,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복수의 안내봉(30)측의 스택 핀 파지부(64)가 스택 핀(SP)의 파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스택 핀(SP)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한다.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in FIG. 10 and th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Z in FIG. 11 (may move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The laminated pin 10 is placed on the laminated pin receiving portion 46 . When the lamination pin 10 is placed on the lamination pin receiving portion 46, the stopper body 48B extends (rais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1, and the lateral position of one end of the lamination pin 10 in the lamination direction wait on Next, 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X in FIG. 12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and attaches the tips of the stack pins SP to the tips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 butted state and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rods 30 are positioned at positions of through holes 12 (tips are inserted). After bringing the tips of the stack pins SP into contact with the tips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s shown in FIG. 13, the stack on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s instructed by the operation controller 50. The pin holding portion 64 lift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o as to separate from the stack pin SP while canceling the holding of the stack pin SP.

다음에 적층 핀 누름부(48)는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핀용 유체 실린더(48A)를 도 14 중의 화살표 방향(안내봉 이동부(40)측)으로 수축(단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체(48B)에 의해 적층 핀(10)을 안내봉(30)측으로 밀어붙이듯이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유체 실린더(42)와 적층 핀 반송부(60)는,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도 15에 도시하는 화살표(X) 방향으로 복수의 안내봉(30)과 스택 핀(SP)을 동기시킨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적층 핀(10)의 투공(12)에 대한 복수의 안내봉(30)의 삽입과 스택 핀(SP)의 뽑기 동작이 동시에 행해진다.Next, the laminated pin pusher 48 shrinks (shortens) the pin fluid cylinder 48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4 (guide rod moving part 40 sid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 Thereby, as shown in FIG. 14, the lamination|stacking pin 10 is moved to the guide rod 30 side by the stopper body 48B by pushing. Subsequently, the fluid cylinder 42 and 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in response to instructions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move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nd stack pins SP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X shown in FIG. 15 . ) to a synchronized state. In this way, insertion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to the through holes 12 of the stacking pins 10 and pulling-out operations of the stacking pins SP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스택 핀(SP)이 적층 핀(10)으로부터 완전히 뽑아진 후,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택 핀(SP)으로부터 퇴피해 있던 스택 핀 파지부(64)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강)하여 스택 핀(SP)에 접근함과 아울러 스택 핀(SP)을 파지한다. 이 후,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적층 핀 반송부(60)는 안내봉 이동부(40)로부터 떨어진다(도 17).After the stack pin SP is completely pulled out from the stack pin 10, as shown in FIG. 16, the stack pin gripping portion 64 retracted from the stack pin SP moves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ile approaching the stack pin SP, the stack pin SP is gripped. After that,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the stacking pin transport unit 6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rod moving unit 40 (FIG. 17).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택 핀(SP)이 투공(12)에 삽입통과된 상태의 적층 핀(10)에 대하여 복수의 안내봉(30)을 투공(12)에 삽입통과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안내봉(30)을 삽입하기 전이어도 적층 핀(10)은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안내봉(30)의 적층 핀(10)의 투공(12)으로의 삽입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복수의 안내봉(30)을 동시에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삽입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with respect to the stack pin 10 in a state where the stack pin SP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Even before inserting the rod 30, the stacking pin 10 is in an aligned state. This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insert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to the through holes 12 of the stacking pins 10, and simultaneously insert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stacking pins 10 ( 12)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inserted.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안내봉 이동부(40)와 열교환 튜브 삽입부(70)의 평면도 및 도면 중의 A화살방향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다.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는 복수의 안내봉(30)을 삽입시킨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열교환 튜브(T)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는 베이스부(72)와 열교환 튜브 유지부(74)와 열교환 튜브(T)를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동부(76)를 가지고 있다.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는 안내봉 이동부(40)에 대하여 접리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는 동작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Fig. 18 is a plan view of the guide rod moving part 40 and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part 70 in this embodiment, and a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the drawing. Fig. 19 is a front view of Fig. 18;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part 70 is for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stacked fin 10 into which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re inserted.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portion 70 in this embodiment is an insertion drive unit for inserting the base portion 72, the heat exchange tube holding portion 74, and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laminated fin 10 ( 76) has.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part 70 is installed so as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moving part 40 .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unit 70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

베이스부(72)는 평면시 형상이 장방형을 이루는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 튜브 유지부(74)는 안내봉 이동부(40)측에 세워 설치된 고정측 유지부(74A)와 안내봉(30)의 축선 방향으로 접리 운동 가능한 이동측 유지부(74B)를 가지고 있다. 고정측 유지부(74A)에는, 열교환 튜브(T)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제1 관통구멍(74Aa)과 적층 핀 받이부(46)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제2 관통구멍(74Ab)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에 의해 안내봉 이동부(40)에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를 접리 운동시켜도, 열교환 튜브(T)나 적층 핀 받이부(46)가 고정측 유지부(74A)를 간섭하지 않는다. 이동측 유지부(74B)는 베이스부(72)의 상면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체(78)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base portion 72 is formed of a plate body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The heat exchange tube holding part 74 has a fixed side holding part 74A erected on the side of the guide rod moving part 40 and a moving side holding part 74B capable of retracting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uide rod 30. A first through-hole 74Aa for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T and a second through-hole 74Ab for inserting the laminated pin receiving portion 46 are provided in the fixed side holding portion 74A. have. Thus, even when the guide rod moving part 40 moves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part 70 away from it, the heat exchange tube T and the laminated fin receiving part 46 do not interfere with the fixed side holding part 74A.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74B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along a guide body 78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72 .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는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봉 이동부(40)에 동일한 높이 위치로부터 접근하여, 열교환 튜브(T)의 선단부를 복수의 안내봉(30)의 선단부에 맞댄 상태로 한다. 그리고 유체 실린더(42) 및 삽입 구동부(76)는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복수의 안내봉(30)과 열교환 튜브(T)가 맞닿은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도 21의 화살표(X) 방향으로 동기한 상태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적층 핀(10)에 대하여 투공(12)으로부터의 복수의 안내봉(30)의 뽑기 처리와 열교환 튜브(T)의 삽입 처리가 동시에 행해진다.As shown in FIG. 20,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portion 70 approaches the guide rod moving portion 40 from the same height posi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and sets the tips of the heat exchange tubes T in multiple directions. It is set in the state of facing the front end of the guide bar 30. Further, the fluid cylinder 42 and the insertion driving unit 76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nd the heat exchange tube 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X in FIG. move in sync with In this way, with respect to the laminated fin 10,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from the through hole 12 and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heat exchange tube 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핀(10)으로부터의 복수의 안내봉(30)의 뽑기 처리와 열교환 튜브(T)의 삽입 처리의 완료 후,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는 동작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봉 이동부(4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적층 핀(10)의 투공(12)에 열교환 튜브(T)를 삽입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열교환 튜브(T)가 삽입된 적층 핀(10)은 도시하지 않은 매니퓰레이터 등에 의해 안내봉 이동부(40)로부터 꺼내진다.Further, as shown in FIG. 22 , after completion of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from the stacked fins 10 and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heat exchange tube T,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unit 70 operates the operation control unit. By the instruction of (50), as shown in FIG. 23, it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rod moving part 40. In this way, the heat exchange tube 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laminated fin 10. The laminated fin 10 into which the heat exchange tube T is inserted is taken out of the guide rod moving part 40 by a manipulator or the like (not shown).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적합한 실시형태를 들어 여러 가지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개변을 시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투공(12)당 1개의 제1 안내봉(30A)을 삽입하고, 그 후, 다른 나머지의 투공(12)에 제2 안내봉(30B)을 삽입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안내봉(30A)의 외경 치수에 따라 제1 안내봉(30A)을 삽입할 투공(12)의 수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ways by citing suitabl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any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first embodiment, one first guide rod 30A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our through holes 12, and then the second guide rod 30B is inserted into the remaining through holes 12. Although the form was demon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m. Depending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rod 30A, the number of through holes 12 into which the first guide rod 30A is to be inserte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또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안내봉(30)은 2종류(제1 안내봉(30A)과 제2 안내봉(30B)) 또는 3종류(제1 안내봉(30A)와 제2 안내봉(30B)과 제3 안내봉(30C))의 외경 치수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안내봉(30)은 4종류 이상의 외경 치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are two types (first guide rods 30A and second guide rods 30B) or three types (first guide rods 30A). ) and the outer diameters of the second guide rods 30B and the third guide rods 30C),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plurality of guide rods 30 with four or more types of outer diameters.

더욱이,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봉(30A), 제2 안내봉(30B), 제3 안내봉(30C)은 모두 로드부(30Ar, 30Br, 30Cr)에 캡부(30Ac, 30Bc, 30Cc)를 착탈 가능하게 한 형태로 하고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형상의 제1 안내봉(30A), 제2 안내봉(30B), 제3 안내봉(30C)을 소위 원피스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게다가, 최대 외경 치수가 각각 다른 단순한 원통형의 봉체에 의해 제1 안내봉(30A), 제2 안내봉(30B), 제3 안내봉(30C)을 형성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guide rod 30A, the second guide rod 30B, and the third guide rod 30C are all attached to the rod portions 30Ar, 30Br, and 30Cr with cap portions ( 30Ac, 30Bc, 30Cc) is made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attached or detach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m. You may form the 1st guide rod 30A, the 2nd guide rod 30B, and the 3rd guide rod 30C of the shape demon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 in what is called a one-piece shape. In addition, the first guide rods 30A, the second guide rods 30B, and the third guide rods 30C may be formed by simple cylindrical rods having different maximum outer diameters.

또한, 적층 핀(10)으로의 열교환 튜브(T)의 삽입은 복수회로 나누어 행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투공(12)과 열교환 튜브(T)와의 마찰이 적어지기 때문에, 투공(12)으로의 열교환 튜브(T)의 삽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투공(12)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of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laminated fin 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imes. Since friction between the through hole 12 and the heat exchange tube T is reduced by this, insertion of the heat exchange tube T into the through hole 12 is facilitated and damage to the through hole 12 can be prevented. advantageous in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봉 이동부(40)에 대해 동일한 높이 위치로부터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를 접리 운동시키고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교환 튜브 삽입부(70)는 적층 핀 반송부(60)와 마찬가지로 안내봉 이동부(40)에 대하여 평면 방향 및 높이 방향(소위 3차원 방향)으로 접리 운동 가능해도 된다.Furth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portion 70 is moved in and out from the same heigh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moving portion 4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m.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portion 70 may be retractable and retractable in the plane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so-called three-dimens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moving portion 40, similarly to the laminated pin conveying portion 60.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 및 명세서 중에서의 각 변형예를 적당히 조합시킨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is invention to employ|adopt the form which combined the above embodiment and each modified example in specification suitably.

Claims (3)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적층 핀의 각각의 핀에 형성된 복수의 투공의 위치에 열교환 튜브를 삽입하기 위한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로서,
상기 투공에 스택 핀이 삽입된 채로서 적층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층 핀을 유지시키는 적층 핀 유지부와,
상기 적층 핀의 적층 방향에서의 일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상기 투공으로부터 상기 적층 핀의 적층 방향으로 삽입되고, 타방측의 끝면에 개구하는 상기 투공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열교환 튜브의 선단이 맞닿아지는 복수의 안내봉과,
상기 복수의 안내봉을 상기 적층 핀 유지부로 유지된 상기 적층 핀의 상기 투공에 삽입시키는 안내봉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봉은 외경 치수의 차이에 따라 복수 종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봉 이동부는 상기 스택 핀의 선단부에 상기 안내봉의 선단부를 맞댐과 아울러, 상기 안내봉과 상기 스택 핀의 맞댐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투공으로부터의 상기 스택 핀의 뽑기와 상기 투공으로의 상기 안내봉의 삽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
A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for inserting a heat exchange tube into a position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each fin of laminated fins used in a heat exchanger,
a stacking pin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stacking pin in a state where the stacking pi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maintaining a stacked state;
A plurality of ends of the heat exchange tubes inserted in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laminated fins from the through-holes opened to one end face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laminated fins and inserted from the through-holes opened to the other end surfac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guide rod of
a guide rod moving portion for inserting the plurality of guide rods into the through-holes of the piling pin held by the piling pin holding portion;
The plurality of guide rods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outer diameter dimensions,
The guide rod moving unit abuts the front end of the guide rod with the front end of the stack pin, and pulls out the stack pin from the through hole and inserts the guide ro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maintaining the abutted state between the guide rod and the stack pin.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내봉은
외경 치수가 상기 투공에 삽입되는 열교환 튜브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임과 아울러 상기 투공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은 직경 치수로 형성된 제1 안내봉과,
상기 외경 치수가 상기 열교환 튜브의 외경 치수의 98 내지 102%의 치수 범위이며 또한 상기 제1 안내봉보다도 작은 직경 치수로 형성된 제2 안내봉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guide rods
a first guide rod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guide rod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guide rod, the outer diameter of which is within a range of 98 to 102%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 tub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내봉은 상기 투공으로의 삽입측의 선단 부분에서의 캡부의 외경 치수가 복수 종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rod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outer diameters of the cap portion at the front end portion on the insertion side into the through hole.
KR1020207018254A 2018-04-05 2018-04-05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KR1024719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4583 WO2019193709A1 (en) 2018-04-05 2018-04-05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661A KR20200139661A (en) 2020-12-14
KR102471912B1 true KR102471912B1 (en) 2022-11-30

Family

ID=6810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254A KR102471912B1 (en) 2018-04-05 2018-04-05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23981B2 (en)
KR (1) KR102471912B1 (en)
CN (1) CN111727090B (en)
WO (1) WO201919370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6861A (en) * 2020-09-30 2021-01-29 扬中申扬换热设备有限公司 Pipe penetrating tool
CN112296656B (en) * 2020-10-22 2022-04-08 南京国佑智能化系统有限公司 Automatic pipe penetrating method and production line of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without pipe supplementing process
CN113319563B (en) * 2021-06-22 2022-04-08 全椒赛德利机械有限公司 Automatic feeding pipe penetrating mechanism based on gilled tube radi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776A (en) * 2011-06-17 2013-01-07 Hitachi Applian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JP2014166647A (en) * 2013-01-31 2014-09-11 Daikin Ind Ltd Heat transfer pipe inser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182B2 (en) * 1995-10-19 1999-01-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utomatic temporary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JP6435346B2 (en) * 2014-12-26 2018-12-05 日高精機株式会社 Production equipment for heat exchanger fins
US10406588B2 (en) * 2015-06-18 2019-09-10 Hidaka Sei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inserting flattened tubes into heat exchanger fins
JP6503468B2 (en) * 2015-10-08 2019-04-17 日高精機株式会社 Hairpin-shaped heat exchange tube guiding device and hairpin-shaped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776A (en) * 2011-06-17 2013-01-07 Hitachi Applian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JP2014166647A (en) * 2013-01-31 2014-09-11 Daikin Ind Ltd Heat transfer pipe inser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23981B2 (en) 2021-08-25
JPWO2019193709A1 (en) 2020-12-03
WO2019193709A1 (en) 2019-10-10
CN111727090B (en) 2022-03-22
CN111727090A (en) 2020-09-29
KR20200139661A (en)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912B1 (en) heat exchange tube insertion device
CN107206555B (en) taking-out device for flat tube fin
JP5445876B2 (en) Flat tube fin manufacturing equipment
CN109890531B (en) Arrangement device for hairpin-shaped heat exchange tubes
JPWO2017006446A1 (en) Flat tube insertion device for heat exchanger fins
WO2017077635A1 (en) Hairpin shaped heat exchange tube alignment device
JP6503468B2 (en) Hairpin-shaped heat exchange tube guiding device and hairpin-shaped heat exchange tube inserting device
CN109996618B (en) Arrangement device for hairpin-shaped heat exchange tubes
JP5582004B2 (en) Fixing method of heat transfer tube runout prevention bar
JP5174725B2 (en) Ring support device
KR102185651B1 (en) Stacking device of core for heat exchanger
JP7037195B2 (en) Hairpin heat exchange tube alignment device
WO2019167192A1 (en) Transfer device
JP6635829B2 (en) Bending apparatus and bending method for heat exchanger
JP6446276B2 (en) Tip alignment device and wire separation unit
US20230327508A1 (en) Stator assembly apparatus and stator assembly method
KR102469479B1 (en) Apparatus for Inserting Hairpins of Stator
JP2006035276A (en) Tube expanding apparatus
CN109906124B (en) Guide device for hairpin-shaped heat exchanger tubes
KR100982749B1 (en) Gripper assembly for apparatus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KR102471906B1 (en) Rod-shaped object clamping device
JP5388694B2 (en) Rack insertion method and system for rods
JP2006339085A (en) Automatic pressure connector
JP2003081501A (en) Positioning conveyor for workpiece
JPS599876A (en) Cable pressure conta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