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77B1 - 친환경 보행매트 - Google Patents

친환경 보행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77B1
KR102471677B1 KR1020220052022A KR20220052022A KR102471677B1 KR 102471677 B1 KR102471677 B1 KR 102471677B1 KR 1020220052022 A KR1020220052022 A KR 1020220052022A KR 20220052022 A KR20220052022 A KR 20220052022A KR 102471677 B1 KR102471677 B1 KR 10247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mat
walking
mat
eco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주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주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주매트
Priority to KR102022005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77B1/ko
Priority to KR1020220147681A priority patent/KR102504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보행매트에 관련되며, 이는 보행매트 연결부분이 단차 없이 평평하게 시공되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보행매트 중앙에 형성되는 컬러라인을 경계로 통행 방향이 구분되어, 등산로와 같이 좁은 길에서 보행자끼리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보행매트(10), 컬러라인(20), 조인트모듈(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보행매트{Eco-friendly walking mat}
본 발명은 친환경 보행매트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매트 연결부분이 단차 없이 평평하게 시공되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보행매트 중앙에 형성되는 컬러라인을 경계로 통행 방향이 구분되어, 등산로와 같이 좁은 길에서 보행자끼리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는 친환경 보행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등산로, 공원이나 하천 주변의 보행로에는 양측에 일정 폭으로 경계석을 설치하고 토양을 노출시키거나, 보도블럭,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 등을 타설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자연토양을 노출시켜서 시공되는 산책로나 보행로는 우천 시에 빗물에 흙이 쉽게 유실되어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러한 자연토양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코코넛 천연섬유, 야자섬유, 마 등의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직조된 천연 매트를 노면에 포장하여 노면을 보호하고, 원활한 배수와 함께 보행 시 신체에 작용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천연매트는 환경적인 영향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986811호에서, 야자섬유매트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코팅되는 야자섬유매트의 미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로서, 아미노알킬함유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수지 5 내지 20 중량%;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 수성 아크릴 에멀션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 20 내지 30 중량%; 골재 30 내지 60 중량%; 충전제 5 내지 10 중량%; 요변제 1 내지 5 중량%; 및 촉매 0.05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비방향족 에폭시 수지는 디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diglycidyl ether cyclohexane dimethanol),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라이콜(diglycidyl ether neopenthyl glycol),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디올(diglycidyl ether 1,4-butanediol),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실록산 모노머(polyglycidyl ether cyclosiloxane monom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야자매트에 대한 부착성,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나, 야자섬유매트를 제조한 후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처리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의 다분화로 제조단가 상승하고, 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로 인해 야자매트의 친환경성이 상실되며, 특히,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야자섬유매트는 길이방향 단부를 서로 중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여 단차가 발생되므로, 보행자가 걸러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1986811 B1 (2019.05.31.)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보행매트 연결부분이 단차 없이 평평하게 시공되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보행매트 중앙에 형성되는 컬러라인을 경계로 통행 방향이 구분되어, 등산로와 같이 좁은 길에서 보행자끼리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는 친환경 보행매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천연 섬유사로 형성되는 경사(11)와 위사(12)로 직조되는 보행매트(10); 상기 보행매트(10)의 폭방향 중앙 영역에 경사(11) 방향으로 배치되어, 중앙경계선을 형성하는 컬러라인(20); 및 상기 보행매트(10)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대응하는 이웃하는 보행매트(10) 단부를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조인트모듈(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컬러라인(20)은 천연 섬유사를 탈색 또는 염색하여 경사(11)와 상이한 컬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컬러라인(20)은 내부에 중공홀(21)이 형성되는 광확산튜브(22)로 형성되고, 상기 광확산튜브(22)의 중공홀(21)에 led를 포함하는 광출력선(23)이 교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광출력선(23)은 단부에 커넥터(24)가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광출력선(23)을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매트(10) 직조에 투입되는 경사(11) 중 일부는 외주면에 논슬립코팅층(13)이 형성되고, 상기 논슬립코팅층(13)은 코르크입자(13a)를 경사(11) 외주면에 바인더로 접착 고정하여 형성되며, 상기 논슬립코팅층(13)이 형성되는 경사(11)는 그 외 경사(11)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보행매트(10) 표면으로 노출되는 논슬립코팅층(13)에 의해 논슬립바닥라인(N)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모듈(30)은, 보행매트(10)가 설치되는 바닥면 대비 낮게 매립 설치되고, 보행매트(10)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격실(31a)이 형성되는 조인트본체(31)와,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 내에서 서로 접하는 보행매트(10) 단부 사이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저면에 쐐기날(32a)이 형성되는 조인트덮개(32)와, 조인트덮개(32) 양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보행매트(10)에 파지되는 스파이크(33)와, 조인트덮개(32)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조인트본체(31) 바닥면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고정핀(34)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매트(10) 단부를 하향 절곡하여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에 삽입한 상태로 조인트덮개(32)의 쐐기날(32a)을 서로 이웃하는 보행매트(10) 사이로 삽입한 후, 고정핀(34)을 체결하여 조인트덮개(32) 상면이 보행매트(10)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실(31a)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고정돌기(40)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날(32a) 외주면에 유동돌기(41)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돌기(41)는 고정돌기(40) 대비 낮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돌기(40)와 유동돌기(41) 사이 간격은 보행매트(10) 두께 대비 좁게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덮개(32)를 설치시, 보행매트(10)가 고정돌기(40)와 유동돌기(41) 사이에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본체(31)는 보행매트(10)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배수구(31b)가 형성되고, 우천시 상기 보행매트(10)로 흡수되는 우수는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에 포집된 상태로 배수구(31b)를 통하여 보행매트(10) 폭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본체(31), 조인트덮개(32), 고정핀(34)은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 바닥에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시트(50)가 설치되고, 상기 격실(31a)에 수용되는 보행매트(10) 단부에 종자시트(51)가 설치되며, 상기 종자시트(51)는 일단부가 흡습시트(50)에 접지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종자시트(51)에 포함되는 종자가 흡습시트(50)로 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발아되면서 뿌리 활착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보행매트(10) 단부를 결속하며, 조인트본체(31), 조인트덮개(32), 고정핀(34)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보행매트 연결부분이 단차 없이 평평하게 시공되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보행매트 중앙에 형성되는 컬러라인을 경계로 통행 방향이 구분되어, 등산로와 같이 좁은 길에서 보행자끼리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컬러라인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논슬립코팅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조인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배수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단부를 뿌리활착으로 결속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컬러라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논슬립코팅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조인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배수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보행매트의 단부를 뿌리활착으로 결속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친환경 보행매트에 관련되며, 이는 보행매트 연결부분이 단차 없이 평평하게 시공되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보행매트 중앙에 형성되는 컬러라인을 경계로 통행 방향이 구분되어, 등산로와 같이 좁은 길에서 보행자끼리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보행매트(10), 컬러라인(20), 조인트모듈(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매트(10)는 천연 섬유사로 형성되는 경사(11)와 위사(12)로 직조된다.
상기 경사(11)와 위사(12)는 천연섬유, 야자섬유, 마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보행매트(10)는 1, 2군으로 구분되는 경사(11) 사이로 위사(12)를 위입하여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 단위로 직조되어, 롤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행매트(10) 직조에 투입되는 경사(11) 중 일부는 외주면에 논슬립코팅층(13)이 형성된다.
상기 논슬립코팅층(13)은 도 3과 같이 코르크입자(13a)를 경사(11) 외주면에 바인더로 접착 고정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논슬립코팅층(13)이 형성되는 경사(11)는 그 외 경사(11)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논슬립코팅층(13)을 형성한 후 두께 증가로 인해 그 외 경사(11)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행매트(10) 표면으로 노출되는 논슬립코팅층(13)에 의해 논슬립바닥라인(N)를 형성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보행매트(10)를 경사면에 설치하더라도 보행자가 미끄러짐 없이 보행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라인(20)은 상기 보행매트(10)의 폭방향 중앙 영역에 경사(11) 방향으로 배치되어, 중앙경계선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컬러라인(20)은 천연 섬유사를 탈색 또는 염색하여 경사(11)와 상이한 컬러로 형성된다. 이에 컬러라인(20)을 경계로 통행 방향이 구분되어, 등산로와 같이 좁은 길에서 보행자끼리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컬러라인(20)은 내부에 중공홀(21)이 형성되는 광확산튜브(22)로 형성되고, 상기 광확산튜브(22)의 중공홀(21)에 led를 포함하는 광출력선(23)이 교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출력선(23)은 단부에 커넥터(24)가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광출력선(23)을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어느 일측 커넥터(24)는 태양광패널에 의해 충전된 축전지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이처럼 상기 보행매트(10) 상면으로 노출되는 광확산튜브(22)를 통하여 광원이 출력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야간에도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모듈(30)은 상기 보행매트(10)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대응하는 이웃하는 보행매트(10) 단부를 결속되도록 구비
도 4에서, 상기 조인트모듈(30)은, 보행매트(10)가 설치되는 바닥면 대비 낮게 매립 설치되고, 보행매트(10)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격실(31a)이 형성되는 조인트본체(31)와,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 내에서 서로 접하는 보행매트(10) 단부 사이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저면에 쐐기날(32a)이 형성되는 조인트덮개(32)와, 조인트덮개(32) 양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보행매트(10)에 파지되는 스파이크(33)와, 조인트덮개(32)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조인트본체(31) 바닥면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고정핀(34)을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모듈(30)을 이용한 보행매트(10)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보행매트(10) 단부를 하향 절곡하여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에 삽입한 상태로 조인트덮개(32)의 쐐기날(32a)을 서로 이웃하는 보행매트(10) 사이로 삽입한 후, 고정핀(34)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조인트덮개(32) 상면이 보행매트(10)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됨에 따라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격실(31a)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고정돌기(40)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날(32a) 외주면에 유동돌기(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동돌기(41)는 고정돌기(40) 대비 낮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돌기(40)와 유동돌기(41) 사이 간격은 보행매트(10) 두께 대비 좁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조인트덮개(32)를 설치시, 보행매트(10)가 고정돌기(40)와 유동돌기(41) 사이에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보행매트(10)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6에서, 상기 조인트본체(31)는 보행매트(10)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배수구(31b)가 형성된다.
이에 우천시 상기 보행매트(10)로 흡수되는 우수는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에 포집된 상태로 배수구(31b)를 통하여 보행매트(10) 폭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물 고임 현상이 방지되고, 보행매트(10)가 신속하게 건조되어 수명이 장구히 연장된다.
도 7에서, 상기 조인트본체(31), 조인트덮개(32), 고정핀(34)은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 바닥에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시트(50)가 설치되고, 상기 격실(31a)에 수용되는 보행매트(10) 단부에 종자시트(5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종자시트(51)는 일단부가 흡습시트(50)에 접지되도록 연장된다.
이에 상기 종자시트(51)에 포함되는 종자가 흡습시트(50)로 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발아되면서 뿌리 활착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보행매트(10) 단부를 결속하ㄱ고, 이로 인해 조인트본체(31), 조인트덮개(32), 고정핀(34)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자연분해되더라도 보행매트(10) 간에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보행매트 20: 컬러라인
30: 조인트모듈

Claims (8)

  1. 천연 섬유사로 형성되는 경사(11)와 위사(12)로 직조되는 보행매트(10);
    상기 보행매트(10)의 폭방향 중앙 영역에 경사(11) 방향으로 배치되어, 중앙경계선을 형성하는 컬러라인(20); 및
    상기 보행매트(10)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대응하는 이웃하는 보행매트(10) 단부를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조인트모듈(30);을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모듈(30)은,
    보행매트(10)가 설치되는 바닥면 대비 낮게 매립 설치되고, 보행매트(10)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격실(31a)이 형성되는 조인트본체(31)와,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 내에서 서로 접하는 보행매트(10) 단부 사이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저면에 쐐기날(32a)이 형성되는 조인트덮개(32)와,
    조인트덮개(32) 양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보행매트(10)에 파지되는 스파이크(33)와,
    조인트덮개(32)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조인트본체(31) 바닥면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고정핀(34)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매트(10) 단부를 하향 절곡하여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에 삽입한 상태로 조인트덮개(32)의 쐐기날(32a)을 서로 이웃하는 보행매트(10) 사이로 삽입한 후, 고정핀(34)을 체결하여 조인트덮개(32) 상면이 보행매트(10)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보행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라인(20)은 천연 섬유사를 탈색 또는 염색하여 경사(11)와 상이한 컬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보행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라인(20)은 내부에 중공홀(21)이 형성되는 광확산튜브(22)로 형성되고, 상기 광확산튜브(22)의 중공홀(21)에 led를 포함하는 광출력선(23)이 교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광출력선(23)은 단부에 커넥터(24)가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광출력선(23)을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보행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매트(10) 직조에 투입되는 경사(11) 중 일부는 외주면에 논슬립코팅층(13)이 형성되고, 상기 논슬립코팅층(13)은 코르크입자(13a)를 경사(11) 외주면에 바인더로 접착 고정하여 형성되며, 상기 논슬립코팅층(13)이 형성되는 경사(11)는 그 외 경사(11)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보행매트(10) 표면으로 노출되는 논슬립코팅층(13)에 의해 논슬립바닥라인(N)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보행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31a)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고정돌기(40)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날(32a) 외주면에 유동돌기(41)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돌기(41)는 고정돌기(40) 대비 낮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돌기(40)와 유동돌기(41) 사이 간격은 보행매트(10) 두께 대비 좁게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덮개(32)를 설치시, 보행매트(10)가 고정돌기(40)와 유동돌기(41) 사이에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보행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본체(31)는 보행매트(10)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배수구(31b)가 형성되고, 우천시 상기 보행매트(10)로 흡수되는 우수는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에 포집된 상태로 배수구(31b)를 통하여 보행매트(10) 폭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보행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본체(31), 조인트덮개(32), 고정핀(34)은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본체(31)의 격실(31a) 바닥에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시트(50)가 설치되고,
    상기 격실(31a)에 수용되는 보행매트(10) 단부에 종자시트(51)가 설치되며,
    상기 종자시트(51)는 일단부가 흡습시트(50)에 접지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종자시트(51)에 포함되는 종자가 흡습시트(50)로 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발아되면서 뿌리 활착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보행매트(10) 단부를 결속하며, 조인트본체(31), 조인트덮개(32), 고정핀(34)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보행매트.
  8. 삭제
KR1020220052022A 2022-04-27 2022-04-27 친환경 보행매트 KR10247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22A KR102471677B1 (ko) 2022-04-27 2022-04-27 친환경 보행매트
KR1020220147681A KR102504199B1 (ko) 2022-04-27 2022-11-08 친환경 보행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22A KR102471677B1 (ko) 2022-04-27 2022-04-27 친환경 보행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681A Division KR102504199B1 (ko) 2022-04-27 2022-11-08 친환경 보행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677B1 true KR102471677B1 (ko) 2022-11-28

Family

ID=842370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022A KR102471677B1 (ko) 2022-04-27 2022-04-27 친환경 보행매트
KR1020220147681A KR102504199B1 (ko) 2022-04-27 2022-11-08 친환경 보행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681A KR102504199B1 (ko) 2022-04-27 2022-11-08 친환경 보행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16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76B1 (ko) * 2008-05-06 2008-12-16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1783005B1 (ko) * 2016-10-31 2017-09-28 코코산업 주식회사 중앙선 패턴을 구비하는 식생 매트
KR101986811B1 (ko) 2019-01-25 2019-06-07 이계영 야자섬유매트의 미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
KR20200018744A (ko) * 2018-08-09 2020-02-20 여중훈 보행매트 연결 시스템
KR102355040B1 (ko) * 2021-05-07 2022-01-24 김선봉 미끄럼 방지용 보행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76B1 (ko) * 2008-05-06 2008-12-16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1783005B1 (ko) * 2016-10-31 2017-09-28 코코산업 주식회사 중앙선 패턴을 구비하는 식생 매트
KR20200018744A (ko) * 2018-08-09 2020-02-20 여중훈 보행매트 연결 시스템
KR101986811B1 (ko) 2019-01-25 2019-06-07 이계영 야자섬유매트의 미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
KR102355040B1 (ko) * 2021-05-07 2022-01-24 김선봉 미끄럼 방지용 보행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199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624B1 (ko) 친환경 노면포장재 시공방법
JP2004507635A (ja) 景観用人工芝
KR102471677B1 (ko) 친환경 보행매트
CN103321122B (zh) 一种公路、路面结构及公路路面的施工方法
CN102619229A (zh) 柔性面层土钉墙联合加筋土生态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973728B1 (ko) 노면포장용 카펫식 포장재
KR101876872B1 (ko) 밀착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야자매트 시공구조
US5288165A (en) Provisional road surface
KR101473407B1 (ko) 노면 포장재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2691308A (zh) 一种加筋重力式挡土墙抗震构造
KR101440800B1 (ko) 산책로용 다기능 매트
JP2009299256A (ja) 弾性舗装体
KR101571125B1 (ko) 에코 야자 발광 계단용 매트
KR100907494B1 (ko) 인조잔디가 설치된 방초 매트
KR100528051B1 (ko)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 블록
CN210636254U (zh) 一种透水型胶粘石路面
KR100672232B1 (ko) 신도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CN111206470A (zh) 网连式排水铺面装置
SE460871C (sv) Skenmaal i form av bro samt modifikation daerav
CN208386226U (zh) 太阳能板道路
KR102151050B1 (ko) 광발광성 에코칩을 이용한 스타패스포장 시공방법 및 스타패스포장
KR101795347B1 (ko) 방수 및 방근 구조물 시공 방법
CN107090759A (zh) 两级路坡沟构件及两级路坡沟结构
KR100973729B1 (ko) 친환경 보행로 제공을 위한 노면 시공방법
KR101865308B1 (ko) 식생패드를 구비한 복합형 산책로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