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869B1 -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1869B1 KR102471869B1 KR1020210009056A KR20210009056A KR102471869B1 KR 102471869 B1 KR102471869 B1 KR 102471869B1 KR 1020210009056 A KR1020210009056 A KR 1020210009056A KR 20210009056 A KR20210009056 A KR 20210009056A KR 102471869 B1 KR102471869 B1 KR 1024718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terminal
- bending member
- connector
- b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유연성이 있는 휨 부재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를 하우징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11A)과, 제1 하우징(11A)에 장착되는 제1 단자(51A)와, 제1 하우징(11A)과 다른 형체의 제2 하우징(11B)과, 제2 하우징(11B)에 장착되는 제2 단자(51B)와, 제1 단자(51A)와 제2 단자(51B)가 양단에 접속되어,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1B)을 연결하는 휨 부재(81)와, 휨 부재(81)가 삽입 관통되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을 갖고, 휨 부재(81)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1B) 사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 부재(41)를 구비한다.A connector capable of accurately and easily inserting terminals positioned at both ends of a flexible bendable member into a housing in a short ti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or.
The connector 10 comprises a first housing 11A, a first terminal 51A attached to the first housing 11A, a second housing 11B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ousing 11A, and a second housing 11B. 2 The second terminal 51B mounted on the housing 11B, and the first terminal 51A and the second terminal 51B are connected at both ends to connect the first housing 11A and the second housing 11B. and a bending member insertion cavity 44 through which the bending member 81 is inserted, and the first housing 11A and the second housing ( 11B), an alignment member 41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개시는, 커넥터 및 그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nnec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or.
종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 등에 있어서, 각종 기판과 구동되는 각종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각종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connectors are known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various substrates and various components to be driven in electric devices,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하우징 내에 형 빼기 공간을 없애 방수성이나 방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또한 랜스부를 하우징이나 단자에 형성하지 않고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게다가 단자의 원주 방향에서의 방향에 관계없이 단자를 하우징에 결합할 수 있도록, 커넥터의 구성에 대하여 고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우징과, 전선의 선단에 압착 고정되는 단자와, 이 단자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리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전제로 하여, (가)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하우징(1)에 걸림 고정하는 리테이너 걸림 고정 수단과, (나) 상기 단자를 상기 리테이너에 걸림 고정하는 단자 걸림 고정 수단과, (다) 상기 하우징과 단자를 상기 리테이너를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th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erminal so that waterproof and dustproof properties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mold-out space in the housing, and so that the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without forming a lance part on the housing or terminal. For the purpose of devi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so that the terminal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without the premise of a connector consisting of a housing, a terminal crimpedly fixed to the tip of the wire, and a retainer coupling the terminal to the housing, (a) a retainer engaging means for engaging and fixing the retainer to the housing 1, (b) a terminal engaging means for engaging and fixing the terminal to the retainer, and (c) retaining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with the retainer. Discloses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hrough.
그러나, 특허문헌 1이 개시하고 있는 커넥터는, 유연성이 있는 전선의 한쪽 측에 마련된 단자가 하우징에 삽입되고, 전선의 다른 쪽 측은 다심 환형 케이블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이 개시하고 있는 커넥터를, 전선의 양단측에 단자 및 하우징을 구비하는, 이른바 중계용 전선 부착 커넥터에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단부에 리테이너와 하우징이 필요해지고,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가), (나) 및 (다)의 구성이나 각각의 걸림 고정, 결합 작업이 필요해진다.However, in the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a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a flexible wire is inserted into a hous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is a multi-core round cable. Therefore, when the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is used for a so-called connector with wires for relay having terminals and housings on both ends of electric wires, retainers and housings are required at each end, and at each end, the above (A), (B), and (C) configurations, each locking and coupling work are required.
본 개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 등의 휨 부재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를 하우징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및 그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accurately and easily inserting terminals located at both ends of a bending member such as an electric wire into a housing in a short ti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or. there is something
본 개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개시에 관한 제1 양태는, 커넥터로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체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휨 부재와,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을 갖고,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housing, a first terminal mounted on the first housing, and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a second terminal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a bending memb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t has a bending member insertion cavity through which a member is inserted, and an aligning member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또한, 본 개시에 관한 제2 양태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체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휨 부재와,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을 갖고,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양단에 접속된 휨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정렬 부재를 겹치는 공정과,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정렬 부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휨 부재가 상기 정렬 부재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정렬 부재를 상기 제2 단자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정렬 부재에 삽입 관통하고, 그 선단측의 접촉편을 상기 정렬 부재로부터 돌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정렬 부재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단자의 접촉편을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하고, 또한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하여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housing, a first terminal mounted on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a terminal, a bending memb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a bending member insertion cavity through which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member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in which a bend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connected at both ends A step of preparing a bending member, a step of overlapp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alignment member, a step of attaching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housing by inserting and penetrating the alignment member, and A step of moving the alignment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member; and a step of accommodating the contact piece of the second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alignment member in the second housing, and accommodating and mounting the second terminal in the second housing.
본 개시에 의하면, 전선 등의 휨 부재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를 하우징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및 그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accurately and easily inserting terminals located at both ends of a bendable member such as an electric wire into a housing in a short ti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nector.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후의 사시도이며, 그의 제1 하우징에 접속되는 제1 상대 커넥터를 포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렬 부재의 사면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 (d)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하우징의 사면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 (d)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하우징의 사면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 (d)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휨 부재의 이면도로서, (a)는 제1 측면도, (b)는 (a)와는 교차하는 방향에서 본 제2 측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제1 하우징에 제1 상대 커넥터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휨 부재의 제1 단자측을 정렬 부재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렬 부재를 제1 하우징에 걸림 결합시켜, 휨 부재의 제1 단자를 제1 하우징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휨 부재의 제1 단자가 제1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렬 부재를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켜, 정렬 부재에 의해 휨 부재의 제2 단자를 규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 정렬 부재에 의해 휨 부재의 제2 단자가 규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렬 부재에 의해 규제된 휨 부재의 제2 단자를 제2 하우징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렬 부재를 휨 부재의 제2 단자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 휨 부재의 제2 단자로부터 이격된 정렬 부재가 제1 하우징에 탑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렬 부재의 사면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저면도, (c)는 측면도, (d)는 (a)에서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하우징의 사면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저면도, (c)는 측면도, (d)는 (a)에서의 B-B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휨 부재의 제2 단자 근방의 도면으로서, (a)는 제1 측면도, (b)는 (a)와는 교차하는 방향에서 본 제2 측면도, (c)는 (a)와는 반대의 방향에서 본 제3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렬 부재를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켜, 정렬 부재에 의해 휨 부재의 제2 단자를 규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있어서, 정렬 부재의 상면측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렬 부재에 의해 규제된 휨 부재의 제2 단자를 제2 하우징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렬 부재를 제2 하우징에 장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조립 후의 도면이며, (a)는 상면도, (b)는 (a)에서의 C-C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b)에 있어서, 주요부를 확대한 주요부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before assembly.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fter assembly, including a first mating connector connected to its first housing.
Fig. 3 is an oblique view of the alignment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rein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bottom view, and (d) is a sectional view.
Fig. 4 is an oblique view of the first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rein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bottom view, and (d) is a sectional view.
Fig. 5 is an oblique view of the second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rein (a) is a top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bottom view, and (d) is a sectional view.
Fig. 6 is a rear view of the be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rein (a) is a first side view and (b) is a second side view seen from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a first hous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inserting the first terminal side of the bending member into the alignment member.
Fig. 9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engaging the alignment member with the first housing and inserting the first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into the first housin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in FIG. 9 .
Fig. 1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separating the alignment member from the first housing and restric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by the alignment member.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is restricted by the aligning member in FIG. 11 .
Fig. 1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inser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restricted by the alignment member into the second housing.
Fig. 1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separating the aligning member from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lignment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in FIG. 14 is mounted on the first housing.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efore assembly.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fter assembly.
Fig. 18 is an oblique view of an alignment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herein (a) is a top view, (b) is a bottom view, (c) is a side view, and (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by AA arrow in (a).
19 is an oblique view of a second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herein (a) is a top view, (b) is a bottom view, (c) is a side view, and (d) is a BB arrow sectional view in (a). .
20 is a view of the vicinity of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rein (a) is a first side view, (b) is a second side view seen from a direction crossing with (a), and (c) is ( It is a 3rd side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a).
Fig. 2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separating the alignment member from the first housing and restric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by the alignment member.
Fig. 22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face side of the aligning member in Fig. 21;
Fig. 2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inser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bending member constrained by the alignment member into the second housing.
Fig. 2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step of attaching the alignment member to the second housing.
Fig. 25 is a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fter assembly, wherein (a) is a top view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by the CC arrow in (a).
Fig. 2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in Fig. 25(b), in which the main part is enlarged.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설명의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 시에, 커넥터(10) 및 기타 부재의 각 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상대적인 것으로, 각 도면에 나타나는 자세에 있어서 적절하지만, 자세가 변화했을 경우에는, 그 자세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1st embodiment concerning this indica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and demonstrated to the same elem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mbodiment. Also, in the description, "top", "bottom", "left", "right", "front", "back", etc., used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커넥터(10)의 전체 개요)(overall overview of connector 10)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0)는, 기판(미도시)과, 기판에 대향하는 상대방 부재(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이다. 또한, 양자의 위치 관계에 일정한 폭을 부여하는 유연성을 구비한, 이른바 플로팅 커넥터의 일종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기판은, 예를 들어 전기 기기, 전자 기기 등에 이용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어도 된다.The
커넥터(10)는, 조립 전의 분해도인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측의 제1 하우징(11A)과, 제1 하우징(11A)에 장착되는 제1 단자(51A)와, 제1 하우징(11A)과는 별개의 상측의 제2 하우징(11B)과, 제2 하우징(11B)에 장착되는 제2 단자(51B)와, 제1 단자(51A)와 제2 단자(51B)가 양단에 접속되어,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1B)을 연결하는 유연성을 갖는 휨 부재(81)와, 그리고, 휨 부재(81)가 삽입 관통되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을 갖고, 휨 부재(81)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1B) 사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정렬 부재(41)를 구비한다.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1B)은, 일부 공통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본 개시에 있어서 양자를 통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1)으로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As shown in Fig. 1, which is an exploded view before assembly, the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1B)의 배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에서는, 제1 하우징(11A)을 기판에 접속하는 측, 제2 하우징(11B)을 전기 기기 등에 접속하는 측으로서 설명한다. 하우징(11)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휨 부재(81)는, 동심원상으로 내측과 외측에 복수열이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원상으로 4개 배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휨 부재(81)는, 도전성 및 유연성을 갖는 가늘고 긴 부재이면, 어떠한 부재여도 되고, 예를 들어 전선일 수도 있다. 또한, 휨 부재(81)는, 이른바 플로팅 커넥터의 일종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립 가능한 정도의 경도와 길이로 하면 된다. 여기서는, 도전성 금속판을 프레스하여 성형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봉상의 비교적 짧은 자립 가능한 부재로서 설명한다.Although the
휨 부재(81)의 하단에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제1 단자(51A)가 접속되고, 동일하게 상단에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제2 단자(51B)가 접속되어 있다. 제1 단자(51A)와 제2 단자(51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본 개시에 있어서 양자를 통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단자(51)로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A
하우징(11)으로 돌아와, 제1 하우징(11A)과 제2 하우징(11B)은, 공통되는 점으로서, 대략 원기둥상의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휨 부재(81)의 측에 위치하는 기단부(11a)와, 기단부(11a)보다 외경이 작고 휨 부재(81)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11b)를 포함한다. 하우징(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단자 수용 공동(13)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에는 제1 단자(51A)의 전체와 휨 부재(81)의 하단 근방이 수용되고, 제2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에는 제2 단자(51B)의 전체와 휨 부재(81)의 상단 근방이 수용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의 형상은, 특별히 대략 원기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코너가 둥근 사각기둥상인 것일 수도 있다.Returning to the
제2 하우징(11B)은, 휨 부재(81)의 측에 위치하는 기단부(11a)의 기단면(11c)과, 휨 부재(81)와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11b)의 선단면(11d)을 갖고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1A)은, 선단부(11b)가 선단면(11d)을 갖는 점에 있어서 제2 하우징(11B)과 공통되는 한편, 기단부(11a)의 휨 부재(81)의 측에는, 정렬 부재(41)를 수용하기 위한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2 하우징(11B)과는 상이하다. 그리고,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는, 정렬 부재(41)를 수용할 때에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가 마련되어 있다.The
정렬 부재(41)는, 커넥터(10)를 조립할 때에, 유연성이 있는 휨 부재(81)를 정렬시키고, 단자(51)를 하우징(11)에 수용하여 장착하기 위해 그 위치와 방향을 정렬하기 위한 부재이다. 정렬 부재(41)는, 휨 부재(81)의 측 즉 제2 하우징(11B)의 측에 위치하는 본체부(42)와, 본체부(42)보다 외경이 작고 휨 부재(81)와는 반대 측에 즉 제1 하우징(11A)의 측에 위치하는 돌출부(43)를 포함한다. 정렬 부재(41)에는, 상하 방향으로 본체부(42)와 돌출부(43)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이 형성되어 있다. 정렬 부재(41)의 본체부(42)는, 하우징(11)의 기단부(1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고, 동일하게 돌출부(43)는,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수용 가능한 외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는, 정렬 부재(41)는 2단 구성의 대략 원기둥으로서 나타나 있지만, 특별히 대략 원기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1)의 형상이 예를 들어 코너가 둥근 사각기둥상인 경우에는, 그것에 맞추도록, 2단 구성의 코너가 둥근 사각기둥상인 것일 수도 있다.The aligning
정렬 부재(41)는, 본체부(42)와 돌출부(43)의 경계에 있어서, 하방, 즉, 제1 하우징(11A)의 측을 향해 돌출하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45)를 갖고 있다. 위치 결정용 볼록부(45)는, 돌출부(43)가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수용되었을 때,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정렬 부재(41) 뿐만 아니라 휨 부재(81)를 제1 하우징(11A)에 대하여 위치 결정시킨다.The
전술한 커넥터(10)의 조립 후의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대로이다. 조립된 커넥터(10)는, 기판 상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상대 커넥터의 제1 상대 하우징(111A)과 접속되고, 제1 단자(51A)가 제1 상대 하우징(111A)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플러그 단자(151)를 끼움 지지함으로써, 도통하게 된다. 제1 하우징(11A)과 제1 상대 하우징(111A)이 접속된 상태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단자(51B)도 제2 상대 커넥터와 동일한 양태로 접속되지만, 본 개시에 있어서 양자를 통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상대 하우징(111)으로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The state after assembly of the
(정렬 부재(41))(Alignment member 41)
커넥터(10)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하여 각각 따로 살펴본다. 우선, 정렬 부재(41)는, 도 3의 (a) 상면도, (b) 측면도, (c) 저면도 및 (d) 단면도의 각 도면에 나타나는 양태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 부재(41)는, 제2 하우징(11B)의 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본체부(42)와, 제1 하우징(11A)의 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고,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수용되는 돌출부(43)를 포함하고 있다. 정렬 부재(41)는, 커넥터(10)의 조립 후에 커넥터(10)의 일부로서 존치되는 점에서, 전기 기기 등에 대한 실장 시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수용되지 않는 본체부(42)는, 하우징(11)의 기단부(1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도 3(d)에 나타나 있는 정렬 부재(41)에 마련된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은, 제1 단자(51A) 및 제2 단자(51B)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제1 단자(51A) 및 제2 단자(51B)를 제1 하우징(11A) 및 제2 하우징(11B)에 장착 가능하게 배치하는 개구로 되어 있다.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개구 형상은, 단자(51)가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지만, 통과할 때에 삽입 관통 방향(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크게 회전하지 않고, 또한, 삽입 관통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 횡방향)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단자(51)를 하우징(11)의 단자 수용 공동(13)에 수용 가능한 방향이 되도록, 단자(51)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형(코너가 둥근 것을 포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위치는, 제1 하우징(11A) 및 제2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의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The bending
이에 따라, 제1 단자(51A)를 제1 하우징(11A)에 장착하여 휨 부재(81)를 하우징(11)에 접속할 때에는, 정렬 부재(41)와 제1 하우징(11A)을,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과 단자 수용 공동(13)이 연통하도록 위치결정하여 중첩하고,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상측 개구로부터 제1 단자(51A)를 삽입한 후, 제1 단자(51A)를 더 밀어넣어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을 통과시켜, 제1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에 수용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ttaching the
정렬 부재(41)의 본체부(42)와 돌출부(43)의 경계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45)는,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외연에 마련되어 있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볼록부(45)와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과 단자 수용 공동(13)이 연통하도록 위치 맞춤되고, 커넥터(10)의 조립 시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 단자(51A)와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 및 단자 수용 공동(13)이 적절하게 위치되어, 휨 부재(81)가 비틀어지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The
(제1 하우징(11A))(
다음으로, 제1 하우징(11A)은, 도 4의 (a) 상면도, (b) 측면도, (c) 저면도 및 (d) 단면도의 각 도면에 나타나는 양태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A)은, 휨 부재(81)의 측 뿐만 아니라 제2 하우징(11B)의 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기단부(11a)와, 휨 부재(81)와는 반대측 뿐만 아니라 제2 하우징(11B)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선단부(11b)를 포함하고 있다.Next, 11 A of 1st housings are provided with the aspect shown in each figure of (a) top view, (b) side view, (c) bottom view, and (d) sectional drawing of FIG. As described above, the
도 4(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A)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11B)과는 달리, 기단부(11a)에, 정렬 부재(41)의 돌출부(43)를 수용하는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가 마련되어 있다.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외연에는, 정렬 부재(41)에 마련되어 있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45)와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 수용 공동(13)은,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저면에서 선단면(11d)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단자(51A)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을 통과하여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저면으로부터 단자 수용 공동(13)에 삽입된다.As shown in Fig. 4(d), in the
단자 수용 공동(13)에는, 제1 하우징(11A)의 중심축의 측의 벽면에, 삽입된 제1 단자(51A)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 고정편(55)과 걸림 결합하는 랜스(15)가 형성되어 있다(걸림 고정편(55)에 대해서는 도 6, 걸림 고정편(55)과 랜스(15)의 걸림 결합에 대해서는 도 7을 각각 참조). 랜스(15)는, 그 기단이 단자 수용 공동(13)의 벽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그 선단이 자유단으로서 단자 수용 공동(13)의 내방 및 선단면(11d)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 돌출하는 캔틸레버상의 부재이다. 이에 따라, 단자 수용 공동(13)의 내부에 수용된 제1 단자(51A)는,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방지되어, 휨 부재(81)가 제2 하우징(11B)의 측으로 잡아당겨져도, 빠져나오는 일이 없다.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제2 하우징(11B))(
다음으로, 제2 하우징(11B)은, 도 5의 (a) 상면도, (b) 측면도, (c) 저면도 및 (d) 단면도의 각 도면에 나타나는 양태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B)은, 휨 부재(81)의 측뿐만 아니라 제1 하우징(11A)의 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기단부(11a)와, 휨 부재(81)와는 반대측뿐만 아니라 제1 하우징(11A)의 반대 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선단부(11b)를 포함하고 있다.Next, the
도 5(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B)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A)과는 달리,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단자 수용 공동(13)은, 기단면(11c)에서 선단면(11d)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개구 형상 및 배치는 정렬 부재(41) 및 제1 하우징(1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자(51B)가 기단면(11c)으로부터 단자 수용 공동(13)에 삽입된다.As shown in FIG.5(d), in the
단자 수용 공동(13)에는, 제2 하우징(11B)의 중심축의 측의 벽면에, 삽입된 제2 단자(51B)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 고정편(55)과 걸림 결합하는 랜스(15)가 형성되어 있다(걸림 고정편(55)에 대해서는 도 6, 걸림 고정편(55)과 랜스(15)의 걸림 결합에 대해서는 도 15를 각각 참조). 랜스(15)는, 그 기단이 단자 수용 공동(13)의 벽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그 선단이 자유단으로서 단자 수용 공동(13)의 내방 및 선단면(11d)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 돌출하는 캔틸레버상의 부재이다. 이에 따라, 단자 수용 공동(13)의 내부에 수용된 제2 단자(51B)는, 기단면(11c)의 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방지되어, 휨 부재(81)가 제1 하우징(11A)의 측으로 잡아당겨져도, 빠져나오는 일이 없다.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휨 부재(81))(bending member 81)
다음으로, 휨 부재(81)는, 도 6의 (a) 제1 측면도 및 (b) 제2 측면도의 각 도면에 나타나는 양태를 구비하고 있다. 휨 부재(81)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단자(51A) 및 제2 단자(51B)는, 휨 부재(81)의 단부에 접속된 기부(基部)(52)와, 기부(52)로부터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접촉편(54)과, 접촉편(54)의 기단의 근방에 있어서 휨 부재(81)의 축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고정편(55)을 포함하고 있다.Next, the bending
한 쌍의 접촉편(54)은 기부(52)로부터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저판부(53)로부터 일본어 コ자를 형성하도록 구부려 형성되고, 선단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걸림 고정편(55)은 각각의 접촉편(54)의 저판부(53)와 반대 측에 돌출편을 형성하고, 그 돌출편을 내측으로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단자(51)는, 한 쌍의 접촉편(54), 저판부(53) 및 걸림 고정편(55)에 의해, 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51A)와 제2 단자(51B)는, 축방향으로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축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는 동일 방향이 되도록 휨 부재(81)에 장착되어 있다.The pair of
전술한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개구 형상은, 이 단자(51)의 한 쌍의 접촉편(54), 저판부(53) 및 걸림 고정편(55)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보다 약간 큰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자(51)를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 삽입 관통시켜 단자 수용 공동(13)에 수용하고, 하우징(11)에 장착 가능하게 하도록, 삽입 관통 방향을 축으로 하여 크게 회전하는 일 없이, 또한, 삽입 관통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다.The opening shape of the bending
여기서, 기부(52)는, 휨 부재(81)가 전선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에, 그 전선의 단부에 압착함으로써 접속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접촉편(54)은, 예를 들어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측으로부터 제1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에 수용되어 제1 하우징(11A)에 장착되었을 때, 선단면(11d)의 측으로부터 제1 하우징(11A)에 삽입된 제1 상대 하우징(111A)의 플러그 단자(151)(도 2 참조)를 끼움 지지한다. 제2 하우징(11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Here, the
(접속 상태)(connection status)
전술한 각 부재의 구성에 근거하여, 제1 하우징(11A)과 제1 상대 하우징(111A)이 접속되고, 또한, 정렬 부재(41)의 돌출부(43)가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수용된 상태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51A)는, 정렬 부재(41)의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을 통과하고, 걸림 고정편(55)이 제1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의 내부에 있어서 랜스(15)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A)의 선단부(11b)가, 저판(111a)과 측벽(111b)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상대 하우징(111A)의 내부에 감합되어, 제1 단자(51A)의 한 쌍의 접촉편(54)이 제1 상대 하우징(111A)의 플러그 단자(151)를 끼움 지지하고 있다.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each member described above, the
도 7에서는, 정렬 부재(41)는, 그 위치 결정용 볼록부(45)가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에 걸림 결합하여, 돌출부(43)가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수용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이 수용된 상태는, 정렬 부재(41)가 제1 하우징(11A)의 기단부(11a) 또는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적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휨 부재(81)를 따라 제2 하우징(11B)의 측(도면 중, 상측)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커넥터(10)의 조립 후에, 정렬 부재(41)가 휨 부재(81)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45)를 기단부(11a)와 선단부(11b)의 경계로부터 선단부(11b)의 측으로 편위한 장소에 마련하고,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를 측면시로 L자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휨 부재(81)의 비틀림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정렬 부재(41)을 간이한 로크 기구로 해도 된다.In Fig. 7, in the
(조립 순서)(assembly order)
다음으로, 커넥터(10)의 조립 순서를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휨 부재(81)의 제1 단자(51A)의 측을 정렬 부재(41)에 삽입하는 단계(S1)를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렬 부재(41)를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상방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과 정렬 부재(41)의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이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 때, 정렬 부재(41)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45)와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도, 자연히 대향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용 볼록부(45)와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를 걸림 결합시켜 정렬 부재(41)와 제1 하우징(11A)을 겹친 상태로, 휨 부재(81)를 제1 단자(51A)로부터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 도 8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삽입 관통시킨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step S1 of inserting the side of the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 단자(51A)를 제1 하우징(11A)에 삽입하는 단계(S2)를 설명한다. 단계(S1)에 이어, 제1 단자(51A)를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내부를 통과시켜, 제1 단자(51A)를 제1 하우징(11A)에 삽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the step (S2) of inserting the
이에 따라,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51A)는, 걸림 고정편(55)이 랜스(15)에 걸림 결합하여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제1 하우징(11A)으로부터 제2 하우징(11B)의 측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제1 단자(51A)가 제1 하우징(11A)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지만, 정렬 부재(41)의 묘출을 생략하고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 the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정렬 부재(41)를 제1 하우징(11A)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정렬 부재(41)에 의해 제2 단자(51B)를 정렬시키는 단계(S3)를 설명한다. 단계(S2)에 이어, 정렬 부재(41)를 제1 하우징(11A)으로부터 이격시켜, 도 11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렬 부재(41)를 휨 부재(81)를 따라 제2 하우징(11B)의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정렬 부재(41)의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 그 돌출부(43)측의 개구로부터 제2 단자(51B)를 기부(52)측으로부터 삽입 관통시킨다. 각각의 제2 단자(51B)를 각각의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 수용함으로써 제2 단자(51B)를 정렬시킨다. 제2 단자(51B)와 정렬 부재(41)는, 걸림 고정편(55) 및 기부(52)가 정렬 부재(41)의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단자(51)가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그 마찰에 의한 저항력으로 서로 유지된다. 이 때, 제2 단자(51B)의 접촉편(54)의 선단측은 정렬 부재(41)로부터 돌출하는 위치가 되도록 유지되어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the step (S3) of separating the aligning
이에 따라, 유연성이 있는 휨 부재(81)에 구부러져 있는 것이나 여러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도, 제1 단자(51A)는 제1 하우징(11A)의 내부에서 랜스(15)에 걸림 결합하여 빠져나오는 일은 없다는 점에서,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휨 부재(81)는 인장되어, 도 1에 나타낸 X, Y, Z의 3 방향 모두, 제2 단자(51B)의 1개 1개가 제2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위치를 잡을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정렬 부재(41)에 의해 정렬된 제2 단자(51B)를 제2 하우징(11B)에 삽입하는 단계(S4)를 설명한다. 단계(S3)에 이어, 도 13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렬 부재(41)에 유지되고 돌출된 접촉편(54)을 제2 하우징(11B)의 기단면(11c)에 개구하는 단자 수용 공동(13)에 수용하도록 삽입한다. 이 때, 제2 단자(51B)는 그 위치와 방향이 정렬 부재(41)에 의해 제2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의 개구에 맞아 있고, 1개 1개를 제2 하우징(11B)의 대응하는 단자 수용 공동(13)에 개별적으로 위치 결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3, a step (S4) of inserting the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정렬 부재(41)를 제2 단자(51B)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S5)를 설명한다. 단계(S4)에 이어, 제2 단자(51B)를 제2 하우징(11B)의 기단면(11c)으로부터 선단면(11d)으로 완전히 통과시켜 제2 하우징(11B)에 수용하고, 걸림 고정편(55)에 랜스(15)를 걸림 결합시켜 제2 하우징(11B)에 장착하여 커넥터(10)의 조립을 완료한다. 정렬 부재(41)는, 휨 부재(81)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하우징(11A)을 하측의 하우징, 제2 하우징(11B)을 상측의 하우징으로 하는 경우, 도 14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로 이동해도 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4, step S5 of separating the
이상에 의해,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선 등의 유연성이 있는 휨 부재(81)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51)를, 하나의 정렬 부재(41)로 하우징(11)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10), 및 그것에 이용되는 정렬 부재(41)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above, as shown in FIG. 15, the terminals 51 located at both ends of the
본 개시에 의한 효과는 전선 등의 휨 부재(81)가 2개 이상이면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그의 개수, 즉 단자(51)의 극수가 많고, 또한 휨 부재(81)에 의해 이어지는 양단의 하우징(11)끼리의 거리, 즉 휨 부재(81)의 길이가 짧은 경우, 더욱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effective if there are two or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동작 및 동일한 효과에 대해서도,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about the thing which has the same structure as 1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by attaching the same code|symbol. Also, descriptions of the same operation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1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14 및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렬 부재(41)는, 제1 하우징(11A)의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데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정렬 부재(41)는, 제1 어태치먼트(21A) 및 제2 어태치먼트(21B)를 통해, 제2 하우징(11B)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어태치먼트(21A)와 제2 어태치먼트(21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어, 본 개시에 있어서 양자를 통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어태치먼트(21)로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당해 어태치먼트(21)는, 하우징(11)과 동일하게,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assembly of the
(커넥터(10)의 전체 개요)(overall overview of connector 10)
본 실시 형태에서의 커넥터(10)는, 조립 전의 분해도인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어태치먼트(21A)와 제2 어태치먼트(21B)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조립 후에 있어서, 정렬 부재(41)는, 제1 어태치먼트(21A) 및 제2 어태치먼트(21B)를 통해, 제2 하우징(11B)에 장착된다.The
또한, 도면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휨 부재(81)는 6개이지만, 휨 부재(81)의 수 및 배치 방법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the number of bending
(정렬 부재(41))(Alignment member 4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렬 부재(41)는 돌출부(43) 및 위치 결정용 볼록부(45)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정렬 부재(41)는 돌출부(43) 및 위치 결정용 볼록부(45)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The aligning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정렬 부재(41)는, 본체부(42)의 중심을 두께 방향(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42)에 장착된 각기둥으로서의 회전 방지 폴(48)을 갖는다. 당해 회전 방지 폴(48)은, 도면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육각기둥의 봉상 부재이며, 본체부(42)의 제2 하우징측 면(42c) 및 제1 하우징측 면(42d)으로부터 상하 방향(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8 , the
또한, 상기 본체부(42)의 외주면에는,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후크부(42a)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1개의 홈부(42b)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각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서의 제2 하우징측 면(42c)측의 단부에는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은, 상단이 제2 하우징측 면(42c)에 있어서 개방되고, 당해 제2 하우징측 면(42c)으로부터 하방(제1 하우징측 면(42d)의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깊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가늘고 긴 오목부며, 제2 단자(51B)가 갖는 후술되는 걸림 결합 돌출편(57)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protruding
(제1 하우징(11A))(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1 하우징(11A)은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 및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1 하우징(11A)은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11e) 및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Although the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1 하우징(11A)의 기단부(11a)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1개의 홈부(11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단부(11a)에는, 기단면(11c)의 중심에 개구되는 회전 방지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회전 방지 구멍(18)은, 도면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단면이 육각형인 각구멍이며, 회전 방지 폴(48)이 삽입된다.And one
(제2 하우징(11B))(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2 하우징(11B)에서는 단자 수용 공동(13)의 벽면에 랜스(15)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2 하우징(11B)에서는 단자 수용 공동(13)의 벽면에 랜스(15)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In the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2 하우징(11B)에서는, 각 단자 수용 공동(13)에서의 기단면(11c)측의 단부에는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은, 상단이 기단면(11c)에 있어서 개방되고, 당해 기단면(11c)으로부터 하방(선단면(11d)의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깊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가늘고 긴 오목부이며, 제2 단자(51B)가 갖는 후술되는 걸림 결합 돌출편(57)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9 , in the
또한, 기단부(11a)는, 선단부(11b)보다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선단부(11b)와 인접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어태치먼트 걸림 결합홈(11a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11b)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1개의 홈부(11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단부(11a) 및 선단부(11b)에는 기단면(11c) 및 선단면(11d)의 중심에 개구하는 회전 방지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회전 방지 구멍(18)은, 도면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단면이 육각형인 각구멍이며, 회전 방지 폴(48)이 삽입된다.In addition, the
(휨 부재(81))(bending member 81)
본 실시 형태에서의 휨 부재(81)의 일단에 마련된 제2 단자(51B)는, 일부의 형상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2 단자(51B)와는 상이하다.The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2 단자(51B)는,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휨 부재(81)의 단부에 접속된 기부(52)와, 기부(52)로부터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본체부(5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본체부(56)는, 그 기부(52)측에 있어서 휨 부재(81)의 축방향으로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걸림 고정편(55)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0 , the
또한, 상기 본체부(56)는, 서로 대향한 상태로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측벽(56a)과, 당해 측벽(56a)의 선단에 형성된 변형 방지벽(56b)과, 서로 대향한 상태로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접촉편(54)을 갖는다. 상기 본체부(56)의 선단측의 부분은, 한 쌍의 측벽(56a)과 한 쌍의 접촉편(54)에 의해, 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형 방지벽(56b)은, 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을 이루도록 연속된 각통상의 부재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부(56)는, 상기 걸림 고정편(55)에 인접한 부분에 있어서, 휨 부재(81)의 축방향으로 교차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고정편(55)의 돌출방향으로도 교차하도록 도 20의 (a) 및 (c)에 있어서 좌우 양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걸림 결합 돌출편(57)를 갖는다. 당해 걸림 결합 돌출편(57)은, 커넥터(10)의 조립 후에 있어서, 상기 정렬 부재(41)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 또는 제2 하우징(11B)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 내에 수용되어, 제2 단자(51B)의 회전 방지로서 기능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정렬 부재(41)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의 길이(l1)(도 18의 (d) 참조)는, 걸림 결합 돌출편(57)의 축방향의 길이(L)(도 20의 (a) 참조)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걸림 결합 돌출편(57)은, 그 전체가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정렬 부재(41)의 제2 하우징측 면(42c)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정렬 부재(41)에 제2 하우징(11B)을 장착할 때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길이 l1을 더 길게, 예를 들어 길이 L의 2배 정도로 하면, 휨 부재(81)의 수가 많아, 걸림 결합 돌출편(57)의 위치에 공차가 있어도, 도 21 및 22에 나타나는 것 같은 상태에 있어서, 모든 걸림 결합 돌출편(57)이 상기 정렬 부재(41)의 제2 하우징측 면(42c)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l1 of the protruding
(조립 순서)(assembly order)
본 실시 형태에서의 커넥터(10)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정렬 부재(41)와 제1 하우징(11A)을 겹친 상태로 하고, 각 휨 부재(81)의 제1 단자(51A)를, 상기 정렬 부재(41)의 각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을 통과시켜, 제1 하우징(11A)의 각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삽입할 때까지의 순서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45)와 위치 결정용 오목부(11f)를 걸림 결합시켜 정렬 부재(41)와 제1 하우징(11A)을 겹치도록 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42)의 제1 하우징측 면(42d)으로부터 하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회전 방지 폴(48)을 기단부(11a)의 기단면(11c)의 중심에 개구하는 회전 방지 구멍(18)에 삽입하고, 제1 하우징측 면(42d)과 기단면(11c)을 맞닿음 또는 근접시켜 정렬 부재(41)와 제1 하우징(11A)을 겹치도록 되어 있다. 회전 방지 폴(48)이 회전 방지 구멍(18)에 삽입됨으로써, 정렬 부재(41)와 제1 하우징(11A)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The aligning
또한,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렬 부재(41)의 제1 하우징측 면(42d)으로부터 하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회전 방지 폴(48)의 베이스 부분에서의 측면에는,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48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방지 폴(48)이 제1 하우징(11A)의 회전 방지 구멍(18)에 삽입되면, 상기 리브(48a)가 회전 방지 구멍(18)의 내벽면에 가볍게 압입된 상태로, 정렬 부재(41)가 제1 하우징(11A)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 단자(51A)를 제1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삽입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브(48a)가 회전 방지 구멍(18)의 내벽면에 가볍게 압입되어 있을 뿐이므로, 이 후 수행되는, 정렬 부재(41)를 제1 하우징(11A)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업에도, 지장이 없다.18,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f the
이어서, 정렬 부재(41)를 제1 하우징(11A)으로부터 이격시켜, 휨 부재(81)를 따라 제2 단자(51B)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각 제2 단자(51B)를 본체부(42)의 제2 하우징측 면(42c)측으로부터 각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 삽입 관통시켜 정렬시켜, 도 21 및 22에 나타나는 것 같은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각 제2 단자(51B)는, 기부(52) 및 걸림 고정편(55)이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 내에 수용되고, 한 쌍의 걸림 결합 돌출편(57)이 제2 하우징측 면(42c)측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 내에 수용되어 당해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과 걸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정렬된 제2 단자(51B) 각각은, 더 이상,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 내를 제1 하우징측 면(42d)을 향해 이동할 수 없고, 도 21 및 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촉편(54), 측벽(56a) 및 변형 방지벽(56b)이 제2 하우징측 면(42c)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정렬 부재(41)에 대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도 21 및 22에 있어서는, 설명의 사정상, 몇개의 휨 부재(81)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Next, the aligning
이어서,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B)을 정렬 부재(41)에 대하여 위치 맞춤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기단면(11c)이 제2 하우징측 면(42c)에 평행하게 대향하고, 기단면(11c)의 중심에 개구하는 회전 방지 구멍(18)이 제2 하우징측 면(42c)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회전 방지 폴(48)에 대향하고, 기단면(11c)의 개구되는 각 단자 수용 공동(13)이 각 제2 단자(51B)에 대향한 상태가 된다.Then, as shown in Fig. 23, the
이어서, 제2 하우징(11B)을 정렬 부재(41)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방지 폴(48)을 회전 방지 구멍(18)에 삽입시키고, 제2 하우징측 면(42c)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돌출된 각 제2 단자(51B)를 각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삽입시키고, 제2 하우징측 면(42c)과 기단면(11c)을 맞닿음 또는 근접시켜 정렬 부재(41)와 제2 하우징(11B)을 겹친다. 회전 방지 폴(48)이 회전 방지 구멍(18)에 삽입됨으로써, 정렬 부재(41)와 제2 하우징(11B)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방지 폴(48)은, 회전 방지 구멍(18)에 압입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제2 단자(51B) 각각은, 제2 하우징(11B)에서의 대응하는 각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Next, the
또한,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렬 부재(41)의 제2 하우징측 면(42c)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회전 방지 폴(48)의 베이스 부분에서의 측면에는,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48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방지 폴(48)이 제2 하우징(11B)의 회전 방지 구멍(18)에 삽입되면, 상기 리브(48a)가 회전 방지 구멍(18)의 내벽면에 가볍게 압입된 상태로, 정렬 부재(41)가 제2 하우징(11B)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2 단자(51B)를 제2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삽입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브(48a)의 형상을 변경하여, 당해 리브(48a)가 회전 방지 구멍(18)의 내벽면에 강하게 압입되도록 하여, 정렬 부재(41)의 제2 하우징(11B)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하면, 이 후 사용되는 제1 어태치먼트(21A) 및 제2 어태치먼트(21B)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18,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f the
그리고, 여기까지의 순서는, 제1 하우징(11A), 정렬 부재(41) 또는 제2 하우징(11B)을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평인 상면에 가이드 부재로서 직선상의 레일을 장착한 작업대를 준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A), 정렬 부재(41) 및 제2 하우징(11B)을 각각 옆으로 향하게 하고, 제1 하우징(11A)의 기단부(11a)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11g), 정렬 부재(41)의 본체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42b), 및 제2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11g)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하우징(11A), 정렬 부재(41) 또는 제2 하우징(11B)을 1개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서로 접근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And the procedure up to this point can also be performed by sliding the
이어서, 도 24~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어태치먼트(21A) 및 제2 어태치먼트(21B)를 이용하여, 제2 하우징(11B)에 겹쳐진 정렬 부재(41)를 상기 제2 하우징(11B)에 장착한다. 상기 제1 어태치먼트(21A) 및 제2 어태치먼트(21B)는, 각각, 원통을 세로로 2분할한 반원통과 같은 전체 형상을 갖는 본체부(22)와, 당해 본체부(22)에 형성된 창부(23)와, 상기 본체부(22)의 상단(제2 하우징(11B)측의 끝)에 있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후드부(24)와, 상기 본체부(22)에서의 창부(23)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단차부(25)를 갖는다. 또한, 상기 창부(23)의 측단을 구획하는 살에 상당하는 부분은, 걸림 고정편(23a)으로 되어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24 to 26, the
상기 제1 어태치먼트(21A) 및 제2 어태치먼트(21B)는, 좌우 양측으로부터, 정렬 부재(41)의 본체부(42)의 주위면을 덮도록 하여, 장착된다. 그러면, 걸림 고정편(23a)이 정렬 부재(41)의 본체부(42)의 후크부(42a)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걸림 고정편(23a)은, 탄성을 갖고,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재이며 스프링력을 발휘하므로, 후크부(42a)와의 걸림 고정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는 일이 없다. 또한, 후드부(24)는, 제2 하우징(11B)의 어태치먼트 걸림 결합홈(11a1) 내에 진입하여 걸림 결합한다. 또한, 단차부(25)는, 정렬 부재(41)의 본체부(42)의 제1 하우징측 면(42d)과 걸림 결합한다. 이와 같이, 후드부(24)가 제2 하우징(11B)의 어태치먼트 걸림 결합홈(11a1)과 걸림 결합하고, 또한, 단차부(25)가 정렬 부재(41)의 본체부(42)의 제1 하우징측 면(42d)과 걸림 결합하므로, 정렬 부재(41)는, 제1 어태치먼트(21A) 및 제2 어태치먼트(21B)에 의해, 제2 하우징(11B)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정렬 부재(41)와 제2 하우징(11B)의 위치 관계가 안정되므로, 휨 부재(81)에 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The
그리고, 도 25 및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제2 단자(51B)는, 기부(52) 및 걸림 고정편(55)이 정렬 부재(41)의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 내에 수용되고, 접촉편(54), 측벽(56a) 및 변형 방지벽(56b)이 제2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의 벽면에 랜스(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각 제2 단자(51B)는, 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도 25 및 26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 가능해져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제2 단자(51B)의 걸림 결합 돌출편(57)은, 단자 수용 공동(13)에서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서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 내에 위치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에 관하여, 단자 수용 공동(13)에서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의 길이(l2)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서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의 길이(l1)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의 길이(l2) 및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의 길이(l1)가 걸림 결합 돌출편(57)의 길이(L)보다 길어져 있으면, 제2 단자(51B)가 휨 부재(81)의 삽입 관통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져 있으므로, 휨 부재(81)의 치수나, 제1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에서의 제1 단자(51A)의 압입 위치에 공차가 있어도, 이러한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25 and 26, in each
그리고,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에서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44a)의 길이(l1)가 충분히 긴 경우에는, 단자 수용 공동(13)에서의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을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당해 돌출편 걸림 결합홈(13a)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when the length l1 of the protruding
이상에 의해, 전선 등의 유연성이 있는 휨 부재(81)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51)를, 하나의 정렬 부재(41)로 하우징(11)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10), 및 그것에 이용되는 정렬 부재(41)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above, the terminals 51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의 커넥터(10)의 그 외의 점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Incidental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ther points of the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술했지만, 본 개시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in the claims.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단자(51A)와 제2 단자(51B)를 동일 형상의 리셉터클 단자로서 설명했지만, 어느 하나를 봉상의 단자로 해서 휨 부재(81)에 접속하여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시켜, 상대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고 배선 기판이나 기기에 직접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렬 부재(41)의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44)의 개구 형상 및 단자(51)의 형상을 사각형으로서 설명했지만, 개구 형상은, 단자(51)가 삽입 관통 방향을 축으로 하여 크게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것 같은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10: 커넥터
11: 하우징(11A: 제1 하우징, 11B: 제2 하우징)
11a: 기단부
11b: 선단부
11c: 기단면
11d: 선단면
11e: 정렬 부재 수용 오목부
11f: 위치 결정용 오목부
13: 단자 수용 공동
15: 랜스
41: 정렬 부재
42: 본체부
43: 돌출부
44: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
45: 위치 결정용 볼록부
51: 단자(51A: 제1 단자, 51B: 제2 단자)
52: 기부
53: 저판부
54: 접촉편
55: 걸림 고정편
81: 휨 부재
111: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111A: 제1 상대 하우징)10: connector
11: housing (11A: first housing, 11B: second housing)
11a: base end
11b: distal end
11c: air section
11d: end face
11e: concave portion for accommodating alignment member
11f: concave portion for positioning
13: terminal receiving cavity
15: Lance
41: alignment member
42: body part
43: protrusion
44: bending member insertion through cavity
45: convex part for positioning
51: terminal (51A: first terminal, 51B: second terminal)
52: donation
53: bottom plate
54: contact piece
55: hooking piece
81: bending member
111: mating housing of mating connector (111A: first mating housing)
Claims (11)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체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휨 부재와,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을 갖고,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정렬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에 위치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의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a first housing;
a first terminal mounted on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terminal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a bending memb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 aligning member having a bending member insertion cavity through which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and disposed movably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alignment memb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positioned at a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ward the first housing side.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체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휨 부재와,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을 갖고,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정렬 부재의 상기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은, 상기 제1 단자를 삽입 관통 가능하지만, 상기 제2 단자의 접촉편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제2 단자를 정지시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 가능하게 배치하는 개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a first housing;
a first terminal mounted on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terminal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a bending memb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 aligning member having a bending member insertion cavity through which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and disposed movably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The bending member insertion hole of the aligning member is capable of inserting the first terminal, but stops the second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iece of the second terminal protrudes, so tha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opening for arranging a mountable to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상기 위치 결정용 볼록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마련된 위치 결정용 오목부에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ligning member has a convex portion for positioning protruding at a boundary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convex portion for positioning is engaged with a concave portion for positioning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다른 형체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휨 부재와,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휨 부재 삽입 관통 공동을 갖고, 상기 휨 부재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양단에 접속된 휨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정렬 부재를 겹치는 공정과,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정렬 부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휨 부재가 상기 정렬 부재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정렬 부재를 상기 제2 단자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정과,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정렬 부재에 삽입 관통하고, 그 선단측의 접촉편을 상기 정렬 부재로부터 돌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정렬 부재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단자의 접촉편을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하고, 또한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하여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a first housing;
a first terminal mounted on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terminal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a bending memb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 alignment member having a bending member insertion cavity through which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and disposed movably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nector provided,
a step of preparing a bendable member hav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ed at both ends;
a step of overlapp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alignment member;
attaching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housing by inserting and penetrating the alignment member;
moving the alignment member toward the second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ben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alignment member;
a step of inserting the second terminal into the aligning member and protruding the contact piece on the distal end side from the aligning member;
accommodating the contact piece of the second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alignment member in the second housing, and accommodating and mounting the second terminal in the second hous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or compri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10569 | 2020-01-27 | ||
JPJP-P-2020-010569 | 2020-01-27 | ||
JP2020186380A JP7548782B2 (en) | 2020-01-27 | 2020-11-09 |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JP-P-2020-186380 | 2020-11-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006A KR20210096006A (en) | 2021-08-04 |
KR102471869B1 true KR102471869B1 (en) | 2022-11-29 |
Family
ID=7717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9056A KR102471869B1 (en) | 2020-01-27 | 2021-01-22 |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548782B2 (en) |
KR (1) | KR102471869B1 (en) |
CN (1) | CN113258338B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8497Y1 (en) | 2002-03-26 | 2002-06-20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Cable fixing structure of high spee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
JP2006164797A (en) * | 2004-12-08 | 2006-06-2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Conversio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
KR100741642B1 (en) | 2006-09-21 | 2007-07-20 | 한상수 | The wiring connector for oscillatory |
US20130102181A1 (en) | 2011-10-24 | 2013-04-25 | Daiki AIMOTO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US20180026384A1 (en) | 2016-07-25 | 2018-01-25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02313B2 (en) * | 1994-11-11 | 1999-06-07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Printed wiring board connector |
JP4507662B2 (en) * | 2004-03-29 | 2010-07-2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Fluorescent light socket |
JP2010123312A (en) | 2008-11-18 | 2010-06-03 |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 Connector |
JP2010135159A (en) | 2008-12-04 | 2010-06-17 |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 Method of assembling connector |
US8354760B2 (en) * | 2009-10-28 | 2013-01-15 |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 Power supply equipment to simultaneously power multiple electronic device |
JP6411854B2 (en) * | 2014-10-14 | 2018-10-24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
JP6374895B2 (en) | 2016-02-09 | 2018-08-15 | 矢崎総業株式会社 | Connector unit |
JP6402145B2 (en) * | 2016-07-13 | 2018-10-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7094246B2 (en) | 2018-06-11 | 2022-07-01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Relay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relay connector |
-
2020
- 2020-11-09 JP JP2020186380A patent/JP7548782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1-12 CN CN202110034964.8A patent/CN113258338B/en active Active
- 2021-01-22 KR KR1020210009056A patent/KR10247186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8497Y1 (en) | 2002-03-26 | 2002-06-20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Cable fixing structure of high spee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
JP2006164797A (en) * | 2004-12-08 | 2006-06-2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Conversio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
KR100741642B1 (en) | 2006-09-21 | 2007-07-20 | 한상수 | The wiring connector for oscillatory |
US20130102181A1 (en) | 2011-10-24 | 2013-04-25 | Daiki AIMOTO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US20180026384A1 (en) | 2016-07-25 | 2018-01-25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118170A (en) | 2021-08-10 |
KR20210096006A (en) | 2021-08-04 |
CN113258338A (en) | 2021-08-13 |
JP7548782B2 (en) | 2024-09-10 |
CN113258338B (en) | 2023-05-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2085282U (en) | Terminal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 |
JP455073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480196B1 (en) | Wire connector | |
JP4722707B2 (en) | Vertical mating female terminal and housing to which this is mounted | |
KR101687867B1 (en) |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 |
EP2840662A1 (en) |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KR20050013948A (en) | Connector assembly | |
JP56829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EP1914841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5332749A (en) | Electric connector | |
US754077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060017860A (en) | Connection terminal | |
KR20080012218A (en) |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 |
JP2007220511A (en) | Electric apparatus for module apparatus | |
US6457980B2 (en) |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 |
KR20080095450A (en) | Terminal flowing prevention body and connector | |
EP2840666B1 (en) | Modul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e and mating connector | |
US20220173540A1 (en) | Connector Housing,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KR102471869B1 (en) |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 |
JP5431038B2 (en) |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KR200322064Y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cables | |
JP5521845B2 (en) | Card edge connector | |
US11522316B2 (en) |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 |
JP2012195250A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US20080214031A1 (en) |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